You are on page 1of 7

하프 half

모의고사

정답과
해설

(0504) 하프모의고사 답지-1.indd 65 2020-05-11 오후 1:48:08


세밀하게 묘사되고 있다.
③ ‘대합실’ 안이라는 한정된 공간을 배경으로 사건이 전개되고 있다.
모의고사 004

01회
정답 | ③
해설 | ㉢‘고불(허유)’이라는 역사적 인물의 행적이 나타나 있으나 이에 대
한 화자의 책망은 드러나 있지 않다. ‘세상을 버린 허유의 행실이 가장 현
명하구나.’에서 ‘허유’에 대한 화자의 예찬적 태도가 드러나 있다.
오답피하기 |
① 화자는 ㉠‘서책’을 보고 ‘어찌 된 시운이 흥했다 망했다를 반복하였는
가?’라고 세상의 이치에 대해 의구심을 품고 있으므로 적절하다.
② 화자는 ㉡‘하늘’이 만물을 지었다고 생각하고 있으므로 화자의 운명론
01회 적 가치관이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④ 화자는 ㉣‘술’을 마시고 ‘마음에 맺힌 시름이 조금이나마 덜어지는구
001 ② 002 ② 003 ④ 004 ③ 005 ④ 나.’라고 하였으므로, ㉣‘술’은 화자의 근심을 위로하는 소재라고 볼
수 있다.
006 ④ 007 ③ 008 ③ 009 ④ 010 ③
005
001 정답 | ④
정답 | ② 해설 | 지문에서 ㉠을 통해 가설을 세운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없으며, ㉡
해설 | 부사어는 문장 내에서 위치 이동이 비교적 자유로운 것은 맞지만, 이 가설을 수정하며 정확한 의미를 찾는다는 내용도 확인할 수 없으므로
‘국어 시험을 못 봐서 아쉽다.’의 부사어 ‘못’은 위치 이동이 불가능한 경 적절하지 않다.
우이므로 (나)의 예시로 적절하지 않다. 오답피하기 |
오답피하기 | ① 1문단에서 ㉠은 많은 의미의 층위를 담고 있으며, ㉡은 그 두꺼운 의
① ‘그는 말도 없이 회사를 떠났다.’에서 부사절 ‘말도 없이’는 용언 ‘떠났 미의 층위를 캐내고 의미 체계를 이해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므로 적절
다’를 수식하는 부사어의 기능을 하고 있다. 하다.
③ ‘철수는 나로 인해 무척이나 즐거워했다.’에서 ‘무척’은 보조사 ‘이나’ ② 2문단에서 ㉡은 ㉠에 담긴 시대적 의미 변화를 추적하는 일이라고 하
와 결합하여 쓰이고 있다. 였으며, ㉡을 할 때에는 과거의 지평에 자신을 놓아두고 사물을 봐야
④ ‘그는 여자친구를 누나에게 소개했다.’에서 ‘누나에게’는 서술어 ‘소개 한다고 하였으므로 적절하다.
했다’가 반드시 필요로 하는 필수적 부사어이다. ③ 2문단에서 ㉡은 ㉠을 둘러싼 변화하지 않는 전체적인 틀을 파악하고
㉠의 의미와 상징의 체계를 읽어 내야 한다고 하였으므로 적절하다.
002
정답 | ② 006
해설 | ‘가을 햇살’은 화자가 나이 먹고 철이 들게 만들고, 피를 붉은 단감 정답 | ④
으로 익게 만드는 것으로 대상을 성숙하게 만드는 존재이다. ②의 ‘무서 해설 | 지문에서 책을 다 읽고 난 다음에는 독서의 목적, 책의 내용을 고민
리’는 ‘꽃잎을 피’게 하므로, 이 또한 대상을 성숙하게 만드는 존재라고 하면서 자신의 사고가 얼마나 확장했는지 정리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볼 수 있다. 운동에 적용하면 운동이 끝난 뒤에는 운동의 목적, 운동 내용을 돌이켜
오답피하기 | 보며 자신의 운동 능력이 얼마나 신장했는지, 또는 신체가 얼마나 건강해
① ‘남’은 화자와 함께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대상이다. 졌는지 정리해야 할 것이다. 운동이 끝난 뒤에 정리운동을 통해 근육통을
③ ‘어둠’은 시련의 상황을 상징한다. 경감시킨다는 것은 지문의 내용을 운동에 적용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다.
④ ‘남들이 열고 들어오는 문’은 화자가 바라보면서 ‘너’가 열고 들어올 오답피하기 |
것이라 기대하는 사물이다. ① ‘책을 읽기 전에 먼저 책을 읽는 목적이 무엇인지를 생각해야 한다.’라
고 하였으므로 운동의 목적을 고민하는 것은 적절하다.
003 ② ‘자신의 독서 능력과 배경지식의 수준과 범위를 고려해서 적절한 책을
정답 | ④
선택해야 한다.’라고 하였으므로 몸 상태와 이전 경험을 고려하여 운
해설 | 주어진 지문의 시점은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서술의 시점이
동 종목을 선택하는 것은 적절하다.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다.
③ ‘본격적으로 책을 읽기 위해 독서 방법을 정해야 한다. 정독할지, 통독
오답피하기 |
할지 ~ 책을 읽어야 한다.’라고 하였으므로 운동의 원리를 이해한 후
① 1문단에서는 대학생의 생각, 2문단에서는 행상꾼 아낙네들의 생각이
적절한 운동 방법을 정하는 것은 적절하다.
나타나 있으므로 인물들의 생각이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007
② 1문단에서는 대학생의 심리, 2문단에서는 행상꾼 아낙네들의 심리가 정답 | ③

066 하프 모의고사

(0504) 하프모의고사 답지-1.indd 66 2020-05-11 오후 1:48:09


해설 | 틀리다(×) → 다르다(○): 나이를 먹기 전과 후의 차이를 다루고
있으므로 ‘차이나다’를 뜻하는 ‘다르다’가 들어가야 한다.
오답피하기 | 모의고사

02회
① 다르다(○): 아들과 아버지의 생김새의 차이를 다루고 있으므로 ‘차이
나다’를 뜻하는 ‘다르다’가 적절하게 사용되었다.
② 틀린(○): 일의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하는 경우이므로 ‘틀리다’가 적
절하게 사용되었다.
④ 틀릴(○): 오류와 관련 있는 경우이므로 ‘틀리다’가 적절하게 사용되
었다.

008
정답 | ③
해설 | 빈칸의 앞부분에서는 지난 수 세기 동안 사람들은 기본적인 욕구의 02회
충족만을 원했고, 재능의 사용이나 복지 향상, 흥미로움 등을 고려하지
못했다고 하였다. 반면 빈칸의 뒷부분에서는 기술의 발달과 물질적 풍요 001 ④ 002 ② 003 ② 004 ③ 005 ④
에 따라 사람들이 성취감을 좇으려는 마음을 추구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
006 ③ 007 ② 008 ① 009 ④ 010 ③
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성취감과 관련된 욕구는 현대적인 개념임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최초의 근대 사전, 즉 과거에 대해 서술한
빈칸에는 성취감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 이를 고려
001
정답 | ④
할 때, 빈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③이다. 성취감과 유사한 단어들
해설 | ‘꽃으로’는 홑받침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으로’와 결합했으므
이 많았다거나 성취감이 추상적인 개념으로 서술되었다면 최초의 사전에
로 ‘ㅊ’을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꼬츠로]로 발음한다. 따라
도 성취감이라는 개념이 있었다는 것이므로 성취감을 현대적인 개념이라
서 (가)의 예시로 적절하다.
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성취감의 반의어의 존재 여부는 지문의 내용
‘여덟이’는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이’와 결합했으므로 뒤엣
과 자연스럽게 이어지지 않는다.
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여덜비]로 발음한다. 따라서 (나)의 예시
009 로 적절하다.
정답 | ④ 오답피하기 |

해설 | ‘젖히다[저치다]’는 ‘ㅈ’과 ‘ㅎ’이 합쳐져 [ㅊ]으로 축약된 예이지, ① ‘부엌을’은 홑받침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을’과 결합했으므로
구개음화가 적용된 예가 아니다. ‘ㅋ’을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부어클]로 발음한다. (가)
오답피하기 | 의 예시로는 적절하지만 발음이 잘못되었다.
① ‘붙이다’는 구개음이 아닌 ‘ㅌ’이 접사 ‘-이-’와 결합했기 때문에 구 ‘값으로’는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으로’와 결합했으므로
개음화가 적용되어 [부치다]로 발음된다.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기고, 된소리로 바꾸어 [갑쓰로]로 발
② ‘마디’는 ‘ㄷ’과 ‘ㅣ’가 한 형태소 안에서 결합했기 때문에 구개음화가 음한다. (나)의 예시로는 적절하지만 발음이 잘못되었다.
적용되지 않아 [마디]로 발음된다. ② ‘낮에’는 홑받침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에’와 결합했으므로 ‘ㅈ’
③ ‘밭이랑’은 ‘ㅌ’이 ‘이’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와 결합했기 때문에 구 을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나제]로 발음한다. 따라서 (가)
개음화가 적용되지 않아 [반니랑]으로 발음된다. 의 예시로 적절하다.
‘흙 위’는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 ‘위’와 결합했으므
010 로 (나)의 예시로는 적절하지 않다.
정답 | ③ ③ ‘무릎이’는 홑받침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이’와 결합했으므로
해설 | 以實直告(써 이/열매 실/곧을 직/알릴 고)는 사실 그대로 고함을 ‘ㅍ’을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무르피]로 발음한다. (가)
뜻한다. ㉢ 自初至終(스스로 자/처음 초/이를 지/마칠 종)은 처음부터 끝 의 예시로는 적절하지만 발음이 잘못되었다.
까지 과정을 뜻한다. ‘없이’는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사 ‘이’와 결합했으므로 뒤엣
오답피하기 | 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기고, 된소리로 바꾸어 [업씨]로 발음한다.
㉠은 잠을 이루지 못하는 어사가 잠깐 조는 상황을 나타내므로, 여기에는 따라서 (나)의 예시로 적절하다.
완전히 잠이 들지도 잠에서 깨어나지도 않은 어렴풋한 상태를 뜻하는 비
몽사몽(非夢似夢, 아닐 비/꿈 몽/닮을 사/꿈 몽)이 쓰여야 한다. 002
㉡은 잠든 어사가 노인을 만난 일이 꿈임을 깨닫는 상황이므로, 덧없는 정답 | ②

꿈을 뜻하는 南柯一夢(남녘 남/가지 가/한 일/꿈 몽)이 쓰여야 한다. 해설 | (가) ‘변죽을 울리다’는 ‘(사람이) 직접 말을 하지 않고 둘러서 말을

㉣은 꿈속에서 얻은 족자를 매개로 어사가 본관의 잃어버린 자식임을 알 하여 짐작하게 하다.’를 뜻하는 관용구이므로 이야기의 초점을 말하지 않
게 되는 상황이므로, 정신에 이상이 생길 정도로 슬프게 통곡함을 뜻하는 고 함축성 있는 표현을 사용했다는 문맥에 사용되기에 적절하다.
失性痛哭(잃을 실/성품 성/아플 통/울 곡)이 쓰여야 한다. (나) ‘시치미를 떼다’는 ‘자기가 한 일을 하지 않았다고 하거나 알면서 모
르는 체하다.’를 뜻하는 관용구이므로 오리발을 내미는 사람을 표현하는

정답과 해설 067

(0504) 하프모의고사 답지-1.indd 67 2020-05-11 오후 1:48:09


문맥에 사용되기에 적절하다. 수하인에게 도장을 보여줬지만 오히려 미안함을 느꼈음을 알 수 있다.
오답피하기 | ④ ‘혹시나 수하인이 늘 말하던 전황석~손님에게 설명할 필욘 없었다.’
‘본때를 보이다’는 ‘잘못을 다시는 저지르지 아니하거나 교훈이 되도록 에서 주인은 오준이 도장의 가치를 모를 것이라 생각해 전황석에 대해
따끔한 맛을 보이다.’를 뜻하는 관용구이다. ‘딴죽을 걸다’는 ‘이미 동의 말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하였거나 약속했던 일을 딴전을 부리며 어기다.’를 뜻하는 관용구이다.
007
003 정답 | ②
정답 | ② 해설 | 집단 구성원 사이에 공유되는 모든 것이 곧 집단의 고유한 문화이
해설 | ㉡에서는 반어적인 표현을 확인할 수 없으며, 화자의 지향을 나타 며 모든 문화는 일반적으로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를 반영한다고 하였으
냈다고도 보기 어렵다. 므로, 집단의 고유한 문화가 일반적인 사회적 가치와 상반된다는 것은 적
오답피하기 | 절하지 않다.
① ㉠‘동안거’는 승려들이 특정 기간 동안 일정한 곳에 머물며 수도하는 오답피하기 |
일을 말한다. 이는 화자가 주관적 인식을 투영하여 같은 곳에 머물러 ① 집단의 구성원들은 행동양식이나 생활양식, 가치관 등을 공유하며, 이
있는 ‘겨울나무’의 속성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때 공유되는 모든 것이 집단의 문화가 된다고 하였으므로 적절하다.
③ ㉢‘앙상함’은 ‘보석’, ‘알몸’, ‘성자’가 갖춘 삶의 양식에 대한 화자의 ③ 미국은 자유를 필수적인 권리로 여길 뿐만 아니라 금지에도 강조를 두
인식을 드러낸 표현이다. 었다고 하였으므로 적절하다.
④ ㉣에서는 ‘앙상함’이란 속성을 지닌 동질적인 대상인 ‘보석’, ‘알몸’, ④ 문화가 추구하는 가치 중 특정한 가치와 이와 상반되는 가치 사이에
‘성자’를 나열하고 있다. 긴장이 존재한다고 하였으며, 이는 다양한 상황에서 충돌하는 가치 중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지에 대한 긴장이라고 하였으므로 적절하다.
004
정답 | ③ 008
해설 | 독백적 어조로 시상이 전개되고 있으나, 임에 대한 화자의 원망은 정답 | ①
확인할 수 없다. 해설 | 학생들 간의 폭력 사건이 발생했을 때 CCTV를 활용하면 사건의 진
오답피하기 | 상을 규명할 수 있으며(㉠), 범죄 예방을 위해 교내 경비 인력을 충원하
① ‘마음은 종이연인 양 바람에 펄럭이고 있구나. / 돗자리라면 말아 두고 는 것보다 CCTV를 설치하는 것이 경제적 비용을 아낄 수 있다.(㉡) 또한
돌이라면 굴려 내련만’ 등에서 임을 향한 화자의 그리움을 시각적으로 CCTV를 활용하면 교내 사각지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범죄를 방지할 수
구체화하여 형상화하고 있다. 있다.(㉣) 따라서 찬성 측에서 활용할 근거로 적절한 것은 ㉠, ㉡, ㉣이
② ‘쌍쌍이 날아가는~임의 휘장 뚫으리라.’에서 자연물인 ‘새’, ‘달빛’에 다.
임에 대한 화자의 그리움을 투영하여 재회의 소망을 드러내고 있다. 오답피하기 |
④ ‘이 마음에 맺힌 시름 언제나 풀릴 것인가.’에서 화자의 내적 괴로움을 ㉢ 교내에 CCTV가 설치되면 교내의 행동이 모두 녹화되므로 사생활과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표현의 자유를 침해받을 수 있다. 또한 CCTV가 교실의 수업 장면을
비춘다면 교사의 수업권이 보장된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적절하지 않
005 다.
정답 | ④
㉤ 학부모가 CCTV 자료를 바탕으로 학교나 교사를 상대로 불필요한 민
해설 | 밑줄 친 ‘어렵다’는 가능성이 적다는 의미로 쓰였다. 즉 중세 국어
원을 제기한다는 것은 CCTV의 부정적 효과이므로 찬성 측의 근거로
이전의 우리말의 음운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알 가능성이 적다는 정도 적절하지 않다.
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의미로 쓰인 것은 오늘 그를 만날 가능성
이 적을 것이라는 의미로 쓰인 ④의 ‘어렵다’이다. 009
오답피하기 | 정답 | ④
① 해당 문장의 ‘어렵다’는 난도가 높다는 의미로 쓰인 것이다. 해설 | 필자는 3문단에서 ‘국가의 부에 따라 적응의 가능성이 명확하게 달
② 해당 문장의 ‘어렵다’는 가난하다는 의미로 쓰인 것이다. 라진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라며 예방론자와 적응론자가 국가 간
③ 해당 문장의 ‘어렵다’는 불편하다는 의미로 쓰인 것이다. 의 사회적 비용과 적응 능력의 차이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고 보
았다. 따라서 필자의 관점에서는 ㉠에 대하여, 국가의 부에 따라 사회적
006 비용과 적응 능력이 다르므로, 이러한 점 때문에 적절하게 농업 환경을
정답 | ③
변화시키지 못할 수 있다고 반론을 제기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해설 | 주인은 오준에게 계혈석을 비롯한 각종 석재를 보여 줬으나, 전황
것은 ④이다.
석의 가치를 속이기 위기 위해 계혈석을 보여 줬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답피하기 |
오답피하기 |
① 필자는 3문단에서 예방론자들은 적응에 대한 연구를 회피했고, 적응
① ‘술을 들으면서도 아무런 말이 없는 것이 마음의 동요를 누르려고 애 론자들은 사회적 비용을 무시하거나 자본주의 경제의 원리에 따른 것
쓰는 것 같이 보여’에서 수하인은 자신의 도장을 보고 느낀 씁쓸함을 이라고 생각했다고 하였다. 따라서 적응 가능성을 비용의 관점으로 연
나타내지 않으려고 참았음을 알 수 있다. 구하여 적응 능력이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에 대해 제기할
② ‘젊은 친구는 오준이라는~오히려 미안스러웠다.’에서 주인은 선의로 반론으로 적절하지 않다.

068 하프 모의고사

(0504) 하프모의고사 답지-1.indd 68 2020-05-11 오후 1:48:09


② 필자는 3문단에서 환경 변화의 영향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사
회적 비용과 적응 능력의 차이를 이해해야 하지만, 예방론자와 적응론
자는 이를 간과했다고 하였다. 자본주의의 발전에 따라 환경 변화로 모의고사

03회
인한 경제적 손실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에 대해 제기할 반
론으로 적절하지 않다.
③ 필자는 3문단에서 적응론자들이 사회적 비용을 무시하거나, 보이지
않는 손의 원리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하였다. 그러나
필자는 이러한 생각이 국가 간의 사회적 비용의 차이를 간과한 것이라
고 하였으므로, 해당 내용은 필자가 ㉠에 대해 제기할 반론으로 적절
하지 않다.

010
정답 | ③ 03회
해설 | ‘변호사인’처럼 모음으로 끝난 말에 ‘이다’의 형태로도 쓰일 수 있
음을 알 수 있다. 001 ② 002 ④ 003 ③ 004 ③ 005 ①
오답피하기 |
006 ④ 007 ④ 008 ① 009 ② 010 ④
① ‘나무다’처럼 체언과 결합하여 서술어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
다.
② ‘변호사인’이 ‘그’를 수식하고 있는 것처럼 관형사형 어미와 결합하여
001
정답 | ②
다른 말을 수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해설 | ㉠ ‘건너자’는 어간 ‘건너-’와 어미 ‘-자’가 결합한 것이며, 탈락의
④ ‘세상이로군’처럼 감탄형으로 활용될 때 ‘아름답군’과 같은 형용사와
예시가 아니기 때문에 ㉠의 예로 적절하지 않다. ㉡ ‘듬직하고’는 ‘ㄱ’과
달리 ‘-로-’가 첨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ㅎ’이 축약되어 [듬지카고]로 발음되므로 ㉡의 예로 적절하다.
오답피하기 |
① ㉠ ‘잤다’는 어간 ‘자-’와 어미 ‘-았다’가 결합한 것으로, 동모음이 탈
락한 것이므로 ㉠의 예로 적절하다. ㉡ ‘않고’는 ‘ㅎ’과 ‘ㄱ’이 축약되
어 [안코]로 발음되므로 ㉡의 예로 적절하다.
③ ㉠ ‘타’는 어간 ‘타-’와 어미 ‘-아’가 결합한 것으로, 동모음이 탈락한
것이므로 ㉠의 예로 적절하다. ㉡ ‘잡혔다’는 ‘ㅂ’과 ‘ㅎ’이 축약되어
[자펻따]로 발음되므로 ㉡의 예로 적절하다.
④ ㉠ ‘서’는 어간 ‘서-’와 어미 ‘-어’가 결합한 것으로, 동모음이 탈락한
것이므로 ㉠의 예로 적절하다. ㉡ ‘좋다’는 ‘ㅎ’과 ‘ㄷ’이 결합하여 [조
타]로 발음되므로 ㉡의 예로 적절하다.

002
정답 | ④
해설 | ‘하루아침’은 ‘하루’와 ‘아침’이 결합하여 ‘짧은 시간’이라는 새로운
의미가 생겼으므로 융합 합성어로 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춘추’는 ‘춘
(春)’과 ‘추(秋)’가 결합하여 ‘나이’라는 새로운 의미가 생겼으므로 융합
합성어로 볼 수 있다.
오답피하기 |
① ‘앞뒤’는 ‘앞’과 ‘뒤’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므로 두 어근이 대등하게 이
어진 대등 합성어로 볼 수 있다.
② ‘돌다리’는 ‘돌’과 ‘다리’의 결합으로, 어근 ‘돌’이 ‘다리’의 의미에 종
속되어 있어서, ‘다리’가 중심 의미가 되므로 종속 합성어로 볼 수 있
다.
③ ‘손바닥’은 ‘손’과 ‘바닥’의 결합으로, 어근 ‘바닥’이 ‘손’의 의미에 종
속되어 있어서, ‘손’이 중심 의미가 되므로 종속 합성어로 볼 수 있다.

003
정답 | ③
해설 | 집현전[지편전] Jiphyeonjeon(○): 체언에서 ‘ㄱ, ㄷ, ㅂ’ 뒤에 ‘ㅎ’

정답과 해설 069

(0504) 하프모의고사 답지-1.indd 69 2020-05-11 오후 1:48:09


이 따를 때에는 ‘ㅎ’을 밝혀 ‘h’로 표기해야 한다. 007
오답피하기 | 정답 | ④
① 영등포 Yeongdeungpho(×) → Yeongdeungpo(○): ‘ㅍ’은 ‘p’로 표 해설 | 전문가는 만수를 안심시키기 위해 ‘박만수 씨 죄송합니다! 편지 이
기한다. 리 내요! 박만수 씨 이 문제 제가 잘 해결하겠습니다. 약속해요!’라고 말
② 압록강[암녹깡] Amrokgang(×) → Amnokgang(○): ‘압록강’은 비 했으나, 칠수와 만수는 전문가에게 의지하고 있지 않다.
음화가 나타나는 단어이다. 로마자로 표기하는 경우에도 이를 반영한 오답피하기 |
다. ① ‘박만수 씨, 이거 당신 편지 맞죠?’, ‘박만수 씨! 우리가 지금 수부리
④ 한라산[할ː라산] Hanlasan(×) → Hallasan(○): 자연 지물명은 붙임 이장 집에 전화하고 있습니다.’에서 기자들은 칠수와 만수의 입장을
표 없이 표기해야 한다. 또한 ‘한라산’의 발음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음 고려하지 않고 딱딱한 말투로 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화는 표기에 반영한다. ② ‘야! 그만두지 못해! 그만두란 말이야!’, ‘그만두라잖아! 그만둬!’에서
칠수와 만수는 사건이 전개됨에 따라 기자들을 향해 격정적인 분노를
004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답 | ③ ③ ‘당신들 정말 저 친구 떨어지는 거 보구 싶어서 환장했어?’에서 전문
해설 | 決算(결단할 결/셈 산)은 일정한 기간 동안의 수입과 지출을 마감 가는 칠수와 만수를 자극하는 기자들을 못마땅하게 여기는 감정을 표
하여 계산함을 뜻한다. 決産(결단할 결/낳을 산)은 잘못된 표기이다. 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답피하기 |
① 明白(밝을 명/흰 백)은 의심할 바 없이 아주 뚜렷함을 뜻한다. 008
② 輿論(수레 여/의논할 론)은 사회 대중의 공통된 의견을 뜻한다. 정답 | ①
④ 濫發(넘칠 남/필 발)은 어떤 말이나 행동 따위를 자꾸 함부로 함을 뜻 해설 | ㉠에서는 따로 떼어 낸 심장은 근육 덩어리일 뿐이라고 하였다. 그
한다. 리고 2문단에서는 ‘학문에서는 문제와 관련하여 알려진 모든 사실들을
연구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고려할 때, ㉠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로
005 가장 적절한 것은 ‘학문 전체와의 연관성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특정한 부
정답 | ① 분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라는 ①이다.
해설 | ‘섬뜩한 냉돌’은 화자의 가족이 가난하다는 것을 보여 주는 소재이 오답피하기 |
며, 이를 통해 달라진 고향의 모습으로 인한 화자의 상실감은 확인할 수 ② 따로 떼어 낸 심장은 심장이 아니라 근육 덩어리라는 ㉠의 내용은 전
없다. 체와 부분의 연관성을 강조한 것이다. 각 부분들에 대한 연구가 바탕
오답피하기 | 이 되어야 전체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은 ㉠의 내용에 어긋나므
② 화자는 자신의 부모님과 여동생을 ‘농부 내외와 그들의 딸’이라고 객 로 적절하지 않다.
관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③ 2문단을 고려할 때, 학문의 전체와 부분이 복잡한 관계를 맺어 인과
③ 메주가 부딪히는 상황을 ‘메주가 매달려 서로 박치기한다’라고 표현하 법칙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은 적절하다. 그러나 2문단에
여 마치 메주가 살아 있는 것처럼 서술함으로써 익살스러운 분위기를 서는 이러한 특징을 언급하며 문제와 관련된 모든 사실을 연구해야 한
형성하고 있다. 다고 하였으며, ㉠에서도 전체와 부분의 연관성을 드러내고 있으므로
④ 화자의 아버지는 ‘슬레이트 흙담집’에 살 정도로 가난하지만 ‘다리병 해당 내용은 ㉠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로 적절하지 않다.
신 오리’를 잡아서 가족들을 위해 음식을 만들 준비를 하고 있다. 따라 ④ ㉠에서는 신체의 일부분인 심장을 신체로부터 떼어내면 심장은 근육
서 ‘다리병신 오리’라는 소재를 통해 가난하지만 정이 있는 가족의 모 덩어리가 될 뿐이라고 하였다. 전체와 부분의 경계를 분명하게 나눌
습을 그려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수 없다는 것은 ㉠의 내용과 어긋나므로 적절하지 않다.

006 009
정답 | ④ 정답 | ②
해설 | 주어진 지문은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시점이 일관되게 유지되고 해설 | 비유란 어떤 현상이나 사물을 다른 현상이나 사물에 빗대어 서술하
있다. 따라서 서술자가 장면에 따라 이야기의 안팎을 오가며 입체적으로 는 것이다. 지문에서 비유의 설명 방식이 사용된 부분을 확인할 수 없다.
사건을 전달한다는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오답피하기 |
오답피하기 | ① 지문에서 돌고래가 다른 종을 흉내 낸 것의 사례로 흰돌고래 ‘녹’이 인
① 주어진 지문의 서술자는 작중인물인 ‘나’이다. 이처럼 작품 속의 인물 간의 목소리를 흉내 낸 것을 제시하였다.
이 서술자로 등장하면 독자와 서술자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③ ‘일반적으로 인간의 대화가 소리언어로 진행되는 것과 달리, 돌고래의
② 서술자인 ‘나’는 교정을 보면서 ‘무제’라는 단어를 발견하게 되고, ‘무 의사소통은 초음파를 통해 이루어진다.’에서 인간과 돌고래의 의사소
제’라는 단어에서 비롯된 상념들을 서술하고 있다. 따라서 서술자가 통을 대조하였다.
겪은 구체적인 경험에서 비롯된 관념적 인식이 드러난다고 볼 수 있 ④ ‘즉 흉내를 통해 다른 돌고래의 기술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되는 것
다. 이다.’ 등에서 앞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덧붙여 설명하고 있다.
③ 주어진 지문은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처럼 제
한된 시각으로 사건을 전달하면 독자의 상상력이 개입될 요소가 많다. 010
정답 | ④

070 하프 모의고사

(0504) 하프모의고사 답지-1.indd 70 2020-05-11 오후 1:48:09


해설 | 4문단에서 퍼스는 ‘상징’이 ‘유사성이나 인접성과 상관없이 관습적
인 약속에 따라 어떤 의미를 지니고 사용되는 기호’라고 하였으므로, 퍼
스가 ‘상징’이 언어의 의미와 말소리에 필연적 연관이 있다고 보았다는 모의고사

04회
추론은 적절하지 않다.
오답피하기 |
① 4문단에서 ‘도상’이란 실제 사물과 유사하게 그려 놓은 그림이라고 하
며 공중 화장실 표시를 예로 들었으므로, 지도에서 학교, 산 등을 나타
내는 기호가 ‘도상’에 해당할 것이라는 추론은 적절하다.
② 1문단에서 퍼스는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기호의 의미를 해
석한다고 하였으므로, 퍼스가 기호 해석에서 수용자의 경험을 중요하
게 보았을 것이라는 추론은 적절하다.
③ 1문단에 따르면 퍼스는 기호를 사람들에게 의미를 대신 전하는 물리
04회
적인 실체로 보았고, 2문단에 따르면 소쉬르는 시니피앙을 기호를 이
루는 물리적 형체로 보았으므로 적절하다.
001 ③ 002 ③ 003 ③ 004 ④ 005 ④
006 ③ 007 ④ 008 ① 009 ③ 010 ②

001
정답 | ③
해설 | ㉢의 ‘있는’이 ‘읻는’으로 바뀌는 것은 종성에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이외의 자음이 올 경우 대표음으로 교체되는 현상과 관련이 있다.
유음과 비음이 연달아 이어지고 있지 않으므로 적절하지 않다.
오답피하기 |
① ‘있다’는 종성에 위치한 마찰음인 ‘ㅆ’이 평폐쇄음인 ‘ㄷ’으로 대체되
어 [읻다]가 된 것이다.
② ‘읻다’는 장애음 ‘ㄷ’과 ‘ㄷ’이 연달아 이어져 뒤의 장애음인 ‘ㄷ’이 경
음인 ‘ㄸ’으로 대체되어 [읻따]로 발음된 것이다.
④ ‘읻는’은 장애음 ‘ㄷ’ 뒤에 비음 ‘ㄴ’이 이어져 앞의 장애음이 비음 ‘ㄴ’
으로 대체되어 [인는]으로 발음된 것이다.

002
정답 | ③
해설 | 화자는 자연 풍경을 보고 만족감을 느끼고 있다. ‘붕어’가 해소되지
않은 화자의 근심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는 근거는 확인할 수 없다.
오답피하기 |
① ‘붉은 아침 햇살’은 아침이라는 시간적 배경을 드러낸다.
② ‘오솔길’과 ‘아침 햇살’, ‘소떼’ 등의 자연 풍경을 보면서 형성된 화자
의 정서가 ‘푸른 하늘’로 이어져 심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④ 화자는 ‘산 양지바른 곳’에 ‘집을 짓고 살고 싶’다고 했으므로, ‘산 양
지바른 곳’은 이상적 공간으로 볼 수 있다.

003
정답 | ③
해설 | 양성 모음이 쓰인 체언 ‘하’에 음성 모음이 쓰인 조사 ‘을’이 결합
했으므로 모음 조화가 지켜지지 않은 예로 적절하다.
오답피하기 |
① 음성 모음이 쓰인 용언 어간 ‘븕’에 음성 모음이 쓰인 어미 ‘은’이 결합
했으므로 모음 조화가 지켜진 예이다.
② 음성 모음이 쓰인 용언 어간 ‘들’에 음성 모음이 쓰인 어미 ‘어’가 결합
했으므로 모음 조화가 지켜진 예이다.
④ 양성 모음이 쓰인 체언 ‘소’에 양성 모음이 쓰인 조사 ‘’이 결합했

정답과 해설 071

(0504) 하프모의고사 답지-1.indd 71 2020-05-11 오후 1:48:0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