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만흥 / 윤선도

-------------------------------------------- 비상단기특강

산슈간 바회 아래 집을 짓노라 니, 1. 이 시의 표현상 특징을 <보기>에서 골라 바르게 묶

그 몰론 들은 웃다 다마, 은 것은?


어리고 햐암의  내 분(分)인가 노라.
<보기>
<제1수>
ㄱ. 설의적 표현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강조하고

있다.
보리밥 풋을 알마초 머근 후(後)에,
ㄴ. 역동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생동감을 드러내고
바횟긋 믉의 슬지 노니노라.
있다.
그 나믄 녀나믄 일이야 부 줄이 이시랴.
ㄷ. 대유적 표현을 통해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
<제2수>
하고 있다.
ㄹ. 자연에서의 삶과 비교하여 속세에서의 삶을
잔 들고 혼자 안자 먼 뫼흘 라보니,
풍자하고 있다.
그리던 님이 오다 반가옴이 이러랴.
말도 우움도 아녀도 몯내 됴하노라.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제3수> ④ ㄴ, ㄹ ⑤ ㄷ, ㄹ

누고셔 삼공(三公)도곤 낫다 더니 만승(萬乘)이 이만


랴.

이제로 헤어든 소부 허유(巢父許由)ㅣ 냑돗더라.


아마도 임천한흥(林泉閑興)을 비길 곳이 업세라.
<제4수> 비상단기특강
2. <제1수>에 함축되어 있는 화자의 심정으로 가장 적
내 셩이 게으르더니 하히 아실샤, 절한 것은?
인간만사(人間萬事)  일도 아니 맛뎌, ① 내 모습이 우습다고 남들이 놀리지 않을까 걱정되
다만당 토리 업슨 강산(江山)을 딕희라 시도다. 는군.
<제5수> ② 남들이 뭐라고 하건 난 이런 생활이 내 분수에도
맞고 제일 좋아.
강산(江山)이 됴타 들 내 분(分)으로 누얻냐. ③ 남들이 내 모습을 비웃는다면 그건 내 탓이 아니라
님군 은혜(恩惠) 이제 더옥 아노이다. 그들의 잘못이지.
아리 갑고쟈 야도  올 일이 업세라. ④ 남들도 나의 진정한 의도를 알게 된다면 나를 반드
<제6수> 시 좋아하게 될 거야.
-------------------------------------------- ⑤ 남들이 내 생활을 비웃는다면 이건 내 분수에 안
맞는 일인지도 몰라. 다시 생각해 봐야지

- 1 -
비상단기특강 비상단기특강

3. 이 시의 시어를 <보기>와 같이 구분할 때, ㉠과 ㉡ 5. <보기>에 근거할 때, <제1수>에 대한 설명으로 적


중 어느 곳에도 들어갈 수 없는 것은? 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보기>

세속적인 삶 자연 속에서의 삶 이 시의 <제1수>는 대개의 시조와 같이 표면상



㉠ ㉡ ‘긴장 조성 – 긴장 고조 – 긴장 해소’의 의미 구
조를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

① 집 ② 보리밥 풋 는 주체와 세계의 갈등, 즉 가치와 지향을 두고

③ 삼공(三公) ④ 만승(萬乘) ‘나’와 ‘나를 둘러싼 세계’의 갈등을 제시하고 이를

⑤ 내 셩 해소하는 전개 과정으로도 볼 수 있다.

① ‘집’을 짓는 ‘나’의 행위는 긴장을 조성한다.

비상단기특강 ② ‘나’의 행위에 대한 ‘남’들의 웃음은 긴장을 고조시

4. <보기>는 이 시의 창작 배경인 금쇄동을 답사하고 킨다.

쓴 글이다. <보기>와 관련지어 이 시를 감상할 때, ③ ‘나’와 다른 가치를 가진 세계인 ‘남’ 사이에 갈등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이 일어난다.


④ ‘분수’를 들어 주체의 정당성을 확인하면서 갈등을
<보기>
해소한다.
금쇄동 일대는 해남 윤씨 고택(故宅)에서 멀리 떨
⑤ ‘나’의 행위와 ‘남’들의 웃음을 절충함으로써 긴장
어진 산속에 있어 아무도 그 위치를 모르다가 최
이 해소된다.
근에서야 흔적이 발견된 곳이다. 윤선도가 여기

은거하기 시작한 때는 반대파의 탄핵을 받아 유배


되었다가 돌아온 직후였다. 그는 가문이 일마저
아들에게 맡기고 산속에서 십여 년간 혼자 지냈
다. 살 집은 물론 정자와 정원까지 조성해 놓고

날마다 거닐며 놀았다고 한다.

비상단기특강
① ‘산슈간’은 관념적인 표현으로만 생각했는데, 실제
6. 이 작품의 표현상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공간일 수도 있겠군.
① 설의적 표현을 사용하여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② ‘바횟긋 믉’는 정원의 바위와 연못을 가리킬 수도
② 특정 대상과의 비교를 통해 만족감을 드러내고 있
있겠군.
다.
③ ‘그 나믄 녀나믄 일’은 금쇄동에서 산수를 즐기는
③ 유사한 소재를 반복적으로 제시하여 정서를 심화하
일을 가리킬 수 있겠군.
고 있다.
④ ‘먼 뫼’는 윤선도가 유배 체험에서 입은 상처를 치
④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여 서사성을 드
유해 줄 수 있었겠군.
러내고 있다.
⑤ ‘토리 업슨 강산(江山)’은 정쟁이 벌어지는 현실
⑤ 자연물에 인격을 부여하여 자연에 대한 태도를 드
과 대비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겠군.
러내고 있다.

- 2 -
-------------------------------------------- 신사고

잔 들고 혼자 안자 ㉠먼 뫼흘 라보니, 8. <제4수>의 ‘소부 허유’에 대한 화자의 태도로 가장


㉡그리던 님이 오다 반가옴이 이러랴. 적절한 것은?

말도 우움도 아녀도 몯내 됴하노라. ① ‘그리던 님’과 마찬가지로 그들과의 만남을 소망하

<제3수> 고 있다.
② ‘임천한흥’을 즐기며 현실의 의무를 잊어버리고 사

누고셔 ㉢삼공(三公)도곤 낫다 더니 만승(萬乘)이 이 는 태도에 대해 나무라고 있다.


만랴. ③ ‘삼공’이나 ‘만승’보다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못한

이제로 헤어든 ㉣소부 허유(巢父許由)ㅣ 냑돗더라. 삶을 살았던 자들임을 안타까워하고 있다.


아마도 임천한흥(林泉閑興)을 비길 곳이 업세라. ④ 현실에 관여하지 않고 자연 속에 묻혀 지낸 것을
<제4수> ‘냑돗더라’라고 평가하면서, 자신도 그렇게 살고 싶

어 하고 있다.
강산(江山)이 됴타 들 내 분(分)으로 누얻냐. ⑤ ‘강산’이 자신의 능력으로 얻은 것이 아님을 알고
㉤님군 은혜(恩惠) 이제 더옥 아노이다.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며 살았던 인물이라는 점을
아리 갑고쟈 야도  올 일이 업세라. 본받으려 하고 있다.

<제6수>
--------------------------------------------

신사고 신사고
7.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9. 다음은 이 시에 대한 설명이다. Ⓐ와 Ⓑ에 들어갈
① ㉠ : 화자가 바라보며 즐거움을 느끼고 있는 대상 한자 성어로 알맞은 것은?

이다. 이 시의 화자는 ‘자연’과 ‘인간 만사’를 대비하고


② ㉡ : 부재한 대상으로 화자의 아쉬움을 불러일으키 있는데 자연 속에서 ( Ⓐ )의 자세로 ( Ⓑ )
는 존재이다. 을/를 이루며 사는 삶이, 세속에서 부귀영화를 누
③ ㉢ : 일반적인 사람들과 달리 화자가 부러워하지 리는 것보다 더 가치 있는 삶이라고 노래하고 있
않는 신분이나 권력을 뜻한다. 다.
④ ㉣ : 자연에 묻혀 살았던 사람들로, 화자가 추구하
는 삶의 모습을 내포하고 있는 존재이다.
Ⓐ Ⓑ
⑤ ㉤ : 화자가 자주 떠올리며 감사한 마음을 표현하 ① 안분지족(安分知足) 물아일체(物我一體)
고 있는 대상이다. ② 유유자적(悠悠自適) 대기만성(大器晩成)
③ 독야청청(獨也靑靑) 입신양명(立身揚名)
④ 우국충정(憂國衷情) 괄목상대(刮目相對)
⑤ 수구초심(首丘初心) 수수방관(袖手傍觀)

- 3 -
-------------------------------------------- 옛신사고평가

잔 들고 혼자 안자 ㉠먼 뫼흘 라보니, 12. <제3수>에서 느낄 수 있는 정취와 거리가 먼 것


㉡그리던 님이 오다 반가옴이 이러랴. 은?

말도 우움도 아녀도 몯내 됴하노라. ① 십 년을 경영야 초려 삼간(草廬三間) 지여 내니

<제3수> 나  간   간에 청풍(淸風)  간 맛져 두고
강산(江山)은 들일 듸 업스니 둘러 두고 보리라.

누고셔 ㉢삼공(三公)도곤 낫다 더니 만승(萬乘)이 이 - 송순


만랴. ② 강산(江山) 죠흔 경(景)을 힘센 이 다툴 양이면,

이제로 헤어든 ㉣소부 허유(巢父許由)ㅣ 냑돗더라.  힘과  분(分)으로 어이여 엇들쏜이.


아마도 임천한흥(林泉閑興)을 비길 곳이 업세라. 진실로 금(禁)리 업쓸싀 나도 두고 논이노라.
<제4수> - 김천택

-------------------------------------------- ③ 청산(靑山) 엇뎨야 만고(萬古)애 프르르며,


유수(流水) 엇찌하야 주야애 긋디 아니고.
옛신사고평가 우리도 그치디 마라 만고상청(萬古常靑)호리라.
10. <제3수>의 화자가 추구하는 삶으로 가장 적절한 - 이황

것은? ④ 두류산 양단수(兩端水)를 녜 듯고 이제 보니,


① 유교적 이념을 바탕으로 임금에 충성하는 삶 도화(桃花)  은 물에 산영(山影)조 겨셰라.
② 밤낮으로 학문 수양에 힘쓰며 살고자 하는 삶 아희야, 무릉이 어오. 나 옌가 노라.

③ 사랑하는 임과 함께 한평생을 보내고자 하는 삶 - 조식


④ 현실에서 도피하여 이상 세계를 추구하며 사는 삶 ⑤ 청산도 절로절로 녹수(綠水)도 절로절로
⑤ 자연 속에서 흥겨움을 느끼며 유유자적하는 삶 산(山) 절로 물 절로 산수(山水) 간(間)에 나도 절로
그중에 절로 자란 몸이 늙기도 절로절로

- 송시열

옛신사고평가
11. <제3수>와 <제4수>의 공통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

은?

① 문장을 도치시켜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② 비유적 표현을 통해 비판 의식을 부각시키고 있다.

③ 명암의 대비를 통해 화자의 내면을 드러내고 있다.


④ 의인화된 청자에게 말을 건네는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⑤ 다른 대상과의 비교를 통해 주제 의식을 부각하고


있다.

- 4 -
--------------------------------------------

보리밥 풋을 알마초 머근 후(後)에,


바횟긋 믉의 슬지 노니노라.

그 나믄 녀나믄 일이야 부 줄이 이시랴.

<제2수>

잔 들고 혼자 안자 먼 뫼흘 라보니,
그리던 님이 오다 반가옴이 이러랴.

말도 우움도 아녀도 몯내 됴하노라.


<제3수>
--------------------------------------------

동아출판
13. <보기>를 바탕으로 이 시를 감상한 것으로 적절하
지 않은 것은?

<보기>

조선의 선비는 세상에 나아가거나 물러남을 선택


함에 있어 떳떳함을 큰 미덕으로 여겼다. 떳떳하
지 못한 처세나 정치를 하는 것을 무엇보다 경계
했으며, 물러날 때에는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떳

떳하게 물러나고자 하였다. 또한 물러난 후에도


떳떳하게 자신이 선택한 일을 하였다. 자연을 즐
기거나 학문에 매진하여 후학을 양성하는 것이 그
것이다.

① ‘알마초 머근 후(後)’에 ‘슬지 노니’는 것은 세상


에서 물러난 화자가 선택한 삶의 방식으로 볼 수

있겠군.
② ‘그 나믄 녀나믄 일’은 속세의 일로, 화자가 경계하

고자 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군.

③ ‘잔 들고’와 ‘뫼흘 라보’는 행위는 자리에서 물러


남을 통해 자연을 즐기는 화자의 구체적인 모습이

로군.

④ ‘그리던 님’은 함께 학문을 한 친구로, 화자가 기다


리고 있는 대상으로 볼 수 있겠군.

⑤ ‘몯내 됴하’는 것은 화자가 선택한 삶에 대한 만

족감의 표시로 볼 수 있겠군.

- 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