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성어와 그 이야기

1 비유에 담긴 뜻

2 이야기로 본 성어

나의 학습 목표
나는 이 단원에서

할 거야.

이 단원의 성취 기준은?
1.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할 수 있다.
2. 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을 구별할 수 있다.
3.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바르게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4. 한자로 이루어진 성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맥락에 맞게 활용
할 수 있다.

12


의사소통


능력

의핵

정보 처리

이단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인성 역량

심미적 감성

▲ 후커우 폭포

ಂ๙ 通
중국 후커우 폭포에는 용문(龍門)에 오르는 잉어가 용이 된다는 고사가 있다. 각 성어에 담긴
이야기를 살펴보며, 성어에 담긴 뜻을 생각해 보자.

௖‫ܟ‬ 通
화가는 그림 그리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이다. 21쪽에 있는 화가 장승요(張僧繇)의 이야기
를 읽어 보고, 내가 화가라면 어떨지 생각해 보자.

13
故事成語 ①
1 비유에 담긴 뜻
●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할 수 있다.
● 단어의 짜임을 구별할 수 있다.
● 성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登龍門 口蜜腹劍

胡蝶之夢

鷄肋

14 Ⅰ. 성어와 그 이야기
이 단원의 핵심 질문

비유를 활용한 성어를 만든 의도는 무엇일까?

鄭人에 有且置履者한데 先自度其足하여 龍용 룡


蜜꿀 밀
而置之其坐하고 至之市나 而忘操之하다. 腹배 복
劍칼 검
胡 오랑캐 호
已得履하고 乃曰: “吾忘持度이라.”하고 反歸取之하다. 蝶 나비 접
夢꿈 몽
『 한비자 』 ❖ *肋 갈빗대 륵
置둘 치
履 밟을 리
操 잡을 조
*兎 토끼 토

狗개 구
*`烹 삶을 팽
磨갈 마
*斧 도끼 부
莊 엄숙할 장
座 자리 좌
兎死狗烹 磨斧爲針

❖ 『한비자(韓非子)』: 중국 전국 시대 말기 한비(韓非)가 지은 책

이해와 고사성어는 역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도 있고, 꾸며 낸 이야기인 우언(寓言)에서 만들어


감상 진 것도 있다. 우언에서 만들어진 성어는 대체로 풍자적이거나 교훈적인 의미를 비유적 수법으
로 표현했기 때문에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성어에 담긴 속뜻을 바로 알고 적절하게 활용해
야 한다.

1. 비유에 담긴 뜻 15
학습한 내
용에
표시해 보
자. 스스로 학습
࡚ߚ ฟ଱



登龍門
용문에 오름.
→ 어려운 관문을 통과하여 크게 출세하게 됨. 또는 그 관문

口蜜腹劍
입에는 꿀을 바르고, 뱃속에는 칼을 품음.
→ 겉으로는 꿀처럼 달콤한 말을 하지만, 내심으로는 음해할 생각을 하거나 돌아서서 헐뜯음.

胡蝶之夢 ▶ 胡蝶之夢의 유래

나비의 꿈 莊子가 꿈에 나비가 되었는데 깨어 생각해 보니 자신이


→ ① 현실과 꿈이 구별되지 않는 물아일체의 경지 나비가 된 것인지 나비가 자신이 된 것인지 분간이 되지
② 인생의 덧없음. 않았다는 데서 나온 말로, 현실과 꿈, 참과 거짓이 구분되
지 않는 것을 비유한다. 만물이 하나 된 절대의 경지에 서
게 되면 꿈도 현실도 죽음도 삶도 구별이 없는 한낱 만물
鷄肋 의 변화에 불과하다는 참된 도를 터득할 수 있다는 주장
을 담은 이야기이다.
닭의 갈비
→ 그다지 큰 소용은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

▶ 兎死狗烹의 유래

兎死狗烹 漢나라 천하통일에 공을 세워 초


왕(楚王)에 봉해진 한신은 항우의
토끼가 죽으면 (토끼를 잡던) 사냥개를 삶음.
신하로 있을 때 사귄 종리매를 유
→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 없을 때는 야박하게 버리는 경우를 이름.
방이 체포하려 하자 듣지 않았다.
한신이 위태로울 것을 안 종리매는
자결하여 유방에게 결백함을 알리
磨斧爲針 게 했다. 한신은 죽은 종리매의 목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듦. 을 바쳤으나 체포당하고 말았다.
→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 있게 노력하면 이룰 수 있음.

❶ ❷ ❸ ❹
鄭人에 有且置履者한데 先自度其足하여 而置之其坐하고 至之市
나 而忘操之하다.
정나라 사람으로 장차 신을 사려는 사람이 있는데 먼저 스스로 그 발을 재서 그것
(잰 자)을 그 자리에 두었고 시장에 이르렀으나 그것을 가지고 가는 것을 잊었다.
❶ 置: 사다(=買) ❷ 度: 정도 도/잴 탁 ❸ 置: 두다
❹ 坐: 자리. 여기에서는 ‘坐〔앉다〕’가 ‘座〔자리〕’와 통용됨.

已得履하고 乃曰: “吾忘持度이라.”하고 反歸取之하다.


이미 신을 얻고 곧 말하기를 “내가 잰 것을 가져오는 것을 잊었구나.” 하고 도로 그
것을 가지러 돌아갔다.
▶ 鄭人買履: 정나라 사람이 신을 사러 감. → 실제를 무시하고 융통성 없이 삶.

16 Ⅰ. 성어와 그 이야기
스스로 학습

௔৔ ؊ࡗ҂



한자의 3요소 한자는 하나의 글자가 모양[形]・음[音]・뜻[義]의 세 요소를 동
시에 갖추고 있는 문자이다. 한자는 하나의 글자가 어떤 뜻의 단위를 나타낼 뿐
만 아니라 그 뜻에 해당하는 소리까지도 아울러 나타내는 표의 문자(表意文
字)이다. 따라서 한자를 학습할 때에는 해당 글자의 모양과 소리와 뜻을 동시에
익혀야 한다.
모양 鷄

음 계 뜻 닭

단어의 짜임 단어를 형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의 결합 관계를 말한다.


• 주술 관계 주어+서술어 예
兎 + 死
[토끼가] [죽다]

• 술목 관계 서술어+목적어 예
磨 + 斧
[갈다] [도끼를]

• 술보 관계 서술어+보어 예
登 + 龍門
[오르다] [용문에]

한문
일상용어 ૨ছ౼ 龍鬚鐵 дત‫ ݳ‬逆鱗 +
과학

용수철(龍鬚鐵)은 용의 수염처럼 탄력 있는 쇠붙이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 용의 수염


은 꼬불꼬불하면서 강한 탄성을 지녔다. 그래서 동그랗게 말아 올라가 충격을 완충해 주
는 철선(鐵線)을 용수철이라고 이름 붙였다.
역린(逆鱗)이라는 말도 있다. 린(鱗)은 물고기나 동물의
비늘이고, 역린(逆鱗)은 결을 거슬러 난 비늘이다. 용의 턱
아래에는 다른 비늘과 반대 방향으로 난 역린이 있다고 한
다. 용은 성격이 온순해서 길들여 탈 수가 있다. 다만 실수로
이 역린을 건드리면 용은 성을 내어 그 사람을 죽인다고 한
다. 역린은 신하가 잘못을 범해 임금의 노여움을 사는 것을
비유적으로 쓰는 말이다. ▲ 경복궁 사정전 내부 벽화, 「운룡도」

1. 비유에 담긴 뜻 17
문화 와 인성

조조의 마음을 읽어 낸 양수

위(魏 )나라의 조조(曹操 )와 촉(蜀 )나라의 유비


(劉備)가 한중(漢中) 땅을 사이에 두고 싸울 때였다.
조조가 전쟁에서 유비에게 번번이 패하고 불리해지
자 한중을 포기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놓고 고민하면
서 닭갈비를 먹고 있었다. 그런데 마침 진중을 순찰
하던 하후돈(夏侯惇)이 들어와서 적군과 아군을 구
별하기 위한 암호를 무엇으로 정할 것인지를 물었다.
그러자 조조는 먹고 있던 닭갈비를 응시하면서 “계
륵(鷄肋)이다.”라고 할 뿐 더 이상 말이 없었다.
이에 하후돈은 밖의 병사들에게 “오늘의 암호는 계
륵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병사들은 무슨 뜻인지를 아무도 몰랐다. 그
때 양수(楊修)가 나서서 해석하기를, “닭의 갈비는
버리기는 아까우나 먹을 것이 없는 것, 즉 승상께서
는 이 한중 땅을 유비에게 내주기는 아깝지만 이득이 없으니 철수하라는 뜻으로 계륵이라 정
한 것이오.”라고 하였다.
그 말은 적중하여 이튿날 철수 명령이 내려졌고, 전
쟁은 종료되었다. 그런데 조조가 정식 철수를 명령
하기도 전에 군대는 기다린 듯이 바쁘게 행동
을 개시했다. 이에 조조가 놀라서 그 까닭
을 물으니 양수의 예언에 따라 미리 준비
를 해 두고 있었다고 말하였다.

더 나아가기 본문에서 배운 성어의 유래를 조사하고,


그 뜻과 쓰임을 정리하여 나만의 학습
노트를 만들어 보자.

18 Ⅰ. 성어와 그 이야기
정답
[182쪽]
스스로
점검하기 스스로 평가
1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할 수 있다. 1. 빈칸에 해당하는 한자의 3요소를 써 보자.
2 단어의 짜임을 구별할 수
있다. 모양 劍 夢
3 성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뜻 꿈 닭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
음 검 계
다.

2. 다음 그림과 관련된 성어를 한자로 써 보자.


도끼를 갈고 있어.

바늘을 만들려고
하나 봐.

3. ㉠~㉢에서 각각 밑줄 친 부분의 짜임을 써 보자.

㉠ 兎死狗烹 ㉡ 磨斧爲針 ㉢ 登龍門

[4~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鄭人, 有且置履者, 先自㉠度其足, 而置之其坐, 至之市, 而忘操之.


已得履, 乃曰: “吾忘持度.” 反歸取之.

4. ㉠의 뜻을 써 보자.

5. 윗글에서 유래한 성어의 겉뜻과 속뜻을 써 보자.

•겉뜻:

•속뜻:

1. 비유에 담긴 뜻 19
故事成語 ②
2 이야기로 본 성어
● 단어의 짜임을 구별할 수 있다.
● 글을 바르게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鹿 사슴 록
指鹿爲馬
*丞 정승 승
專 오로지 전 中丞相趙高가 欲專秦權이나 恐群臣不聽이라.
恐 두려울 공
群 무리 군
乃先設驗하여 持鹿獻於二世曰: “馬也라.”하니
驗 시험 험
獻 드릴 헌
邪 간사할 사 二世笑曰: “丞相誤邪아? 指鹿爲馬로다.” 하고
/ 어조사 야

默 잠잠할 묵
問左右하니 或默하고 或言이라.
畏 두려울 외
點점 점
*睛 눈동자 정 高陰中諸言鹿者以法하니 後群臣皆畏高러라.
壁벽 벽
誕 낳을 / 속일 탄 『 십팔사략 』 ❖
*臾 잠깐 유
雷 우레 뢰
*霆 천둥소리 정
慾 욕심 욕

20 Ⅰ. 성어와 그 이야기
이 단원의 핵심 질문

언어생활에서 고사성어는 어떻게 쓰일까?

哕龍點睛

唐 張僧繇가 在金陵 安樂寺할새

壁哕四龍호대 不點睛하고 每云: “點之則飛去라.” 하니

人以爲誕이라. 因點其一하니 須臾에 雷霆破壁하고

一龍乘雲上天한데 不點睛者는 皆在하니라. 『 산당사고 』 ❖

❖ 『십팔사략(十八史略)』: 중국 원(元)나라 증선지(曾先之)가 『십팔사』를 요약하여 초학자용으로 편찬한 책


『산당사고(山堂肆考)』: 중국 명(明)나라 팽대익(彭大翼)이 온갖 유서(類書)를 모아서 엮은 책

이해와 오랜 역사를 거쳐 오면서 수많은 사람의 다양한 경험과 지혜가 녹아 있는 것이 바로 고사성어


감상 이다. 대체로 네 글자로 이루어진 고사성어는 그 배경 속에 재미있고 뜻깊은 선인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으며, 현재까지도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사성어를 정확하게 많이 알아 두
면 상식과 교양이 풍부해지고, 자기 생각을 압축적이고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능력도 키울 수 있
다. 또 고사성어의 배경을 정확하게 아는 것은 한문을 학습하는 데도 많은 도움이 된다.

2. 이야기로 본 성어 21
학습한 내
용에
표시해 보
자. 스스로 학습
࡚ߚ ฟ଱



指鹿爲馬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함.
→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함.

中丞相趙高가 欲專秦權이나 恐群臣不聽이라.


중승상 조고가 진나라의 권력을 마음대로 휘두르려 하였으나, 여러 신하가 듣지 않
을까 걱정스러웠다.


乃先設驗하여 持鹿獻於二世曰: “馬也라.”하니
이에 먼저 시험 삼아 사슴을 가지고 이세에게 바치며 말하기를 “말입니다.”라고 하니
❶ 於: ~에게 [대상의 뜻을 나타내는 어조사(=于)]

❶ ❷
二世笑曰: “丞相誤邪아? 指鹿爲馬로다.”하고
이세가 웃으며 말하기를 “승상은 착각하였소? 사슴을 일러 말이라 하다니.” 하고
❶ 丞相: 역대 중국 왕조에서 천자(天子)를 보필하던 최고 관직 ❷ 邪(야): 어조사(= 耶)

問左右하니 或默하고 或言이라.


좌우(신하)에게 물으니 (신하 중에) 혹은 침묵하였고, 혹은 (말이라) 말하였다.

❶ ❷ ❸
高陰中諸言鹿者以法하니 後群臣皆畏高러라.
조고는 은밀히 사슴이라고 말한 여러 사람을 법으로 중상하니, 그 후로 여러 신하
는 모두 조고를 두려워하였다.
❶ 陰: 은밀히 ❷ 中: 중상(中傷)하다 ❸ 諸: 之於

哕龍點睛
용을 그리고 난 후에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려 넣음.
→ 무슨 일을 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함.


唐 張僧繇가 在金陵 安樂寺할새
당의 장승요가 금릉의 안락사에 있을 때
❶ 金陵: 당나라의 지명으로 현재의 남경(南京)

壁哕四龍호대 不點睛하고 每云: “點之則飛去라.”하니


벽에 네 마리 용을 그렸는데, 눈동자에 점을 찍지 않고 매번 이르기를 “점을 찍으면
(용이) 날아간다.”라고 하니

22 Ⅰ. 성어와 그 이야기
스스로 학습

❶ ❷
人以爲誕이라. 因點其一하니 須臾에 雷霆破壁하고 一龍乘雲上天
한데 不點睛者는 皆在하니라.
사람들이 허황하다고 여겼다. 인하여 그중 한 마리에 점을 찍으니 조금 뒤 천둥 번
개를 치며 벽을 깨뜨렸고, 한 마리 용이 구름을 타고 하늘로 올라갔는데 눈에 점을
찍지 않은 것은 모두 그대로 있었다.
❶ 以爲: ~라고 여기다, ~라고 생각하다 ❷ 須臾: 아주 짧은 시간

௔৔ ؊ࡗ҂



단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수식어+피수식어 예
群 + 臣
[여러] [신하]

• 병렬 관계 성분이 같은 말들이 나란히 놓여 이루어진 단어 예


左 + 右
[좌우(신하)]

소리 내어 읽기 글을 이루는 단어, 구절, 문장은 뜻이 있는 단위들이면서 읽을


때 음의 변화가 일어난다.
예 不點睛: 불점정(_) / 부점정(◯)
※ ‘不’은 뒤에 오는 한자의 첫소리가 ‘ㄷ’이나 ‘ㅈ’일 때는 ‘부’로 읽고, 그 밖에는 ‘불’로 읽는다.

한문
생생정보 ॖઉॵ଴ߜ‫ن‬ +
역사

趙高 중국 진(秦)나라의 환관(宦官)으로, 시황제(始皇帝)를 따라 여행하던 중 시황제가 병으로 죽


자 승상 이사(李斯)와 짜고 조서를 거짓으로 꾸며, 시황제의 맏아들 부소(扶蘇)와 장군 몽염(蒙恬)을 자
결하게 하고 시황제의 우둔한 막내아들 호해(胡亥)를 이세 황제로 삼아 마음대로 조종하였다.
二世 이세 황제(二世皇帝)로, 중국 진의 제2대 황제이다. 대규모 토목 사업을 벌이고 환관 조고의
전횡을 방임하여 민심을 잃었으며, 진을 멸망의 길로 몰아넣었다.
張僧繇 중국 남북조 시대 양(梁)나라의 궁정 화가(宮廷哕家)였다. 우군 장군과 오흥 태수를 지낼
만큼 입신(立身)했지만, 붓 하나로 모든 사물을 실물과 똑같이 그리는 화가로 유명했다.

2. 이야기로 본 성어 23
문화 와 인성

진시황(秦始皇) 이후의
진(秦)나라 역사는

▲ 시황제의 초상화

24 Ⅰ. 성어와 그 이야기
정답
[182쪽]
스스로
점검하기 스스로 평가
1 단어의 짜임을 구별할 수
있다. [1~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2 글을 바르게 소리 내어 읽
을 수 있다.
中丞相趙高, 欲專秦權, 恐㉠群臣不聽. 乃先設驗, 持鹿獻於二世曰:
“馬也.” 二世笑曰: “丞相誤邪? 指鹿爲馬.” 問㉡左右, ㉢或默, 或言.
高陰中諸言鹿者以法, 後群臣皆畏高.

1. 단어의 짜임이 ㉠, ㉡과 각각 같은 것은?

㉠은 ㉠ ㉡ ㉠ ㉡
수식어+피수식어의
관계야.
① 道路 富貴 ② 慾心 問安
㉡은 성분이 ③ 內外 慾心 ④ 作心 登山
같은 말들이 ⑤ 目前 男女
나란히 있네.

2. ㉢의 이유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사슴이 불쌍해서 ② 질문이 놀라워서


③ 이세의 태도가 무서워서 ④ 조고의 눈치를 살피느라
⑤ 조고의 처지가 난처할 것 같아서

[3~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唐 張僧繇, 在金陵 安樂寺, 壁哕四龍, 不點睛, 每云: “點之則飛去.”


人以爲誕. 因點其一, 須臾, 雷霆破壁, 一龍乘雲上天, ㉠不點睛者,
皆在.

3. 윗글에서 유래한 성어의 속뜻을 써 보자.

4. ㉠의 독음을 써 보자.

2. 이야기로 본 성어 25
대단원 마무리

1과 비유에 담긴 뜻

한자의 한자는 하나의 글자가 모양 음 의 세 요소를 갖춘 문자이다.


形 義
모양・음・뜻

단어의 짜임 •주술 관계: + 의 관계 예 兎死狗烹


•술목 관계: + 의 관계 예 磨斧爲針
•술보 관계: + 의 관계 예 登龍門

내용 이해 胡蝶之夢
•겉뜻: 의꿈
•속뜻: ① 현실과 꿈이 구별되지 않는 의 경지 ② 인생의 덧없음.
•유래: 莊子가 꿈에 나비가 되었는데 깨어 생각해 보니 자신이 나비가 된 것인지 나비가 자신이 된
것인지 분간이 되지 않았다는 데서 나온 말로 참과 거짓이 구분되지 않는 것을 비유한다.

2과 이야기로 본 성어

단어의 짜임 •수식 관계: + 의 관계 예 群臣


• 관계: 성분이 같은 말들이 나란히 놓여 이루어진 단어 예 左右

소리 내어 글을 이루는 단어, 구절, 문장은 뜻이 있는 단위들이면서 읽을 때 의 변화가 일어난다.


읽기 예 不點睛 음:

나의 ● 흥미로웠던 점 ● 나의 핵심 역량 달성도 확인하기 (1 → 3점)


학습 일기 의사소통
능력
3

2
정보 처리
심미적 감성
능력 1

● 어려웠던 점

창의적 사고
정답 인성 역량
능력
[182쪽]

26 Ⅰ. 성어와 그 이야기
4 4 4 4
선택 활동 고사성어를 활용한 감상문 쓰기

활동 방법

1. 관심 있게 감상했던 책이나 영화를 찾는다.


2. 정한 내용으로 감상문을 쓴다.
3. 제목이나 내용에 알맞은 성어를 활용하여 감상문을 쓴다.

활동 예시

哕龍點睛 공주의 아름다운 추억 맺기

영화 로마의 휴일 은 공주의 일탈을 그리고 있


다. 여자 주인공인 오드리 헵번은 엄격한 규제와
일정 속에서 자유롭게 여행을 하고자 하는 공주 역
할을 연기하는데, 그 배역을 잘 소화해 베일에 가
려진 천진한 공주의 모습을 멋지게 보여 준다. 남
자 주인공인 그레고리 펙은 공주를 감쪽같이 속
여 특종을 따낸 남자 기자 역할을 ▲ 영화 로마의 휴일
성어를 활용하여,
시・만화 등 맡았다. 순진한 공주는 남자 주인공에게 철저히 속아 개인적인 사진을
다양한 방법으로
감상문을 써 보자. 여러 장 찍히고 마는데, 공주와의 이렇게 특별했던 만남에서 사랑에 빠
진 남자 주인공은 큰 이익을 남길 만한 특종을 결국 포기한다.
특별한 추억의 哕龍點睛은 공주의 마지막 인터뷰이다. 공주는
수많은 기자 가운데 남자 주인공을 만나게 되고, 사진 기자가
라이터 사진기로 그 모습을 찍는 것을 보게 된다. 공주와 남
자 주인공은 의미심장한 미소로 추억의 마지막 장면을 마
무리하고, 헤어짐의 깊은 여운을 되새기는 남자 주인공의
모습으로 영화가 끝난다.

평가하기 자기 반성

상황에 알맞은창의적으로
한문 UCC를 성어를 사용하였는가?
만들었는가?

성어를
본문의한자로
주제를바르게
정확하게썼는가?
표현하였는가?

대단원 마무리 2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