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지존국어

신의 방 김선우
010-2242-3650

<신의 방> 제재 정리 다지요 인간의 배변 장소와 돼지우리가 함께 있


갈 자유시, 서정시, 성 는 아주 재미난 방인 셈인데요 지붕을 덮지 않
묘사적 , 사색적
래 산문시 격 은 널찍한 호를 파고 지푸라기 조금 깔아 준 방

통시 안에서 이 짐승은 눈비 맞고 흙과 똥과 뒹굴면

주 생명의 순환이 일어나는 생명의 공간이라는 의 서 비바람 햇볕을 고스란히 살 속에 아로새기게
제 미를 갖는 통시 되었다는데요 음식물 찌꺼기며 설거지물까지 버
① 제주도의 전통적 공간에서 생태적 순환의 의
릴 것 없이 모아 둔 큰 독 속에서 한때 빛나던
특 미를 읽어 냄.
징 ② 생태적 가치관과 편리성과 효율을 추구하는 것들이 제힘으로 다시 빛날 때 발효한 이 먹이
가치관을 대조함. 를 돼지가 먹고 돼지의 배설물은 보리밭 거름으
로 이쁜 보리들을 길렀다는데요 그래도 이 짐승
의 주식이 사람의 똥이었던 것은 생명은 생명에

■ <신의 방>에 담긴 사회·문화적 가치
게 공양되는 법이라 행여 남아 있을 산 것들의
온기가 더럽고 하찮은 것으로 취급될까 두려운
때문이 아니었는지 몰라

나라의 높은 분이 보기에 미개하여 시멘트 네


포대씩 무상 지급한 때가 있었다는데요 문명국
의 지표인 변소를 개량하라 다그쳤다는데요 흔
적이나마 통시가 아직 남아 내 몸속의 방을 향
해 손 내밀어 주는 것은, 똥 누고 먹는 일이 한
가지로 행해지는 그곳을 ㉡신이 거주하는 장소
라 여긴 하늘 가까운 섬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입
니다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생태적 삶의 추구


1 위 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절제된 표현으로 대상을 묘사하고 있다.


다음 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② 색채의 대비를 통해 대상의 속성을 부각시키
고 있다.
이런 돼지가 살았다지요 반들거리는 검은 털 ③ 과거 회상을 통해 화자와 대상의 추억을 강
조하고 있다.
에 날렵한 주둥이를 가진, 유난히 흙의 온기를
④ 산문적인 서술을 통해 대상을 바라보는 시인
좋아하여 흙이랑 노는 일을 제일로 즐거워했다
의 의도를 강화하고 있다.
는군요 기른다는 것이 실은 서로 길드는 것이어 ⑤ 권위자의 견해를 인용하여 대상이 지니고 있
서 이 지방 사람들은 ㉠통시라는 거처를 마련했 는 가치를 부각하고 있다.
4 윗글에서 강조하고 있는 사회· 문화적 가치와 연계하여
2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
‘통시’와 현대 ‘변소’의 차이점을 <조건>에 따라 서술
은? 하시오.

보기 조건
ⓐ 인간의 배변 장소와 돼지우리가 함께 존재 ‘ 통시 ’와 ‘변소 ’의 특징을 중심으로 서술할 것
한다.
ⓑ 지붕을 덮고 넓은 호를 파서 돼지가 편히
쉴 수 있도록 마련하였다.
ⓒ 돼지의 배설물은 보리밭 거름으로 사용하였
다.
ⓓ 나라에서는 그 가치를 인정하여 널리 확대
하고자 노력하였다.
5 고난도 <보기>는 (나)의 중요한 시어들을 뽑아
① ⓐ, ⓑ ② ⓐ, ⓒ
놓은 것이다. 각 시어들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③ ⓐ, ⓓ ④ ⓑ, ⓒ
⑤ ⓒ, ⓓ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3 <보기>를 읽고 학생들이 ㉡ 에 대해 이야기 나눈 것으 • 사람 • 큰 독 ( 의 내용물 )

• 돼지 • 보리( 밭)
로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① 사람→돼지, 돼지→보리의 관계는 각각의 배설물이 다른


제주도 신화에 따르면 , 통시의 신인 측신은
대상의 양분이 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계모가 아버지를 독차지하기 위하여 꾀를 부리
다 죽은 신이기 때문에 사소한 잘못에도 트집 ② 사람→돼지, 사람→큰 독의 관계는 돼지와 큰 독( 의 내
을 잡고 크게 화를 입히는 모습을 보인다 . 그 용물) 이 모두 사람이 먹을 양식이 된다는 점에서 유사하
래서 제주도에서는 통시를 함부로 다루지 않았 다.
다고 한다.
③ 돼지→큰 독, 돼지→보리의 관계는 큰 독( 의 내용물)과
보리가 모두 돼지가 먹을 양식이 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① 제주도 사람들은 신화에 나타난 계모가 싫었
기 때문에 그곳을 변소로 삼고 지냈을 거야. ④ 사람→보리( 밭), 사람→큰 독의 관계는 보리(밭) 와 큰

② 신화에 따라 제주도 사람들은 측신을 싫어했 독이 모두 사람의 음식 찌꺼기를 두어 발효하는 곳이라는


기 때문에 돼지를 풀어다가 저주를 풀려고 점에서 유사하다.
했어. ⑤ 큰 독→보리, 돼지→보리의 관계는 큰 독( 의 내용물)과
③ 신화에 따라 제주도 사람들이 통시를 함부로 돼지가 보리에게 직접적으로 양분을 가져다주는 존재라는
다루지 않고 소중히 여기고 있는데, 이는 생 점에서 유사하다.
명에 대한 경외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겠어.
④ 생명의 순환이 이루어지는 ‘통시’는 제주도 6 ⓐ에 대해 이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사람들이 높이 평가하는 공간인데, 이는 제
① 생명이 있는 모든 존재들은 연결되어 있
주도 사람들이 신화 속 계모의 마음을 안타
깝게 여겼기 때문이야. 다.
⑤ ‘통시’는 집 안에서도 가장 위쪽에 있었기 때 ② 사람의 배설물에도 생명의 기운이 남아 있
문에 집안을 관장하는 신 중에서도 가장 높 다.
은 신이 측신이라고 제주도 사람들은 여겼을
③ 자연 속에서 동식물의 생명은 순환된다.
거야.
④ 죽거나 버려진 것이 아닌 한 모두 귀중한
생명으로 보아야 한다. 8 이 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⑤ 하늘 가까운 섬사람들은 생명의 기운을 더
① 공간의 이동에 따라 화자의 정서를 표현함
럽고 하찮은 것으로 취급되는 것을 원치
않았다. ② 현재와 미래를 대비하여 화자의 의지를 강조함

③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화자의 정서가 변함

7 이 시에 담겨있는 사회 문화적 가치를 서술 ④ 반어적 표현으로 사회비판적 태도 드러냄

하시오. ⑤ 상대높임법을 사용하여 부드러운 어조로 주제


를 나타냄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이런 돼지가 살았다지요 반들거리는 검은 9 <보기>에 제시된 위 시의 공간에 대한 설명으

털에 날렵한 주둥이를 가진, 유난히 흙의 온기 로 적절한 것은?


를 좋아하여 흙이랑 노는 일을 제일로 즐거워 조건
했다는군요 ㉠ 기른다는 것이 실은 서로 길드는 ‘A 통시 B 내 몸의 방 C 변소

것이어서 이 지방 사람들은 통시라는 거처를


① A B C는 모두 유사한 성격의 공간이다.
마련했다지요 인간의 배변 장소와 돼지우리가
함께 있는 아주 재미난 방인 셈인데요 지붕을 ② A와 B는 상호 배타적 공간이다.
덮지 않은 널찍한 호를 파고 지푸라기 조금 깔 ③ A와 C는 상호 보완적 공간이다.
아 준 방 안에서 이 짐승은 눈비 맞고 흙과 똥 ④ A와 C는 대조적 가치관이 반영된 공간이다.
과 뒹굴면서 비바람 햇볕을 고스란히 살 속에
⑤ B와 C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공간이다.
아로새기게 되었다는데요 음식물 찌꺼기며 설
거지물까지 버릴 것 없이 모아 둔 큰 독 속에서
한때 빛나던 것들이 제힘으로 다시 빛날 때 발 10 이 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효한 이 먹이를 돼지가 먹고 돼지의 배설물은 ① 유사한 종결 어미의 반복으로 리듬감을
보리밭 거름으로 이쁜 보리들을 길렀다는데요 형성하고 있다.
그래도 이 짐승의 주식이 사람의 똥이었던 것 ② 산문적인 서술을 통해 화자의 의지를
강조하고 있다.
은 ⓐ생명은 생명에게 공양되는 법이라 행여
③ 연과 행을 구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남아 있을 산 것들의 온기가 더럽고 하찮은 것
시상을 간결하게 전달하고 있다.
으로 취급될까 두려운 때문이 아니었는지 몰라 ④ 화자가 깨달은 것을 역설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나라의 높은 분이 보기에 미개하여 시멘트
⑤ 중심 소재가 상징하는 것과 대조적인
네 포대씩 무상 지급한 때가 있었다는데요 문 삶의 방식을 직접적으로 비판하고 있
명국의 지표인 변소를 개량하라 다그쳤다는데 다.
요 흔적이나마 통시가 아직 남아 ㉮ 내 몸속
의 방을 향해 손 내밀어 주는 것은, 똥 누고 먹 11 ㉮ 에 담긴 의미를 < 조건>에 따라 서술하시오.

는 일이 한가지로 행해지는 그곳을 신이 거주 <조건 >


• ‘통시’의 특성을 고려하여 ㉮에 담긴 의미를 서술
하는 장소라 여긴 하늘 가까운 섬사람들이 있 할 것.
었기 때문입니다 • 50자 내외(띄어쓰기 제외 기준)로, “㉮는 ~ 때
문에 화자가 ‘통시’에 ~을/를 느낀다는 것을 의
미한다.”라는 완결된 형태의 문장으로 서술할 것.
14 서술형 <보기> 는 (가 )에 사용된 시어들이
다. 단어들의 관계를 서술하시오.
<보기>
사람, 사람의 배설물, 돼지, 돼지의 배설물

<조건>
• 생태적 순환 관점에서 설명할 것.
12 <보기> 를 참고할 때, ⓐ 와 관련한 설명으로 적
• 50자 내외(띄어쓰기 제외 기준)의 완결된 형태의 문장
절하지 않은 것은?
으로 서술할 것.
<보기>
통시는 우수한 거름 공장이다. 돗거름 없이는 보리
농사 같은 밭농사를 지을 수 없다. 그래서 제주 섬사
람들은 통시에서 생산되는 돗거름을 소중히 여겼다.
거름 재생산에는 부엌 아궁이나 굴묵을 땠을 때 나오
는 재와 사람의 오줌을 함께 돗통에 뿌려 비옥도를 15 <보기>는 (나)의 중요한 시어들을 뽑아 놓은 것
유지했다. 또한 외양간에서 나온 소똥을 돗통으로 퍼 이다. 각 시어들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
날라 기름진 거름을 만드는 데 썼다. 한 해 동안 통 절한 것은?
시에서 80~100바리의 거름을 만들어 냈다. 보기
• 사람 • 큰 독 ( 의 내용물 )
① 생명과 생명이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의미이다.
• 돼지 • 보리( 밭)
② 사람과돼지의 배설물에도 생명의 기운이 남아 있다.
③ 통시는 생명과 생명이 영향을 주고받는 소중한 공
① 사람→돼지, 돼지→보리의 관계는 각각의 배설물이
간이다.
④ 자연의 세계에서는 생명체가 다른 생명체를 섭취함 다른 대상의 양분이 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으로써 에너지가 순환한다. ② 사람→돼지, 사람→큰 독의 관계는 돼지와 큰 독
⑤ 통시에서 나오는 돗거름이 보리농사 같은 밭농사에 (의 내용물)이 모두 사람이 먹을 양식이 된다는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점에서 유사하다.
③ 돼지→큰 독, 돼지→보리의 관계는 큰 독(의 내용
13 <보기> 를 바탕으로 (가)의 2연을 이해한 것으 물) 과 보리가 모두 돼지가 먹을 양식이 된다는 점
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에서 유사하다.
<보기> 통시의 소멸은 많은 부분에서 변화를 가져왔
④ 사람→보리(밭), 사람→큰 독의 관계는 보리(밭)와
다. 통시를 모태로 하여 이루어지던 순환형 농업 재생산
활동이 완전히 사라졌다. 돼지거름, 오줌 및 재 등에 의 큰 독이 모두 사람의 음식 찌꺼기를 두어 발효하

존하며 비옥도를 유지하는 농경 방식도 더 이상 제주에 는 곳이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는 존재하지 않는다. 거주지 안에서 이루어지던 돼지 사 ⑤ 큰 독→보리, 돼지→보리의 관계는 큰 독(의 내용
육의 풍습이 사라지면서 집안 경조사 때 ‘돗추렴’ 하던 물)과 돼지가 보리에게 직접적으로 양분을 가져다
모습도 사라지게 되었다. 아이들에게도 빚진 것이 있다. 주는 존재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돼지 오줌보로 공을 차던 정겨운 전래 놀이가 자취를
감추었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① 시멘트는 통시의 소멸과 관련이 깊다.
② 통시를 문명과 거리가 멀다고 보는 시각이 있었다. 이런 돼지가 살았다지요 반들거리는 검
③ 통시의 소멸로 인해 농사에 거름이 필요 없어졌다. 은 털에 날렵한 주둥이를 가진, 유난히 흙의
④ 통시가 소멸하면서 거주지 안에서 돼지를 사육하지 온기를 좋아하여 흙이랑 노는 일을 제일로
않게 되었다.
즐거워했다는군요 기른다는 것이 실은 서로
⑤ 통시의 소멸이 제주의 생활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
를 일으켰다. 길드는 것이어서 이 지방 사람들은 통시라는
거처를 마련했다지요 인간의 배변 장소와 돼
지우리가 함께 있는 아주 재미난 방인 셈인 ① 보리 → 보리밭 거름 → 돼지 → 배설물
데요 지붕을 덮지 않은 널찍한 호를 파고 지 ② 돼지 → 배설물 → 보리밭 거름 → 보리
푸라기 조금 깔아 준 방 안에서 이 짐승은 ③ 돼지 → 배설물 → 보리 → 보리밭 거름
눈비 맞고 흙과 똥과 뒹굴면서 비바람 햇볕 ④ 보리밭 거름 → 보리 → 돼지 → 배설물
을 고스란히 살 속에 아로새기게 되었다는데
⑤ 배설물 → 보리밭 거름 → 보리 → 돼지
요 음식물 찌꺼기며 설거지물까지 버릴 것
없이 모아 둔 큰 독 속에서 ㉠한때 빛나던
것들이 제힘으로 다시 빛날 때 발효한 이 먹 18 다음 중 통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

이를 돼지가 먹고 ㉡돼지의 배설물은 보리밭 은 것은?


① 돼지가 거쳐하는 공간이다.
거름으로 이쁜 보리들을 길렀다는데요 그래
② 육지보다 섬마을에서 볼 수 있는 공간이다.
도 이 짐승의 주식이 사람의 똥이었던 것은
③ 흙 등의 온기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생명은 생명에게 공양되는 법이라 행여 남
아 있을 ㉣산 것들의 온기가 더럽고 하찮은 ④ 인간의 똥과 음식물 찌꺼기 등을 돼지에게 던져주
것으로 취급될까 두려운 때문이 아니었는지 는 공간이다.
몰라 ⑤ 문명국 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하는 미개한 공간으
로 알려져 있다.
㉮나라의 높은 분이 보기에 미개하여 시
멘트 네 포대씩 무상 지급한 때가 있었다는
데요 문명국의 지표인 변소를 개량하라 다그 19 ㉠ ~ ㉤에 대한 의미로 바르지 않은 것은?
쳤다는데요 흔적이나마 통시가 아직 남아 ① 버려진 음식물이 인간의 배설로 인해 생명력을 회복하
㉤내 몸속의 방을 향해 손 내밀어 주는 것은, 는 과정을 보여준다.
② 돼지의 배설물이 보리가 자라는 데 도움을 준다.
ⓐ똥 누고 먹는 일이 한가지로 행해지는 그 ③ 생명이 순환한다는 자연의 순리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
곳을 신이 거주하는 장소라 여긴 하늘 가까 이다.
운 ㉯섬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④ 생명이 있는 것은 소중하고 가치있게 여겨야 한다는
사람들의 생각을 드러낸다.
⑤ 자신의 몸을 생명의 공간을 내표하고 있다고 여기는
16 위 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화자의 생각을 드러낸다.

① 산문적 서술을 통해 시상을 전개한다. 20 이 시에 사용된 표현 기법을 모두 고르시오.

② 동일한 종결어미를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① 의인법 ② 은유법


③ 문장의 길이가 긴 이야기체를 사용한다. ③ 설의법 ④ 대구법
⑤ 영탄법
④ 중심소재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을 하고 있다.
⑤ 통시의 개량을 긍장적으로 인식한다.

21 다음 중 의미상 대립적인 시어를 바르게 묶은


17 위 글에서 생명이 순환하는 과정을 <보기>와 같
이 정리할 때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것은?
① 흙, 돌 / 시멘트
<보기> ② 돼지, 흙 / 돌
인간이 버린 동식물 ▶[ ] ③ 흙, 똥 / 돼지
▶ 인간 ④ 돼지, 흙, 시맨트 / 똥
⑤ 똥, 시맨트 / 흙, 돌
9 ④

1 ④ ‘지요’, ‘군요’ 등의 부드러운 종결 어미를


10. ① ‘지요’, ‘군요’ 등의 유사한 종결 어미를 사용하
사용한 산문적인 서술을 통해 대상인 ‘통시’가 고 있다.
지니고 있는 생명의 속성과 부드러움을 강화하 [ 오답 풀이 ]
② 산문적인 서술이 사용된 것은 맞지만 그것이 화자
고 있다. 이는 곧 생명의 이치를 표현하려는 시
의 의지를 강조하는 것은 아니다.
인의 의도와 부합한다.
2 ② ‘통시’는 인간의 배변 장소와 돼지우리가 11. ⓐ는 ‘통시’와 화자의 몸이 모두 생명의 공간이라
함께 존재하는 장소로, 돼지의 배설물은 보리의 는 점에서 유사하기 때문에, 화자가 ‘통시’에 친밀
감을 느낀다는 것을 의미한다.
거름으로 다시 사용되었
3 ③ <보기>에서는 ‘통시’의 신이 사소한 잘못
12 ④ ⓐ는 생명과 생명이 순환되는 생태학적 관점
에도 트집을 부리기 때문에 조심히 여긴다고 하 을 담고 있다. 그러나 죽음이 아니라 배설물로 이
였다. 이는, ‘통시’를 함부로 할 수 없는 공간으 어지는 순환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생명체가 다
로 여긴 것이고, 윗글에서 ‘통시’가 생명의 순환 른 생명체를 섭취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약육강식
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라는 것을 보았을 때에 생 의 먹이사슬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명에 대한 경외심을 가지고 대해야 할 공간으로


13. ③ 통시가 소멸하면서 제주에서 더 이상 돗거름
여겼음을 알 수 있다.
을 사용하지 않게 되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거름
4 현대의 변소는 인간의 배설물을 별도로 모아 처리 이 필요 없어진 것은 아니다.
하는데, ‘통시’ 는 인간의 배설물을 먹여 돼지를 기르
는 순환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생명의 순환을 보여
14. 사람의 배설물은 돼지의 먹이가 되고, 돼지의 배
주는 것으로, 생태적 삶의 소중함을 보여준다.
설물은 다시 거름이 되어 사람의 먹을 것이 된다
5 ① 사람의 배설물은 돼지의 양분이, 돼지의 배
설물은 보리의 양분이 된다는 점에서 유사하
다.
15. ① 사람의 배설물은 돼지의 양분이, 돼지의 배
오답 풀이│
② 큰 독의 내용물은 사람이 버린 음식물 찌꺼기인 만큼 설물은 보리의 양분이 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사람이 먹을 양식이 된다고 보기 어렵다. 오답 풀이│
③ 보리는 돼지가 먹을 양식으로 나와 있지 않으며, ( 나) ② 큰 독의 내용물은 사람이 버린 음식물 찌꺼기인 만큼
에서 돼지는 사람의 배설물과 큰 독의 내용물만을 먹 사람이 먹을 양식이 된다고 보기 어렵다.
는다. ③ 보리는 돼지가 먹을 양식으로 나와 있지 않으며, (나)
④ 음식 찌꺼기는 큰 독에서 모아 발효시킨다고 (나) 에 에서 돼지는 사람의 배설물과 큰 독의 내용물만을 먹
나와 있으므로, 보리(밭)와는 거리가 멀다. 는다.
⑤ 큰 독의 내용물은 보리에 직접적으로 양분을 가져다 ④ 음식 찌꺼기는 큰 독에서 모아 발효시킨다고 ( 나)에
주지 않는다. 나와 있으므로, 보리(밭) 와는 거리가 멀다.
⑤ 큰 독의 내용물은 보리에 직접적으로 양분을 가져다
주지 않는다.
6 ④화자는 사람의 배설물이나 버린 음식물 찌꺼
기 등에도 생명의 기운이 남아 있다고 보았다.
16. ⑤
7. 모든 생명에 대한 사랑과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마
음은 소중하다.
17. ②

8 ⑤ 18. ⑤
19. ①

20. ②, ④

21. ①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