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2

옛사람 그 모습

3 내 것이 아니거든

4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5 스승과 제자

나의 학습 목표
나는 이 단원에서

할 거야.

이 단원의 성취 기준은?
1. 문장의 구조를 구별할 수 있다.
2. 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허사를 구별할 수 있다.
3. 토나 문장 부호가 달린 글을 토나 문장 부호의 역할에 유의
하여 바르게 끊어 읽을 수 있다.
4. 한문 기록에 담긴 우리의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미래
지향적인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으려는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

28


의사소통


능력

의핵

정보 처리

이단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인성 역량

심미적 감성

▲ 도산 서당

ಂ๙ 通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도산 서원(陶山書院)을 보며, 퇴계 이황을 비롯한 우리 선인들의 가르
침을 되새겨 보자.

௖‫ܟ‬ 通
스승은 자기를 가르쳐서 인도하는 사람이다. 스승으로 본받을 만한 선인들의 이야기를 읽어
보고, 참된 스승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할지 생각해 보자.

29
淸廉
3 내 것이 아니거든
● 문장의 주술, 주술보 구조를 구별할 수 있다.
● 글에 담긴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계승할 수 있다.

廉 청렴할 렴
❖ 退溪先生이 僑居漢城할새
*僑 임시로 살 교
哈 이웃 린
栗밤 률
哈家栗樹數枝가 過墻한데 子熟落庭이어늘
墻담 장
熟 익을 숙
恐兒童取食하여 拾而投之墻外러라. 『 사소절 』 ❖

30 Ⅱ. 옛사람 그 모습
이 단원의 핵심 질문

양심을 지키는 삶의 의미는 무엇일까?

❖ 許魯齋가 暑中에 過河陽할새 哞甚이러니 道有梨하여 *哞 더위 먹을 갈


梨배 리
*啖 먹을 담
衆爭取啖이나 而獨危坐어늘 亂 어지러울 란
敏 재빠를 민
隨 따를 수
或言 “世亂하여 此無主라.”하니, 孔 구멍 공
覆 뒤집을 복
*盆 동이 분
曰: “梨無主나 吾心獨無主乎아?”하더라. 『 사소절 』
恥 부끄러울 치
吏 벼슬아치 리

❖ 『사소절(士小節)』: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문인인 이덕무(李德懋)가 쓴 책

이해와 조선 후기 이덕무가 쓴 『사소절』은 선비・여성・아동이 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할 예절과 수신


감상 (修身)에 관한 교훈을 설명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웃집 밤나무 가지에서 떨어진 밤을 다시
이웃집 마당으로 주워 던졌다는 퇴계 이황의 일화와, 더운 날에 갈증이 심했지만 남의 배를 먹
지 않고 지조를 지킨 허형의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
자신의 신념과 지조를 굳게 지키고, 세속적 물욕을 멀리하는 옛 선인들의 고결한 삶은 각박
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준다.

3. 내 것이 아니거든 31
학습한 내
용에
표시해 보
자. 스스로 학습
❶ ❷ ❸ ❹ ❺

࡚ߚ ฟ଱



退溪先生이 僑居漢城할새 哈家栗樹數枝가 過墻한데
퇴계 선생이 한양에 머무를 때 이웃집 밤나무 가지 몇 개가 담을 넘었는데
❶ 退溪: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문신인 이황(李滉)의 호 ❷ 僑居: 타향에서 임시로 삶.
❸ 漢城: 한양. 지금의 서울 ❹ 數: 몇. 두어 또는 서너 개 정도의 수 ❺ 過: 넘다

❶ ❷ ❸
子熟落庭이어늘 恐兒童取食하여 拾而投之墻外러라.
열매가 익어 뜰에 떨어지니 아이가 집어먹을까 염려하여 주워서 담장 너머로 그것
을 던졌다.
❶ 子: 식물의 과실 ❷ 恐: 두렵다, 걱정되다 ❸ 之: 그것(뜰에 떨어진 밤)

❶ ❷ ❸
許魯齋가 暑中에 過河陽할새 哞甚이러니
허노재가 더운 날에 하양 땅을 지날 때 더위를 먹은 것이 심했었는데
❶ 許魯齋: 중국 원나라 때의 유학자(1209~1281)로 이름은 형(衡)이고, 노재는 호임. ❷ 過: 지나다
❸ 河陽: 중국의 지명으로, 지금의 허난성임.


道有梨하여 衆爭取啖이나 而獨危坐어늘
길에 배나무가 있어 많은 사람이 다투어 배를 따서 먹었으나 (허노재) 홀로 단정히
앉아 있으니
❶ 危坐: 단정하고 바르게 앉다


或言 “世亂하여 此無主라.”하니,
누군가 말하기를 “세상이 혼란하여 이 배나무에는 주인이 없소.”라고 하니
❶ 此: 이것(대명사), ‘배나무’를 가리킴.


曰: “梨無主나 吾心獨無主乎아?”하더라.
(허노재가) 말하기를 “배나무에는 주인이 없다 하나 내 마음에도 어찌 주인이 없겠
는가?”라고 하였다.
▲ 퇴계 이황의 초상화 ❶ 獨: 홀로, 어찌

32 Ⅱ. 옛사람 그 모습
스스로 학습

௔৔ ؊ࡗ҂



문장의 구조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 사이의 일정한 결합 방식을 말한다.
• 주술 구조 주어+서술어
예 或言: 或 + 言

[누군가] [말하다]

• 주술보 구조 주어+서술어+보어
예 退溪先生 僑居漢城: 退溪先生 + 僑居 + 漢城

[퇴계 선생이] [머무르다] [한양에]

ણ‫ۼ‬ϛ௔‫ۅ‬ଝ 過 子
ϛ௖โୁ
① 지나다 예通過 ① 아들, 자식 子孫예

② 넘다 예 過分 ② 그대, 당신 예 子隨我後
③ 잘못 예 過誤 ③ 선생님 예 孔子
④ 너무 예 過敏 ④ 열매 예 覆盆子
⑤ 첫 번째 지지 예 甲子

한문
일상용어 ԬચЎўଛଵ‫ݽ‬ଝ‫ތٲ‬҂֧੾ಂϛ‫؟‬௔‫ୁހ‬ +
도덕

염치는 ‘廉操’와 ‘知恥’의 약자로, ‘청렴하고, 지조를 지키고, 수치심을 아는 것’을 뜻한다. 염치는 과거
에 체면치레와 서로를 배려하는 공공 예절로 통했고, 경우에 벗어난 행위는 ‘염치없는 짓’이라고 하여 손가
락질을 당했다.
그런데 이 염치가 ‘얌치’를 거쳐 ‘얌체’로 변하면서 ‘염치없는 사람’이라는 부정적인 뜻으로 교체되었다.
즉, 얌체는 오늘날 ‘자기 이익만 추구하고 부끄러움을 모르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파렴치한 사람을 말
한다.

3. 내 것이 아니거든 33
문화 와 인성

가장 명예로운 이름, 淸白吏

청백리란 평생 재물에 대한 욕심 없이 맑고 깨끗하게 살아간 벼슬아치를 말한다. 조


선 시대에 청백리가 제도적으로 운영되었으며, 청렴(淸廉), 근검(勤儉), 도덕(道
德), 경효(敬孝), 인의(仁義) 등의 덕목을 겸비한 이상적인 관료상을 가진 인물을 의
정부에서 뽑았다. 이들에게 살아 있을 때는 ‘염근리(廉勤吏)’, 죽은 후에는 ‘청백리’라
는 호칭을 주었다. 조선 시대에는 217명이 배출되었다.

“ *시호(諡號)를 청하지 말고
묘 앞에 비석도 세우지 마라.”

아무것도 새기지 않은 비석,


백비(白碑)를 남긴 청백리 박수량
▲ 박수량의 백비(白碑)

* 시호(諡號): 제왕이나 재상, 이름난 선비들이 죽은 뒤에 그들의 공덕을 칭송하여 붙인 이름

“몸을 닦는 데에는
욕심을 버리는 것만 한 게 없다.”

스스로 농사짓고 돗자리를 짜며


살았던 영의정 이원익
▲ 이원익의 초상화

이처럼 백성들에게 선정(善政)을 베풀고 청렴결백함을 최고의 명예로 여기던 옛


청백리들의 고결한 삶의 자세는 지위와 재물만을 좇는 오늘날의 행태를 되돌아보게
한다.

더 나아가기 마음을 안정하고 경계하기 위한 나만의


자경문(自警文)을 만들어 보자.

34 Ⅱ. 옛사람 그 모습
정답
[182쪽]
스스로
점검하기 스스로 평가
1 문장의 주술 구조를 구별
할 수 있다. [1~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2 문장의 주술보 구조를 구
별할 수 있다.
㈎ 退溪先生, 僑居漢城, 哈家栗樹數枝, ㉠過墻, 子熟落庭, 恐兒童
3 글에 담긴 전통문화를 바
르게 이해하고 계승할 수 取食, 拾而投之墻外.
있다.
㈏ 許魯齋, 暑中, ㉡過河陽, 哞甚, 道有梨, 衆爭取啖, 而㉮獨危坐,
或言: “世亂, 此無主.” 曰: “梨無主, 吾心獨無主乎?”

1. ㉠, ㉡의 뜻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 ㉡ ㉠ ㉡
① 넘다 허물 ② 넘다 지나치다
③ 허물 지나가다 ④ 허물 지나치다
⑤ 넘다 지나가다
허노재의 인물됨과
관련이 있지!
2. 허노재가 ㉮와 같은 행동을 한 까닭은?

그는 주인 없는 ① 양심을 지키기 위해 ② 차례를 기다리기 위해


물건을 탐내지
③ 배를 싫어했기 때문에 ④ 목이 마르지 않았기 때문에
않았어.
⑤ 주인이 볼까 두려웠기 때문에

3.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② ㈎의 ‘子熟落庭’ ③ ㈏의 ‘或言’은
은 ‘자열락정’ 주술 구조야.
으로 읽어.
④ ㈏의 ‘此’는
① ㈎, ㈏는 배나무를
청렴한 삶을 강조하 가리켜.
고 있어.

⑤ ㈏의 ‘獨’은
‘어찌’로 풀이 해.

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을 한자로 써 보자.

가장 명예로운 이름, ( )
청렴하고 품행이 단정한 사람을 뜻했기 때문에 예로부터 가장 바람직한
관리의 상징으로 여겼다.

3. 내 것이 아니거든 35
與猶堂全書
4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 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허사를 구별할 수 있다.

❖ 凡讀書에 每遇一字하되 有名義不曉處면


曉 새벽 효
博 넓을 박
須博考細究하여 得其原根이라. 『 여유당전서 』 ❖

36 Ⅱ. 옛사람 그 모습
이 단원의 핵심 질문

근검은 어떤 가치가 있을까?

❖ 治家之要有二字銘이니 一曰勤이요 二曰儉이라. 銘 새길 명


儉 검소할 검
*厭 싫어할 염
天厭懶怠하니 必不予福이요 天厭奢泰하니 必不降祐라. *懶 게으를 라
怠 게으를 태
予나 여
有益之事는 一刻無停하고 無益之飾은 一毫無營하라. *奢 사치할 사
*祐 복 우
刻 새길 각
『 여유당전서 』
飾 꾸밀 식
毫 터럭 호
營 경영할 영
嗚 슬플 오

❖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조선 후기 학자 정약용(丁若鏞)의 모든 저작을 엮은 전집

이해와 다산은 자녀 교육에 가장 힘써야 할 시기(39~57세)를 고스란히 유배지에서 보내 아버지로서


감상 직접 자녀 교육을 하지 못하는 안타까움이 컸다. 유배지에서 다산이 자녀 교육을 위해 활용한
것이 바로 편지를 통한 서신 교육이었다. 다산은 두 아들(학연, 학유)과 수십 통의 편지를 주고
받으면서 18년이 넘는 유배지 생활 중에도 자녀 교육에 결코 소홀하지 않았다. 특히 실용적인
학문과 세상을 구했던 책을 읽으라고 거듭 강조하며 마구잡이로 책을 읽는 것은 아무 소용이
없다고 하는 한편 勤과 儉만이 집안을 다스리고 몸을 유지해 가는 방법임을 강조하고 있다.

4.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37
학습한 내
용에
표시해 보
자. 스스로 학습

࡚ߚ ฟ଱



凡讀書에 每遇一字하되 有名義不曉處면
무릇 책을 읽을 때에는 매번 한 글자를 만날 때마다 그 뜻이 분명하지 않은 곳이 있
으면,
❶ 名義: 명칭에 맞는 뜻

❶ ❷ ❸
須博考細究하여 得其原根이라.
모름지기 널리 고증하고 자세히 살펴서 그 근원을 얻어야 한다.
❶ 須: 모름지기❷ 博考: 널리 고찰함. ❸ 細究: 자세히 살핌.
▲ 『여유당전서』

❶ ❷
治家之要有二字銘이니 一曰勤이요 二曰儉이라.
집안을 다스리는 요령으로 (가슴에) 새겨 둘 두 글자가 있는데, 첫째는 부지런함이
요 둘째는 검소함이다.
❶ 治家: 집안일을 보살펴 이끌고 처리함. ❷ 要: 요령

❶ ❷ ❸ ❹
天厭懶怠하니 必不予福이요 天厭奢泰하니 必不降祐라.
하늘은 게으름을 싫어하니 반드시 복을 주지 않을 것이고, 하늘은 사치함을 싫어하
니 반드시 복을 내리지 않을 것이다.
❶ 懶怠: 일 처리나 행동이 게으르고 느림. ❷ 予: 주다(=與) ❸ 奢泰: 사치함. ❹ 祐: 복

❶ ❷ ❸
有益之事는 一刻無停하고 無益之飾은 一毫無營하라.
유익한 일은 잠시라도 멈추면 안 되고, 무익한 겉치레는 털끝만큼이라도 해서는 안
된다.
❶ 一刻: 잠시. 매우 짧은 시간 ❷ 飾: 꾸미다, 치장하다
❸ 一毫: 몹시 가늘고 작은 털, 극히 작은 정도

38 Ⅱ. 옛사람 그 모습
스스로 학습

௔৔ ؊ࡗ҂



한문의 품사 한문의 품사에는 단독으로 어휘적 의미가 있는 ‘실사’와 문법적 의
미만을 나타내는 ‘허사’가 있다.
• 실사에 속하는 품사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
예 每 遇 一 字: 매번 한 글자를 만나다.
부사 동사 수사 명사

得其原根: 그 근원을 얻어야 한다.


대명사

不曉處: 분명하지 않은 곳
형용사

• 허사에 속하는 품사 개사, 접속사, 어조사, 감탄사


① 개사 명사나 대명사 등 명사류(名詞類) 앞에 놓여 그 명사류를 서술어와
연결해 주면서 처소, 대상, 도구, 시간, 원인, 비교 등의 뜻을 나타내
는 단어 예 於, 以, 自
② 접속사 단어와 단어, 어구와 어구, 문장과 문장 등을 서로 이어 주는 구실
을 하는 단어 예 而, 且, 與, 則, 以
③ 어조사 단어나 어구 또는 문장의 앞, 가운데나 뒤에 와서 문법적인 의미나
어기(語氣) 등을 나타내는 단어
也, 矣, 已, 之, 者, 所

④ 감탄사 문장의 밖에 독립적으로 놓여 화자(話者)의 부름, 느낌, 놀람이나


응답을 나타내는 단어 예 嗚呼, 哀哉

한문
일상용어 ૪‫ݼ֧ݱ‬ત 莫逆 โ೜ђठ଱ׄ +
국어

옛말에 ‘옷은 새것일수록 좋고, 사람은 묵을수록 좋다.’는 말이 있다. 오랫동


안 가깝게 사귄 벗을 ‘친구(親舊)’라고 하는데, 그 뜻을 풀이해 보면 친(親)은
가까이에서 본다는 뜻이고, 구(舊)는 옛날 또는 오래되었다는 뜻이다. 곧, 친
구는 ‘가까이에서 오래 두고 본 사람’을 말한다.
이러한 친구 사이에서 서로 비밀을 털어놓을 정도로 아주 친하다는 뜻으로
막역(莫逆)이란 말을 자주 쓴다. 막(莫)은 아니라는 뜻이고, 역(逆)은 거스른
다는 뜻으로, 서로를 너무나 잘 알아 상대방의 뜻을 거스를 일이 없는 사이라
는 말이다. ▲ 겸재 정선,
시화상간도

4.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39
문화 와 인성

자식 교육에 편지를
적극 활용한 아버지들
편지는 얼굴을 보고 이야기할 때보다 감정을 순화하여 전달할 수 있기 때
문에 교육적인 효과가 매우 크다. 이번 호에서는 자식 교육 특집으로, 편지
를 활용해서 자식들에게 깨우침을 준 명문가를 탐방해 보기로 한다.

편지에 사랑을 담은 이황(李滉) એफ


ਓࣟथ๡໴ིฬ
대학자인 퇴계 이황은 자식 교육에 घ੶ਜ"
ᆀ๙໙ᅷᆈ൓แ૛ 
열정적인 인물로 꼽힌다.
ሉ঩੃ஒᆈདྷॾ
࿝໮ॾ๡಺౫ᅿफ ॾ௔
퇴계는 아들과 손자들에게 틈
એਂ੸ ౯ ਏ໖ ஞਢᇿ૽໪ൠशᅿ
౥୧ 
틈이 편지를 보내 공부에 힘쓸
એಸᆬ 父 兄 ໪๷๡൓ࣦ૊ᅿफ
것을 당부했다. 그 또한 자식 ౥୥फ໴
ਜ"
교육에서는 매우 극성스러울 ৓ོ๐แशಸᅿફ
정도였다.

독서를 강조했던 박지원(朴趾源)


60세에 접어든 연암 박지원이 아들 종채에게 보낸 편지의 내용이다.
자신의 폭 넓은 독서 경험을 전하면서 책 읽기를 소홀히
하는 아들을 훈계하고 있다.

਺࣡*࣫ట 綱目 ໙
य଼ህಭએૢ๐಄໮๜ི௦
๬ஞᅿ๩࿝໙સ໖గఞૢ໶๐ಂ௜੸ི୥
ಸૺ಼໹໘*ဂட 抄錄 ᆁॣ໙
௦૽ིฬ໙ග๚๜એਢᇿ૽໪ᅿ੸
໭๚໪ಢਓफ๐๵ಸ๵ᆈ௔ಢਓ੸इ * 강목: 중국의 주희가 편집한 사서(史書)
* 초록: 필요한 부분만을 뽑아서 적음. 또는 그런 기록
൅࣠ᅿగ๐࿈థ෇ุൔᅿིฬघ੶ਜ"

40 Ⅱ. 옛사람 그 모습
정답
[182쪽]
스스로
점검하기 스스로 평가
1 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허
사를 구별할 수 있다. [1~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 凡讀書, 每遇一字, 有名義不曉處, 須博考細究, 得其原根.


㈏ 治家之要有㉠二字銘, 一曰勤, 二曰儉. 天厭懶怠, 必不予福,
天厭奢泰, 必不降祐. 有益之事, 一刻無停, 無益之飾, 一毫無營.

다산이 아들에게
남기고 싶어한 것이 1. ㉠에 해당하는 것을 한자로 써 보자.
무엇일까?

두 글자를
찾아보자.

2. ‘매우 짧은 시간’과 ‘극히 작은 정도’를 뜻하는 단어를 각각 찾아 써 보자.

3. ㈎ 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① 독서의 방법 ② 독서의 목적 ③ 독서의 효과


④ 독서의 시기 ⑤ 독서의 주제

4.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③ ㈏에서는 지은이의
② ㈎는 아버지 재치와 해학을 엿볼 수
다산이 아들에게 있는걸.
당부하는 글이야.

① ㈎의 ‘每’는 ‘매
번’을 뜻하는 부사 ④ ㈏는 집안을 다
로 쓰였군. 스리는 요령의 핵심
을 드러내고 있어.

⑤ ㈏는 하늘은
사치한 것을 싫어해서
복을 주지 않는다는
내용이야.

4.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1
師道
5 스승과 제자
● 문장의 주술목 구조를 구별할 수 있다.
● 문장을 바르게 끊어 읽을 수 있다.

*鰲 자라 오
鰲城이 居相位할새 有達官來謁이라도 皆坐而受拜러니
謁뵐 알
導 인도할 도
*跣 맨발 선
一日에 有報申訓導在門하니 公이 徒跣而出迎하여
*升 오를 승
*䶰 힘쓸 면/
升 숙일 부 入升堂하고 䶰受所言하며 應對甚恭이라.
恭 공손할 공
怪 괴이할 괴
家人이 怪問之하니 是는 公兒時에 所受業者也러라.

42 Ⅱ. 옛사람 그 모습
이 단원의 핵심 질문

우리 삶에서 스승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翌日에 公이 往謝所館하고 將綿布十餘端과 大米 *翌 다음날 익


館집 관
綿솜 면
數碩하여 以供旅次之用이라. 其人曰: “行哭所需는 *碩 클 석
供 이바지할 공

*哭 전대 탁
數斗米면 足矣라.” 하고 其餘는 謝不受하니 需 구할 수
範 모범 범
衰 쇠할 쇠
可見其人之賢이 必有所可敬者요 而亦見 硬 굳을 경
碑 비석 비

公尊師好德之誠이 足以爲範於衰世也라.

『 창석집 』 ❖

❖ 『창석집(蒼石集)』: 조선 중기 문신・학자 이준(李埈)의 시문집

이해와 스승과 제자는 과거 우리 사회에서 매우 소중하게 여긴 인간관계였다. 스승은 제자를 자식처


감상 럼 가르치고, 제자는 스승을 부모나 임금처럼 존경하였다. 그래서 사제지간(師弟之間)은 한번
형성되면 소홀히 할 수 없고, 쉽게 끊을 수 없었다.
한 시대의 정승으로 누구나 존경하던 오성 이항복도 스승 앞에서는 제자로서 자신을 낮추고
깍듯하게 존경하는 태도를 보였다. 그의 태도는 스승과 제자 사이에 흘렀던 따뜻한 인간미를
잘 보여 준다.

5. 스승과 제자 43
학습한 내
용에
표시해 보
자. 스스로 학습

࡚ߚ ฟ଱



鰲城이 居相位할새 有達官來謁이라도 皆坐而受拜러니
오성이 재상의 자리에 있을 때 높은 관리가 찾아와 뵈더라도 모두 앉아서 절을 받았
는데,
❶ 相: 재상


一日에 有報申訓導在門하니
하루는 신 훈도가 문 앞에 와 있다고 알리니
❶ 訓導: 조선 시대에 한양의 사학(四學)과 지방의 향교에서 교육을 맡아보던 직책

公이 徒跣而出迎하여 入升堂하고 䶰受所言하며 應對甚恭이라.


공이 맨발로 뛰어나가서 맞아들여서 당에 오르게 하고, 고개를 숙이고 말하는 것을
들었으며, 응하여 대답함이 매우 공손하였다.

家人이 怪問之하니 是는 公兒時에 所受業者也러라.


집안사람이 이상히 여겨 그 이유를 물어보니, 이 사람은 공이 아이 때 학업을 받았
던 사람이었다.


翌日에 公이 往謝所館하고
다음 날에 공이 (그가) 묵고 있는 곳으로 가서 인사를 드리고,
❶ 謝: 인사하다

❶ ❷ ❸
將綿布十餘端과 大米數碩하여 以供旅次之用이라.
무명 십여 단과 쌀 몇 섬을 챙겨서 여행에서 숙박하는 비용으로 주었다.
❶ 綿布: 솜을 자아 만든 실로 짠 베. 무명
❷ 大米: 쌀 ❸ 旅次: 여행 중의 숙박

❶ ❷
其人曰: “行哭所需는 數斗米면 足矣라.”하고
그 사람이 말하기를 “여행 보따리에 필요한 것은 몇 말의 쌀이면 충분하네.”라 하고
▲ 모시(좌)와 무명(우) ❶ 行哭: 여행용의 전대나 자루 ❷ 斗: 말. 한 말은 열 되에 해당함.

❶ ❷
其餘는 謝不受하니 可見其人之賢이 必有所可敬者요
그 나머지는 사양하고 받지 않았으니, 그 사람의 어짊이 반드시 공경할 만한 것이
있음을 볼 수 있고,
❶ 謝: 사양하다 ❷ 可見: 볼 수 있다, 볼 만하다

44 Ⅱ. 옛사람 그 모습
스스로 학습

❶ ❷ ❸
而亦見公尊師好德之誠이 足以爲範於衰世也라.
그리고 또한 공이 스승을 존경하고 덕을 좋아하는 정성을 볼 수 있으니, 쇠퇴한 세
상에 모범으로 삼을 만하다.
❶ 足: ~할 만하다
❷ 以爲: ~로 삼다, 여기다 ❸ 於: ~에

௔৔ ؊ࡗ҂



문장의 구조
• 주술목 구조 주어+서술어+목적어
예 公尊師: 公 + 尊 + 師
[공이] [존경하다] [스승을]

문장의 끊어 읽기 토나 문장 부호가 달린 글은 토나 문장 부호의 역할에 유의하


여 바르게 끊어 읽는다.
예 家人이∨怪問之하니∨是는∨公兒時에∨所受業者也러라.

ࡴছ
石(돌 석)은 돌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石이 부수인 한자는 대부분 ‘돌’과 관련
؊ࡗ҂


된 뜻이 있다.

破 硏 硬 碑 碩
破片(파편) 硏磨(연마) 硬直(경직) 碑文(비문) 碩士(석사)

•硏磨(연마): ㉠ 주로 돌이나 쇠붙이, 보석, 유리 따위의 고체를 갈고 닦아서 표면을 반질반질하게


함. ㉡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힘써 배우고 닦음.
•碑文(비문): 비석에 새긴 글

Ч‫ܐ‬o୾्ପ्स‫־‬Ďຕ؇ 訓導 ď 한문
생생정보 +
한국사

훈도는 고려와 조선 시대 학교에서 교육을 담당하던 관리를 말한다. 고려 후기 충선왕(忠宣王) 때 지방


교육을 강화하려고 예문관(藝文館)이 중심이 되어 재주가 있는 자를 선발하여 훈도의 직첩(職帖)을 주도
록 하였다. 이후 조선 초기에 ‘훈도관(訓導官)’으로 불리다가 세조 12년(1466)에 ‘훈도’라고 명칭이 바뀌게
된 것이다.
중앙의 4학(四學)에서 교육하는 훈도는 정9품으로, 각각 2인을 두도록 법전에 규정되었다. 한편, 지
방의 향교(鄕校)에도 훈도를 두어 교육을 담당하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중앙의 훈도와는 달리 품계가
종9품으로, 관직의 직계 중 가장 말단에 해당하였다.

◀ 훈도관
5. 스승과 제자 45
문화 와 인성

한유의 사설(師說) 에
우리의 갈 길을 묻다
중국 당(唐)나라 때 문장가였던 한유(韓愈)는
사설(師說) 에서 스승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 한유의 초상화

옛날에 배우는 자는 반드시 스승이 있으니, 스승이란 도(道)를 전하고


학업(學業)을 가르쳐 주며 의혹을 풀어 주는 사람이다.
사람은 태어나면서 아는 것이 아닌데 누가 의혹이 없을 수 있겠는가?
의혹이 있으면서도 스승을 따르지 않는다면 그의 의혹은 끝내 풀리지 않
을 것이다. 나보다 앞에 태어나고 그가 도를 들음도 진실로 나보다 앞섰
다면, 나는 그를 좇아서 스승으로 삼는다. 또한, 나보다 뒤에 태어났더라
도 그가 도를 들음이 역시 나보다 앞섰다면 나는 그를 좇아서 스승으로
삼는다. 나는 도를 스승으로 삼을 뿐, 어찌 나보다 먼저 나고 뒤에 남을
따지겠는가? 이런 까닭에 귀하거나 천하거나, 나이가 많거나 적거나 할
것 없이, 도가 있는 곳이 스승이 있는 곳이다.
아! 스승의 도가 전해지지 않은 지 오래되었다. 사람들이 의혹이 없기
를 바라기가 어렵구나. 옛날의 성인은 보통 사람들보다 훨씬 뛰어났어도
오히려 스승을 좇아서 물었는데, 오늘날의 많은 사람은 성인보다 훨씬 뒤
떨어지지만, 스승에게 배우기를 부끄러워한다.
이런 까닭에 성인은 더욱 지혜로워지고 어리석은 이는 더욱 어리석어
지니, 성인이 지혜로워지고 어리석은 이가 어리석어지는 까닭은 모두 이
런 데서 나온 것이리라.

더 나아가기 시나 소설, 대중가요,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등


에서 나에게 배움이나 깨달음을 준 것이 있다면
발표해 보자.

46 Ⅱ. 옛사람 그 모습
정답
[182쪽]
스스로
점검하기 스스로 평가
1 문장의 주술목 구조를 구
별할 수 있다. [1~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2 문장을 바르게 끊어 읽을
수 있다.
鰲城居相位, 有達官來謁, 皆坐而受拜, 一日, 有報申訓導在門, 公
㉠徒跣而出迎, 入升堂, 䶰受所言, 應對甚恭. 家人怪問之, ㉡是公
兒時, 所受業者也.

1. 주인공이 ㉠과 같이 행동한 이유를 써 보자.

2. ㉡을 토를 붙여 끊어 읽어 보자.

[3~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翌日, 公往㉠謝所館, 將綿布十餘端, 大米數碩, 以供旅次之用. 其


人曰: “行哭所需, 數斗米, ㉡足矣.” 其餘㉢謝不受, 可見其人之賢,
必有所可敬者, 而㉣亦見公尊師好德之誠, 足以爲範於衰世也.

3. ㉠, ㉢의 뜻을 각각 써 보자.

足은 '발'이라는
뜻도 있지만 다른 4. ㉡과 한자의 풀이가 다른 것은?
뜻도 있지.
① 滿足 ② 不足 ③ 四足 ④ 豊足 ⑤ 充足
맞아, '넉넉하다'라는
뜻으로도 쓰이지.

5.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을 풀이해 보자.

5. 스승과 제자 47
대단원 마무리

3과 내 것이 아니거든

문장의 구조 •주술 구조: + 예 或言


•주술보 구조: + + 예 退溪先生 僑居漢城

내용 이해 조선 후기 이덕무가 쓴 『사소절』은 선비・여성・아동이 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할 예절과 수신(修身)에


관한 교훈을 설명하고 있다. 이웃집 밤나무 가지에서 떨어진 밤을 다시 이웃집 마당으로 주워 던졌다는
의 일화와, 더운 날에 갈증이 심했지만 남의 배를 먹지 않고 지조를 지킨 의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
자신의 신념과 지조를 굳게 지키고, 세속적 물욕을 멀리하는 옛 선인들의 고결한 삶은 각박한 현대 사
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주고 있다.

4과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한문의 품사 품사에는 단독으로 어휘적 의미가 있는 와 문법적 의미만을 가지는 가 있다.


•실사: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 •허사: 개사, 접속사, 어조사, 감탄사

5과 스승과 제자

문장의 구조 •주술목 구조: + + 예 公尊師

끊어 읽기 토나 문장 부호가 달린 글은 토나 문장 부호의 역할에 유의하여 바르게 끊어 읽는다.


예 家人이∨怪問之하니∨是는∨公兒時에∨所受業者也러라.

나의 ● 흥미로웠던 점 ● 나의 핵심 역량 달성도 확인하기 (1 → 3점)


학습 일기 의사소통
능력
3

2
정보 처리
심미적 감성
능력 1

● 어려웠던 점

창의적 사고
정답 인성 역량
능력
[182쪽]

48 Ⅱ. 옛사람 그 모습
4 4 444
선택 활동 한문 UCC(User Created Contents) 만들기

준비물

▲ 동영상 기능이 있는 휴대 전화 ▲ 동영상 기능이 있는 디지털카메라 ▲ 영상 편집 기능이 있는 컴퓨터

활동 방법

1. 4~5명을 모둠으로 한다.


영상 편집 프로그램으로는
2. 본문에서 배운 내용 중의 하나를 주제로 선택한다. 윈도 무비 메이커
3. 선택한 주제를 바탕으로 동영상의 내용을 구상한다. (Windows Movie Maker)
등이 있어.
4. 일정한 역할을 분담해 동영상을 촬영한다.
주제 예시 ‘고결한 마음가짐’, ‘아들에게 쓰는 편
지’, ‘버선발로 나온 이유’

5. 촬영이 끝나면 영상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


해 동영상에 자막과 배경 음악을 넣는 등
의 편집을 한다.
6. 모둠별로 제작한 UCC를 발표한다.

평가하기 자기 반성

한문 UCC를 창의적으로
한문UCC를 창의적으로 만들었는가?
만들었는가?

본문의
본문의주제를
주제를정확하게
정확하게표현하였는가?
표현하였는가?

대단원 마무리 4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