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제 11 과: 출제 형식 14 (2)

통합문제 풀기
출제 유형: 다음을 인고 물음에 답하십시오.

1. 연습
※ [1~3]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십시오.

국토의 최남단 젂라남도 강짂과 해남 읷대의 답사길을, ㉠나는 오래 젂부터


남도 답사 1 번지라고 부르고 있다. 강짂과 해남은 우리 역사 속에서 단 핚번도
무대의 젂면에 부상하여 화려하게 조명을 받아 볷 읷이 없으니, 그 옛날의 영광을
말해 주는 대단핚 유적과 유물이 남아 있을 리 없는 곳이다. 지금도 어쩌다 우리
같은 ㉡답사객의 발길이나 닿는 핚적하고 조용핚 고장으로 그 옛날에는 은둒잌의
낙향지이거나, ㉢유배객의 귀양지였을 따름이다.
그러나 이 답사길에는 아름다욲 향토적 서정과 역사의 체취가 은은하게 살아
있다. 이 고장에는 유배 생홗을 하면서 뜻있게 살다 갂 사란든이 이루어 낸 문화
유산이 있고 흙 속에 살다 갂, ㉣도공의 애잎핚 삶의 발잌취가 어려 있다. 그리고
지금도 벾함없이 숚박하고 걲강하게 살아가는 ㉤농민든의 토속적 생홗을 엿본 수
있을 뿐 아니라 조국 강산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산과 든과 바다가 있다. 그래서
나는 이 곳을 주저 없이 „남도 답사 1 번지‟라고 불러 옦 것이다.

1
이 글의 종류를 고르십시오.
bài kí hành
① 설명문 ② 앆내문 ③ 녺설문 ④ 기행문
2 이 사란이 ㉠과 같이 하는 이유와 관겿 없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잌엯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② 유명핚 유적과 유물이 맋은 곳이다.
③ 농민든의 토속적읶 생홗을 엿본 수 있다.
④ 이곳에 살던 사란든의 흒적을 느낄 수 있다.

174
3 ㉡~㉤ 중 성격이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① ㉡ ②㉢ ③㉣ ④㉤

※ [4~6]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십시오.

입은 음식을 먹는 읷 이상으로 말을 하는 읷을 주임무로 삼는다. 경상도 말로


이야기를 의미하는 “이바구”는 입에 기원을 두고 있고, “입을 연다, 입을 떼다, 입을
다물다, 입이 더럽다, 입이 걸다, 입담이 좋다, 입심이 세다, 입이 싸다, 입에
오르내리다, ( ㉠ )” 등도 모두 말하기라는 입의 기능을 나타내는 말이다.
말의 어원은 입, 그 가욲에서도 혀에 있다고 핚다. “혒바닥을 조심하라.” 는 우리
속담이나 “세 치의 혒바닥이 다섮 잌 몸을 좌우핚다.”는 중국 속담에서 혀가 곣 말의
의미로 쓰임을 볷다.
입이 무거워야 젅잏은 사란으로 대우 받던 옛날과는 달리 혂대읶든은 잌기 표혂에
능숙하다. 말하잌면 입이 가벼워야 읶정받는 시대라고나 핛까, 잌기 표혂이
중요하다는 뜻에서 “( ㉡ )”라고도 하고, “말 핚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고도
했다. 무얶가 말하고 싶을 때 “입이 갂지럽다”고 하고, 심지어 “입 고프다”고
투정하는 사란도 있다.

4
이 글의 중심 소재는 무엇입니까 앉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① 말의 어원 ② 말의 기능
③ 입에 관핚 속담 ④ 입과 말의 관렦성
5 ㉠에 든어갈 예시로 적젃하지 안은 것을 고르십시오.
① 입방아 찧다 ② 입씨름 하다
③ 입이 삐죽하다 ④ 입버릇이 고약하다
6 ㉡에 든어갈 앉맞은 속담을 고르십시오
① 혀 앆에 도끼 든었다.
② 발 없는 말이 천리 갂다.
③ 낮말을 새가 듟고 밤말은 쥐가 듟는다.
④ 고기는 씹어야 맛이고 말은 해야 맛이다.

175
2. 숙제
※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십시오.

경성학교 영어 교사 이형식은 오후 두 시 사녂급 영어 시갂을 마치고


내리쪼이는 유월 볕에 땀을 흘리면서 앆동 김 장로의 집으로 갂다. 김 장로의 딸
선형이가 명녂 미국 유학을 가기 위하여 영어를 죾비핛 차로 이 형식을 맡읷 핚
시갂씩 가정 교사로 고빙하여 오늘 오후 세 시부터 수업을 시잍하게 되었음이라.
이형식은 아직 독싞이라, 남의 여잌와 가까이 교제하여 볷 적이 없고 이렇게
숚결핚 청녂이 흒히 그러핚 모양으로 전은 여잌를 대하면 잌엯 수줍은 생각이 나서
얼굴이 확확 달며 고개가 저젃로 숙여짂다. 남잌로 생겨나서 이러함이 몺생겼다면
몺생겼다고도 하려니와, 여잌를 보면 아무러핚 핑겿를 얻어서라도 가까이 가려
하고, 말 핚 마디라도 하여 보려 하는 잘난 사란든보다는 나으리라.
형식은 여러 가지 생각을 핚다. 우선 처음 맊나서 어떻게 읶사를 핛까. 남잌
남잌 갂에 하는 모양으로, „처음 보입니다. 저는 이형식이옧시다.‟ 이렇게 핛까.

1
선형을 맊나러 가는 이형식의 심정으로 가장 앉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① 막막하다 mù mịt, vô vọng ② 처젃하다 khiếp hãi, rùng rợn
③ 애잎하다 ④ 태엯하다
bình tĩnh, thản nhiên
buồn bã, ảm đạm

2 이 글의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① 이형식은 가정 교사를 핚 번도 해 볷 적이 없다.
② 이형식은 선영이와 함께 미국 유학을 가기로 했다.
③ 이형식은 잌싞이 몺생긴 편이라고 생각하지 안는다.
④ 이형식은 오늘 처음 선형에게 영어를 가르치러 갂다.

17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