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한국어학

1. 형태소의 개수가 가장 적은 것은?

① 배는 어느새 멀어져 갔다. ② 그게 뭐였는지도 모르겠어요.


③ 여기부터는 걸어가도록 하자. ④ 눈물을 흘리면서 얘기를 했다.
2. 언어의 특성 중 자의성의 사례가 아닌 것은?

① 동일한 형태의 문장이 맥락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된다.


② 음성이 동일하지만 의미가 다른 동음이의어가 존재한다.
③ ‘어엿브다’가 ‘불쌍하다’의 의미에서 ‘예쁘다’의 의미로 변화하였다.
④ ‘부추’를 가리키는 방언형으로 ‘정구지’, ‘솔’ 등이 있다.
3. 한국어의 문법적 특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문장의 필수 성분은 생략되지 않는다.


ㄴ. 어순이 자유로워 관형어의 자리 옮김이 자유롭다.
ㄷ. 주체 높임의 기능을 하는 조사와 어미가 각각 존재한다.
ㄹ. 통사 기능과 정보 구조를 나타내는 표지가 각각 존재한다.

① ㄴ, ㄹ ② ㄷ,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ㄴ, ㄷ, ㄹ
4. 품사가 바뀐 파생어끼리만 묶인 것은?

① 마개, 물음, 들볶다 ② 크기, 기쁨, 어린이


③ 무덤, 높이다, 밀치다 ④ 많이, 멀리, 넓히다
5. 의존명사 중에는 특정한 문장성분으로만 쓰이는 것이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의존
명사의 성격이 다른 하나는?

① 새 집이 더할 나위 없이 좋다.
② 시장 가는 김에 배추 좀 사 와.
③ 그는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인사했다.
④ 그는 눈을 감은 채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A - 16 - 1[1교시]
6. 한국어 용언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동일한 형태가 자동사와 타동사로 쓰이기도 한다.
② ‘이다’는 서술격조사이지만 용언과 같이 활용하며, 활용의 양상이 형용사와 유사하다.
③ ‘-고 싶다’, ‘-은가/는가 보다’에서 ‘싶다’와 ‘보다’는 본용언의 품사와 상관없이 보조
형용사로 기능한다.
④ 보조용언은 다른 용언의 뒤에 붙어서 의미를 더해 주며 그 자체로 대용화가 가능하다.
7. 시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한국어의 시제는 어미에 의해 표시된다.
② 한국어에는 발화시를 기준시로 삼는 ‘절대시제’와 사건시를 기준시로 하는 ‘상대시제’가
있다.
③ 관형사절에서의 현재시제는 동사와 형용사의 형태가 다르다.
④ ‘-던’은 과거시제 관형사절에 쓰이며, 관형절의 주어로 1인칭이 쓰일 수 없다.
8. 부정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지 동사는 대체로 ‘안’ 부정문과 함께 쓰이지 않는다.
② 단형 부정은 장형 부정에 비해 더 많은 통사적 제약이 있다.
③ ‘말다’ 부정문은 주로 명령문과 청유문의 장형 부정에 쓰인다.
④ ‘있다’는 어휘적 부정인 ‘없다’로 부정문을 실현하며 문법적 부정이 불가능하다.
9. 관형절의 유형이 다른 하나는?
① 내가 친구한테 들었던 소문은 사실이었어.
② 문 밖에서 고기 굽는 냄새가 났다.
③ 나는 그와 밥을 먹은 일이 없다.
④ 나는 우리가 처음 만난 기억을 떠올렸다.
10. 밑줄 친 조사의 종류가 다른 하나는?
① 콜라나 사이다로 주세요. ② 영희는 엄마하고 얼굴이 닮았다.
③ 어제는 치킨이며 피자며 잔뜩 먹었어. ④ 영철이랑 영호는 내 제일 친한 친구다.
11. 밑줄 친 부분의 품사가 다른 하나는?
① 그는 천의 얼굴을 가졌다. ② 냉면을 스무 그릇쯤 준비해 주세요.
③ 셋 셀 때까지 제자리에 가져다 놓아라. ④ 광장에는 수만의 군중이 운집해 있었다.

A - 16 - 2[1교시]
12. 밑줄 친 부분의 형식형태소의 기능이 다른 하나는?

① 이 나무는 추위에 약해요.


② 여기서 학교 정문까지 달리기는 힘들다.
③ 이 책상의 크기를 재 보세요.
④ 그의 해맑은 웃음이 모든 피로를 잊게 했다.
13. 단어형성 방법이 다른 하나는?

① 친동생 ② 코웃음 ③ 갈림길 ④ 말다툼


14. 다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ㄱ. 마당을 빗자루로 쓸었어.


ㄴ. 화분은 창문 옆에 놓으세요.
ㄷ. 친구가 너에게 무엇을 줬니?
ㄹ. 회의에 대표로 참석했다.

① ‘ㄱ’의 ‘쓸다’는 주어, 목적어 외에 ‘체언+로’를 요구하는 3자리 서술어이다.


② ‘ㄴ’의 ‘놓다’는 주어와 목적어를 요구하는 2자리 서술어이며, ‘옆에’는 수의 성분이다.
③ ‘ㄷ’의 ‘주다’는 주어, 목적어 외에 ‘체언+에게’를 요구하는 3자리 서술어이다.
④ ‘ㄹ’의 ‘참석하다’는 주어 외에 ‘체언+에’, ‘체언+로’를 요구하는 3자리 서술어이다.
15. 한국어의 유형론적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한국어는 우분지 언어에 속한다.


② 인구어에 비해 대명사가 발달되어 있다.
③ 단위성 의존명사 외에도 일부 일반명사도 분류사의 기능을 한다.
④ 형용사가 동사처럼 활용하며 동사에 비해 수적으로 많은 편이다.
16. 대명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명사는 관형어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② 대명사에 조사가 붙을 때 형태가 바뀌지 않는다.
③ 일부 부정칭 대명사는 미지칭 대명사와 형태적으로 동일하다.
④ 재귀대명사는 높임의 등급이 다른, 상이한 형태가 존재한다.

A - 16 - 3[1교시]
17. 밑줄 친 부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남편: 여보, 거기 있는 신문 좀 ㉠주오.


아내: 네, 여기 있어요. 그런데 철수가 오늘 용돈 좀 ㉡달라던데요.
남편: 그럼 좀 주구려.

아버지: 영호야, 이 책을 옆집에 사는 수빈이에게 ㉢주어라.


아들: 네, 그럴게요.
아버지: 참, 수미야, 너 퇴근길에 약국에 들러 진통제 좀 사다 ㉣다오.
① ㉠, ㉢, ㉣의 종결어미는 모두 명령의 기능을 한다.
② ㉠과 ㉣의 종결어미는 다른 등급의 상대 높임법이 사용된 것이다.
③ ㉠은 ‘화자에게 어떤 것을 건네다’, ㉡은 ‘청자에게 어떤 것을 건네다’의 의미를 지닌다.
④ ㉢과 ㉣의 종결어미는 같은 등급의 상대 높임법이 사용된 것이다.
18. 주체 높임과 객체 높임, 상대 높임이 모두 나타나는 것은?

① 할아버지께서 어머니에게 선물을 주셨어요.


② 그분께서 사장님을 잠시 뵙길 청하셨습니다.
③ 어머니는 할머님을 온갖 정성으로 모셨습니다.
④ 오늘은 최근 연구 동향에 대해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19. 주동문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엄마가 아이에게 밥을 먹였다.


ㄴ. 형은 동생을 다락에 숨겼다.
ㄷ. 그 사람은 양궁 선수로 이름을 날렸다.
ㄹ. 미자는 자기 결혼식에서 친구를 들러리로 세웠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ㄴ, ㄹ ④ ㄴ, ㄷ, ㄹ
20. 발음할 때 나타나는 음운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콩엿: ㄴ첨가, 평폐쇄음화 ② 풀잎: ㄴ첨가, 유음화, 평폐쇄음화


③ 술값: 경음화, 자음군단순화 ④ 육학년: 경음화, 비음화, 유기음화

A - 16 - 4[1교시]
21. 단어들을 발음할 때 밑줄 친 음절에서 나타나는 음운현상의 유형이 다른 하나는?

① 접는 우산 ② 이불을 덮고 ③ 변론을 하러 ④ 색연필을 가지고


22. 음소나 음절 수준의 제약과 관계없는 음운현상인 것은?

① ‘먹고’를 [먹꼬]로 발음하는 현상 ② ‘받는’을 [반는]으로 발음하는 현상


③ ‘니토(泥土)’를 [이토]로 발음하는 현상 ④ ‘능력’을 [능녁]으로 발음하는 현상
23. 마찰음으로만 묶인 것은?

① ㅅ, ㅂ, ㅃ ② ㅅ, ㅆ, ㅎ
③ ㅅ, ㅎ, ㅁ, ㄴ ④ ㅅ, ㅆ, ㅈ, ㅊ, ㅉ
24. 음운론적 제약에 의한 음운현상의 예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값→[갑], 삶조차→[삼조차] ② 담고→[담꼬], 안다→[안따]


③ 먹고→[먹꼬], 업다→[업따] ④ 잡는→[잠는], 젖는→[전는]
25. 다음에서 설명하는 음운현상이 적용된 예가 존재하지 않는 문장은?

현대 한국어의 음절 종성에서 발음되는 자음의 종류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로 제한된다. 따라서 여기에 속하지 않는 자음이 음절 종성에 놓일 경우


이 자음 중 하나로 바뀌어야만 한다.

① 굶는 사람이 없도록 해라. ② 신발도 옷도 값비싼 것으로 사라.


③ 범인을 쫓는 것은 힘든 일이다. ④ 비가 오니까 뚜껑을 덮도록 해라.
26.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자음으로 옳은 것은?

`한국어의 비음화는 자음의 조음 위치는 그대로 둔 채 조음 방식만 비음으로


바꾸는 동 화 현상 이다. 따라서 비 음화의 적 용을 받 으면 /ㅂ /는 ( ㉠ )으로,
/ㄷ/는 ( ㉡ )으로, /ㄱ/는 ( ㉢ )으로 바뀌게 된다.
① ㉠: /ㅁ/, ㉡: /ㄴ/, ㉢: /ㅇ/[ŋ] ② ㉠: /ㅁ/, ㉡: /ㅇ/[ŋ], ㉢: /ㄴ/
③ ㉠: /ㄴ/, ㉡: /ㅇ/[ŋ], ㉢: /ㅁ/ ④ ㉠: /ㄴ/, ㉡: /ㅁ/, ㉢: /ㅇ/[ŋ]

A - 16 - 5[1교시]
27. 현대 한국어 자음 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치조에서 조음되는 자음의 수가 가장 많다.


ㄴ. 마찰음이 조음되는 위치는 치조와 성문이다.
ㄷ. 경구개에서 발음되는 자음의 조음 방법은 한 가지이다.
ㄹ. 삼지적 상관속은 폐쇄음, 파찰음, 마찰음에서 나타난다.

① ㄱ, ㄴ ② ㄷ,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ㄴ, ㄷ, ㄹ
28. 최소대립쌍을 통한 음소분석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오지’와 ‘고지’는 ‘ㅇ’와 ‘ㄱ’의 차이로 인한 최소대립쌍이므로 ‘ㅇ’과 ‘ㄱ’은 별개의 음소이다.
② ‘담’과 ‘땀’은 ‘ㄷ’과 ‘ㄸ’의 차이로 인한 최소대립쌍이므로 ‘ㄷ’과 ‘ㄸ’은 별개의 음소이다.
③ ‘솔’과 ‘술’은 ‘ㅗ’와 ‘ㅜ’의 차이로 인한 최소대립쌍이므로 ‘ㅗ’와 ‘ㅜ’는 별개의 음소이다.
④ ‘사람’과 ‘사랑’은 ‘ㅁ’과 ‘ㅇ’의 차이로 인한 최소대립쌍이므로 ‘ㅁ’과 ‘ㅇ’은 별개의 음소이다.
29. 밑줄 친 단어의 발음으로 옳은 것은?
① 농부는 밭을 갈기 위해 밭의 흙을 밟고[발꼬] 있었다.
② 책의 머리말[머린말] 쓰기는 까다로운 일이다.
③ 아버지는 오랜만에 고향 음식을 맛있게[마딛께] 드셨다.
④ 부엌에[부어게] 가서 수저 좀 가지고 와라.
30. 사람이나 사물의 모양과 소리 모두를 흉내 낸 말이 아닌 것은?
① 비실비실 - 설렁설렁 ② 벌컥벌컥 - 중얼중얼
③ 꼴깍꼴깍 - 도란도란 ④ 쏙닥쏙닥 - 펄럭펄럭
31. ‘무식함’이나 ‘어리석음’을 나타내는 사자성어가 아닌 것은?
① 숙맥불변(菽麥不辨) ② 목불식정(目不識丁)
③ 일자무식(一字無識) ④ 부지불식(不知不識)
32. 전문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상어가 동일한 형태를 유지한 채 전문 용어로 쓰일 수 있다.
② 의미가 분명하여 그 분야에 속하지 않는 사람도 이해하기 쉽다.
③ 의미가 정밀하여 맥락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비유적으로 사용되기 어렵다.
④ ‘대퇴부’, ‘수산화나트륨’은 일상어 ‘넓적다리’, ‘양잿물’에 대응하는 전문 용어이다.
A - 16 - 6[1교시]
33. 밑줄 친 단어의 쓰임이 옳은 것은?
① 계란을 그릇 모서리에 부딪혀 깼다.
② 영수는 다른 사람보다 세 갑절은 더 먹는 것 같다.
③ 날씨가 건조해서 세수를 하고 나면 얼굴이 땅긴다.
④ 아버지께서는 벗겨진 머리를 감추기 위해 모자를 쓰셨다.
34. 반의 관계로 짝지어진 것이 아닌 것은?
① 굵다 - 얇다 ② 숱하다 - 드물다
③ 설다 - 익다 ④ 가멸다 - 가난하다
35. 각 유의어 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멎다/멈추다: ‘멎다’와 달리 ‘멈추다’는 자동사와 타동사로 모두 쓰인다.
② 고치다/수리하다: ‘고치다’와 달리 ‘수리하다’는 추상명사를 목적어로 취할 수 있다.
③ 내리다/인하하다: ‘내리다’와 달리 ‘인하하다’는 ‘온도’와 관련된 명사와 연어를 이룰 수 없다.
④ 싸다/포장하다: ‘(물건을)싸다’와 달리 ‘포장하다’는 ‘겉을 꾸미다’라는 비유적 의미를 갖는다.
휘를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로 분류했을 때 같은 유형으로 묶인 것은?
36. 한국어 어
① 구두, 라면, 배낭 ② 근심, 명함, 순대
③ 가위, 고생, 도롱이 ④ 부조, 양말, 어차피
37. 다음 동사와 공통적으로 연결되어 관용어를 이룰 수 있는 단어는?
들다 맞다 쐬다 잡다
①손 ② 햇빛 ③ 마음 ④ 바람
접두사 ‘숫-, 앳-, 엇-, 올-, 헛-’과 공통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용언은?
38.
① 나다 ② 되다 ③ 보다 ④ 하다
39. 한국어 의존명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참’은 결합되는 관형사형 어미가 제한된다.
② ‘수’, ‘것’은 목적격 조사와 자유롭게 연결된다.
③ ‘턱’, ‘따름’은 서술어와의 결합이 자유롭지 못하다.
④ ‘리’, ‘적’은 격조사 결합은 자유롭지만 보조사 결합은 제약이 있다.
A - 16 - 7[1교시]
40. 밑줄 친 단어의 품사가 다른 것은?

① 너 커서 무엇이 되고 싶니?
② 잘되어 가던 일이 묘하게 꼬이기 시작했다.
③ 그는 다른 사람에 비해 10년이나 겉늙어 보인다.
④ 잘못된 일을 바로잡으려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밝다’의 의미 전이 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1. ‘

밝다: 밝은 빛 → 밝은 색 → 밝은 표정 → 밝은 분위기
① 구체적 의미에서 추상적 의미로 변화한다.
② 은유에 의해 새로운 의미로 확장되기도 한다.
③ 의미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다의어가 생성된다.
④ 동음어가 의미 확장에 의해 다의어가 되기도 한다.
42. 중의성을 지닌 문장의 예가 아닌 것은?

① 우리 어머니는 손이 크다. ② 철수는 어제 학교에 가지 않았다.


③ 나는 동생과 강아지를 찾으러 다녔다. ④ 그 영화는 좋은 영화임이 분명하다.
43. 반의어의 대립 관계 유형이 동일한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

① 팔다 - 사다, 조상 - 후손 ② 길다 - 짧다, 출근 - 퇴근
③ 덥다 - 춥다, 남성 - 여성 ④ 살다 - 죽다, 남편 - 아내
44. 제시된 문장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 넓은 광야에 매화 향기가 은은하고 진하게 퍼진다.
○ 할머니께서는 아침마다 약숫물을 길어 온다.
① 높임법이 잘못 사용되었다.
② 의미적으로 중복된 표현이 사용되었다.
③ 의미적으로 모순된 표현이 사용되었다.
④ 유사한 의미를 지닌 표현이 잘못 사용되었다.

A - 16 - 8[1교시]
45. 다음 조 건을 모두 충족시키는 동음어는?
○ 의미적 관련성이 없다.
○ 같은 환경에서 형태가 동일하다.
○ 품사가 동일하여 문법적으로 같은 기능을 한다.
① 배[과일] - 배[신체] ② 새[조류] - 새[新, new]
③ 묻다[질문하다] - 묻다[매장하다] ④ 고르다[균질하다] - 고르다[가려내다]
46. 밑줄 친 단어가 다의 관계인 것은?
① 돛을 달다 - 토를 달다
② 나이 먹다 - 귀가 먹다
③ 모자를 쓰다 - 머리를 쓰다
④ 사람의 눈을 속이다 - 저울의 눈을 속이다
47. 동음이의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발음이 같더라도 표기가 다르면 동음이의어가 아니다.


ㄴ. 형태가 다른 두 단어가 음운 변 화 과정에서 동음이의어가 될 수 있다.
ㄷ. 외래 어가 많이 유 입 되어 유의어가 증 가하면 동음이의어의 수는 줄어 든 다.
ㄹ. 다의어의 의미들이 연 관성을 잃 게 되면 다의어였던 것이 동음이의어가 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ㄷ, ㄹ
48. 두 문장의 의미 관계가 다른 하나는?
① 컴퓨터가 또 고장 났다. : 컴퓨터가 전에도 고장 난 적이 있다.
② 정호는 한국에 돌아오고 싶어 한다. : 정호는 외국에 나가 있다.
③ 그 둘이 이혼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았다. : 그 둘이 결혼했었다.
④ 나는 대부분의 회원을 만날 수 있었다. : 내가 회원을 모두 만난 것은 아니다.
49. 다음 발화가 충고의 효력을 가질 수 있는 적정 조건(felicity condition)은?
앞으로 밤에 나가지 않는 것이 좋겠어.
① 화자는 자신의 판단에 대한 분명한 이유를 가지고 있지 않다.
② 화자가 청자에게 이 발화를 하지 않으면 청자가 밤에 나갈 것이 확실하다.
③ 화자는 청자가 밤에 나가지 않는 것이 청자에게 이익이 된다고 믿고 있다.
④ 화자는 청자에게 밤에 나가면 위해를 가하겠다며 불안감을 주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
A - 16 - 9[1교시]
50. 다음 발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뒤통수를 때리고 도망가는 친구를 향해) 너 이제 죽었어.


(

① 객관적 정보 전달의 기능을 하고 있다.


② 실제로 친구가 죽거나 친구를 죽인다는 의미는 아니다.
③ 미래의 일을 완료상을 사용하여 기정사실처럼 표현하고 있다.
④ 부사 ‘이제’와 선어말 어미 ‘-었-’의 시제가 일치하지 않는다.
51.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전기 중세 한국어의 자음 체계에는 아 직 된소리 계열이 보이지 않는다.


ㄴ. <계림유사>에 보이는 ‘ 菩薩 ’은 어두자음 군 ‘ ㅄ ’의 형성 이전 단계임을 보여
준다.
ㄷ. <계림유사>와 <조선관역어>는 비슷한 언어적인 특징을 보여 주는 전기
중세 한국어 자 료 이다.
ㄹ. 전기 중세 한국어의 음절말 자음의 대립은 후기 중세 한국어의 그것과 같은
8종성 체계를 보인다.

①ㄴ ② ㄱ, ㄹ ③ ㄷ, ㄹ ④ ㄱ, ㄴ, ㄷ
52. 밑줄 친 말 중 공손법(상대높임법) 어미의 등분이 다른 것은?
① 다시 무로 그 들 닐어쎠.
② 王이 부톄를 請쇼셔.
③ 이 못 큰 珊瑚 나모 아래 무두다.
④ 아디 어려 法을 브즈러니 讚嘆시니고.
53. ‘안 팎, 수평아리, 셋, 땅’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안, 수, 셋, 땅’은 ‘ㅎ’을 말음으로 가지고 있었던 체언이다.
② 현대 한국어와 같은 모습으로의 변화는 중세 한국어 말기에 이루어졌다.
③ ‘ㅎ’을 말음으로 가지고 있던 체언들은 ‘ㅎ’ 앞의 소리가 모음이나 ‘ㄴ, ㄹ, ㅁ’이다.
④ 중세 한국어 시기에도 ‘ㅎ’ 말음은 단독형이나 속격조사 ‘ㅅ’ 앞에서는 실현되지 않았다.
맞춤법이 틀린 예가 포함된 문장은?
54.
① 늦었으니 그만 집에 들어가라. ② 살림이 늘어나서 집이 좁아졌다.
③ 마침내 사건의 전모가 들어났다. ④ 시간 있을 때 우리 사무실에 들러라.
A - 16 - 10[1교시]
맞춤법에 맞는 것은?
55.

① 계송(偈頌) ② 승락(承諾) ③ 희노(喜怒) ④ 연몌(連袂)


56. ‘일’의 첫소리가 다른 것은?
① 끝일(맨 나중의 일)
② 들일(들에서 하는 일)
③ 뒷일(어떤 일이 있은 뒤에 생기거나 일어날 일)
④ 막일(이것저것 가리지 아니하고 닥치는 대로 하는 노동)
외래어 표기법에 맞지 않는 표기는?
57.

① 사인(sign) ② 비전(vision) ③ 미이라(mirra) ④ 로브스터(lobster)


58.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팔당’은 소리 나는 대로 ‘Palttang’으로 적는다.


②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삼죽면’은 소리 나는 대로 ‘Samjungmyeon’으로 적는다.
③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집현전’은 소리 나는 대로 ‘Jipyeonjeon’로 적는다.
④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학여울’은 소리 나는 대로 ‘Hangnyeoul’로 적는다.
59. 문장 부호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아직도 담배를 피우십니까’와 같은 표어에는 물음표를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② “지금 필요한 것은 지식이 아니라 실천입니다.”에서의 밑줄 대신에 작은따옴표를 써도
된다.
③ ‘8.15 광복’처럼 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을 표시할 때 월과 일의 아라비아 숫자 사이에
마침표를 쓴다.
④ ‘선생님, 부-부정행위라니요? 그런 건 새-생각조차 하지 않았습니다.’에서와 같이 짧게
더듬는 말에는 붙임표를 쓴다.
60. 표준어로만 묶인 것은?

① 귀이개, 맵자다 ② 온달, 나무래다


③ 보퉁이, 뻗정다리 ④ 아지랭이, 소금쟁이

A - 16 - 11[1교시]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61. 코퍼스(말뭉치) 언어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범용 코퍼스는 다양한 연구에 활용할 목적 하에 종합적으로 구축된 것이다.
② 주석 코퍼스는 텍스트를 일정한 기준으로 분석한 뒤 품사, 문법, 주제, 사용 오류 등에
대한 정보를 일관된 형식의 표지로 달아 놓은 것이다.
③ 균형 코퍼스는 텍스트의 입력 과정에서 분석자의 목적에 따라 균형을 맞추기 위해
원본의 내용을 수정한 것이다.
④ 병렬 코퍼스는 한 언어의 텍스트와 그것과 대응하는, 즉 번역된 다른 언어의 텍스트를
정렬하여 놓은 것이다.
62. 언어 접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링구아 프랑카(lingua franca)는 여러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위하여
어떤 한 언어가 공동의 언어로 사용되는 것을 가리킨다.
② 피진(pidgin)은 서로 다른 언어를 모어로 가지고 있는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위하여
사용되는 단순한 언어이다.
③ 크레올(creole)은 피진보다 언어 체계가 더 안정되고 어휘가 확장되어 있어, 하나의
모어로서 기능할 수 있는 언어이다.
④ 탈크레올화(decreolization)란 크레올이 모어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피진으로 돌아가는
현상을 말한다.
63. 조음 위치에 따른 자음 분류의 예시가 옳지 않은 것은?
① 연구개음 - [ㄱ, ㄲ, ㅋ, g, k, ŋ] ② 양순음 - [ㅁ, ㅂ, ㅍ, β, p, m]
③ 치조음 - [ㄷ, ㅅ, ㅆ, n, s, ɸ] ④ 경구개음 - [ㅈ, ㅉ, ㅊ, ʃ, ʒ, dʒ]
64. 다음은 카메룬(Cameroon) 지역에서 사용되는 콰쿰어(Kwakum)의 예이다. 이 언어
에서 ‘ They didn ’ t buy ( recently ).’에 대 응 하는 표현은?

/ s ɛb ɔmm ɛ/: ‘ We bought ( a long time ago ).’


/ s ɛb ɔmko /: ‘ We bought ( recently ).’
/ s ɛb ɔmkow ɛɛ/: ‘ We didn ’ t buy ( recently ).’
/ nyeb ɔmm ɛ/: ‘ I bought ( a long time ago ).’
/ ɔb ɔmm ɛ/: ‘ You ( sg .) bought ( a long time ago ).’
/ yeb ɔmko /: ‘ They bought ( recently ).’
/ n ɛb ɔmko /: ‘ You ( pl .) bought ( recently ).’
/ ab ɔmm ɛw ɛɛ/: ‘ S / he didn ’ t buy ( a long time ago ).’

① /yebɔmko/ ② /yebɔmkowɛɛ/ ③ /yebɔmmɛ/ ④ /yebɔmmɛwɛɛ/


A - 16 - 12[1교시]
65. 형태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영어의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ed’는 자립 형태소이다.
② 한국어의 ‘오솔길’과 영어의 ‘cranberry’는 유일 형태소를 포함하고 있다.
③ ‘사과를 먹다’에서 ‘사과’는 실질 형태소이고, ‘먹-’은 형식 형태소이다.
④ 인과 관계를 나타내는 ‘-어서’, ‘-아서’, ‘-여서’는 형태론적으로 조건 지어진 이형태들이다.
교착어(첨가어)의 특성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66.

ㄱ. 용언의 어간과 어미가 비교적 명백하게 분리되면서 어간에 어미가 부착되는 형태이다.
ㄴ. 실질 형태소에 형식 형태소가 연 속적으로 붙 어서 문법적 의미를 추 가할 수 있다.
ㄷ. 대표적인 언어로 한국어, 일 본 어, 베트 남어 등 이 있다.
ㄹ. 단어의 어형 변 화가 없으 며 , 단어 사이의 문법적 관계가 어순에 의 해 서 표시
되는 경 향 이 강 하다.
ㅁ.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가 여러 문법 형태로 구성되지만 형태소를 명확히 구별하기
어려운 경 향 이 있다.

① ㄱ, ㄴ ② ㄱ, ㄴ, ㄷ ③ ㄱ, ㄴ, ㄷ, ㄹ ④ ㄱ, ㄴ, ㄷ, ㅁ
67. 구조적 중의성( structural ambiguity)을 보이는 문장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어제 요리 학원 에서 만난 영 희 의 남자 친구는 요리사이다.
ㄴ. 그는 스승 의 뒤 를 따 르 기로 결 심 했다.
ㄷ. 철수는 웃 으면서 떠 나는 영 희 에게 손 을 흔 들었다.
ㄹ. 시내에서 멀 지 않은 곳 에 우리 학교 가 있 습 니다.
ㅁ. I went to the bank .
ㅂ. I met a Korean history teacher .

① ㄱ, ㄴ, ㅁ ② ㄱ, ㄷ, ㅂ ③ ㄴ, ㄹ, ㅁ ④ ㄷ, ㄹ, ㅂ
직시적(deictic) 표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68.
① 대명사I, you ② 시간 표현Monday, Tuesday
③ 장소 표현here, there ④ 이동 표현come, go
69. 현대 한국어와 현대 영어에 관한 대조분석의 기 술로 옳은 것은?
① 한국어에는 주어 중출과 목적어 중출 현상이 있으나, 영어에는 주어 중출 현상만 있다.
② 한국어에는 존대를 나타내는 체계적인 문법 표지가 있으나, 영어는 그렇지 않다.
③ 한국어 동사에는 시제와 인칭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지만, 영어 동사에는 시제와 인칭, 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④ 한국어에서는 강세와 음의 길이가 의미를 변별하는 요소가 되지만, 영어에서는 강세와
억양이 의미를 변별하는 요소가 된다.
A - 16 - 13[1교시]
70. 세계 언어의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언어유형론은 언어의 친족 관계에 따른 역사적 계통을 밝히는 연구 분야이다.


② 중국어는 고립어, 터키어는 교착어(첨가어), 네덜란드어는 굴절어적 특성이 강하다.
③ V(동사)-S(주어)-O(목적어) 어순을 가진 언어의 수가 O(목적어)-V(동사)-S(주어)
어순을 가진 언어보다 더 많다.
④ 한국어는 핵 후행(head-final) 언어, 영어는 핵 선행(head-initial) 언어의 특성을 보인다.
71. 인 간의 언어 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점화 효과(priming effect): 단어들 사이의 연관성이 언어 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
② 스푸너리즘(Spoonerism): 원래의도한 문법형태소 대신 다른 문법형태소로 대치하는 현상
③ 단어 우선 효과(word superiority effect): 문법 형태소와 단어 가운데 단어를 먼저
처리하는 현상
④ 첫 번째 명사 원리(first noun principle): 문장의 첫 번째 명사로 나온 주어가 가장 잘
기억되는 현상
72. 뇌의 기능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브로카 실어증 환자는 말은 유창하게 하나 의미 없는 단어를 나열하는 경우가 흔하다.
② 좌뇌는 분석적 능력과 사고력에서 우월성을 보이는 반면, 우뇌는 종합적인 지각 능력
에서 우월성을 보인다.
③ 좌뇌는 언어 능력에 있어서 제한적이지만, 공간적인 분석이 필요한 과제에서는 우뇌
보다 능숙하다.
④ 오른손잡이의 언어 영역은 좌뇌에 편중되어 있지만, 왼손잡이의 언어 영역은 우뇌에
편중되어 있다.
73. 양 층언어(diglossia)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집트의 아랍어는 대표적인 양층언어의 예로 고전 아랍어와 구어체 아랍어가 공존
하고 있다.
② 양층언어 상황은 단일한 표준을 정하려는 대규모의 정책적인 시행으로 인해 불안정해
질 수 있다.
③ 양층언어 상황이란 한 언어의 두 가지 상이한 변이형 또는 서로 다른 두 언어가 동시대에
공존하는 것이다.
④ 다층어 상황도 존재하는데, 상층어, 중층어, 하층어가 공존하게 되면 상층어가 소멸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다.
A - 16 - 14[1교시]
74. 제2언어 습득의 주요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슈미트(Schmidt)의 알아차리기 가설(Noticing Hypothesis)에서는 상호작용에 의존한
암시적 학습이 형태에 대한 습득에 더 유용하다고 본다.
② 크라센(Krashen)의 모니터 가설에서는 학습을 통해 얻은 형태에 관한 의식적인 지식은
제2언어 산출 시에 감시자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본다.
③ 비고츠키(Vygotsky)의 사회문화 이론에서는 학습자들이 자신보다 언어 수준이 높은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적 지식을 발달시켜 나갈 수 있다고 본다.
④ 맥러플린(McLaughlin)의 정보 처리 모형에서는 언어 지식의 습득을 통제적 처리 단계에서
자동적 처리 단계로 이행하는 정보 처리 방식의 변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
75. 언어 습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결정적 시기 가설(Critical Period Hypothesis): ‘형식적 조작기’인 7∼11세에 이르면
구체적 대상의 지각과 경험 없이도 논리적 사고가 가능하다.
② 유표성 가설(Markedness Hypothesis): 유표적인 것이 의미적, 분포적, 형태적 측면에서
무표적인 것에 비해 더 습득이 쉽다.
③ 입력 가설(Input Hypothesis): ‘이해 가능한 입력’을 충분히 제공하는 것만으로 제2언어
습득이 이루어질 수 있다.
④ 출력 가설(Output Hypothesis): 상호작용에서 상대방의 출력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면 제2언어 습득이 이루어질 수 있다.
76. 밑줄 친 학습자의 오류를 괄호와 같이 교정했을 때, 오류의 언어적 층위가 다른 것은?
① 제 동생이 서울에 왔어서(√와서) 같이 여행을 했어요.
② 친구가 운동장에(√운동장에서) 축구를 하고 있어요.
③ 제 얼굴을 고울로(√거울로) 보면 실제보다 더 크게 보여요.
④ 하루 종일 서고(√서) 있어서, 다리가 많이 아파요.
77. 호 르위츠(Horwitz)가 제시한 언어 습득에 방해가 되는 세 가지 언어 불안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의사소통(communication)에 대한 불안
② 부정적인 사회적 평가(evaluation)에 대한 불안
③ 시험(test)에 대한 불안
④ 정체성(identity) 갈등에 대한 불안

A - 16 - 15[1교시]
78. 다음과 같이 제2언어 습득의 단계를 설명하는 이론은?
1단계: 서 술 적( declarative ) 단계

2단계: 절 차 적( procedural ) 단계

3단계: 자 율 적( autonomous ) 단계

① 기술 습득 이론 ② 경쟁 모형 ③ 입력 처리 이론 ④ 다차원 모형
79. 밑줄 친 부분에서 보이는 음운현상이 나 머지와 다른 하나는?
① music - musician ② act - action
③ 묻다 - 묻히다 ④ 뽑다 - 뽑히다
80. 자음과 모음의 표기가 독립적으로 구별되지 않는 문자는?
① 키릴(Cyril)문자 ② 로마(Roman)문자
③ 만주문자 ④ 일본문자(가나)

마음이 맑으면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진다.

A - 16 - 16[1교시]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