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음운 변동)

8. 다음에서 음운의 축약이 일어나는 낱말은 모두 몇 개


1. 일반적으로 음운의 변동이 일어나는 가장 큰 이유 인가?8)
는?1)
영근이는 며칠 전부터 밤마다 옆집에서 들려오는 피아
① 불필요한 음운을 없애기 위해서 노 소리 때문에 잠을 잘 수가 없었다. 참다 못한 영근이는
② 맞춤법에 맞도록 표기하기 위해서 옆집 사는 사람에게 편지를 써서 현관 앞에 남겨 두기로
③ 말을 쉽고 편리하게 발음하기 위해서 했다.
④ 순수한 우리말을 지키고 가꾸기 위해서
① 1개 ② 2개 ③ 3개
⑤ 낱말의 뜻을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④ 4개 ⑤ 5개

2. 다음 밑줄 친 낱말에서 구개음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


9. 다음 낱말 중 밑줄 친 음절의 끝소리가 ‘ㅂ’으로 발음
는 것은?2)
되는 것은?9)
① 꽃 이 진다고, 바람을 탓할쏘냐?
① 넓다 ② 섧다 ③ 여덟
② 그는 친구의 말을 곧 이 듣 지 않았다.
④ 밟다 ⑤ 떫다
③ 그 날 있었던 사건을 굳 이 말하지 않았다.
④ 이리로 와! 여기가 볕 이 잘 드는 곳이란다.
⑤ 지난 연말에 우리 가족은 해 돋 이를 보러 정동진을 갔
었다.

10. 다음 문장에서 자음 동화가 일어나는 낱말의 개수


3. 다음에서 설명하는 음운의 변동은?3)
는?10)
두 음운이 만나면서 한 음운이 아예 사라져 소리나지
철수는 항상 고기가 들어 있는 국만 먹는다.
않는 것을 말한다.
① 1 ② 3 ③ 5
① 구개음화 ② 자음동화 ③ 음운의 축약
④ 7 ⑤ 9
④ 음운의 탈락 ⑤ 음절의 끝소리 규칙

11. 다음 중 구개음화가 일어나는 낱말은?11)


4. 한글의 자음 중 음절의 끝에서 발음될 수 있는 것을
모두 써라.4) ① 관람하다 ② 꽃 밭이 ③ 끝내
④ 닫혔다 ⑤ 찾아

5. 다음 중, 음운의 변동이 다른 하나는?5)


12. 다음 중 자음 축약이 일어나는 문장은?12)
① 놓다 ② 파랗다 ③ 입히다
① 여름이 되니 달이 너무 덥다.
④ 먹히다 ⑤ 졸리다
② 원미는 음악시간에 단소를 불었다.
③ 엄마가 아기에게 우유를 먹여 주고 계신다.
④ 미례의 작품이 드디어 완성 됐다.
⑤ 빨아 높은 수건이 정말 하얗다.

6. 다음에 제시된 낱말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음운의


변동은?6)

담력, 금류, 대관령, 속리산, 왕십리 13. 다음 중 음운의 탈락이 일어나지 않은 낱말은?13)
① 자음동화 ② 구개음화 ③ 음운의 축약 ① 부삽 ② 차돌 ③ 소나무
④ 음운의 탈락 ⑤ 음절의 끝소리 규칙 ④ 따님 ⑤ 굳이

7. 다음 낱말을 소리나는 대로 써라.7) 14. 다음 중 자음 동화가 일어나는 방향이 다른 것은?14)

앉히다 - ( ) ① 칼날 ② 신라 ③ 윤리
④ 방울 ⑤ 앞날

-1-
15. 다음 중 음운의 변동이 같은 낱말끼리 묶은 것은?15) 22. 다음 중 음운 현상과 그 예를 잘못 연결한 것은?22)
① 놓고, 싫어, 찾고, 늙지 ① 음절의 끝소리 규칙: 흙, 부엌
② 진리, 깎는, 백로, 먹다 ② 자음동화: 칼날, 속리산
③ 같이, 굳이, 꽃이, 여닫이 ③ 음운의 축약: 좋다, 잡히다
④ 바느질, 우는, 아드님, 이어 ④ 음운의 탈락: 부삽, 따님
⑤ 발머리, 빛나는, 남새밭, 꽃잎 ⑤ 구개음화: 맏이, 꽃이

16.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낱말은?16) 23. 다음 중 음절의 끝소리가 바르게 발음되지 않은 것
은?23)
두 음운이 만나서 한 음운은 아예 발음되지 않는 경우
① 삶[삼] ② 칡[칙] ③ 빛[빗]
① 왕릉 ② 잔디밭 ③ 하느님
④ 닭[닥] ⑤ 여덟[여덜]
④ 붙이다 ⑤ 불꽃놀이

17. 다음 중 낱말을 발음할 때 각 음운의 끝소리로 바른 24. 다음 중 알맞은 것은?24)


것은?17) ① 구개음화 - 급류
② 자음동화 - 같이
① 목숨 - ㄱ, ㅁ ② 감잎 - ㅁ, ㅍ
③ 음운 축약 - 잡히다
③ 부엌문 - ㅋ, ㄴ ④ 풀꽃 - ㄹ, ㅊ
④ 음절의 끝소리 규칙 - 따님
⑤ 짚신 - ㅍ, ㄴ
⑤ 음운 탈락 - 굳이

18. 음운의 변동이 일어나는 이유로 가장 알맞은 것은?18)


25. 음절의 끝소리로 발음되지 않는 것은?25)
① 표기를 쉽게 하기 위해서
① ㄱ ② ㄷ ③ ㅅ
② 발음을 쉽게 하기 위해서
④ ㅁ ⑤ ㅂ
③ 뜻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
④ 발음과 표기를 같게 하기 위해서
⑤ 소리에 대한 음가를 항상 같게 하기 위해서
26. ⓐ ~ ⓔ중, <보기>처럼 두 가지 음운 변동이 다 일어
나는 낱말을 고르면?26)
19. 다음 중 음운의 변동 현상이 나머지와 다른 것은?19) 잎눈 → 입눈 → 임눈
① 먹이+어 → 먹여 ② 되+었다 → 됐다 (음절의 끝소리규칙) (자음 동화)
③ 맞추+어 → 맞춰 ④ 담그+아 → 담가 ① ⓐ못하였다, ⓑ놓는 ② ⓒ심문, ⓓ홑무궁화
⑤ 남기+어 → 남겨 ③ ⓓ홑무궁화, ⓔ멋진 ④ ⓑ놓는, ⓓ홑무궁화
⑤ ⓑ놓는, ⓒ심문, ⓓ홑무궁화

20. 다음 중 음운의 탈락이 나타나는 낱말이 포함된 문장


이 아닌 것은?20) 27. 윗글의 밑줄친 ㉮꽃밭이를 소리나는 대로 쓰시오.27)
① 그림을 잘 그려서, 선생님께 칭찬을 받았다.
② 그렇게 여럿이 피리를 부니, 당연히 시끄럽지.
③ 떠들지만 말고, 빨리 글씨나 써! 28. 다음은 ‘음운의 변동‘에 대한 설명이다. 바른 것은?28)
④ 다달이 내야 되는 돈이 많아서 걱정된다.
① 우리말에서는 ‘ㄱ,ㄴ,ㄷ,ㄹ,ㅁ,ㅂ,ㅅ,ㅇ’ 등의 자음이 음
⑤ 우리 할머니께서는 바느질 솜씨가 참 좋으시다.
절의 끝소리로 발음된다.
② 음운의 변동은 말을 쉽고 편리하게 발음하기 위해서
일어난다.
③ 자음과 자음이 만나면 한쪽의 영향을 받아 앞말의 자
21. 다음 낱말을 소리낼 때, 인접해 있는 두 자음 중에서
음만 변한다.
뒤의 자음이 바뀐 것은?21)
④ 두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 소리나는
① 급류 ② 밥물 ③ 밸로 것을 ‘음운의 탈락’이라 한다.
④ 닫는 ⑤ 담력 ⑤ 음운의 축약 현상은 모음에서만 일어난다.

-2-
(음운 변동)

36. 겹받침의 발음이 바른 것은?36)


29. 다음 중 음절의 끝소리가 변하지 않는 것은?29) ① 앉고[안고] ② 넓다[넙따] ③ 밟고[발꼬]
① 강산 ② 파랗다 ③ 꽃밭 ④ 읊고[을꼬] ⑤ 외곬[외골]
④ 부엌 ⑤ 겉옷

37. 다음의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것은? 37)


30)
30. 다음 중 발음이 바르지 못한 것은?
자음과 자음이 만나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한쪽이나
① 넋[넉] ② 없다[업따] ③ 여덟[여덜] 양쪽이 모두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
④ 히읗[히응] ⑤ 대나무숲[대나무숩]
① 해돋이 ② 다달이 ③ 그려
④ 밥물 ⑤ 잡히다

31. 다음에서 구개음화가 일어나는 것은?31)

①무 궁 화는 ②아 침태양과 ③함 께 피어나서 ④저 녁 태 38. 다음 보기와 같은 음운의 변동과 관련이 있는 모음


양과 함께 운명을 ⑤같 이 한 다. 은?38)

굳이 → [구디] → [구지], 맏이 → [마디] → [마지]


① ㅣ ② ㅔ ③ ㅐ
32. 다음 중 음운의 변동이 다른 하나는?32)
④ ㅗ ⑤ ㅟ
① 좋다 ② 아드님 ③ 다달이
④ 우짖다 ⑤ (줄을)그어
39. 다음 중 ‘ㄹ’탈락 현상이 일어나는 낱말이 아닌 것
은?39)
33. 다음 중 음운의 축약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33)
① 소나무 ② 지어 ③ 따님
① 대성이는 방학숙제로 그림을 그려 제출했다. ④ 이부자리 ⑤ 둥그니
② 아기의 볼이 빨갛다.
③ 냄새가 심하다.
④ 책상에 책을 펼쳐 놓고 선생님을 기다렸다.
40. (다)글에서 자음동화가 일어나는 낱말을 찾아 쓰시
⑤ 만약을 대비해 물을 남겨 두려고 한다.
오.40)

34. 다음 글에서 자음동화가 일어나는 말은 모두 몇 개인


가?34) 41. 다음 중, 음운의 변동이 다른 것은?41)
① 차돌 ② 우짖다 ③ 마소
우리는 6월 4일부터 6일까지 수학여행을 다녀왔다. 비
④ 숟가락 ⑤ 우는
록 2박 3일의 짧은 시간이었지만 유익하고 즐거운 시간이
었다. 첫 째날은 대천 해수욕장과 익산 미륵사지에 가 보
았고, 둘째 날은 무녕왕릉, 공산성, 부여 정림사지, 부여
42. 다음 중, 음운이 축약되는 낱말이 아닌 것은? 42)
박물관을 관람했으며 마지막 날은 계룡산을 등반하고, 오
는 길에 천안 독립 기념관을 들러서 서울로 돌아왔다. 고 ① 높으면 ② 젖히다 ③ 씹히면
등학교에 가서는 신라의 도읍지였던 경주도 가 보고 싶다. ④ 빨갛고 ⑤ 하얗다
① 3개 ② 4개 ③ 5개
④ 6개 ⑤ 7개
43. 다음 낱말의 발음을 쓰시오.43)

(1) 앞마당 [ ]
(2) 급류 [ ]
35. 다음 중 음절의 끝소리로 발음되는 자음이 아닌 것
은?35) 44. 다음 중, 낱말을 소리내어 읽은 것으로 알맞지 않은
① ㄱ ② ㄴ ③ ㄷ 것은?44)
④ ㄹ ⑤ ㅅ
① 낫[낫] ② 낱[낟] ③ 까닭[까닥]
④ 히읗[히읃] ⑤ 속리산[송니산]

45. 다음 낱말의 발음을 나타낸 것으로 바르지 못한 것

-3-
은?45) ( )란, 자음 ㄷ,ㅌ이 ㅣ 모음을 만나 ㅈ,ㅊ으로 바뀌
① 전라도[절라도] ② 급류[금유] ③ 담력[담녁] 는 음운 현상을 말한다.
④ 동래[동내] ⑤ 왕십리[왕심니]

46. 다음 예시를 보고, 겹받침이 있는 낱말을 찾아 쓰고, 54. 다음 낱말에서 일어난 음운의 변동은?54)
그 정확한 발음을 소리나는 대로 쓰시오. (4개 이 목화
상)46)

예시 : 넋[넉]

47. 다음 자음 동화의 낱말 중, 성격이 다른 것은? 47) 55. ‘김치를 담갔다’에서 탈락한 음운을 쓰시오.55)

① 독립 ② 입는 ③ 급류
④ 백로 ⑤ 십리

48. 다음 중, 음운 축약의 낱말이 아닌 것은? 48) 56. 맞붙어 있는 자음 중에서 앞의 자음이 바뀌어 발음되
는 낱말이 들어 있지 않은 것은?56)
① 하느님 ② 먹히다 ③ 남겨
④ 젖히다 ⑤ 빨갛고 ① 나는 얼큰한 국물을 좋아한다.
② 그 칼은 칼날이 매우 매섭다.
③ 경주는 신라의 수도다.
④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
49. 다음 중, 음운 탈락의 낱말이 아닌 것은? 49)
⑤ 저 청년은 앞날이 유망한 젊은이다.
① 다달이 ② 어지니 ③ 담가
④ 여닫이 ⑤ 놓으면

57. 다음 단어 중 축약이 일어난 경우가 아닌 것은?57)

50. 음운의 변동이 일어나는 기본적인 이유는 무엇인 ① 입학 ② 먹히다 ③ 닫히다


50) ④ 국화 ⑤ 안팎
가?
① 쓰여진 그대로 발음하기 위해
② 표음주의 원칙에 따르기 이해 58. ‘구개음화’가 일어나는 낱말이 들어 있지 않은 것
③ 발음을 쉽게 편하게 하기 위해 58)
은?
④ 다음 소리와 구분하여 발음하기 위해
⑤ 다른 사람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① 나는 우리 집은 맏이다.
② 질그릇은 겉이 투박이다.
③ 토함산에서 바라본 해돋이 감흥은 평생 잊지 못한다.
51. 다음 밑줄 그은 말 중 두 가지 이상의 음운의 변동이 ④ 대장간에는 쇠붙이가 흩어져 있다.
⑤ 부엌 설거지를 깨끗이 해 놓았구나.
동시에 일어나지 않은 것은? 51)
① 그런 세공은 흔 치 않아. 59. 다음 중 같은 종류의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낱말끼리
② 우표 붙 여 서 선생님한테 내라.
묶은 것은? 59)
③ 그 곳엔 그녀의 넋 만이 남았다.
④ 먹고 먹히는 관계가 먹이사슬이다. ① 차돌 - 국력 ② 밭머리 - 미닫이
⑤ 안정환의 골로 승리를 굳 힐 수 있었다. ③ 먹물 - 속리산 ④ 소나무 - 담력
⑤ 국화 - 왕릉

52. 다음 보기의 낱말 중 자음동화가 일어난 낱말을 모두 60. 다음 중 음운 탈락이 일어나는 것은?60)


찾으시오.52) ① 오 + 아 → 와
② 뜨 + 이 + 다 → 띄다
가을걷이, 파랗다, 그려, 담력, 소나무, 부삽, 갈이,
③ 쓰 + 어 → 써
마치, 노니, 반당이, 미뤄, 국화
④ 그리 + 어 → 그려
⑤ 맞추 + 어 → 맞춰
53.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53)

-4-
(음운 변동)

[ 정 답 ]

1) ¼ ③
2) ¼ ①
3) ¼ ④
4) ¼ ㄱㄴㄷㄹㅁㅂㅇ
5) ¼ ⑤

6) ¼ ①
7) ¼ 안치다
8) ¼ ①
9) ¼ ④
10) ¼ ②

11) ¼ ②
12) ¼ ⑤
13) ¼ ⑤
14) ¼ ①
15) ¼ ①

16) ¼ ③
17) ¼ ①
18) ¼ ②
19) ¼ ④
20) ¼ ①

21) ¼ ⑤
22) ¼ ⑤
23) ¼ ③
24) ¼ ③
25) ¼ ③

26) ¼ ④
27) ¼ 꼳빠치
28) ¼ ②
29) ¼ ①
30) ¼ ④

31) ¼ ⑤
32) ¼ ①
33) ¼ ③
34) ¼ ④
35) ¼ ⑤

36) ¼ ⑤
37) ¼ ④
38) ¼ ①
39) ¼ ②
40) ¼ 끝마치고

41) ¼ ④
42) ¼ ①
43) ¼ 암마당, 금뉴
44) ¼ ①
45) ¼ ②

46) ¼ 넓다[널따], 닭[닥], 밟다[밥따], 삶[삼]


47) ¼ ②
48) ¼ ①
49) ¼ ②
50) ¼ ③

51) ¼ ④
52) ¼ 담력
53) ¼ 구개음화
54) ¼ 음운축약
55) ¼ -탈락

56) ¼ ②
57) ¼ ⑤
58) ¼ ⑤
59) ¼ ③
60) ¼ ③

-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