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2023-2024년도 1학기 국어학개론 호찌민 인사대학교 한국학부 국어국문학과

음운론
1. 한국어에서 받침으로 사용되는 소리인 7개(7종성법)에 해당하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ㄱ, ㄴ, ㄷ, ㄹ, ㅁ, ㅂ, ㅇ/ ③ /ㄱ, ㄴ, ㄷ, ㅁ, ㅂ, ㅅ, ㅇ/

② /ㄱ, ㄴ, ㄷ, ㅁ, ㅂ, ㅅ, ㅇ/ ④ /ㄱ, ㄴ, ㄷ, ㄹ, ㅂ, ㅅ,ㅇ/

2. 다음 중 양순음에 해당하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ㄷ, ㄸ, ㅌ’ ② ‘ㅂ, ㅃ, ㅍ’ ③ ‘ㅁ, ㄴ, ㅇ’ ④ ‘ㄱ, ㄲ, ㅋ’

3. 다음 중 파찰음에 해당하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ㄷ, ㄸ, ㅌ’ ② ‘ㅂ, ㅃ, ㅍ’ ③ ‘ㅁ, ㄴ, ㅇ’ ④ ‘ㅈ, ㅉ, ㅊ’

4. 다음 중 공명음에 해당하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ㄷ, ㅂ,ㅅ’ ② ‘ㄹ, ㄴ, ㄱ’ ③ ‘ㅁ, ㄴ, ㅇ’ ④ ‘ㅇ, ㄹ, ㅋ’

5. 다음 중 한국어에서 끝소리로 올 수 없는 자음을 고르십시오.


① ‘ㄱ’ ② ‘ㄷ’ ③ ‘ㅅ’ ④ ‘ㅂ’

6. ‘두음법칙’이 일어나지 않는 한자어를 고르십시오.


① 노인 ② 내일 ③ 일요일 ④ 여자

7. 두 음운이 서로 만날 때, 두 음운이 한 음운으로 줄어드는 현상을 ___________이라 한다.


① 음운 탈락 ② 음운 대치 ③ 음운 축약 ④ 음운 첨가

8. 말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 한 음운이 아예 발음되지 않는 현상을 ___________이라 한다.


① 음운 참가 ② 음운 대치 ③ 음운 축약 ④ 음운 탈락

9. 다음에서 ‘CVC’구조로 이루어진 음절을 고르십시오.


① 가 ② 용 ③ 왕 ④ 말

10. 다음 중 음절의 끝소리 ‘ㅌ’이 ‘ㅊ’으로 소리가 나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밭은 ② 밭만 ③ 밭이 ④ 밭에

- 1 -
2023-2024년도 1학기 국어학개론 호찌민 인사대학교 한국학부 국어국문학과

11. 다음 중 음절의 끝소리가 다르게 소리가 나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옷은 ② 옷을 ③ 옷 안 ④ 옷으로

12. 다음 중 유음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겨울날 ② 전라도 ③ 근로자 ④ 상상력

13. 다음 중 음운 축약이 나타나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댓글 ② 김밥 ③ 좋다 ④ 있다

14. 다음 중 동일한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국물 ② 떡메 ③ 맨발 ④ 밥내

15. 다음 중 모음조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출랑출랑 ② 퐁당퐁당 ③ 보아서 ④ 묻어서

16. 다음 중 ‘탈락’이 일어난 것을 고르십시오.


① 살아도 ② 먹어도 ③ 써도 ④ 줘도

17. 다음 중 ‘설날’단어가 얼어난 음운현상을 고르십시오.


① 유음화 ② 비음화 ③ 격음화 ④ 경음화

18. 다음 중 ‘권력’단어와 알맞은 발음을 고르십시오.


① /궐력/ ② /권녁/ ③ /권력/ ④ /궐녁/

19. 다음 중 ‘위’단어와 알맞은 음절 유형을 고르십시오.


① CG ② GV ③ CV ④ V

20. 다음 중 위치동화 음운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신문 ② 진보 ③ 복도 ④ 감기

21. 다음 중 ‘ㄴ’ 첨가 음운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꽃잎 ② 김밥 ③ 서울역 ④ 염색약

- 2 -
2023-2024년도 1학기 국어학개론 호찌민 인사대학교 한국학부 국어국문학과

형태론
1. 다음 단어들을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로 나누어 보십시오.

① 하늘과 바다

② 사랑하다
③ 풋사랑

④ 자랑스럽다

2. 다음에서 형용사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춥다, 비리다, 멀다, 붓다 ③ 좋다, 조용하다, 닮다, 다르다
② 뜨겁다, 차갑다, 궁금하다, 같다 ④ 재미있다, 놀라다, 바쁘다, 서두르다

3. 다음에서 보통 명사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책상, 토끼, 겨울, 하늘 ③ 부산, 바다, 물고기, 바람
② 한복, 거리, 여행, 사진 ④ 교실, 회의, 어머니, 아리랑

4. 9품사 중에서 ‘어휘/실질형태소’가 아니고 주로 ‘체언에 붙어 체언의 문법적인 구실’을

나타내는 품사를 고르십시오.


① 조사 ② 수사 ③ 동사 ④ 관형사

5. 명사, 대명사, 수사와 같이 주로 문장의 주체 역할을 하는 말을 체언이라고 하고 동사, 형용사


는 _________이라고 한다.
① 용언 ② 수식언 ③ 관계언 ④ 독립언

6. 관형사와 부사와 같이 ‘다른 언어를 꾸며 주는 단어’를 ________이라고 한다.


① 가변어 ② 수식언 ③ 관계언 ④ 체언

7. 다음의 용언 중에서 ‘-는’과 결합할 수 없는 단어는 무엇인지 고르십시오.


① 듣다 ② 가다 ③ 높다 ④ 먹다

8. 한국어 용언(동사, 형용사)는 반드시 어간과 어미로 구성된다. 다음 단어를 어근과 접사, 어간
과 어미로 나누어 보십시오.

- 3 -
2023-2024년도 1학기 국어학개론 호찌민 인사대학교 한국학부 국어국문학과

① 먹다 →
② 사랑하다 →

③ 오시겠다 →

9. 다음 용언을 어근과 접사로 나누어 보십시오. <사랑하/다, 생각하/다, 먹이/고)

① 볶음밥

② 다듬이질
③ 먹이다

④ 날돼지고기

10. 다음에서 용언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사람, 간다, 먹는다, 학교 ③ 매우, 잘, 부른다, 오직

② 누구, 어디, 부른다, 가시다 ④ 오른다, 노래한다, 낮다, 공부하다

11. 다음에서 문장에서 형태가 변하는 품사는?


① 명사, 대명사 ② 동사, 형용사 ③ 조사, 감탄사 ④ 수사, 관형사

12. 다음에서 다른 언어를 꾸며 주는 구실만 하는 품사는?


① 형용사, 관형사 ② 명사, 수사 ③ 동사, 조사 ④ 부사, 관형사

13. 다음 단어 중에서 고유 명사에 해당하는 것은?


① 사람 ② 대전 ③ 토끼 ④ 장미

14. 다음 부사 중에서 정도 부사가 아닌 것을 고르십시오.


① 매우 ② 조금 ③ 거의 ④ 이미

15. ‘을/를’조사와 알맞은 구분으로 고르십시오.


① 주격조사 ② 호격조사 ③ 관형격조사 ④ 목적격조사

16. 다음 명사 중에 보통 명사와 맞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나라 ② 단군 ③ 서울 ④ 한강

- 4 -
2023-2024년도 1학기 국어학개론 호찌민 인사대학교 한국학부 국어국문학과

17. 다음 명사 중 문장에서 단독으로 쓰일 수 없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고유 명사 ② 자립 명사 ③ 의존 명사 ④ 보통 명사

18. 다음 중 격조사가 아닌 것을 고르십시오.


① 가 ② 에 ③ 도 ④ 만

19. ‘너 무슨 책을 읽었니?’ 문장에서 조사가 생략된 곳을 고르십시오.


① 너 ② 무슨 ③ 책을 ④ 읽었니

20. 다음 합성어 중에서 두 어근의 관계가 대등적으로 결합한 합성어는?


① 돌다리 ② 앞뒤 ③ 물병 ④ 눈물

21. 다음 단어 중에 단일어와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① 고양이 ② 종이컵 ③ 밥버거 ④ 방바닥

22. 다음 중 파생어에 해당하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국밥 ② 꽃병 ③ 헛수고 ④ 고추장

23. 다음 중 접두사가 쓰인 단어를 고르십시오.


① 맨손 ② 높이 ③ 눈웃음 ④ 지우개

24. 부정 부사에 해당하는 것은?


① 매우, 잘 ② 안, 못 ③ 이리, 그리 ④ 그러나, 그리고

25. 다음 중 ‘ㄷ 불규칙’용언에 속하는 것은?


① 닫다 ② 묻다 ③ 믿다 ④ 받다

- 5 -
2023-2024년도 1학기 국어학개론 호찌민 인사대학교 한국학부 국어국문학과

어휘와 표현
1. 어휘의 구분에서 차원이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① 합성어 ② 단일어 ③ 한자어 ④ 파생어

2. 한국어에서 어휘의 생성과 관련이 적은 것을 고르십시오.


① 형태의 파생 또는 합성 ③ 한자어와 외래어의 유입

② 자음 또는 모음의 교체 ④ 발음과 문법의 역사적 변화

3. ‘돌-’의 형태적 성격이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① 돌다리 ② 돌조개 ③ 돌감 ④ 돌김

4. 합성어의 결합 순서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① 여닫다 ② 폐개 ③ 연놈 ④ 부모

5. ‘볶음밥’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고르십시오.


① 컵라면 ② 물놀이 ③ 산나물 ④ 군소리

6. 일반적인 한국어 어순과 달리 다른 한자어를 고르십시오.


① 독서 ② 미인 ③ 남녀 ④ 대문

7. 외래어의 특징과 관련이 적은 것을 고르십시오.

① 한 언어의 어휘를 증가시켜 다양한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② 서로 다른 언어권 사이에서 문화와 문물이 오가면서 유입된다.
③ 고유어의 음운이나 문법, 의미 등의 특징을 따라 변화를 겪게 된다.
④ 아무리 오래 기간 동안 사용되어도 고유어와 동화되는 경우가 없다.

8. 고유어의 특징으로 알맞지 않은 것을 고르십시오.


① 감각어가 발달하였다. ③ 다의적인 어휘가 많다.

② 높임법이 발달하였다. ④ 음성적 유연성이 저조하다.

9. ‘보’의 형태적 성격이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 6 -
2023-2024년도 1학기 국어학개론 호찌민 인사대학교 한국학부 국어국문학과

① 책보 ② 털보 ③ 뚱뚱보 ④ 느림보

10. ‘높푸르다’가 해당하는 어휘 구분의 차원과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① 파생어 ② 합성어 ③ 반복 합성어 ④ 합성어의 파생

11. 다음 중 통합적 합성어가 아닌 것을 고르십시오.


① 풋사랑 ② 손쉽다 ③ 겁나다 ④ 뛰놀다

12. ‘부슬비, 산들바람’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어휘를 고르십시오.


① 곱슬머리 ② 돼지고기 ③ 검버섯 ④ 산나물

13. ‘감감하다 : 깜깜하다 : 캄캄하다’의 대응과 관련되는 내용을 고르십시오.


① 모음 교체 ② 자음 교체 ③ 반복 합성 ④ 어휘 차용

14. 다음 중 파생어의 성격이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① 연구자 ② 과학자 ③ 교육자 ④ 눈동자

15. 한자어의 특징으로 적절한 것을 고르십시오.


① 생산성이 높고 축약력이 강하다. ③ 한자는 어근으로만 기능한다.

② 대부분 한 글자가 한 단어로 쓰인다. ④ 한자의 배열은 반드시 한국어의 어순을 따른다.

16. 다음 중 고유어에 해당하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매미 ② 김치 ③ 꼴인 ④ 냄비

17. 주체의 객체에 대한 겸양 표현과 관련되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뵙다 ② 계시다 ③ 주무시다 ④ 잡수시다

18. 어릴 적부터 친분이 아주 가까운 성인 청자를 부를 때 가장 널리 쓰이는 호칭을 고르십시오.


① 철수야 ② 철수 씨 ③ 김철수 님 ④ 김철수 선생

19. 남성중심어로 볼 수 없는 직업을 고르십시오.


① 의사 ② 사장 ③ 군인 ④ 비서

- 7 -
2023-2024년도 1학기 국어학개론 호찌민 인사대학교 한국학부 국어국문학과

20. 누나가 자기 남동생의 아내를 부르는 호칭어와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① 자네 ② 올케 ③ 형수 ④ 제부

21. 다음 중 객체를 높이는 말이 아닌 것을 고르십시오.


① 계시다 ② 여쭈다 ③ 모시다 ④ 드리다

22. 전문어의 성격에서 어긋나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당의성이 풍부하다. ③ 감정적인 의미가 개입되지 않는다.
② 신어의 생성이 활발하다. ④ 기본 어휘로 사용되는 경향이 적다.

23. 다음 중 남녀 통용어에 해당하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예쁘다 ② 학생 ③ 여우 ④ 신사

24. 다음 중 밑줄 친 부분과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① 선생님께 여쭐 말씀이 있습니다.


② 할머니를 댁까지 차로 데려다 드렸다.
③ 선생님, 잠깐만 앉아 있으시겠습니까?

④ 사장님께서 나를 사무실로 오시라고 했다.

25. 다음 중 밑줄 친 부분과 알맞지 않은 것을 고르십시오.


① 형, 나는 할머니 좀 뵙고 갈게.
② 오늘 회의에 쓸 자료를 과장님께 주셨다.
③ 어머니는 할머니를 모시고 병원에 가셨다.
④ 선생님은 학생에게 이름이 뭐냐고 여쭸다.

- 8 -
2023-2024년도 1학기 국어학개론 호찌민 인사대학교 한국학부 국어국문학과

통사론
1. 다음 중 ‘선어말어미’가 쓰인 단어는?
① 먹이다 ② 드시다 ③ 갖추다 ④ 오시다

2. ‘높이시었다’를 어간과 어미로 바르게 나눈 것은?


① 높-이시었다 ② 높이-시었다 ③ 높이시-었다 ④ 높이시었–다

3. ‘모든 사람이 영화를 보았다.’문장에서 주성분이 아닌 것을 고르십시오.


① 모든 ② 사람이 ③ 영화를 ④ 보았다

4. ‘그는 베트남을 아주 사랑한다.’ 문장에서 부속성분에 해당하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그는 ② 베트남을 ③ 아주 ④ 사랑한다

5. ‘비가 왔다. 그러나 그녀는 천천히 걸었다.’문장에서 주성분을 모두 찾아 바르게 묶은 것?


① 비가, 그녀는, 천천히, 걸었다 ③ 비가, 왔다, 그녀는, 걸었다

② 비가, 왔다, 그러나, 걸었다 ④ 비가, 왔다, 그러나, 천천히

6. ‘나무야, 빨리 잘 자라라.’ 문장에서 ‘나무야’의 문장 성분은?


① 주어 ② 보어 ③ 서술어 ④ 독립어

7. 다음 문장 중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이 아닌 것은?


① 겨울이 되니 날씨가 추워졌다. ③ 비가 오는데 바람은 불지 않는다.
② 돈이 생기면 우리 같이 여행 가자. ④ 동생은 공부하러 학교에 갔습니다.

8. 문장의 종결 표현에 의한 문장의 종류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서문답)


① 창문 좀 열어 주시겠어요?
② 별이 참 아름답구나!
③ 우리는 아침으로 빵을 먹었어.
④ 수선아, 어서 와서 밥 먹어. 명령문
⑤ 오늘 점심 학교 근처 생긴 식당에 가 볼래?

- 9 -
2023-2024년도 1학기 국어학개론 호찌민 인사대학교 한국학부 국어국문학과

9. 다음 문장 중 대등적으로 이어진 문장이 아닌 것은?


① 비가 오거나 눈이 올 것 같다.

② 날씨는 안 좋지만 기분은 상쾌했다.


③ 부지런히 일하면 누구나 성공할 수 있다.
④ 산으로 가든지 바다로 가든지 빨리 결정하세요.

10. 다음 안긴문장 중 서술절이 나타난 문장을 고르십시오.


① 선생님께서는 손이 예쁘십니다.

② 그녀는 예고도 없이 집을 떠났다.

③ 비가 오는 날에는 한국인이 전을 먹는다.


④ 한국어를 공부하는 것은 어렵지만 재미있어요.

11. 다음 안긴문장 중 성격이 다른 문장을 고르십시오.


① 나는 내가 실수한 것을 알았다.

② 언니는 색깔이 빨간 옷을 좋아한다.


③ 초등학생이 이 문제를 풀기는 어렵다.
④ 나는 그가 고향을 떠났음을 알고 있었다.

12. 다음 중 대등적 연결어미가 아닌 것을 고르십시오.


① -(으)며 ② -지만 ③ -거나 ④ -도록

13. 다음 중 연결어미가 아닌 것을 고르십시오.


① -고 ② -기 ③ -(으)러 ④ -(으)면

14. 다음 안긴문장 중 관형절이 나타난 문장을 고르십시오.


① 과일은 감이 제일 맛있다.
② 그는 범인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다.
③ 한국어는 베트남어와 달리 성조 체계가 없다.
④ 선생님은 내일까지 과제를 제출해야 한다고 하셨다.

- 10 -
2023-2024년도 1학기 국어학개론 호찌민 인사대학교 한국학부 국어국문학과

의미론
1. 유의어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형태적 동일성 ② 의미적 동일성 ③ 통사적 유사성 ④ 용법적 유사성

2. ‘두 어휘 사이에 형태가 다르며 뜻이 서로 대립되는 관계가 나타나는 것’을 적절한 지칭을

고르십시오.
① 유의어 ② 다의어 ③ 반의어 ④ 상의어

3. 극성 대립 관계에 해당하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살다/죽다 ② 높다/낮다 ③ 하늘/땅 ④ 빨리/천천히

4. ‘버스에 타다, 불이 타다’에서 ‘타다’와 관련된 것을 고르십시오.


① 유의 관계 ② 다의 관계 ③ 상하 관계 ④ 동음이의 관계

5. ‘머리를 흔들다, 머리가 좋다, 책상머리’에서 나타나는 ‘머리’와 관련된 것을 고르십시오.


① 유의성 ② 다의성 ③ 대립성 ④ 동음이의성

6. ‘극장 안이 어두워서 자리를 찾기 힘들었다.’중 밑줄 친 부분과 반대한 단어를 고르십시오.


① 흔해서 ② 환해서 ③ 가득해서 ④ 뚜렷해서

7. ‘그는 생김새가 좀 무섭다.’중 밑줄 친 부분과 비슷한 단어를 고르십시오.


① 바탕 ② 무늬 ③ 자취 ④ 모습

8. 한국어에서 ‘아빠-아버지’사이의 유의적 양상으로 적절한 것을 고르십시오.


① 한 쪽이 방언에 속한다. ③ 한 쪽이 다른 쪽에 비해 의미가 강하다.
② 한 쪽이 유아어에 속한다. ④ 한 쪽이 다른 쪽에 비해 더 도덕적이다.

9. ‘위/아래’의 대립 관계와 성격이 같지 않은 것을 고르십시오.


① 좋다/나쁘다 ② 가르치다/배우다 ③ 남자/여자 ④ 추위/더위

10. 다음 중 속담이 아닌 것을 고르십시오.

- 11 -
12 시험 예상문제.hwp

① 가는 날이 장날이다. ③ 닭 잡아먹고 오리발 내민다.


② 머리에 피도 안 마르다. ④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11. 다음 문장 중 연어(連語)가 나타나지 않은 것을 고르십시오.


① 장가를 가더니 철 많이 들었구나!

② 그녀는 위로하려는 어떤 노력도 쓸데없었다.

③ 좋은 사람을 만나 국수를 먹여 줄 때가 아니야?


④ 콜록콜록하는 것을 보니 감기에 걸린 것 같구나!

12. 연어의 특징으로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① 형식의 고정성 ③ 제3의 의미 생성

② 의미의 불투명성 ④ 구성요소의 자유로운 교체

13. 관용어의 특징과 알맞지 않은 것을 고르십시오.


① 의미적 불투명성 ③ 은유와 연상을 통한 의미 실현
② 형식적 고정성 ④ 특정 상황에서의 제한적 적용

14. 관용어의 표현상의 특징에서 벗어나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함축적 ② 구어적 ③ 대중적 ④ 격식적

15. 속담의 성격과 알맞지 않은 것을 고르십시오.


① 교훈성 ② 관습성 ③ 풍자성 ④ 전문성

16. 다음 중 ‘춥다’가 통합될 수 없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성격 ② 바람 ③ 날씨 ④ 겨울

17. ‘열심히 공부했다면 시험에서 떨어지지 않았을 텐데..’문장에 밑줄 친 부분과 바꿀 수 있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간을 먹지 ② 마음을 먹지 ③ 국수를 먹지 ④ 미역국을 먹지

18. 다음 중 ‘감다’동사가 결합될 수 없는 것을 고르십시오.


① 눈을 ② 문을 ③ 머리를 ④ 붕대를

- 1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