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5. 표준어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지역적 특색과 향토적 정서 및 친근감이 드러난다.

5. 마음과 마음을 잇는 언어의 끈 ① 공식적인 자리에서 발표나 강의를 할 때 ② 제시된 글을 모두 표준어로 바꾸면 다소 딱딱한 느낌
② 농촌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문학 작품에서 이 들 것이다.
(1) 듣기 ․ 말하기 방법의 다양성 ③ 오랜만에 만난 고향 친구들과의 식사 자리에서 ③ 표준어로 표현하면 ㉠은 ‘자전거’, ㉡은 ‘오토바이’로
④ 특정 지역 사람을 대상으로 한 라디오 방송에서 바꿀 수 있다.
⑤ 영화에서 특정 지역의 분위기를 드러내고자 할 때 ④ ㉢은 어떤 지역 사람들에게도 의사소통의 혼란을 주
[1~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2. (나)에서 알 수 있는 ‘나’의 말하기 방식으로 적절한 지 않을 것이다.
것은? ⑤ ㉣은 표준어로 ‘왜 왔다 갔다 하면서 떠드는 겁니
(가) 나 보는 기 매해서 ① 비속어를 활용하여 상대방에게 친밀감을 전하였다. 까?’라고 바꿀 수 있다.
들구번질 저는 ② 상대방의 기분을 배려하여 간접적인 표현을 활용하 6. 다음은 ‘표준어’에 대해 정리한 자료이다. ㉠~㉤ 중,
입두 쩍 않구 신질루 보내 드릴 기래요. 였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③ 상대방에게 자극을 주기 위해 직설적인 표현을 활용 • 표준어의 개념: 한 나라에서 공용어로 쓰는 규범으로
영변에 약산 빈달배기 하였다. 서의 언어 ……………………………………………… ㉠
참꽃 ④ 앞으로 일어날 상황을 미리 제시하여 상대방을 설득 • 표준어의 조건
한 보텡이 따더 내재는 질가루 훌훌 뿌레 줄 기래요. 하였다. 1. 계급적 조건: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말 ㉡ 9. 다음에서 ㉠과 ㉡에 알맞은 말로 짝지어진 것은?
⑤ 적절한 관용 표현을 활용하여 옷이 어울리지 않는 이 2. 지역적 조건: 서울말 ……………………………… ㉢ 한 언어에서 지역적으로 분화되어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내걸리는 발자구발자구 유를 설명하였다. 3. 시대적 조건: 현대에 쓰이는 말 ………………… ㉣ 사용하는 말을 ( ㉠ )(이)라고 하고, 계층적으로 분화
내꼰진 참꽃을 • 표준어의 바람직한 사용 방법 되어 세대, 성별, 직업 등에 따라 특징적으로 사용하는
찌져 밟구 정이 살페 가시우야. 1. 공식적인 상황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해 말을 ( ㉡ )(이)라고 한다.
3. (나)에서 ‘나’와 ‘경수’가 갈등을 겪은 근본적인 이유 야 함.
나 보는 기 재수바리 웂어 로 가장 적절한 것은? 2. 지역 방언을 대체하여 언어의 단일화를 추구해야 ㉠ ㉡
내튈 저는 ① 상대방의 말을 곧이곧대로 들었기 때문이다. 함. …………………………………………………… ㉤ ① 표준어 지역 방언
죽으면 죽었지 찔찔 짜잖을 기래요. ② 장소에 따라 적절한 말하기를 구사하지 못했기 때문 ② 표준어 사회 방언
이다. ① ㉠ ② ㉡ ③ ㉢ ③ 지역 방언 표준어
(나) ◯월 ◯일 ◯요일 ③ 상황에 맞게 비언어적 표현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 ④ ㉣ ⑤ ㉤ ④ 지역 방언 사회 방언
친구 경수와 함께 옷을 사러 갔다. 경수는 마음에 드 기 때문이다. ⑤ 사회 방언 지역 방언
는 옷을 발견하고는 나에게 그 옷이 잘 어울리는지 물어 ④ 서로에게 수치심과 불쾌감을 주는 언어 표현을 활용
봤다. 나는 속으로 그 옷의 디자인이나 색이 경수에게 했기 때문이다.
안 어울린다고 생각했지만, “그런대로 괜찮아.”라고 에 ⑤ 의사소통을 할 때 상대방의 듣기‧말하기 방법을 이해 7. 표준어와 지역 방언의 관계를 바르게 서술한 것은?
둘러 대답했다. 이렇게 말하면 다른 옷을 고를 줄 알았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①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어떠한 상황에도 표준어를
는데, 경수는 내 말을 곧이곧대로 듣고 그 옷을 샀다. 사용해야 한다. [10~15] 다음 대화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집에 돌아와 씻고 나오니 경수에게 문자 메시지가 와 ② 표준어에 비해 지역 방언은 향토색이 강하므로 사용
있었다. 을 자제해야 한다. (가) 할아버지 1 자네 ㉠춘부장께서는 편안하신가?
4. 다음 중, (가)와 (나)의 말하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
“집에서 아까 산 옷을 다시 입어 봤는데 나한테 너무 ③ 같은 지역 사람들끼리 연대감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할아버지 2 가친께서는 건강하시네그려. 자네야말로 몸
하지 않은 것은?
안 어울려. 그냥 솔직하게 말해 주지 그랬어. 나라면 반드시 지역 방언을 사용해야 한다. 버리지 않게 조심하게.
사지 말라고 말했겠다.” ④ 표준어와 지역 방언을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한 일이
친구의 기분을 배려해서 말한 것도 모르고 경수가 내 므로 상황 맥락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나) 여학생 어제 드라마 대박. ○○ 오빠 더럽이야.
탓을 해서 서운한 마음이 들었다. ⑤ 표준어와 지역 방언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으므 남학생 나는 볼 때마다 고답이 ㉡같던데.

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구사하여야 한다. 어른 거참, 무슨 말인지 알 수가 없군.

1. (가)에 대한 학생들의 감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다) 인물 1 안녕하십니까? 저는 ◯◯◯라고 합니다. 처


① 이 시를 읽은 강원도 지역 사람들은 친밀감을 느꼈을 음 뵙겠습니다.
거야. 8. 다음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인물 2 ㉢아, 네, 안녕하세요. 저는 △△△라고 해요.
② 다른 지역 사람들은 이 시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울 ① (가)는 공식적인 상황의 말하기이다. “아마 여러분들두 느끼셨을 중 알고 있습니다마는, 풀 인물 1 시장하실 텐데 뭘 좀 드시겠습니까?
거야. ② (나)는 비공식적인 상황의 말하기이다. 에 갬겨서 ㉠자즌거가 안 나가구 ㉡오도바이가 뒤루 인물 2 배가 쪼금 고프네요. (음식 사진을 손으로 가리키며)
③ 기존에 익숙한 말로 된 시를 변형한 것을 보니 우리 ③ (가)에 비해 (나)의 말하기는 지역적 특성이 두드러진 가는 헹편이더라 이겝니다. 풀 벼서 남 줘유? 퇴비허 저는 요걸로 할게요.
말의 다양함이 느껴져서 좋았어. 다. 면 누구 농사가 잘되느냐 이 얘깁니다. 식전 저녁으루 인물 1 잠시 전화 좀 받겠습니다. (전화하며) 어, 웬일이
④ 표준어로 표현하는 것보다 강원도 방언으로 시를 쓰 ④ (가)에 비해 (나)의 말하기는 지역이 다른 사람들은 두 짐쓱만 벼유. 그런디 저기, ㉢저 구석은 뭣 땜이 냐? 급한 일 아니면 끊어. (전화를 끊고) 실례가 많았습
니 향토적 특징이 드러나는 것 같아.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어났다 앉었다 허메 방정 떠는겨? ㉣왜 왔다리 갔다 니다.
⑤ 화자의 정서를 표현하는 데에 있어서는 표준어가 더 ⑤ (나)에 비해 (가)에 사용된 말하기는 같은 지역 사람 리 허구 떠드는겨?” - 이문구, 「우리 동네 김씨」 인물 2 아뇨, 뭐……. 그럴 수 있죠. 안 그래요?
적합하므로, 문학은 표준어로 쓰는 것이 좋겠어. 들에게 강한 친밀감을 유발한다.

[1/5] [2/5]
(라) 신경외과장 부종은 좀 어때? 12. <보기>를 참고하여 (다)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 15.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몇 시간 후, 서준이 쟁반을 들고 할머니와 엄마가 계신 거실
전공의 시티상 조금 줄어들긴 했지만 아직도 많이 부어 지 않은 것은? ① ㉠: 남의 아버지를 높여 부르는 말이다. 로 나간다.

있어서 만니톨 100시시씩 여섯 번 나눠 주고 ㉣있습 <보기> ② ㉡: 상대방에게 친근함을 드러내는 비격식적인 표현


니다. 성별에 따라 듣기‧말하기 방법에 차이가 나타난다. 일 이다. 서준 할머니, 차 끓여 왔어요. 드셔 보세요.
신경외과장 통증 조절은? 반적으로 남성은 격식체와 직설적 표현을 많이 사용하는 ③ ㉢: 말하는 이의 놀람이나 느낌 등을 나타내는 감탄 할머니 이거 뭐우꽈?
전공의 에이에이피로 하고 있습니다. 경향이 있고, 여성은 비격식체와 부드럽고 완곡한 표현 사에 해당한다. 서준 ㉣귤강차예요. 할망, ⓐ맨도롱 똣똣헐 때 확 들이
신경외과장 많이 아파하는 거 같으면, 봐서 엔시드나 모 을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④ ㉣: 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하는 격식적인 표현이다. 킵서.
르핀 반 앰풀 주고 뇌부종 좀 빠지면 보고해. 만니톨 ⑤ ㉤: 특정 직업군 내에서 정확하고 빠르게 의사소통할 엄마 서준이가 제주도 말을 물어봐서 제가 조금 알려 줬
도 좀 줄여도 될 거 같다. 보호자는? ① ‘인물 1’은 친분에 관계없이 격식체를 사용하고 있다. 수 있게 한다. 어요.
전공의 어디 나가신 것 같은데요? ② ‘인물 1’은 직설적인 표현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 할머니 (웃는 표정으로 차를 마시며) ㉤맛 조수다게.
신경외과장 멘탈 스투퍼니까 걱정하시지 않게 말씀 잘 으로 보아 남성일 것이다.
드리고. ③ ‘인물 2’는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는 부가 의문문을 18. 이 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전공의 네, 알겠습니다. 사용하고 있다. ① ‘서준’은 청소년 세대가 쓰는 말을 사용하였다.
④ ‘인물 2’는 비격식체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② ‘엄마’는 ‘서준’과 ‘할머니’ 사이의 의사소통에 도움을
(마) 전공의 머리에 이데마가 있고 디프레션해야 해서 보아 여성일 것이다. 주었다.
우선 머리는 열어 놨어요. 교통사고 환자라 미드라인 ⑤ 성별에 따라 듣기·말하기 방법에 차이가 생기는 이유 16. 다음 밑줄 친 말 중 방언의 성격이 다른 것은? ③ ‘서준’은 ‘할머니’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자신의
다 밀려 있던 상태여서 의식이 돌아와도 예전처럼 생 는 성 역할을 구분 짓는 사회적 고정 관념 때문이다. ① 우리 담임샘은 진짜 짱이야. 말하기 방법의 잘못을 인정하였다.
활하기 힘들 수도 있습니다. ② 마마, 수라상을 들이겠습니다. ④ ‘서준’이 ‘할머니’의 말을 이해하지 못한 이유는 ‘할
환자 보호자 이데마가 뭐예요? ③ 그 영화 대사가 정말 사이다였어. 머니’가 제주도 방언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전공의 아, 이데마가 뭐냐면……. ㉤부종! ④ 우야꼬! 오빠는 갈수록 애비가네예. ⑤ ‘서준’과 ‘할머니’의 의사소통이 어려웠던 이유는 두
환자 보호자 그럼 머리가 부었단 말이에요? ⑤ 지나가던 길에 완전 샤방샤방한 완소남을 봤어. 사람의 듣기․말하기 방법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10. (가)~(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가)는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② (나)에서 ‘어른’은 청소년 세대 대화를 이해하지 못하 13. (라)에서 주로 사용된 듣기‧말하기 방법의 특징을
고 있다. <보기>에서 모두 골라 묶은 것은?
③ (다)에서 ‘인물 1’과 ‘인물 2’는 주로 사용하는 표현 <보기>
이 다르지만, 의사소통에는 무리가 없다. ㄱ. 집단 내에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한다. 17. 다음 중, 방언의 요인에 따른 예가 적절하지 않은 19. ㉠~㉤ 중, 방언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④ (라)는 (다)에 비해 외국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ㄴ. 특정 지역의 향토적 특색이 두드러진다. 것은? ① ㉠ ② ㉡ ③ ㉢
⑤ (가)~(마)에 사용된 언어는 계층에 따라 분화된 사회 ㄷ. 같은 직업군에 속한 사람들끼리 사용한다. ① 나이에 따른 방언 – 할머니, 할망 ④ ㉣ ⑤ ㉤
방언에 해당한다. ㄹ. 주된 기능은 집단의 비밀을 유지하는 것이다. ② 성별에 따른 방언 – 언니, 오빠
③ 세대에 따른 방언 – 훈남, 자당(慈堂)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지역에 따른 방언 – 국시, 정구지
④ ㄴ, ㄹ ⑤ ㄷ, ㄹ ⑤ 직업에 따른 방언 – 이데마, 모르핀

20. ⓐ를 표준어로 바르게 바꾸어 쓴 것은?


① 따뜻할 때 어서 드세요.
② 너무 뜨거우니 식혀서 드세요.
③ 물이 더 필요하면 말씀하세요.
11. (가)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8~20] 다음 대화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④ 부드러운 맛이니 음미하며 드세요.
① (가)에서는 ‘-ㄴ가, -게’ 등의 격식체를 사용하고 있다. 14. (마)에서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로 ⑤ 맛이 쓴 편이니 한 번에 확 드세요.
② (가)에서는 ‘춘부장, 가친’ 등의 한자어를 많이 사용 적절한 것은? 할머니 (서준의 방에 갑자기 들어오며) 서준아, ㉠무승 거

하고 있다. ① 대화 참여자의 성별이 다르기 때문이다. 허염나?

③ (나)에서는 ‘더럽, 고답이’ 등의 외래어를 많이 사용 ② 대화 참여자의 출생 지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서준 (놀라며) 할머니, 그렇게 ㉡갑툭튀하면 놀라잖아요.

하고 있다. ③ 대화 참여자의 개인적 성향이 다르기 때문이다. 할머니 갑툭튀? 그게 ㉢뭐우꽈?

④ (나)에서는 ‘대박’처럼 종결 어미 없이 끝나는 말을 ④ 대화 참여자가 특정 세대에서 사용되는 말을 사용했 서준 갑자기 툭 튀어나왔다는 말이에요. (시큰둥하게) 할

사용하고 있다. 기 때문이다. 머니께서 제주도 방언으로 말씀하시니까 이해하기 어

⑤ (가)와 (나)를 통해 세대에 따라 말하기 방식에 차이 ⑤ 대화 참여자가 특정 직업군에서 사용되는 말을 사용 렵잖아요.

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했기 때문이다. 할머니 ……. (서운한 표정으로 방을 나간다.)

[3/5] [4/5]
10. (가)에서는 ‘할아버지 1’과 ‘할아버지 2’ 모두 노년
세대의 듣기‧말하기 방법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이 원활하
5. 마음과 마음을 잇는 언어의 끈
게 이루어지고 있다.
(1) 듣기․ 말하기 방법의 다양성

11. (나)의 ‘더럽, 고답이’ 등은 청소년 세대에서 주로


형성 평가 사용하는 어휘로, 외래어가 아니라 은어나 줄임말에 해
당한다.
1. ⑤ 2. ② 3. ⑤ 4. ⑤ 5. ① 6. ⑤
7. ⑤ 8. ④ 9. ④ 10. ① 11. ③ 12. ①
12. ‘인물 1’이 처음 만난 ‘인물 2’에게는 격식체를 사용
13. ② 14. ⑤ 15. ⑤ 16. ④ 17. ①
하고 있으나, 전화 통화를 할 때에는 비격식체를 사용하
18. ③ 19. ④ 20. ①
고 있다. 즉 ‘인물 1’은 친분 정도에 따라 격식체와 비격
식체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1. 지역 방언은 각 지역의 향토적 특성을 담고 있어, 문
학 작품, 영화나 드라마 등에서 생동감이나 현장감과 같
13. (라)에서는 같은 직업군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를
은 표현 효과를 얻기 위해 자주 쓰인다. 따라서 문학은 사용하고 있다(ㄷ). 전문 용어는 해당 직업군 내에서 의
표준어로 쓰는 것이 좋겠다는 감상은 적절하지 않다. 사소통을 원활하게 한다(ㄱ). ㄴ은 지역 방언의 특징이
고, ㄹ은 은어의 특징이다.
2. ‘나’는 옷이 ‘경수’에게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했지
만, ‘경수’의 기분을 배려하여 자신의 의견을 간접적으로
14. (마)에서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이
표현하였다. 유는 ‘전공의’가 ‘환자 보호자’에게 일반이이 이해하기
어려운 의학 분야의 전문 용어를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3. ‘나’는 간접적인 표현을 사용한 반면, ‘경수’는 직접적
인 표현을 사용하였다. 즉 ‘나’와 ‘경수’가 서로의 듣기‧
15. ㉤은 일반인인 ‘환자 보호자’가 의학 분야의 전문 용
말하기 방법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의사소통 과정에
어인 ‘이데마’를 이해하지 못하자, ‘환자 보호자’가 이해
서 갈등이 발생한 것이다. 할 수 있도록 쉽게 풀이해 준 말이다. ⑤의 설명은 전문
용어에 해당한다.
4. (가)는 공식적인 상황에서 표준어를 사용하였고, (나)
는 비공식적인 상황에서 지역 방언을 사용하였다. 같은
16. ④의 ‘우야꼬’, ‘애비가네예’는 ‘어떡하지’, ‘야위어가
지역 사람에게 친밀감을 유발하는 것은 표준어가 아니라
네요’라는 뜻을 지닌 지역 방언이다. 나머지 문장에 사
지역 방언이다. 용된 ‘담임샘’, ‘짱’, ‘마마’, ‘수라상’, ‘사이다’, ‘샤방샤
방한’, ‘완소남’ 등은 사회 방언에 해당한다.
5. 표준어는 한 나라에서 공용어로 쓰는 규범으로서의
언어이므로, 공식적인 자리에서 발표나 강의를 할 때에
17. ‘할망’은 ‘할머니’의 경북, 제주 방언이다. 따라서 ①
는 표준어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은 나이에 따른 방언이 아니라 지역에 따른 방언에 해당
한다.
6. 표준어와 지역 방언은 담화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모든 지역 방언 18. ‘서준’은 ‘할머니’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제주
을 표준어로 대체하여 언어의 단일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도 방언을 미리 알아보고 ‘할머니’와의 대화에 적극적으
것은 적절하지 않다.
로 참여하였다. 이는 ‘서준’이 듣기‧말하기 방법의 다양
성을 이해하고 존중한 것이지, 자신의 말하기 방법의 잘
7. 표준어와 지역 방언은 그 쓰임과 효과가 다르므로, 못을 인정한 것은 아니다.
담화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해야 한다. 즉,
표준어와 지역 방언은 상호 보완적 관계에 있다.
19. ㉠, ㉢, ㉤은 지역 방언에 해당하고, ㉡는 사회 방언
에 해당한다.
8. 제시된 문장에는 충청도의 지역 방언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충청도 이외의 다른 지역 사람들에게는 의사소통 20. ⓐ는 ‘따뜻할 때 어서 드세요.’라는 뜻의 제주도 방
의 혼란을 줄 수 있다. 언이다.

9. 지역에 따라 분화된 말을 ‘지역 방언’이라고 하고, 계


층적으로 분화된 말은 ‘사회 방언’이라고 한다.

[5/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