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5.

(나)의 ㉮와 ㉯를 바탕으로 떠올릴 수 있는 속담으 (다) 사과는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잘못을 인정하고 용
5. 마음과 마음을 잇는 언어의 끈 로 가장 적절한 것은? 서를 비는 말하기로, 사과하는 말을 할 때에는 상대방
①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의 기분을 살펴야 한다.
(2) 언어 예절을 갖추어 대화하기 ②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③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④ 겨 묻은 개가 똥 묻은 개를 나무란다
[1~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 이 글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은? ⑤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① 대화는 두 사람 이상이 참여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가) 대화는 두 사람 이상이 모여 서로의 생각과 느낌
② 대화에 참여한 사람들은 서로를 존중하려는 태도가
을 말로 표현하고 이해하는 활동이다. 우리는 일상생활
필요하다.
에서 늘 대화를 하다 보니 대화의 밑바탕이 되는 기본
③ 대화의 기본 원리는 서로에게 예의를 갖추어 정중하
원리에 소홀할 때가 있다. 대화에 참여한 사람들이 서
게 대하는 것이다.
로를 존중하고 서로에게 예의를 갖추어 정중하게 대하
④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늘 대화의 기본 원리를 정확하
는 것이 곧 대화의 기본 원리이다.
게 지키며 소통하고 있다. (라) 언어 예절이란 대화를 할 때 지켜야 할 예절로서,
⑤ 대화를 할 때에는 서로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것 상대방을 존중하는 마음을 언어로 표현하는 사회적 관
뿐만 아니라 서로의 생각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다. 습이다. 대화 내용 자체는 타당하더라도, 대화 상황이
[6~1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나 대화 상대에 맞게 적절하게 말하지 않으면 언어 예
(가) 건의는 개인이나 단체가 의견이나 희망 사항을 내 절에 어긋날 수 있다. 언어 예절을 지키지 않으면 다른
2. (나)의 내용 전개 방식을 <보기>에서 골라 바르게 놓는 말하기로, 건의하는 말을 할 때에는 부탁할 때와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고,
묶은 것은? 마찬가지로 상대방이 부담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을 고려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보기> 해야 한다. 대화할 때에는 대화 상황과 대화 상대에 맞게 언어 예
위의 대화 상황에서 남학생은 병원에 입원하신 할아
ㄱ. 통시적인 관점에서 대상의 변천 과정을 설명하고 절을 갖추어 말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버지께 안부 인사를 하고 있다. 하지만 ㉠문병을 간 상
있다.
황에서는 아픈 사람에게 “안녕하세요?”와 같이 인사하
ㄴ. 생소한 용어의 사전적 개념을 설명하며 글을 마무 6. 이 글의 중심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는 것이 예의에 어긋나는 말하기가 될 수 있다. 이처럼
리하고 있다. ① 항상 사회적 관습을 지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대화에서는 말하는 내용 자체가 정당하더라도 대화 상
ㄷ.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내 ② 원만한 인간관계를 위해 모든 사람이 노력해야 한다.
황이나 대화 상대에 맞지 않으면 적절한 말하기로 받아
용을 설명하고 있다. ③ 대화 상황과 대화 상대에 맞게 언어예절을 갖추어야
들여지지 않을 수 있다. 지금부터 다양한 대화 상황을
ㄹ. 두 대상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바람직한 한다.
살펴보면서 어떻게 말하는 것이 언어 예절을 갖추어 말
말하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④ 어느 상황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언어 예절을 익혀
하는 것인지 알아보자.
야 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⑤ 상대를 설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말하기 방식을 구
(나) ( ⓐ )은 다른 사람에게 어떤 일을 해 달라고 청
④ ㄴ, ㄹ ⑤ ㄷ, ㄹ (나) 거절은 다른 사람의 부탁이나 제안을 받아들이지 사할 수 있어야 한다.
하거나 맡기는 말하기로, 부탁하는 말을 할 때에는 상
않고 물리치는 말하기로, 거절하는 말을 할 때에는 상
대방이 ( ⓑ )을 가질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대방이 부담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3. ㉠의 상황에서 ‘남학생’이 할 수 있는 말로 가장 적
절한 것은?
①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② 할아버지, 몸은 좀 어떠세요?
③ 할아버지, 얼마나 상심이 크십니까? 7. (가)의 ㉰와 ㉱의 말하기 방법에 대해 설명으로 적
④ 별로 안 다치신 것 같은데, 빨리 퇴원하세요. 절하지 않은 것은?
⑤ 할아버지, 배고파요! 여기 과일 먹어도 돼요? ① ㉰와 ㉱는 모두 감정을 절제하고 차분하게 말하고
있다.
㉲의 남학생은 여학생의 제안에 구체적인 이유를 제
② ㉰는 상대방에게 문제가 심각하다는 사실을 각인되
㉮의 남학생은 여학생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자기 시하지 않은 채 거절 의사만을 성의 없이 밝히고 있다.
4. ⓐ~ⓓ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게 할 수 있다.
가 원하는 바를 직접적으로 말함으로써 상대방에게 부 이러한 말하기는 상대방의 부담을 크게 함으로써 부탁
ⓐ ⓑ ⓒ ⓓ ③ ㉰는 실현하기 어려운 방안을 제시하여 상대방에게
담을 주고 있다. 반면에 ㉯의 남학생은 먼저 자기 처지 이나 제안을 한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할 수 있으며,
① 권유 부담 편안 배려 부담을 주고 있다.
를 설명하고, 자기가 원하는 바를 “미안하지만 ~ (해)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인간관계에도 안 좋은 영향을 줄
② 권유 반감 완곡 고려 ④ ㉱는 상대방에게 문제 해결을 위해 실현 가능한 방
줄래?”라고 ( ⓒ )하게 말함으로써 상대방의 부담을 수 있다. ㉳의 남학생은 여학생의 제안에 먼저 공감을
③ 부탁 부담 완곡 배려 안을 제시하고 있다.
덜어 주고 있다. 이처럼 부탁하는 상황에서는 자기 처 표현한 후, 자기가 그 제안을 받아들일 수 없는 구체적
④ 부탁 부담 편안 생각 ⑤ ㉱는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기 전에 인사말을 하여
지를 설명하고 상대방의 입장을 ( ⓓ )하여 상대방이 인 이유를 제시하며 정중하게 말하고 있다.
⑤ 부탁 반감 완곡 생각 상대방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부담을 덜 수 있게 말하는 것이 좋다.

[1/5] [2/5]
8. (나)를 바탕으로 할 때, 거절하는 상황에서의 말하기 서준 ⓒ(엄마의 말을 끊으며) 저 지금 바빠요. 14.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8. <보기>의 상황에서 필요한 말하기 방법으로 알맞
태도로 적절한 것은? 엄마 ⓓ그래? 오늘밖에 예약이 안 된다고 해서 오후 ① 필요 없는 말을 지나치게 길게 하고 있다. 은 것은?
① 완곡하고 정중한 태도로 구체적인 이유를 들어 거절 시간으로 예약했거든. ② 심리적 거리감을 느끼게 하는 말하기이다. <보기>
한다. 서준 그냥 다음 주에 가면 안 돼요? ③ 상대방의 의견에 동의하며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 상황: 낮에 친구의 손목시계를 실수로 떨어뜨려 시계
② 상대방의 제안이 자신에게 매우 부담이 된다는 것을 엄마 ⓔ안 돼. 저녁 먹기 전에 얼른 다녀와. ④ 의사소통이 잘되지 않은 이유를 자기 탓으로 돌리고 유리가 깨졌다.
강조한다. 서준 (들릴 듯 말 듯하게) 동생 혼자 다녀와도 되잖아요. 있다.
③ 상대방이 부담을 덜 수 있도록 거절의 이유는 직설 엄마 ㉮응? 엄마가 잘 못 들어서 그러는데, 다시 한번 ⑤ 상대방이 말하는 도중에 끼어들어 상대방의 기분을 ① 부탁하는 말하기
적으로 제시한다. 말해 줄래? 상하게 하고 있다. ② 사과하는 말하기
④ 상대방이 기분이 상하지 않도록 제안을 수용한 뒤 서준 아니에요. 다녀올게요. ③ 건의하는 말하기
나중에 거절을 한다. ④ 거절하는 말하기
⑤ 부탁이나 제안을 한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할 수 있 11. (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⑤ 위로하는 말하기
으므로 되도록 거절을 하지 않는다. ① 가까운 사람일수록 공손성의 원리가 잘 지켜진다. 15. 격식을 갖추어 대화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를
②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대화의 원리를 이해해 <보기>에서 바르게 골라 묶은 것은?
야 한다. <보기>
9. (다)의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③ 순서 교대의 원리란 청자와 화자의 역할이 원활하게 ㄱ. 대화 상황
① 남학생은 상대방의 감정을 자극하는 말을 하고 있 바뀌는 것이다. ㄴ. 청자의 나이 19.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다. ④ 대화 상황에서 공손성의 원리를 지키지 않으면 관계 ㄷ. 화자의 직업 학급 문고에 읽고 싶은 책이 있었는데 한 친구가 그
② 여학생은 공손하지 못한 남학생의 사과를 수용하지 가 악화될 수 있다. ㄹ. 화자와 청자의 관계 책을 빌려 가서 몇 주째 반납하지 않고 있다. 학급 회
못하고 있다. ⑤ 대화를 할 때에는 상대방에게 공손하지 않은 표현은 의 시간에 학급 문고의 도서 대출 기간을 정하자고 □
③ 남학생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였으나 자신 없는 태 자제하는 것이 좋다. ① ㄱ, ㄴ ② ㄱ, ㄷ □해 봐야겠다.
도로 말하고 있다. ③ ㄱ, ㄴ, ㄷ ④ ㄱ, ㄴ, ㄹ
④ 남학생이 진심 어린 사과를 하지 않아 여학생의 기 ⑤ ㄴ, ㄷ, ㄹ
분을 상하게 하고 있다.
⑤ 남학생은 상대방의 기분을 고려하지 않아 더 큰 갈 12. 다음 중, ㉠이 잘 지켜지지 않은 것은?
등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① 영희: 오늘 비 온다는데, 우산 챙겼어? 20. <보기>의 상황에서 언어 예절을 지킨 표현으로 가
철수: 응, 일기 예보 보고 챙겼지. 너는? 16. 다음 중, 언어 예절에 어긋나는 표현이 아닌 것은? 장 적절한 것은?
② 민호: (우울한 표정으로) 이번에 수학 성적이 너무 ① (문병할 때) 얼마나 고생이 되십니까? <보기>
10. (라)를 바탕으로 언어 예절을 지켜야 하는 이유를 떨어져서 걱정이야. ② 선생님, 숙제가 너무 많아요. 줄여 주세요. 상황: 이미 봉사 활동 약속이 잡혀 있어 주말에 낚시를
한 문장으로 쓰시오. 준혁: 그 성적에서 더 떨어질 성적이 있어? ③ 할머니, 생일 축하해요. 건강하게 오래 사세요. 가자는 할아버지의 제안을 받아들일 수 없을 때
③ 엄마: 시간이 많이 늦었는데 이제 자야 되지 않겠니? ④ 야, 크게 좀 말해. 목소리가 작아서 안 들리잖아.
상혁: 제 일은 제가 알아서 할게요. ⑤ (지나가는 사람의 발을 밟았을 때) 저기요, 앞 좀 ① 할아버지, 저 바빠서 못가요. 다음에 가요.
④ 진영: 유진아 이번에 소풍은 어디로 갈지 정해야 되 보고 다니세요. ② 할아버지, 저 주말에 봉사 활동하러 가야 돼요.
[11~1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거든, 좋은 생각 있어? ③ 할아버지, 제가 한가한 줄 아세요? 아빠랑 가세요.
유진: 귀찮아, 너희들이 알아서 해. ④ 할아버지, 아쉽지만 선약이 있어서 낚시에 가지 못
(가) 대화의 원리 가운데 ㉠순서 교대의 원리와 공손성
⑤ 지연: 현기야, 시간 좀 내줄래? 너에게…… 할 것 같아요. 다음 주는 어떠세요?
의 원리를 이해하면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데 도움
현기: (말을 끊으며) 뭔데? 빨리 말해봐. 17. 다음 학생의 말하기가 언어 예절에 어긋나는 이유 ⑤ 할아버지, 저 낚시 싫어해요. 왜 제가 싫어하는 걸
이 된다. 순서 교대의 원리란 의사소통 상황에 맞게 청
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같이 하자고 하세요? 정말 너무해요.
자와 화자의 역할이 원활하게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공손성의 원리란 대화를 하는 사람들끼리 서로 공손하
고 예절 바르게 말을 주고받는 것을 의미한다. 공손하
13. ⓐ~ⓔ에 대한 평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다는 것은 어느 정도의 심리적 거리감을 포함하는 것이
① ⓐ: ‘서준’이 ‘엄마’를 보지 않은 채 대화를 하는 것
기 때문에 가까운 사이일수록 공손성의 원리를 지키기
은 바람직한 태도가 아니다.
가 어렵다. 가깝고 친하다는 이유로 함부로 말하면 인
② ⓑ: ‘엄마’는 자신의 처지를 먼저 밝히며 ‘서준’에게
간관계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공손성의 원리를 지켜
부탁하고 있다.
말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③ ⓒ: ‘서준’은 순서 교대의 원리를 어겨 원활한 대화
를 방해하고 있다. ① 상대방이 부담을 느끼게 말하고 있다.
(나) 엄마 (서준의 방에 들어오며) 서준아.
④ ⓓ: ‘엄마’는 ‘서준’의 반응에 대해 감정적으로 반응 ② 대화 장소에 맞지 않은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서준 ⓐ(휴대 전화를 들여다보며) 저녁 먹으라고요?
하여 관계를 악화시키고 있다. ③ 상대방에게 적합하지 않은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엄마 ⓑ아니, 엄마가 지금 저녁 준비하느라 바빠서 그
⑤ ⓔ: 직접적이고 단호한 표현으로, ‘서준’에게 부담을 ④ 상대방을 지나치게 높이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러는데, 동생 데리고 치과 좀 다녀오면 안 될까? 너
줄 수 있다. ⑤ 자신의 입장만 이야기하고 있어 상대방의 기분을 상
도 정기 검진 받아야 하고…….
하게 하고 있다.

[3/5] [4/5]
9. ㉴의 남학생은 사과를 하고는 있으나 잘못의 원인을
여학생에게 돌리고 있으므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였다
5. 마음과 마음을 잇는 언어의 끈
고 보기 어렵다. 또한 자신 없는 태도가 아니라 당당한
(2)언어 예절을 갖추어 대화하기
태도를 보이고 있다.

형성 평가 10. (라)에서 언어 예절을 지키지 않으면 다른 사람들


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고 원만한
1. ④ 2. ⑤ 3. ② 4. ③ 5.③ 6. ③ 7.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대화할 때
① 8. ① 9. ③ 10. 언어 예절을 지키지 않으
에는 대화 상황과 대화 상대에 맞게 언어 예절을 갖추
면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
어 말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하였다.
문이다. 11. ① 12. ⑤ 13. ④ 14. ④ 15.
④ 16. ① 17. ③ 18. ② 19. 건의 20. ④
11. (가)에서 공손하다는 것은 어느 정도의 심리적 거
리감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까운 사이일수록 공
1. (가)에서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늘 대화를 하다 보니
손성의 원리를 지키기가 어렵다고 하였다.
대화의 밑바탕이 되는 기본 원리에 소홀할 때가 있다고
하였다.
12. 순서 교대의 원리는 의사소통 상황에 맞게 청자와
화자의 역할이 원활하게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⑤에서
2. (나)에서는 적절한 예와 그렇지 못한 예를 들어(ㄷ),
‘현기’는 ‘지연’이 말하는 도중에 말을 끊고 자신의 말
둘을 비교함으로써 부탁하는 상황에서의 바람직한 말하
만 하고 있으므로, 순서 교대의 원리에 어긋난다.
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ㄹ).

13. ⓓ에서 ‘엄마’는 ‘서준’의 언어 예절에 어긋난 태도


3. 문병할 때에는 상대방에게 “좀 어떠십니까?”, “얼마
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부탁을 하게 된 입장으로 구체적
나 고생이 되십니까?”, “속히 나으시기 바랍니다.” 등
으로 설명하고 있다.
의 말을 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4. ㉮에서 ‘엄마’는 ‘서준’의 말을 잘 듣지 못한 이유,


4. 다른 사람에게 어떤 일을 해달라고 청하는 것을 ‘부
즉 의사소통이 잘되지 않은 이유를 자기 탓으로 돌려
탁(ⓐ)’이라고 하며 부탁하는 말을 할 때에는 상대방에
말하고 있다.
게 ‘부담(ⓑ)’을 줄 수 있다. ㉯의 남학생은 ‘완곡(ⓒ)’
한 표현과 상대방으 입장을 ‘배려(ⓓ)’하는 표현으로 상
15. 격식을 갖추어 대화하기 위해 화자는 자기와 청자
대방의 부담을 덜어 주고 있다.
의 관계(ㄹ), 청자의 나이(ㄴ), 대화 상황(ㄱ) 등을 고려
하여 적절한 높임 표현과 어휘를 선택해야 한다.
5. ㉮와 ㉯에서는 남학생의 말하기 방식에 따라 여학생
의 반응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떠올릴
16. ①은 상대방의 상황을 염려하고 있으므로, 문병이
수 있는 속담으로는 ‘남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해야
라는 대화 상황에 맞게 언어 예절을 지킨 표현이다.
자기에게도 좋은 반응이 돌아온다.’라는 뜻인 ③이 적
절하다.
17. ‘수고하다’는 ‘일을 하느라고 힘을 들이고 애를 쓰
다.’라는 의미로, 동료나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표현이
6. 이 글은 대화 상황에 따른 바람직한 말하기 방법을
다. 이를 손윗사람인 선생님에게 사용하면 언어 예절에
제시하고, 대화할 때에는 대화 상황과 대화 상대에 맞
어긋난 표현이 된다.
게 언어 예절을 갖추어 말하도록 노력해야 함을 서술하
고 있다.
18. <보기>는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잘못을 인정하고
용서를 빌어야하는 상황이므로, ‘사과하는 말하기’가 필
7. ㉱와 달리 ㉰는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감
요하다.
정적으로 말하고 있다.

19. 주어진 상황은 학급 문고의 도서 대출 기간에 대한


8. 거절하는 상황에서는 상대방이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의견을 내놓으려는 상황이므로 ‘건의’에 해당한다.
거절의 구체적인 이유를 제시하며 완곡하고 정중g하게
말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대방의 기분을 고려하며 거
20. <보기>의 상황을 거절하는 상황이다. 거절을 할
절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받아들일 수 없는 제
때에는 상대방의 기분을 고려하여, 먼저 공감을 표현한
안을 무조건 수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후 거절의 이유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좋다.

[5/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