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대화의 협력 원리와 대화 함축

1. 대화의 협력 원리(Cooperative principle) (Grice, 1975)

1) 일반적인 협력 원리
- 대화 참여자는 일반적으로 협력의 원리를 따르려 함.
- 아래 격률들을 고려하여 말을 하거나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려고 함.
- 일반적인 협력 원리
“대화가 진행되는 각 단계에서 대화의 방향이나 목적에 의해 요구되는 만큼 기여를 하라.”

2) 대화 협력 원리의 하위 격률1)

- 현재의 대화 목적에 요구되는 만큼 이야기할 것.


(1) 양의 격률
- 필요한 것 이상의 정보를 주지 말 것.

- 당신의 기여를 참이 되게 노력할 것.


(2) 질의 격률 - 거짓이라고 믿는 것은 말하지 말 것.
- 적절한 증거가 없는 것을 말하지 말 것.

(3) 관련성의 격률 - 관련 있는 것을 말할 것.

- 분명하고 구체적으로 말할 것.
◾ 모호성을 피하라.
(4) 태도의 격률 ◾ 중의성을 피하라.
◾ 간단하게 말하라.
◾ 순서를 지키라.

- 질의 격률, 양의 격률, 관련성의 격률은 말하는 내용을 규제하는 격률이며,


태도의 격률은 말하는 방식을 규제하는 격률임.

2. 대화 함축(Conversational implicature)

1) 함축의 개념

함축 - 추론에 의해 얻어진 의미

1) 그라이스는 대화의 격률을 서로 별개의 것으로 제시하였지만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음. 가령, ‘적절한 것을 말
하라’라는 관련성의 격률은 불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말라는 점에서 양의 격률로 볼 수도 있음.
- 일부러 대화 협력의 원리를 위배하는 경우, 청자는 대화 함축을 파악해야 함

2) 대화 협력의 하위 격률 위배 사례

A: 시험 준비는 잘 돼 가?
→ ‘관련성의 격률’을 의도적으로 위반함.
B: 밥이나 먹으러 가자.

(새로 만난 친구와의 대화) 처음 만난 친구에게 호감을 느끼는 상황이


A: 국적이 어디예요? 라면 자신에 대한 정보를 의도적으로 많이
B: 저는 한국 사람이에요. 강원도 춘천 → 제공하고 가까워지고 싶은 의도가 있을 수
에서 태어났고요 춘천시에서 계속 살았어 있음.
요. _______격률 위반 사례가 될 수 있음.


A: 요즘 살이 너무 쪄서 걱정이야.
옷이 잘 안 맞아.
→ _______격률을 의도적으로 위반함.
B: 너무 신경 쓰지 마.
너는 약간 통통한 게 더 어울려.


(시한부 환자와 의사의 대화)
환자: 선생님, 제 병은 나을 수 있을까
의사는 환자를 위해 의도적으로 거짓을 말
요? →
하고 있으므로 _______격률을 위반함.
의사: 그럼요, 환자의 의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부하직원과 상사의 대화)
직원: 과장님, 혹시 제가 다음 주에 휴가 과장은 직원의 질문에 명확히 답하지 않고
를 내도 될까요? → 긍정과 부정의 여지를 모두 남겨 두고 있
과장: 글쎄...다음 주에 중요한 일정이 음. ________격률을 위반함.
있지 않았나? 한번 생각해 보도록 하지.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