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2023 2학기 기말고사 학교 :

목운중2 2주차 재시험지 이름 :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 (가)~(라)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① 백성들이 글자를 몰라서 어려움을 겪었다.
O
(가)
② 우리의 말과 글자가 모두 존재하지 않았다.
‘벌목 금지’. 나무를 ③ 백성들은 한자를 읽을 수 있었지만 쓸 수는 없었다.
베면 안 되는 거 제가
④ 세종 대왕은 백성들이 한자를 쉽게 익힐 수 있는 방법을
몰라요? 글자를 몰라서
그만……. 고민했다.
⑤ 학자들은 국어를 전면적으로 한자로 표기할 수 있는 방법
을 찾아냈다.

(나)
2) 세종 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이후에 벌어질 일로 적절하
이것을 보면 농사의
글을 읽을 수가 지 않은 것은?
비법을 알 수 있다고? ① 안부가 궁금한 사람들에게 편지를 쓸 수 있다.
있어야 비법을
알지요……. ② 농사의 비법을 책으로 전해 널리 퍼뜨릴 수 있다.
③ 백성들이 글자를 몰라서 법을 어기는 일을 막을 수 있다.

ㅇ 백성들이 한자도 쉽게 익혀서 한자로 의사소통할 수 있다.
⑤ 백성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글로 널리 알릴 수 있다.

(다)

중국의 한자를 빌려서 3) 세종 대왕이 ㉠을 만들 때 고려했을 사항으로 알맞은 것은?


우리말을 쓰고 있으니 백성들이 글자를
① 이웃 나라의 글자를 본떠서 만들어야겠군.
읽고 쓰는 데 어려움이 많구나. 내가 백성들을 위해
② 지배층들이 쓰기 쉬운지를 먼저 생각해야겠군.
새로 ㉠ 글자를 만들어야겠군. 백성들이 쉽게 익혀서
편히 사용할 수 있는 글자를……. ③ 한자와 최대한 모양이 비슷하게 만들어야겠군.
백성들이 한자를 몰라 큰
④ 누구나 쉽게 익혀서 백성들도 문자 생활을 할 수 있게 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야겠군.
⑤ 문학 작품을 쓰기에 유용하게 만들어서 많은 문학 작품을
남겨야겠군.

(라) 4) 한글을 창제한 목적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잘 지내냐고 편지라도 쓰고 ① 왕이 자신의 권위를 과시하기 위하여
시집간 우리 딸은 잘 싶은데, 글을 알아야 편지를 ② 백성들이 편리하게 의사소통하게 하려고
O
지내는지……. 쓰지요. ③ 중국의 한자를 더 이상 쓸 수 없게 되어서
④ 외국에서 새로운 글자를 들여 왔기 때문에
⑤ 백성들이 불만을 크게 제기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 1 - 가연T: 010-4435-6485
5) 한글이 만들어진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9) 자음자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것은? ① 자음 기본자는 ‘ㄱ, ㄴ, ㄷ, ㄹ, ㅁ’이다.
① 자음 기본자는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② ‘ㅌ, ㄸ’은 같은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이다.
② 자음자는 소리의 세기에 따라 기본 글자에 획을 추가하여 ③ 자음 기본자는 상형의 원리에 의해 만들어졌다.
만들었다. ④ ‘ㅋ, ㅌ, ㅍ, ㅊ, ㅎ’은 자연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③ 모음 기본자는 하늘, 땅, 사람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⑤ 자음 기본자에서 한 획을 더한 글자로는 ‘ㄲ, ㄸ, ㅃ, ㅆ,
④ 모음자는 발음할 때 혀의 상태와 모양을 고려하여 만들었다. ㅉ’을 들 수 있다.
⑤ 자음자와 모음자 모두 기본자를 활용하여 이차적 글자를
만들었다.

6) 자음 기본자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0) 모음자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모음 기본자는 3개이다.
기본자 글자를 만든 원리 ② ‘ㅏ’, ‘ㅗ’는 모음 기본자에 해당한다.
③ ‘·’는 현재 사용하지 않는 모음이다.
① ㄱ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뜸.
④ 모음끼리 서로 결합하여 다른 모음을 만들 수 있다.
⑤ 모음 기본자는 하늘, 땅, 사람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② ㄴ 혓바닥이 윗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뜸.

③ ㅁ 입술 모양을 본뜸.

④ ㅅ 이 모양을 본뜸.

서술형1) <보기>의 휴대 전화 문자판에 반영된 한글 창제


⑤ ㅇ 목구멍 모양을 본뜸.
의 원리를 〈조건〉에 맞게 쓰시오.

7) 가획의 원리를 보여 주는 예가 아닌 것은?


① ㄱ ➜ ㅋ ② ㄷ ➜ ㅌ ③ ㅂ ➜ ㅃ
④ ㅅ ➜ ㅈ ⑤ ㅇ ➜ ㆆ

8) 〈보기〉의 공통점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ㅌ, ㅍ, ㅊ, ㅎ 휴대 전화 자판에 반영된 자음과 모음의 원리를 각각


밝혀쓸 것.
① 한글의 자음 기본자이다.
② 상형의 원리에 의해 만들어졌다.
③ 자연의 모습을 본떠서 만든 글자이다.
④ 자음 기본자에 획을 두 번 더해서 만들어졌다.
⑤ 자음 기본자를 가로로 나란히 써서 만들어졌다.

- 2 - 가연T: 010-4435-6485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2) (라)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 한글은 자판에 입력할 때 자음과 모음 자판을 각각 눌러
(가)
야 한다.
한글은 단순하고 체계적인 문자로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다. 먼저 한글은 다른 문자에 비해서 글자 수가 적다. 한 ㅇ
② 중국어, 한국어, 일본어 순으로 컴퓨터 자판의 입력 시간
이 짧다.
자의 수는 5만 개 이상이고, 일본어의 수는 가타카나와 히
③ 한글은 자판에 표시된 글자를 바로 입력해서 쉽고 빠르게
라가나를 합하면 100여 개가 된다. 그나마 문자의 수가 적
일처리가 가능하다.
은 로마자 알파벳도 대문자와 소문자를 합하면 50여 개이
④ 중국어의 경우 발음을 알파벳으로 입력하고, 해당하는 한
다. 반면에 한글은 40개의 적은 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자를 찾아서 선택해야 한다.
⑤ 일본의 가나는 알파벳으로 발음을 입력한 후에 해당하는
(나)
문자로 바꾸어야 한다.
다음으로 한글은 기본자를 먼저 만들고 이를 확장하여
다른 글자를 만든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문자이다. 자음 기
본자 ‘ㄱ, ㄴ, ㅁ, ㅅ, ㅇ’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들
었고, 발음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른 자음자를 만들었다.
㉠예를 들어 ‘ㅋ’은 ‘ㄱ’보다 거세게 발음되므로 ‘ㄱ’에 획
을 더하여 만든 것이다. 한편, 모음은 자연의 모양을 본떠
모음 기본자 ‘ , ㅡ, ㅣ’를 만들고 이를 합하여 ‘ㅏ, ㅓ,
13) ㉠과 같은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로 알맞은 것은?
ㅗ, ㅜ, ㅑ, ㅕ, ㅛ, ㅠ’ 등 다른 모음자를 만들었다. 따라서
한글은 기본 원리만 알면 누구나 쉽게 익힐 수 있다.

① ㅌ ② ㅅ ③ ㄴ ④ ㅁ ⑤ ㄹ

(다)
마지막으로 한글은 하나의 글자가 하나의 소릿값을 가진
다. 예를 들어 한글의 ‘ㅗ’는 항상 [오]로 발음하지만, 영어
알파벳 ‘o’는 단어에 따라서 [오](dog), [아](top), [오
우](no) 등 다양하게 발음한다.
서술형2) 〈보기〉의 쓰기 방식을 각각 쓰고, (가)의 쓰기 방
식이 주는 장점을 모두 쓰시오.
(라)
중국의 한자와 일본 가나는 알파벳으로 발음을 입력하고
나서 해당 문자로 변환해야 한다. 자판에 표시된 문자가 (가) 목표는 오직 백 점

[)
입력하는 즉시 기록되는 한글의 컴퓨터 업무 능력은 중국 (나) ㅁㅗㄱㅍㅛㄴㅡㄴㅇㅗㅈㅣㄱㅂㅐㄱㅈㅓㅁ
한자나 일본 가나보다 일곱 배 이상의 경제적 효과가 있
다. 모아

11) 윗글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풀어쓰기
① 한글은 배우기는 어렵지만 응용하기가 쉽다.
② 한글은 한자와 알파벳에 비해 글자 수가 많다. 장점 : 읽기쉽다 . 이해하기 쉽다 .

③ 자음 기본자는 모두 10자이며, 모음은 5자이다.



④ 자음 기본자와 모음 기본자는 모두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 ※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졌다.
(가)
⑤ 한글은 한자를 활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
한글은 단순하고 체계적인 문자로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진 것이다.
있다. ㉠먼저 한글은 다른 문자에 비해서 글자 수가 적다.
한자의 수는 5만 개 이상이고, 일본어의 수는 가타카나와
히라가나를 합하면 100여 개가 된다. 그나마 문자의 수가
적은 로마자 알파벳도 대문자와 소문자를 합하면 50여 개
이다. 반면에 한글은 40개의 적은 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 3 - 가연T: 010-4435-6485
(나) 서술형3)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두 상황을 비교하여
다음으로 ㉡한글은 기본자를 먼저 만들고 이를 확장하여 정보화 시대에 한글의 장점을 쓰시오.
다른 글자를 만든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문자이다. 자음 기
본자 ‘ㄱ, ㄴ, ㅁ, ㅅ, ㅇ’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들
었고, ㉢발음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른 자음자를 만들었다.
예를 들어 ‘ㅋ’은 ‘ㄱ’보다 거세게 발음되므로 ‘ㄱ’에 획을
더하여 만든 것이다. 또한 ‘ㄲ’은 같은 발음 위치에서 소리
나는 ‘ㄱ’을 옆으로 나란히 붙여 만든 것으로 모양의 연관
성이 있다. 한편, 모음은 ㉣자연의 모양을 본떠 모음 기본
자 ‘, ㅡ, ㅣ’를 만들고 이를 합하여 ‘ㅏ, ㅓ, ㅗ, ㅜ, ㅑ, ㅕ,
ㅛ, ㅠ’ 등 다른 모음자를 만들었다. 따라서 한글은 기본
원리만 알면 누구나 쉽게 익힐 수 있다.

(다)
마지막으로 한글은 ㉤하나의 글자가 하나의 소릿값을 가
진다. 예를 들어 한글의 ‘ㅗ’는 항상 [오]로 발음하지만, 영
어 알파벳 ‘o’는 단어에 따라서 [오](dog), [아](top), [오
우](no) 등 다양하게 발음한다.

(라)
중국의 한자와 일본 가나는 알파벳으로 발음을 입력하고
나서 해당 문자로 변환해야 한다. 자판에 표시된 문자가 입
력하는 즉시 기록되는 한글의 컴퓨터 업무 능력은 중국 한
자나 일본 가나보다 일곱 배 이상의 경제적 효과가 있다.

14) (다)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보기〉에 들어갈 글자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ㄴ ➜ ㄷ ➜ ㅌ
ㅁ ➜ ( ⓐ ) ➜ ( ⓑ )
ㅅ ➜ ( ⓒ ) ➜ ( ⓓ )
ㅇ ➜ ( ⓔ ) ➜ ㅎ

① ⓐ: ㅂ ② ⓑ: ㅍ ③ ⓒ: ㅈ
④ ⓓ: ㅊ ⑤ ⓔ: ㅁ

15)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 한글은 기본자가 적어서 외우기가 쉽다.
② ㉡: 기본자에 가획, 병서, 합성을 하여 확장하였다.
③ ㉢: 발음이 비슷하면 모양도 비슷하게 만들었다.
④ ㉣: 모음 기본자는 하늘, 땅, 바다를 본뜬 것이다.
⑤ ㉤: 한글은 항상 하나의 글자에 하나의 소릿값을 가진다.

- 4 - 가연T: 010-4435-648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