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유튜브_ 불휘기픈국어

cafe.naver.com/deeprootkr

2강. 음운의 변동①_개념+교체

1. 다음 중 교체 현상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① 꽃[꼳] ② 부엌[부억] ③ 안팎[안팍] ④ 솜이불[솜니불] ⑤ 꽃 아래[꼬다래]

2. 다음 중 음운의 변동이 일어나지 않은 것은?

① 국밥[국빱] ② 꽃이[꼬치] ③ 굳이[구지] ④ 종로[종노] ⑤ 닭[닥]

3. <보기>의 단어들을 음운 변동의 결과에 따른 유형으로 구분하시오.

<보기>
삶[삼], 한여름[한녀름], 국화[구콰], 좋아[조아], 좁다[좁따], 꽃말[꼰말]
(1) 교체
(2) 탈락
(3) 축약
(4) 첨가

4. 음절의 끝소리에서 발음되는 대표음을 모두 쓰시오.

5. 다음 중, 발음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백로[뱅노] ② 밖[박] ③ 끝[끗] ④ 학교[학꾜] ⑤ 산[산]

6. 다음 단어의 발음을 쓰시오.

(1) 국 (9) 낮 (17) 밥물


(2) 산 (10) 쫓다 (18) 심리
(3) 굳다 (11) 부엌 (19) 십 리
(4) 알다 (12) 솥 (20) 칼날
(5) 감 (13) 숲 (21) 신라
(6) 밥 (14) 히읗 (22) 굳이
(7) 옷 (15) 밖 (23) 같이
(8) 강 (16) 있다 (24) 갈등

-1-
유튜브_ 불휘기픈국어
cafe.naver.com/deeprootkr

7. 다음 중 구개음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를 고르시오.

① 굳이 ② 해돋이 ③ 밭이 ④ 밭을 ⑤ 같이

8. 다음 중 된소리되기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를 고르시오.

① 국수 ② 안기다 ③ 꽃다발 ④ 밥도 ⑤ 읽을 수가

9. 다음 중 비음화가 일어나는 단어끼리 묶인 것을 고르시오.

① 벚나무, 꽃망울 ② 칼날, 광안리 ③ 얇으니, 입는 ④ 독립, 해돋이 ⑤ 학문, 난리

10. 다음 중 자음 동화의 변화 방향이 다른 것을 고르시오.

① 신라 ② 밥물 ③ 벚나무 ④ 동백나무 ⑤ 강릉

11. 다음의 ㉠~㉤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A형 11번

※ 다음 단어들을 발음해 보고 단계별 활동을 수행해 보자.

부엌, 간, 옷, 빚, 달, 섬, 앞, 창

(1) 음절 끝의 자음이 바뀌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해 보자.


( ㉠ )
(2) 음절 끝의 자음이 안 바뀌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지 알아보자.
( ㉡ )
(3) 음절 끝의 자음이 바뀌는 경우에는 어떤 자음으로 변하는지 정리해 보자.
( ㉢ )
(4) (3)과 동일한 음운 변동이 일어난 예들을 더 찾아보자.
( ㉣ )
(5) 이상의 활동을 바탕으로 음절 끝에서 발음되는 자음의 목록을 정리해 보자.
( ㉤ )

① ㉠: 음절 끝의 자음이 바뀌지 않는 경우는 ‘부엌, 간, 달, 섬, 창’이다.


② ㉡: 음절 끝의 자음이 예사소리일 때에는 바뀌지 않는다.
③ ㉢: 음운 변동이 일어나면 ‘ㄱ, ㄹ, ㅂ’ 중 하나로 바뀐다.
④ ㉣: ‘밖’과 ‘밑’을 음운 변동의 예로 추가할 수 있다.
⑤ ㉤: 음절 끝에서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 발음된다.

-2-
유튜브_ 불휘기픈국어
cafe.naver.com/deeprootkr

12. <보기>의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A형 11번

<보기>

학 생: ‘식물’이 [싱물]로 발음되는데, 두 자음이 만나서 발음될 때 조음 위치나 방식 중 무엇을 바뀐


것인가요?
선생님: 아래의 자음 분류표를 보면서 그 답을 찾아봅시다.
조음 위치
양순음 치조음 연구개음
조음 방식
파열음 ㅂ ㄷ ㄱ
비음 ㅁ ㄴ ㅇ
이 표는 국어 자음을 조음 위치와 조음 방식에 따라 분류한 자음 체계의 일부입니다. ‘식’의
‘ㄱ’이 ‘물’의 ‘ㅁ’ 앞에서 [ㅇ]으로 발음되지요. 이와 비슷한 예들로는 ‘입는[임는]’, ‘뜯는[뜬는]’
이 있는데, 이 과정에서 무엇이 달라졌나요?
학 생: 세 경우 모두 두 자음이 만나서 발음될 때, ㉠ 이/가 변했네요.

① 앞 자음의 조음 방식 ② 뒤 자음의 조음 방식
③ 두 자음의 조음 방식 ④ 앞 자음의 조음 위치
⑤ 뒤 자음의 조음 위치

13. <보기>의 ㉠에 추가할 수 있는 단어로 적절한 것은?


2014학년도 3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13번

<보기>
표준 발음법 제18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ㅎ), ㅂ(ㅍ. ㄼ. ㄿ. ㅄ)’은 ‘ㄴ, ㅁ’ 앞에서 [ㅇ, ㄴ, ㅁ]으
로 발음한다.
◦ 예: 국민[궁민], 앞마당[암마당]·········································㉠

① 국물 ② 먹이 ③ 밤낮 ④ 손재주 ⑤ 가을걷이

14. <보기>에서 설명한 음운 현상과 관계가 있는 질문이 아닌 것은?


2014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A형 11번

<보기>
동화란 한 음운이 앞이나 뒤에 있는 음운의 영향을 받아 그 음운과 닮아 가는 현상이다. 대표적인 동화 현
상으로는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등이 있다.

① ‘붙이다’는 왜 [부티다]가 아니라 [부치다]로 소리 날까?


② ‘집안일’은 왜 [지바닐]이 아니라 [지반닐]로 소리 날까?
③ ‘권력’은 왜 [권력]이 아니라 [궐력]으로 소리 날까?
④ ‘먹는다’는 왜 [멍는다]로 소리 날까?
⑤ ‘굳이’는 왜 [구지]로 소리 날까?

-3-
유튜브_ 불휘기픈국어
cafe.naver.com/deeprootkr

15. 다음은 ‘받침의 발음’에 대한 의문을 해결한 과정이다. ㉠과 ㉡에 들어갈 내용을 짝지은 것으로 적절한 것
은?
2014학년도 6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11번

‘옷에’의 경우 ‘옷’의 받침 ‘ㅅ’이 뒤 음절 첫소리로 연음되어 [오세]로 발음되는 데 비해, ‘옷 안’


의문
은 왜 [오단]으로 다르게 발음될까?

1. 교과서에서 관련 내용을 찾아본다.
자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올 때는 앞 음절의 받침을 그대로
뒤 음절의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다만,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

활동 는 앞 음절의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의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2. ‘대표음’에 관한 표준 발음법 규정을 찾아본다.


제9항 받침 ‘ㄲ, ㅋ’, ‘ㅅ, ㅆ, ㅈ, ㅊ, ㅌ’ ‘ㅍ’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대표음 [ㄱ, ㄷ,
ㅂ]으로 발음한다.


‘옷 안’이 [오단]으로 발음되는 이유는 ‘옷 안’의 ‘안’이 ‘에’와 달리 ㉠ 이기 때문이군. 이 원
결론
리대로라면 ‘숲 위’는 ㉡ 로 발음해야겠군.

㉠ ㉡
① 실질 형태소 [수뷔]
② 실질 형태소 [수퓌]
③ 실질 형태소 [숩퓌]
④ 형식 형태소 [수뷔]
⑤ 형식 형태소 [수퓌]

-4-
유튜브_ 불휘기픈국어
cafe.naver.com/deeprootkr

정답 및 해설

1 ④ 2 ② 3 해설 참조 4 해설 참조 5 ③
6 해설 참조 7 ④ 8 ② 9 ① 10 ⑤
11 ④ 12 ① 13 ① 14 ② 15 ①

1. [정답] ④
[해설] 솜이불[솜니불]은 ㄴ이 첨가된 첨가 현상이다.

2. [정답] ②
[해설] 꽃이[꼬치]는 연음 현상. 연음 현상은 음운의 변동이 아니다.

3. [정답]
(1) 교체: 좁다[좁따], 꽃말[꼰말]
(2) 탈락: 삶[삼], 좋아[조아]
(3) 축약: 국화[구콰]
(4) 첨가: 한여름[한녀름]

4. [정답] ㄱ, ㄴ, ㄷ, ㄹ, ㅁ, ㅂ, ㅇ

5. [정답] ③
[해설] 끝[끋], 종성에서 ㅌ은 ㄷ으로 소리 난다.

6. [정답]
(1) 국[국] (9) 낮[낟] (17) 밥물[밤물]
(2) 산[산] (10) 쫓다[쫃따] (18) 심리[심니]
(3) 굳다[굳따] (11) 부엌[부억] (19) 십 리[심니]
(4) 알다[알다] (12) 솥[솓] (20) 칼날[칼랄]
(5) 감[감] (13) 숲[숩] (21) 신라[실라]
(6) 밥[밥] (14) 히읗[히읃] (22) 굳이[구지]
(7) 옷[옫] (15) 밖[박] (23) 같이[가치]
(8) 강[강] (16) 있다[읻따] (24) 갈등[갈뜽]

7. [정답] ④
[해설] 밭을[바틀]

8. [정답] ②
[해설] 안기다[안기다]

9. [정답] ①
[해설] 벚나무[벋나무→번나무], 꽃망울[꼳망울→꼰망울]

10. [정답] ⑤
[해설] 강릉[강능]은 순행 동화, 나머지는 역행 동화.

11. [정답] ④
[해설] 이 문항은 제시된 사례들의 정확한 발음을 파악하여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단계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묻고
있다. 제시된 8개의 사례는 각각 ‘부엌[부억], 간[간], 옷[옫], 빚[빋], 달[달], 섬[섬], 앞[압], 창[창]’으로 발음된다. 정답은 ④
로, ‘밖’이 [박]으로, ‘밑’이 [믿]으로 발음되는 현상 역시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해당한다. ‘부엌[부억]’을 통해 ‘ㄱ’이 음절 끝
의 자음으로 발음될 수 있다는 점과 ‘옷[옫]’, ‘빚[빋]’을 통해 ‘ㄷ’이 음절 끝의 자음으로 발음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밖[박]’, ‘밑[믿]’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의 사례로 적합하다.

-5-
유튜브_ 불휘기픈국어
cafe.naver.com/deeprootkr

12. [정답] ①
[해설] ‘식물[싱물]’, ‘입는[임는]’, ‘뜯는[뜬는]’은 각각 ‘ㄱ, ㅂ, ㄷ’이 ‘ㅁ, ㄴ’ 앞에서 ‘ㅇ, ㅁ, ㄴ’으로 바뀐다. 이를 제시된 자
음 분류표에서 살펴보면, 파열음이 비음 앞에서 비음으로 변동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세 사례 모두 두 자음이 만나서
발음될 때 앞 자음의 조음 방식이 파열음에서 비음으로 변한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13. [정답] ①
[해설]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서로 비슷한 소리로 변하는 음운의 동화 중, 비음화에 대해 확인하는 문제이다. ‘국물’은 [궁
물]로 소리가 나는데, 그 이유는 받침 ‘ㄱ’이 비음인 ‘ㅁ’의 영향을 받아서 비슷한 자리에서 소리가 나는 비음인 ‘ㅇ’으로 변하
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국물’은 비음화에 해당한다.

14. [정답] ②
[해설] ‘집안일’이 [지바닐]이 아니라 [지반닐]로 소리 나는 것은 첨가 중 ‘ㄴ 첨가’에 해당한다.

15. [정답] ①
[해설] 받침으로 끝나는 말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말을 만났을 때 받침의 발음 방법에 관한 문제이다. ‘옷 안’의 경우 뒷말
‘안’이 명사로 실질 형태소이므로 앞말 ‘옷’의 받침 ‘ㅅ’이 대표음 ‘ㄷ’으로 바뀐 후 뒷말 첫소리에 이어져 [오단]으로 발음된
다. ‘숲 위’의 경우도 뒷말 ‘위’가 실질 형태소이므로 같은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먼저 앞말 ‘숲’의 받침 ‘ㅠ’이 대표음 ‘ㅂ’
으로 바뀌고, 이것이 다시 뒷말 첫소리에 이어져 [수뷔]로 발음되는 것이다.

-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