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3.

단어와 음운의 탐구 및 활용

언어와 매체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8)_비상(이관규)

3. zb3 ) <보기>의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zb1 ) <보기1>을 바탕으로 <보기2>의 ㉠, ㉡을 해석한
<보기>
것으로 적절한 것은?
㉠ 놓- + -다 → [노타]
<보기1>
㉡ 낳- + -으니 → [나으니]
혀의 앞뒤 전설 모음 후설 모음 ㉢ 쓰- + -어라 → 써라
입술의
㉣ 가- + -아 → 가
모양 평순 원순 평순 원순
혀의 높이
㉤ 활 + 살 → 화살

고모음 ㉠과 ㉡에서는 동일한 음운이 탈락하여 음운의 개수가


각각 1개씩 줄어들었다.
중모음
㉠, ㉡, ㉤은 모두 자음에서 음운 변화가 일어나 음운
저모음
변동 전과 후의 음운의 개수가 달라졌다.
(*빈 칸에는 단모음 10개가 배치되어야 함.) ㉡과 ㉢은 ㉤과 달리 모음에서 음운 변화가 일어나 각
각 음운의 개수가 1개씩 늘었다.

<보기2> ㉢과 ㉣은 ㉠과 달리 음운이 축약되는 현상이 일어난


후 음운 변동의 결과가 표기에 반영되었다.
㉠ 오똑이 → 오뚝이 ㉡ 아장아장 → 어정어정
㉤은 ㉠, ㉡, ㉢, ㉣과 달리 체언과 체언의 결합에서 음
㉠은 입술모양이 바뀌는 변화이고, ㉡은 혀의 높낮이가
운이 축약되는 현상이 일어났으나 음운의 개수는 변하
바뀌는 변화이다.
지 않았다.
㉠은 혀의 높낮이가 바뀌는 변화이고, ㉡은 혀의 앞뒤
가 바뀌는 변화이다.
4. <보기>의 선생님의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가장
㉠은 혀의 앞뒤가 바뀌는 변화이고, ㉡은 입술모양이
zb4 )

적절한 것은?
바뀌는 변화이다.
<보기>
㉠, ㉡ 모두 혀의 앞뒤가 바뀌는 변화이다.
㉠, ㉡ 모두 혀의 높낮이가 바뀌는 변화이다.

2. zb2 ) ㉠, ㉡에 해당하는 사례가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자음과 자음이 만나면 충돌을 일으켜 음운 변동이 일어


나는 경우가 많듯이 단모음과 단모음이 만나도 충돌을 일
으켜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때 일어
나는 음운 변동은 단모음의 충돌을 막는 것이 공통의 목
적이다. 그래서 ㉠인접한 단모음 중 어느 하나가 반모음
으로 바뀌거나 ㉡단모음 중 하나가 없어지기도 한다.

㉠ ㉡ [출처] 한국관광공사 공식 네이버 포스트


그리-+-어 → 그려 맞추-+-어 → 맞춰
담그-+-어 → 담가 오-+-아서 → 와서 선생님 : 요즘 젊은이들 사이에서 ‘스타일’을 ‘서타일’이
두-+-어 → 둬 가-+-아도 → 가도 라고 말하거나 표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끄-+-어 → 꺼 서-+-어라 → 서라 혀의 최고점을 더 낮게 발음하는 경향 때문입니다.

건너-+-어 → 건너 가지-+-어 → 가져 소리의 길이를 더 길게 발음하는 경향 때문입니다.


단모음을 이중모음처럼 발음하는 경향 때문입니다.
전설모음을 후설모음처럼 발음하는 경향 때문입니다.
입술을 더 동그랗게 오므려서 발음하는 경향 때문입니다.

I410-ECN-0199-2023-001-000255116 - 1 -
[기본]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8)_비상(이관규)

5. zb5 ) 다음 ㉠~㉢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동에 대한 설명 앞날[암날] 값만[감만]


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정답 2개) 끝물[끈물] 흙도[흑또]
㉠ 창피하다 → [챙피하다] 막는[망는] 읊는[음는]
㉡ 해돋이 → [해도지] 숯내[순내] 많아[마나]
㉢ 되어 → [되여] 밭머리[반머리] 있니[인니]
㉠에서는 모음의 혀의 최고점 위치가 바뀌는 음운 변동
이 일어난다.
㉡에서는 자음의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이 바뀌는 음운
변동이 일어난다.
8. zb8 )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에서는 단모음이 이중 모음으로 바뀌는 교체 현상이
<보기>
나타난다.
현대 국어는 상향 이중 모음이 대부분이고 하향 이중
㉠, ㉡은 모두 일종의 동화(同化)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모음은 단모음 ‘ㅡ’와 반모음 ‘ㅣ’가 결합된 ‘ㅢ’ 하나밖에
㉠은 표준 발음으로 인정되지 않지만, ㉢은 표준 발음
없다. 그러나 ‘ㅢ’는 이중 모음으로 온전히 발음되는 경우
으로 인정된다.
가 많지 않아서 그 지위가 매우 불안정하다.

표준 발음법 제 5항
: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ㅠ, ㅢ’는 이중 모음
으로 발음한다.
6. <보기>의 ㉠~㉤의 밑줄 친 단어에서 일어나는 음
다만 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
zb6 )

운 변동에 대해 설명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


로 발음한다.
은?
다만 4.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의’는
<보기>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밭에서 돌을 골라내고 흙만[흥만] 남겨야 해. ‘유희’의 경우 [유히]로만 발음되어야 해.
㉡ 모두들 들일[들 ː 릴]을 나가고 집에 없네. ‘협의’의 경우 [혀비]로만 발음되어야 해.
㉢ 난로에서 끓는[끌른] 주전자를 내리렴. ‘띄어쓰기’의 경우 [띠어쓰기]로만 발음되어야 해.
㉣ 색연필[생년필]의 색깔이 예쁘구나. ‘성의’의 경우 [성의]와 [성이]로 발음될 수 있어.
㉤ 앞으로 꽃길[꼳낄]만 걸어라. ‘국민의’의 경우 [궁미늬]와 [궁미네]로 발음될 수 있어.
㉠~㉤ 모두 음운 변동이 두 번씩 일어났군.
㉠~㉢은 ‘ㄹ’로 인한 음운 교체가 발생했군.
㉠~㉣은 음운의 개수가 달라지는 음운 변동이 일어났
군.
9. zb9 ) <보기>에서 자음 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에서 첨가된 음운은 ㉢에서 교체된 대상이 된 음운과
을 모두 고른 것은?
동일하군.
<보기>
㉠~㉣은 인접한 자음과 조음 방법이 같아지는 음운 변
동이 일어났군. ㉠ ‘ㅂ’, ‘ㅁ’은 혀의 뒷부분과 여린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소리이다.
㉡ ‘ㅅ’, ‘ㅈ’은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릴 때 마찰
을 일으키며 내는 소리이다.
㉢ ‘ㄹ’은 혀끝과 윗잇몸 사이에서 나는 소리이다.
7. zb7 ) 다음의 ㉠, ㉡에 해당하는 예가 바르게 연결된 것
㉣ ‘ㄷ’은 공기가 성대를 통과할 때 많은 양의 공기를 내
은?
보내면서 나는 소리이다.
㉠음절의 끝소리가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중 하 ㉤ ‘ㄱ, ㅇ’은 조음 위치는 같지만 조음 방법은 다르다.
나로 변하여 발음되는 현상을 겪은 후에 비음화가 나타나
㉠, ㉢ ㉡, ㉢
기도 하고, ㉡음절 말에 두 개의 자음이 놓일 때, 둘 중
하나의 자음만 남고 나머지 자음은 탈락하는 현상을 겪은 ㉡, ㉣ ㉢, ㉤
후에 비음화가 나타나기도 한다. ㉣, ㉤

㉠ ㉡

I410-ECN-0199-2023-001-000255116 - 2 -
[기본]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8)_비상(이관규)

10.
zb1 0 ) 현대국어의 음운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12.
zb1 2 ) <보기>의 ㉠~㉤ 중 가장 적절한 것은?
것은?
<보기>
각 언어의 음운 체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음 단어들을 발음해 보고 아래의 활동을 수행해 보
음운에는 비분절적인 말소리 요소도 포함된다. 자.
음운은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이다.
낚시 산 닫개 옷 빚 발 감 숲 강
음절은 구체적인 소리지만 음운은 추상적인 소리이다.
(1) 위에서 음절 끝의 자음이 바뀌어 발음되는 것을 찾아
한 언어에서 구별하여 인식하는 소리들을 다른 언어에
보자.
서는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 낚시, 산, 닫개, 숲 ………………………………… ㉠
(2) 음절 끝의 자음이 바뀌어 발음되지 않는 환경을 알아
보자.
☞ 음절 끝의 자음이 예사소리일 때에는 바뀌어 발음
11.
zb1 1 ) <보기>의 음운 변동을 단계별로 설명한 것으로 되지 않는다. …………………………………………… ㉡
적절하지 않은 것은?
(3) 음절 끝에서 발음될 수 없는 자음은 어떤 자음으로
<보기> 바뀌어 발음되는지 정리해 보자.
㉠ 색연필 → [색년필] → [생년필] ☞ ㄱ, ㅅ, ㅂ 중 하나로 바뀌어 발음된다.………… ㉢
㉡ 꽃잎 → [꼳입] → [꼳닙] → [꼰닙] (4) 위 (3)과 동일한 음운 변동이 일어난 예들을 더 찾아
㉢ 덮개 → [덥개] → [덥깨] 보자.

㉣ 막일 → [막닐] → [망닐] ☞ 부엌, 잎 ……………………………………………… ㉣


㉤ 물엿 → [물엳] → [물녇] → [물렫] (5) 이상의 활동을 바탕으로 음절 끝에서 발음되는 자음
의 목록을 정리해 보자.
㉠은 ‘ㄴ’첨가가 일어나고, 그 ‘ㄴ’의 영향으로 음절 말
‘ㄱ’이 ‘ㅇ’으로 바뀌는 비음화가 뒤따라온 현상으로, 이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
둘의 순서는 바뀌면 안 된다. ㉠ ㉡
㉡은 ‘ㅊ’이 ‘ㄷ’으로, ‘ㅍ’이 ‘ㅂ’으로 음절의 끝소리 규 ㉢ ㉣
칙이 각각 일어나고, ‘ㄴ’첨가가 되어 그 ‘ㄴ’의 영향으 ㉤
로 음절 말 ‘ㄷ’이 ‘ㄴ’으로 바뀌는 비음화가 뒤따라온
현상이다.
㉢은 ‘ㅍ’이 ‘ㅂ’으로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일어나고,
뒤 음절의 예사소리 ‘ㄱ’이 된소리 ‘ㄲ’으로 바뀌는 된
소리되기가 뒤따라온 현상이다. 13.
zb1 3 ) 다음 밑줄 친 단어를 발음할 때 나타나는 모든
㉣은 ‘ㄴ’첨가가 일어나고 , 그 ‘ㄴ’의 영향으로 음절 말 음운 변동 현상을 다음 형식을 이용하여 한 문장으
‘ㄱ’이 ‘ㅇ’으로 바뀌는 비음화가 뒤따라온 현상으로, 이 로 쓰시오. (음운 변동 현상이 일어나는 순서와 상
둘의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관없음. ⓐ, ⓑ, ⓒ 모두 ‘교체, 탈락, 첨가, 축약’으
로 쓰지 말고, 구체적인 음운 변동 현상으로 쓸 것.)
㉤은 ‘ㅅ’이 ‘ㄷ’으로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일어나고,
‘ㄴ’첨가가 되어 그 ‘ㄴ’이 앞 음절 ‘ㄹ’의 영향으로 ‘ㄹ’ 모든 비밀을 낱낱이 밝히도록 해라.
로 바뀌는 유음화가 뒤따라온 현상이다. → ‘낱낱이’를 발음할 때 나타나는 음운 변동 현상은 ( ⓐ ),
( ⓑ ), ( ⓒ )이다.

I410-ECN-0199-2023-001-000255116 - 3 -
[기본]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8)_비상(이관규)

14.
zb1 4 ) <보기>는 국어의 자음 체계와 음운의 변동에 대 15.
zb1 5 ) 다음 ㉠~㉣의 음운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
한 탐구 수업의 일부이다. ㉠~㉤에 대한 설명으로 지 못한 것은?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보기> ㉠ 잡목 → [잠목], 받는다 → [반는다]
선생님 : 국어의 자음 체계를 참고하여 음운의 변동을 학 ㉡ 선릉 → [설릉], 생산량 → [생산냥]
습해 보기로 합시다. 음운이 일정한 환경에 따라 다
㉢ 맨입 → [맨닙], 담요 → [담뇨]
르게 발음되는 현상을 음운 변동이라고 해요. 음운
㉣ 옳다 → [올타], 짧냐 → [짤랴]
변동에서 한쪽의 음운이 다른 쪽 음운의 성질을 닮는
현상을 동화하고 하는데, ㉠~㉤은 다 동화에 속하는 ㉠과 ㉡에는 모두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교
단어들이에요. 체현상이 나타나 있다.
㉠은 모두 파열음이 비음 앞에서 비음으로 바뀌는 음운
조음위치 센입 여린입
입술 잇몸 목청 현상이다.
천장 천장
소리 소리 소리 ㉡은 ‘ㄴ’이 ‘ㄹ’에 영향을 주는 예시와 ‘ㄹ’이 ‘ㄴ’에 영
조음방법 소리 소리
파열음 ㅂ, ㅍ ㄷ, ㅌ ㄱ, ㅋ 향을 주는 예시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마찰음 ㅅ, ㅆ ㅎ ㉠과 ㉢의 음운 변동과 동일한 변동이 모두 일어난 예
파찰음 ㅈ, ㅊ 로 ‘불여우 → [불려우]’를 들 수 있다.
비음 ㅁ ㄴ ㅇ ㉣은 음운의 개수를 바꾸는 음운 변동이 일어났다.
유음 ㄹ

㉠ 집념 → [짐념] ㉡ 심리 → [심니]
㉢ 믿는다 → [민는다] ㉣ 굳이 → [구지]
㉤ 인력 → [일력] 16.
zb1 6 ) <보기1>의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예를 <보기

㉠은 첫 음절 끝 파열음이 뒤의 자음과 결합하여 유음 2>에서 모두 고른 것은?


으로 바뀌었다. <보기1>
㉡은 유음이 앞에 위치한 비음의 영향을 받아 같은 조 두 음운이 결합할 때 어느 한 음운이 없어지는 현상을
음 위치의 비음으로 바뀌었다. 음운의 탈락이라 한다. 끝소리 ‘ㅎ’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은 첫 음절 끝 파열음이 뒤에 위치한 비음의 영향으 어미나 접미사와 결합하여 탈락하는 경우나 음절의 끝에
로 조음 위치가 바뀌었다. 두 개의 자음이 올 때 이중에서 한 자음이 탈락하는 경우
가 이에 해당한다. 용언의 어간과 어미가 결합하는 과정
㉣은 잇몸소리가 뒤에 위치한 자음의 영향으로 센입천
에서 모음이 탈락하기도 한다.
장소리로 바뀌었다.
㉤은 비음이 뒤에 오는 유음의 영향을 받아 조음 위치
와 조음 방법이 바뀌었다. <보기2>
어머니는 조각 마루 끝에 ㉠앉아 말이 없었다. 벽돌 공
장의 높은 굴뚝 그림자가 시멘트 담에서 ㉡꺾어지며 좁은
마당을 ㉢덮었다. 동네 사람들이 골목으로 나와 뭐라고
소리치고 있었다. 통장은 그들 사이를 비집고 나와 방죽
쪽으로 걸음을 ㉣옮겼다. 어머니는 식사를 끝내지 ㉤않은
밥상을 들고 부엌으로 ㉥들어갔다.

㉠, ㉢ ㉠, ㉤
㉡, ㉣, ㉤ ㉢, ㉣, ㉤
㉣, ㉤, ㉥

I410-ECN-0199-2023-001-000255116 - 4 -
[기본]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8)_비상(이관규)

17.
zb1 7 ) 다음 <자료>를 바탕으로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18.
zb1 8 ) ㉠~㉤의 밑줄 친 부분을 고쳐 쓴다고 할 때 적절
탐구하였다. 탐구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하지 않은 것은?
<자료> ㉠ 밥이 없으니 과자를 먹던지 빵을 먹던지 해라.
[표준발음법] ㉡ 옛날 사람들은 거친 삼베로 옷을 지어 입었다.
제8항 ㉢ 연수하고 늘 보던 까페에서 7시에 만나기로 했어.
받침 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 ㉣ 난 껍질을 까서 먹는데 넌 사과를 껍질채 먹는구나.
만 발음한다. ㉤ 여름이 생일인 사람은 추운 것보다는 더운 게 낳다고
제9항 해.

받침 ‘ㄲ, ㅋ’, ‘ㅅ, ㅆ, ㅈ, ㅊ, ㅌ’, ‘ㅍ’은 어말 또는 ㉠ : 나열된 대상들 중에 선택하는 경우이므로 ‘먹든지’
자음 앞에서 각각 대표음 [ㄱ, ㄷ, ㅂ]으로 발음한다. 로 수정한다.
㉡ : 어간 ‘거칠-’에 어미 ‘-은’이 결합한 것이므로 ‘거
제10항
칠은’으로 수정한다.
겹받침 ‘ㄳ’, ‘ㄵ’, ‘ㄼ, ㄽ, ㄾ’, ‘ㅄ’은 어말 또는 자음
㉢ : 외래어 표기법 규정에 어긋나므로 거센소리를 사
앞에서 각각 [ㄱ, ㄴ, ㄹ, ㅂ]으로 발음한다.
용하여 ‘카페’로 수정한다.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하고, ‘넓-’은
㉣ : 거센소리와 된소리를 혼동한 경우이므로 ‘껍질째’
다음과 같은 경우에 [넙]으로 발음한다.
로 수정한다.
넓-죽하다[넙쭈카다], 넓-둥글다[넙뚱글다] ㉤ : 동일한 대표음으로 발음되는 자음과 혼동한 경우
제11항 이므로 ‘낫다고’로 수정한다.

곁받침 ‘ㄺ, ㄻ, ㄿ’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ㅁ, ㅂ]으로 발음한다.

다만, 용언의 어간 말음 ‘ㄺ’은 ‘ㄱ’ 앞에서 [ㄹ]로 발음


한다. 19.
zb1 9 ) <보기>의 (가)를 활용하여 대답할 수 있는 (나)의

제14항 물음은?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 <보기>


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 (가) 우리말은 음절 말에서 ‘ㄱ,ㄴ,ㄷ,ㄹ,ㅁ,ㅂ,ㅇ’의 7개
한다.(이 경우, ‘ㅅ’은 된소리로 발음함) 자음만 발음될 수 있다.
갑 : ‘닭을’은 <자료>의 제14항에 따라 [달글]이라고 발 (나)
음해야 겠구나. ㄱ. ‘숙제, 입술’은 어떻게 발음할까?
을 : ‘밟지’를 [밥찌]로 발음하는 것은 <자료>의 제10항 ㄴ. ‘결단력’은 ‘신라’와 동일한 음운 변동 환경인데 다르
에 따른 것이구나. 게 발음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병 : ‘맑다’는 [막따]로 발음해야 하는데 이는 <자료>의 ㄷ. ‘성공과 실패는 한 끗 차이’에서 ‘끗’을 ‘끝’으로 잘못
규정 제11항 때문이구나. 표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
정 : ‘흙과’는 <자료>의 제11항의 ‘다만’ 규정에 따라 ㄹ. ‘좋아’를 발음할 때 ‘좋-’의 ‘ㅎ’은 어떻게 발음될까?
[흘과]로 발음해야겠구나. ㅁ. ‘입’ 뒤에 조사 ‘이’가 올 때와 명사 ‘속’이 올 때 각
무 : ‘부엌’, ‘빛’, ‘잎’은 <자료>의 제9항에 따라 각각 각 어떻게 발음될까?
[부억], [빋], [입]으로 발음해야겠구나. ㄱ ㄴ
ㄷ ㄹ

I410-ECN-0199-2023-001-000255116 - 5 -
[기본]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8)_비상(이관규)

20.
zb2 0 ) 다음은 음운 변동에 관한 문제이다. 물음에 답하 그리고 용언의 어간 말 자음 ‘ㄹ’이 몇몇 어미와 결합
시오. 할 때 탈락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ㄹ’ 탈락이라고
한다.
(가)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교체 현상에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된소리되 용언의 어간과 어미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모음 탈락이
기 등이 있다. 되기도 한다. 용언 어간의 끝 모음 ‘ㅡ’는 모음으로 시작
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한다. 그리고 모음 ‘ㅏ/ㅓ’로 끝나
우리말은 음절 말에서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
는 어간이 모음 ‘ㅏ/ㅓ’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개 자음만 발음될 수 있다. 따라서 음절 말에 이 외의 자
‘ㅏ/ㅓ’가 탈락한다.
음이 올 때에는 이 7개 자음 중 하나로 바뀌어서 발음된
다.

한편 비음이 아닌 자음이 비음의 영향을 받아 비음으로 (라) 두 음운이 합쳐져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드는 축약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을 비음화라고 한다. 비음 앞에서 현상에는 자음 축약이 있다. 다음과 같이 자음 축약은
파열은 ‘ㄱ, ㄷ, ㅂ’이 비음 ‘ㅇ, ㄴ, ㅁ’으로 바뀌어 발음 ‘ㄱ, ㄷ, ㅂ, ㅈ’이 ‘ㅎ’과 만나 거센소리 ‘ㅋ, ㅌ, ㅍ, ㅊ’
된다. 으로 축약되어 발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를 거센소리되
기라고도 한다.
‘ㄴ’이 ‘ㄹ’의 영향을 받아 유음 ‘ㄹ’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을 유음화라고 한다. ‘ㄴ’은 ‘ㄹ’의 앞 또는 뒤에서 (1) 다음 단어들의 실제 발음을 쓰고 음운 변동의 유형을
‘ㄹ’의 영향을 받아 ‘ㄹ’로 바뀌어 발음된다. 윗글의 밑줄 친 부분에서 찾아 쓰시오.

표기[발음] - 소리의
구개음화는 음절 말의 ‘ㄷ, ㅌ’이 모음 ‘ㅣ’로 시작하는 음운 변동의 유형
길이는 적용하지 않음
형식 형태소 앞에서 구개음(센입천장소리) ‘ㅈ, ㅊ’으로
<예시> 안팎[안팍] 음절의 끝소리 규칙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 바뀐 ‘ㅈ, ㅊ’은 다
음 음절의 초성으로 발음된다. 국화[ ]
논리[ ]
된소리되기는 특정한 환경에서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바
책방[ ]
뀌어 발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해돋이[ ]
종성 ‘ㄱ, ㄷ, ㅂ’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 맏며느리[ ]
은 된소리로 발음함.

어간 말 자음 ‘ㄴ, ㅁ’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2) <보기>는 단어의 발음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각 단계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함 에 적용된 음운 변동의 유형을 윗글의 밑줄 친 부분에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서 찾아 쓰시오.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함 <보기>
<예시> 꽃밭 → 꼳받 → [꼳빧]

(나) 두 음운이 만날 때 그 사이에 음운이 덧붙는 첨가 [음절의 끝소리 규칙][된소리되기]


현상에는 ‘ㄴ’ 첨가가 있다. ‘ㄴ’ 첨가는 두 형태소가 결 홑이불 → 혿이불 → 혿니불 → [혼니불]
합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어와 파생어에서, 앞말이 자음으 [ ⓐ ] [ ⓑ ] [ ⓒ ]
로 끝나고 뒷말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j]’로 시작할 때
‘ㄴ’이 덧붙어 발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그리고 이때 첨가
된 ‘ㄴ’에 의해 다시 교체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다) 자음이나 모음이 어떤 환경에서 없어지는 탈락 현 추석을 맞아 성묘를 가는 차량들이 고속도로를 달리고
상에는 자음군 단순화. ‘ㅎ’ 탈락, ‘ㄹ’ 탈락, 모음 탈락 있습니다. 아직 완연한 가을이 되지는 않았지만 한복을
등이 있다. 입은 모습이 단풍처럼 울긋불긋 공원묘지를 수놓았습니
음절 말의 두 자음 중 하나가 탈락하고 하나만 소리 나 다.
는 현상을 자음군 단순화라고 한다. 두 자음 중 하나가 각자 정성스레 준비한 음식을 펼쳐 놓고 웃음꽃을 피우
탈락할 때, 앞엣것이 탈락하기도 하고 뒤엣것이 탈락하기 는 모습이 평화로워 보입니다. 가을들판을 수놓은 잠자리
도 한다. 는 하늘을 여유롭게 날아다닙니다.
한편 다음과 같이 ‘ㅎ’ 탈락은 용언의 어간 말 자음
‘ㅎ’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이
다.

I410-ECN-0199-2023-001-000255116 - 6 -
[기본]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8)_비상(이관규)

21.
zb2 1 ) 윗글에서 음운 변동이 일어난 단어를 모두 찾아 23.
zb2 3 ) 한 단어 내에서, <보기1>의 조건을 모두 포함하
아래와 같이 음운 변동의 유형에 맞게 쓰시오. (단, 는 것만을 <보기2>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축약은 자음 축약이 일어난 단어만 찾아 쓰시오.)
<보기1>
탈락 교체 첨가 축약 조건1 : 혀의 뒷부분과 여린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소리
고속도로 중, 목의 근육에 힘을 주었다가 긴장을 풀면서 순간
적으로 적은 양의 공기를 내보내는 소리
조건2 : 후설 원순 고모음

<보기2>

22.
zb2 2 ) <보기>의 ㉠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꿈, 주의, 장구, 카메라, 잠꾸러기
꿈, 주의
<보기>
주의, 장구
선생님, 오늘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부정
확한 발음에 대해 알아볼까요? 우선 아래 표에서 부정확 꿈, 잠꾸러기
한 발음과 정확한 발음을 확인해 보세요. 꿈, 주의, 장구, 카메라
주의, 장구, 카메라, 잠꾸러기
예 끝을 몫이 부엌에 깎아 진흙이
부정
확한 [끄츨] [모기] [부어게] [까가] [진흐기]
발음
24.
zb2 4 ) 학생들이 음운 변동의 유형에 대해 탐구한 내용
정확 이다. ㉠~㉡에 들어갈 내용을 서술하시오.
한 [끄틀] [목씨] [부어케] [까까] [진흘기]
<보기>
발음
ⓐ밭이 넓다. ⓑ밭일이 많다.
다 봤나요? 그럼 정확한 발음을 참고하여, 부정확한 발
학생 A : 구개음화는 음절 말의 ‘ㄷ, ㅌ’이 모음 ‘ㅣ’로
음을 한 이유를 말해 볼까요?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 앞에서 구개음 ‘ㅈ, ㅊ’
학생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으로 바뀌어 발음하는 현상이잖아. 이에 따라
선생님 : 네, 맞아요. 그럼 이제 정확한 발음을 일상생활 ⓐ‘밭이’는 ㉠[ ]로 발음하게 되겠군.
에서 실천해 보세요. 학생 B : ⓑ‘밭일이’도 음절 말 ‘ㅌ’이 모음 ‘ㅣ’와 만났는
‘끝을’은 연음을 하고 구개음화를 적용해야 하는데, [그 데 ⓐ에서와는 달리 [반니리]로 발음되는 이유
츨]은 구개음화를 적용하고 연음했습니다. 가 뭘까?

‘몫이’는 연음을 하고 된소리되기를 적용해야 하는데, 학생 A : 그 이유는 ㉡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기]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적용하고 연음했습니다.
‘부엌에’는 거센소리되기를 하지 않고 연음해야 하는데, <조건>
[부어게]는 거센소리되기를 적용하고 연음했습니다. ㉡ 작성시, ⓐ‘밭이’와 비교되는 ⓑ‘밭일이’의 음운 환경
‘깎아’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적용하지 않고 연음해야 을 설명하고, 음운 변동의 유형을 쓸 것.
하는데, [까가]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적용하고 연음
했습니다.
‘진흙이’는 자음군 단순화를 적용하고 연음화를 해야 하
는데, [진흐기]는 자음군 단순화를 적용하지 않고 연음 25.
zb2 5 ) 이중모음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화를 했습니다. 반모음과 단모음이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ㅢ’는 반모음 ‘ㅡ’와 반모음 ‘ㅣ’가 결합된 이중모음이다.
이중모음은 발음할 때 입술의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달
라진다.
반모음 ‘ㅗ/ㅜ’로 시작하는 이중모음에는 ‘ㅘ, ㅝ, ㅙ,
ㅞ’가 있다.
반모음 ‘ㅣ’로 시작하는 이중 모음에는 ‘ㅑ, ㅕ, ㅛ, ㅠ,
ㅒ, ㅖ’가 있다.

I410-ECN-0199-2023-001-000255116 - 7 -
[기본]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8)_비상(이관규)

㉣ 많은 양의 공기를 내보내는 소리는 거센소리이다.

10) [정답]
[해설] ‘음절’은 한번에 발음할 수 있는 최소의 발음 단위
1) [정답] 이다. 구체적인 소리는 ‘음성’이다.
[해설] ‘ㅗ’는 후설 원순 중모음이고, ‘ㅜ’는 후설 원순 고모
음이다. ‘ㅏ’는 후설 평순 저모음, ‘ㅓ’는 후설 평순 중 11) [정답]
모음이다. ㉠과 ㉡은 모두 혀의 높이가 높아지는 변화 [해설] ‘막일’는 ‘ㄴ’이 첨가되어 [막닐]이 되고, 첨가된 ㄴ의
이다. 영향으로 ‘ㄱ’이 ‘ㅇ’으로 바뀌는 비음화가 일어난 것이
므로 이 둘의 순서는 바뀔 수 없다.
2) [정답]
[해설] ‘두+어→둬’는 두 모음이 축약되면서 단모음 ‘ㅜ’가 12) [정답]
반모음 ‘ㅜ’로 변한 것이다. ‘가+아도→가도’는 ‘ㅏ’ 모 [해설] ‘부엌[부억]’, ‘잎[입]’은 음절 끝의 자음이 바뀌어 발
음이 어간과 어미에 모두 나타나 하나가 탈락한 것이 음된다. ㉠ ‘낚시[낙시], 옷[옫], 빚[빋], 숲[숩]’이 해당한
다. 다. ㉡ ‘옷[옫], 빚[빋]’은 예사소리일 때도 음절 끝의
자음이 바뀌어 발음된다. ㉢ ‘ㄱ.ㄷ.ㅂ’ 중 하나로 바뀌
3) [정답] 어 발음된다. ㉤ ‘ㄱ,ㄴ,ㄷ,ㄹ,ㅁ,ㅂ,ㅇ’이 음절 끝에서
[해설] ㉠ 어간의 ‘ㅎ’이 어미의 초성 ‘ㄷ’과 만나 ‘ㅌ’으로 발음되는 자음이다.
축약되었다. ㉡ ‘ㅎ’받침을 가진 용언의 어간에 모음 어
미가 결합할 때, ‘ㅎ’이 탈락하여 발음되지 않는다. ㉢ 13) [정답] ‘낱낱이’를 발음할 때 나타나는 음운 변동 현상은
‘ㅡ’로 끝나는 용언의 어간에 어미 ‘-어’가 결합하면, 음절의 끝소리 규칙, 비음화, 구개음화이다.
어간의 ‘ㅡ’가 탈락한다. ㉣ 어간과 어미에 동일한 모음 [해설] ‘낱낱이’→[낟나티]에서는 음절 끝소리 규칙이, [낟나
‘ㅏ’가 와서 그 중 하나가 탈락하였다. ㉤ ‘ㄹ’뒤에 ‘ㅅ’ 티]→[난나티]에서는 비음화, [난나티]→[난나치]에서는
으로 시작하는 음운이 올 때, ㄹ이 탈락한다. ㉠은 구개음화가 나타난다.
축약, ㉡은 ‘ㅎ’이 탈락했다. ㉡과 ㉢은 모음에서 음
14) [정답]
운변동이 일어났고, 음운의 개수가 한 개 줄었다.
[해설] ㉠ 첫째 음절의 ‘ㅂ’이 뒤에 오는 비음의 영향으로
㉠은 축약이 일어났고, ㉢과 ㉣이 탈락이 일어난 결과
같은 조음위치의 비음인 ‘ㅁ’으로 바뀌어 소리난다. ㉢
가 표기에 반영되었다. 체언과 체언의 결합이 일어 첫째 음절의 받침 ‘ㄷ’이 뒤에 오는 비음 ‘ㄴ’의 영향을
난 것은 ㉤이고, ‘ㄹ’이 탈락하여 음운이 한 개 줄었다. 받아 같은 조음위치의 비음인 ‘ㄴ’으로 바뀌어 소리난
다. ㉣ ‘ㄷ’이 뒤에 오는 형식형태소 ‘ㅣ’모음의 영향으
4) [정답]
로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이 바뀌어 ‘ㅈ’로 바뀌어 소리
[해설] ‘스타일’을 ‘서타일’이라고 발음하는 것은 후설평순고
난다. ㉤ 첫째 음절의 받침 ‘ㄴ’이 뒤에 오는 유음 ‘ㄹ’
모음인 ‘ㅡ’를 후설평순중모음인 ‘ㅓ’로 발음했기 때문
의 영향으로, 같은 조음 위치의 유음인 ‘ㄹ’로 바뀌어
이다.
소리난다.
5) [정답] ,
15) [정답]
[해설] ㉠은 모음의 혀의 앞뒤 위치가 후설 모음에서 전
[해설] ㉠은 비음화로 교체이다. ㉡은 유음화(선릉)와 비음
설 모음으로 바뀌는 음운 변동이다. ㉢은 단모음 ‘ㅓ’
화(생산량)로 교체이다. ㉢은 ‘ㄴ’첨가이다. ㉣에서 ‘옳
가 반모음 ‘j’가 첨가되어 이중모음 ‘여’로 발음되는
다’는 거센소리되기(축약), ‘짧냐’는 자음군 단순화(탈
첨가이다.
락), 유음화(교체)가 일어난다. ‘불여우[불녀우][불려우]’
6) [정답] 는 ‘ㄴ’첨가와 유음화가 일어나므로 ㉠과 동일한 변동
[해설] ㉡과 ㉢은 유음화가 일어난다. 그러나 ㉠ ‘흙만[흥 인 비음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만]’은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난 다음, ‘ㅁ’에 의해 ‘ㄱ’
16) [정답]
이 ‘ㅇ’으로 교체되는 비음화가 일어난다.
[해설] <보기1>의 밑줄은 음운의 탈락에 대한 설명이다. ㉣
7) [정답] ‘옮겼다’는 겹받침에서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나서 [옴겯
[해설] ‘앞날’→[압날]→[암날]은 음절 끝소리 규칙 후 비음 따]로 발음되고, ㉤ ‘않은’은 모음어미 앞에서 ‘ㅎ’이 사
화가 일어나고, ‘값만’→[갑만]→[감만]은 자음군 단순화 라져서 발음되지 않아 [아는]으로 발음된다. ㉥ ‘들어-
이후에 비음화가 일어난다. ‘흙도’는 비음화가 일어 가-았-다’에서 어간과 어미에 동일한 모음 ‘ㅏ’가 와서
나지 않는다. ‘막는’은 음절끝소리규칙이 적용되지 ‘ㅏ’가 탈락하고 이것을 표기에 반영하여 ‘들어갔다’로
않는다. ‘많아’는 비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있 쓴다.
니’는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음절 끝소리
17) [정답]
규칙 후 비음화가 일어나는 예이다.
[해설] 제 11항의 ‘다만’ 규정은 용언의 어간 받침 ‘ㄺ’ 뒤
8) [정답] 에 ‘ㄱ’으로 시작하는 자음어미가 올 경우에 [ㄹ]로 발
[해설] ‘협의’는 [혀븨]와 [혀비]로 발음할 수 있다. 음되는 것이다. 의 ‘흙’은 체언이므로 이 규정에 해당
하지 않고 원칙대로 [ㄱ]으로 발음하여 [흑꽈]로 발음한
9) [정답] 다.
[해설] ㉠ 두 입술 사이에서 나는 소리이다. ㉡ ‘ㅅ’은 마찰
음, ‘ㅈ’은 파찰음이며, <보기>의 설명은 파찰음이다. 18) [정답]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1) 제작연월일 : 2023-06-27 2) 제작자 : 교육지대㈜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
- 8 -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
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I410-ECN-0199-2023-001-000255116
[기본]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8)_비상(이관규)

[해설] ‘거칠다’는 형용사로 어간인 ‘거칠-’에 어미인 ‘-ㄴ’ 화가 일어나지 않고 음절끝소리규칙과 ㄴ첨가, 비음화
이 결합할 때 어간의 ‘ㄹ’이 탈락하고 ‘거친’으로 활용 가 일어난다.
한다. [해설] 구개음화는 받침 ‘ㄷ, ㅌ’이 조사나 접사 등의 형식
형태소 ‘ㅣ’나 ‘ㅣ계 모음’을 만났을 때, ‘ㅈ, ㅊ’으로
19) [정답] 바뀌어 발음되는 것이다. ‘밭일이’는 ‘받일이’, ‘받닐이’,
[해설] ‘끗’과 ‘끝’은 모두 음절 끝소리 규칙에 의해 [끋]으 ‘반닐이’으로 음운 변동이 일어나며 연음되어 최종적으
로 발음되기 때문에 혼동되어 잘못 표기하는 경우가 생 로 [반니리]로 발음한다.
긴다.
25) [정답]
20) [정답] (1) 국화[구콰] 자음 축약. 논리[놀리] 유음화. 책
[해설] ‘ㅢ’는 ‘ㅣ’와 ‘ㅡ’ 중에서 어떤 것이 반모음인지 판
방[책빵] 된소리되기. 해돋이[해도지] 구개음화. 맏며느
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하나는 반모음이고, 하나는 단
리[만며느리] 비음화. (2) ⓐ 음절의 끝소리 규칙 ⓑ
모음이다.
‘ㄴ’첨가 ⓒ 비음화
[해설] ‘홑이불’→[혿이불]은 음절 끝에서 ‘ㅌ→ㄷ’이 바뀐
것이다. [혿이불]→[혿니불]은 ‘ㄴ’이 첨가되었다. [혿니
불]→[혼니불]은 비음인 ‘ㄴ’의 영향을 받아 ‘ㄷ’이 ‘ㄴ’
으로 바뀐 것이다.

21) [정답] 탈락-않았지만, 수놓았습니다, 수놓은 / 교체-있


습니다, 않았지만, 울긋불긋, 수놓았습니다, 각자, 보입
니다, 여유롭게, 날아다닙니다 / 첨가-없음 / 축약-놓

[해설] 문장을 소리나는 대로 쓰면 다음과 같다. ‘추서글
마자 성묘를 가는 차량드리 고속또로(된소리되기:ㄷ→
ㄸ)를 달리고 읻씀니다.(음절의 끝소리 규칙: ㅆ→ㄷ, 된
소리되기:ㅅ→ㅆ, 비음화:ㅂ→ㅁ) 아직 와년한 가으리
되지는 아낟찌만(ㅎ탈락, 음절의 끝소리 규칙:ㅆ→ㄷ,
된소리되기:ㅈ→ㅉ) 한보글 이븐 모스비 단풍처럼 울귿
뿔귿(음절의 끝소리 규칙:ㅅ→ㄷ, 된소리되기:ㅂ→ㅃ) 공
원묘지를 수노앋씀니다(ㅎ탈락, 절의 끝소리 규칙:ㅆ→
ㄷ, 된소리되기:ㅅ→ㅆ, 비음화:ㅂ→ㅁ). 각짜(된소리되
기 ㅈ→ㅉ) 정성스레 준비한 음시글 펼쳐 노코(거센소
리되기: ㅎ+ㄱ→ㅋ) 우슴꼬츨 피우는 모스비 평화로워
보임니다(비음화:ㅂ→ㅁ). 가을들파늘 수노은(ㅎ탈락) 잠
자리는 하느를 여유롭께(된소리되기:ㄱ→ㄲ) 나라다님니
다(비음화:ㅂ→ㅁ).’

22) [정답]
[해설] ‘끝을’은 ‘ㅌ’받침 뒤에 조사 ‘을’이 결합하므로,
구개음화의 조건이 아니다. ‘ㅌ’을 그대로 연음하여 [끄
틀]로 발음해야 한다. ‘몫이’는 겹받침 뒤에 조사
‘이’가 결합했으므로 겹받침 중 뒤의 자음 ‘ㅅ’을 연음
하고, 이때 ‘ㅅ’을 된소리로 발음하므로 [목씨]로 발음해
야 하는데, 자음군 단순화 후 연음했으므로 잘못 발음
했다. ‘부엌에’는 ‘부엌’에 모음 조사 ‘에’가 결합했
으므로, 받침 ‘ㅋ’을 연음하여 [부어케]로 발음해야 하는
데, 받침 ‘ㅋ’을 음절의 끝소리를 적용한 후 연음한 [부
어게]는 잘못 발음했다. ‘진흙이’는 ‘진흙’ 뒤에 모음
조사 ‘이’가 결합했으므로, 겹받침 중 뒤의 자음 ‘ㄱ’만
을 연음하여 [진흘기]로 발음해야 하는데, 자음군 단순
화 이후 연음하여 잘못 발음했다.

23) [정답]
[해설] 여린입천장소리 중 목에 힘을 주었다 풀면서 적은
소리를 내보내는 된소리는 ‘ㄲ’이고 후설 원순 고모음
은 ‘ㅜ’이다.

24) [정답] ㉠[바치], ㉡‘밭이’에서 ‘이’는 조사로 형식형태소


이기 때문에 구개음화가 일어나지만, ‘밭일이’에서 ‘ㅌ’
다음에 연결되는 ‘일’은 실질형태소이기 때문에 구개음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1) 제작연월일 : 2023-06-27 2) 제작자 : 교육지대㈜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
- 9 -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
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I410-ECN-0199-2023-001-00025511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