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언어와 매체 3.

단어와 음운의 탐구 및 활용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4)_비상(이관규)


우혜영 (hye@eduzone.co.kr)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
1) 제작연월일 : 2020-09-23
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
2) 제작자 : 교육지대㈜
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1. zb1 ) 음운 변동의 유형을 교체, 탈락, 축약, 첨가로 구 4. zb4 ) 다음 <보기>를 참고하여 단어 ‘식용유’의 발음 과
분할 때 다음 중, 그 유형이 다른 하나는? 정을 <조건>에 맞게 한 문장으로 쓰시오.

합류[함뉴] 식물[싱물] <보기>


원리[월리] 솜이불[솜니불] ▶ ‘국물’ ⇒ [궁물]
해돋이[해도지] 단어 ‘국물’은 음운 변동 ‘비음화’가 일어나 [궁물]로 발음
된다.

<조건>
문장 형식은 ‘단어 ‘식용유’는 음운 변동 ( ⓐ )가 일어
나 ( ⓑ )로 발음된다.’로 쓸 것.
2. 다음 자료를 보고 이해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
ⓐ는 ‘교체, 탈락, 첨가, 축약’으로 쓰지 말고, 구체적인
zb2 )

은?
음운 변동 현상으로 쓸 것.
암ㅎ+ > 암 > 암탉
음운 ㅎ과 ㄷ이 합쳐져 ㅌ으로 줄어들었다.
음운 축약으로 인해 거센 소리가 추가되었다.
모음 ‘ㆍ’가 현대 국어의 모음 ‘ㅏ’로 변화되었다.
밑줄 친 부분은 중세 국어의 체언 중에 ㅎ을 종성으로
5. <보기>의 (가)를 참고하여 (나)의 ㉠과 ㉡에 대해
가진 체언이다.
zb5 )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밑줄 친 부분은 현대 국어에 더 이상 ‘ㅎ’을 유지하지
않지만 몇몇 복합어에만 그 흔적이 남아있다. <보기>
(가) 겹받침으로 끝나는 말 뒤에 ‘ㅎ’으로 시작하는 형태
소가 결합하면 두 가지 음운 변동이 적용될 수 있다.
겹받침 중 하나와 ‘ㅎ’이 합쳐지는 거센소리되기가 일
어날 수도 있고, 겹받침 중 하나가 탈락하는 자음군
단순화가 적용될 수도 있다. 그런데 조건에 따라 둘

3. 다음 밑줄 친 단어를 발음할 때 나타나는 모든


중 하나의 변동만 적용되기도 하고, 두 개의 변동이
모두 적용되기도 한다.
zb3 )

음운 변동 현상을 다음 형식을 이용하여 한 문장으


로 쓰시오. (음운 변동 현상이 일어나는 순서와 상 (나) ㉠ 앉히다[안치다], 넓히다[널피다]
관없음. ⓐ, ⓑ, ⓒ 모두 ‘교체, 탈락, 첨가, 축약’으 ㉡ 흙하고[흐카고], 몫하고[모카고]
로 쓰지 말고, 구체적인 음운 변동 현상으로 쓸 것.) ㉠은 자음군 단순화만 적용되었고 ㉡은 거센소리되기만
모든 비밀을 낱낱이 밝히도록 해라. 적용되었다.

→ ‘낱낱이’를 발음할 때 나타나는 음운 변동 현상은 ( ⓐ ), ㉠은 거센소리되기만 적용되었고 ㉡은 자음군 단순화만


( ⓑ ), ( ⓒ )이다. 적용되었다.
㉠은 거센소리되기만 적용되었고 ㉡은 자음군 단순화와
거센소리 되기가 모두 적용되었다.
㉠은 자음군 단순화와 거센소리되기가 모두 적용되었고
㉡은 자음군 단순화만 적용되었다.
㉠은 자음군 단순화만 적용되었고, ㉡은 자음군 단순화
와 거센소리되기가 모두 적용되었다.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1 -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4)_비상(이관규)

6. zb6 ) 다음 ㉠~㉣의 음운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 8. zb8 ) <보기> (가)의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음운 변
지 못한 것은? 동이 일어나는 단어를 (나)에서 모두 찾아 묶은 것
은?
<보기>
㉠ 잡목 → [잠목], 받는다 → [반는다] <보기>

㉡ 선릉 → [설릉], 생산량 → [생산냥] (가) 음운이 일정한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발음되는 현상


㉢ 맨입 → [맨닙], 담요 → [담뇨] 을 음운 변동이라고 한다. 음운 변동에는 교체, 탈락, 첨
가, 축약이 있다.
㉣ 옳다 → [올타], 짧냐 → [짤랴]
㉠과 ㉡에는 모두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교 (나) 우리 가족은 어제 공원으로 소풍을 ㉠갔다. 어머니
체현상이 나타나 있다. 께서는 김밥을 ㉡마시고 나는 과일을 ㉢깎아 도시락을 준
비하였다. 내 동생은 김밥을 ㉣싫어하는데 공원에서 하늘
㉠은 모두 파열음이 비음 앞에서 비음으로 바뀌는 음운
을 ㉤수놓으며 날아다니는 물방울을 따라 다니며 ㉥앉지
현상이다.
도 않고 먹은 덕분에 투정을 부리지 ㉦않고 잘 먹었다.
㉡은 ‘ㄴ’이 ‘ㄹ’에 영향을 주는 예시와 ‘ㄹ’이 ‘ㄴ’에 영
향을 주는 예시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 ㉡, ㉣, ㉤ ㉠, ㉢, ㉤, ㉥

㉠과 ㉢의 음운 변동과 동일한 변동이 모두 일어난 예 ㉡, ㉢, ㉣, ㉥ ㉠, ㉡, ㉣, ㉤, ㉥


로 ‘불여우 → [불려우]’를 들 수 있다. ㉡, ㉢, ㉤, ㉥, ㉦
㉣은 음운의 개수를 바꾸는 음운 변동이 일어났다.

9. zb9 ) <보기1>을 참고하여 <보기2>에서 탐구한 내용으


로 적절한 것끼리 묶은 것은?
7. zb7 ) <보기1>를 참고할 때 <보기2>의 ( )안에 들어갈 <보기1>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국어의 자음은 19개로, 다음과 같이 조음 위치와 조음
<보기1> 방법에 따라 나뉜다. 또한 소리의 세기에 따라 예사소리,
[표준 발음법] 된소리, 거센소리로 구분된다. 파열음과 파찰음에는 예사
소리, 된소리, 거센소리의 구별이 있고, 마찰음에는 예사
제17항 소리와 된소리의 구별이 있다.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 <조음 위치>
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을 첨가형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입술소리 두 입술에서 나는 소리
혀끝과 윗잇몸 사이에서 나는 소
[붙임 1] ‘ㄹ’ 받침 뒤에 첨가되는 ‘ㄴ’ 음은 [ㄹ]로 발 잇몸소리

음한다.
혓바닥과 센입천장 사이에서 나
센입천장소리
는 소리
혀의 뒷부분과 여린입천장 사이
<보기2> 여린입천장소리
에서 나는 소리
ⓐ‘물엿을 떠먹다가 새로 만든 ⓑ솜이불에 묻혔다.’에서 목청소리 목청(성대) 사이에서 나는 소리
ⓑ와 달리, ⓐ의 둘째 음절에 [ㄹ]이 발음되는 이유는
( ).

두 형태소가 반모음 ‘ㅣ’로 시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조음 방법>


접사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파생어가 아니기 때문이다.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며 내는
파열음
뒤 형태소의 영향으로 앞 형태소의 음운이 바뀌는 역행 소리
동화 때문이다. 공기가 흐르는 통로를 좁혀 마찰을 일으
마찰음
발음할 때 ‘ㄴ’이 첨가된 후 비음화 현상이 일어났기 때 키며 내는 소리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릴 때 마찰
문이다. 파찰음
을 일으키며 내는 소리
발음할 때 ‘ㄴ’이 첨가된 후 앞 형태소의 받침 ‘ㄹ’의 비음 공기를 코로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혀끝을 잇몸에 가볍게 대었다가 떼거나,
유음 혀끝을 윗잇몸에 댄 채 혀의 양옆으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2 -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4)_비상(이관규)

<조건>
<보기2> [A]에서 최소 대립쌍의 모음들을 모두 찾고, ‘전설 모
㉠ ‘막론[망논]’은 조음 위치는 변함없고, 조음 방법이 바 음’, ‘중모음’, ‘평순 모음’ 각각의 개수를 순서대로
뀌는 변동이군. 한 문장으로 서술할 것.

㉡ ‘젖먹이[전머기]’는 조음 위치는 변함없고, 조음 방법


이 바끼는 변동이군.
㉢ ‘옷감[옫깜]’은 조음 방법은 변함없고, 조음 위치가 바
뀌는 변동이군.
11. (1) <보기>에서 틀린 대답을 한 학생을 찾고, (2)
㉣ ‘굳이[구지]’는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이 모두 바뀌는
zb1 1 )

바르게 고쳐 보시오.
변동이군.
㉠, ㉡ ㉠, ㉣ <보기>

㉡, ㉢ ㉡, ㉣ 선생님: 어떤 음운이 주위에 있는 다른 음운의 영향을 받


아 그것과 동일한 음운으로 바뀌거나, 조음 위치 또
㉢, ㉣
는 조음 방법이 그것과 같은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을
동화라고 합니다. 그럼 학생 여러분이 다음의 예시를
통해 탐구해 볼까요?

옷 + 안 → 옷 안[㉠]
10. zb1 0 ) <보기>의 ㉠에 들어갈 내용을 <조건>에 따라 서 맏- + 형 → 맏형[㉡]
술하시오. 녹(綠) + 물 → 녹물[㉢]
<보기> 잡- + -고 → 잡고[㉣]
선생님 : 최소 대립쌍이란 하나의 소리로 인해 뜻이 구별 돕- + -느라 → 돕느라[㉤]
되는 단어의 짝을 말해요. 가령 최소 대립쌍 ‘밥’과
나라: ㉠은 [오단]이며, 동화가 아닙니다. ‘ㅅ’이 ‘ㄷ’으로
‘법’은 ‘ㅏ’와 ‘ㅓ’으로 인해 뜻이 달라지는데, 이때의
바뀌는 것은 다른 음운의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기
‘ㅏ’, ‘ㅓ’는 음운의 자격을 얻게 되죠. 이처럼 최소
때문입니다.
대립쌍을 이용해 음운들을 추출하며 음운 체계를 수
립할 수 있어요. 이제 [A]에서 최소 대립쌍들을 찾아 정국: ㉡은 [마텽]이며, 동화가 아닙니다. ‘ㄷ’과 ‘ㅎ’이 결
음운들을 추출하고, 그 음운들을 [B]에서 찾아 탐구해 합하여 ‘ㅌ’으로 발음되는 것은 음운의 축약이기 때문
봅시다. 입니다.
대한: ㉢은 [농물]이며, 동화입니다. ‘ㄱ’이 ‘ㅁ’의 영향을
받아 ‘ㅁ’과 조음 방법이 같은 ‘ㅇ’으로 바뀌기 때문
[A] 구리, 자주, 사슬, 노랑, 가래, 누락, 시술, 저주, 귀
입니다.
리, 사실
민국: ㉣은 [잡꼬]이며, 동화입니다. ‘ㄱ’이 ‘ㅂ’의 영향을
받아 ‘ㄲ’으로 바뀌기 때문입니다.
[B]
만세: ㉤은 [돔느라]이며, 동화입니다. ‘ㅂ’이 ‘ㄴ’의 영향
혀의앞뒤 전설 모음 후설 모음 을 받아 ‘ㄴ’과 조음 방법이 같은 ‘ㅁ’으로 바뀌기 때
문입니다.
입술
모양 평순 원순 평순 원순

혀의 높이
고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 ㅔ ㅚ ㅓ ㅗ 12.
zb1 2 ) 다음은 음운 변동에 대한 설명 자료이다. 이를 바
저모음 ㅐ ㅏ 탕으로 <보기>의 ㄱ~ㅁ 중 수정이 필요한 것을 두
가지 고르고, 완결된 문장의 형식으로 바르게 수정
하시오.
[학생의 탐구 내용]
‘박사[박싸]’처럼 한 단어 내에서 ㉠음운 변동이 한 번
( ㉠ ). 만 나타날 수도 있지만, 음운의 변동은 두 번 이상 일어
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급행열차(그팽녈차)’의 경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3 -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4)_비상(이관규)

우, ‘ㄱ+ㅎ→ㅋ’의 축약과 ‘ㄴ첨가’의 음운 변동이 일어난 ㉥반모음은 모음의 특성을 지니지만 자음처럼 홀로 발
다. 그런데 이 두 변동은 어느 하나의 음운 변동이 다른 음될 수 없다는 특성이 있으며 온전한 모음이 아니므로
하나의 변동과 관련 없는, ㉡독립적으로 일어난 변동의 반달표(ˇ)를 해야한다.
경우로다. 반면, ‘따뜻하다(따뜨타다)’의 경우는 ‘ㅅ→ㄷ’
한편, ㉦소리의 길이나 억양 등은 자음과 모음은 아니
의 교체와 ‘ㄷ+ㅎ→ㅌ’의 축약이 ㉢연속적으로 일어난 변
나 단어나 문장의 의미를 구별해 주기도 한다는 점에서
동의 경우이다.
분절 음운에 속한다. 소리의 길이에 따라 단어의 의미가
달라지는 예로 눈:(雪)-눈(目), 말:(言)-말(馬) 등이 있다.
<보기> 이러한 ㉧소리의 길이는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구별이 된
ㄱ. ‘국밥[국빱]’은 ‘교체’만 일어난 ㉠의 경우이다. 다.

ㄴ. ‘발야구[발랴구]’는 ‘첨가’와 ‘교체’가 일어난 ㉡의 경 ㉠, ㉡, ㉥, ㉧ ㉠, ㉢, ㉤, ㉦


우이다. ㉠, ㉢, ㉣, ㉥, ㉦ ㉡, ㉣, ㉤, ㉦, ㉧
ㄷ. ‘서른여덟[서른녀덜]’은 ‘첨가’와 ‘탈락’이 일어난 ㉡의 ㉡, ㉢, ㉣, ㉤, ㉥
경우이다.
ㄹ. ‘닳는[달른]’은 ‘탈락 → 교체’의 순서로 일어난 ㉢의
경우이다.
ㅁ. ‘젖히다[저치다]’는 ‘교체 → 축약 → 교체’의 순서로
일어난 ㉢의 경우이다.
14.
zb1 4 ) <보기>의 음운의 변동이 나타나는 문장으로 옳은
답안 것은?
잘못된 설명의 기호 <보기>
(1)
바르게 수정한 내용
비음이 아닌 자음이 비음의 영향을 받아 비음으로 바뀌
잘못된 설명의 기호
(2) 어 발음되는 현상
바르게 수정한 내용
이 많은 별빛이 내린 언덕 위에.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기를.
가장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아.
당신은 있는 그 자체로 빛나는 존재.
13.
zb1 3 ) <보기>의 ㉠~㉧ 중 옳지 않은 것은?
시간은 그대를 위해 멈추어 기다리지 않는다.
<보기>

말소리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추상적인 소리로


사람마다 차이를 보이는 ‘음성’과 물리적인 소리로 머릿
속에서 말소리의 공통된 요소만을 뽑아 이를 물리적으로
인식하는 ‘음운’이 있다.
15. <보기>의 밑줄 친 ‘음운의 변동’이 나타나지 않는
국어의 ‘음운’은 자음과 모음으로 분류된다. ㉡자음은
zb1 5 )

문장은?
공기의 흐름을 적극적으로 막거나 좁혀서 내는 소리로 조
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나뉜다. 자음의 조음 방법은 <보기>
다시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으로 조음 위치 용언의 어간과 어미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모음이 탈락
는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장소리, 하기도 한다. 용언 어간의 끝 모음 ‘ㅡ’는 모음으로 시작
목청소리로 나뉘는데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은 모두 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한다.
소리의 세기에 따라 예사소리, 거센소리, 된소리로 구분
버스 안에 서서 가니 다리가 저리네.
된다.
어제 아파서 잠을 잘 이루지 못했어.
모음은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크게 방해를 받지 않
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말을 들어봤니.
고 나는 소리로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나뉜다. ㉣단모음
은 이중모음과 달리 입술의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달라지 밖에 추우니까 단추를 맨 위에까지 잠가라.
지 않으며 혀의 앞뒤, 입술 모양, 혀의 높이에 따라 10개 그대에게 편지를 써서 내 마음을 보내겠소.
의 모음으로 나뉜다. ㉤이중모음은 반모음과 단모음이 결
합하여 이루어지는데 반모음에는 ‘ㅑ, ㅖ, ㅕ, ㅖ, ㅚ, ㅘ,
ㅛ, ㅝ, ㅞ, ㅟ, ㅠ, ㅢ’가 있다.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4 -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4)_비상(이관규)

16.
zb1 6 ) <보기>의 (가)를 참고할 때 (나)의 ㉠~㉦의 음운 없던 음운이 생겨나는 현상, ㉣두 음운이 하나의 음운으
로 줄어드는 현상이 있다.
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가) ‘음운의 변동’에는 구개음화, 비음화, 거센소리되 ㉠ 및 ㉡이 ㉠ 및 ㉢이 ㉠ 및 ㉣이


기, ‘ㅎ’ 탈락, ‘ㄹ’ 탈락, ‘ㄴ’ 첨가, 자음군 단순화, 유음 나타남 나타남 나타남
칡가루 법학박사
화, 음절의 끝소리 규칙, 된소리되기 등이 있다. ⓐ 콩잎[콩닙]
[칙까루] [버팍박싸]
섭섭해
ⓑ 싫고[실코] 막일[망닐]
[섭써패]
(나) 발야구 값하다
ⓒ 떫어[떨버]
㉠ 밭[받] ㉡ 몫[목] ㉢ 미닫이[미다지] ㉣맏형[마텽] [발랴구] [가파다]
맏누이 떳떳하다
㉤ 좋아[조아] ㉥ 권력[궐력] ㉦ 한여름[한녀름] ⓓ 훑지[훌찌]
[만누이] [떧떠타다]
색연필 국화꽃
㉠과 ㉡의 음운은 변동이 모두 일어난 예로 ‘읊다[읍따]’ ⓔ 밖도[박또]
[생년필] [구콰꼳]
를 들 수 있다.
㉠과 ㉣의 음운의 변동이 모두 일어난 예로 ‘붓하고[부 ⓐ ⓑ
타고]’를 들 수 있다. ⓒ ⓓ
㉢과 ㉣의 음운의 변동이 모두 일어난 예로 ‘묻히고[무 ⓔ
치고]’를 들 수 있다.
㉤과 ㉥의 음운의 변동이 모두 일어난 예로 ‘잃는다[일
른다]’를 들 수 있다.
㉥과 ㉦의 음운의 변동이 모두 일어난 예로 ‘물엿[물렫]’
을 들 수 있다. 19.
zb1 9 ) <보기>의 ㉠~㉤에서 일어나는 음운의 변동에 대
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휴일을 맞아 가족 단위의 나들이객들이 공원을 ㉠울긋


17.
zb1 7 ) <보기>의 (가)를 바탕으로 (나)의 ㉠~㉤의 음운의
불긋 ㉡수놓았습니다. 돗자리에 둘러앉아 집에서 싸 온
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김밥을 먹는 가족들. 달리기 시합을 하며 웃음꽃을 피우
<보기> 는 천진난만한 ㉢개구쟁이들. 줄이 끊긴 풍선이 하늘로
(가) 음운 변동의 유형에는 교체, 탈락, 첨가, 축약이 있 날아오르고 아이들의 손에는 ㉣맛있는 간식이 들려 있습
다. 니다. 엄마 품에 ㉤안겨 새록새록 잠을 자고 있는 애기의
모습이 귀엽기만 합니다. 휴일을 즐기는 시민들의 표정에
(나) ㉠ 옮는[옴는] ㉡ 닦는[당는] ㉢ 설익다[설릭따]
가을의 정취가 흠씬 묻어납니다.
㉣ 직행열차[지캥녈차] ㉤ 밭일[반닐]
㉠은 ‘굳세다[굳쎄다]’와 같이 뒷말의 초성이 교체되는
㉠은 음운의 탈락이 한 번 적용되었다.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은 음운의 교체가 두 번 적용되었다.
㉡은 받침 자음의 일부가 탈락하는 현상과 받침이 다른
㉢은 음운의 첨가, 교체가 한 번씩 적용되었다.
음운으로 교체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은 음운의 첨가, 축약이 한 번씩 적용되었다.
㉢은 ‘냄비’와 동일한 동화 현상이 적용된 단어로 표준
㉤은 음운의 첨가가 한 번, 교체가 두 번 적용되었다. 어에 해당한다.
㉣은 음절의 받침이 교체되는 음운의 변동이 적용되어
[마딘는]으로 발음한다.
㉤은 ‘숨기다’와 같이 접미사 ‘-기-’가 연결되기 때문에
뒤 음절의 초성이 교체되지 않는다.
18.
zb1 8 ) <보기>를 읽고 각 음운의 변동이 나타난 예로 적
절한 것은?

<보기>

음운이 일정한 환경에 따라 발음되는 현상을 음운 변동


이라고 한다. 음운 변동에는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원래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현상, ㉢원래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5 -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4)_비상(이관규)

20.
zb2 0 ) <보기>의 ㉠~㉥의 음운의 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 ‘겉’에 조사 ‘이’가 연결되어 구개음화 현상이 일어
옳은 것은? 나므로 [거치]로 발음한다.

<보기> ㉡ ‘겉’에 ‘ㅁ’으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연결되어 ‘겉’의


‘ㅌ’이 교체되고 동화 현상이 일어나 [건만]으로 발음한
㉠ 울+는 → [우는]
다.
㉡ 홑이불 → [혼니불]
㉢ ‘겉’에 ‘ㅎ’으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연결되어 ‘겉’의
㉢ 삯일 → [상닐] ‘ㅌ’과 ‘ㅎ’이 축약되어 [거탈타]로 발음한다.
㉣ 낱낱이 → [난나치]
㉣ ‘겉’에 조사 ‘으로’가 연결되면 ‘겉’의 ‘ㅌ’이 연음되
㉤ 깨끗하다 → [깨끄타다] 어 [거트로]로 발음한다.
㉥ 꽃말 → [꼰말] ㉤ ‘겉’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형태소가 연결되어
㉠, ㉥은 음운의 변동 결과 음운의 개수에 변화가 있다. ‘겉’의 ‘ㅌ’이 교체되어 [거돋]으로 발음한다.
㉣, ㉤은 음절 끝에서 발음 되는 자음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일어난 음운 변동과 자음이 축약된 음운의 변동
이 있다.
㉡, ㉢, ㉣에서 일어나는 음운의 변동 횟수는 동일하다.
㉡, ㉢, ㉥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음운의 변동
은 교체와 첨가이다.
23.
zb2 3 ) <보기>를 참고하여 단어의 발음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 ㉤은 앞 음절의 받침이 뒤 음절의 초성과 조음
방법이 같아지는 음운의 변동이 있다. <보기>

한국어의 단모음 체계는 혀의 앞뒤 위치와 높낮이, 입


술의 모양 등을 기준으로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발음할 때 입을 벌리는 정도를 뜻하는 개구도(開口度)는
혀의 높낮이와 반비례한다.
21.
zb2 1 ) <보기>의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아버지’를 발음하면 혀의 높이가 점점 높아진다.
것은?
‘국어’를 발음하면 혀는 계속 뒤쪽에 위치한다.
<보기> ‘귀성’을 발음하면 혀의 위치가 앞에서 뒤로 이동한다.
㉠ 칼날[칼랄] ㉡ 값지다[갑찌다] ‘회귀’를 발음하면 입술 모양은 동그랗게 유지된다.
㉢ 넓죽하다[넙쭈카다] ㉣ 뚫는[뚤른] ‘우동’을 발음하면 입을 벌리는 정도가 점점 작아진다.
㉠과 ㉣에서 교체되는 음운은 같다.
㉡과 ㉢에서 교체되는 음운은 같다.
㉡과 ㉣에서 일어나는 음운의 변동의 횟수는 같다.
㉠~㉣에 모두 나타나는 음운의 변동은 교체이다.
㉠~㉣에 모두 한쪽의 음운이 다른 쪽 음운의 성질을 닮
24.
zb2 4 ) <보기>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음운 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는 동화 현상이 나타난다.
<보기>
들일 [들릴], 학여울역[항녀울력]
귤잎만[귤림만], 불여우[불려우]
음절 끝소리의 자음 중 하나가 탈락하였다.
22. <보기>의 ㉠~㉤의 ‘겉’에 나타나는 음운 변동에
하나의 음운이 인접음운의 영향으로 비음으로 바뀌었다.
zb2 2 )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첨가된 음운이 유음으로 바뀌었다.
<보기>
음절의 말음이 평파열음으로 바뀌었다.
㉠ 겉이 검기로 속도 검을까
두 음운이 합쳐져 다른 하나의 음운으로 바뀌었다.
㉡ 겉만 보고 판단하지 마라.
㉢ 시간이 없어 자료를 겉핥아 봤다.
㉣ 겉으로 보기에는 멀쩡해 보이는데.
㉤ 밖에 추우니 겉옷을 꼭 걸치고 가렴.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6 -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4)_비상(이관규)

25.
zb2 5 ) <보기>를 바탕으로 음운 변동에 대해 이해한 내 27.
zb2 7 ) 모음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단모음은 10모음체계를 이루고 있다.
<보기> 이중모음은 단모음과 단모음이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교체, 탈락, 축약, 첨가의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경우 단모음은 발음할 때 입술의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달라
음운 개수의 변화가 일어나기도 한다. 먼저 ‘잡일[잠닐]’ 지지 않는다.
은 첨가 및 교체가 일어나 음운의 개수가 늘었다. ‘닭만 단모음은 혀의 최고점의 앞뒤 위치에 따라 전설모음과
[당만]’은 탈락 및 교체가 일어나 음운의 개수가 줄었고, 후설모음으로 나뉜다.
‘딴짓하다[딴지타다]’도 교체 및 축약이 일어나 음운의 개
‘ㅚ’와 ‘ㅟ’는 발음할 때 혀의 위치와 입술의 모양이 바
수가 줄었다. 또한 ‘맡는[만는]’은 교체가 두 번 일어나
뀌며 이중모음으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음운의 개수가 변하지 않았다.

음가가 없는 ‘ㅇ’은 개수로 세지 않는다.

‘값하고[가파고]’는 탈락 및 축약이 한 번씩 일어나 음


운의 개수가 한 개 줄었군.
‘저녁연기[저녕년기]’는 첨가 및 교체가 한 번씩 일어나
음운의 개수가 1개 늘었군. 28.
zb2 8 ) <보기1>의 밑줄 친 부분에 나타나는 음운 현상에
대한 설명을 <보기2>에서 찾아 바르게 짝지은 것
‘겉모양[건모양]’은 교체가 두 번 일어나 음운의 개수가
은?
변하지 않았군.
‘맑고[말꼬]’는 탈락 및 교체가 한 번씩 일어나 음운의 <보기1>
개수가 한 개 줄었군. ⓐ 막냇동생의 등록금을 대고 있는 맏형이 듬직해서 좋
‘그럴듯하다[그럴뜨타다]’는 교체 및 축약이 한 번씩 일 다.
어나 음운의 개수가 한 개 줄었군. ⓑ 작문 시간에 미닫이와 여닫이에 대해 서로 논의하였
다.

<보기2>
㉠ 두 음운이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든다.
㉡ 두 음운이 만나 그 중의 하나가 탈락한다.
26.
zb2 6 ) <보기>는 자음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 두 음운이 만나 그 중의 하나가 다른 음운으로 바뀐
것으로만 연결된 것은?
다.
<보기>
㉣ 두 음운이 합쳐질 때 그 사이에 새로운 음운이 덧붙는
㉠ 자음은 조음 방법에 따라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입천 다.
장소리, 여린입천장소리, 목청소리로 나뉜다.
ⓐ ⓑ
㉡ 모든 자음의 안울림소리는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의
㉠ ㉢
대립이 있다.
㉠ ㉣
㉢ 외래어를 표기할 때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이 원
㉡ ㉢
칙이다.
㉡ ㉣
㉣ 대체로 자음의 울림소리는 부드러운 느낌을 주고, 안
울림소리는 딱딱한 느낌을 준다. ㉢ ㉣
㉤ 성대를 통과할 때의 공기의 양에 따라 된소리와 예사
소리의 구별이 있다.
㉥ ‘ㅁ, ㄴ, ㅇ’은 조음 위치는 같지만 조음 방법은 다른
자음이다.
㉠, ㉡, ㉢ ㉡, ㉢, ㉣
29.
zb2 9 ) <보기1>를 참고하여 <보기2>의 ㉠~㉤에 대해 설
명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 ㉤ ㉠, ㉡, ㉢, ㉤
<보기1>
㉠, ㉡, ㉤, ㉥
구개음화 : 교체 현상의 하나로, 받침이 ‘ㄷ’, ‘ㅌ’인 형
태소가 모음 ‘ㅣ’나 반모음 ‘ㅣ[j]’로 시작되는 형식형태소
와 만나면 그것이 각각 구개음 [ㅈ], [ㅊ]이 되거나, ‘ㄷ’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7 -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4)_비상(이관규)

뒤에 형식 형태소 ‘-히-’가 올 때 ‘ㅎ’과 결합하여 이루어


진 [ㅌ]이 [ㅊ]이 되는 현상

<보기2>
우리 학교에 ㉠같이 가자.
그가 죽은 후 공동묘지에 ㉡묻혔다(묻히었다).
나는 ㉢해돋이를 보러 동해에 갔다.
너는 ㉣굳이 그 일을 하려고 하느냐?
나는 억울한 누명을 쓰고 감옥에 ㉤갇혔다(갇히었다).
㉠의 ‘같-’은 접미사의 모음 ‘ㅣ’와 만나므로 구개음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의 ‘-히’는 실질형태소이므로 ‘묻’의 받침 ‘ㄷ’은 [ㅊ]
으로 발음되지 않는다.
㉢의 ‘돋’은 접미사의 모음 ‘ㅣ’와 만나 ‘ㄷ’은 [ㅊ]으로
발음된다.
㉣의 ‘굳-’은 실질형태소 ‘-이’와 만나 ‘ㄷ’이 [ㅈ]으로
발음된다.
㉤의 ‘갇-’은 접미사 ‘-히’와 만나므로 ‘ㄷ’이 ‘ㅎ’과 결
합하여 이루어진 [ㅌ]은 [ㅊ]으로 발음된다.

30.
zb3 0 ) <보기>의 ㉠과 같은 음운 현상이 나타난 예로 적
절한 것은?

<보기>

◇ 음운 변동의 종류

가) 교체 : 어떤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나) 첨가 : 새로운 음운 생기는 현상

다) 탈락 : 어떤 음운이 없어지는 현상

라) 축약 : 두 음운이 하나의 음운으로 합쳐지는 현상

이러한 음운 변동은 단어에 따라 한 번만 일어나기도


하지만, 한 단어 안에서 두 가지 음운 변동이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교체 후 교체가 일어나
는 경우, 교체 후 축약이 일어나는 경우, 탈락 후 교체가
일어나는 경우, ㉠첨가 후 교체가 일어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물약[물략] 꽃집[꼳찝]
밟고[밥꼬] 앉다[안따]
꽃밭[꼳빧]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8 -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4)_비상(이관규)

되었다. ㉣ 싫어하는데[시러하는데]는 겹받침 중


‘ㅎ’이 탈락한다. ㉤ 수놓으며[수노으며]는 ‘ㅎ’이
탈락한다. ㉥ 앉지[안찌]는 겹받침 중 ‘ㅈ’이 탈락
1) [정답] 한다.
[해설] 비음화는 교체이다. 비음화는 교체이다.
유음화는 교체이다. ‘ㄴ’첨가가 일어난다. 9) [정답]
구개음화는 교체이다. [해설] ㉡ 젖먹이[전머기]는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
이 모두 바뀌는 변동이다. ㉢ ‘옷감[옫깜]’은 조음
2) [정답] 방법은 변하고 조음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해설] ‘ㅎ’과 ‘ㄷ’이 축약되어 거센소리로 바뀌어
‘ㅌ’이 된 것으로 축약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것 10) [정답] 최소대립쌍의 모음들은 ‘ㅜ:ㅟ’, ‘ㅏ:ㅓ’,
은 첨가가 아니므로 거센소리가 추가된 것은 아 ‘ㅡ:ㅣ’이고, 전설모음 2개, 중모음 1개, 평순모음
니다. 4개이다.
[해설] 최소 대립쌍은 ‘구리 : 귀리’, ‘자주 : 저주’,
3) [정답] ‘낱낱이’를 발음할 때 나타나는 음운 변동 ‘사슬 : 사실’이며 이때 모음은 ‘ㅜ, ㅟ, ㅏ, ㅓ,
현상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 비음화, 구개음화이다. ㅡ, ㅣ’이다. 전설 모음은 ‘ㅟ, ㅣ’ 두 개이고, 중
[해설] ‘낱낱이’→[낟나티]에서는 음절 끝소리 규칙 모음은 ‘ㅓ’ 한 개이며, 평순 모음은 ‘ㅓ, ㅏ, ㅡ,
이, [낟나티]→[난나티]에서는 비음화, [난나티]→ ㅣ’ 네 개다.
[난나치]에서는 구개음화가 나타난다.
11) [정답] (1) 민국 (2) ㉣은 [잡꼬]이며 동화가 아닙
4) [정답] 단어 ‘식용유’는 음운 변동 ‘ㄴ’첨가가 일어 니다. ‘ㄱ’이 ‘ㄲ’으로 바뀌는 것은 된소리되기로
나 [시굥뉴]로 발음된다. ‘ㅂ’과 조음 위치나 조음 방법이 같아진 것이 아니
[해설] ‘식용유’는 ‘ㄴ’첨가가 일어나 ‘유’가 [뉴]로 기 때문이다.
발음되어 [시굥뉴]로 발음된다. ‘식’의 받침이 뒤 [해설] 잡고’가 [잡꼬]로 발음되는 것은 안울림예사소
의 말에 연음되어 [시굥]으로 발음되는 것은 음운 리와 안울림예사소리가 연속으로 만나, 뒤의 예사
변동이 아니라는 점에 주의한다. 소리가 강하게 발음되는 된소리되기로, 된소리되
기는 자음 동화가 아니다.
5) [정답]
[해설] ‘앉히다[안치다]’와 ‘넓히다[널피다]’는 앞말의 12) [정답] (1) ㄴ. ‘발야구[발랴구]’는 ‘첨가→교체’의
받침 중 하나가 뒷말과 축약되는 거센소리되기가 순서로 일어난 ㉢의 경우이다. (2) ㅁ. ‘젖히다[저치
일어난 것이다. ‘흙하고[흐카고]’는 자음군 단순화 다]’는 ‘축약’만 일어난 ㉠의 경우이다.
가 먼저 일어나 ‘ㄹ’이 탈락하여 [흑하고]가 된 [해설] ㄴ의 ‘발야구[발냐구][발랴구]’는 ‘ㄴ’첨가와
후에 거센소리되기가 일어난 것이다. ‘몫하고[모 교체가 연속적으로 일어난 경우이므로 ㉢에 해당
카고]’는 자음군 단순화가 먼저 일어나 ‘ㅅ’이 탈 한다. ㅁ. ‘젖히다[저치다]’는 ‘ㅈ’과 ‘ㅎ’이 만나
락하여 [목하고]가 된 후에 거센소리되기가 일어 ‘ㅊ’으로 축약되는 교체만 한 번 일어났으므로 ㉠
난 것이다. 에 해당한다.

6) [정답] 13) [정답]


[해설] ㉠은 비음화로 교체이다. ㉡은 유음화(선릉)와 [해설] ㉠ 추상적인 소리는 ‘음운’으로 공통된 요소
비음화(생산량)로 교체이다. ㉢은 ‘ㄴ’첨가이다. 이며, 물리적인 소리는 ‘음성’으로 사람마다 차이
㉣에서 ‘옳다’는 거센소리되기(축약), ‘짧냐’는 자 를 보인다. ㉢ 마찰음은 거센소리가 없다. ㉤ 반
음군 단순화(탈락), 유음화(교체)가 일어난다. ‘불 모음은 ‘w(ㅗ/ㅜ)’, ‘j(ㅣ)’의 두 가지이다. ㉦ 소
여우[불녀우][불려우]’는 ‘ㄴ’첨가와 유음화가 일어 리의 길이나 억양은 비분절 음운이다.
나므로 ㉠과 동일한 변동인 비음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14) [정답]
[해설] <보기>의 설명은 비음화에 대한 설명이다.
7) [정답] ‘있는[읻는][인는]’, ‘빛나는[빋나는][빈나는]’은 음
[해설] ‘물엿[물녇][물렫]’은 ‘ㄴ’이 첨가된 후 앞말의 절 끝소리 규칙이 일어난 후 비음이 아닌 ‘ㄷ’이
‘ㄹ’의 영향을 받아 ‘ㄴ’이 ‘ㄹ’로 바뀌는 유음화 비음인 ‘ㄴ’의 영향을 받아 비음인 ‘ㄴ’으로 바뀌
가 일어난다. 는 비음화가 일어난다.

8) [정답] 15) [정답]


[해설] ㉠ ‘가+았다→갔다’는 ‘ㅏ’가 탈락하는 ‘동음 [해설] ‘서서’는 용언 ‘서다’의 어간인 ‘서-’가 어미
탈락’이다. ㉡ ‘말다’의 어간인 ‘말-’이 ‘-시-’와 ‘-어서’와 결합하면서 동음인 ‘ㅓ’가 탈락한 것으
결합하면서 ‘ㄹ’이 탈락하여 ‘말시고→마시고’가 로 ‘ㅡ’탈락이 아니다. ‘아프다’는 ‘아프-+-어서’,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9 -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4)_비상(이관규)

‘모으다’는 ‘모으-+-아’, ‘잠그다’는 ‘잠그-+-아


24) [정답]
라’, ‘쓰다’는 ‘쓰-+-어서’에서 각각 어간의 ‘ㅡ’
[해설] ‘들일[들닐][들릴]’은 ‘ㄴ’이 첨가된 후 유음화
가 탈락한다.
가 일어난다. ‘학여울역[학녀울녁][항녀울녁][항녀
16) [정답] 울력]’은 ‘ㄴ’이 두 개 첨가되고 ‘ㄴ’의 영향을 받
[해설] ㉤의 좋아[조아]는 ‘ㅎ’탈락이 일어나고 ㉥의 아 ‘학’이 [항]으로 되는 비음화와, [녁]이 [력]이
권력[궐력]은 유음화가 일어난다. ‘잃는다[일른다]’ 되는 유음화가 일어난다. ‘귤잎만[귤닢만][귤맆만]
는 자음군 단순화와 유음화가 일어나므로 ㉡과 [귤립만]’은 ‘ㄴ’이 첨가된 후 유음화가 일어나고
㉥이 잃어나는 것이다. 음절 끝소리 규칙이 일어난다. ‘불여우[불녀우][불
려우]’는 ‘ㄴ’이 첨가된 후 유음화가 일어난다.
17) [정답]
[해설] ‘설익다[설닉다][설릭다][설릭따]’는 ‘ㄴ’첨가가 25) [정답]
일어나 첨가가 한 번 적용되고, 유음화와 된소리 [해설] ‘값하고[갑하고][가파고]’는 자음군 단순화로
되기가 일어나 교체가 두 번 적용된다. 인해 ‘ㅅ’이 탈락하고 ‘ㅂ’과 ‘ㅎ’이 축약되어 ‘ㅍ’
이 된다. 따라서 음운의 개수는 8개에서 6개로
18) [정답]
두 개 줄어든다.
[해설] ㉠은 교체, ㉡은 탈락, ㉢은 첨가, ㉣은 축약
이다. ‘칡가루[칙까루]’는 자음군 단순화에서 탈락 26) [정답]
이, 된소리되기에서 교체가 일어난다. ‘콩잎[콩 [해설] ㉠ 조음 위치에 따라 나눈 것이다. ㉡ 안울림
닙]’은 ‘ㄴ’첨가에서 첨가, 음절 끝소리 규칙에서 소리는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으로 나뉘고, 파열
교체가 일어난다. ‘법학박사[버팍박싸]’는 거센소 음과 파찰음은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의 대
리되기에서 축약과 된소리되기에서 교체가 나타 립이 있고, 마찰음은 예사소리와 된소리의 대립이
난다. 있다. ㉤ 공기가 성대를 통과할 때 공기의 양, 목
의 근육 긴장 정도 등에 따라 예사소리, 거센소
19) [정답]
리, 된소리를 구분한다. 예사소리와 된소리는 공
[해설] ‘수놓았습니다[수노앋씀니다]’는 ‘ㅎ’탈락과 음
기를 적게 내보내므로 성대를 통과할 때의 공기
절 끝소리 규칙, 된소리되기, 비음화가 일어난다.
의 양만으로 구별할 수는 없다. ㉥ ‘ㅁ,ㄴ,ㅇ’은
받침 자음의 일부가 탈락하는 것은 자음군 단순
비음으로 조음 위치는 다르지만 조음 방법은 같
화로 ㉡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은 자음이다.
20) [정답]
27) [정답]
[해설] ‘홑이불[혿이불][혿니불][혼니불]’는 음절 끝소
[해설] 이중모음은 단모음과 단모음이 아니라 반모음
리 규칙, ‘ㄴ’첨가, 비음화가 일어난다. ‘삯일[삭
‘w(ㅗ/ㅜ)’, ‘j(ㅣ)’와 단모음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일][삭닐][상닐]’은 자음군 단순화, ‘ㄴ’첨가, 비음
다.
화가 일어난다. ‘낱낱이[낟나티][난나티][난나치]’
는 음절 끝소리 규칙, 비음화, 구개음화가 일어난 28) [정답]
다. 모두 음운 변동이 3회 일어나므로 횟수가 같 [해설] ‘맏형[마텽]’, ‘듬직해서[듬지캐서]’, ‘좋다[조
다. 타]’는 축약이 일어난다. ‘작문[장문]’, ‘미닫이[미
다지]’, ‘여닫이[여다지]’는 교체가 일어난다. ㉠은
21) [정답]
축약 ㉡은 탈락 ㉢은 교체 ㉣은 첨가이다.
[해설] ㉠은 유음화, ㉣은 자음군 단순화와 유음화가
일어나므로 동화 현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은 29) [정답]
자음군 단순화와 된소리되기가 나타나고 ㉢은 자 [해설] ‘같이[가치]’는 구개음화가 일어난다. ‘-
음군 단순화와 된소리되기, 거센소리되기가 나타 히-’는 피동 접미사로 형식 형태소이다. ‘ㄷ’
나므로 동화 현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은 [ㅈ]으로 발음된다. ‘-이’는 형식 형태소이
다.
22) [정답]
[해설] ‘겉핥다’의 ‘핥다’는 실질 형태소이므로 ‘겉’은 30) [정답]
음절 끝소리 규칙을 먼저 적용한다. 따라서 ‘겉핥 [해설] ‘물약[물냑][물략]’은 ‘ㄴ’이 첨가된 후 앞의
다’는 [걷]의 ‘ㄷ’과 [핥다]의 ‘ㅎ’이 축약되어 [거 ‘ㄹ’의 영향을 받아 첨가된 ‘ㄴ’이 ‘ㄹ’로 교체되
탈따]로 발음된다. 는 유음화가 일어난다.

23) [정답]
[해설] ‘ㅜ’는 고모음이고 ‘ㅗ’는 중모음이므로 ‘우동’
을 발음하며 입을 벌리는 정도가 점점 커진다.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1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