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비상(박안수) 4.

바른 말, 바른 글

고1 4-1.음운의 변동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
1) 제작연월일 : 2019-05-21
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
2) 제작자 : 교육지대㈜
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대표유형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유형의 문제를 꼭 확인하세요!!

★➊ <보기>와 동일한 음운변동이 이루어진 단어 찾기


➋ 음운변동을 반영한 표준발음에 대한 이해
★➌ 음운변동의 과정 분석하기
➍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음운현상 찾기
➎ 음운의 개념 및 특성 알기
★➏ 유음화 현상에 대한 이해
★➐ 거센소리 되기, 음운 축약 현상에 대한 이해
★➑ 구개음화에 대한 이해

유형 <보기>와 동일한 음운변동이 이루어진 단어 찾기 유형 음운변동을 반영한 표준발음에 대한 이해

★★★ ★★☆
1. zb1 ) <보기>는 음운 변동에 대한 선생님의 설명이다. 3. zb3 ) <보기>의 ㉠~㉣에 들어갈 표준 발음이 모두 바르
질문에 대한 답으로 적절한 것은? 게 연결된 것은?

<보기> <보기>
∙ 선생님 : 음운 변동은 결과에 따라 한 음운이 다른 음 ㄱ. 부엌에서 [ ㉠ ] 고기를 가져왔다.
운으로 바뀌는 교체. 두 개의 음운이 하나의 음운으 ㄴ. 부엌일[ ㉡ ]이 너무 힘들다.
로 합쳐지는 축약. 두 개의 음운 중 하나의 음운이
ㄷ. 진흙을[ ㉢ ] 벽에 발랐다.
없어지는 탈락. 원래 없던 음운이 새로 덧붙는 첨가
ㄹ. 흙냄새[ ㉣ ]가 방 안을 가득 채웠다.
가 있습니다.
㉠ ㉡ ㉢ ㉣
부어케서 부엉닐 진흘글 흥냄새
∙ 다음 ‘물약’과 동일한 음운 변동 과정이 일어나는 단
어는 무엇일까요? 부어케서 부엉닐 진흐글 흥냄새
물약 → [물냑] → [물략] 부어케서 부어길 진흘글 흑냄새
첨가 교체 부어게서 부억닐 진흐글 흑냄새
한여름[한녀름] 피어도[펴도] 부어게서 부엉닐 진흘글 흑냄새
서울역[서울력] 송별연[송벼련]
할는지[할른지]

유형 음운의 개념 및 특성 알기

유형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음운현상 찾기 ★★☆

★★☆
4. zb4 ) 음운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한 것은?

2. zb2 ) 다음 <보기>의 단어들을 발음할 때 공통적으로 ‘음운’이란 뜻을 가지고 있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로,


일어나는 음운현상은? 국어의 음운에는 자음과 모음, 소리의 길이, 성조 등이
<보기> 있다.

앞산, 꽃눈, 팥죽, 새벽녘 자음은 공기가 발음 기관을 지나면서 방해를 받아 나는


소리로, 소리의 세기에 따라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
자음동화 자음군 단순화
리로 나눌 수 있다.
자음축약 음절의 끝소리 규칙
소리의 길이에 따라 ‘눈[눈]’은 ‘땅 위로 떨어지는 얼음
‘ㄴ’첨가 의 결정체’일 수도 있고, ‘눈[눈:]’은 ‘볼 수 있는 감각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1 -
비상(박안수) 4-1.음운의 변동

기관’일 수도 있다. ㉣은 교체 현상이 두 번 나타난다.


음운이 일정한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발음되는 현상을 겹받침 ‘ㅄ’으로 인해 ㉠~㉣ 모두 공통적으로 탈락현상
‘음운의 변동’이라 하는데, 이는 발음의 경제성보다는 이 나타난다.
의미의 명확한 전달을 위해 일어난다.

유형 음운변동의 과정 분석하기 유형 <보기>와 동일한 음운변동이 이루어진 단어 찾기

★★★ ★★☆
5. zb5 ) ㉠과 ㉡의 빈 칸에 들어갈 음운 변동으로 가장 7. zb7 ) ㉠, ㉡, ㉢의 예가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적절한 것은?
<보기>
샅샅이 → [삳사치] → [삳싸치]
㉠ 비음화 : 비음이 아닌 자음이 비음의 영향을 받아 ‘ㄴ,
( ㉠ ) ( ㉡ ) ㅁ, ㅇ’으로 바뀌는 현상

㉠ ㉡ ㉡ 유음화 : ‘ㄴ’이 ‘ㄹ’의 앞 또는 뒤에서 유음인 ‘ㄹ’의


ㄱ 된소리되기, 구개음화 비음화 영향으로 ‘ㄹ’로 바뀌는 현상
ㄴ 거센소리되기, 구개음화 자음군 단순화 ㉢ 된소리되기 : 예사소리 ‘ㄱ, ㄷ, ㅂ, ㅅ, ㅈ’가 된소리
ㄷ 자음군 단순화, 구개음화 거센소리되기 ‘ㄲ, ㄸ, ㅃ, ㅆ, ㅉ’로 변하는 현상
음절의 끝소리 규칙, ㉠ ㉡ ㉢
ㄹ 된소리되기
구개음화
대통령 옷고름 껴안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
ㅁ 된소리되기 먹는다 물난리 광한루
거센소리되기
꽃망울 할는지 갑자기
ㄱ ㄴ
굳히다 줄넘기 해돋이
ㄷ ㄹ
앞마당 옷맵시 값지다

유형 구개음화에 대한 이해
유형 음운변동의 과정 분석하기

★★★ ★★☆

6. zb6 ) <보기>를 바탕으로 ㉠~㉣의 음운 변동을 이해한 8. zb8 ) 다음 <보기>의 음운변동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옳지 않은 것은?

<보기> <보기>

음운의 변동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어떤 음 미닫이 → [미다지]


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교체, 어떤 음운이 없어지는 굳 이 → [구 지]
탈락, 새로운 음운이 생기는 첨가, 두 음운이 하나의 음 붙이다 → [부치다]
운으로 합쳐지는 축약이 그것이다.
조음방법이 파열음에서 파찰음으로 바뀌었다.
조음위치가 연구개음에서 경구개음으로 바뀌었다.
㉠ 값을[갑쓸] ‘디디다’는 동일한 음운변동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 값만[감만] ‘ㄷ, ㅌ’이 ‘ㅣ’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 앞에서 ‘ㅈ, ㅊ’
㉢ 값하다[가파다] 으로 바뀌었다.
㉣ 값있다[가빋따] 인접한 두 음운의 조음위치를 비슷하게 만들어 발음을
㉠은 교체 현상으로 바뀐 음운이 한 개 있다. 편하기 위해 일어났다.

㉡은 탈락과 교체 현상이 모두 나타난다.


㉢은 탈락과 축약이 모두 일어나 음운의 수가 두 개 줄
었다.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2 -
비상(박안수) 4-1.음운의 변동

유형 거센소리 되기, 음운 축약 현상에 대한 이해


★★☆
9. zb9 ) 다음은 ’음운‘에 대한 학습 활동지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표기 음운 변동 음운 변동의 결과
맏형 ㄷ+ㅎ→ㅌ → [마텽]
잡히다 ㅂ+ㅎ→ㅍ → [자피다]

위의 음운 변동을 통해 두 형태소가 결합할 때, ( ㉠ )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여러 가지 음운 변동이 함께 일어날 수 있다.
앞뒤 형태소의 두 음운 사이에 새로운 음운이 덧붙을
수 있다.
앞뒤 형태소의 두 음운 중 어느 하나의 음운이 없어질
수 있다.
앞뒤 형태소의 두 음운이 합쳐져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
들 수 있다.
앞이나 뒤의 음운의 영향을 받아 그와 성질이 같거나
비슷한 음운으로 바뀔 수 있다.

유형 유음화 현상에 대한 이해

★★☆
10. zb1 0 ) 다음 <자료>를 보고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면?

<보기>
신라[실라], 칼날[칼랄], 실내화[실래화]
신라[실라]는 뒤에 있는 자음 ‘ㄹ’의 영향으로 앞의 ‘ㄴ’
이 바뀐 것이다.
칼날[칼랄], 실내화[실래화]는 바뀌는 위치에 따라 신라
[실라]와 구분할 수 있다.
실내화[실래화]는 뒤에 있는 ‘ㄴ’이 앞의 ‘ㄹ’의 영향으
로 유음화가 된 경우이다.
위 <자료> 모두 조음위치를 비슷하게 하여 소리를 편하
게 내기위해 일어나는 현상이다.
위 <자료> 모두 ‘ㄴ’이 ‘ㄹ’의 앞 또는 뒤에서 ‘ㄹ’로 발
음되는 현상인 유음화 현상이다.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3 -
비상(박안수) 4-1.음운의 변동

[해설] ‘ㄹ’과 ‘ㄴ’의 조음 위치는 모두 잇몸소리이다.


유음화는 조음 방법을 비슷하게 하여 소리를 편
하게 내기 위해 일어나는 현상이다.

1) [정답]
[해설] 물약[물략]은 ㄴ첨가와 유음화가 일어난다.
ㄴ첨가, 유음화 ㄴ첨가 모음 축약 음운
변동 없음(연음) 유음화

2) [정답]
[해설] 앞산[압싼]: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된소리되기,
꽃눈[꼰눈]: 음절의 끝소리 규칙, 팥죽[팓쭉]: 음절
의 끝소리 규칙과 된소리되기, 새벽녘[새벽녁]: 음
절의 끝소리 규칙

3) [정답]
[해설] ㉠ 연음(음운 변동 없음) ㉡ 음절의 끝소리 규
칙, ㄴ첨가, 비음화 ㉢ 연음(음운 변동 없음) ㉣
자음군 단순화, 비음화

4) [정답]
[해설] ‘음운’은 말의 뜻을 구별해주는 소리의 가
장 작은 단위이다. 국어의 음운에는 자음과 모
음, 소리의 길이가 있다. 소리의 길이에 따라
[눈]은 볼 수 있는 감각 기관, [눈ː]은 땅 위로 떨
어지는 얼음의 결정체로 구분할 수 있다. 음운
변동은 발음을 쉽게 하거나 말의 의미를 명확하
게 전달하기 위해 일어난다.

5) [정답]
[해설] ㉠ 음절의 끝소리 규칙(ㅌ→ㄷ), 구개음화 (티
→치) ㉡ 된소리되기(사→싸)

6) [정답]
[해설] ㉠ 교체(된소리되기) ㉡ 탈락(자음군 단순화),
교체(비음화) ㉢ 탈락(자음군 단순화), 축약(거센
소리되기) ㉣ 탈락(자음군 단순화), 교체(음절의
끝소리 규칙, 된소리되기)

7) [정답]
[해설] 꽃망울[꼰망울], 할는지[할른지], 갑자기[갑짜기]
비음화/된소리되기/된소리되기 비음화/유
음화/유음화 거센소리되기/유음화/구개음화
비음화/비음화와 된소리되기/된소리되기

8) [정답]
[해설] 음절의 끝소리인 잇몸소리 ‘ㄷ, ㅌ’이 형식 형
태소의 모음 ‘ㅣ’와 결합하여 센입천장소리(경구
개음)인 ‘ㅈ, ㅊ’으로 바뀌었다.

9) [정답]
[해설] <보기>에서는 두 음운이 합쳐져 하나의 음운
으로 소리는 축약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10) [정답]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