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언어와 매체 3.

단어와 음운의 탐구 및 활용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2)_비상(이관규)


우혜영 (hye@eduzone.co.kr)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
1) 제작연월일 : 2020-09-23
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
2) 제작자 : 교육지대㈜
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1. zb1 ) <보기>의 ㉠과 ㉡에 들어갈 음운으로 적절하지 3. zb3 ) 현대국어의 음운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않은 것은? 것은?

<보기> 각 언어의 음운 체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중 모음은 반모음과 단모음이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음운에는 비분절적인 말소리 요소도 포함된다.
반모음은 단모음에 붙어 상대적으로 짧게 발음되는 소리 음운은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이다.
이며, ‘ㅣ̌[j]’와 ‘ㅗ̌/ㅜ̌[w]’가 있다. 음절은 구체적인 소리지만 음운은 추상적인 소리이다.
반모음 ‘ㅣ̌[j]’로 시작하는 이중 모음에는 ‘( ㉠ )’가 있 한 언어에서 구별하여 인식하는 소리들을 다른 언어에
고, 반모음 ‘ㅗ̌/ㅜ̌[w]’로 시작하는 이중 모음에는 ‘( ㉡ )’ 서는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가 있다. 그리고 이중 모음 ‘ㅢ’는 앞의 ‘ㅡ’가 반모음인
지 뒤의 ‘ㅣ’가 반모음인지 판단하기 쉽지 않다.

㉠: ㅖ ㉠: ㅠ
㉠: ㅘ ㉡: ㅝ 4. zb4 ) <보기>의 ㉠~㉣에 해당하는 음운이 모두 포함된
것은?
㉡: ㅞ
<보기>
㉠ 여린입천장소리
㉡ 센입천장소리 중 예사소리
㉢ 후설 모음 중 저모음
㉣ 혀의 최고점이 뒤쪽에서 발음되는 원순 모음 중 고모
2. zb2 ) <보기>의 외래어 표기의 기본 원칙을 참고할 때,

표기가 잘못된 것은?
부모 소화
<보기>
동지 자꾸
제1장 외래어 표기법의 원칙
막내
제1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자모만으로 적는다.
제2항 외래어의 1음운은 원칙적으로 1기호로 적는다.
제3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제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 5. zb5 ) <보기>를 읽고 탐구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
로 한다. 은?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보기>
용례는 따로 정한다.
(가) 음운은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가장 작은 소리의 단
pin : 핀 jam : 잼 위이다. 가령 ‘물’과 ‘불’은 중성과 종성은 동일하지만
sunglass : 선글라스 gas : 가스 초성에 오는 자음이 달라짐으로써 단어의 뜻이 달라
jazz : 째즈 진다. 이때 ‘ㅁ’과 ‘ㅂ’은 서로 다른 음운이 된다.

(나) 음운의 목록과 체계는 언어마다 차이를 보인다. 한


언어에서 구별하여 인식하는 소리들을 다른 언어에서
는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불, 풀, 뿔’의 차이를 인식하지만, 영어권 화자들은
그 차이를 쉽게 구별해 내지 못한다.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1 -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2)_비상(이관규)

(다) 우리말에서는 소리의 길이에 따라 단어의 의미가 달 (나) ㉠ 부엌문 → [부엉문]


라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밤’을 길게 발음하면 밤 ㉡ 닭만 → [당만]
나무의 열매인 ‘밤(栗)’을, 짧게 발음하면 낮과 구별되
㉢ 흙일 → [흥닐]
는 ‘밤(夜)’을 의미한다. 이러한 소리의 장단은 단어의
㉠~㉢ 모두 2개의 음운 변동이 일어났다.
첫음절에서만 구별이 되고, 둘째 음절부터는 항상 짧
게 발음된다. ㉠~㉢에 공통적으로 일어난 음운 변동은 탈락이다.

‘감’과 ‘곰’에서 ‘ㅏ’와 ‘ㅗ’가 서로 다른 음운이 됨을 알 ㉠은 교체에 속하는 음운 변동이 두 가지 적용되었다.


수 있겠군. ㉡은 탈락과 첨가에 속하는 음운 변동이 한 가지씩 적
영어권에는 우리말 음운 ‘ㅂ, ㅃ, ㅍ’ 각각에 해당하는 용되었다.
음운이 없겠군. ㉢은 음운 변동의 결과 음운의 개수가 줄었다.
소리의 길이가 단어의 의미를 변별해 주므로 소리의 길
이도 음운에 속하는군.
‘알밤’과 ‘야밤’에서 ‘밤’의 뜻을 ‘밤(栗)’과 ‘밤(夜)’으로
구별해서 인식하는 것으로 소리의 길이 차이 때문이겠
군.
영어 단어 ‘face’와 ‘pace’의 ‘f’와 ‘p’는 우리말에서는 8. zb8 ) <보기>에서 (가)의 1~4를 적용할 때 (나)에서 된
[ㅍ]로 동일하게 발음되어 단어의 의미를 구별해 주지 소리되기가 일어나는 단어의 개수는?
못하므로 우리말에서는 별개의 음운이라 할 수 없군. <보기>
(가) 된소리되기는 특정한 환경에서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된소리되기는 다음
과 같이 여러 환경에서 나타난다.
1. 받침 ‘ㄱ, ㄷ, ㅂ’ 뒤에 연결되는 자음 ‘ㄱ, ㄷ, ㅂ, ㅅ,
6. zb6 ) <보기>의 조건에 해당하는 자음으로 구성된 단어 ㅈ’은 된소리로 발음.
는?
2. 어간 받침 ‘ㄴ, ㅁ’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보기>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

첫째 음절 둘째 음절 셋째 음절 3. 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연결되는 ‘ㄷ, ㅅ, ㅈ’은 된


초성의 조음 소리로 발음
파열음 파찰음 비음
방법 4. 관형사형 ‘-(으)ㄹ’ 뒤에 연결되는 자음 ‘ㄱ, ㄷ, ㅂ,
종성의 조음 여린입천장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
잇몸소리 잇몸소리
위치 소리

단층면 감칠맛 (나) 올해 수능 시험이 예년에 비해 쉽게 출제된 것으로


확인된 가운데 고3 수험생 상당수는 올해 수학이 가
방청인 불청객
장 어려웠던 것으로 조사됐다.
된장국
2개 3개
4개 5개
6개

7. zb7 ) <보기>의 (가)를 바탕으로 (나)의 변동을 이해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보기>
9. zb9 ) <보기>의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가) 음운 변동의 유형에는 교체, 탈락, 첨가, 축약 네 가
지가 있다. 단어에 따라서는 네 가지 음운 변동 중 <보기>
어느 하나의 유형만 적용되기도 하고 둘 이상의 유형 ㉠ 닳는 → [달른]
이 적용되기도 한다. 또한 동일한 유형에 속하는 변 ㉡ 뜻하다 → [뜨타다]
동이 둘 이상 적용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음운 변동
㉢ 홑이불 → [혼니불]
이 일어나는 경우 음운 개수의 변화가 나타나기도 한
㉣ 맛있다 → [마싣따]
다.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2 -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2)_비상(이관규)

㉠에는 ‘물약 → [물략]’에서처럼 원래 없던 음운이 생 ‘국물’은 ‘신라’와 같이 비음이 아닌 음운이 비음의 영


겨나는 음운 변동이 있다. 향을 받아 비음으로 닮아가는 현상이다.
㉡에는 ‘쌓이다 → [싸이다]’에서처럼 원래 있던 음운이 위 단어들 중 가장 많은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단어는
없어지는 음운 변동이 있다. ‘물난리’이다.
㉢에는 ‘섭리 → [섬니]’에서처럼 인접하는 자음과 조음
방법이 같아진 음운 변동이 있다.
㉣에서는 ‘읊고 → [읍꼬]’에서처럼 음절 끝에 둘 이상
의 자음이 오지 못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음운 변동이 13.
zb1 3 ) 다음은 음운 변동 현상에 대한 수업 내용이다. 선
있다. 생님의 설명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으로 가장 적절한
㉠~㉣은 모두 ‘팥죽 → [팓쭉]’에서처럼 음절 끝에 올 것은?
수 있는 자음이 제한되기 때문에 일어난 교체 현상이 선생님 : 음운 변동 현상은 한 단어 안에서 한 번만 일어
있다. 날 수도 있고 여러 단계에 걸쳐서 일어나기도 합니
다. 빈칸에 단어들의 발음을 써 보고 (A)~(E)에 각각
어떤 음운 변동 현상이 들어갈지 생각해 보세요.

압력 -(A)→ [압녁] -(B)→ [암녁]


10.
zb1 0 ) 음운 변동을 적용하여 발음한 것으로 바르지 않
짖는 -(C)→ [짇는] -(D)→ [진는]
은 것은?
곤란 -(E)→ [골란]
흙을[흘글] 끊긴[끈킨]
무지 : ‘압력’ 대신 ‘섭리’를 넣더라도 (A)와 (B)에 들어
핥이다[할치다] 색연필[생년필] 갈 음운 변동은 동일해.
여덟이[여더리] 프로도 : ‘짖는’ 대신 ‘짓는’을 넣으면 (C)와 (D)의 순서
가 바뀌겠지.
네오 : ‘끓는’의 경우 ‘곤란’처럼 음운 변동이 오직 (E)
만 일어날 거야.
콘 : (E)는 여린입천장소리가 센입천장소리로 바뀌게 되
11.
zb1 1 ) <보기>의 밑줄 친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 는 현상이네.
지 않은 것은?
튜브 : (A)~(E) 모두 한쪽 음운이 다른 음운의 성질을
<보기> 닮아가는 현상이군.
㉠눈보라가 휘몰아쳐서 ㉡눈이 시리다.
함박㉢눈이 내리는 이 ㉣밤에 군㉤밤을 먹는다.
㉠과 ㉡은 소리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발음한다.
㉠과 ㉢은 모두 소리를 길게 하여 발음한다.
14.
zb1 4 ) ㄴ첨가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
㉡과 ㉣은 소리의 길이를 서로 같게 발음한다.
은?
㉢과 ㉤은 소리의 길이를 서로 같게 발음한다.
‘이불’은 단일어이므로 ㄴ첨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과 ㉤은 모두 소리를 짧게 하여 발음한다.
‘먹이’는 접미파생어이므로 ㄴ첨가 현상이 일어나지 않
는다.
‘누비이불’은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므로 ㄴ첨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12.
zb1 2 ) 음운 변동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불여우’는 뒷말이 모음 ㅣ로 시작하지 않으므로 ㄴ첨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솔잎 칼날 신라 국물 물난리
‘솜이 두껍다’의 ‘솜이’는 결합한 뒷말이 조사이므로 ㄴ
‘솔잎’과 ‘칼날’에는 공통되는 음운 변동 현상이 존재하 첨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지 않는다.
‘솔잎’은 음운의 개수가 늘어나지만, ‘칼날’은 음운의 개
수가 줄어든다.
‘신라’와 ‘국물’은 공통적으로 두 단어 모두 뒷말에 영
향을 받아 앞말이 변한다.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3 -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2)_비상(이관규)

15.
zb1 5 ) ⓐ, ⓑ의 표준발음을 각각 쓰고, ⓑ에서는 구개음 18.
zb1 8 ) 음운의 변동을 학습한 후 라디오에서 들려오는
화가 일어나지 않은 이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하 노래를 들으며 학습 내용을 적용해 보았다. ㉠~㉤에
시오.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우리 함께 ⓐ밭이랑 논을 일구자. ㉠효과를 알 수 ㉡없는 약수가 하나 가득


ⓑ밭이랑에 곡식을 심었다. ㉢딸각딸각 아침 짓는 어머니의 분주함과
엉금엉금 냉수 ㉣찾는 그 아들의 게으름이
상큼하고 ㉤깨끗한 아침의 향기와
구수하게 밥 뜸드는 냄새가 어우러진
가을 아침 내겐 정말 커다란 기쁨이야

16.
zb1 6 ) <보기>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아이유, ‘가을 아침’
㉠ : [효 ː 과]로도 발음할 수 있고 [효 ː 꽈]로도 발음할
<보기>
수 있겠군.
㉠ 물엿[물렫] ㉡ 값만[감만] ㉢ 금붙이[금부치]
㉡ : [업는]으로 자음군 단순화를 거쳐 [엄는]으로 비음
㉢에서는 음운의 개수에는 변화가 없군.
화가 일어났겠군.
㉠에서는 음운 변동이 2가지 이상 일어나는군.
㉢ :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 ㄷ,
㉠에서 첨가된 음운과 ㉡에서 탈락된 음운은 서로 다르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된다는 된소리되기 현
군. 상에 따라 [딸깍딸깍]으로 발음되겠군.
㉢은 음운 ‘ㅌ’과 ‘ㅊ’의 조음 위치가 같아서 일어나는 ㉣ : 음절 끝소리 규칙에 의해 [찯는]에서 비음화를 거
음운 변동이군. 쳐 [찬는]으로 발음되겠군.
㉠은 유음 ‘ㄹ’의 영향을 받아서, ㉡에서는 비음 ‘ㅁ’의 ㉤ : 음절 끝소리 규칙에 따라 [깨끋한]에서 자음 축약
영향을 받아서 음운의 변동이 일어났군. 이 일어나 [깨끄탄]으로 발음되겠군.

19. 학생들이 음운 변동의 유형에 대해 탐구한 내용


17.
zb1 9 )

zb1 7 ) <보기>의 선생님의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적절한 이다. ㉠~㉡에 들어갈 내용을 서술하시오.
것은?
<보기>
<보기>
ⓐ밭이 넓다. ⓑ밭일이 많다.
선생님 : 음운의 변동은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학생 A : 구개음화는 음절 말의 ‘ㄷ, ㅌ’이 모음 ‘ㅣ’로
㉠교체, 원래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탈락, 원래 없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 앞에서 구개음 ‘ㅈ, ㅊ’
던 음운이 생겨나는 ㉢첨가, 두 음운이 하나의 음운
으로 줄어드는 ㉣축약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으로 바뀌어 발음하는 현상이잖아. 이에 따라
ⓐ‘밭이’는 ㉠[ ]로 발음하게 되겠군.
[질문] 다음 밑줄 친 부분에서 일어나는 음운의 변동 양
학생 B : ⓑ‘밭일이’도 음절 말 ‘ㅌ’이 모음 ‘ㅣ’와 만났는
상을 설명해 볼까요?
데 ⓐ에서와는 달리 [반니리]로 발음되는 이유
나는 어제 공원에 나가 컵라면을 먹었다. 의자에 있는 가 뭘까?
흙만 털고 앉아 끓는 물을 넣고 덮개를 닫고는 경치를
학생 A : 그 이유는 ㉡___________________________.
둘러보았다. 하늘이 흐르지 않고 맑아서 좋다고 생각했
다.
<조건>
‘흙만[흥만]’에서 ㉠과 ㉡이 일어납니다.
㉡ 작성시, ⓐ‘밭이’와 비교되는 ⓑ‘밭일이’의 음운 환경
‘끓는[끌른]’에서 ㉠과 ㉢이 일어납니다.
을 설명하고, 음운 변동의 유형을 쓸 것.
‘덮개[덥깨]’에서 ㉠과 ㉢이 일어납니다.
‘않고[안코]’에서 ㉡과 ㉣이 일어납니다.
‘좋다고[조타고]’에서 ㉠과 ㉡이 일어납니다.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4 -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2)_비상(이관규)

20.
zb2 0 ) <보기>의 ㉠과 ㉡의 단모음 분류상 명칭을 주어 2개의 전설 모음 2개의 중모음
진 순서대로 쓰고, ㉠과 ㉡이 각각 제1음절과 제2음 4개의 평순 모음 2개의 고모음
절에 들어가는 한 단어의 예를 드시오. (단, 고유명 4개의 후설 모음
사는 제외할 것.)

<보기>
㉠:
발음할 때 혀의 높이가 가장 낮음.
발음할 때 혀의 가장 높은 부분이 입안에서 앞쪽에 있
음.
22. zb2 2 ) <보기>의 음운변동 유형을 분류하여 모두 적으시
오.
발음할 때 입술의 모양이 평평함.
<보기>
멋진 낳으니 맏이 식용유 닦지
㉡:
삶 한여름 눈요기 꽃밭 쌓는
발음할 때 혀의 높이가 가장 높음.
발음할 때 혀의 가장 높은 부분이 입안에서 뒤쪽에 있 (1) 교체
음. (2) 탈락

발음할 때 입술의 모양이 둥긂. (3) 첨가

21.
zb2 1 ) <보기>의 [탐구 활동] ㉠에 들어갈 말로 적절하 23. zb2 3 ) 다음은 국어의 자음 체계를 정리한 도표다. 도표
지 않은 것은? 안의 기호에 들어갈 단어를 쓰시오.
<보기>
[7] [1] [2] [3] [4] [5] [6]
최소 대립쌍은 하나의 소리로 인해 의미가 구별되는 단
어의 짝을 의미한다. 예컨대 ‘발’과 ‘말’은 ‘ㅂ’과 ‘ㅁ’으로 [15] ㅂ ㄷ ㄱ
인해 그 의미가 달라지는데, 이때의 ‘ㅂ’과 ‘ㅁ’은 음운의 [10] [16] ㅃ ㄸ ㄲ
자격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이 최소 대립쌍을 이용하여 음 [17] ㅍ ㅌ ㅋ
운들을 추출하면 음운 체계를 수립할 수 있다. ㉮에서 최 ㅅ
소 대립쌍을 찾아 음운들을 추출하고, 그 음운들은 ㉯에 [8] [11] ㅎ

서 확인해보자. ㅈ
[12] ㅉ

㉮ 마음, 회상, 구슬, 상상, 허상, 구실, 모음
[13] ㅁ ㄴ ㅇ
[9]
[14] ㄹ
㉯ 국어의 단모음 체계

혀의 최고점의
위치 전설 모음 후설 모음

입술 24. zb2 4 ) 다음 <보기1>의 표준어 규정을 참고하여 <보기


모양 평순 원순 평순 원순
2>의 밑줄 친 단어 ‘개구쟁이들’과 ‘애기’의 표기의
혀의 높이
적절성을 판단하고, 옳은 이유와 옳지 않은 이유에
고모음 ㅣ ㅟ ㅡ ㅜ
대해 쓰시오.
중모음 ㅔ ㅚ ㅓ ㅗ
<보기1>
저모음 ㅐ ㅏ
제9항 ‘ㅣ’ 역행 동화 현상에 의한 발음은 원칙적으로 표
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아니하되, 다만 다음 단어들은 그
[탐구 활동] 러한 동화가 적용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
어로 삼고, ㄴ을 버림.
위에서 추출된 음운에서는 ㉠_____을 확인할 수 있다.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5 -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2)_비상(이관규)

ㄱ ㄴ 뒤에 오는 말이 조사냐 어미냐의 여부
-내기 -나기 뒤에 오는 말이 접사냐 어근이냐의 여부
냄비 남비 뒤에 오는 말이 자음이냐 모음이냐의 여부
동댕이 -치다 동당이 -치다
뒤에 오는 말이 양성 모음이냐 음성 모음이냐의 여부
[붙임 1] 기술자에게는 ‘-장이’, 그 외에는 ‘-쟁이’가 붙는 뒤에 오는 말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냐 형식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형태소냐의 여부

<보기2>

휴일을 맞아 가족 단위의 나들이객들이 공원을 울긋불


긋 수놓았습니다. 돗자리에 둘러앉아 집에서 싸 온 김밥
을 먹는 가족들, 달리기 시합을 하며 웃음꽃을 피우는 천
27.
zb2 7 ) <보기1>은 표준 발음법 규정의 일부이다. 이를
바탕으로 <보기2>를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진난만한 개구쟁이들. 줄이 끊긴 풍선이 하늘로 날아오르
고 아이들의 손에는 맛있는 간식이 들려 있습니다. 엄마 <보기1>
품에 안겨 새록새록 잠을 자고 있는 애기의 모습이 귀엽 제9항 받침 ‘ㄲ, ㅋ’, ‘ㅅ, ㅆ, ㅈ, ㅊ, ㅌ’, ‘ㅍ’은 어말 또
기만 합니다. 휴일을 즐기는 시민들의 표정에 가을의 정 는 자음 앞에서 각각 대표음 [ㄱ, ㄷ, ㅂ]으로 발음한
취가 흠씬 묻어납니다. 다.
제13항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
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
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제18항 받침 ‘ㄱ(ㄲ, ㅌ,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25.
zb2 5 ) 다음 <보기>의 단어 ㉠~㉢에 적용되는 단계별 음 ㅎ), ㅂ(ㅍ, ㄼ, ㄿ, ㅄ)’은 ‘ㄴ, ㅁ’ 앞에서 [ㅇ, ㄴ,
운 변동의 유형을 모두 쓰시오. ㅁ]으로 발음한다.

<보기> 제20항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 저녁연기 제23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 설익다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 읊고

<보기2>
예) 덮개 : [덮개] → [덥개] → [덥깨]
㉠ 아버지는 논밭을 일구며 살고 싶어 하셨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 된소리되기
㉡ 그는 부엌만 들어가면 요리를 시작한다.
㉢ 물난리 이후 마을의 모습은 많이 변했다.
㉣ 영희는 아까부터 자기의 넋두리만 늘어놓고 있다.
㉤ 오늘따라 그의 모습이 낯설다.
26.
zb2 6 ) 음운의 변동에 대해 학습한 후, <보기1>에 제시 ㉠의 ‘논밭을’는 표준발음법 제9항과 제13항이 적용되
된 단어들을 특정한 기준에 따라 <보기2>의 ㉮와 어 [논바츨]로 발음되겠군.
㉯로 분류하였다. 이때, 사용한 분류 기준으로 적절 ㉡의 ‘부엌만’은 표준발음법 제9항과 제18항이 적용되
한 것은? 어 [부엉만]으로 발음되겠군.
<보기1> ㉢의 ‘물난리’는 표준발음법 제13항과 제20항이 적용되
어 [물란리]로 발음되겠군.
<‘꽃’ 뒤에 다른 형태소가 오는 경우>
꽃이, 꽃에, 꽃을, 꽃 위, 꽃 안 ㉣의 ‘넋두리’는 표준발음법 제13항과 제23항이 적용되
어 [넉뚜리]로 발음되겠군.
㉤의 ‘낯설다’는 표준발음법 제18항과 제23항이 적용되
<보기2> 어 [나썰다]로 발음되겠군.
㉮ ㉯
표기 꽃이 꽃에 꽃을 꽃 위 꽃 안
발음 [꼬치] [꼬체] [꼬츨] [꼬뒤] [꼬단]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6 -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2)_비상(이관규)

28.
zb2 8 ) ㉠~㉣의 현상이 일어나는 음운 변동의 사례로 적 값하다→[갑하다]→[가파다], 물약→[물냑]→[물략]
절한 것은? ⓐ ⓑ ⓒ ⓓ
<보기> ⓐ ⓑ ⓒ ⓓ
음운의 변동은 변동이 일어나기 전과 일어난 후의 음운 ㉠ ㉡ ㉢ ㉣
을 비교하여 크게 교체, 탈락, 첨가, 축약으로 나뉜다. 이
㉠ ㉢ ㉡ ㉣
중 한 음운이 수적인 변화 없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
상인 ‘교체’가 가장 일반적이며, 아래와 같은 다양한 변동 ㉢ ㉣ ㉠ ㉡
이 음운의 교체에 해당한다. ㉣ ㉢ ㉡ ㉠

㉠ 음절의 끝소리 규칙 : 음절의 끝소리로 ‘ㄱ, ㄴ, ㄷ, ㉣ ㉠ ㉢ ㉡


ㄹ, ㅁ, ㅂ, ㅇ’ 이외의 자음이 오면 이 일곱 자음 중
의 하나로 바뀌어 소리 나는 현상
㉡ 비음화 : ‘ㄱ, ㄷ, ㅂ’이 비음 ‘ㄴ, ㅁ’ 앞에서 비음
‘ㅇ, ㄴ, ㅁ’으로 바뀌어 소리 나는 현상
㉢ 유음화 : ‘ㄴ’이 유음 앞이나 뒤에서 유음으로 바뀌어
소리 나는 현상
30.
zb3 0 ) <보기>를 바탕으로 한글 창제의 원리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구개음화 : 경구개음이 아닌 ‘ㄷ, ㅌ’이 모음 ‘ㅣ’나 반
모음 ‘ㅣ[j]’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 앞에서 경구개음 <보기>
‘ㅈ, ㅊ’으로 바뀌어 소리 나는 현상 1. 초성자(자음)
㉠과 ㉡이 모두 일어나는 예로, ‘앞마당[암마당]’을 들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 기본자 가획자 이체자
수 있다.
어금닛소리 ㄱ ㅋ ㅇ
㉠과 ㉢이 모두 일어나는 예로, ‘옷고름[옫꼬름]’을 들
혓소리 ㄴ ㄷ,ㅌ ㄹ
수 있다.
입술소리 ㅁ ㅂ,ㅍ
㉡과 ㉢이 모두 일어나는 예로, ‘청량리(청냥니)’를 들 잇소리 ㅅ ㅈ,ㅊ ㅿ
수 있다. 목구멍소리 ㅇ ㆆ,ㅎ
㉠, ㉡, ㉢이 모두 일어나는 예로, ‘꽃눈[꼰눈]’을 들 수
있다. 2. 중성자(모음)

㉡, ㉢, ㉣이 모두 일어나는 예로, ‘잃지[일치]’을 들 수 기본자 초출자 재출자


있다. ·(天,) 一(地,), ㅣ(人) ㅗ,ㅏ,ㅜ,ㅓ ㅛ,ㅑ,ㅠ,ㅕ

3. 종성자(자음)
종성자는 따로 만들지 않고 초성자를 다시 사용함
자음자는 조음 기관을, 모음자는 ‘천지인’을 상형하여
29.
zb2 9 ) <보기>의 ⓐ~ⓓ 과정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동의 기본자를 만들었군.
유형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자음은 기본자에 획을 더함으로써 가획자와 이체자를
<보기> 만들어내는 단계적 방법을 적용하였군.

음운이 일정한 조건에 따라 바뀌는 현상을 음운 변동이 같은 위치에서 소리 나는 기본자와 가획자는 형태상의
라고 하는데, 우리말의 음운 변동은 다음과 같이 유형화 유사성이 발견되는군.
할 수 있다. 모음은 기본자를 먼저 만들고 기본자끼리의 결합으로
초출자를 만들었군.
㉠ 교체 : 한 음운이 수적인 변화는 없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음운 변동 종성에 쓰는 자음을 추가로 만들지 않음으로써 문자 운
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군.
㉡ 첨가 : 없던 음운이 새로 생기는 음운 변동
㉢ 축약 : 인접한 두 음운이 합쳐져서 제3의 음운으로 바
뀌는 음운 변동
㉣ 탈락 : 한 음운이 단순히 없어지는 음운 변동
그런데 이러한 음운 변동(變動)은 순차적으로 일어나기
도 한다. 예를 들어 ‘값하다’와 ‘물약’을 발음할 때의 음
운 변동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7 -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2)_비상(이관규)

뒤에 ‘ㅈ’이 된소리로 발음되었다.

9) [정답]
1) [정답] [해설] ‘홑이불→혿이불(음절의 끝소리 규칙)→혿
[해설] 은 반모음 ‘ㅗ’가 결합한 이중모음이다. ㉠ 니불(ㄴ첨가)→[혼니불](비음화)’, ‘섭리→섭니→[섬
에 해당하는 이중모음에는 ‘ㅑ, ㅕ, ㅛ, ㅠ, ㅒ, 니](비음화)’처럼 ‘홑이불’과 ‘섭리’는 공통적으로
ㅖ’, ㉡에 해당하는 이중모음에는 ‘ㅘ, ㅙ, ㅝ, ㅞ’ 비음화가 일어났다. ‘닳는→달는(탈락)→[달른]
가 있다. (유음화)’, ‘물약→물냑(첨가)→[물략](유음화)’에서
알 수 있듯, ‘물약’만 첨가가 일어난다. ‘뜻하
2) [정답] 다→뜯하다(음절의 끝소리 규칙)→[뜨타다](거센소
[해설] ‘째즈’는 ‘제4항’에 어긋난 표기이다. 외래 리되기)’, ‘쌓이다[싸이다](ㅎ탈락)’처럼 탈락이 일
어의 표기에서 된소리를 표기하지 않는 것이 원 어난 단어는 ‘쌓이다’만 해당한다. ‘맛있다’를
칙이므로 ‘재즈’로 표기한다. [마싣따]로 발음한 것은, 교체 2번(음절의 끝소리
규칙, 된소리 되기)가 일어난 결과이고, ‘읊고’를
3) [정답]
[읍꼬]로 발음한 것은 탈락(자음군단순화)와 교체
[해설] ‘음절’은 한번에 발음할 수 있는 최소의 발음
(된소리되기, 음절 끝소리 규칙)가 적용되었기 때
단위이다. 구체적인 소리는 ‘음성’이다.
문이다. ㉠에는 음절 끝소리 현상이 나타나지
4) [정답] 않는다.
[해설] ㉠에 해당하는 자음은 ‘ㄱ, ㄲ, ㅋ, ㅇ’이다.
10) [정답]
㉡에 해당하는 자음은 ‘ㅈ’이다. ㉢에 해당하는
[해설] ‘여덟이’는 겹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
모음은 ‘ㅏ’이다. ㉣에 해당하는 모음은 ‘ㅜ’이다.
는 조사가 오는 경우로, 이때는 겹받침 중 뒤의
5) [정답] 자음만을 다음 소리의 첫소리로 옮겨서 발음해야
[해설] ‘알밤’의 ‘밤(栗)’은 본래 긴소리로 발음되지만 하므로 [여덜비]로 발음해야 한다.
둘째 음절에서 쓰였으므로 긴소리로 발음되지 않
11) [정답]
는다. ‘야밤’의 ‘밤(夜)’는 본래 짧은 소리로 발음
[해설] ‘눈’이 ‘雪’의 의미일 때는 길게 발음하여 ㉠
되므로 ‘알밤’과 ‘야밤’의 ‘밤’은 소리의 길이가
은 [눈:보라]로 발음하지만, 둘째 음절 이하에 올
같다.
때에는 긴소리가 사라져 ㉢은 [함박눈]으로 발음
6) [정답] 한다.
[해설] 파열음에는 ㅂ,ㅃ,ㅍ,ㄷ,ㄸ,ㅌ,ㄱ,ㄲ,ㅋ이 있다.
12) [정답]
파찰음에는 ㅈ,ㅉ,ㅊ이 있다. 비음에는 ㄴ,ㅁ,ㅇ이
[해설] ‘신라’는 뒤에 있는 ‘ㄹ’의 영향으로 앞말
있다. 잇몸소리에는 ㄷ,ㄸ,ㅌ,ㅅ,ㅆ,ㄴ,ㄹ이 있다.
의 ‘ㄴ’이 ‘ㄹ’로 유음화되어 [실라]로 발음되고,
여린입천장소리에는 ㄱ,ㄲ,ㅋ,ㅇ이 있다.
‘국물’은 뒤에 있는 ‘ㅁ’의 영향으로 앞말의 ‘ㄱ’
7) [정답] 이 ‘ㅇ’으로 비음화되어 [궁물]로 발음된다.
[해설] ㉠ ‘부엌문→[부억문], 교체(음절의 끝소리 규 ‘솔잎[솔립]’과 ‘칼날[칼랄]’에는 공통적으로 유음
칙)→[부엉문], 교체(비음화)’, ㉡ ‘닭만→[닥만], 화가 일어난다. ‘솔잎’은 첨가에 의해 음운의
탈락(자음군단순화)→[당만], 교체(비음화)’, ㉢ ‘흙 개수가 늘지만, ‘칼날’은 교체만 일어나므로 음운
일→[흑일], 탈락(자음군단순화)→[흑닐], 첨가→ 의 개수에 변화가 없다. ‘국물’은 비음화이지
[흥닐], 교체(비음화)’ ㉠은 음절의 끝소리 규 만, ‘신라’는 유음화가 일어난다. ‘물난리’는
칙과 비음화가 일어나서 교체에 해당하는 음운변 순행적 유음화와 역행적 유음화만 일어난다. 가장
동이 2번 일어났다. ㉠과 ㉡은 2번의 음운변 많은 음운 변동이 일어난 단어는 ‘솔잎’이다. 음
동이 일어났지만, ㉢은 3번의 음운변동이 일어났 절의 끝소리 규칙(ㅍ→ㅂ), ㄴ첨가, 유음화(ㄴ→
다. ㉠~㉢에 공통적으로 일어난 음운변동은 ㄹ)이 적용되어 [솔립]으로 발음된다.
교체이다. ㉡은 탈락과 교체가 일어났다.
13) [정답]
㉢은 음운 변동의 결과 음운의 개수가 변화가 없
[해설]   ‘ㅂ’과 ‘ㄹ’이 만나는 경우, 먼저 뒤의 자
다.
음 ‘ㄹ’이 ‘ㄴ’으로 바뀌고, 바뀐 소리 ‘ㄴ’에 의해
8) [정답] 앞말의 ‘ㅂ’이 ‘ㅁ’으로 비음화되므로 ‘압력’과 ‘섭
[해설] ‘쉽게[쉽께], 어려웠던[어려웓떤], 조사됐다[조 리’ 모두 같은 과정으로 발음된다. ‘짖는’과
사됃따]’는 (가)-1에 따라 받침 ‘ㄱ, ㄷ, ㅂ’ 뒤에 ‘짓는’ 모두 (C)에서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D)
서 예사소리가 된소리가 바뀌어 발음되었다. ‘출 에서는 비음화가 일어난다. ‘끓는’은 자음군단
제(出題)[출쩨]’는 (가)-3에 따라 한자어 ‘ㄹ’ 받침 순화(‘ㄹㅎ’→‘ㄹ’)과 유음화(‘ㄴ’→‘ㄹ’)이 일어나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8 -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2)_비상(이관규)

지만, ‘곤란’은 유음화만 일어난다. (E)는 비음 [해설] ㉢‘딸각딸각’은 부사로, 용언의 관형사형
이 유음으로 바뀌는 유음화이다. 한쪽의 음운 ‘-ㄹ’이 나타난 단어가 아니다.
이 다른 음운의 성질을 닮아가는 현상은 ‘동화’
19) [정답] ㉠[바치], ㉡‘밭이’에서 ‘이’는 조사로 형식
로, ‘B, D(비음화), E(유음화)’만 해당된다. ‘A, C’
형태소이기 때문에 구개음화가 일어나지만, ‘밭일
는 음절말에서 발음되는 자음이 제한되기 때문에
이’에서 ‘ㅌ’ 다음에 연결되는 ‘일’은 실질형태소이
일어나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다.
기 때문에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고 음절끝소리규
14) [정답] 칙과 ㄴ첨가, 비음화가 일어난다.
[해설] ‘불여우’는 ‘불-+여우’의 파생어로, 앞말이 [해설] 구개음화는 받침 ‘ㄷ, ㅌ’이 조사나 접사 등의
받침이 있고, 뒷말이 ‘ㅣ계’모음으로 시작하므로 형식형태소 ‘ㅣ’나 ‘ㅣ계 모음’을 만났을 때, ‘ㅈ,
‘ㄴ’이 첨가되어 ‘불녀우’가 되고, 앞말의 ‘ㄹ’의 ㅊ’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것이다. ‘밭일이’는 ‘받
영향으로 뒷말의 ‘ㄴ’이 유음화되어 [불려우]로 발 일이’, ‘받닐이’, ‘반닐이’으로 음운 변동이 일어나
음된다. 며 연음되어 최종적으로 [반니리]로 발음한다.

15) [정답] ⓐ[바치랑], ⓑ[반니랑], ‘이랑’은 실질 형태 20) [정답] ㉠저모음, 전설모음, 평순모음, ㉡고모음,
소이기 때문에 구개음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후설모음, 원순모음 / (예) 개울 등
[해설] 구개음화는 실질형태소 ‘ㄷ, ㅌ’ 받침이 형식 [해설] ㉠은 ㅐ, ㉡은 ㅜ이다. 따라서 개울, 해수, 내
형태소 ‘ㅣ’모음이나 ‘ㅣ계’모음을 만날 때, [ㅈ, 수, 애수, 매수 등을 들 수 있다.
ㅊ]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것이다. ⓐ는 조사 ‘이
21) [정답]
랑’이 결합한 것으로 형식형태소이므로 구개음화
[해설] ‘마음-모음’의 짝에서 ‘ㅏ, ㅗ’을 추출할 수
가 일어난다. ⓑ는 ‘밭+이랑’으로 명사 어근끼리
있고, ‘회상-허상’의 짝에서 ‘ㅚ, ㅓ’, ‘구슬-구실’
결합한 합성어로, ‘이랑’이 실질형태소이기 때문
의 단어 짝에서 ‘ㅡ, ㅣ’를 음운으로 추출할 수
에 구개음화가 적용되지 않는다.
있다. 2개의 전설모음 ‘ㅣ, ㅚ’ 4개의 평순
16) [정답] 모음 ‘ㅣ, ㅡ, ㅓ, ㅏ’, 2개의 고모음 ‘ㅣ, ㅡ’,
[해설] ㉢에서 ‘ㅌ’은 뒤에 오는 ‘ㅣ’모음의 영향 4개의 후설모음 ‘ㅡ, ㅓ, ㅏ, ㅗ’
으로 ‘ㅊ’으로 조음위치(치조음→경구개음)와 조음
22) [정답] (1) 멋진, 맏이, 닦지, 꽃밭, 쌓는 (2) 낳으
방법(파열음→파찰음)이 모두 바뀐다. ㉢은 구
니, 삶 (3) 식용유, 한여름, 눈요기
개음화만 일어났으므로 음운의 개수에 변화가 없
[해설] 교체 - ‘멋진[먿찐]’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다. ㉠에는 ㄴ첨가, 음절의 끝소리 규칙, 유음
된소리되기가 일어났다. ‘맏이[마지]’는 구개음화,
화 3번의 음운변동이 일어난다. ㉠에서 첨가
‘닦지[닥찌]’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된소리되기,
된 음운은 ‘ㄴ’이고, ㉡에서 탈락된 음운은 ‘ㅅ’이
‘꽃밭[꼳빹]’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된소리되기,
다. ㉠‘물엿’은 ‘ㄴ’이 첨가되고, 음절의 끝소
‘쌓는[싼는]’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비음화가 일
리 규칙이 일어나 ‘물녇’이 되고, 유음화에 의해
어났다. 탈락 - ‘낳으니[나으니]’는 ㅎ이 탈락되어
‘ㄴ’이 ‘ㄹ’로 바뀌어 [물렫]으로 발음된다. ㉡‘값
발음되지 않고, ‘삶[삼]’은 자음군 단순화로, 겹받
만’은 자음군단순화로 ‘갑만’이 된 후, 뒤에 오는
침 중 일부가 탈락되어 발음되지 않는다. 첨가 -
‘ㅁ’의 영향으로 앞말의 ‘ㅂ’이 비음화되어 [감만]
‘식용유[시굥뉴]’, ‘한여름[한녀름]’, ‘눈요기[눈뇨
으로 발음한다.
기]’는 모두 ‘ㄴ’이 첨가되었다.
17) [정답]
23) [정답] [1]조음위치, [2]입술소리, [3]잇몸소리, [4]
[해설] ‘흙만’은 ㉡자음군단순화에 의해 ‘흑만’이
센입천장소리, [5]여린입천장소리, [6]목청소리, [7]
되고, 뒤에 오는 비음 ‘ㅁ’의 영향으로 앞말 받침
조음방법, [8]안울림소리, [9]울림소리, [10]파열음,
의 ‘ㄱ’이 ㉠비음화 되어 [흥만]으로 발음된다.
[11]마찰음, [12]파찰음, [13]비음, [14]유음, [15]예
‘끓는’은 ㉡자음군단순화에 의해 ‘끌는’이 되고,
사소리, [16]된소리, [17]거센소리
앞말의 ‘ㄹ’의 영향으로 뒤에 있는 자음 ‘ㄴ’이
[해설] ‘[2]양순음, [3]치조음, [4]경구개음, [5]연구개
㉠유음화되어 [끌른]으로 발음한다. ‘덮개’는
음, [6]후음’으로 말하기도 한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된소리 되기가 일어나
[덥깨]로 발음된다. ‘않고’는 받침의 ‘ㅎ’과 뒷 24) [정답] ‘개구쟁이’는 기술자가 아니므로 접사 ‘-쟁
말의 ‘ㄱ’이 만나 ㉣거센소리되기로 인해 [안코]로 이’의 형태가 붙는 것이 적절하다. ‘애기’는 ‘ㅣ’모
발음한다. ‘좋다고’는 받침의 ‘ㅎ’과 뒷말의 음 역행동화가 적용된 표기이므로 적절하지 않다.
‘ㄷ’이 만나 ㉣거센소리되기가 일어나 [조타고]로 [해설] 원칙적으로 ‘ㅣ’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난 단어
발음한다. 는 표준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다만, ‘냄비,
동댕이치다, 접사 ‘-내기’는 ‘ㅣ’모음 역행동화가
18) [정답]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9 -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 3-3.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02)_비상(이관규)

적용된 단어의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애기’는 [해설] ‘값하다’는 자음군 단순화가 먼저 적용되어
‘ㅣ’모음 역행동화가 적용된 것으로 ‘아기’로 써야 [갑하다]가 된 후, ‘ㅂ’과 ‘ㅎ’이 하나로 합쳐서
한다. 기술자에게는 ‘-장이’, 그 외에는 접사 ‘-쟁 ‘ㅍ’으로 축약되어 [가파다]로 발음된다. ‘물약’은
이’가 붙는다. 먼저 ‘ㄴ’이 첨가 되어 ‘물냑’이 되고, ‘ㄴ’이 앞말
받침의 ‘ㄹ’에 유음화 되어 [물략]으로 발음된다.
25) [정답] ㉠ 저녁연기→ㄴ첨가[저녁년기]→비음화[저
녕년기] ㉡설익다→ㄴ첨가[설닉다]→유음화[설릭다] 30) [정답]
→된소리되기[설릭따] ㉢ 읊고→자음군단순화[읖고] [해설] 자음은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가획자를 만
→음절끝소리규칙[읍고]→된소리되기[읍꼬] 들고(ㄱ→ㅋ, ㄴ→ㄷ, ㅌ, ㅁ→ㅂ, ㅍ, ㅅ→ㅈ, ㅊ,
[해설] ㉠은 ‘저녁+연기’의 합성어로, 앞말에 받침이 ㅇ→ㆆ, ㅎ), 따로 이체자인 ‘ㆁ, ㄹ, ㅿ’을 만들었
있고, 뒷말에 ‘ㅣ계’모음이 오는 경우, ‘ㄴ’첨가가 다. 이체자는 획을 더하여 소리가 세지는 원리가
일어나고, 첨가된 ‘ㄴ’에 의해 앞말의 ‘ㄱ’받침이 적용되지 않았다.
‘ㅇ’으로 비음화된다. ㉡ ‘설익다’는 접사 ‘설-’에
동사 ‘익다’가 결합한 파생어에서 앞말에 받침이
있고, 뒷말이 ‘ㅣ’모음이 오는 경우에 ‘ㄴ’첨가가
일어나고, 앞말의 ‘ㄹ’의 영향으로 ‘ㄴ’이 ‘ㄹ’로
유음화된다. 또한 ‘ㄱ’ 받침 뒤에 ‘ㄷ’이 와서 예
사소리 ‘ㄷ’이 된소리 ‘ㄸ’로 바뀌어 발음된다. ㉢
‘읊고’의 발음과정에서 자음군 단순화를 먼저 적
용한 것은 표준 발음법 제 11항의 해설을 따른
것이다. 음절끝소리규칙[읇고]→된소리되기[읇꼬]
→자음군단순화[읍꼬]로 설명하는 관점도 있다.

26) [정답]
[해설] 받침이 있는 단어 뒤에 모음이 오는 경우, 조
사와 같은 형식형태소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의
받침이 그대로 연음되고, 실질 형태소가 오는 경
우에는 앞말의 받침이 음절의 끝소리가 일어난
후 연음된다.

27) [정답]
[해설] ‘부엌만’은 제9항이 적용되어 ‘부억만’이
되고, 그 후 제18항이 적용되어 [부엉만]으로 발
음한다. ‘논밭을’은 연음되어 [논바틀]로 발음
한다. ‘물난리’는 제20항만 적용되어 [물랄리]
로 발음한다. ‘넋두리’는 자음군단순화와 제23
항이 적용되어 [넉뚜리]로 발음된다. ‘낯설다’
는 제9항과 제23항이 적용되어 [낟썰다]로 발음
한다.

28) [정답]
[해설] ‘앞마당은’은 ㉠이 적용되어 ‘압마당’이 되
고, 그후 ㉡이 적용되어 [암마당]으로 발음된다.
‘옷고름’은 ㉠이 적용되어 ‘옫고름’이 된 후,
된소리되기가 일어나 [옫꼬름]으로 발음한다.
‘청량리’는 ‘ㅇ’받침 뒤의 ‘ㄹ’이 비음화되어 [청냥
니]로 발음되지만, ㉡의 설명과는 다른 비음화이
다. ‘꽃눈’은 ㉠이 일어나 ‘꼳눈’이 되고, ㉡이
일어나 [꼰눈]으로 발음된다. ‘잃지’는 받침의
‘ㅎ’과 다음 음절의 첫소리 ‘ㅈ’이 이 합쳐져 ‘ㅊ’
으로 소리나는 거센소리되기가 일어나 [일치]로
발음한다.

29) [정답]

I410-UCI(KEPA)-0199-2020-001-000224240
- 1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