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2015 개정 교육과정, 알아 두기!

이전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반모음을 자음이나 모음과 마찬가지로 분절 음운(음소)으로 보기 때문
이중 모음을 한 개의 음운
개념 에 ‘반모음 + 단모음’의 조합인 이중 모음은 두 개의 음소로 이루어진
으로 처리함
것으로 봄

자음

분절 음운

음운의 모음

종류
비분절 음운 강약, 고저, 장단

음성과 음운
음성은 의미 변별적 기능이 없고, 음운은 의미 변별적 기능이 있음

1. 음성: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해 나오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소리로서, 말하는 사람 딸기네! 딸기네!

과 상황에 따라 다르게 들린다.

2. 음운: 말의 뜻을 구별하여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로서, 음성에서 공통된 요소


만을 뽑아 우리의 머릿속에서 같은 소리로 인식하는 추상적인 소리이다.
→ ‘불 : 풀’의 ‘ㅂ’과 ‘ㅍ’, ‘산 : 손’의 ‘ㅏ’와 ‘ㅗ’처럼, 음운은 단어의 의미를 구별해 주는 기능을 해.

위 장면에서 두 아이의 음성은


물리적으로 서로 다르지만, 우리는
음소
두 아이 모두 ‘딸기네’라는 동일한
음운의 종류 말을 했다고 생각해. 이는 서로 다른
운소
두 소리에서 공통된 요소인 음운을
1. 분절 음운(음소): ‘자음, 모음’ 등과 같이 소리마디의 경계가 뚜렷하게 나누어지는 음운을
‘반모음’을 포함하기도 함 뽑아 이를 추상적으로 인식하기 때문
말한다. 이야. 그런데 음운은 사람들의 관념에
⑴ 자음: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발음 기관의 방해를 받아 나는 소리 따라 그 수가 달라질 수 있어.
목, 입, 혀 등
우리말의 ‘ㄹ’을 영어에서는 ‘l’과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r’의 두 개의 음운으로 인식하는
것처럼 말이야.

⑵ 모음: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크게 방해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

•단모음: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 변화 ×


•이중 모음: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 →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 변화
반모음(ㅣ̆[j]), ㅗ̆ / ㅜ̆[w]) + 단모음
영어권 화자와 한국어 화자의 차이
한국어에서 음운의 자격을 가진 것은 장단뿐이며, 고저는 일부 방언에서만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데 쓰임
•영어권 화자는 음운을 무성음과
2. 비분절 음운(운소): ‘강약(소리의 세기), 고저(소리의 높낮이), 장단(소리의 길이)’ 등과 같이 유성음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지
소리마디의 경계가 잘 나누어지지 않는 음운을 말한다. 비분절 음운은 분절 음운에 얹혀 만, 한국어 화자는 이를 구분하지
않음
서만 실현될 수 있다. ‘고저’의 하위 항목인 ‘억양’은 단어의 뜻을 구별하지는 않으며, 문장의 종류를 구분하거나 화자의 심리적
고기[kogi]: 영어권 화자는 첫
태도를 드러내는 기능을 담당할 뿐임. 따라서 ‘억양’은 비분절 음운(운소)에 속한다고 볼 수 없음
음절의 ‘ㄱ’을 무성음 [k]로, 둘째
음절의 ‘ㄱ’을 유성음 [g]로 다르
게 인식하지만, 한국어 화자는 이
두 단어 모두 ‘밤’이라는 같은 둘을 같은 소리로 인식함
•한국어 화자는 단어 ‘불’, ‘풀’, ‘뿔’
소리(동일한 분절 음운)를 가졌지만, 소리의
의 차이(예사소리, 거센소리, 된소
길이에 따라 단어의 의미가 달라져. 리)를 인식하지만, 영어권 화자는
이때, 단어의 의미를 구별해 주는 ‘소리의 그 차이를 쉽게 구별해 내지 못함
밤 밤 길이’를 비분절 음운이라고 해.

10 I . 음운
정답과 해설 p.02

개념 확인하기 교과서 적용하기


[1~ 2]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
단어 ‘발’과 비교할 때, 다음에 제시된 단어들의 달라진 점을 파악하
하시오.
여 빈칸을 채워 보자.
1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해 나오는 구체적이고 물
리적인 소리를 음운이라고 한다. ( , ×) 팔 자음 (❶ ㅂ )이 (❷ ㅍ )으로 바뀌었다.
→ 음성

2 음성은 말하는 사람이나 말하는 상황에 따라 차


발 볼 모음 (❸ ㅏ )가 (❹ ㅗ )로 바뀌었다.
이를 보이기 때문에, 우리 귀에는 각 사람의 말소리
가 다르게 들린다. ( , ×) 단음 장음
발 소리의 길이가 (❺ )에서 (❻ )으로 바뀌었다.
(짧은소리) (긴소리)

[3 ~ 4] 다음 문장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고르시오. 01 음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 소리마디의 경계가 뚜렷하게 나누어지는 음운 ① 각 언어에 따라 음운의 수는 다르다.
을 ( 분절 음운, 비분절 음운 )이라고 한다. ② 단어의 의미를 구별해 주는 기능을 한다.
③ 분절 음운이라고도 하며, 자음과 모음으로 나뉜다.
4 자음과 모음 이외에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음운
을 ( 음소, 운소 )라고 하며, 이에는 자음과 모음에 ④ ‘불’, ‘풀’, ‘뿔’은 ‘ㅂ’, ‘ㅍ’, ‘ㅃ’으로 인해 그 의미가 구별된다.
얹혀서만 실현되는 소리의 길이, 높낮이, 세기 등이 ⑤ ‘말[馬]’과 ‘말∶[言]’에서는 소리의 길이로 인해 그 의미가 구별
있다. 된다.
음운은 분절 음운과 비분절 음운으로 나뉘는데, 분절 음운에는 자음과 모음 등이 있으며, 비분절 음
운에는 강약, 고저, 장단 등이 있다.

[5 ~ 6]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보기>의 자음과 모음을 발음해 보고, 조건에 맞게 구분해 보자.
보기
5 분절 음운 중에서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목,
ㄱ, ㅏ, ㅚ, ㄲ, ㄹ, ㅜ, ㅊ, ㅋ, ㅍ, ㅎ, ㅡ, ㅣ
입, 혀 등의 발음 기관에서 방해를 받아 나는 소리를
( 자음 )이라고 한다.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발음 기관의 방
❼ ㅏ, ㅚ, ㅜ, ㅡ, ㅣ
6 ‘달’, ‘탈’, ‘딸’에서 세 단어의 의미를 구별해 주는 해를 거의 받지 않고 나는 소리 → 모음
음운을 모두 고르면 ( ㄷ, ㅌ, ㄸ )이다.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발음 기관의 방
❽ ㄱ, ㄲ, ㄹ, ㅊ, ㅋ, ㅍ, ㅎ
해를 받아 나는 소리 → 자음

7 다음을 바탕으로,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 02 자음에 대해 파악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시오. ① 단독으로는 한 음절을 이룰 수 없다.
② 소리마디의 경계가 뚜렷하게 나뉘는 음운이다.
③ 더 이상 작게 나눌 수 없는 최소의 문법 단위이다.
④ 공기의 흐름을 적극적으로 막거나 좁혀서 내는 소리이다.
⑤ 최소 대립쌍인 ‘달’, ‘돌’에서 의미를 구별해 주는 ‘ㄷ’, ‘ㄹ’이다.
최소 대립쌍이란 의미를 변별하게 하는 음운을 가진 단어들의 쌍을 말한다. ⑤에서 두 단어의 의미
밤 밤 를 구별해 주는 것은 자음 ‘ㄷ’과 ‘ㄹ’이 아니라 모음인 ‘ㅏ’와 ‘ㅗ’이다.

두 단어는 모두 ‘ㅂ, ㅏ, ㅁ’의 동일한 분절 음운 03 다음 중 단어에 사용된 음운의 개수가 가장 많은 것은?


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 소리의 길이(장단) )에 따라 ① 개구리 ② 책가방 ③ 외동딸
단어의 의미가 달라진다.
④ 자전거 ⑤ 이발소
② ‘책가방[책까방]’의 음운은 ‘ㅊ, ㅐ, ㄱ, ㄲ, ㅏ, ㅂ, ㅏ, ㅇ’으로 총 8개이다. ① ‘ㄱ, ㅐ, ㄱ, ㅜ, ㄹ,
ㅣ’(6개), ③ ‘ㅚ, ㄷ, ㅗ, ㅇ, ㄸ, ㅏ, ㄹ’(7개), ④ ‘ㅈ, ㅏ, ㅈ, ㅓ, ㄴ, ㄱ, ㅓ’(7개), ⑤ ‘ㅣ, ㅂ, ㅏ, ㄹ, ㅆ,
ㅗ’(6개) 01 음운 11
2015 개정 교육과정, 알아 두기!
이전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자음의 분류에서 ‘울림소리 / 안울림 •‘울림소리 / 안울림소리’는 ‘유성음 / 무성음’과 ‘공명음 /
소리’의 개념을 사용하거나, 자음에서 장애음’의 뜻을 지닌 중의적 용어로, ‘유성음 / 무성음’은
울림소리를 ‘목청(성대)’을 울리면서 모음을 포함한 음성적 구분임. 따라서 ‘울림소리 / 안울림
나는 소리라고 설명함 소리’ 대신 ‘공명음 / 장애음’으로 제시함
개념 •‘ㅎ’을 예사소리로 분류하기도 함 •‘ㅎ’의 분류에 대한 논란이 있어 ‘예사소리, 거센소리, 된
소리’ 중 어디에 속하는지 밝히지 않는 것으로 함

입술소리 파열음

잇몸소리 마찰음

센입천장소리
조음 자음의 조음 파찰음
위치 분류 방법

여린입천장소리 비음

목청소리 유음

음의 류

입술소리 두 입술에서 나는 소리 (양순음)


조음 센입천장
잇몸소리 혀끝이 윗잇몸에 닿아서 나는 소리 (치조음) 코안
위치에
센입천장소리 혓바닥과 센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소리 (경구개음) 잇몸 입안 여린입천장
따른
여린입천장소리 혀의 뒷부분과 여린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소리 (연구개음) 입술
분류 혀
목청소리 목청(성대) 사이에서 나는 소리 (후음, 성문음)

파열음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며 내는 소리 목청(성대)

조음 마찰음 공기가 흐르는 통로를 좁혀 마찰을 일으키며 내는 소리


방법에 파찰음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릴 때 마찰을 일으키며 내는 소리
따른 비음 공기를 코로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 탄설음으로, ‘ㄹ’이 음절 초성에 놓이되
자음은 발음할 때
그 앞에 ‘ㄹ’이 오지 않을 경우
분류 공기의 흐름에 방해가 일어나
혀끝을 윗잇몸에 가볍게 대었다가 떼거나, 혀끝을 윗잇몸에 댄
유음 는 위치(조음 위치)와 방해가
채 혀의 양옆으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
일어나는 방법(조음 방법)에
설측음으로, ‘ㄹ’이 음절 종성에 오거나 ‘물론’과 같이 ‘ㄹ’ 뒤에 ‘ㄹ’이 놓일 경우
따라 분류할 수 있어.

음의
‘ㅎ’을 거센소리로 보는 견해
예사소리 ‘ㄱ, ㄷ, ㅂ, ㅈ’은 ‘ㅎ’과 결합할
조음 위치 여린입천장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입천장소리 목청소리 때, 거센소리 ‘ㅋ, ㅌ, ㅍ, ㅊ’으로 실현된
조음 방법 소리 다. 이와 같은 현상은 ‘ㅎ’을 거센소리로
예사소리 ㅂ ㄷ ㄱ 볼 때, 예사소리와 결합하여 거센소리가
되는 것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다.
파열음 거센소리 ㅍ ㅌ ㅋ
된소리 ㅃ ㄸ ㄲ
예사소리 ㅅ 자음은 소리의 세기에 따라
예사소리, 거센소리, 된소리로 나눌
마찰음 거센소리 ㅎ
수 있어. 공기가 성대를 통과할 때
된소리 ㅆ 많은 양의 공기를 내보내면 거센소리,
예사소리 ㅈ 성대를 긴장시켰다가 풀면서 순간적
으로 적은 양의 공기를 내보내면
파찰음 거센소리 ㅊ
된소리가 돼. 그리고 예사소리는
된소리 ㅉ 성대를 긴장시키지도 않고, 많은 양의
비음 ㅁ ㄴ ㅇ 공기를 내보내지도 않고 내는
유음 ㄹ 평범한 소리야.

12 I . 음운
정답과 해설 p.02

개념 확인하기 교과서 적용하기


[1~ 2]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조음 위치에 유의하여 자음을 발음해 보면서,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1 자음의 체계는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에 방해가 자음을 써 넣어 보자.
일어나는 ( 위치 )와 방해가 일어나는 방법에 따
라 나눌 수 있다.

2 자음은 소리의 세기에 따라 예사소리, ( 거센소리 ), 센입천장 ❶ ㅈ,ㅉ,ㅊ


된소리로 나눌 수 있다. 코안
잇몸 입안 여린입천장 ❷ ㄱ,ㄲ,ㅋ,ㅇ
입술

목청(성대)
[3 ~ 4]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
❸ ㅎ
하시오.

3 ‘ㅂ, ㅍ, ㅃ’은 두 입술에서 나는 소리로, 입술소리


라고 한다. ( , ×)
01 다음 중 제시된 조음 위치에서 소리 나는 자음이 아닌 것은?
4 ‘ㄴ, ㄹ, ㅁ’은 공기를 코로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 ① 두 입술: ㅁ ② 혀끝, 윗잇몸: ㄸ
이고, ‘ㅇ’은 혀끝을 윗잇몸에 가볍게 대었다가 떼거
③ 목청 사이: ㅎ ④ 혓바닥, 센입천장: ㅅ
나, 혀끝을 윗잇몸에 댄 채 혀의 양옆으로 공기를 내
⑤ 혀 뒤, 여린입천장: ㅋ
보내면서 내는 소리이다. ( , ×)
④ 센입천장소리에 해당하는 자음은 ‘ㅈ, ㅉ, ㅊ’이다. ‘ㅅ’은 혀끝이 윗잇몸에 닿아서 나는 소리인
잇몸소리에 해당한다.

다음 조음 방법에 해당하는 자음을 알맞게 연결해 보자.

❹ 공기를 코로 내보내면서 내
[5~ 6] 다음 문장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고르시오. • •㉠ 마찰음 • •ⓐ ㅅ, ㅆ, ㅎ
는 소리
5 자음 중에서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릴 때
❺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
마찰을 일으키며 내는 소리를 ( 파찰음, 마찰음 )이 • •㉡ 비음 • •ⓑ ㅂ, ㄷ, ㄱ
뜨리며 내는 소리
라고 한다.
❻ 공기가 흐르는 통로를 좁혀
• •㉢ 파열음 • •ⓒ ㅁ, ㄴ, ㅇ
6 ‘ㅎ’은 ( 잇몸소리, 목청소리 )에 해당하고, ‘ㅈ, ㅊ, 마찰을 일으키며 내는 소리

ㅉ’은 ( 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장소리 )에 해당한다.

02 <보기>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자음에 해당하는 것은?


보기

파열음, 여린입천장소리, 거센소리


[7 ~ 8] 다음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7 다음 중 조음 위치가 나머지와 다른 것을 고르
①ㅍ ②ㅋ ③ㄲ ④ㅊ ⑤ㅇ
① ~ ⑤에 제시된 자음 중, 파열음은 ‘ㅍ, ㅋ, ㄲ’이다. 이 중에서 여린입천장소리에 해당하는 자음은
시오. ‘ㅋ’과 ‘ㄲ’이며, 이 중 거센소리는 ‘ㅋ’이다. 따라서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은 ‘ㅋ’이다.

ㄷ, ㅌ, ㅆ, ㄴ, ㅁ
03 <보기>를 참고할 때, 다음 중 표기가 바르지 않은 것은?
보기
잇몸소리 입술소리

ㅁ 국어와 달리 다른 언어에는 된소리가 음운으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흔하


8 다음 중 조음 방법이 나머지와 다른 것을 고르 기 때문에, 외래어를 표기할 때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시오.
마찰음
① 핀(pin) ② 게임(game) ③ 잼(jam)
ㅂ, ㅍ, ㄸ, ㅅ, ㄱ
④ 가스(gas) ⑤ 썬글라스(sunglass) → 선글라스
파열음 ㅅ <보기>에서 외래어를 표기할 때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이 원칙임을 알 수 있다. ⑤에서 ‘ㅆ’은 된
소리이기 때문에 잘못된 표기이며, ‘선글라스’로 표기해야 한다.
02 자음 13
개념

혀의 앞뒤 위치 전설 모음, 후설 모음

단모음 입술 모양 평순 모음, 원순 모음

모음의 혀의 높이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분류
이중
모음

음의 류
단모음의 예외적인 발음
발음할 때 입술의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달라지지 않는 모음
단모음 단모음 ‘ㅚ’와 ‘ㅟ’는 이중 모음으로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발음할 때 입술의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달라지는 모음 표준 발음법 제4항의 붙임에서는
이중 모음 ‘ㅚ, ㅟ’는 단모음으로 발음하는 것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 이 원칙이나, 이중 모음으로 발음
하는 것도 허용한다고 제시하고 있
다. 또한 우리는 ‘ㅔ’와 ‘ㅐ’의 발음
을 잘 구별하지 못하기도 한다.
반모음과 단모음의 관련성
음의 •반모음 ‘ㅣ̆[j]’와 단모음 ‘ㅣ’는 구개음화를 비롯한 몇몇 음운 현상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작용함
•반모음 ‘ㅗ̆/ㅜ̆[w]’와 ‘ㅗ, ㅜ’의 음성적 유사성으로 인해 이 둘이 결합하는 이중 모음은 존재하지 않음
1. 단모음 모음 사각도
입이 조금만 열려서 혀의 위치가 입천장 가까이에 있는 것
단모음을 발음할 때 입안에서 혀
혀의 앞뒤 위치 전설 모음 후설 모음 의 최고점의 위치가 어떠한지를
혀의 높이 입술 모양 평순 모음 원순 모음 평순 모음 원순 모음 간략하게 구조화한 것이다.
고모음 (폐모음) ㅣ키 ㅟ 위 ㅡ 를 ㅜ 주

중모음 ㅔ게 ㅚ 되 ㅓ었 ㅗ 소

저모음 (개모음) ㅐ내 ㅏ가
입이 많이 열려서 혀의 위치가 낮은 것 *단모음표 쉽게 외우기: 키위를 주게 되었소, 내가

입천장의 중간을 기준으로, 발음할 때 혀의 최고점이 입안의 앞쪽에 있으면 전설 모음, 뒤쪽에 있으면
후설 모음이야. 그리고 발음할 때 입술을 동그랗게 오므리면 원순 모음, 자연스럽게 펴면 평순 모음이야.
끝으로 고모음과 중모음, 저모음은 혀의 높이에 따라 나눈 거란다.

2. 이중 모음: 반모음과 단모음이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중 모음을 길게 끌어서 발


음을 하면 단모음의 발음으로 끝난다.
⑴ 반모음: 음성의 성질로 보면 발음 기관의 장애를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모음에 가깝지
만, 쓰임새를 보면 홀로 자립하지 못하고 반드시 다른 모음(단모음)에 붙어서 쓰인다
는 점에서 자음과 같다. ‘ㅣ̆[j]’와 ‘ㅗ̆/ㅜ̆[w]’가 있으며, 온전한 모음이 아니므로 반달표
반모음의 발음
(˘)를 하여 표시한다.
반모음은 고모음보다 혀가 입천장
⑵ 이중 모음의 종류 에 더 근접하기 때문에 고모음보다
혀의 높이가 더 높다. ‘ㅣ̆[j]’는 전설
˘
반모음 ‘ㅣ [j]’ + 단모음 ㅑ, ㅕ, ㅛ, ㅠ, ㅒ, ㅖ 이면서 평순이되 혀의 높이는 고모
음보다 높으며, ‘ㅗ̆ / ㅜ̆[w]’는 후설
반모음 ‘ㅗ̆/ㅜ̆[w]’ + 단모음 ㅘ, ㅙ, ㅝ, ㅞ 이면서 원순이되 혀의 높이는 고모
예외 ㅢ(‘ㅡ’와 ‘ㅣ’ 중, 어느 것이 반모음인지 판단하기 어려움) 음보다 높다.

14 I . 음운
정답과 해설 p.03

개념 확인하기 교과서 적용하기


[1~ 3] 다음 모음에 해당하는 특성을 바르게 연
<보기>에 제시된 모음을 발음해 보고, 단모음과 이중 모음으로 나누
결하시오.
어 구분해 보자.
1 단모음 • •㉠ 발음할 때 입술 모양, 보기
혀의 위치가 달라짐 ㅏ, ㅐ, ㅕ, ㅖ, ㅔ, ㅗ, ㅟ, ㅘ, ㅝ, ㅣ, ㅞ, ㅢ

2 반모음 • •㉡ 발음할 때 입술 모양,


단모음 ❶ ㅏ, ㅐ, ㅔ, ㅗ, ㅟ, ㅣ
혀의 위치가 달라지
이중 모음 ❷ ㅕ, ㅖ, ㅘ, ㅝ, ㅞ, ㅢ
지 않음

3 이중 모음• •㉢ 단모음에 붙어 발음
되며, 스스로 음절을 01 다음 중 이중 모음끼리 묶이지 않은 것은?
이루지 못함
① ㅑ, ㅒ ② ㅕ, ㅖ ③ ㅠ, ㅢ
④ ㅚ, ㅘ ⑤ ㅝ, ㅞ
④의 ‘ㅚ’는 단모음이며, ‘ㅘ’는 이중 모음이다. ①, ②, ③, ⑤는 모두 이중 모음으로만 묶여 있다.

다음 단어들을 발음해 보고, 밑줄 친 부분의 모음을 기준에 맞게 분류


[4 ~ 6]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
해 보자.
하시오.
→ 후설
결재 결제 기도 구도
4 전설 모음은 발음할 때 혀의 최고점의 위치가 입
혀의 앞뒤 전설 모음 (❸ 전설 모음 ) 전설 모음 후설 모음
안의 뒤쪽에서 소리 나는 모음이다. ( , ×)
혀의 높이 저모음 중모음 (❹ 고모음 ) 고모음
5 원순 모음은 입술을 동그랗게 오므려서 소리 내 입술 모양 평순 모음 평순 모음 평순 모음 (❺ 원순 모음 )
는 모음이다. ( , ×)

6 고모음은 입이 조금만 열려서 혀의 위치가 입천


장 가까이에 있을 때 소리 나는 모음이다. ( , ×)
02 <보기>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모음이 쓰인 단어에 해당하는
것은?
보기

전설 모음, 평순 모음, 고모음

①잎 ②눈 ③솜
④새 ⑤귀
<보기>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모음은 ‘ㅣ’이다. 모음 ‘ㅣ’가 쓰인 단어는 ①의 ‘잎’이다. ②의 ‘ㅜ’는
[7~ 8] 다음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후설 모음, 원순 모음, 고모음, ③의 ‘ㅗ’는 후설 모음, 원순 모음, 중모음, ④의 ‘ㅐ’는 전설 모음, 평
순 모음, 저모음, ⑤의 ‘ㅟ’는 전설 모음, 원순 모음, 고모음이다.
7 다음에 제시된 모음이 모두 포함되는 모음의 종
류를 쓰시오.
03 모음을 ㉠과 ㉡으로 나누었을 때의 기준에 해당하는 것은?
ㅡ, ㅓ, ㅏ, ㅜ, ㅗ
㉠ : ㅣ, ㅡ ㉡ : ㅐ, ㅏ
후설 모음
8 다음과 같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모음을 모두 쓰
시오. ① 입술 모양 ② 혀의 앞뒤 위치
③ 혀의 높이 ④ 목청의 울림 여부
반모음 ‘ㅣ̆[j]’ + 단모음
⑤ 입술 모양이나 혀 위치의 고정 여부
ㅑ, ㅕ, ㅛ, ㅠ, ㅒ, ㅖ ㉠의 ‘ㅣ’는 전설 모음, 평순 모음, 고모음이고, ‘ㅡ’는 후설 모음, 평순 모음, 고모음이다. ㉡의 ‘ㅐ’는
전설 모음, 평순 모음, 저모음이고, ‘ㅏ’는 후설 모음, 평순 모음, 저모음이다. ㉠은 평순 모음이자 고
모음이라는 공통점이, ㉡은 평순 모음이자 저모음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므로, ㉠과 03 모음 15
㉡을 나누는 기준은 고모음과 저모음, 즉 혀의 높이라고 볼 수 있다.
선지로 실력 확인하기 <보기>에 해당하는 자음으로 적절한 것은?
보기

혀끝을 윗잇몸에 가볍게 대었다가 떼거나, 혀끝을 윗잇몸


다음 중 음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에 댄 채 혀의 양옆으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를 말
① 뜻을 지닌 가장 작은 말의 단위이다. - 형태소 한다.

② 말을 할 때 나오는 물리적인 소리이다. - 음성


①ㄴ ②ㄹ ③ㅁ
③ 물체에서 나오는 소리와 그 울림을 말한다. - 음향
④ㅂ ⑤ㅇ
④ 분리하여 자립적으로 쓸 수 있는 말의 단위이다.- 단어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은 유음인 ‘ㄹ’의 조음 방법이다. ①, ③, ⑤는 공기
⑤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이다. 를 코로 내보내면서 소리 내는 비음이고, ④는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며
소리 내는 파열음이다.
⑥ 발음할 때 한 번에 낼 수 있는 소리의 최소 단위이다.
- 음절
⑦ 생각이나 감정을 말과 글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
을 나타내는 최소 단위이다. - 문장 다음 중 소리 나는 위치가 같은 자음끼리 묶인 것은?
음운은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로,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음
성(말소리)에서 공통의 요소만을 뽑아 우리의 머릿속에서 하나의 소리로 인식하는
① ㄷ, ㅂ ② ㅅ, ㅎ ③ ㅆ, ㅉ
추상적인 말소리이다. ④ ㄱ, ㅌ ⑤ ㅁ, ㅃ
⑤의 ‘ㅁ, ㅃ’은 모두 두 입술에서 나는 소리인 입술소리이다. ① ㄷ: 잇몸소리, ㅂ:
입술소리, ② ㅅ: 잇몸소리, ㅎ: 목청소리, ③ ㅆ: 잇몸소리, ㅉ: 센입천장소리, ④
ㄱ: 여린입천장소리, ㅌ: 잇몸소리

<보기>를 참고할 때, 최소 대립쌍을 이루는 단어들과


그 의미를 구별해 주는 음운이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고난도
보기

최소 대립쌍이란 의미를 변별하게 하는 음운을 가진 단어


들의 쌍을 말한다. 예를 들어 ‘불’과 ‘풀’은 다른 음운인 ‘ㅂ’, 다음에 제시된 국어와 영어의 자음 체계를 참고하여
‘ㅍ’에 의해 의미가 달라지는데, 이때 ‘불’과 ‘풀’은 최소 대립쌍 나눈 대화의 내용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이 된다.
국어 영어

① 감, 참 → ‘ㄱ’, ‘ㅊ’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무성음 유성음

② 말, 물 → ‘ㅏ’, ‘ㅜ’ ㅂ ㅃ ㅍ p b

③ 남, 놈 → ‘ㄴ’, ‘ㅁ’ [바보] [pabo]

④ 담, 덤 → ‘ㅏ’, ‘ㅓ’ ① 수현: 한국 사람들은 ‘바보’에서 ‘바’의 ‘ㅂ’과 ‘보’의


⑤ 공, 곰 → ‘ㅇ’, ‘ㅁ’ ‘ㅂ’을 다른 소리라고 인식하지 않아.
‘남’과 ‘놈’은 ‘ㅏ’와 ‘ㅗ’에 의해 의미가 달라지는 최소 대립쌍이다.
② 정설: 반면 영어권 사람들은 ‘바보’에서 ‘바’의 ‘ㅂ’은
유성음으로, ‘보’의 ‘ㅂ’은 무성음으로 구분하여 인식
하겠구나.
③ 상태: 한편 영어는 된소리가 음운으로 존재하지 않
다음 중 분절 음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으니까, 영어권 사람들은 [빵]과 [방]이라는 발음을
것은? 들었을 때 동일한 사물을 떠올릴 수 있어.
① 다른 말로 음소라고 한다. ④ 인영: 맞아. 그런 점에서 외래어 표기는 ‘까스’가 아
② 소리마디의 경계가 뚜렷하다. 닌 ‘가스(gas)’로, ‘뻐스’가 아닌 ‘버스(bus)’로, 된소
③ 하나 이상이 모여서 음절을 이룬다. 리를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야.
④ 소리의 장단, 고저, 강약 등이 이에 속한다. ⑤ 희정: 서로 다른 음운 체계를 지닌 언어권의 사람들이
⑤ 더는 나눌 수 없는 음운론상의 최소 단위이다. 대화할 경우에는 의사소통에 불편을 겪을 수 있어.
④는 비분절 음운에 대한 설명이다. 비분절 음운, 즉 운소는 소리마디의 경계가 뚜 영어권 화자들은 무성음과 유성음을 구분하여 사용하지만, 한국어 화자들은 이를
렷하지 않으며 분절 음운에 얹혀서만 실현될 수 있는 소리의 장단, 고저, 강약 등을 구분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제시된 ‘바보[pabo]’에서 ‘바’의 ‘ㅂ’과 ‘보’의 ‘ㅂ’은 한국
16 I . 음운 말한다. 어 화자들에게 같은 소리로 인식되지만, 영어권 화자들은 앞의 ‘ㅂ’을 무성음 [p]로,
뒤의 ‘ㅂ’을 유성음 [b]로 인식한다.
정답과 해설 p.03

단어 ‘페이크’에서 음가가 있는 자음의 공통점을 <보기> 다음에 제시된 모음의 공통점으로 적절한 것은?
에서 찾아 바르게 묶은 것은?
보기 ㅏ, ㅐ, ㅓ, ㅔ, ㅡ, ㅣ

a. 두 입술에서 나는 소리 - 입술소리
b. 공기를 코로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 - 비음 ① 저모음 ② 전설 모음 ③ 후설 모음
c. 혀끝과 윗잇몸 사이에서 나는 소리 - 잇몸소리 ④ 평순 모음 ⑤ 원순 모음
d.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며 내는 소리 - 파열음 제시된 모음들은 모두 입술을 동그랗게 오므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펴서 소리 내는
e. 혀의 뒷부분과 여린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소리 - 여린입천장소리 모음인 평순 모음이다.

f. 공기가 성대를 통과할 때 많은 양의 공기를 내보내는 소


리 - 거센소리
g. 목의 근육에 힘을 주었다가 긴장을 풀면서 순간적으로
적은 양의 공기를 내보내는 소리 - 된소리

다음 단어 중 <보기>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것은?


① a, d ② a, f ③ b, c ④ a, d, f
보기
⑤ d, f ⑥ d, g ⑦ e, f ⑧ b, e, f •첫소리: 윗잇몸과 혀끝에서 발음되는 마찰음이다.
‘페이크’에서 두 번째 음절의 초성으로 쓰인 ‘ㅇ’은 음가가 없는 자음이므로, 음가가
있는 자음은 ‘ㅍ, ㅋ’이다. 두 자음은 모두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며 내는 소 •가운뎃소리: 입술을 평평하게 하고 발음하는 소리이다.
리인 파열음(d)이며, 공기가 성대를 통과할 때 많은 양의 공기를 내보내는 소리인 •끝소리: 공기를 코로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이다.
거센소리(f)에 해당한다. 자음 ‘ㅍ’은 입술소리(a)이고, ‘ㅋ’은 여린입천장소리(e)이므
로, 조음 위치는 두 자음의 공통점이 아니다.
<보기>에 해당하는 모음으로만 바르게 묶은 것은? ①땅 ②쌈 ③손
보기 ④들 ⑤낫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달라지지 않는 모음 - 단모음 •첫소리: 윗잇몸과 혀끝에서 발음되는 소리는 잇몸소리로 ‘ㄷ, ㅌ, ㄸ, ㅅ, ㅆ, ㄴ, ㄹ’
이며, 이 중 마찰음은 ‘ㅅ, ㅆ’이다.
•가운뎃소리: 입술을 평평하게 하고 발음하는 소리는 평순 모음으로, ‘ㅣ, ㅔ, ㅐ,
① ㅏ, ㅐ, ㅟ ② ㅓ, ㅔ, ㅘ ③ ㅗ, ㅚ, ㅛ ㅡ, ㅓ, ㅏ’이다.
•끝소리: 공기를 코로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는 비음으로, ‘ㅁ, ㄴ, ㅇ’이다. 이 조건
④ ㅑ, ㅜ, ㅕ ⑤ ㅢ, ㅡ, ㅣ 을 모두 충족하는 것은 ②의 ‘쌈’이다.
<보기>는 단모음에 대한 내용이다. 단모음은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이
므로 ①의 모음들이 모두 단모음이다. ②의 ‘ㅘ’, ③의 ‘ㅛ’, ④의 ‘ㅑ, ㅕ’, ⑤의 ‘ㅢ’
는 이중 모음이다.
고난도

다음 중 음운이 결합된 형태가 나머지와 다른 것은?


다음 모음을 순서대로 이어서 발음할 때, Ⓐ ~ Ⓒ의
①ㅘ ②ㅙ ③ㅝ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④ㅞ ⑤ㅖ
⑤는 반모음 ‘ㅣ̆[j]’와 단모음이 결합된 이중 모음이고, 나머지는 모두 반모음 ‘ㅗ̆ / ‘ㅡ’ → ‘ㅓ’ → ‘ㅏ’
ㅜ̆[w]’와 단모음이 결합된 이중 모음이다.
Ⓐ Ⓑ Ⓒ

다음 표의 ㉠ ~ ㉥에 들어갈 각 모음의 분류 기준으 ① Ⓐ에서 Ⓒ로 갈수록 소리 낼 때 혀의 최고점의 위치


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 뒤에서 앞으로 이동한다.
② Ⓐ에서 Ⓒ로 갈수록 소리 낼 때 입술 모양을 더 동
혀의 앞뒤 위치 혀의 높이 입술 모양
그랗게 오므려서 발음하게 된다.
ㅗ ㉠ 중모음 ㉡
③ Ⓐ는 입술을 자연스럽게 펴서 소리 내지만, Ⓑ와
ㅜ 후설 모음 ㉢ 원순 모음
Ⓒ는 입술을 오므려서 소리 낸다.
ㅚ ㉣ ㉤ ㉥
④ 발음할 때에 Ⓐ보다는 Ⓑ가, Ⓑ보다는 Ⓒ가 혀의
① ㉠: 후설 모음 ② ㉡: 원순 모음 최고점의 높이가 낮고, 입이 더 크게 벌어진다.
③ ㉢: 고모음 ④ ㉣: 전설 모음 ⑤ Ⓐ → Ⓑ → Ⓒ로 이어서 발음하는 동안 혀의 최고
⑤ ㉤: 고모음 ⑥ ㉥: 원순 모음 점의 위치가 보다 뒤로 이동하고, 높이도 낮아진다.
모음 ‘ㅚ’는 전설 모음, 원순 모음, 중모음에 해당한다. Ⓐ ~ Ⓒ는 모두 후설 모음이며, 평순 모음이다. 따라서 세 모음을 연이어 발음할 경
우에도 이런 특징은 변하지 않는다. 반면, Ⓐ는 고모음, Ⓑ는 중모음, Ⓒ는 저모음
으로, 세 모음을 연이어 발음하면 혀의 최고점의 높 다선지로 실력 확인하기 17
이가 점점 낮아지면서 입이 더 크게 벌어진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알아 두기!
이전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음절의 끝소리 현상을 받침 ‘ㄱ, ㄷ, ㅂ’ 중 하나로 바뀌는 현상뿐 아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자음군 단순화를 분리하여 전자를 음
니라, 겹받침 중 하나가 줄어드는 현상까지 포함해 설명하기도 함 운의 교체 현상으로, 후자를 음운의 탈락 현상으로 정리함

개념

음절의 끝소리 규칙 교체 첨가

비음화
음운의
연음과 음절의 끝소리 규칙
연음이 일어나는 환경에서는 음절 유음화 변동
의 끝소리 규칙이 적용될 수 없고,
연음이 일어나지 않는 환경에서는
반드시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적용 구개음화 탈락 축약
된다. 연음이 적용되려면 뒤에 오
는 형태소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
된소리되기
식 형태소여야 하지만, 음절의 끝
소리 규칙이 적용되려면 뒤에 오는
형태소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여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음운이 일정한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발음되는 현상을 음운
변동이라고 한다. 음운 변동에는 교체, 탈락, 첨가, 축약이
있으며, 이 중에서 교체는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부엌[부억]’의 ‘ㅋ’이
현상을 말한다.
‘ㄱ’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것과 같은 현상을 교체라고
하는구나.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이 음절의 끝소리로 발음될
수 있어 이외의 자음이 음절의 끝에 오면 이 7개의 자음 중 하나의 소리로 바뀌어 발음되
는 현상이다. [뾭]

ㄷ, ㅌ, ㅅ, ㅆ,
받침 ㄱ, ㅋ, ㄲ ㄴ ㄹ ㅁ ㅂ, ㅍ ㅇ
ㅈ, ㅊ, ㅎ
발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ㅇ]
키읔[키윽], 솥[쌑], 빚[뾣],
눈[눈] 날[날] 물[물] 잎[입] 강[강]
밖[박] 히읗[히죓] 빗 빛 빚

2. 비음화: 앞에 오는 음절의 끝소리 ‘ㄱ, ㄷ, ㅂ’이 그 뒤에 오는 음절의 첫소리로 비음 ‘ㄴ,


ㅁ’을 만나 비음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이다. ‘ㄱ’은 비음 앞에서 [ㅇ]으로, ‘ㄷ’은 비음
앞에서 [ㄴ]으로, ‘ㅂ’은 비음 앞에서 [ㅁ]으로 발음된다. ‘ㄹ’의 비음화
•‘ㄹ’을 제외한 자음 뒤에서 ‘ㄹ’이
[밤맏] 발음 음운 변동 과정 달라진 음운
밥맛? 밤맛? 비음 [ㄴ]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함
어때? 국내 [궁내] ㄱ+ㄴ → ㅇ+ㄴ ㄱ→ㅇ
염려[염∶녀], 종로[종노]
국물 [궁물] ㄱ+ㅁ → ㅇ+ㅁ ㄱ→ㅇ •음절의 끝소리 ‘ㄱ, ㅂ’ 뒤에서
닫는 [단는] ㄷ+ㄴ → ㄴ+ㄴ ㄷ→ㄴ ‘ㄹ’이 [ㄴ]으로 발음되는 경우는
맏며느리 [만며느리] ㄷ+ㅁ → ㄴ+ㅁ ㄷ→ㄴ 그 [ㄴ] 때문에, ‘ㄱ, ㅂ’이 다시
[ㅇ, ㅁ]으로 발음됨
읍내 [음내] ㅂ+ㄴ → ㅁ+ㄴ ㅂ→ㅁ
막론[막논 → 망논], 협력[협녁
밥맛 [밤맏] ㅂ+ㅁ → ㅁ+ㅁ ㅂ→ㅁ → 혐녁]
‘ㄹ’의 비음화와 상호 동화:
‘독립’, ‘협력’ 등의 단어는 ‘ㄹ’ 비음화에 의해 [독닙], [협녁]이 된 후 [동닙], [혐녁]으로 발음된다. 이런 경우는 전통적으로 상호 동화라고 설명해 왔다. 그러나 ‘독
18 I . 음운 립’에서 ‘ㄹ’이 ‘ㄴ’으로 바뀐 것이 ‘ㄱ’에 동화된 결과인지, 그렇다면 ‘ㄱ’의 어떤 특성에 동화되었는지 명확하지 않다. 또한 ‘ㄱ’이 ‘ㅇ’으로 바뀐 것은 ‘ㄹ’이 아니라
‘ㄴ’에 동화된 것이다. 따라서 이는 ‘ㄹ’의 비음화와 비음화가 차례로 적용된 결과일 뿐 인접한 두 자음이 서로 동화를 주고받은 상호 동화라 보기 어렵다.
정답과 해설 p.05

개념 확인하기 교과서 적용하기


[1~ 2]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 ㉣이 어떻게 소리 나는지 써 보고,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적용
1 음운이 일정한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발음되는 현 되지 않는 환경을 알아보자.
상을 음운 ( 변동 )이라고 한다.
•무덥던 어느 ㉠한낮, 가게 ㉡앞 길가에서 아이들이 놀고 있었다.
2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란 ( ㄱ, ㄴ, ㄷ, ㄹ, ㅁ, ㅂ, ㅇ ) [❶ 한낟 ] [❷ 압 ]
의 7개 자음만이 음절의 끝소리로 발음되는 현상을 •집 근처 ㉢옷 가게에 들러 ㉣옷을 샀는데, 마음에 들지 않는다.
말한다. [❸ 쟧 ] [❹ 오슬 ]

(❺ ㉣ )과 같이 앞 음절의 끝소리에 있는 자음은 (❻ 모음 )으


로 시작하는 음절과 만날 때, 다음 음절의 첫소리로 옮겨 발음된다.

[3 ~ 4] 다음 문장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고르시오.

3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을 ( 교체,


첨가 )라고 한다. 01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적용되는 것은?
① 어머니는 장롱 깊이 돈을 감췄다.
4 ‘묶다’는 ( 음절의 끝소리 규칙, 비음화 )에 따라
[묵따]로 발음된다.
② 오늘은 꽃에 물을 주고 잡초를 뽑았다.
③ 청소년을 위한 일곱 가지 프로그램이 있다.
④ 농촌의 부족한 일손 돕기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⑤ 오랜만에 숲속 공기를 마시니 머리가 시원해지는 듯했다.
‘숲속’은 [숩쏙]으로 발음되는데, 이는 음절의 끝소리로 올 수 없는 받침 ‘ㅍ’이 ‘ㅂ’으로 바뀌어 소리

02 발음할 때 다음과 같은 음운의 변동이 일어나는 것은?


나는 것으로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적용된 것이다.
[5 ~ 6]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
하시오.

5 파열음 ‘ㄷ’이 ‘ㄴ, ㅁ’ 앞에서 ‘ㄴ’으로 바뀌어 발 ㅂ+ㅁ → ㅁ+ㅁ


음되는 현상은 비음화에 해당한다. ( , ×)
① 탐방 ② 냄비 ③ 밥알 ④ 굼벵이 ⑤ 겹문자
6 ‘밥맛’은 받침 ‘ㅂ’이 비음 ‘ㅁ’ 앞에서 비음 ‘ㅇ’으 ‘겹문자’는 [겸문짜]로 발음되는데, ‘ㅂ’이 ‘ㅁ’을 만나 ‘ㅁ’으로 변화하는 비음화가 나타난 것이다.
[밤맏] ㅁ
로 바뀐다. ( , ×)
다음의 밑줄 친 단어가 발음되는 과정을 정리해 보자.

우리의 앞날은 희망으로 가득하다.

[7~ 9] 다음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발음 양상 음운 변동 현상


음절의 끝에 온 받침
7 다음 중 음절의 끝소리가 변하는 것을 고르시오. 1단계 [❼ 압날 ] (❽
음절의
)
‘ㅍ’이 ‘ㅂ’으로 바뀜 끝소리 규칙

칼, 백, 손, 공, 갓 받침 ‘ㅂ’이 뒤에 오는
2단계 [❾ 암날 ] 비음 ‘ㄴ’의 영향으로 비음 ( 비음화 )
갓 ‘(❿ ㅁ )’으로 바뀜
8 다음 중 음절의 끝소리가 다른 하나를 쓰시오.

낮, 닻, 같(다), 깊(다), 걷(다)


03 다음 중 <보기>의 음운 변동 현상이 모두 일어나는 것은?
깊(다) 보기
9 다음 중 비음화가 일어나지 않는 단어를 고르시오. 음절의 끝소리 규칙, 비음화

먹물, 난로, 겁나다, 맏며느리


① 들녘 ② 덧문 ③ 낳고 ④ 잡는다 ⑤ 솥단지
난로 ‘덧문’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적용되어 [덛문]으로 발음되고, 다시 ‘ㄷ’이 뒤에 오는 비음 ‘ㅁ’의 영
향을 받아 비음 ‘ㄴ’으로 바뀌어 [던문]으로 발음된다.
04 음운의 변동 ①: 교체 19
2015 개정 교육과정, 알아 두기!
이전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유음 ‘ㄹ’이 ‘ㄴ’으로 바뀌는 것 역시 비음화 안에 포함 ‘국론[궁논], 압력[암녁]’ 등에서 보듯이 유음 ‘ㄹ’이 ‘ㄴ’으로 바뀌는 것은 비음 뒤에서뿐만 아니라 ‘ㄹ’을 제외한 모
하여 다루기도 하였음 든 자음 뒤에서 바뀐다는 점(유음화 제외)에서 이 현상은 비음화라 보기 어려움

3. 유음화: ‘ㄴ’이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의 영향을 받아 유음 ‘ㄹ’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
이다.
유음화의 예외인 단어들의 공통점
유음화의 예외를 보이는 단어들은
ㄴ+ㄹ 난로 → [날∶로], 곤란 → [골∶란], 천리 → [철리]
단어의 내부를 쉽게 둘로 나눌 수
ㄹ+ㄴ 실내 → [실래], 설날 → [설∶랄], 물놀이 → [물로리]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예를 들어
‘공권력[공녦녁]’, ‘의견란[의∶견난]’
의 경우 ‘공권’, ‘의견’이 별개의 단
일부 한자어에서 ‘ㄴ’과 ‘ㄹ’이 만나도 [ㄹㄹ]로 발음되지 않고, [ㄴㄴ]으로 발음되는 유음화의 어로 존재하므로 ‘공권 + 력’, ‘의견
예외 사례가 있어. 이들은 실제의 발음을 고려하여 모두 표준 발음으로 규정하고 있단다. + 란’과 같이 그 내부를 쉽게 둘로
‘공권력[공 녁]’, ‘의견란[의∶견난]’과 같은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어. 나눌 수 있다. 이는 외래어의 경우
도 마찬가지이다.

4. 구개음화: 앞말의 끝소리 ‘ㄷ, ㅌ’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j]’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를 만
나 구개음인 ‘ㅈ, ㅊ’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이다. 구개음화는 인접한 두 음운의 조음
위치를 비슷하게 만들어 더 편하게 발음하기 위해 일어난다.

그림을 통해 자음 ‘ㄷ, ㅌ’보다


자음 ‘ㅈ, ㅊ’이 모음 ‘ㅣ’와 더 가까운
위치에서 소리 나는 것을 알 수 있어.
즉 ‘ㄷ, ㅌ’을 ‘ㅈ, ㅊ’으로 교체하면 발음
하기가 편해지는 거지. 구개음화는
바로 이러한 발음의 경제성 때문에
발생하는 거야.
▲ ‘ㄷ, ㅌ’을 발음할 때 ▲ ‘ㅈ, ㅊ’을 발음할 때 ▲ ‘ㅣ’를 발음할 때

굳이 → [구디] → [구지] 같이 → [가티] → [가치] 해돋이 → [해도디] → [해도지]


구개음화의 조건
구개음화는 앞말의 끝소리 ‘ㄷ, ㅌ’
5. 된소리되기: 특정한 환경에서 예사소리 ‘ㄱ, ㄷ, ㅂ, ㅅ, ㅈ’이 된소리인 ‘ㄲ, ㄸ, ㅃ, ㅆ, ㅉ’ 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j]’로 시작
하는 형식 형태소를 만나야 한다는
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이다. 조건을 충족해야 일어난다. 그러므
⑴ 받침 ‘ㄱ, ㄷ, ㅂ’ 뒤에 ‘ㄱ, ㄷ, ㅂ, ㅅ, ㅈ’이 올 때의 된소리되기 로 ‘잔디[잔디], 마디[마디]’ 등과 같
이 하나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의 내부에서는 구개음화가 일어나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지 않으며, ‘홑이불[혼니불]’과 같이
형식 형태소가 아닌 실질 형태소에
국밥[국빱], 닫다[닫따], 입고[입꼬], 엽서[엽써], 낮잠[낟짬] 딸린 모음 ‘ㅣ’가 올 경우에는 구개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적용된 받침 ‘ㄷ’ 뒤에서 ‘ㅈ’이 된소리가 됨 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⑵ 용언의 어간 받침 ‘ㄴ, ㅁ’ 뒤에 첫소리가 ‘ㄱ, ㄷ, ㅅ, ㅈ’인 어미가 올 때의 된소리되기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신고[신∶꼬], 앉고[안꼬], 닮고[담∶꼬], 품다[품∶따], 젊지[점∶찌]


물질[물질]
⑶ 한자어에서의 받침 ‘ㄹ’ 뒤에 ‘ㄷ, ㅅ, ㅈ’이 올 때의 된소리되기
물질(物質)
[물찔]
ㄹ + ㄷ, ㅅ, ㅈ → ㄸ, ㅆ, ㅉ

갈등[갈뢺], 발달[발딸], 말살[말쌀], 실전[실쩐], 걸작[걸짝]


같은 ‘물질’인데
⑷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 ‘ㄱ, ㄷ, ㅂ, ㅅ, ㅈ’이 올 때의 된소리되기 왜 발음이 다른 거지?

- (으)ㄹ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갈 곳[갈낰], 살 데가[살떼가], 할 바[할빠], 만날 사람[만날싸람], 할 적에[할쩌게]

‘물질(物質)’은 받침 ‘ㄹ’ 뒤에 ‘ㅈ’이 온 한자어이기


때문에 된소리되기가 적용되지만, ‘물질[물질]’은
20 I . 음운 고유어이기 때문에 된소리가 적용되지 않음
정답과 해설 p.05

개념 확인하기 교과서 적용하기


[10~ 11]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
다음 표의 빈칸을 채워 보고, 유음화의 원리를 살펴보자.
오.

10 앞말의 끝소리 ‘ㄷ, ㅌ’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 단어 발음 바뀐 음운

[j]’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를 만나 구개음인 신라 [실라] ㄴ→ㄹ

‘( ㅈ, ㅊ )’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을 구개음화 칼날 [ 칼랄 ] ( ㄴ )→( ㄹ )


라고 한다.

유음화는 ‘( ㄴ )’이 ‘( ㄹ )’ 앞 또는 뒤에서 ‘( ㄹ )’로 발음되는 현상이다.


11 ( 된소리되기 )란 ‘ㄱ, ㄷ, ㅂ, ㅅ, ㅈ’과 같은 예사소
리가 특정한 환경에서 된소리인 ‘ㄲ, ㄸ, ㅃ, ㅆ, ㅉ’
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이다.
04 밑줄 친 부분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동이 나머지와 다른 하나는?
① 아이들은 술래가 찾을 수 없게 꼭꼭 숨었다.
[12 ~ 13]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 ② 하늘이 몹시 맑고 쾌청한 것이 가을날 같았다.
시하시오. ③ 우리 가족은 여름에 광안리로 피서를 다녀왔다.
12 유음화는 ‘ㄹ’이 ‘ㄴ’의 앞 또는 뒤에서 ‘ㄴ’의 영 ④ 문을 열고 나서려는 찰나, 엄마가 나를 부르셨다.
향을 받아 ‘ㄴ’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⑤ 극의 전개가 혼란하여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
( , ×) ‘술래’는 [술래]와 같이 글자 그대로 발음되므로, 음운 변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나머지는 모두 유음
화가 나타난다.
13 구개음화는 발음을 더 편하게 하기 위해 나타나 05 구개음화가 일어나는 단어가 포함된 문장으로 적절한 것은?
는 현상이다. ( , ×)
① 아이들이 잔디밭에서 뛰어놀고 있다.
② 가볍게 계단을 디뎌도 삐걱거리는 소리가 났다.
③ 모두 대도시로 떠나 마을은 온통 빈집 천지이다.
[14 ~ 15] 다음 문장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고르 ④ 어머니께서 삐걱거리는 미닫이를 힘겹게 여셨다.
시오.
⑤ 그런 거짓말을 하고도 티끌만 한 양심의 가책도 느끼지 않느냐?
14 ‘틀니’의 올바른 발음은 ( [틀니], [틀리] )이고, ④의 ‘미닫이’는 구개음화가 적용되어 [미∶다디 → 미∶다지]로 발음되는 단어이다.
‘곤란’의 올바른 발음은 ( [곤∶란], [곤∶난], [골∶란] )이
다. <보기>의 된소리되기 유형에 따라 ‘갈 사람, 앉다, 집게’를 분류해 보
고, 올바른 발음을 적어 보자.
15 ‘해돋이’의 올바른 발음은 ( [해도디], [해도지] ) 보기
이고, ‘붙임’의 올바른 발음은 ( [부팀], [부침] )이다.
가 ‘ㄱ, ㄷ, ㅂ’으로 발음되는 받침 뒤에 ‘ㄱ, ㄷ, ㅂ, ㅅ, ㅈ’이 올 때
나 ‘ㄴ, ㅁ’으로 발음되는 용언의 어간 받침 뒤에 첫소리가 ‘ㄱ, ㄷ, ㅅ, ㅈ’인
어미가 올 때
다 관형사형 어미 ‘- (으)ㄹ’ 뒤에 ‘ㄱ, ㄷ, ㅂ, ㅅ, ㅈ’이 올 때
[16~ 17] 다음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6 다음 중 ‘곱셈’과 같은 음운 변동 현상이 일어나 가 나 다


지 않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젊다[점∶따] 갈 사람[갈싸람]
집게[집께]

칡범, 맏이, 닫다, 국밥, 한류

17 다음 중 ‘천리’와 같은 음운 변동 현상이 일어나


맏이, 한류 06 <보기>의 된소리되기 유형에 해당하는 것은?
보기
는 것을 고르시오.
한자어에서의 받침 ‘ㄹ’ 뒤에 ‘ㄷ, ㅅ, ㅈ’이 올 때의 된소리되기

갈등, 달님, 부엌, 콧날, 함락


① 입술 ② 발전 ③ 학교 ④살데 ⑤ 멱살잡이
달님 한자어인 ‘발전’은 받침 ‘ㄹ’ 뒤에 ‘ㅈ’이 오는 경우이므로, [발쩐]으로 발음된다.

04 음운의 변동 ①: 교체 21
개념

자음군 단순화 교체 첨가

‘ㅎ’ 탈락
음운의
‘ㄹ’ 탈락 변동

모음 탈락 탈락 축약


음운 변동의 유형 중 하나인 탈락은 두 음운 중 하나의 음운이 복합어의 형성과 ‘ㄹ’ 탈락
‘소나무(솔 + 나무), 마소(말 + 소)’
발음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등은 단어가 생성될 때 ‘ㄹ’ 탈락이
일어난 경우이다. 그러나 복합어의
‘흙[흑]’은 겹받침의 ‘ㄹ’이 발음되지 않아. 이와 같이 두 음운 중 하나의 ‘ㄹ’ 탈락은 ‘활시위(활 + 시위)’, ‘돌
음운이 발음되지 않는 현상을 ‘탈락’이라고 한단다. 도끼(돌 + 도끼)’와 같이 동일한 환
경에서 ‘ㄹ’ 탈락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규칙화하기 어렵다.


1. 자음군 단순화: 음절의 끝에 자음이 두 개 연결된 자음군(겹받침)이 올 때, 두 자음 중 하나 겹받침 발음의 예외
•‘ㄺ’은 ‘ㄹ’이 탈락하는 것이 원칙
가 탈락하고 하나만 발음되는 현상이다.
이나, ‘ㄱ’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음절 끝 또는 자음 앞에서 ㄳ, ㄵ, ㄼ, ㄽ, 몫[목], 앉지[안찌], 섧다[설∶따], 외곬[외 뒤에 올 때는 ‘ㄱ’이 탈락한다.
뒤 자음이 탈락하는 경우 ㄾ, ㅄ 골/웨골], 핥고[할꼬], 없다[업∶따] 읽다[익따], 읽고[일꼬], 읽지
[익찌] / 맑다[막따], 맑고[말꼬],
음절 끝 또는 자음 앞에서
ㄺ, ㄻ, ㄿ 흙[흑], 삶[삼∶], 읊다[읍따] 맑지 [막찌]
앞 자음이 탈락하는 경우
•‘ㄼ’은 ‘ㅂ’이 탈락하는데 ‘밟-’과
‘넓-’의 일부 단어에서 예외적으
2. ‘ㅎ’ 탈락: ‘ㅎ’으로 끝나는 용언의 어간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 로 ‘ㄹ’이 탈락한다.
는 형식 형태소가 올 때 ‘ㅎ’이 탈락하는 현상이다. 밟다[밥∶따], 밟고[밥∶꼬], 밟지
좋아[조∶아], 낳으니[나으니], 끓이다[끄리다] [밥∶찌] / 넓다[널따], 넓지[널찌],
‘ㅎ’ 탈락 후 연음 넓죽하다[넙쭈카다], 넓둥글다[넙
3. ‘ㄹ’ 탈락: ‘ㄹ’로 끝나는 용언의 어간이 몇몇 어미와 결합할 때 하늘을 나는 새가 나네.
뚱글다], 넓적하다[넙쩌카다]
대체로 ‘ㄴ, ㅅ’과 같이 조음 위치가 비슷 비행기
탈락하는 현상이다. 한 자음을 가진 어미 앞
살-+-는 → [사∶는], 알-+-시-+-고 → [아∶시고]

4. 모음 탈락: 용언의 어간과 어미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모음이


탈락하기도 하는 현상으로, ‘ㅡ’ 탈락과 동음 탈락이 있다. ‘ㅎ’ 탈락은 음운 탈락이
표기에 반영되지 않고
모음 ‘ㅡ’로 끝나는 용언의 어간이 모음 ‘ㅏ/ 크-+-어 → [커], 잠
‘ㅡ’ 탈락 발음에서만 반영돼. 하지만
ㅓ’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 그- +-아 → [잠가] ‘ㄹ’ 탈락, 모음 탈락(‘ㅡ’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동일한 모음으로 탈락, 동음 탈락)은 음운
가-+-아 → [가], 건
동음 탈락 시작하는 어미가 올 때 그중 하나가 탈락하 탈락이 표기에도 반영
너-+-어도 → [건너도] 된다는 점을 기억해 둬.
는 현상 모음 ‘ㅏ’나 ‘ㅓ’로 끝나는 어간이 모음 ‘ㅏ’나 ‘ㅓ’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22 I . 음운
정답과 해설 p.06

개념 확인하기 교과서 적용하기


[1~ 2]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1 다음 밑줄 친 부분의 끝소리가 나머지와 다른 것은?
1 두 음운 중 하나의 음운이 발음되지 않는 음운 변 ①닭 ② 핥고 ③ 엷다 ④ 외곬 ⑤ 끓는점
동의 유형을 ( 탈락 )이라고 한다. ① ‘닭’은 [닥]으로 발음되므로 끝소리가 ‘ㄱ’으로 발음된다. 나머지는 모두 끝소리가 ‘ㄹ’로 발음된다.

2 (자음군 단순화)는 음절 끝의 두 자음 중 하나가 탈락


다음 빈칸을 채우며 음운 탈락 현상을 정리해 보자.
하고, 하나만 소리 나는 현상을 말한다.
기본형 탈락 현상의 예 탈락 현상
멀다 [머∶니], [머∶오] (❶ ㄹ ) 탈락
❷ 쌓다 [싸아], [싸여], [싸이다] (❸ ㅎ ) 탈락
❹ 울다 [우∶는], [우∶니], [우∶오] (❺ ㄹ ) 탈락
[3 ~ 4]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
❻ 좋다 [조∶은], [조∶아], [조∶으니] (❼ ㅎ ) 탈락
하시오.

3 음운의 탈락은 모음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이다.


( , ×) 02 <보기>에서 ‘ㄹ’ 탈락이 일어나는 단어의 개수로 적절한 것은?
보기
4 받침 ‘ㄺ’은 대부분의 경우 ‘ㄹ’이 탈락하고 ‘ㄱ’을 : ‘ㄹ’ 탈락이 일어나는 단어
아침에 일어나니 눈이 쌓여 온 세상이 하얗게 변해 있었다. 바람이 부니 좀
발음하지만, ‘ㄹ’로 시작하는 어미가 뒤에 올 때는
‘ㄱ’
추웠지만, 이미 운동장에는 눈싸움을 하며 노는 아이들이 많았다. 나는 운동장
‘ㄱ’이 탈락한다. ( , ×) 계단에 앉아 하늘을 가르며 나는 비행기를 바라보았다. 문득 멀리 살고 계신
할머니가 보고 싶었다. 나는 할머니께서 한국에 돌아와 사셨으면 좋겠다고 생
각했다.

① 1개 ② 2개 ③ 3개 ④ 4개 ⑤ 5개
[5 ~ 6] 다음 문장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고르시오. 제시된 글에서는 ‘불- + -니 → 부니’, ‘놀- + -는 → 노는’, ‘날- + -는 → 나는’, ‘살- + -시- +
-었- + -으면 → 사셨으면’에서 ‘ㄹ’ 탈락이 일어난다.
5 ‘넓고’는 ( [널꼬], [넙꼬] )로 발음하고, ‘밟지’는
( [발∶찌], [밥∶찌] )로 발음한다. <보기>에서 모음이 탈락한 단어를 찾아보고, 단어의 원래 형태와 탈
락한 모음을 써 보자. 이때 발음과 표기가 일치하는지 살펴보자.
6 ‘쌓이다’에 나타나는 음운 변동은 ( 자음군 단순화,
‘ㅎ’ 탈락, 동음 탈락 )이다. 가 그는 학계에 이름이 나 있었다.
나 달리던 기차가 갑자기 그 자리에 섰다.
다 다시 만나면 기뻐서 말이 안 나올 것이다.

모음이 탈락한 단어 원래의 형태 탈락한 모음


[7~ 8] 다음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ㅏ
가 나 나- + -아
7 다음 단어들을 제시된 음운 현상에 따라 바르게 나 ❽ 섰다 ❾ 서-+-었-+-다 ❿ ㅓ
분류하시오. 다 기뻐서 기쁘-+-어서 ㅡ

아는, 낳아, 둥그니, 사니, 놓여 모음 탈락이 일어나는 경우, 발음과 표기가 ( 일치한다 ).

⑴ ‘ㅎ’ 탈락: 낳아, 놓여


⑵ ‘ㄹ’ 탈락: 아는, 둥그니, 사니 03 <보기>의 밑줄 친 단어들에서 공통적으로 탈락한 음운으로 적절한
것은?
8 다음 중 ‘ㅡ’ 탈락이 일어나는 단어들을 모두 찾아 보기
쓰시오.
•불을 꺼. •김치를 담가. •키가 커서 좋다.

따라, 썼다, 가서, 잠가, 건넜다


①ㅜ ②ㅓ ③ㅏ ④ㅡ ⑤ㅣ
따라, 썼다, 잠가 ‘끄- + -어 → 꺼’, ‘담그- + -아 → 담가’, ‘크- + -어서 → 커서’로, 모두 모음 ‘ㅡ’가 탈락한 단어들
이다.
05 음운의 변동 ②: 탈락 23
2015 개정 교육과정, 알아 두기!
이전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그리- + -어 → 그려’와 같이 줄어드는 이중 모음의 반모음을 하나의 음운으로 인정해 ‘그리- + -어 → 그려’가 되
현상을 ‘모음 축약’ 현상으로 봄 는 현상을 ‘리’의 모음 ‘ㅣ’가 반모음 ‘ㅣ̆[j]’’로 ‘교체’된 것으로 보는 입장임

개념

‘ㄴ’ 첨가

교체 첨가
반모음 첨가

음운의
변동

탈락 축약 거센소리되기


ㄱ ㅎ 사잇소리 현상
첨가는 두 음운이 만날 때 그 사이에 합성 명사에서, 앞말의 끝소리가
음운이 덧붙는 현상을, 축약은 두 음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
여름 울림 예사소리이면 뒤의 예사소리

운이 합쳐져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 가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 내+
ㅋ 가 → 냇가[내∶까 / 눸∶까], 산+골 →
드는 현상을 말한다.
산골[산꼴]), 또는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는데 뒷말이 ‘ㄴ, ㅁ’으로 시작
되면 앞말의 끝소리에 ‘ㄴ’ 소리가
하나 덧나고( 후 +날 → 훗날[훈
날]), 모음 ‘ㅣ’나 반모음 ‘ㅣ̆[j]’로 시
작되면 앞말의 끝소리와 뒷말의 첫
의 소리에 ‘ㄴ’이 둘 덧나는 현상( 예
사+일 → 예삿일[예∶산닐])을 말한다.
1. ‘ㄴ’ 첨가: 두 형태소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어와 파생어에서, 자음으로 끝나는 말 뒤
에 모음 ‘ㅣ’나 반모음 ‘ㅣ̆[j]’로 시작하는 말이 결합할 때 ‘ㄴ’이 덧붙어 발음되는 현상이다. 와 같이 ‘ㅣ(ㅚ, ㅟ)’로
솜이불[솜∶니불], 맨입[맨닙], 한여름[한녀름], 막일 → [막닐](‘ㄴ’ 첨가) → [망닐](비음 끝나는 어간에 어미 ‘-어’,
화), 물엿 → [물늮](‘ㄴ’ 첨가, 음절의 끝소리 규칙) → [물릒](유음화) ‘-오’가 붙는 경우, [어], [오]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2. 반모음 첨가: 모음으로 끝나는 형태소 뒤에 단모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올 때, 모음끼 반모음 ˘ ‘ㅣ[j]’가 첨가된 [여],
리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반모음 ‘ㅣ̆[j]’나 반모음 ‘ㅗ̆/ㅜ̆[w]’가 덧붙는 현상이다. 어간의 [요]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하고
있어. 그러나 ‘보아라[보와라]
모음 ‘ㅣ(ㅚ, ㅟ)’ 뒤에 오는 단모음에 반모음 ‘ㅣ̆[j]’가 덧붙는 경우( 피어[피어/피여])는
(X)’, ‘부어도[부워도](X)’와
반모음을 첨가하여 발음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이외의 경우에는 대개 표준 발음으로 인정 같이 반모음 ‘ㅗ̆/ㅜ̆[w]’가
•반모음 ‘ㅗ̆ / ㅜ̆[w]’가 첨가되는 경우
하지 않는다. •부사격 조사 ‘에’에 반모음이 첨가되는 경우 광주에 [광주에]( ), [광주예](×) 덧붙는 경우는 표준 발음이
되어[되어/되여], 기어[기어/기여], 이오[이오/이요], 아니오[아니오/아니요] 아니니까 주의해.


‘ㄱ, ㄷ, ㅂ, ㅈ’뿐만 아니라
1. 거센소리되기: 예사소리 ‘ㄱ, ㄷ, ㅂ, ㅈ’이 ‘ㅎ’과 만나 거센소리 ‘ㅋ, ㅌ, ㅍ, ㅊ’으로 바뀌 ‘ㄷ’으로 발음되는 ‘ㅅ, ㅈ, ㅊ, ㅌ’
의 경우도 ‘ㅎ’과 만나면
어 발음되는 현상이다.
거센소리되기가 일어나.
‘숱하다’를 보면, ‘ㅌ’이 음절의
ㄱ, ㄷ, ㅂ, ㅈ + ㅎ → ㅋ, ㅌ, ㅍ, ㅊ 끝소리 규칙에 따라 ‘ㄷ’으로
바뀐 뒤 ‘ㅎ’과 합해져
축하[추카], 좋다[조∶타], 덥히면[더피면], 앉히다[안치다] [수타다]로 발음된단다.

‘ㄴ’ 첨가가 일어나는 조건


선행하는 말은 접두사이든 일반 단어이든 상관없지만 후행하는 말은 실질 형태소이거나 한자 계열의
24 I . 음운 접미사여야 한다. 어미나 조사, 고유어 계열의 형식 형태소가 후행하면 ‘ㄴ’ 첨가는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과 해설 p.07

개념 확인하기 교과서 적용하기


[1~ 3]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다음 단어의 표준 발음을 써 보자.
1두 음운이 만날 때, 원래 없던 소리가 추가되는
음운 변동 현상을 통틀어 ( 첨가 )라고 한다. •솜 + 이불 → 솜이불[❶ 솜∶니불 ] •꽃 + 잎 → 꽃잎[❷ 꼰닙 ]
•영업 + 용 → 영업용[❸ 영엄뇽 ] •맨 + 입 → 맨입[❹ 맨닙 ]
2 거센소리되기는 예사소리 ‘ㄱ, ㄷ, ㅂ, ㅈ’이
‘( ㅎ )’을 만나 ‘ㅋ, ㅌ, ( ㅍ ), ㅊ’으로 음
운이 줄어드는 현상이다.
01 다음 밑줄 친 단어 중, 첨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3 ‘물약’과 ‘막일’에서 공통으로 일어나는 음운 변동 ① 아이는 색연필로 그림을 그리고 있었다.
현상은 ( ‘ㄴ’ 첨가 )이다.
② 꽃잎을 갖고 놀던 어린 시절이 무척 그리웠다.
③ 이제 본격적인 한여름으로 들어서는 모양이었다.
④ 백설공주는 독약이 묻은 사과를 먹고 잠이 들었다.
⑤ 어머니는 아버지께 집안일을 좀 하라며 잔소리를 하셨다.
[4 ~ 6]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 ④의 ‘독약’은 [도갹]으로 발음되며, 첨가되는 음운이 없이 받침 ‘ㄱ’이 연음되어 발음된다. 나머지는
모두 ‘ㄴ’ 첨가가 일어난다. ① [색년필] → [생년필], ② [낰닙] → [꼰닙], ③ [한녀름], ⑤ [지반닐]
하시오.

4 ‘좋아’의 발음은 [조∶아]가 원칙이며 [조∶와]로 발음 02 밑줄 친 단어의 발음 표기가 표준 발음이 아닌 것은?


하는 것도 허용된다. ( , ×) ① 당신의 평생소원은 무엇이오[무어시오]?
② 봄이 되어 개나리가 활짝 피었다[피잪따].
5 ‘꽃이 피었다.’를 [꼬치 피잸따]로 발음하는 것은
표준 발음이 아니다. ( , ×) ③ 어제는 비가 오더니, 오늘은 날이 개었다[개잪따].
④ 그는 차에서 내리자마자 집으로 마구 뛰었다[뛰얻따].
6 ‘학교에 갔다.’의 올바른 발음은 [학꾜에 갇따]
⑤ 보아라[보아라], 저 들판에서 익어 가는 벼들의 숭고함을.
이다. ( , ×)
반모음 첨가가 표준 발음으로 인정되는 것은 어간 모음 ‘ㅣ(ㅚ, ㅟ)’ 뒤에 오는 단모음에 반모음 ‘ㅣ̆[j]’가
덧붙는 경우이다. ③의 ‘개었다’는 어간의 모음이 ‘ㅐ’로 ‘ㅣ(ㅚ, ㅟ)’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개잸따]와
같이 반모음을 첨가하여 발음하는 것은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개얻따]로 발음해야 한다.

다음 단어를 발음할 때 일어나는 음운의 변화를 살펴보며, ‘거센소리


되기’에 대해 이해해 보자.
[7~ 8]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음운 변동 현
상을 쓰시오. 단어 표기된 음운 수 발음되는 음운 수 음운 변동 결과

7 휘발유  [휘발뉴]  [휘발류] 백합 ㅂ, ㅐ, ㄱ, ㅎ, ㅏ, ㅂ(6개) ㅂ, ㅐ, ㅋ, ㅏ, ㅂ(5개) ㄱ+ㅎ → ㅋ


( ‘ㄴ’ 첨가 ) ( 유음화 ) 맏형 ❺ㅁ, ㅏ, ㄷ, ㅎ, ㅕ, ㅇ(6개) ❻ ㅁ, ㅏ, ㅌ, ㅕ, ㅇ(5개) ❼ ㄷ+ㅎ → ㅌ
법학 ❽ㅂ, ㅓ, ㅂ, ㅎ, ㅏ, ㄱ(6개) ❾ ㅂ, ㅓ, ㅍ, ㅏ, ㄱ(5개) ❿ ㅂ+ㅎ → ㅍ
8 숱하다  [숟하다]  [수타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 ( 거센소리되기 )

03 밑줄 친 단어 중, <보기>와 같은 음운 변동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보기

박하사탕

[9 ~ 11] 다음 문장에서 거센소리되기가 일어난


단어를 모두 찾아 쓰시오. ① 전철에 사람이 많아서 갑갑하다. [마나서]: ‘ㅎ’ 탈락
② 형제는 수확한 곡물을 공평하게 나누었다. [공물]: 비음화
9 너의 생일을 진심으로 축하해. 축하해
③ 뫼비우스의 띠는 안과 겉이 구별되지 않는다. [거치]: 구개음화
10 책잡히지 않도록 행동을 조심하는 게 좋겠어. ④ 얼굴을 굳히며 정색하는 친구를 보고 놀랐다.
책잡히지, 않도록, 좋겠어

11 오늘 날씨가 정말 좋다. 좋다 ⑤ 그분은 전쟁 중에 유일한 피붙이인 형님과 헤어졌다. [피부치]: 구개음화


<보기>의 ‘박하사탕[바카사탕]’은 두 음운이 합쳐져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드는 축약 현상 중, 거센소
리되기가 일어난다. ④의 ‘굳히며’ 역시 [구티며](거센소리되기) → [구치며](구개음화)와 같이 거센
소리되기가 일어난다. 06 음운의 변동 ③: 첨가, 축약 25
선지로 실력 확인하기 다음 음운 현상 중, ‘교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비음화 ② 유음화
음운의 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③ 구개음화 ④ 된소리되기
(정답 2개) ⑤ 거센소리되기
거센소리되기는 예사소리 ‘ㄱ, ㄷ, ㅂ, ㅈ’이 ‘ㅎ’과 만나 두 음운이 합쳐져 거센소리
① 원래 없던 음운이 생겨나기도 한다. 인 ‘ㅋ, ㅌ, ㅍ, ㅊ’으로 발음되는 현상으로, 음운 축약에 해당한다.

② 원래 있었던 음운이 없어지기도 한다.


③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기도 한다.
④ 두 음운이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들기도 한다.
⑤ 크게 교체, 탈락, 첨가, 축약의 네 가지로 나뉜다.
⑥ 표기와 발음을 일치시키기 위한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⑦ 음운이 일정한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발음되는 현상이다.
⑧ 음운 변동은 우리말에서만 나타나는 특수한 음운 현 <보기>에서 설명하는 음운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보기
상이다.
음운의 변동은 음운이 일정한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발음되는 현상으로, 모든 언어에 받침 ‘ㄱ, ㄷ, ㅂ’은 뒤에 오는 비음 ‘ㄴ, ㅁ’의 영향을 받아
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이다. 또한 음운의 변동은 표기에 반영되기도 하고 반영 각각 비음 ‘ㅇ, ㄴ, ㅁ’으로 바뀌어 발음된다.
되지 않기도 하므로, 표기와 발음을 일치시키기 위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설명
은 적절하지 않다. 음운 변동의 종류로는 크게 ①의 첨가, ②의 탈락, ③의 교체,
④의 축약 네 가지가 있으며, ⑦은 음운 변동의 개념이다. ① 읍내 ② 담력 ③ 숙모
음절의 끝소리로 발음되는 자음으로만 바르게 묶인 ④ 걷는다 ⑤ 맏며느리
<보기>에 제시된 설명은 비음화가 일어나는 음운 환경 중, 받침 ‘ㄱ, ㄷ, ㅂ’에 대한
것은? 변동 현상이다. ②의 ‘담력’은 받침 ‘ㅁ, ㅇ’ 뒤에 오는 유음 ‘ㄹ’이 비음 ‘ㄴ’으로 발음
되는 경우로, 제시된 설명에 해당하지 않는다.
① ㄱ, ㄴ, ㄷ, ㄹ, ㅁ, ㅂ, ㅅ
② ㄱ, ㄴ, ㄷ, ㄹ, ㅁ, ㅂ, ㅇ
③ ㄱ, ㄴ, ㄷ, ㄹ, ㅁ, ㅅ, ㅇ
④ ㄱ, ㄴ, ㄷ, ㄹ, ㅁ, ㅂ, ㅎ ‘권력[궐력]’은 앞 음운이 뒤 음운의 영향을 받아 뒤의 음운인 ‘ㄹ’과 같게
발음된다. 따라서 역행 동화(역행적 유음화)가 일어나고, 두 음운이 같아
⑤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진 완전 동화가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①의 ‘달님[달림]’과 ④의 ‘칼날
우리말에서 음절의 끝소리로 발음되는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가지이 [칼랄]’은 뒤 음운이 앞 음운에 영향을 받아 변화하는 순행 동화에 해당하
다. 고난도 며, 두 음운이 ‘ㄹ’로 같아지는 완전 동화에 해당한다. ③의 ‘국내[궁내]’와
⑤의 ‘밥물[밤물]’은 모두 비음화가 일어난 단어이지만, ③은 역행 동화,
부분 동화가 일어나고, ⑤는 역행 동화, 완전 동화가 일어난다.
다음 단어들에서 일어나는 음운 현상을 <보기>에서
다음 단어 중, 밑줄 친 부분의 끝소리가 나머지와 다른 고른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것은?
(가) 순행 동화: 뒤 음운이 앞 음운의 영향을 받아 그와 비슷
①덫 ②밥 ③빗 하거나 같게 소리 나는 현상
④ 히읗 ⑤ 같다 (나) 역행 동화: 앞 음운이 뒤에 오는 음운의 영향을 받아 그
‘밥[밥]’은 끝소리가 ‘ㅂ’이고, ①은 ‘덫[덛]’, ③은 ‘빗[뾭]’, ④는 ‘히읗[히죣]’, ⑤는 와 비슷하거나 같게 소리 나는 현상
‘같다[갇따]’로, 끝소리가 모두 ‘ㄷ’이다. (다) 완전 동화: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의 영향을 받아 그와 같
은 소리로 바뀌는 음운 현상
(라) 부분 동화: 가까이 있는 두 음운이 서로 영향을 주거나
받아 서로 비슷하게 소리가 나는 음운 현상
다음 중 발음이 바르게 제시된 것은?
① 벗이[버디] ② 꽃을[꼬슬] ① 달님 → (가), (다) ② 권력 → (나), (라)
③ 앉아[안짜] ④ 옷 안[오단] ③ 국내 → (나), (라) ④ 칼날 → (가), (다)
⑤ 밭 아래[바타래] ⑤ 밥물 → (나), (다)
‘옷 안’은 ‘옷’의 끝소리 ‘ㅅ’이 음절의 끝소리 규칙의 적용을 받아 ‘ㄷ’으로 바뀌어 발
음된다. 그리고 이 ‘ㄷ’이 다시 뒤에 오는 모음 ‘ㅏ’에 연음되어 [오단]으로 발음된다.
26 I . 음운 ① [버시], ② [꼬츨], ③ [안자], ⑤ [바다래]
정답과 해설 p.07

다음과 같은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단어로 적절한 것 다음 중, <보기>의 밑줄 친 단어에서 일어나는 음운


은? 현상이 나타나는 단어가 쓰이지 않은 것은?
보기
ㅁ + ㄹ → [ㅁ] + [ㄴ] 어서 학교에 가자.

① 막론 [망논]: ㄱ + ㄹ → [ㅇ] + [ㄴ] ② 종로 [종노]: ㅇ + ㄹ → [ㅇ] + [ㄴ] ① 나는 지금 갈 데가 있어. 갈 데가[갈떼가]


③ 염려 ④ 닫는 [단는]: ㄷ + ㄴ → [ㄴ] + [ㄴ] ② 그녀는 예쁜 옷을 입고 있다. 입고[입꼬]
⑤ 대통령 [대∶통녕]: ㅇ + ㄹ → [ㅇ] + [ㄴ] ③ 무엇을 먼저 먹을까 갈등이 되네. 갈등[갈뢺]
제시된 내용은 받침 ‘ㅁ’ 뒤에 오는 유음 ‘ㄹ’이, ‘ㅁ’의 영향을 받아 비음인 [ㄴ]으로
발음되는 ‘ㄹ’의 비음화 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③의 ‘염려[염∶녀]’가 적절하다.
④ 너는 모름지기 학업에 힘써야 한다.
⑤ 새로 산 신발을 신고 왔는데 갑자기 비가 온다. 신고[신∶꼬], 갑자기[갑짜기]
<보기>의 ‘학교[학꾜]’는 ‘ㄱ’ 받침 뒤에 오는 ‘ㄱ’이 된소리로 바뀌는 된소리되기가
나타난다. ④ [너는 모름지기 하거베 힘써야 한다]에는 아무런 음운 변동도 일어나
지 않는다.

다음 중 음운 현상의 종류가 나머지와 다른 것은?


① 실눈 ② 난로 ③ 만리포
④ 칼국수 ⑤ 한라산 ㉠ ‘안다[안∶따]’는 된소리되기가 나타나며, <보기 1>의 (나)와 같은 유형으
로 분류할 수 있다. ‘앉고[안꼬]’, ‘닮고[담∶꼬]’ 역시 <보기 1>의 (나)에 해당
‘칼국수[칼국쑤]’는 ‘국수’의 받침 ‘ㄱ’ 뒤에 오는 ‘ㅅ’이 된소리 ‘ㅆ’으로 발음되는 된
하는 예들이다. ㉡의 ‘안다[안∶다]’는 ㉠과 표기는 같지만 기본형이 ‘알다’
소리되기가 나타난다. 나머지는 비음 ‘ㄴ’이 유음 ‘ㄹ’의 앞이나 뒤에서 유음 ‘ㄹ’로
고난도 로 ㉠과 다르다. 여기서의 ‘ㄴ’은 용언의 어간 받침이 아니라, 현재 시제
교체되어 발음되는 유음화가 나타난다.
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에 해당하기 때문에 된소리되기가 일어나는 환
경을 충족하지 않는다.
<보기 1>에 제시된 된소리되기 유형을 참고하여, <보
기 2>의 예문을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1
다음 중 구개음화가 일어나는 단어가 아닌 것은?
(가) ‘ㄱ, ㄷ, ㅂ’으로 발음되는 받침 뒤에 ‘ㄱ, ㄷ, ㅂ, ㅅ, ㅈ’
① 굳이 ② 꽃이 이 올 때 - 표준 발음법 제23항
③ 피붙이 ④ 꽃밭이 (나) ‘ㄴ, ㅁ’으로 발음되는 용언의 어간 받침 뒤에 첫소리가
‘ㄱ, ㄷ, ㅅ, ㅈ’인 어미가 올 때 -제24항
⑤ 해돋이 ⑥ 닫히다
(다) 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ㄷ, ㅅ, ㅈ’이 올 때 -제26항
구개음화란 앞말의 끝소리 ‘ㄷ, ㅌ’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j]’로 시작하는 형식 형
태소를 만나 구개음인 ‘ㅈ, ㅊ’으로 교체되어 발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②의 ‘꽃이 (라)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 ‘ㄱ, ㄷ, ㅂ, ㅅ, ㅈ’이 올 때
-제27항
[꼬치]’는 ‘연음’ 현상에 해당한다.
보기 2
•아기를 품에 ㉠안다.
•나는 그 사람을 잘 ㉡안다.

다음 밑줄 친 단어 중, <보기>와 같은 음운 현상이 일 ① ㉠은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며, ㉡은 표기와 발음이


어나지 않는 것은? 일치하지 않는다.
보기
② ㉠은 된소리되기가 나타나며, <보기 1>의 (가)와 같
앞말의 끝소리 ‘ㄷ, ㅌ’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j]’로 시작
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는 형식 형태소를 만나 ‘ㅈ, ㅊ’으로 발음되는 현상
③ ㉠과 같은 유형의 된소리되기가 나타나는 예로는
① 아궁이에는 큰 솥이 걸려 있었다. ‘앉고’, ‘닮고’를 들 수 있다.
② 꽃이 수놓아진 홑이불만 덮고 잤다. ④ ㉡의 용언의 어간은 ‘알-’이므로, ㉡은 <보기 1>의
③ 겨울에는 팥이 들어간 간식을 많이 먹는다. (라)와 같은 유형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④ 책 읽기에 재미를 붙여 시간 가는 줄 몰랐다. ⑤ ㉡과 같은 유형의 된소리되기가 나타나는 예로는
⑤ 한옥에는 미닫이문과 여닫이문을 함께 달았다. ‘건더기’, ‘판단’을 들 수 있다.
<보기>는 구개음화에 대한 설명인데, ②의 ‘홑이불’은 ‘홑-’과, 형식 형태소가 아닌
명사 ‘이불’이 결합된 것이므로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 단어는 음절의 끝소
리 규칙과 ‘ㄴ’ 첨가가 적용되어 [ 니불]로, 이것이 다시 비음화가 되어 [혼니불]로 다선지로 실력 확인하기 27
발음된다.
다음 중, <보기>의 음운 현상이 모두 나타나는 것은? 다음 중, 겹받침의 발음이 나머지와 다른 것은?
보기
① 밟다 ② 읊다 ③ 섧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 된소리되기
④ 넓둥글다 ⑤ 넓죽하다
‘섧다(서럽다)’는 [설∶따]로, 겹받침이 [ㄹ]로 발음된다. 나머지는 모두 ① [밥∶따], ②
① 책상 ② 벽보 ③ 옆눈 [읍따], ④ [넙뚱글다], ⑤ [넙쭈카다]와 같이 겹받침이 [ㅂ]으로 발음된다. ①, ③,
[책쌍]: 된소리되기 [벽뽀]: 된소리되기 [엽눈 → 염눈]:
④, ⑤의 ‘ㄼ’의 경우, 표준 발음법에서는 단어에 따라 어떻게 발음해야 하는지를 따
④ 덮개 ⑤ 공권력 음절의 끝소리 규칙, 비음화
로 규정하고 있다. ‘ㄼ’은 원칙적으로는 ‘ㅂ’을 탈락시켜 [ㄹ]로 발음해야 한다. 하지
[공녦녁]: 된소리되기, ‘ㄹ’의 비음화
‘덮개’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따라 [덥개]로 발음되고, 다시 된소리되기에 따라 [덥 만 ‘밟-’ 뒤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붙을 때에는 [ㅂ]으로 발음되고, ‘넓-’이 포
깨]로 발음된다. 함된 복합어 중 ‘넓죽하다’와 ‘넓둥글다’, ‘넓적하다’ 등에서도 ‘ㄹ’을 탈락시켜 [ㅂ]으
로 발음한다. ②의 ‘읊다’는 ‘ㄹ’이 탈락한 후,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따라 ‘ㅍ’이 [ㅂ]
으로 발음된다.

<보기>의 ㉠ ~ ㉤의 발음과 단어에서 일어나는 음운


현상이 바르게 짝지어지지 않은 것은?
보기
다음 중, 음운 변동의 결과가 표기에 반영된 것은?
명절을 맞아 전통 시장에 장을 보러 온 손님들이 ㉠국밥
으로 배를 채웁니다. 준비한 물건을 이미 다 팔고 평소보다 ① 문법 ② 맏형 ③ 되어
일찍 문을 닫는 가게도 보입니다. 손님의 발걸음을 ㉡잡는
④ 모아라 ⑤ 싫어도
다채로운 전들이 하나㉢같이 맛있어 보입니다. 손님이 없을
‘모아라’는 ‘모으- + -아라 → 모아라’와 같이 ‘ㅡ’가 탈락된 것으로, 이러한 음운 변
까 봐 염려했던 상인들의 얼굴에도 웃음이 가득합니다. 전 동의 결과가 표기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① 문법[문쀧]: 된소리되기, ② 맏형[마
통 시장에서는 주변 ㉣실내 체육관과 연계하여 각종 체험 틛]: 거센소리되기, ③ 되어[되어 / 되여]: 반모음 첨가, ⑤ 싫어도[시러도]: ‘ㅎ’ 탈락

행사를 진행 중입니다. 가족과 함께 전통 시장을 방문하여


㉤단란한 시간을 보내면 어떨까요?

① ㉠: [국빱], 된소리되기
② ㉡: [잠는], 비음화
③ ㉢: [가치], 구개음화 고난도
④ ㉣: [실래], 유음화
⑤ ㉤: [달난], 비음화 <보기>를 바탕으로 음운 현상에 대해 나눈 대화 중,
‘단란’은 유음화 현상이 나타나는 단어로, 받침 ‘ㄴ’이 뒤에 오는 유음 ‘ㄹ’의 영향을
받아 ‘ㄹ’로 바뀌어 [달란]으로 발음된다.
적절한 것은?
보기
자음이나 모음이 어떤 환경에서 없어지는 탈락 현상에는
다음 중, 음운 현상과 예시가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자음군 단순화, ‘ㅎ’ 탈락, ‘ㄹ’ 탈락, 모음 탈락 등이 있다.
것은?
① 영식: ‘흙[흘]’, ‘값이[가비]’와 같이 음절 끝의 두 자
① 비음화: 백마강, 줄넘기, 권리
음 중 하나가 탈락하고 하나만 소리 나는 현상을 자
② 유음화: 대관령, 불놀이, 산림
음군 단순화라고 해.
③ 구개음화: 맏이, 곧이, 쇠붙이
② 석우: ‘ㅎ’ 탈락은 용언의 어간 끝소리인 ‘ㅎ’이 ‘ㄱ, ㄷ,
④ 된소리되기: 막국수, 몹시, 넙죽
ㅂ, ㅈ’으로 시작하는 자음을 만나 탈락하는 현상이야.
⑤ 음절의 끝소리 규칙: 낱, 낫, 낮, 낯
‘줄넘기[줄럼끼]’는 유음화와 된소리되기, ‘권리[궐리]’는 유음화 현상이 나타나는 ③ 수현: ‘ㅎ’ 탈락의 예로는 ‘좋고[조∶코]’, ‘놓다[노타]’,
단어이다. ‘쌓지[싸치]’ 등이 있어.
④ 태훈: ‘열-+-니 → 여니’처럼 용언의 어간 끝소리
다음 중, 자음군 단순화가 나타나는 단어로 보기 어려 인 ‘ㄹ’이 몇몇 어미와 결합할 때 탈락하기도 해.
운 것은? ⑤ 상현: ‘아프다’, ‘아파서’, ‘아팠다’는 용언의 어간 끝
① 없다 ② 났다 ③ 읽다 소리인 ‘ㅡ’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
④ 핥다 ⑤ 앉다 한 거야.
‘났다’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따라 [낟따]로 발음된다. 나머지는 자음군 단순화에 ‘열- + -니 → 여니’는 용언의 어간 끝소리인 ‘ㄹ’이 몇몇 어미와 결합하면서 탈락하
따라 ① [업∶따], ③ [익따], ④ [할따], ⑤ [안따]로 발음된다. 는 현상인 ‘ㄹ’ 탈락의 예로 적절하다.
28 I . 음운
정답과 해설 p.07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모음 탈락이 일어나지 않은 반모음을 첨가하여 발음한 단어 중, 표준 발음에 해


것은? 당하는 것은?
① 옆집은 빨래를 매일 너네! ① 그는 잠이 깨어[깨여] 눈을 떴다.
② 약이 써서 삼킬 수가 없었다. ② 아주 솔직히 그냥 네가 참 좋아[조∶와].
③ 1반부터 순서대로 버스에 타라. ③ 아이가 방 안에서 엉금엉금 기어[기여] 다닌다.
④ 나는 어제 꿈도 꾸지 않고 푹 잤다. ④ 목이 부어[부워] 밥을 목구멍으로 넘기지 못한다.
⑤ 이 횡단보도를 건너서 곧바로 가면 그 학교가 나온다. ⑤ 광주에[광주예] 사시는 할머니께서 우리 집에 오셨다.
‘너네’는 ‘널다’의 ‘널-’과 감탄형 종결 어미 ‘-네’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ㄹ’이 탈락하 어간의 모음 ‘ㅣ(ㅚ, ㅟ)’ 뒤에 오는 단모음에 반모음 ‘ㅣ̆[j]’가 덧붙는 경우는 반모음
여 ‘너네’가 된 것이다(‘ㄹ’ 탈락). 나머지는 모음 탈락이 일어난 단어들이다. 을 첨가하여 발음하는 것을 표준 발음으로 허용하지만, 이외의 경우에는 대개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③의 ‘기어’는 [기어]와 [기여] 모두 표준 발음으
로 인정되나, 나머지는 반모음을 첨가하여 발음한 경우는 표준 발음이 아니다. ①은
[깨어], ②는 [조∶아], ④는 [부어], ⑤는 [광주에]가 표준 발음이다.
음운의 첨가와 축약 현상이 일어나는 단어로 묶이지
않은 것은?
<보기>의 음운 현상과 그 예가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첨가 축약
것은?
① 급행열차 깨끗하다 보기

② 한일 못하다 ㉠ 교체 ㉡ 탈락 ㉢ 첨가 ㉣ 축약

③ 식용유 잡히다
① ㉠: 앉히다 ② ㉠: 달나라
④ 가랑잎 꽂히다
③ ㉡: 고파서 ④ ㉢: 피어
⑤ 월요일 밭이랑 ⑤ ㉣: 착하다
‘월요일’은 [워료일]로 발음되므로, 음운 변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밭이랑’은 [받니
① ‘앉히다[안치다]’는 ‘앉-’의 받침 중 ‘ㅈ’이 ‘-히-’의 ‘ㅎ’을 만나 ‘ㅊ’으로 발음되는
거센소리되기, 즉 축약 현상이 나타난다. ② 달나라[달라라](유음화, 교체), ③ 고
랑](음절의 끝소리 규칙, ‘ㄴ’ 첨가) → [반니랑](비음화)과 같이 교체 현상과 첨가 현
프- + -아서 → 고파서(‘ㅡ’ 탈락), ④ 피어[피어 / 피여] → 반모음 ‘ㅣ̆[j]’가 첨가된
상이 나타난다. [ㅕ]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반모음 첨가), ⑤ 착하다[차카다](거센소리되기, 축약)

다음 중, 음운의 변동 과정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ㄴ’ 첨가: 신-+여성 → 신여성[신녀성] 고난도

② ‘ㄹ’ 탈락: 둥글-+-ㄴ → 둥근[둥근]


<보기>의 단어들에서 나타나는 음운 변동 과정 중,
③ ‘ㅓ’ 탈락: 가-+-았-+-다 → 갔다[갇따]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④ ‘ㅎ’ 탈락: 쌓-+-이-+-다 → 쌓이다[싸이다]
보기
⑤ 거센소리되기: 업-+-히-+-다 → 업히다[어피다]
ⓐ 굳히다 ⓑ 앞날 ⓒ 잃는다
‘가- + -았- + -다 → 갔다[갇따]’는 두 모음이 이어질 때 모음 ‘ㅏ’가 탈락한 경우
이다.
ⓓ 옆집 ⓔ 젖는다

① ⓐ: 굳히다 → [구티다](거센소리되기) → [구치다]


예사소리 ‘ㄷ’이 ‘ㅎ’과 만나 거센소리 ‘ㅌ’으로 축약되고, ‘ㅌ’이 다시 모
<보기>에 나타나는 음운의 변동이 아닌 것은? (정답 2개) (구개음화) 음 ‘ㅣ’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를 만나 구개음 ‘ㅊ’으로 발음됨
보기
② ⓑ: 앞날 → [압날](비음화) → [암날](유음화)
친구와 함께 솔잎을 따서 노느라 시간이 얼마나 갔는지 모
르겠다.
③ ⓒ: 잃는다 → [일는다](자음군 단순화) → [일른다]
자음군 단순화에 따라 받침 ‘ㅀ’ 중 ‘ㅎ’이 탈락하여 받침 ‘ㄹ’로 발음되고, 다
(유음화) 시 이 ‘ㄹ’과 만난 다음 음절의 초성 ‘ㄴ’이 유음 ‘ㄹ’로 발음됨

① 비음화 ② 유음화 ④ ⓓ: 옆집 → [엽집](음절의 끝소리 규칙) → [엽찝]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따라 받침 ‘ㅍ’이 ‘ㅂ’으로 바뀌고, 다시 된소
③ 구개음화 ④ ‘ㄴ’ 첨가 (된소리되기) 리되기가 일어나 [엽찝]으로 발음됨

⑤ ‘ㄹ’ 탈락 ⑥ ‘ㅎ’ 탈락 ⑤ ⓔ: 젖는다 → [쥳는다](음절의 끝소리 규칙) → [전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따라 받침 ‘ㅈ’이 ‘ㄷ’으로 발음되고, 이것이
⑦ 된소리되기 ⑧ 음절의 끝소리 규칙 는다](비음화) 다시 ‘ㄴ’과 만나면서 비음 ‘ㄴ’으로 발음됨
‘솔잎’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ㄴ’ 첨가가 적용되어 [솔닙]으로, 다시 유음화로 [솔립]으로 발음된 ‘앞날’은 음절의 받침 ‘ㅍ’이 ‘ㅂ’으로 바뀌고(음절의 끝소리 규칙), 이 ‘ㅂ’이 다시 뒤
다. ‘따서’는 ‘따- + -아서’에서 ‘ㅏ’ 탈락, ‘노느라’는 ‘놀- + -느라’에서 ‘ㄹ’ 탈락, ‘갔는지’는 [갇는 에 오는 비음 ‘ㄴ’의 영향으로 비음 ‘ㅁ’으로 바뀌어 발음된다(비음화).
지]로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적용된 뒤 비음화로 [간는지]로 발음된다. ‘모르겠다’는 [모르긦다]로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적용된 뒤 된소리되기가 되어 [모르긦따]로 발음된다.
다선지로 실력 확인하기 2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