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5. <보기>의 선생님의 말씀에 따라 발표한 내용으로 6.

다음은 학생이 (가)~(다)를 감상한 후 정리한 표이


가장 적절한 것은? 다. 밑줄 친 내용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8. 삶 속에 흐르는 한국 문학의 강-① <보기>
(가) (나) (다)
선생님 이 시가와 다음의 ‘정선 아리랑’은 모두 문자
가 없던 시대의 작품이 세대를 거치면서 입에서 입 창작 고려 말, 조
조선 중기 조선 후기
으로 전해지다가 문자가 만들어진 이후에 기록되어 시기 선 전기

오늘날까지 전해진 작품들입니다. 이러한 특징을 고 작가의 ① 고려의


[1~5] 다음 시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2. [A]~[E]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기생 알 수 없음.
려하여 두 작품의 공통점을 발표해 봅시다. 신분 신하
① [A]: 감정 이입을 통해 삶의 비애감을 드러내고 있다.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 ② 두꺼비,
② [B]: 현실 세계에 대한 미련이 담겨 있다. 중심 동짓달
멀위랑 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정선의 구명은 무릉도원이 아니냐 대(대나무) 파리,
③ [C]: 독수공방하는 고독감이 나타나 있다. 소재 기나긴 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무릉도원은 어데 가고서 산만 충충하네 백송골
④ [D]: 운명적 고난을 거부하려는 의지가 드러나 있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⑤ [E]: 술을 통해 현실의 고뇌를 해소하려 하고 있다. 두꺼비가 파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아리랑 고개고개로 나를 넘겨 주게 화자는 역경
리를 물고 있
[A]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속에서도 신 ③ 화자는 임
시적 다가 백송골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명사십리가 아니라면은 해당화가 왜 피며 념을 굽히지 을 그리워하
상황 을 보고 놀라
모춘 삼월이 아니라면은 두견새는 왜 우나 않겠다는 의 고 있음.
도망치다가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지를 드러냄.
넘어짐.
[B]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아리랑 고개고개로 나를 넘겨 주게
3. ㉠의 의미를 파악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⑤ (가), (나)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① 과거의 삶을 반성하는 공간 와 같이 3장
① 민중들의 삶의 애환을 담고 있습니다. ④ 3장 6구 45자 내외의
② 삶의 의미를 깨닫게 하는 공간 형식상 의 형식을 취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② 당대의 민중이 만들고 부른 노래입니다. 형식을 취하며, 각 장은 3
③ 미래의 삶을 대비하고 준비하는 공간 특징 하고 있지만
[C]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 엇디 호리라. ③ 각 연이 유기적인 구성을 띠고 있습니다. 음보를 유지함.
④ 삶의 목표와 방향을 제시해 주는 공간 중장이 길어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④ 현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⑤ 일상적인 삶의 터전과 구별되는 이상적 공간 짐.
⑤ 각 연에 반복되는 후렴구가 운율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D]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4. 다음 중 자연에 대한 태도가 이 시가의 화자와 가장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래 살어리랏다. 7. (가)의 ㉠과 ㉡의 함축적 의미로 적절한 것은?
유사한 것은?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래 살어리랏다. ① 청산(靑山)도 절로절로 녹수(綠水)도 절로절로 ㉠ ㉡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산(山) 절로 물 절로 산수(山水) 간(間)에 나도 절로
① 외압으로 인한 변화 대상 본래의 성질
그중에 절로 자란 몸이 늙기도 절로절로.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② 화자의 내면적 갈등 화자의 갈등 표출
– 송시열
사미 대예 올아셔 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② 강산(江山) 죠흔 경(景)을 힘센 이 닷톨 양이면, ③ 시련으로 인한 고통 자발적인 변절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힘과  분(分)으로 어이여 엇들쏜이. 변하지 않는 본질적
[6~10] 다음 시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④ 일시적인 현상
진실(眞實)로 금(禁) 리 업쓸씌 나도 두고 논이노라. 속성
가다니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 김천택
(가) 눈 마 ㉠휘여진 를 뉘라셔 굽다턴고 자연 현상으로 인한 인위적 조작으로 인한
[E] 조롱곳 누로기 와 잡와니 내 엇디 리잇고. ③ 철령(鐵嶺) 높은 봉(峰)을 쉬어 넘는 저 구름아, ⑤
㉡구블 절(節)이면 눈 속의 프를소냐 결과 결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고신원루(孤臣寃淚)를 비 삼아 띄어다가
아마도 세한 고절(歲寒孤節)은 너인가 노라
임 계신 구중심처(九重深處)에 뿌려 본들 어떠리
1. 이 시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이항복
(나) ⓐ동지(冬至)ㅅ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① 특정 어구를 반복하며 화자의 바람을 강조한다. ④ 두류산(頭流山) 양단수(兩端水) 녜 듯고 이제 보니,
내어
② 삶의 비애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구가 드러난다. 도화(桃花)  근 물에 산영(山影)조차 겨셰라.
ⓒ춘풍(春風) 니불 아레 ⓓ서리서리 너헛다가
③ 후렴구를 통해 흥을 돋우며 음악성을 살리고 있다. 아야, 무릉(武陵)이 어듸오 나 옌가 노라. 8. (나)의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조식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④ 조선 시대에 문자로 기록되면서 4음보로 변형되었다. ① ⓐ: 임이 없는 추운 겨울의 길고 깊은 밤을 의미한다.
⑤ 5연과 6연의 순서를 바꾸면 시상 전개가 더 자연스 ⑤ 십 년(十年)을 경영(經營)여 초려삼간(草廬三間) ② ⓑ: 추상적 시간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지여 내니 (다) 두터비 파리를 물고 두험 우희 치다라 안자
러워진다. ③ ⓒ: 베어 낸 시간을 넣어 두는 대상이다.
나  간   간에 청풍(淸風)  간 맛져 두고 것넌산 바라보니 백송골(白松骨)이 떠 잇거늘 가슴이
④ ⓓ: 의태적 표현을 통해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살리
강산(江山)은 들일 듸 업스니 둘러 두고 보리라 금즉하여 풀덕 뛰여 내닷다가 두험 아래 쟛바지거고
고 있다.
- 송순 모쳐라 날낸 낼싀만졍 에헐질 번 하괘라
⑤ ⓔ: 사랑하는 임이 오셨던 과거의 밤을 의미한다.

[1/7] [2/7]
9. <보기>를 참고하여 (다)를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 고 기개가 당당하니 족히 너를 부릴 만한 사람이다. “ⓐ전날 내가 너에게 무엇이라 일렀더냐? 계월이를 14. ‘보국’이 ㉠과 같이 반응한 이유를 서술하시오.
지 않은 것은? 그러나 예로써 너를 섬기고 있으니 어찌 마음 씀을 괄시하다가 이런 일을 당했으니 어찌 계월이가 그르 <조건>
<보기> 그르다고 하겠느냐? 영춘은 네 첩이다. 자기가 거만 다고 하겠느냐? 나랏일이 더할 수 없이 중요하니 어 • ‘보국’이 지닌 가치관을 제시할 것.
조선 후기에는 백성들에 대한 지배 계층의 횡포와 하다가 죽임을 당했으니 누구를 한하겠느냐? 또한 찌할 수 없구나.”
부정부패가 심하였다. 백성들 위에 군림하던 관리들은 계월이 잘못해 궁노(宮奴)나 궁비(宮婢)를 죽인다 해 이렇게 말하고 어서 가기를 재촉했다. 보국이 할 수
자신보다 신분이 높은 자 앞에서는 비굴해지는 위선적 도 누가 계월을 그르다고 책망할 수 있겠느냐? 너는 없이 갑옷과 투구를 갖추고 진중(陳中)에 나아가 원수
인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다)에는 이러한 조선 후 조금도 염려하지 말고 마음을 변치 마라. 만일 계월 앞에 엎드리니 원수가 분부했다. 15. ⓐ에서 ‘보국’이 처한 상황과 어울리는 한자 성어
기의 시대상이 반영되어 있다. 이 영춘을 죽였다 하고 계월을 꺼린다면 부부 사이 “만일 명령을 거역하는 자가 있다면 군법으로 시행 로 알맞은 것은?
의 의리도 변할 것이다. 또한 계월은 천자께서 중매 할 것이다.” ① 고진감래(苦盡甘來) ② 사면초가(四面楚歌)
① ‘두터비’는 백성을 수탈하는 중간 관리를 상징한다. 하신 여자라 계월을 싫어한다면 네게 해로움이 있을 보국이 겁을 내어 중군장 처소로 돌아와 명령이 내 ③ 아전인수(我田引水) ④ 자승자박(自繩自縛)
② ‘두험’은 지배 계층이 부정으로 축재한 재물을 의미 것이니 부디 조심하라.” 려지기를 기다렸다. ⑤ 타산지석(他山之石)
한다.
③ ‘백송골’은 비굴하고 위선적인 관리의 모습을 보여 (나) 천자께서 보시고 크게 놀라 조정의 관리들과 의논 11. (가)~(다)의 서술상 특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준다. 하니 우승상 정영태가 아뢰었다. 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건이 진행되고 있다.
④ ‘파리’를 통해 관리들의 횡포에 시달리는 백성들의 “이 도적은 좌승상 평국을 보내야 막을 수 있을 것 ② 현재형 어미를 사용하여 현장감을 부여하고 있다. [16~2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모습을 표현하였다. 이오니 급히 평국을 부르소서.” ③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인 시선으로 서술하고 있다.
⑤ ‘모쳐라 날낸 낼싀만졍 에헐질 번 하괘라’를 통해 천자께서 들으시고 오래 있다가 말씀하셨다. ④ 신분 차이로 인한 인물 간의 갈등이 제시되고 있다. (가)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허세를 부리는 당대 지배 계층을 풍자하였다. “평국이 전날에는 세상에 나왔으므로 불렀지만 지금 ⑤ 서술자가 인물의 성격을 직접적으로 진술하고 있다. 멀위랑 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은 규중에 있는 여자니 차마 어찌 불러서 전장에 보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내겠는가?”
이에 신하들이 아뢰었다.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10. <보기>의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다)의 특징을 “평국이 지금 규중에 있으나 이름이 조야에 있고 또 12. (가)~(다)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서술하시오. 한 작록을 거두지 않았사오니 어찌 규중에 있다 하 ① 오와 초 두 나라의 반란으로 인해 나라가 위기에 빠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보기> 여 꺼리겠나이까?” 져 있다.


10구체 향가는 시상 전개에 따라 세 부분으로 구분 천자께서 마지못하여 급히 평국을 부르셨다. ② 신하들은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며 ‘평국’을 전장에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된다. 제1장(1~4구)에서 시상을 일으키고, 제2장(5~8 불러들일 것을 주장하고 있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구)에서 이를 이어받아 시상을 전개한 후, 제3장(9~10 (다) “경이 규중에 처한 후로 오랫동안 보지 못해 밤낮 ③ ‘평국’은 나라를 위기에서 구하고, ‘천자’의 은혜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구)에서 시상을 마무리하는 3단 구성을 취한다. 제3장 으로 사모하더니 이제 경을 보니 기쁨이 한량없도다. 갚기 위해 출병할 것을 결심하고 있다.
낙구(落句)의 첫머리에는 감탄사가 붙는 것이 특징이 그런데 짐이 덕이 없어 지금 오와 초 두 나라가 반란을 ④ ‘여공’은 ‘계월’의 뛰어난 능력을 인정하며, 사적인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다. 이러한 10구체 향가의 형식적 특징은 이후 시가의 일으켜 호주의 북쪽 땅을 쳐 항복을 받고, 남관을 헤쳐 관계보다는 공적인 일을 더 중요시하고 있다.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 엇디 호리라.

형식에 영향을 끼쳤다. 황성을 범하고자 한다고 하는도다. 그러니 경은 스스로 ⑤ ‘천자’는 ‘평국’이 여자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이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마땅히 일을 잘 처리하여 사직을 보호하도록 하라.” 에 개의치 않고 ‘평국’을 불러들이려 하고 있다.


<조건> 이렇게 말씀하시니 평국이 엎드려 아뢰었다.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 (다)에서 10구체 향가의 형식적 전통을 계승한 특징 “신첩이 외람되게 폐하를 속이고 공후의 작록을 받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을 두 가지 쓸 것. 아 영화로이 지낸 것도 황공했사온데 폐하께서는 죄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를 용서해 주시고 신첩을 매우 사랑하셨사옵니다. 신 13. (가)~(다)를 당대의 시대상과 관련지어 감상한 내
첩이 비록 어리석으나 힘을 다해 성은을 만분의 일 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래 살어리랏다.

이나 갚으려 하오니 폐하께서는 근심하지 마옵소서.” ① ‘계월’의 영웅적인 활약상은 당대 여성들에게 대리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래 살어리랏다.

천자께서 이에 크게 기뻐하시고 즉시 수많은 군사와 만족의 기회를 제공했겠군.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말을 징발해 주셨다. 그리고 벼슬을 높여 평국을 대원 ② 처첩 문제로 갈등하는 ‘보국’과 ‘계월’의 모습에서
[11~1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수로 삼으시니 원수가 사은숙배하고 위의를 갖추어 친 유교적 이념이 점차 약화되어 가는 사회적 분위기를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히 붓을 잡아 보국에게 전령(傳令)을 내렸다. 읽을 수 있군. 사미 대예 올아셔 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가) 이때 보국은 계월이 영춘을 죽였다는 말을 듣고 ③ 국난을 해결하기 위해 벼슬을 주며 ‘계월’을 부르는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분함을 이기지 못해 부모에게 아뢰었다. 적병의 형세가 급하니 중군장은 급히 대령하여 군령 모습에는 당대 여성들의 사회적 자아실현의 욕구가
“계월이 전날은 대원수 되어 소자를 중군장으로 부 을 어기지 마라. 반영되었겠군. 가다니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렸으니 군대에 있을 때에는 소자가 계월을 업신여기 ④ 남존여비가 팽배했던 사회적 분위기에 대한 반발로 조롱곳 누로기 와 잡와니 내 엇디 리잇고.
지 못했사옵니다. 하지만 지금은 계월이 소자의 아내 ㉠보국이 전령을 보고 분함을 이기지 못해 부모에게 인해 ‘계월’과 같은 여성 영웅을 주인공으로 삼은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오니 어찌 소자의 사랑하는 영춘을 죽여 제 마음 말했다. 작품이 탄생한 것이겠군.
을 편안하지 않게 할 수가 있단 말이옵니까?” “계월이 또 소자를 중군장으로 부리려 하오니 이런 ⑤ ‘계월’이 남편인 ‘보국’보다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나) 눈 마 휘여진 ㉡를 뉘라셔 굽다턴고
여공이 이 말을 듣고 만류했다. 일이 어디에 있사옵니까?” 모습을 통해 당대의 가부장적 사회 속에 살고 있는 구블 절(節)이면 눈 속의 프를소냐
“계월이 비록 네 아내는 되었으나 벼슬을 놓지 않았 여공이 말했다. 여성들은 통쾌함을 느꼈겠군. 아마도 세한 고절(歲寒孤節)은 너인가 노라

[3/7] [4/7]
(다) 보국이 운경의 머리를 베어 들고 본진으로 돌아가 18. <보기>를 참고할 때, (가)의 화자의 신분을 3음절로 6. (가)와 (나)는 평시조로, 평시조는 3장 6구 45자 내
려는 즈음에, 적장 구덕지가 대로해 긴 칼을 높이 들고 쓰시오. 외의 형식을 취하며 4음보의 율격을 지니는 형식적 특
말을 몰아 크게 고함을 치고 달려들었다. 난데없는 적 <보기> 8. 삶 속에 흐르는 한국 문학의 강 징을 지니고 있다.
병이 또 사방에서 달려드니 보국이 겁이 나고 두려워 3연에서 ‘가던 새’는 ‘갈던 밭’으로, ‘잉 무든 장글란’
피하려고 했으나 순식간에 적들이 함성을 지르고 보국 을 ‘이끼 묻은 쟁기일랑’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7. ‘’가 시련을 상징하는 ‘눈’으로 인해 ‘휘어진’ 것은
을 천여 겹으로 에워쌌다. 형세가 위급하므로 보국이 대단원 모의고사 ① 외부 세력에게 시련을 겪는 고통을 의미하며, ‘굽을’은
하늘을 우러러 탄식했다. ‘’의 곧은 성질, 즉 절개를 버리는 변절을 의미한다.
1. ④ 2. ④ 3. ⑤ 4. ④ 5. ⑤ 6. ④ 7. ③
이때 원수가 장대에서 북을 치다가 보국의 위급함을
8. ⑤ 9. ③ 10. ‘초장 - 중장 - 종장’의 3단 구성
보고 급히 말을 몰아 긴 칼을 높이 들고 좌충우돌해 적 8. ⓔ는 사랑하는 임이 오신 날, 즉 임과 함께할 수 있
으로 이루어졌으며, (낙구의 감탄사와 같이) 종장의
진을 헤치고 구덕지의 머리를 베어 들고 보국을 구했 는 미래의 시간을 의미한다.
첫 음보가 시상을 집약하거나 전환하여 서정적인 완
다. 몸을 날려 적진에서 충돌하니 동에 번쩍 서쪽의 장
결성을 갖추게 하는 기능을 한다. 11. ① 12. ⑤
수를 베고, 남으로 가는 듯하다가 북쪽의 장수를 베었 19. (다)의 ‘원수(계월)’가 <보기>의 ‘사 씨’와 대화를 9. (다)에서는 ‘두터비’가 ‘파리’를 물고 있다가 ‘백송
13. ② 14. ‘보국’은 가부장적 가치관을 지니고 있
다. 이처럼 좌충우돌하여 적장 오십여 명과 군사 천여 나눈다고 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골’을 보고 놀라 도망치다가 넘어지는 모습이 나타난
는 인물이기에 자신이 아내(여자)의 부하가 되자 화
명을 한칼로 소멸하고 본진으로 돌아왔다. <보기> 다. <보기>를 통해 (다)가 조선 후기의 사회상을 반영
가 난 것이다. 15. ④ 16. ④ 17. ⑤ 18. 유랑민
보국이 원수 보기를 부끄러워하니 원수가 보국을 꾸 사 씨 고어(古語)에 이르기를 ‘부부의 도는 오륜(五倫) 하고 있다고 보았을 때, ‘파리’는 힘없는 백성을, ‘두터
19. ⑤ 20. ⑤
짖어 말했다. 을 고루 겸한다.’라고 하였습니다. 아비에게는 간 비’는 ‘파리’를 수탈하는 중간 관리를, ‘백송골’은 중앙
“저러고서도 평소에 남자라고 칭하리오? 나를 업신 언하는 아들이 있고, 임금에게는 간쟁하는 신하가 관리 또는 외세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힘없는 백성
여기더니 이제도 그렇게 할까?” 1. 이 시가는 고려 가요로, 입에서 입으로 전승되다가 들 위에 군림하다가 자기보다 강한 존재 앞에서는 꼼짝
있습니다. 형제는 서로 정도(正道)로 권면하고, 붕
이렇게 말하며 보국을 무수히 조롱했다. 조선 시대에 문자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이때 4음보로 도 못하는 비굴성을 보이는 것은 ‘두터비’이므로, ‘백송
우는 서로 선행을 권유합니다. 부부의 경우라 하
변형된 것은 아니며, 3·3·2조의 3음보 율격을 지니고 골’이 비굴하고 위선적인 관리의 모습을 보여 준다는
여 어찌 유독 그렇지 않겠습니까? 하지만 자고로
있다.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16. (가)~(다)를 주체적으로 평가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장부가 부인의 말을 들으면 이익은 적고 폐해가
않은 것은? 많았습니다. 암탉이 새벽에 울고 철부(哲婦)가 나
2. [D]에서 ‘돌’은 피할 수 없는 인간의 운명을 의미하 10. 10구체 향가는 보통 ‘4구 - 4구 - 2구’의 3단 구
① (가): 화자를 좌절한 지식인으로 본다면, 이 노래는 라를 기울게 하는 것은 경계하지 않을 수 없을 것
며, 이를 맞고 운다는 것은 운명에 대한 체념으로 해석 성을 취하고, 마지막 2구인 낙구의 첫머리에 감탄사가
지식인의 염세적 노래로 볼 수 있군. 입니다.
할 수 있다. 즉 [D]에서는 운명적 고난을 거부하려는 나오며 시상이 마무리된다. 이러한 10구체 향가의 3단
② (가): 화자가 청산에 살고 있지 않다고 본다면, ‘살
의지가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운명에 대한 체념이 드러 구성은 시조의 ‘초장 - 중장 - 종장’으로 이어지는 구
어리리랏다’는 청산에 대한 소망과 동경을 나타낸 ① 사 씨: 여자의 도리는 남편을 잘 섬기는 일입니다.
난다. 성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향가의 낙구 첫머리
것으로 볼 수 있군. ② 계월: 무슨 말씀이신가요? 남자보다 능력이 출중한
여자도 많습니다. 에 나타나는 감탄사는 시상을 집약하거나 전환하여 서
③ (나): 작가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사대부이므로 이
3. 힘들고 고단한 현실 속에서 살고 있는 화자는 삶의 정적인 완결성을 갖추게 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는 시
노래는 옛 왕조에 대한 지조와 충절을 드러낸 작품 ③ 사 씨: 옛말에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고 했습니다.
고뇌와 비애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상적인 공간으로 설 조의 종장 첫 음보의 기능과 유사하다.
이라고 할 수 있군. ④ 계월: 여자들도 남자 못지않게 사회적으로 큰일을
정한 ‘청산’과 ‘바다’에서 살고 싶다고 노래하고 있다.
④ (다): 여성 영웅의 뛰어난 활약상에 초점을 맞춘 것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은 현실의 갈등과 고뇌에서 벗어날 수 있는 11. (가)~(다)에서는 ‘영춘’의 죽음으로 인한 ‘계월’과
으로 보아 당대 여성들의 활발한 사회 활동이 반영 ⑤ 사 씨: 자고로 여자는 자신을 낮추고, 남편의 허물
이상향이라는 점에서 일상적인 삶의 터전과 구별되는 ‘보국’의 갈등, 오·초의 반란과 그로 인해 출병하게 되
된 것으로 볼 수 있군. 과 잘못까지 따라야 합니다.
이상적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는 ‘계월’이 모습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제시되고 있다.
⑤ (다): 남성보다 뛰어난 여성을 내세우고 있는 것으로
보아 가부장적 질서를 비판하고 있다고 할 수 있군.
4. 이 시가에서 화자는 ‘쳥산’, ‘바’이라는 ‘자연’을 12. ‘천자’는 ‘평국’이 규중에 있는 여자라는 이유로 전
이상향으로 여기고 있다. ④에서도 ‘두류산’으로 나타나 장에 불러들이는 것을 망설였으나, 신하들의 설득으로
는 자연을 ‘무릉’이라는 이상향에 빗댄 것을 통해 화자 ‘평국’을 불러들이기로 하였다.
20. <보기>는 (다)를 읽은 학생의 반응이다. 빈칸에 들
가 ‘자연’을 이상향으로 여기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어갈 말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13. ‘계월’이 ‘보국’의 첩인 ‘영춘’을 죽인 일로 ‘계월’
5. 선생님은 두 작품의 전승 과정을 고려하여 공통점을 과 ‘보국’은 서로 갈등하게 되는데, 이러한 갈등의 기저
17. (가)의 ㉠과 (나)의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 나는 ‘계월’이 여성의 권리 신장에 기여하는 인물이
발표하라고 하였으므로, 두 작품이 구비 전승되었다는 에는 ‘보국’의 가부장적 가치관이 깔려 있다. 이러한 점
한 것은? 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계월’은
점에 주목하여 형식적 특성을 파악해야 한다. 두 작품 을 고려할 때 유교적 가치관이 점차 약화되어 간다는
① ㉠은 직유법이, ㉡은 의인법이 사용되었다. 때문이다.
모두 각 연의 구성이 사설 2행과 후렴구로 이루어진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② ㉠은 공간의 변화를, ㉡은 시간의 흐름을 나타낸다.
동일한 구조로 반복되며, 각 연이 독립성을 지니고 있
③ ㉠은 회상의 계기로, ㉡은 그리움의 매개체로 활용 ① 여자임을 철저하게 인식하지 못했기
다. 이러한 형식적 특성은 작품의 전승 과정에서 동일 14. ‘보국’은 아내가 남편에게 순종해야 한다는 가부장
되었다. ② 남자가 되지 못한 것에 깊이 실망했기
한 구조가 반복되기 때문에 민중들이 쉽게 따라 부를 적 가치관을 지닌 인물이다. 따라서 자신이 아내인 ‘계
④ ㉠은 속세에 대한 거부의 감정을, ㉡은 속세에 대한 ③ 여자임을 거부하고 남자의 세계로 가려고 했기
수 있게 하였고, 노래의 일부를 생략하거나 순서를 바 월’의 부하가 되자 분노한 것이다.
미련의 감정을 담고 있다. ④ 여성으로서 자기 정체성을 뚜렷하게 보여 주지 못했기
꾸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아 누구나 창작할 수 있게 하
⑤ ㉠은 화자의 감정이 이입된 대상이지만, ㉡은 화자 ⑤ 조력자의 도움을 받아야만 자신의 능력을 펼칠 수
였다. 15. ‘보국’은 ‘계월’이 자신을 부하로 두려는 것에 분노
가 자신과 동일시하는 대상이다. 있었기

[5/7] [6/7]
하고, 이에 ‘여공’은 ‘보국’이 평소 계월을 괄시하였기
때문에 이런 일이 발생했다고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는 ‘자기가 한 말과 행동에 자기 자신이 옭혀 곤
란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인 ‘자승자박(自繩
自縛)’이 어울린다.

16. (다)가 여성 영웅의 뛰어난 활약상에 초점을 맞춘


것은 맞지만, 이는 당대 여성들의 활발한 사회 활동이
반영된 것이 아니라 당대 여성들의 의식이 성장했음이
반영된 것이다. 작품이 창작된 조선 후기에는 여전히
남존여비(男尊女卑)와 같은 당대 유교적 이념이 주류를
이루어 여성의 사회 활동에는 제약이 있었다.

17. (가)의 ‘새’는 감정 이입의 대상이자 화자의 분신으


로, 화자는 ‘새’에게 동병상련의 감정을 느끼고 있다.
(나)의 ‘’는 지조와 절개의 상징으로, 화자는 ‘’를
자신과 동일시하며 지조와 절개를 지킬 것을 다짐하고
있다.

18. <보기>에서 ‘가는 새’를 ‘갈던 밭’으로, ‘잉 무던


장글란’을 ‘이끼 묻은 쟁기일랑’으로 해석하고 있으므로
화자는 농사를 짓는 사람, 즉 농민으로 볼 수 있다. 그
런데 화자는 이끼 묻은 쟁기를 가지고 믈 아래 갈던 밭
을 보고만 있다. 이것을 통해 화자가 현재 농사를 짓지
못하는 상황임을 알 수 있으며, 화자의 신분은 농토를
잃은 ‘유랑민’이라고 할 수 있다.

19. ‘사씨’는 여성을 남성에 비해 수동적인 존재로 인


식하고 있으며 여성의 사회 활동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
다. 그러나 ‘사씨’는 부부 간에도 오륜에 해당하는 도리
가 적용된다고 하였으므로, 남편의 허물과 잘못까지 따
라야 한다는 것은 ‘사씨’의 생각으로 적절하지 않다.

20. 「홍계월전」에서 ‘계월’은 자신이 남자가 되지 못


한 것에 깊은 실망을 하고 남자를 이기려고 한다. 그리
고 여자를 거부하고 세상을 지배하는 남자를 향해 가려
한다. 이러한 면에서 ‘계월’은 여자로서의 자기 정체성
을 뚜렷이 지닌 인물은 아니라는 한계를 보여 준다. 그
러나 (다)에서 ‘계월’은 자신의 능력으로 ‘보국’을 구하
는 등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으므로, 조력자의 도움을
받아야만 자신의 능력을 펼칠 수 있다는 설명은 적절하
지 않다.

[7/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