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3

한국어 단어

구조에 따른 분
류 : 파생어와 합성어
단어
단 어 는 Bloomfield(1933) 에 따 라 ‘ 최 소 자 립
형식’으로 정의하는 것이 보통이다 .
(1) 그 나무 아직 안 심었다 .
그 / 나무 / 아직 / 안 / 심었다 (5 단어 )

에를 들어 문장 (1) 에서 ‘형태론적으로 다른
요소의 도움이 없이’문장에서 홀로 쓰일 수 있는
‘그 , 나무 , 아직 , 안 , 심었다’가 바로
단어이다 . ‘ 심었다’는 다시 ‘심 , 었 , 다’로
분석할 수 있지만 이렇게 되면 모두
형태론적으로 홀로 쓰일 수 없는 형식이 되므로
‘심었다’전체가 한 단어가 된다 .
단어의 형성
형태소는 의미를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입니다 .
예 : 사랑 ( 하나의 형태소 )
첫사랑 (2 개의 형태소 : 첫 , 사랑 )
형태소의 분류 :
- 실질 형태소 : 구체적인 대상이나 동작 , 상태를 표시하는
형태소
- 형식 형태소 : 실질 형태소에 붙어 주로 말과 말 사이의
관계를 표시하는 형태소 . 조사 , 어미 따위가 있다 .
예 : 민호가 빵을 먹는다 .
실질 형태소 : 민호 , 빵 , 먹
형식 형태소 : 가 , 을 , 는 , 다
단어의 형성
1) 단일어 :
- 하나의 실질형태소 ( 어근 ) 로 이루어진 말
- 하나의 형태소로 되므로 더 이상 분석하면 의미 없는 요소가
된다 .
2) 복합어 :
- 둘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말
- 파생법과 합성법에 의한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진다 .
단어의 형성
구분 개념
단일어 하나의 어근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복합어 두 개 이상의 합성 둘 이상의
어근이 어 어근이
결합되거나 결합하여
어근에 접사가 하나의
붙어 이루어진 단어가 된 말
단어
파생 어근에
어 접사가 붙은

단어의 형성
단어

단일어 복합어

어근 1 개 : 배 , 과
일, 밤
합성어 파생어
어근 +
어근 + 어근 : 접사
배나무 , 집안
접두 파생어 접미 파생어

강추위 , 장난꾸러기
풋과일
파생법에 의한 단어형성
- 파생어는 실질형태소에 접사 가 결합하여 구성된 단어이다 .
- 한국어의 접사는 접두사와 접미사 로 구별된다 .

접두사 및 접미사
- 접미사와 접두사의 일반화는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내는
가장 일반적인 형성 방식이다 .
* 접두사의 특징 : 접두사는 뒤에 오는 어근의 의미를 제한할
뿐이고 품사를 바꾸는 일이 없다 .
예 : 첫사랑 ...
* 접미사의 특징 : 접두사와 달리 어근의 뜻만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품사 자체를 바꾸기도 한다 .
예 : 쓰기 , 지우개 ...
접두사의 갈래
접두사의 뜻 낱말
몰래 엿듣다
위로 향하게 치솟다
그 해에 난 햇과일
마구 , 함부로 , 몹시 짓밟다 , 짓이기다
이유 없는 , 보람 없는 헛고생
말리거나 익히거나 가공하지 날고기
않은

야생 상태의 개살구
다른 것이 없는 맨손 , 맨주먹
서툰 선무당
접두사의 뜻 낱말

잘못 빗나가다

한 겹으로 된 홑이불

심하게 드높다

진짜 , 품질이 우수한 참사랑 , 참기름

한창인 , 정확한 , 큰 한여름 , 한가운데

매우 짙고 선명하게 새파랗다

덜 익은 , 미숙한 풋과일 , 풋사랑

껍질을 제거한 알밤 , 알마늘

처음 첫사랑
접두사에 의한 단어의 파생
접두사에 의한 단어의 파생 방식

파생명사
1) 접두사 + 체언 = : 첫사랑 , 갓스물 , 개살구 ...

파생동사
2) 접두사 + 동사 = : 깔보다 , 빗듣다 , 짓씹다 ...

파생 형용사
3) 접두사 + 형용사 = : 새빨갛다 , 시퍼렇다…

파생 부사
4) 접두사 + 부사 = : 맨 먼저 , 외따로
접미사에 의한 단어 형성
1. 접미사에 의한 명사로 파생 : 명사 파생

2. 접미사에 의한 동사로 파생 : 동사 파생

3. 접미사에 의한 형용사로 파생 : 형용사 파생

4. 접미사에 의한 부사로 파생 : 부사 파생
접미사에 의한 명사로 파생

1) 명사 + 접미사 = 명사 : 사람들 , 너희 , 도둑질 , 일꾼 ,


털보등
2) 용언의 어간에 붙어 명사로 파생 : 어간 + 접미사 = 명사
접미사 예 접미사 예
기 쓰기 , 읽기 매 열매
어지 나머지 ( 남다 ) 정 검정
이 놀이 개 날개
접미사에 의한 동사로 파생
1) 어근의 뜻만 제한
동사 + 접미사 = 동사 : 깨뜨리다 , 놓치다 , 먹이다 ....

2) 품사가 바뀜
(1) 명사 => 동사 : 일하다 , 눈물지다 ...
(2) 형용사 => 동사 : 밝히다 , 낮추다 , 넓히다 ...
(3) 부사 => 동사 : 울렁거리다 , 꿈틀거리다 ...
접미사에 의한 형용사로 파생
1) 어근의 뜻만 제한
형용사 어근 + 접미사 => 형용사 : 깊숙하다 , 높직하다 ,
달콤하다 , 높다랗다 ....
2) 품사가 바뀜
(1) 명사 + 접미사 => 형용사 : 대견스럽다 , 학생답다 ,
슬기롭다 , 기름지다
(2) 동사 어근 + 접미사 => 형용사 : 미덥다 ( 믿 + 업 + 다 ),
아깝다 ( 아끼 + 압 + 다 ), 아프다 ( 앓 + 브 + 다 ), 그립다 ( 그리
+ᄇ+다)
(3) 관형사 + 접미사 => 형용사 : 새롭다 , 새하얗다 ,
시뻘겋다
(4) 부사 + 접미사 => 형용사 : 차근하다 ( 차근 + 하다 ) ,
보드랍다 ( 보들 + 압다 )< 부드럽다
접미사에 의한 부사로 파생
1) 동사 어근 + 접미사 => 부사 :

마주 ( 맞다 + 오 -> 마조 -> 마주 ),

너무 ( 넘다 + 으 -> 너므 -> 너무 )

도로 ( 돌다 + 오 -> 도로 )

비로소 ( 비릇 + 오 -> 비로소 )...

2) 형용사 어근 + 접미사 => 부사 : 많이 , 길이 , 조용히 , 없이 ...

3) 명사 + 접미사 => 부사 : 마음껏 , 진실로 , 참으로 , 끝내 , 여름


내 ...
4) 부사 + 접미사 => 부사 : 더욱이 , 일찍이 ...
한자어인 접미사의 경우 :
- 화 化 , - 학 學 , - 원 員 , - 자者 ...
+ 화 : 현대화 , 산업화
+ 학 : 고고학 , 국어학 ...
+ 자 : 학자 , 과학자 ...
합성어와 합성법

1) 합성어는
- 실질형태소 간의 결합을 통해서 이루어진 단어이다 .
- 합성어가 새로운 단어의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2) 합성법은
- 실질 형태소끼리 결합하여 합성어를 만드는 단어 형성법이다 .

- 어근과 어근이 결합해서 하나의 단어가 된 것을 말한다 .

예 ) 작은 아버지 ( 키가 작은 아버지 ) = 명사구

≠ 작은아버지 ( 아버지의 남동생 ) = 합성어


합성법의 유형

통사적의 합성법

- 한국어의 일반적인 단어 배열법과 일치하는 유형의


합성법이다 .

- 두 어근이 결합할 때 그 결합 방식이 구를 이룰 때의 방식과


일치하는 합성법이다 .

비통사적의 합성법

- 한국어의 일반적인 단어 배열법에 어긋난 유형의 합성법이다 .

- 구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특이한 결합 방식으로 두 어근이


결합된 합성법이다 .
통사적 합성법의 유형

1) 관형사 + 명사 : 새해 , 온종일 , 첫사랑 ...

2) 부사 + 용언 : 가로막다 , 잘되다 ...

3) 명사 + 명사 : 길바닥 , 손발 , 고무신 ...

4) 용언의 관형사형 + 명사 : 큰집 , 날짐승 , 작은아버지 ...

5) 용언어간 + 보조적 연결어미 - 아 /- 어 + 용언 : 돌아오다 ,


들어가다 ...

6) 명사 ( 조사 생략 ) + 용언 : 앞서다 ( 앞에 서다 )...

7) 부사 + 부사 : 좀더 , 또다시
비통사적 합성법의 유형

1) 용언 + 용언 : 검붉다 , 날뛰다 , 높푸르다 ...

2) 용언의 어근 + 명사 : 늦더위 (≠ 늦은 더위 )...

3) 의성부사 , 의태부사 : 펄럭펄럭 phầnphật, 구불구불 ngoằn


ngèo, 울긋불긋 sặc sỡ ...

4) 부사 + 명사 : 부슬비 mưa lất phất,


산들산들 gió nhè nhẹ...
품사에 따라 분류

1) 합성 명사 : 명사로 합성되는 것
2) 합성 동사 : 동사로 합성되는 것
3) 합성 형용사 : 형용사로 합성되는 것
4) 합성 부사 : 부사로 합성되는 것
5) 합성 관형사 : 관형사로 합성되는 것
합성 명사

합성 명사는 복합 명사인데 명사로 형성된다 .


복합 명사는 둘 이상의 말이 결합된 명사
1) 명사 + 명사 : 동화책 , 소나무 ...
2) 명사 +“ ᄉ” + 명사 : 콧물 , 바닷가 , 촛불 ...
3) 관형사 + 명사 : 새마을 , 새해 , 이것 ...
4) 용언의 관형사형 + 명사 : 빈손 , 큰집 ...
5) 용 언 의 어 근 + 명 사 : 접 칼 ( 접 다 + 칼 ) gấp/ gập – dao,
늦더위 ( 늦다 + 더위 ) muộn/ chậm – đợt nóng ...
6) 의태부사 + 명사 : 보슬비 lất phất -mưa, 산들 바람 nhè
nhẹ - gió ...
7) 명 사 + “ ᄇ ” + 명 사 : 찹 쌀 ( 차 + ᄇ + 쌀 ) nếp – gạo,
볍씨 ( 벼 + ᄇ + 씨 )lúa – hạt giống...
8) 명사 + “ ᄒ” + 명사 : 안팎 ( 안 + ᄒ + 밖 ) trong – ngoài,
암탉 ( 암 + ᄒ + 닭 ) mái – gà, 암캐 ( 암 + ᄒ + 개 ) cái – chó...
합성 동사
- 합성동사는 복합 동사이다 .

- 복합 동사는 둘 이상의 말이 결합된 동사다 .

예 ) ' 본받다 ', ' 앞서다 ', ' 들어가다 ', ' 가로막다’ .

- 합성동사의 구성

1) 주어 + 서술어 : 빛나다 ( 빛이 나다 ) ánh sáng – xuất hiện,

2) 목적어 + 서술어 : 숨쉬다 ( 숨을 쉬다 ) hơi thở - nghỉ...

3) 부사 + 서술어 : 뒤서다 ( 뒤에 서다 ) sau - đứng...


4) 본동사 + 보조적 연결어미 –아 / 어 + 보조동사 : 알아보다 biết
- thử (tìm hiểu), 잡아먹다 bắt - ăn (bắt ăn thịt)

5) 두 어간의 합성 ( 비통사적 합성어 ): 돌보다 ( 돌 + 보다 ) quay -


nhìn (chăm sóc) ...
합성 형용사
- 합성 형용사는 둘 이상의 말이 결합하여 된 것이다 .

- 복합 형용사라고도 한다 .

- 합성 형용사의 구성 :

1) 주어 + 서술어 : 낮설다 ( 낮이 설다 ) mặt - lạ (không quen),


철없다 ( 철이 없다 ) lễ phép - không có (vô lễ), 수많다 ( 수가
많다 ) số - nhiều (vô số/ rất nhiều)...

2) 두 어간의 합성 ( 비통사적 합성어 ): 굳세다 ( 굳 -+ 세


다 )cứng – khỏe (chắc khỏe/ mạnh mẽ); 검붉다 ( 검 -+ 붉다 )đen
– đỏ (đỏ sẫm),
합성 부사

- 합성 부사는 둘 이상의 말이 결합하여 된 것이다 .

- 복합 부사라고도 한다 .

예 ) ' 밤낮' , '한바탕 ', ' 곧잘‘ ...

- 합성부사의 구성 :
1) 명사 + 명사 : 밤 - 낮 ...

2) 관형사 + 명사 : 어느 - 덧 , 한 - 바탕

3) 부사 + 부사 : 잘 - 못 , 곧 - 잘 , 이리 - 저리 , 가끔 - 가끔

4) 대명사 + 부사 : 제 - 각각 ...
5) 명사 + 부사 : 하루 - 바삐 , 철 - 없이
합성 관형사

1) 관형사 + 명사 : 온 - 갖 ...

2) 관형사 + 관형사 : 두 - 서너 , 몇 - 몇 ..

3) 형용사 + 형용사 : 긴 - 긴 ..

4) 부사 + 동사 : 몹 - 쓸 ..

5) 수사 + 동사 : 여 - 남은 ..
합성어의 의미상의 갈래

병렬 합성어 / 대등 합성어
유속 합성어 / 종속 합성어
융합 합성어
병렬 합성어
어근과 어근이 대등관계나 상반 관계로 결합하여 형성하는
합성어이다 .

예 ) 마소 ngựa – trâu/ bò

우짖다 khóc – thét

높푸르다 cao – xanh

논 - 밭 ruộng vườn
유속 합성어

어근과 어근이 주종 관계나 선후 관계 , 인과관계로 결합하여


형성하는 합성어이다 .

예 ) 소나무 thông – cây (cây thông)

돌다리 đá – cầu (cầu đá)

부삽 bếp – xẻng (xẻng bếp)...


융합 합성어

융합 합성어는 둘 이상의 낱말이 서로 어울려 그 각각의 원래의


뜻을 벗어나 한 덩어리의 새 뜻을 나타내는 합성어다 .

예 ) 밤낮 ≈ 늘 , 항상

피땀 ≈노력

눈앞 ≈아주 가까운 곳

돌아가다 ≈죽다
나이
춘추 ( 봄 + 가을 ) ≈
시간
세월 ( 세 + 월 ) ≈
다음 설명 중 알맞지 않은 것은 ?
① 둘 이상의 어근이 결합된 단어를 ‘합성어’라고 한다 .
② 하나의 어근만으로 이루어진 낱말을 ‘단일어’라고 한다 .
③ 하나의 어근에 접사가 결합된 낱말을 ‘복합어’라고 한다✓.
④ 어근에 붙어 그 뜻을 제한하거나 다른 뜻을 덧붙이는
부분을 ‘접사’라고 한다 .
다음 중 파생어가 아닌 것은 ?
1. 덧버선
2. 새롭다
3. 군소리
4. 비옷 ✓
다음 중 단일어만으로 묶인 것은 ?

① 얼굴 , 고양이 , 고기
② 이불 , 맨손 , 책가방 , 겁쟁이
③ 앞집 , 물병 , 팔다리 , 꽃송이
④ 책값 , 날개 , 햇과일 , 주머니
⑤ 이튿날 , 헛기침 , 풋사랑 , 심부름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