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언어와 매체

2학년 ( )반 ( )번 이름 ( )

중세 문법 개념 정리하기
(1) 중세 국어 표기법

중세(15C) 근대 현대

이어적기(=연철)가 주류를 이룸.

끊어적기(=분철)가 일부 나타남.
끊어적기(=분철) 끊어적기(=분철)
:『월인천강지곡』

거듭적기(=중철)

① 이어적기(=연철)
: 받침이 있는 체언이나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가 붙을 때
소리 나는 대로 이어 적음. ex) 미 기픈 므른

② 끊어적기(=분철)
: 받침이 있는 체언이나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가 붙을 때
이어적지 않고 끊어 적음. ex) 이 깊은 믈은

③ 거듭적기(=중철)
: 받침이 있는 체언이나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가 붙을 때
받침인 자음을 뒤 음절의 초성에도 적음. 즉 종성과 뒤 음절의 초성에 각각 적음.
ex) 미 깊픈 믈른

- 1 -
언어와 매체
2학년 ( )반 ( )번 이름 ( )
(2) 종성 표기법
① 중세 국어
-표음적 표기: 기본 형태를 밝혀 적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적는 표기
➜ 8종성법(ㄱ, ㄴ, ( ), ㄹ, ㅁ, ㅂ, ( ), ( ))
중세의 대부분 문헌에서 종성은 원칙적으로 8자만 허용되었음.
※ 당시는 음절말에서도 ‘ㄷ’과 ‘ㅅ’이 엄격히 구별되었음.

② 근대 국어
-표음적 표기 ➜ 7종성법(ㄱ, ㄴ, ㄹ, ㅁ, ㅂ, ( ), ( ))
근대의 대부분 문헌에는 7종성법이 나타남.
17세기 말부터 20세기 초(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 이전)까지 적용됨.
※ ‘ㄷ’과 ‘ㅅ’은 발음이 구별되지 않으므로 ‘( )’으로 통일시켜 적음.

③ 현대 국어(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 이후)


⇨ ( ): 기본 형태(뜻)를 밝혀 적음. ➜ 표의적 표기: 기본 형태를 밝혀 적는 표기
( ): 7대표음(ㄱ, ㄴ, ㄷ, ㄹ, ㅁ, ㅂ, ㅇ)=음절의 끝소리 규칙 ➜ 표음적 표기

중세의 표기법 정리하기!!!


●표음적 표기-8종성법(중세), 7종성법(근대), 현대의 종성 발음(7대표음)-이어적기(=연철)
●표의적 표기-현대의 종성 표기-끊어적기(=분철)

(3) 모음 조화
●두 음절 이상의 단어에서, 뒤의 모음이 앞 모음의 영향으로 그와 가깝거나 같은 소리로
되는 언어 현상.
●양성 모음은 양성 모음끼리, 음성 모음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림.
( ) 모음 가볍고 경쾌한 느낌 ㆍ,ㅏ, ㅗ, ㅑ, ㅛ
( ) 모음 무겁고 어두운 느낌 ㅡ, ㅓ, ㅜ, ㅕ, ㅠ
( ) 모음 ㅣ

●현대 국어에서는 소멸되어 가는 현상.

- 2 -
언어와 매체
2학년 ( )반 ( )번 이름 ( )
(4) 중세 국어의 주격 조사

이 자음 뒤 ex) 말미(말+이)
ㅣ ‘ㅣ’나 ‘ㅣ’로 끝나는 이중 모음을 제외한 모음 뒤 ex) 공재 (공자 + l)
∅ ‘ㅣ’나 ‘ㅣ’로 끝나는 이중 모음 뒤 ex) 불휘(불휘 + Ø)

(5) 중세 국어의 관형격 조사


명사
관형격 조사 사례
의미 특징 끝 음절 모음
 양성 모음 + : 
사람이나 동물(유정물)
의 음성 모음 거붑+의 : 거부븨
●사람이면서 ( )의 대상
양성 모음, 음성 모음 둘 다 가 大王+ㅅ : 大王ㅅ
ㅅ ●사람도 아니고 동물도 나모+ㅅ : 나못

아닌 무정물

(6) 중세 국어의 목적격 조사

목적격 조사 체언 끝 음절 모음 사례
 자음으로 끝난 체언 양성 모음 사+→사
을 자음으로 끝난 체언 음성 모음 믈+을→므를, +을→들
 모음으로 끝난 체언 양성 모음 천하+→천하
를 모음으로 끝난 체언 음성 모음 거우루+를→거우루를

- 3 -
언어와 매체
2학년 ( )반 ( )번 이름 ( )
(7) 명사형 전성 어미 ‘-옴/-움’
ex) 날로 메 便뼌安킈 고져  미니라 <훈민정음 언해>

(8) 의문문 ➡ 종결어미와 보조사를 사용하여 의문문을 만듦.

●판정 의문문 : 화자의 질문에 대하여 긍정이나 부정의 대답을 요구하는 의문문.
-보조사(‘-아/-어’형): 이 리 너희 죵가 (이 딸이 너희의 종인가?)
-종결어미(-녀): 이 大施主(대시주)의 功德(공덕)이 하녀 져그녀 (이 대시주의 공덕이 많으냐 적으냐?)

●설명 의문문: 의문사가 사용되어 그 의문사가 가리키는 내용에 대하여 청자가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기를 요구하는 의문문.
-보조사(‘-오’형): 이 엇던 光名(광명)고 (이것이 어떤 광명인가?)
-종결어미(-뇨): 太子(태자)ㅣ 이제 어듸 잇뇨 (태자는 지금 어디 있느냐?)

(9) 선어말 어미 ‘-오-’ : 주어가 1인칭일 때 사용됨.


ex) 내 이 爲윙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듧 字 노니(++오+니)

- 4 -
언어와 매체
2학년 ( )반 ( )번 이름 ( )

세종어제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

世·솅宗御·製·졩訓·훈民민正·音

●( )식 한자음 표기
①중국 원음에 가깝게 한자음을 표기함. ex)中國・귁, 便뼌安, 百・姓・
②초성-중성-종성을 모두 갖추어 표기함(성음법 원칙에 충실).
ex)솅(世), 엉(御), (字), 爲・윙

나・랏:말・미中國・귁・에 달・아文문字・・와・로서르・디 아・니 ・

●관형격 조사
●주격조사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비교 부사격 조사
●모음조화
●8종성법
●이유를 나타내는 종속적 연결어미

・이런 젼・・로어・린 百・姓・・이 니르・고 ・져・・배이・셔・도

●소멸 단어
●의미 변화(이동)
●주격 조사
●두음법칙×
●관형사형 어미
●된소리 부호

- 5 -
언어와 매체
2학년 ( )반 ( )번 이름 ( )

・:내 제・・들 시・러펴・디:몯・노・미하・니・라

●모음조화
●어두자음군
●구개음화×
●관형사형 어미
●주격 조사
●이어적기
●의미 변화(축소)
●‘하다’의 의미

・내・이・爲・윙・・야 :어엿・비너・겨・새 ・로・스・믈여・듧 字・・・노・니

●주격 조사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모음조화
●의미 변화(이동)
●두음법칙×
●원순모음화×
●주어가 1인칭일 때 사용되는 선어말어미: -오-

- 6 -
언어와 매체
2학년 ( )반 ( )번 이름 ( )

:사:마・다:・:수・니・겨・날・로・・메便뼌安・킈・고・져・미니・라

●연서(아래로 이어쓰기) ↔ 병서(옆으로 나란히 쓰기): 각자병서, 합용병서(어두자음군)


●두음법칙×
●어두자음군
●명사형 전성어미:-옴/-움
▶ 용언의 명사형 만드는 법: 용언의 어간 + ‘-옴/-움’
ex) 막다: 막+옴 → 마곰
먹다: 먹+움 → 머굼

※ 어간이 ‘/으’로 끝나는 단어의 경우 ‘/으’가 탈락함.


ex) 다: +옴 → 톰
다: +움 → 
●모음조화
●이어적기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 7 -
언어와 매체
2학년 ( )반 ( )번 이름 ( )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정리해보기

世·솅宗御·製·졩訓·훈民민正·音

나・랏:말・미中國・귁・에달・아文문字・・와・로서르・디아・니 ・

・이런젼・・로어・린 百・姓・・이니르・고 ・져・・배이・셔・도

- 8 -
언어와 매체
2학년 ( )반 ( )번 이름 ( )

・:내제・・들시・러펴・디:몯・노・미하・니・라

・내・이・爲・윙・・야 :어엿・비너・겨・새・로・스・믈여・듧 字・・・노・니

:사:마・다:・:수・니・겨・날・로・・메便뼌安・킈・고・져・미니・라

- 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