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

비대면 (원격 감독), 2023 년 11 월 12 일

문제 #1. 르완다어

르완다어 국제 음성 기호 르완다어 국제 음성 기호

(1) guhovwa [ɡwuhovɡa] abanyarwanda (7) [aβaɲargwanda]

(2) imfwati [imfkati] gupyoka (8) [gwupcoka]

(3) ityazo [itcazo] igufwa (9) [igwufka]

(4) ijwi [iʒɡwi] imbyino (10) [imbɟino]

(5) kugwa [kwuɡwa] ncweze (11) [nʧkweze]

(6) zahovye [zahovɟe] umwana (12) [umŋana]

1. 자료에 등장하는 르완다어 자음의 분류

비음 유성 장애음 무성 장애음
입술소리 m [m] b [b~β]*, v [v] p [p], f [f] 
[b] m뒤
n [n], d [d], z [z], r [r], t [t], s [s], *b =
혀끝소리 [β] 그외
ny [ɲ] j [ʒ ] sh [ʃ], c [ʧ]
혓바닥소리 — g [ɡ] k [k ]

2. 겹자음(Cy, Cw) 의 발음

[c] C ∈ {무성 장애음}
• Cy = C + (그 외의 y = [j])
[ɟ] C ∈ {유성 장애음}
 


 G C ∈ { 입술소리} 

 [k] C ∈ {무성 장애음}
 
• Cw = C + G + [w] C ∈ {혀끝소리} ; G = [ɡ] C ∈ {유성 장애음}

 

[ w] C ∈ {혓바닥소리} [ŋ] C ∈ {비음}

 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 (2023/24). 2

문제 #2. 남부 키시어

1. 눌러라 4. ò kǒl 8. súkásúká


2. 그가 마셔선 안 된다 5. là hólìhòlì lè 9. áá sùkàsùkà
3. 네가 말했다 6. í dél 10. íí tómbólá
7. í dêl lè

…해라 …했다 …하곤 했다 …해선 안 된다


LH L
S=나 — SV S* V
H H
S VHL lè
S "= 나 V SV S* VH

성조 1 음절 2 음절 3 음절 이상 S S*
L v̀ v̀v ̀ v̀vv̀ ⋯
̀ 나 í íí
H v́ v́ v́ v́ v́v́⋯ 너 à áá
LH v̌ v̀v́ v̀v́v́⋯ 너희 là láá
HL v̂ v́ v ̀ v́ vv̀ ⋯
̀ 그 ò óó

문제 #3. 아제르바이잔어

(a) 1. (학생이 학생에게) 또는 (교사가 학생에게) 사라


2. (학생이 교사에게) 또는 (학생이 교사들에게) 자세요
또는 (학생이 학생들에게) 또는 (교사가 학생들에게) 자라
3. (학생이 교사에게) 또는 (학생이 교사들에게) 일하세요
또는 (학생이 학생들에게) 또는 (교사가 학생들에게) 일해라
4. (학생이 학생에게) 또는 (교사가 학생에게) 쓰지 말아라
(b) 5. gəl 6. soruşma 7. görün
8. almayɪn 9. unutmayɪn 10. düşün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 (2023/24). 3

동사 형태 : ⋯ [-mA 부정][-(y)In 복수 또는 상대 높임]



a 선행 모음 ∈ {a, o, u, ɪ}
문제에 등장하는 아제르바이잔어 모음
• A=
ə 선행 모음 ∈ {ə, ö, ü, i}
 전설 후설
선행 모음 ∈ {a, ɪ}
비원순 원순 비원순 원순

 ɪ



선행 모음 ∈ {ə, i}

고모음
 i
• I= i ü ɪ u



 u 선행 모음 ∈ {u} 저모음 ə ö a o

ü 선행 모음 ∈ {ü}

문제 #4. 아르바니티카어

(a) 17 + 29 = 46 (b) 8 = tetë


260 − 93 = 167 16 = gjashtëmbëdhjetë
81 × 14 = 1134 350 = triqint e pesëdhjetë
85 ÷ 5 = 17 2049 = dimiljë e katrëdhjetë/dizet e nëndë

10 + X = X-mbëdhjetë
10 X = X-dhjetë 1 një 4 katrë 7 shtatë
20 X = X-zet (단, 1 < X < 5) X ∈ 2 di 5 pesë 8 tetë
100 X = X-qint 3 tri 6 gjashtë 9 nëndë
1000 X = X-miljë
수사는 e ‘+’로 연결하며 큰 수사가 앞에 온다.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 (2023/24). 4

문제 #5. 케트어

(a) 1. 그의 장갑(복수) (b) 5. búda hɨ́baŋ 또는 dahɨ́baŋ


2. 우리/너희/그들/그녀들의 찬장(복수) 6. ǝ́kŋna óbsa 또는 naóbsa
3. 너희의 할아버지 7. ǝ́tnna saan 또는 nasaan
4. 너의 철갑상어(복수) 8. búdi hǝ́ŋen 또는 dhǝ́ŋen

• 소유 표시
제 1 유형 제 2 유형
단수 복수 단수 복수
1 인칭 b- āb ǝ́tnna
2 인칭 k- ūk ǝ́kŋna
na-
3 인칭 남성 da- búda
búŋna
3 인칭 여성 d- búdi

• 복수 표시 : 

 V*ŋ (C = ∅ )
1. 친족 명칭 : ⋯ V*C → VH Caŋ



V Cen (C = m, ŋ)

 H
2. 친족 명칭이 아닌 경우 : ⋯ V*C →

 VVŋ (C = b)
단, V* = v́ , v̀, vˀ;


VH = v́ . 
(C = q)


VVn

문제 #6. 타밀어와 싱할라어

(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F A B V W M E G D I K H J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X S C U T L N O P R Q Z Y

(b) 27. 싱가포르 (siṁgappūru) 28. 인도 (indiyā)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