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2018 1학기 사회과>

1. 대구읍성의 축조와 해체, 오늘날의 모습 (5점)

2. 임나일본부설의 일본 측 근거자료와 이에 대한 비판 (10점)

3. 유교를 통해 본 한국사 (조선시대 유교의 기능 / 사림과 사림파의 형성과 그 성격을 중심


으로) (15점)

<2018년 1학기 과학과 이지숙>


1. 대구 읍성의 축성과 해체, 그리고 현재
2. 임나본부설의 임본측 주장의 근거자료에 대한 비판
3. 유교를 통해서 바라본 한국사(조선시대 유교의 기능과 성격/사림 및 사림파의 형성과 그
성격을 중심으로)

<2017년 1학년 1학기 이지숙>


1. 한반도 초기국가 형성론
2. 대구읍성의 해체과정
3. 시대에 따른 불상 양식 변화
4. 성리학을 통해서 본 조선(사림,사림파 중심으로)

<2017년 한국사 1학년 2학기 이지숙>


1. 시대별 불상 변천
2. 조선 시대별 유교 변천

서술형
3. 읍락 국가설
4. 국채보상운동
5. 임나일본부설

<2016 과학과>
1. 역사의 의미

(1) 해프닝의 역사

(2) 기록으로서 역사

(3) 역사학으로 역사

2. 불상의 변천과정 약술

3. 읍락국가설에 대해 서술
4. 독도에 대해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구제적인

일본의 주장을 서술하고, 그에 대한 일본의 인식 의 변화를 서술

<2016 뒷반>
1.역사의 용어적 의미

2.읍락국가설

3.조선시대의 유고의 기능과 성격을 5가지 시기에 나누어 설명하세요

4.통일신라말~고려 사이에 대구에서 일어난 격전 2가지에 대해 역사적, 지리적 배경을 넣어


자세히 설명하세요

1~3번은 간단하게 약술하는거고


4번은 완~전 자세하게 써야 되는 거에요 4번 점수가 1~3번 합친거랑 똑같아요.

1. 대구읍성의 축조와 해체, 오늘날의 모습 (5점)


2. 임나일본부설의 일본 측 근거자료와 이에 대한 비판 (10점)
3. 유교를 통해 본 한국사 (조선시대 유교의 기능 / 사림과 사림파의 형성과 그 성격을 중심
으로) (15점)

한국사 - 이지숙 교수님


1. 해프닝으로써의 역사, 기록으로써의 역사, 역사학으로써의 역사

2. 초기국가이론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이론 설명
- 읍락국가설

3. 시대별 불상 특징

4. 유교의 시대별 특징

5. 소학에서의 놀이문화

6. 처용설화

1. 국가형성론에 관한 여러주장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조선시대 사림의 학파와 계보의 전개과정 설명하시오.

3. 19세기 농민항쟁에 대하여 배경~정부의 대책에 이르기까지 설명하시오.

4. 삼강오륜의 의미와 각각의 관계에서 강조하는 것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붕우유신 부부유별 군신유의 부위자강 부자유친 장유유서 군위신강 부위부강
<단답형>
1. 역사 용어 구분
역사학으로서의 역사, 기록으로서의 역사. 해프닝으로서의 역사

2. 한국종교의 변천
ex) 자연신, 시조신, 신앙중심시대-(불교 수용전의 삼국시대 초 까지)
이렇게 빈칸 채우는 거였음.

3. ()는~~~~~~설명하고 법당이나 불탑앞에 설치하여 부처의 광명을 상징


답; 석등

4. 선비가 지향하는 행귀규범 5가지 인데 이중에 2가지는 가르쳐주고 이것 외의 3가지것을


쓰세요
수기,의기,속탈,사유,덕

서술형
1. 소학교육으로서의 놀이(7점)
2. 안용복과 독도영유권 문제(10점)

2013 한국사 족보

주관식
1. 역사의 용어적 의미를 간략하게 쓰시오.
2. 읍락국가설을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3. 시기에 따른 불상의 특징을 쓰시오. ()
4. 시기에 따른 유교의 기능과 성격을 쓰시오.

서술형
1. 소학교육으로서의 놀이에 대해 서술하시오.
2. 처용설화의 역사적 해석에 대해 서술하시오.
한국사 - 이지숙 교수님
1. 해프닝으로써의 역사, 기록으로써의 역사, 역사학으로써의 역사

2. 초기국가이론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이론 설명
- 읍락국가설

3. 시대별 불상 특징

4. 유교의 시대별 특징

5. 소학에서의 놀이문화

6. 처용설화
1. 국가형성론에 관한 여러주장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조선시대 사림의 학파와 계보의 전개과정 설명하시오.

3. 19세기 농민항쟁에 대하여 배경~정부의 대책에 이르기까지 설명하시오.

4. 삼강오륜의 의미와 각각의 관계에서 강조하는 것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붕우유신 부부유별 군신유의 부위자강 부자유친 장유유서 군위신강 부위부강
1.역사의 용어적 의미

2.읍락국가설

3.조선시대의 유고의 기능과 성격을 5가지 시기에 나누어 설명하세요

4.통일신라말~고려 사이에 대구에서 일어난 격전 2가지에 대해 역사적, 지리적 배경을 넣어


자세히 설명하세요

1~3번은 간단하게 약술하는거고

4번은 완~전 자세하게 써야 되는 거에요 4번 점수가 1~3번 합친거랑 똑같아요.

1. 역사의 의미

(1) 해프닝의 역사

(2) 기록으로서 역사

(3) 역사학으로 역사

2. 불상의 변천과정 약술

3. 읍락국가설에 대해 서술

4. 독도에 대해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구제적인

일본의 주장을 서술하고, 그에 대한 일본의 인식 의 변화를 서술


1. 대구읍성의 축조와 해체, 오늘날의 모습 (5점)
2. 임나일본부설의 일본 측 근거자료와 이에 대한 비판 (10점)
3. 유교를 통해 본 한국사 (조선시대 유교의 기능 / 사림과 사림파의 형성과 그 성격을 중심
으로) (15점)
<한국사 2018년 1학기 기말고사 뒷반(이지숙)>

1. 대구 읍성의 축성과 해체 그리고 현재의 모습을 서술하라(5점)

2. 임나일본부설의 근거와 그 비판에대해 서술하라(10점)

3. 유교와 사림,사림파의 형성과 활동을 중심으로 조선의 모습을 서술하라(15점)


(3번은 정확하진 않지만 이런 내용의 문제입니다.)
<2018 1학기 사회과>
1. 대구읍성의 축조와 해체, 오늘날의 모습 (5점)

2. 임나일본부설의 일본 측 근거자료와 이에 대한 비판 (10점)

3. 유교를 통해 본 한국사 (조선시대 유교의 기능 / 사림과 사림파의 형성과 그 성격을 중심


으로) (15점)

<2018년 1학기 과학과 이지숙>


1. 대구 읍성의 축성과 해체, 그리고 현재
2. 임나본부설의 임본측 주장의 근거자료에 대한 비판
3. 유교를 통해서 바라본 한국사(조선시대 유교의 기능과 성격/사림 및 사림파의 형성과 그
성격을 중심으로)

<2017년 1학년 1학기 이지숙>


1. 한반도 초기국가 형성론
2. 대구읍성의 해체과정
3. 시대에 따른 불상 양식 변화
4. 성리학을 통해서 본 조선(사림,사림파 중심으로)

<2017년 한국사 1학년 2학기 이지숙>


1. 시대별 불상 변천
2. 조선 시대별 유교 변천

서술형
3. 읍락 국가설
4. 국채보상운동
5. 임나일본부설

<2016 과학과>
1. 역사의 의미

(1) 해프닝의 역사
(2) 기록으로서 역사

(3) 역사학으로 역사

2. 불상의 변천과정 약술

3. 읍락국가설에 대해 서술

4. 독도에 대해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구제적인

일본의 주장을 서술하고, 그에 대한 일본의 인식 의 변화를 서술

<2016 뒷반>
1.역사의 용어적 의미

2.읍락국가설

3.조선시대의 유고의 기능과 성격을 5가지 시기에 나누어 설명하세요

4.통일신라말~고려 사이에 대구에서 일어난 격전 2가지에 대해 역사적, 지리적 배경을 넣어


자세히 설명하세요

1~3번은 간단하게 약술하는거고


4번은 완~전 자세하게 써야 되는 거에요 4번 점수가 1~3번 합친거랑 똑같아요.

1. 대구읍성의 축조와 해체, 오늘날의 모습 (5점)


2. 임나일본부설의 일본 측 근거자료와 이에 대한 비판 (10점)
3. 유교를 통해 본 한국사 (조선시대 유교의 기능 / 사림과 사림파의 형성과 그 성격을 중심
으로) (15점)

한국사 - 이지숙 교수님


1. 해프닝으로써의 역사, 기록으로써의 역사, 역사학으로써의 역사

2. 초기국가이론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이론 설명
- 읍락국가설

3. 시대별 불상 특징

4. 유교의 시대별 특징

5. 소학에서의 놀이문화
6. 처용설화

1. 국가형성론에 관한 여러주장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조선시대 사림의 학파와 계보의 전개과정 설명하시오.

3. 19세기 농민항쟁에 대하여 배경~정부의 대책에 이르기까지 설명하시오.

4. 삼강오륜의 의미와 각각의 관계에서 강조하는 것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붕우유신 부부유별 군신유의 부위자강 부자유친 장유유서 군위신강 부위부강

<단답형>
1. 역사 용어 구분
역사학으로서의 역사, 기록으로서의 역사. 해프닝으로서의 역사

2. 한국종교의 변천
ex) 자연신, 시조신, 신앙중심시대-(불교 수용전의 삼국시대 초 까지)
이렇게 빈칸 채우는 거였음.

3. ()는~~~~~~설명하고 법당이나 불탑앞에 설치하여 부처의 광명을 상징


답; 석등

4. 선비가 지향하는 행귀규범 5가지 인데 이중에 2가지는 가르쳐주고 이것 외의 3가지것을


쓰세요
수기,의기,속탈,사유,덕

서술형
1. 소학교육으로서의 놀이(7점)
2. 안용복과 독도영유권 문제(10점)

2013 한국사 족보

주관식
1. 역사의 용어적 의미를 간략하게 쓰시오.
2. 읍락국가설을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3. 시기에 따른 불상의 특징을 쓰시오. ()
4. 시기에 따른 유교의 기능과 성격을 쓰시오.

서술형
1. 소학교육으로서의 놀이에 대해 서술하시오.
2. 처용설화의 역사적 해석에 대해 서술하시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