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http://dx.doi.org/10.18587/bh.2016.09.76.

59

󰡔석가여래행적송󰡕 라훌라 탄생설화에 대한 일고찰

김성옥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조교수

Ⅰ. 서론
Ⅱ. 운묵 무기의 기술 태도
Ⅲ. 라훌라의 탄생설화
Ⅳ. ‘6년 태내설’의 전생담
Ⅴ. 결론

www.dbpia.co.kr
60 佛敎學報 第76輯

<한글요약>

석가일대기에 관한 불교문헌들은 석가여래의 탄생에서 열반에 이르는 80여년의 삶


을 오늘날 전해주고 있다. 출가와 구도 및 성도에 이르는 개략적인 내용은 대체로 일치
하지만, 세부적인 내용에 들어가면 크고 작은 차이들이 존재한다. 남방과 북방 혹은 소
승과 대승의 전승이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고려말 석가의 일대기를 찬집하고자 했던 운묵 무기의 󰡔석가여래행적송󰡕에서도 여
러 가지 문헌들이 전하는 서로 다른 이설들을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석존의 출
가시기를 둘러싸고 그의 나이가 몇 살이었는지에 관한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그리고 일
반적으로는 석존의 출가 이전에 라훌라가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지만, 문헌에 따라서는
석존이 깨달음을 얻던 밤에 라훌라가 태어났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라훌라의 탄생에 관
한 후자의 전승은 석존께서 6년 고행 끝에 얻은 깨달음과 라훌라의 탄생을 효과적으로
연관 짓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승에는 문헌에 따라 야쇼다라가 6년 만에 낳은 아이가
석존의 친아들인가 의심이 제기되었던 일, 이 점을 해명하기 위해 야쇼다라가 불구덩에
뛰어들어 자신의 결백을 증명했던 일이 삽입되기도 한다. 이러한 에피소드는 극적인 긴
장감을 지니고 있는 흥미로운 요소임에 틀림없다. 나아가 6년 동안의 임신을 정당화하
는 장치로서 라훌라가 모태에 6년간 머물러야 했던 ‘6년 태내설’의 전생담도 라훌라의
탄생설화에 추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석가여래의 일대기를 전승함에 있어서 어
떤 식으로든 허구적 요소의 개입이 불가피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러한 설화들을
여러 문헌에 의거하여 기록하고 있는 󰡔석가여래행적송󰡕은 고려시대 석가일대기의 다
양한 전승 양태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주제어 : 석가여래일대기, 석존, 라훌라, 야쇼다라, 6년 태내설, 전생담, 󰡔석가여래행


적송󰡕

- 60 -

www.dbpia.co.kr
󰡔석가여래행적송󰡕 라훌라 탄생설화에 대한 일고찰 61

Ⅰ. 서론
석가여래의 일생을 담고 있는 문헌들은 석가의 탄생과 출가, 구도와 성도 그리고 열
반에 대하여 오늘날 전해주고 있다. 전승된 문헌의 내용을 신앙적 토대 위에서 모두 진
실이라고 믿거나 실존 인물의 역사적 사실로 간주할 수는 없을 것이다. 어떤 식으로든
장식적 요소가 더해지거나 상징적 장치가 보태어져 있으며, 전승과정에서 허구적 요소
의 개입 역시 불가피하리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오랜 시간의 퇴적층을 따라 우리에게 남
겨진 전승 자료들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일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석가여래 일대기의 대략적인 삶은 일치하지만, 세부적인 내용에 들
어가면 크고 작은 차이들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남방과 북방 혹은 소승과 대승의
전승이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승의 차이에 대하여 어떤 것이 올바르고 어떤
것은 올바르지 않다고 말하기는 곤란할 것이다. 여기서 서로 다른 전승 자료들의 차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의 문제가 남게 된다.
이 문제를 살펴보는 한 가지 계기로서 본 논문에서는 고려시대에 찬집된 󰡔석가여래
행적송󰡕을 주목해 보고자 한다. 이 문헌은 운묵 무기1)가 충숙왕 15년(1328) 석가여래의
행적과 함께 불교 전래의 역사를 소개한 상 ․ 하 2권의 저술이다.2) 석가여래의 생애와 교
설을 천태교학의 5시8교설에 의지하여 통석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석가여래행적
송󰡕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천태교학과 관련지어 이루어졌다.3) 또한 문헌 말미에 덧붙여
진 수행자에 대한 권계는 말법시대에 대한 통렬한 비판의식이 담겨져 있는 까닭으로 일
찍이 백련결사와 연관 지어 조명되어 왔다.
무엇보다 이 문헌은, 󰡔석가여래행적송󰡕이라는 제목이 말해주듯이, 석가여래의 일생
을 밝히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기 때문에 석가여래일대기의 연대기적 기술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더욱이 이 문헌은 18세기까지 거듭 간행되고
유통되었을 만큼 석존전의 모범적인 사례로서 주목할 만하다. 운묵 무기는 여러 경론을

1) 운묵무기는 고려시대 스님으로 자는 무기(無寄)이고, 호는 부암(浮庵)이며, 운묵(雲黙)은 법


명이다. 생몰연대는 미상. 일찍이 백련사 제4세 진정국사(眞淨國師)의 적자였던 불인정조국
사(佛印靜照國師)의 문하에서 출가하였다.
2) 󰡔석가여래행적송󰡕은 󰡔한국불교전서󰡕 제6책에 수록되어 있다. 󰡔한국불교전서󰡕에 수록된 것
은 1571년(선조4) 간행된 서간본(고려대학교 소장)을 저본으로 하고 있다.
3) 천태교학과 관련된 선행연구로는 이영자, 「무기의 천태사상- 석가여래행적송을 중심으로」, 󰡔한
국불교학󰡕 3집(서울: 한국불교학회, 1977). ; 서윤길, 「운묵의 천태염불」, 󰡔한국천태사상연구󰡕
(서울: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소, 1983). ; 박소영, 「天台思想史における󰡔釋迦如來行蹟頌󰡕の
文獻學的意義」, 󰡔천태학연구󰡕 10호(서울: 천태불교문화연구원, 2007) 등이 있다.

- 61 -

www.dbpia.co.kr
62 佛敎學報 第76輯

토대로 하여 석존의 일생을 먼저 게송으로 기술하고, 그 의미가 드러나지 않는 것이나


이설들에 대해서는 해당 문헌을 인용하여 자세하게 주석하고 있는데, 그가 당대에 유통
되던 어떤 문헌을 토대로 󰡔석가여래행적송󰡕을 기술하고 있는지, 전해진 내용을 취사선
택함에 있어서 어떠한 태도를 취하고 있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석가여래행적송󰡕에 보이는 석가여래일대기의 연대기적 기술, 그 가운데
나타나는 설화적 요소에 주목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석존의 80년 생애를 전체
적으로 조망하거나 석가여래일대기의 교학적 측면 혹은 신앙적 측면을 조명하고자 하
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본문에서 다뤄지는 내용은 석가의 출가시기와 연관된 라훌라의
탄생 설화를 중심으로 한정하고자 한다. 라훌라에 관한 설화는 석존의 출가 당시 라훌라
가 탄생했다는 설과 석존이 깨달음을 얻던 밤 라훌라가 태어났다는 설, 서로 다른 전승
의 차이를 확연히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후자의 전승에서는 라훌라가 어머니 야쇼다라의 뱃속에 6년간 머물렀다고 하
는 ‘6년 태내설(胎內說)’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라훌라의 전생담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라훌라의 탄생에 관한 설화를 검토함으로써 경장과 율장 등에 흩어져
있던 이야기들이 석가여래의 일대기로 구성되는 일련의 과정을 유추해볼 수 있을 것으
로 보인다.

Ⅱ. 운묵 무기의 기술 태도
운묵 무기는 󰡔석가여래행적송󰡕의 서문에서 “석존의 제자가 되어 본사의 성명과 탄생
하고 입멸하신 연월과 수명의 길고 짧음과 말씀하신 교법의 권실(權實) ․ 현밀(顯密)을
알지 못하면, 이는 ‘승려 모양을 한 속인’이라 할 것이니, 이보다 불순함이 무엇이겠는
가”4)라고 탄식한다. 그는 새로 배우는 사미들, 즉 불교입문자들에게 본사이신 석존의
성명, 탄생하고 입멸하신 연월, 수명의 길고 짧음과 말씀하신 교법을 분명히 함으로써 석
가의 일대기를 바르게 전승하여 올바른 승가교육의 계기로 삼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먼저 그는 여래 출현의 일대사인연을 밝히면서 상권 첫머리에 삼신사토(三身四土)
의 연관성을 보여준 뒤5), 사바세계의 성주괴공을 밝히고(1송-32송), 석가여래의 탄생과

4) 󰡔석가여래행적송󰡕(󰡔韓佛全󰡕 6, p.485上), “其爲釋子 若未了本師之氏字 誕滅年月 壽命遠近


所說諸敎 權實顯密 則此稱僧貌之俗歟 不順孰過于玆.”
5) 삼신(三身)은 응신 ․ 보신 ․ 법신을 말하며, 사토(四土)는 염정동거토 ․ 방편유여토 ․ 실보무장

- 62 -

www.dbpia.co.kr
󰡔석가여래행적송󰡕 라훌라 탄생설화에 대한 일고찰 63

열반에 이르는 행적과 함께 설법하신 내용(33송-134송)을 상술하고 있으며, 인도에서


의 전등의 역사(135-137송)를 덧붙이고 있다. 하권은 불교의 동점(138-152송), 법난의
역사(153-154송), 말법시대 수행자에 대한 경책(155-210송)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석가여래일대기에 관한 연대기적 기술은 위에서 설명되었듯이 33송-134송에 걸쳐
이루어진다. 그 내용은 물론 카필라국의 정반왕과 마야부인에서 시작된다(36-38송). 그
리고 룸비니 동산에서 태어나신 일과 아시타 선인의 예언(39-44송), 7일 만에 어머니가
돌아가신 일(45송), 7세와 10세에 보여준 태자의 뛰어난 지혜와 무예(46송), 17세 야쇼
다라와의 결혼(47-48송), 사문유관과 출가의 결심(49-55송), 19세 출가의 과정(56-59
송), 6년 고행의 과정(60-66송), 깨달음의 순간(67송)을 차례대로 이야기하고 있다. 이후
화엄시 ․ 녹원시 ․ 방등시 ․ 반야시 ․ 법화열반시의 5시8교설6)에 의하여 여래의 행적과
설법하신 내용을 교차하여 서술하고 있으며(68송-123송), 79세에 열반에 드신 일로 마
무리 된다(124-134송).
석가여래의 일생을 서술하는 데 있어서 󰡔석가여래행적송󰡕의 특징은 석존의 나이별
로 간지를 밝혀 연월일을 기입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마야부인의 회임 순간을
“주(周) 소왕(昭王) 계축년 7월15일 밤(37송)”7), 석존의 탄생을 “다음해 갑인년 사월 초
파일(39송)”8) 등으로 적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석존의 나이별로 연대기를 구성하여 빠
짐없이 간지를 기록하는 구성은 󰡔불조통기󰡕, 󰡔석문정통󰡕에도 보이는데, 󰡔석가여래행
적송󰡕은 두 문헌과 비교할 때 그 내용이 비교적 간단한 편이다.9)
이 가운데 󰡔석가여래행적송󰡕은 석존의 출가와 성도 시기에 대하여 몇 가지 다른 견해
들을 제시하고 있다. 아마도 이 문제는 새로 배우는 사미들에게 석존의 일생을 바르게

애토 ․ 상적광토를 말한다. 󰡔석가여래행적송󰡕은 부처님이 다스리는 네 가지 국토(國土)와 세


가지 불신(佛身)이 늘 함께 맞물려 있으며, 서로 의지하는 세계임을 보여주면서 시작된다.
6) 5시8교설에 의하여 여래의 행적과 설법하신 내용을 교차하여 서술하고 있는 것은 여래의 생애
와 교설이 서로 다르지 않음을 보여주고자 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5시란 여래께서 깨달음을 얻
은 이후 화엄경을 설한 21일간의 화엄시, 녹야원에서 아함경을 설한 12년간의 녹원시, 대승경
전을 설한 8년간의 방등시, 반야경을 설한 22년간의 반야시, 마지막 8년 법화경을 설하고 하루
에 걸쳐 열반경을 설한 법화열반시를 말한다. 8교란 가르침의 형식을 4종으로 나눈 돈교 ․ 점교
․ 비밀교 ․ 부정교의 화의사교(化儀四敎)와 설법 내용을 4종으로 나눈 장교 ․ 통교 ․ 별교 ․ 원교
의 화법사교(化法四敎)를 말한다.
7) 󰡔석가여래행적송󰡕(󰡔韓佛全󰡕 6, p.493中), “周昭癸丑年 七月十五夜 夫人感瑞夢 人乘象入懷.”
8) 󰡔석가여래행적송󰡕(󰡔韓佛全󰡕 6, p.494上), “明年甲寅歲 四月初八日 從右脇誕生 端正好男子.”
9) 석존의 나이별로 기술된 󰡔석가여래행적송󰡕의 내용은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7세-10세-17세
-19세-30세-79세 등으로 간단한 편이다.

- 63 -

www.dbpia.co.kr
64 佛敎學報 第76輯

전승하고자 하는 운묵 무기에게 반드시 밝혀 놓아야 할 사안이었을 것이다. 특히 석존의


출가와 깨달음이라는 사건은 석가여래의 생애 가운데 가장 중요한 사건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첫 번째는 ‘19세 출가 30세 성도설’이다. 그는 왕이 나라 안의 관상 잘 보는 바라문들
을 불러서 관상을 보게 하니, “19세가 되면 전륜왕이 될 것이요, 출가하면 등정각을 이룰
것입니다”10)라고 말한 아시타 선인의 예언을 43-44송에서 전하고 있으며, 56송에서 태
자 나이 열아홉이 되던 해인 “임신년 2월 8일 한밤중에 인적이 고요할 때”11) 출가한 것
으로 기록하고 있다. 또한 67송에서 “계미년 2월 8일 홀로 보리수 아래 나아가 마왕을 항
복시키고 정각을 이루시니 무량한 공덕을 갖추셨네”12)라고 깨달음의 순간을 기록하고
있으며, 계미년은 주 목왕 즉위 3년으로 태자 나이 30세에 해당한다고 주석하고 있다.
운묵 무기는 이것을 정통적인 학설로 받아들인 듯하다. 56송과 67송의 본 게송에서 ‘임
신년’의 출가, ‘계미년’의 성도 등으로 구체적인 간지까지 명시하면서 두 사건을 기술하
고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29세 출가 35세 성도설’이다. 이것은 보리류지(菩提流支, Bodhiruci)가 경
전을 인용하여 게송으로 읊은 것이라고 설명된다. 그가 인용한 게송의 내용은 “8년은 어
린아이요, 7년은 동자요, 4년은 5명(五明)을 배우고 10년은 오욕을 누려, 29세에 출가하
여 6년 고행을 하시고, 35세에 성도하시어 79세에 입멸하셨네”13)라는 것이다. 󰡔한국불
교전서󰡕 원문에는 출가한 나이를 ‘19세’로 기록하고 있으나, ‘6년 고행을 하시고 35세
에 성도하셨다’는 앞뒤 문맥으로 보아, 이 게송에서 출가한 나이는 29세로 보는 것이 타
당할 것이다.14)
세 번째는 ‘7세 출가 30세 성도설’이다. 이것의 출전은 󰡔범망경󰡕이라고 밝히고 “7세
에 출가하여 30세에 도를 이루셨다”라고만 간단히 기술되어 있다. 󰡔범망경󰡕의 해당 부
분은 석존께서 “나의 어머니는 마야부인이요, 아버지는 정반왕이며 나의 이름은 실달
(悉達)이니라. 7세에 출가하여 고행한 뒤에 30세에 성도하니, 그때부터 나를 석가모니

10) 󰡔석가여래행적송󰡕(󰡔韓佛全󰡕 6, p.494上), “年登十九歲 必作轉輪王 若便出家者 當證一切智.”


11) 󰡔석가여래행적송󰡕(󰡔韓佛全󰡕 6, p.496中), “壬申二月八 半夜人定時 太子命車匿 彼揵陟將來.”
12) 󰡔석가여래행적송󰡕(󰡔韓佛全󰡕 6, p.497下), “癸未二月八 獨詣菩提樹 降魔成正覺 具無量功德.”
13) 󰡔석가여래행적송󰡕(󰡔韓佛全󰡕 6, p.498上), “八年作孾孩 七年作童子 四年學五明 十年受五
欲 一十九出家 六年行苦行 三十五成道 七十九入滅.” 보리류지가 경전을 인용하여 게송으
로 읊었다는 이 문구가 어떤 문헌에 의거한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14) 숭덕8(1643)년 용복사에서 간행한 판본을 저본으로 한 󰡔석가여래행적송󰡕(월운 懸吐)에도
‘二十九’로 되어 있다.

- 64 -

www.dbpia.co.kr
󰡔석가여래행적송󰡕 라훌라 탄생설화에 대한 일고찰 65

불이라 불렀느니라”15)라고 말한 대목을 말한 듯하다. 7세 출가설은 석존의 출가 나이가


비교적 너무 이르게 기술되어 있지 않은가 싶다.
운묵 무기는 “이와 같이 세 가지 설이 같지 않은 것은 대승과 소승의 근기가 다르기 때
문”16)이라고 설명한다. 그가 석가여래의 일생을 연대기적으로 찬집하고자 할 때, 더욱
이 주요사건들을 석존의 나이별로 연월일까지 명시하고자 할 때, 여러 문헌에서 전하는
바가 서로 다른 것은 매우 난감한 일이었을 것이다. 어쩌면 그래서 더욱 새로 배우는 사
미들을 위해 표준적으로 받아들일 만한 석가여래의 일대기를 집필해야 할 필요성을 느
꼈을 지도 모르겠다.
따라서 그는 석가여래일대기의 주요 사건들을 게송의 형식으로 기술하고, 이설이 있
는 경우에는 게송마다 주석을 덧붙여 여러 문헌을 인용하여 설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
다. 석존의 출가와 성도시기에 관한 첫 번째 견해는 56송과 67송에서 이루어져 있는 반
면, 두 번째와 세 번째 견해는 주석의 형식으로 제시된다. 즉 두 번째와 세 번째 견해는
67송 말미에 덧붙여진 이설들에 해당한다.

<석가여래일대기 관련 󰡔석가여래행적송󰡕의 인용문헌>

게송 인용문헌 내용
36송 인본경/석씨회요 석존의 가계

37-38송 과거현재인과경/보요경/태자서응본기경 잉태의 순간


39-44송 태자서응본기경/변정론/주서이기 탄생
45송 태자서응본기경/대권경 마야부인의 죽음
46송 출요경/과거현재인과경 태자의 학습기
49송 태자서응본기경 사문유관
67송 범망경 7세 출가 30세 성도설

68-115송 법화경/천태사교의/화엄경/열반경 여래의 설법


116-127송 열반경/경율이상/주서이기 열반

󰡔석가여래행적송󰡕 전체에서 그가 게송마다 덧붙인 주석들에는 원시경전은 물론 대


승경전과 중국 찬술 문헌까지 무려 90종이 언급되고 있다.17) 이 문헌들은 내용적인 면

15) 󰡔범망경󰡕 권2(󰡔大正藏󰡕 24, p.1003下), “母名摩耶父字白淨吾名悉達 七歲出家三十成道 號


吾為釋迦牟尼佛.”
16) 󰡔석가여래행적송󰡕(󰡔韓佛全󰡕 6, p.498中), “如是三說不同者 以大小機見異故.”

- 65 -

www.dbpia.co.kr
66 佛敎學報 第76輯

에서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더러, 고려시대 불교교학의 광범위한 지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운묵 무기가 석가여래의 일생을 연대기적으로 구성한
33송-134송에서 인용하고 있는 문헌은 󰡔인본경󰡕, 󰡔석씨회요󰡕, 󰡔과거현재인과경󰡕, 󰡔보
요경󰡕, 󰡔태자서응본기경󰡕, 󰡔대권경󰡕, 󰡔출요경󰡕, 󰡔범망경󰡕 등이다. 중국 찬술 문헌으로
는 󰡔변정론󰡕, 󰡔경율이상󰡕, 󰡔주서이기󰡕 등이 인용되었는데, 이 문헌들은 중국식 간지와
연월일을 기록하는 근거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많은 문헌에 의거하여 석가여래일대기를 기술하면서 당대에 전해오는 이
설들을 제시할 때, 운묵 무기는 어떠한 관점을 취하고 있는가. 이 문제와 관련하여 다음
과 같은 인용문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석씨회요(釋氏會要)󰡕에서는 말한다. 천비성에 있는 선각 장자가 여덟 따님을 낳았는


데, 정반왕이 모두 궁으로 맞아들여, 첫째인 마야와 여덟째인 파사파제(波闍波提, Prajā
patī)를 자신이 취해 왕비를 삼고, 다른 여섯은 세 명의 아우와 나누어 각각 왕비를 삼도록
하였다.18)

이 인용문에서는 석존의 이모이자 어머니가 된 마하파자파티에 대하여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전해주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마야부인의 죽음으로 이모인 그녀가 석존의
새어머니가 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인용문에서는 정반왕이 마야부인과 결혼할 때
여덟째인 파사파제 즉 마하파자파티도 왕비로 취하였고, 다른 여섯 명의 자매들은 백반
왕 ․ 곡반왕 ․ 감로왕 세 아우들의 왕비를 삼도록 하였다는 것이다. 중국이나 우리나라와
는 매우 다른 인도의 결혼풍속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석가여래행적송󰡕은 이와
같은 이설들을 주석의 형태로 전하고 있으며, 그것의 문헌적 근거는 󰡔석씨회요󰡕와 같은
문헌이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19)

17) 󰡔석가여래행적송󰡕의 인용 전적에 대해서는 이영자, 앞의 논문, pp.78-83에서 분석되었다. 그


수는 무려 90종에 달하고 있으며, 원시경전으로는 26종의 경전이 48회, 5종의 율장이 13회, 5
종의 부파불교 논서가 13회 인용되고 있다. 대승경론으로는 13종의 경전이 56회, 4종의 율장
이 9회, 7종의 논서가 10회 인용되고 있다. 중국 찬술의 천태교학 주석은 10종이 17회, 기타
주석문은 10종이 14회 인용된다. 기타 항목으로는 9종의 논서가 14회 인용되고 있다.
18) 󰡔석가여래행적송󰡕(󰡔韓佛全󰡕 6, p.493中), “釋氏會要云 天臂城中 善覺長者 生八女子 淨飰
王皆迎入宮 以第一摩耶 第八波闍波提 自娶爲妑 餘六分與三箇弟王 各以爲妑.”
19) 이 책은 󰡔신편제종교장총록󰡕에 사문 인찬(仁贊)이 저술한 40권의 책으로 수록되어 있는데,
책의 이름만 전할 뿐 현존하지 않는다. 대각국사 의천이 󰡔신편제종교장총록󰡕에서 불교관련
문헌의 목록을 만들 때, 이 책이 언급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석씨회요󰡕가 고려시대에 알려져

- 66 -

www.dbpia.co.kr
󰡔석가여래행적송󰡕 라훌라 탄생설화에 대한 일고찰 67

어떤 경에서는 말한다. “태자에게는 세 명의 비가 있었다. 첫째는 구이(瞿夷)라고 하는


데 아이가 없었고, 둘째는 야쇼다라(耶輸陀羅)인데 라훌라를 낳았으며, 셋째는 구파(瞿
波)였는데 … ”20)

이 인용문은 태자비에 관한 이설을 소개하고 있다. 태자비의 이름에 구이(瞿夷) 야쇼


다라(耶輸陀羅) 구파(瞿波)라는 이름이 언급되고 있으며, 첫 번째 태자비는 구이로 소
개되어 있다. 실제로 태자비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12유경󰡕에는 태자에게
제1비 구이, 제2비 야쇼다라, 제3비 카노가 있었다고 전하고, 󰡔육도집경󰡕, 󰡔숫도다나경󰡕,
󰡔태자서응본기경󰡕에서는 라훌라가 구이의 아들이라고 말한다. 운문 무기는 47-48송에
서 태자비 야쇼다라의 간택과 결혼에 대해 설명한 뒤, ‘어떤 경에서는 말한다’고 하면서
주석의 형식으로 태자비 구이와 구파의 이름을 남겨놓고 있다.

그리고 여러 경론에서는 부처님이 태어나신 년, 월, 일을 서로 다르게 전하고 있다. …


중략 … 󰡔석씨회요󰡕에서는 인도와 중국 두 나라를 서로 접했던 삼장들이 전하는 바에 따르
면, 주나라 소왕 때 부처님께서 태어나셨다는 것이 이치에 가장 맞는 것이라고 말한다.21)

운묵 무기는 부처님이 태어나신 연, 월, 일에 대한 여러 가지 이설들이 있다는 것을 전


제한 뒤, ‘인도와 중국 두 나라를 서로 접했던 삼장들이 전하는 바에 따르면’이라고 말하
면서 󰡔석씨회요󰡕를 인용하고 있다. 이때 삼장이란 경(經) ․ 율(律) ․ 논(論) 3장을 의미할
수도 있고, 경 ․ 율 ․ 논 삼장에 정통한 사람을 가리킬 수도 있다. 여기에서 운묵 무기는 󰡔석
씨회요󰡕를 인도와 중국 두 나라에 대하여 신뢰할 만한 문헌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에 따르면, 주나라 소왕 때 부처님께서 태어나셨다는 것이 이치에 가장
맞을 것이라는 견해에 힘을 싣고 있기 때문이다.22)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지만, 그 내용은 전하지 않는다. 󰡔석가여래행적송󰡕을 통해 부분


적인 내용의 일부지만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석가여래행적송󰡕의 자료적 가치는 더욱 빛나
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20) 󰡔석가여래행적송󰡕(󰡔韓佛全󰡕 6, p.495中), “又有經云 太子有三妑 第一名瞿夷 不孕 第二名
耶輸陀羅 生羅睺羅 第三名瞿波 云云.”
21) 󰡔석가여래행적송󰡕(󰡔韓佛全󰡕 6, p.494中-下), “又諸經論傳 佛生年月日等 互說不同. … 중략
… 是以釋氏會耍云 兩方相接三藏所傳 以周昭王時佛生 理爲長也.”
22) 운묵 무기는 “만약 주나라의 역법을 기준으로 한다면, 지금 강표(江表) 지방에서 쓰는 역법으
로도 사월(巳月, 즉 4월)에 부처님이 태어나셨다고 하는 것은 잘못이다. 󰡔살바다론󰡕에서 말
했듯이, 2월 8일에 부처님이 태어나신 것이 분명하다”라고 덧붙인다. 강표 지방은 양자강의

- 67 -

www.dbpia.co.kr
68 佛敎學報 第76輯

운묵 무기의 말대로 ‘소승과 대승의 차이’로 인해 석존의 생애에 관한 여러 가지 전승


이 존재했다는 것을 인정한다면, 결혼 풍습과 같은 문화적 차이로 인한 전승의 차이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태자비의 이름에 관한 서로 다른 전승이 인용경전의 이름
을 밝히지 않은 채 유통되기도 했을 것이다. 이때 운문 무기는 어떤 태도를 취했던 것일
까. 중요한 것은 그가 원시경전은 물론 중국찬술 문헌까지 여러 가지 문헌에 근거하여
석가여래의 일대기를 구성하면서, 󰡔석씨회요󰡕와 같이 ‘인도와 중국 두 나라를 서로 접
했던 삼장들이 전하는 바’를 담고 있는 문헌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점이다. 이 문헌이 현
존하지 않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지만, 󰡔석가여래행적송󰡕을 통해 일부나마 접할 수 있다
는 점에서 󰡔석가여래행적송󰡕이 지니는 문헌적 가치는 더욱 소중하다고 말할 수 있다.
석존의 출가를 전후로 라훌라의 탄생시기가 문헌마다 서로 다른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Ⅲ. 라훌라의 탄생설화
라훌라(Rāhula)는 널리 아는 바와 같이 석존의 아들을 말한다. 라훌라라는 이름은 한
역으로 羅睺羅 ․ 羅怙羅 ․ 羅云 등으로 음사되었고 障碍 ․ 障月 ․ 覆月 ․ 覆障 등으로 의역
되었다. 그는 후에 출가하여 밀행제일이라 불리는 십대제자가 된다.
라훌라라는 이름은 ‘장애(障碍)’를 의미하고, 출가를 결심한 석존에게 장애가 태어났
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널리 알려져 있다. 󰡔중허마하제경󰡕에서는 야쇼다라 왕비가 아이
를 낳을 때 월식이 있었기 때문23)이라고 하고,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에서는
아이가 손에 달을 쥐고 태어났기 때문24)이라고도 한다.
라훌라의 탄생과 관련된 전승들을 살펴보면, 석존의 출가 이전설과 이후설로 크게 구
분될 수 있다. 󰡔자타카(Jātaka)󰡕 제1권에 있는 「니다나카타(Nidānakatha)」는 석존의 출

동쪽으로 지금의 강소성을 말하고, 하나라의 역법을 사용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주
나라 역법은 ‘자월(子月)’을 정월로 삼았고, 하나라 역법은 ‘인월(寅月)’을 정월로 삼았던 점
을 고려해야 한다. 주나라 역법에서 부처님이 탄생하신 달은 ‘묘월(卯月)’ 즉 4월이므로, 하나
라 역법으로는 4월이 아니라 2월로 삼아야 한다는 뜻이 된다. 정봉 ․ 법장스님, 󰡔석가여래행
적송사기󰡕(남양주: 도서출판 佛泉, 2005), pp.216-217 참조.
23) 󰡔중허마하제경󰡕 권6(󰡔大正藏󰡕 3, p.950下), “耶輸陀羅 生子之時 月有蝕障 名羅護羅.”
24)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 권12(󰡔大正藏󰡕 24, p.158下), “羅怙羅手執於月 應與此兒
名羅怙羅.”

- 68 -

www.dbpia.co.kr
󰡔석가여래행적송󰡕 라훌라 탄생설화에 대한 일고찰 69

가 이전에 라훌라가 태어난 일과 라훌라 명명에 관한 고사를 자세히 전해주고 있다. 싯


다르타 태자가 출가를 결심하였을 때, 정반왕은 왕위를 이을 후손 없이는 출가할 수 없
다고 만류한다. 이후 야쇼다라가 출산하였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싯다르타 태자는 “장
애가 태어났다, 속박이 태어났다(Rāhulo jāto, bandhanam jātan)”25)라고 말한다. 이 말을
전해들은 정반왕이 ‘라훌라’라고 이름 지은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석존이 출가
하던 밤에 어린 아이를 한 번 보고자 하는 생각으로 침실에 들려 어머니의 품에 안겨 잠
자고 있는 아이를 보았는데, 아이를 안으면 왕비가 눈을 떠 출가를 막게 될 것이라고 생
각하고 그냥 그곳을 떠났다고 기술되어 있다.
석존의 출가를 기술하면서 모든 문헌이 아들 라훌라의 탄생을 별도로 언급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마명의 󰡔불소행찬󰡕도 라훌라의 탄생이 석존의 출가 이전이라고 간주하지
만, 그 시기는 따로 정해져 있지 않다. 이처럼 󰡔자타카󰡕에서 석존의 출가 이전에 라훌라
가 탄생했다고 전하는 것과 달리, 󰡔잡보장경󰡕, 󰡔대지도론󰡕 등에서는 석존이 깨달음을
얻던 밤, 라훌라가 태어났다고 전한다.26)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에서도 라훌
라의 탄생을 석존이 깨달음을 얻던 밤이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에 대하여 “그 보살이
성을 넘어 출가할 당시에 야쇼다라는 임신 중이었다. 보살이 6년 동안 고행을 하고 있을
때 야쇼다라도 왕궁에서 또한 고행을 하였으니 이러한 인연 때문에 태아도 뱃속에 들어
있었다”27)라고 설명된다. 이와 같은 전승에는 석존의 출가와 야쇼다라의 회임, 석존의
6년 고행과 야쇼다라의 6년 임신, 석존의 성도와 라훌라의 탄생을 극적으로 연관 짓고
자 했던 전승자의 의도가 배어 있다고 생각한다.
이처럼 라훌라의 탄생시기와 관련하여 석존의 출가 이전설과 출가 이후설이 크게 구
분된다. 전자는 남방전승에 후자는 북방전승에 치우쳐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 점에
관해서 단순하게 결정할 수는 없다. 󰡔석가여래행적송󰡕의 찬집 당시에도 라훌라의 탄생
시기에 대해서 많은 의문이 제기되었을 것으로 짐작되는데, 이 문제를 서술하는 운묵 무
기의 관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52송과 53송에서는 태자가 출가하고자 하니
정반왕이 울면서 허락하지 않았고, 만일 뒤를 이을 아들이 있다면 출가를 허락하리라고
말하는 대목이 상세하게 묘사된다. 그러자 태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 것으로 되어 있다.
태자는 부왕의 말을 따르기로 하고서

25) Jātaka. vol.Ⅰ, p.60.


26) 󰡔잡보장경󰡕 권10(󰡔大正藏󰡕 3, p.496中). ; 󰡔대지도론󰡕 권17(󰡔大正藏󰡕 25, p.182中), “於初成
道夜 生羅睺羅.”
27)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 권12(󰡔大正藏󰡕 24, p.158下), “若彼菩薩踰城出外 當爾之
時 耶輸陀羅即便有娠 菩薩六年苦行 耶輸陀羅 於王宮中亦修苦行 由是因緣胎便隱腹.”

- 69 -

www.dbpia.co.kr
70 佛敎學報 第76輯

태자비의 배를 가리키며
“이후 6년이 지나면
반드시 아들을 낳으리라” 하시네.28)

이것은 54송의 게송으로 태자가 6년이 지나 라훌라가 탄생하리라는 것을 스스로 예


고하는 장면을 담고 있다. 여기에서 보이는 “이후 6년이 지나면 반드시 아들을 낳으리라
(却後第六年 必當生男子)”라는 문구는 󰡔태자서응본기경󰡕, 󰡔과거현재인과경󰡕 등에서
도 찾아볼 수 있다.29) 후대의 불전자료인 󰡔석가보󰡕, 󰡔석가씨보󰡕, 󰡔석문정통󰡕, 󰡔불조통
기󰡕에서도 이와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문헌들은 앞에서도 살펴보았듯이 󰡔석
가여래행적송󰡕에 자주 인용되고 있는 주요 전적들이다. 운묵 무기가 석가여래의 일대
기를 찬술하면서 참고하였던 문헌들 속에 석존이 출가한 후 6년이 지나 라훌라가 태어
났다는 이야기가 상당히 많은 문헌적 근거를 지니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운묵 무기는 이러한 전승에 무게를 두고, 54송의 게송에서 이 내용을 다루고 있다. 여러
가지 이설 가운데 하나를 설명하는 주석의 형식이 아니었던 것이다. 즉 운묵 무기가 이
와 같은 전승을 신뢰할 만한 문헌적 근거를 지닌 사건으로 간주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아이가 어머니의 뱃속에 6년 동안 머무는 일은 가능한 것일까. 이것은 인간의
임신과 아이의 출산 과정을 상식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더욱이 출
가로 인해 부재중인 석존의 아내가 아이를 낳았다는 것은 카필라국에서 그녀를 의심하
는 사태를 초래한다. 정반왕이 라훌라를 보고, ‘이 아이는 석존의 아이가 아닐 것’이라고
의심하는 일이 벌어졌던 것이다. 󰡔석가여래행적송󰡕 54송의 주석에서 이와 같은 내용이
자세히 묘사된다.

그리하여 태자가 출가하고 6년이 지나 야수다라는 과연 아들 하나를 낳았다. 석가족 사


람들은 모두 진노하여 왕비의 죄를 다스려 죽이고자 하였다. 왕비는 불구덩이 앞에서 “내
가 그르다면 자식과 어미 모두 죽을 것이요, 태자가 남긴 자손이라면 하늘은 마땅히 증명
하여 주소서”라고 맹세하고는 아들을 안고 불구덩이 속으로 뛰어들었다. [그러자 불구덩
이는] 변하여 연못이 되고 연꽃이 그 몸을 받아주었다. 왕과 대신들은 비로소 더 이상 의심
하지 않게 되었다.30)

28) 󰡔석가여래행적송󰡕(󰡔韓佛全󰡕 6, p.496上), “太子順父語 指其妑腹言 却後第六年 必當生男子.”


29) 󰡔태자서응본기경󰡕 권1(󰡔大正藏󰡕 3, p.475上). ; 󰡔과거현재인과경󰡕 권2(󰡔大正藏󰡕 3, p.632中).
30) 󰡔석가여래행적송󰡕(󰡔韓佛全󰡕 6, p.496上), “旣而太子出家 後六年 耶輸果生一子 諸釋咸嗔

- 70 -

www.dbpia.co.kr
󰡔석가여래행적송󰡕 라훌라 탄생설화에 대한 일고찰 71

이 인용문은 라훌라의 탄생 과정을 의심받게 된 야쇼다라가 “내가 그르다면 자식과


어미 모두 죽을 것이요, 태자가 남긴 자손이라면 하늘은 마땅히 증명하여 주소서”라고
말하며, 불구덩이에 뛰어들어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는 에피소드를 담고 있다. 모자가
불구덩이에 뛰어들자, 불구덩이는 연못으로 변하여 연꽃이 그들을 받아주는 기이한 일
이 일어난다.
야쇼다라가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 불구덩이에 뛰어드는 에피소드는 󰡔잡보장경󰡕31)
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유사한 내용을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흥미로운 것은 야쇼다라가 불구덩이로 뛰어드는 대신, 연못 속에 라훌라를
던져 넣는 형태로 변형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아이는 보살의 아들이 아니다”라는 석가족들의 의심에 대하여, 야쇼다라는 통곡을


하면서 예전에 보살이 목욕하던 곳에 라훌라를 데려다 놓고 맹세하며, “이 아이가 만일 보
살의 아들이라면 물에 들어가자마자 떠오르고 만약 보살의 아이가 아니라면 물속으로 가
라앉을 것입니다.” 이와 같이 말하자마자 라훌라는 돌과 함께 물 위로 떠올라 가라앉지 않
았다.32)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에 보이는 이 인용문에는 야쇼다라가 결백을 증명하


는 일이 연못 속에 라훌라를 던져 넣는 것으로 형태가 바뀌어 있다. 유사한 형태의 이야
기가 󰡔불설중허마하제경󰡕에서도 마찬가지로 확인된다.33)
이와 같은 라훌라의 탄생설화에 대하여 나미카와 다카요시(並川孝儀)는 “불교의 시
조와 그 아들이라고 하면, 성역에 해당하는 만큼 그 내용에 크게 놀라운 점이 있다. 무엇
때문에 이러한 내용이 기록되어 전승되었던가”34)라고 묻고 있다. 그의 물음은 석가일
대기의 문헌 자료들이 전하는 내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비판적으로 바라
볼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의 발로일 것이다. 석존의 생애에 관한 특정한 이야기에 대하
여 사건의 사실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어려운 일임에 틀림없다. 그렇다면 우리가 할 수

欲治欲殺. 妑臨火坑誓曰 我若爲非 子母俱滅 若其遺體 天當爲證 因抱子投坑. 變爲蓮池 蓮


華奉體. 王及國人 始復不疑.”
31) 󰡔잡보장경󰡕 권10(󰡔大正藏󰡕 4, 496中-497中).
32)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 권12(󰡔大正藏󰡕 24, pp.158下-159上).
33) 󰡔중허마하제경󰡕 권6(󰡔大正藏󰡕 3, pp.950下-951上).
34) 並川孝儀, 「ラーフラ(羅睺羅)の命名と釈尊の出家」, 󰡔仏教大学総合研究所紀要󰡕 通号4,
(京都: 仏教大学総合研究所, 1997), p.24.

- 71 -

www.dbpia.co.kr
72 佛敎學報 第76輯

있는 일은 그러한 이야기들이 지니고 있는 설화적 장치와 의도를 읽어내는 일이 아닐까


생각한다.
라훌라의 탄생을 석존의 출가 이후로 보는 전승자료에서는 출가와 성도 및 6년간의
고행과 나란히 야쇼다라의 회임과 출산 및 6년간의 임신을 드라마틱하게 짝지어 놓은
전승자의 의도를 읽어낼 수 있다. 야쇼다라가 불구덩이에 뛰어들거나 연못에 라훌라를
던져 넣어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는 변형된 에피소드들은 라훌라 탄생설화의 극적인 긴
장감을 증대시키고 있다. 나아가 6년 동안의 임신을 정당화할 수 있는 새로운 설화적 장
치가 필요했다고 판단되는데, 라훌라 ‘6년 태내설’이라는 전생담이 바로 그것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Ⅳ. ‘6년 태내설’의 전생담


석존이 라훌라의 탄생을 예언한 󰡔석가여래행적송󰡕 54송 아래의 주석에는 태자가 출
가하고 6년이 지나 야쇼다라가 과연 아들을 낳은 일, 석가족 사람들이 야쇼다라를 의심
한 일, 야쇼다라가 불구덩이 앞에서 자신의 결백을 증명한 일을 기록한 이후에 이러한
일이 생겨난 인연으로 라훌라의 전생담이 부연된다. 운문 무기는 경전의 이름을 밝히지
않은 채 ‘어떤 경에서는 말한다’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기록한다.

라훌라는 전생에 한 국왕이었다. 그의 형이 세간을 등지고 도사가 되어 대중에 참여하


여 도를 닦다가, 어느 날 밤 남의 물병에 담긴 물을 잘못 사용하였다. 날이 밝자 그는 “법대
로 벌하여 주소서”라며 대중을 향해 참회하였다. 대중들은 상의하여 “이것은 사실 허물이
아니니 허락할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그가 다시 왕의 처소에 가서 죄를 다스려 달라고 간
절히 청하였으나, 그 죄가 가벼웠기 때문에 감옥에 가두지 않고 후원에 잠시 가두었다. 그
런데 무슨 일 때문에 깜박 잊고서 엿새 동안 열어주지 않았다. 이런 인연으로 6년 동안 [라
훌라는] 태에 있게 되었다.35)

위 인용문이 전하는 라훌라의 전생담은 한 수행자가 남의 물병에 담긴 물을 사용한

35) 󰡔석가여래행적송󰡕(󰡔韓佛全󰡕 6, p.496上), “羅睺羅 宿世作一國王 其兄捨世 而爲道士 預衆


修道 一夜誤用他瓶之水 明向衆懺 願以法罰 道衆議言 此非實垢 而不用聽 復詣王所 切請
治罪 其罪輕故 不囚囹圄 乍禁後園 因事忘之 六日不開 以是因緣 六年在胎.”

- 72 -

www.dbpia.co.kr
󰡔석가여래행적송󰡕 라훌라 탄생설화에 대한 일고찰 73

경미한 잘못에서 시작된다. 국왕의 형이기도 했던 이 수행자는 대중 앞에 참회를 청한


다. 국왕은 허물이 아니니 처벌할 필요가 없다고 하지만, 죄를 다스려 달라고 간절히 청
하므로 그를 후원에 잠시 가두게 된다. 그런데 무슨 일 때문인지 국왕은 깜박 잊고서 엿
새 동안 문을 열어주지 않는다. 이런 인연으로 전생담 속의 국왕인 라훌라는 6년 동안 태
안에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라훌라 전생담은 누군가 지은 잘못은 아무리 경미한 것일지
라도, 그 과보를 피할 수 없다는 인과응보의 교훈을 전해주고 있다.
여기에 라훌라의 전생담과 마찬가지로 6년간 임신을 해야 했던 야수다라의 전생담도
덧붙여진다. 야수다라는 지난 겁에 어머니와 함께 길을 가는데 길은 멀고 몸은 피로하
여, 거짓으로 중요한 일이 있다 하고 지녔던 물건을 어머니에게 주어 먼저 가도록 한 뒤
자신은 뒤떨어져 6리쯤을 지났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야쇼다라는 6년 동안 아기를 품
는 과보를 받게 된다.36)
󰡔석가여래행적송󰡕에 보이는 라훌라의 탄생설화는 이처럼 ‘석존의 예언 ⟶ 라훌라의
탄생 ⟶ 야쇼다라의 결백을 증명함 ⟶ 라훌라의 전생담 ⟶ 야쇼다라의 전생담’의 순서
로 구성되어 있다. 원시경전과 대승경전 및 중국 찬술의 문헌들 속에 산재해 있던 설화
들을 운묵 무기는 54송의 게송과 주석을 통해 한곳에 재구성해 놓았던 것이다.
󰡔석가여래행적송󰡕에 보이는 이와 같은 설화가 󰡔불본행집경󰡕에서는 조금 다른 형태
로 나타난다. 라훌라가 석존의 아들인가 아닌가를 의심하는 석가족에게 태자 자신이
“이 라훌라는 나의 아들이며, 오랜 숙업의 인연 때문에 태 안에서 6년을 있었다”라고 직
접 말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때 석존이 말씀하신 라훌라의 오랜 숙업의 대략적인 내
용은 다음과 같다.

먼 옛날 인천(人天)이라고 하는 왕이 있었고, 일왕자와 월왕자라는 두 명의 왕자가 있었


다. 아버지가 목숨을 다했을 때, 두 왕자는 함께 왕위를 버리고 출가를 하고자 하였지만, 결
국 일왕자는 월왕자에게 왕위를 양보하고 출가하고 말았다. 출가하여 선인이 된 그는 보시
된 물건이 아니면 칫솔[楊枝] 하나도 손에 넣지 않겠다고 서원했지만, 결국 다른 이의 병에
있는 물을 마시게 되었다. 그러자 다른 사람들이 서언을 어겼다는 것을 지적하자, 선인은
동생인 월왕에게 말하여 처벌을 받겠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들은 월왕은 이것은 도적도 아
무것도 아니라고 말했지만, 원한다면 나의 정원에 잠시 머물며 수도하라고 말하였다. 그리
하여 선인은 6일간 머물렀다. 석존은 이 전생담에 관련하여, “이 때의 선인은 나였고, 월왕

36) 󰡔석가여래행적송󰡕(󰡔韓佛全󰡕 6, p.496中), “又耶輸陁羅往劫與母偕行 路遠身疲 妄稱要緣


所持之物 寄母先行 故落後行 經六里許 由是之故 六年懷姙.”

- 73 -

www.dbpia.co.kr
74 佛敎學報 第76輯

은 지금의 라훌라이다. 6일간 왕의 정원에 머물게 하였기 때문에, 그 업으로 어미의 태 안


에서 6년간 머물렀던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37)

여기에서도 라훌라의 전생담은 ‘보시된 물건이 아니면 칫솔 하나도 손에 넣지 않겠다


고 서원했지만, 결국 다른 이의 병에 있는 물을 마시게 된’ 일왕자의 경미한 잘못에서 비
롯한다. 마찬가지로 경미한 잘못이긴 하지만 월왕자가 그를 ‘6일간 왕의 정원에 머물게
하였기 때문에, 그 업으로 어미의 태 안에서 6년간 머물렀다’는 것이 라훌라 전생담의
주요 골격인 셈이다.
이러한 6년 태내설과 전생담의 내용은 몇몇 문헌들 속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흥미로
운 몇 가지를 이야기 한다면, 󰡔마하승기율󰡕의 경우38), 비구들이 어찌하여 라훌라가 6년
간 태 안에 있었는가를 질문하고, 석존이 직접 답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옛날에
이파도(梨波都) 선인이 있었는데, 왕에게 면담을 원했지만, 왕은 잠시 정원에 머물라 하
고는 6일간 만나주지 않았다. 그때의 왕이 라훌라이고, 그런 인연으로 6년간 태내에 머
물렀다고 설명된다. 󰡔육도집경󰡕의 경우39), 라훌라를 낳은 어머니의 이름은 구이(俱夷)
로 되어 있고, 어떤 바라문이 석존에게 죄를 다스려주기를 청한 것으로 되어 있다. 석존
은 바라문을 가두게 되었는데, 그 일을 깜빡 잊어버린다. 6일 동안 그를 굶게 하였으므로
석존은 6년의 재앙을 마치고 도를 이루게 된 것이며, 굶주린 바라문이 일어나다 비틀거
린 것을 보고 웃은 탓에 구이는 6년간 임신을 하게 된다. 이처럼 각각의 에피소드들에 나
오는 인물들의 이름과 사건이 조금씩 다르지만, 전생에 지은 악업에 대한 과보로서 6년
간 모태에 머물렀다는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6년태내설 관련 문헌>

문헌 내용
其羅睺羅 今以過業所逼惱故 在胎六年(T3, 888a)
불본행집경
其羅睺羅 真我之子 但是往昔業緣所逼 在胎六年(T3, 906c)
잡보장경 佛初出家夜 佛子羅睺羅 始入于胎...於初成道夜生羅睺羅(T4, 496b)
오백제자자설본기경 處在母腹中 六年乃得生(T4, 199b)
時王者 則吾身是也 夫人者 俱夷是 太子者 羅云是...六日之後王身供養故 今六
육도집경
年殃畢道成 俱夷笑之 今懷羅云六年重病(T3, 30b)
대지도론 汝子羅睺羅 過去久遠世時 曾作國王...以是因緣故 受五百世三惡道罪 五百世

37) 󰡔불본행집경󰡕 권55(󰡔大正藏󰡕 3, pp.907上-908上) 요약.


38) 󰡔마하승기율󰡕 권17(󰡔大正藏󰡕 22, p.365下).
39) 󰡔육도집경󰡕 권5(󰡔大正藏󰡕 3, p.30中).

- 74 -

www.dbpia.co.kr
󰡔석가여래행적송󰡕 라훌라 탄생설화에 대한 일고찰 75

常六年在母胎中(T25, 182c)
往昔有仙人 名梨波都 詣王求相見 王報仙人 汝且住無憂園中 須臾當與相見 作
마하승기율
是教已 乃至六日不與相見 爾時王者羅睺羅是 以是因緣故 六年在胎(T22, 365c)
時有一林多諸花菓 有兄弟二人 一名商佉 二名里企多...佛告諸苾芻昔梵授王今
근본설일체유부파승사 羅怙羅是 為前生時起嗔心故 不許東西 乃經六日故 今六年以業力故 在母胎中
今六年以業力故 在母胎中(T24, 162bc)

그렇다면 어머니의 뱃속에 6년 동안 있다가 세상에 나왔다는, 이러한 비상식적인 탄


생의 또 다른 사례는 없는 것일까. 󰡔석가여래행적송󰡕 상권의 말미에는 인도의 전등조사
23인을 설명하는데, 상나화수존자와 협존자의 탄생이 눈길을 끈다. 제3세인 상나화수
는, 󰡔석씨계고략󰡕, 󰡔경덕전등록󰡕 등에 따르면, 6년간 모태에 있었다고 전한다.40) 또한
일찍이 옆구리를 땅에 대고 누워 본 적이 없기 때문에 ‘협비구’라 불리었던 협존자는, 󰡔부
법장인연전󰡕에 따르면, 60여년을 태내에 있었다고 전한다.41) 이들이 어떤 숙업으로 모
태에 6년 혹은 60여년을 있었는지는 전하지 않기 때문에 관련된 설화를 확인할 수 없지
만, 라훌라와 마찬가지로 모태에 오랜 시간 머물렀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들의 탄생
담은 인도의 전등조사의 기이한 탄생을 나타내는 상징적 표현으로 보이는데, 라훌라의
6년 태내설과 전생담 역시 인도적 전통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라훌라 6년 태내설은 형태가 조금씩 다르지만, 󰡔불본행집경󰡕, 󰡔잡
보장경󰡕,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 등의 원시경전과 󰡔석가보󰡕, 󰡔석가씨보󰡕, 󰡔석
문정통󰡕, 󰡔불조통기󰡕와 같은 후대의 불전자료에서 전승상의 계통을 추적해볼 수 있다.
운묵 무기가 󰡔석가여래행적송󰡕을 찬술하던 당시에는 석존의 출가 이후 라훌라가 탄생
했다는 전승이 그의 전생담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유포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
러한 전승은 조선시대에 찬술된 󰡔월인천강지곡󰡕에도 계승되어 나타난다. 나운(羅雲)이
라는 이름으로 라훌라의 탄생(其 59~60)과 친자확인의 에피소드(其 137)가 다뤄지고
있기 때문이다.42) 석가여래의 일대기를 바르게 전승하여 올바른 승가교육의 계기로 삼

40) 󰡔석씨계고략󰡕 권1(󰡔大正藏󰡕 49, p.755下), “ 三祖商那和修尊者 摩突羅國人也 亦名舍那婆


斯 姓毘舍多 父林勝 母嬌奢耶 在胎六年而生.” ; 󰡔경덕전등록󰡕 권1(󰡔大正藏󰡕 51, p.206下),
“第三祖商那和修者 摩突羅國人也 亦名舍那婆斯姓毘舍多 父林勝 母憍奢耶 在胎六年而
生 梵云商諾迦 此云自然服 即西域九枝秀草名也.”
41) 󰡔부법장인연전󰡕 권5(󰡔大正藏󰡕 50, p.341中), “在昔尊者佛陀蜜多 化緣既訖將欲捨壽 告一
弟子名脇比丘 汝當於後廣敷聖教 化諸眾生令得解脫 白言大師 敬承尊教 我當至心守護正
法 彼脇比丘由昔業故 在母胎中六十餘年.”
42) 김기종, 「月印千江之曲의 底經과 문학적 성격 연구」, 박사학위논문(동국대학교대학원,
2006), pp.102-103 참조. 나운 설화의 저경(底經)으로는 역시 󰡔불본행집경󰡕, 󰡔잡보장경󰡕, 󰡔석

- 75 -

www.dbpia.co.kr
76 佛敎學報 第76輯

고자 했던 운묵 무기의 바램은 고려시대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까지 계승되었던 것이


다. 󰡔석가여래행적송󰡕의 간행과 유포가 16세기와 18세기까지 계속되었던 것이 이를 말
해준다.43)

Ⅴ. 결론
고려말 14세기에 저술된 운묵 무기의 󰡔석가여래행적송󰡕에는 석가여래의 행적과 설
법하신 내용이 연대기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석가여래행적송󰡕은 운묵 무기의 말대로
“여러 경론 가운데 두드러지는 말씀을 모으고, 여러 전기에 나타난 말씀을 자세히 살펴
서” 수많은 전거들을 인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려시대 불교문헌의 전승 양태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갖고 있다.
석가여래일대기의 연대기적 기술에 있어서 석존의 80여년 삶에 대한 대략적인 내용
은 일치하지만, 세부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이설들이 존재한다. 석존의 출가
이전에 라훌라가 태어났다는 전승과 달리, 석존이 깨달음을 얻던 밤에 태어났다고 전하
는 것은 그 한 가지 사례가 될 것이다. 이러한 전승은 라훌라의 탄생과 석존의 깨달음을
효과적으로 연관 짓고 있지만, 야쇼다라가 6년 동안 임신하고 있었다는 불합리한 점을
지닌다. 이에 따라 야쇼다라가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는 에피소드가 삽입되거나, 모태에
6년간 머물러야 했던 이유에 관한 라훌라의 전생담이 전승되기도 한다.
󰡔석가여래행적송󰡕은 라훌라의 탄생에 대하여 석존의 출가 후 6년이 지나 태어났다
는 설을 중심으로 관련 설화들을 집성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의 문헌적 근거는 당시 운
묵 무기가 참고하였던 󰡔태자서응본기경󰡕, 󰡔과거현재인과경󰡕 등의 원시경전과 󰡔석가보󰡕,
󰡔석가씨보󰡕, 󰡔석문정통󰡕, 󰡔불조통기󰡕 등의 불전자료에 기초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야쇼다라가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 불구덩이에 뛰어드는 에피소드는 󰡔잡보장경󰡕 등에
서 찾아볼 수 있으며, 연못 속에 라훌라를 던져 넣는 변형된 형태도 󰡔근본설일체유부비
나야파승사󰡕 등에서 확인된다. 라훌라의 전생담 역시 󰡔불본행집경󰡕, 󰡔잡보장경󰡕, 󰡔육
도집경󰡕, 󰡔마하승기율󰡕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인물들의 이름과 사건은 각기 다르지
만, 전생에 지은 악업에 대한 과보로서 라훌라가 6년간 모태에 머물렀다는 내용은 동일

가보󰡕 등이 분석되었다.
43) 박소영, 「高麗後期 雲默의 󰡔釋迦如來行蹟頌󰡕 硏究」, 박사학위논문(동국대학교대학원,
2011), p.252.

- 76 -

www.dbpia.co.kr
󰡔석가여래행적송󰡕 라훌라 탄생설화에 대한 일고찰 77

하다.
라훌라의 탄생에 관한 󰡔석가여래행적송󰡕의 게송과 주석들은 여러 문헌에 흩어져 있
는 개별적인 이야기들을 설화적 요소의 흐름에 따라 재구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여준
다고 생각한다. 또한 관련 설화의 인용문헌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고려시대에는 석존의
출가 이후에 라훌라가 탄생했다는 전승이 그의 전생담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유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라훌라 6년 태내설의 연원과 그 의미까지 밝혀보
고자 하였으나, 연구자의 능력이 모자라 이에 미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다
만 라훌라의 탄생설화를 통해 고려시대에 전승되었던 석가여래일대기의 양상을 일부
나마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지 않았을까 싶다.

- 77 -

www.dbpia.co.kr
78 佛敎學報 第76輯

<참고문헌>

1. 원전

󰡔석가여래행적송󰡕, 󰡔韓佛全󰡕 6.
󰡔대지도론󰡕, 󰡔大正藏󰡕 25.
󰡔마하승기율󰡕, 󰡔大正藏󰡕 22.
󰡔범망경󰡕, 󰡔大正藏󰡕 24.
󰡔불본행집경󰡕, 󰡔大正藏󰡕 3.
󰡔설일체유부파승사󰡕, 󰡔大正藏󰡕 24.
󰡔육도집경󰡕, 󰡔大正藏󰡕 3.
󰡔잡보장경󰡕, 󰡔大正藏󰡕 4.
󰡔중허마하제경󰡕, 󰡔大正藏󰡕 3.
󰡔태자서응본기경󰡕, 󰡔大正藏󰡕 3.
Jātaka. vol.I, Pali Text Society.

2. 단행본

월운스님 역, 󰡔우리말 석가여래행적송󰡕, 서울: 동문선, 2004.


월운스님 현토, 󰡔석가여래행적송󰡕, 남양주: 도서출판 佛泉, 2002.
이병욱,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서울: 혜안, 2002.
정봉 ․ 법장스님, 󰡔석가여래행적송사기󰡕 상 ․ 하, 남양주: 도서출판 佛泉, 2005.
채상식, 󰡔고려후기불교사연구󰡕, 서울: 일조각, 1991.
학담스님 역, 󰡔석가여래행적송󰡕, 서울: 조계종출판사, 2001.

3. 논문

김기종, 「月印千江之曲의 底經과 문학적 성격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대학원,

- 78 -

www.dbpia.co.kr
󰡔석가여래행적송󰡕 라훌라 탄생설화에 대한 일고찰 79

2006.
박소영, 「高麗後期 雲默의 󰡔釋迦如來行蹟頌󰡕 硏究」,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대학원,
2011.
박소영, 「󰡔釋迦如來行蹟頌󰡕に見られる釋迦如來一代記」, 󰡔叡山学院研究紀要󰡕 30호, 滋
賀: 叡山学院, 2008, pp.118-140.
박소영, 「天台思想史における 󰡔釋迦如來行蹟頌󰡕の文獻學的意義」, 󰡔천태학연구󰡕 10호,
서울: 천태불교문화연구원, 2007, pp.259-294.
서윤길, 「운묵의 천태염불」, 󰡔한국천태사상연구󰡕,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3.
이병욱, 「운묵의 釋迦如來行蹟頌에 나타난 회통사상연구」, 󰡔불교학연구󰡕 창간호, 서울: 불
교학연구회, 2000, pp.161-188.
이영자, 「無寄의 天台思想-석가여래행적송을 중심으로」, 󰡔한국불교학󰡕 제3집, 서울: 한국
불교학회, 1977, pp.77-103.

楠山春樹, 「中国仏教における釈迦生滅の年代」, 󰡔平川彰博士古稀記念論集󰡕, 東京: 春


秋社, 1985.
望月海淑, 「羅睺羅をめぐって」, 󰡔身延論叢󰡕 Vol.10, 山梨県: 身延山大學佛敎學會, 2005,
pp. 41-62.
並川孝儀, 「ラーフラ(羅睺羅)の命名と釈尊の出家」, 󰡔仏教大学総合研究所紀要󰡕 通号4,
京都: 仏教大学総合研究所, 1997, pp.17-34.
菅野竜清, 「󰡔釈迦譜󰡕引用経典に関する一考察」, 󰡔大崎学報󰡕 通号152, 東京: 立正大学仏
教学会, 1996, pp.115-145.

- 79 -

www.dbpia.co.kr
80 佛敎學報 第76輯

<Abstracts>

A Study on the Story of Rāhula's Birth in The Eulogy of


Śākyamuni Tathāgatha's Achievement 󰡔釋迦如來行蹟頌󰡕)

Kim, Seong-Ock

The Buddhist literatures available today on the biography of Śakyamuni Tathagata


describe his life from birth to nirvāna. The basic story related to his leaving home and
attaining enlightenment is similar in all versions, but there are several small and large
differences in the details when we compare the versions from the south and the north
regions, that is, the Hīnayāna and Mahāyāna. We find many cases of contradiction in The
Eulogy of Ś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釋迦如來行蹟頌󰡕), written by Woonmuk
(雲默: date unknown). He was a monk of the Tiantai Sect (天台) of the late Koryo
Dynasty (高麗). The Eulogy of Ś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is a work that
concisely describes the life of Buddha and the essence of his teaching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se contradictions, especially regarding the time of the
Buddha leaving home and whether Rāhula was born by then or not. It is well known that
Rāhula was born before the Buddha's departure from home. However, there are versions
mentioning that Rāhula was born the night when the Buddha gained enlightenment. This
work effectively relates the Buddha's six years of asceticism and enlightenment attained
with Rāhula's birth, but this brings up the irrationality that Yaśodhara had to remain
pregnant for six years. To explain this matter, the writers inserted an episode that
Yaśodhara jumped into fire to prove her innocence. This must have been an element of
dramatic tension added to enhance the moral worth of the story. Moreover, it appears that
a series of stories about the previous life of Rāhula was made up as a narrative component
to justify the six-year pregnancy. This story about Rāhula being in mother's womb for six
years is described in The Eulogy of Ś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The story of Rāhula's birth and previous life has been handed down to us in The Eulogy
based on many references. It also reveals many aspects of the transmission of the

- 80 -

www.dbpia.co.kr
󰡔석가여래행적송󰡕 라훌라 탄생설화에 대한 일고찰 81

biography of Śakyamuni Tathagatha in the late Koryo Dynasty. The value of The Eulogy
of S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is greatly enhanced due to these revelations.

• Keywords
Biography of Śākyamuni Tathāgata, Buddha, Rāhula, Yaśodhara, Six years taenaeseol,
the story of past life, The Eulogy of Śākyamuni Tathāgata's Achievement.

논문접수일: 2016년 7월 24일, 심사완료일: 2016년 8월 24일,


게재확정일: 2016년 8월 30일.

- 81 -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