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특집 : 조선 지식인의 서학연구>

서양 성도(星圖)를 통해 본 조선시대 천문도(天文圖)의 특징*

전 용 훈 **

<목차>
Ⅰ. 머리말
Ⅱ. 천상열차분야지도 고구려 모본설의 재검토
Ⅲ.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인본(印本)과 복각(復刻)
Ⅳ. 전통 천문도의 제작법 재검토
Ⅴ. 서양 천문도의 전래와 변형
Ⅵ. 맺음말

[국문초록]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전통 천문도와 조선 후기에 전래한 서양식 천문도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를 검토하였다. 천상열차분야지도의 경우, 1913년 루퍼스의
연구 이후로 고구려 모본설이 정설로 굳어져왔다. 그러나 이 천문도의 최외각에
새겨 넣은 황도12궁명을 분석한 결과 모본은 고구려시대가 아닌 고려시대의 것
일 가능성이 대단히 높아졌다.
조선시대에 천상열차분야지도는 조선식 단일원형 성도의 전형으로 인식되었
다. 이 성도의 전통은 서양천문학과 서양식 성도가 전래한 조선후기까지 지속되

* 이 논문은 2015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5S1A5B4A01037366).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90 동국사학 64집(2018.6)

어 조선식 천문도의 특징을 형성했다. 18세기 중반에는 전통적인 단일원형 성도


를 서양식 양반구형 성도와 결합한 신구법천문도가 만들어졌다. 단일원형 성도
의 전통은 19세기에도 지속되었는데, 19세기의 단일원형 성도는 전통적 형식을
유지하면서도 수록 정보는 서양천문학의 최신 정보로 수정되었다.

□ 주제어
천문도, 루퍼스, 천상열차분야지도, 황도12궁, 단일원형 성도, 황도남북총성도

I . 머리말

전근대시대 한국천문학사에 관한 최초의 기술은 1770년 서호수(徐浩


修, 1736-1799)가 편찬한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 상위고(象緯考)
라고 할 수 있다.1) 이 책에서는 고대의 삼국시대부터 조선후기 18세기까
지 한국천문학사의 흐름을 종합하고 정리하였다. 천문학 연구의 연혁,
항성의 목록과 관측의 역사, 관측기기, 천문계산법, 그리고 역사적으로
관측된 천변(天變) 등을 망라하여 수록하였다. 그런데 『동국문헌비고』 상
위고는 전근대시기에 전통천문학에 밝은 유학자이자 관료에 의해서 정
리된 것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사실에 관한 정보는 많이 있지만, 한국에
서 이루어진 천문학적 활동의 역사적·과학적 의미를 탐구하는 과학사

1) 『동국문헌비고』는 1770년에 전체 13고(考) 140권이 출간되었다. 상위고의 편찬 경


위에 대해서는 유경로, 「『증보문헌비고』 상위고(象緯考) 해제」,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편, 『국역증보문헌비고』 제1책(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0), 15~20쪽; 문중양,
「『동국·증정·증보문헌비고』 <상위고>의 편찬과 영정조대의 한국천문학」, 『진단
학보』 106, 2008 등을 참조.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