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8

신라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했다는 물품 목록에 관한 재고 -이븐 쿠르다지바(820~912)의 『諸

도로와 諸왕국지』를 중심으로-


Reconsidering the List of Silla’s Exports to the Islamic World: in Kitāb al-Masālik wa-al-Mamālik by Ibn Khurdādhbih

저자 정진한
(Authors) Jeong, Jin-han

출처 신라사학보 (48), 2020.4, 134-160(27 pages)


(Source) SILLASAHAKPO (48), 2020.4, 134-160(27 pages)

신라사학회
발행처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Silla History
(Publisher)

URL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29958

APA Style 정진한 (2020). 신라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했다는 물품 목록에 관한 재고 -이븐 쿠르다지바(820~912)의
『諸도로와 諸왕국지』를 중심으로-. 신라사학보(48), 134-160

이용정보 한국외국어대학교
203.253.93.***
(Accessed) 2020/09/16 15:23 (KST)

저작권 안내
DBpia에서 제공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누리미디어는 각 저작물의 내용을 보증하거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그리고
DBpia에서 제공되는 저작물은 DBpia와 구독계약을 체결한 기관소속 이용자 혹은 해당 저작물의 개별 구매자가 비영리적으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에 위반하여 DBpia에서 제공되는 저작물을 복제, 전송 등의 방법으로 무단 이용하는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민, 형사상의 책임을 질 수 있
습니다.

Copyright Information
Copyright of all literary works provided by DBpia belongs to the copyright holder(s)and Nurimedia does not guarantee contents of the literary
work or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 same. In addition, the literary works provided by DBpia may only be used by the users affiliated to the
institutions which executed a subscription agreement with DBpia or the individual purchasers of the literary work(s)for non-commercial
purposes. Therefore, any person who illegally uses the literary works provided by DBpia by means of reproduction or transmission shall
assume civil and crimin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applicable laws and regulations.
신라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했다는
물품 목록에 관한 재고
-이븐 쿠르다지바(820~912*)의 諸도로와
諸왕국지를 중심으로-**

60)정 진 한***

Ⅰ. 머리말 Ⅳ. 중국의 바다 동쪽에서 이슬람


Ⅱ. 이븐 쿠르다지바와 제도로와 세계로 가는 물품 목록
제왕국지 Ⅴ. 수입품 목록의 신라설을
Ⅲ. 제도로와 제왕국지 속의 신라 지지하는 근거와 반론
VI. 결론

* 본고에 나오는 모든 연도는 서력 양력인 그레고리 력을 기준으로 하며, 이슬람권에서 전


통적으로 사용해온 음력 히즈라력은 별도로 표기하지 않았다.
** 본고는 본인의 박사 논문의 일부와 2018년 한국학 중앙연구원 발표문 및 2019년 신라사
학회의 발표 일부를 발췌・심화한 내용을 담고 있다. Jeong Jin Han, “Creating Medieval
Islamic Geography by Using Korea” (PhD dissertation, SOAS, University of London,
2020): “The Position of Korea in the World History of the Islamic World: Silla and East
Asia for Al-Masʿūdī’s Worldview” World Congress of Korean Studies (September 13 2018):

2019, 「신라의 대( ) 아랍 수출품 목록에 관한 재고: 이븐 쿠르다딥바(820-912)의  (제) 諸

도로와 (제)왕국지를 중심으로」 신라사학회 세미나 (12월 21일).
***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 강사
주요 논저 : 「아랍-극동 간의 해로」 한국문명교류연구소 학술대회 논총 2, 2009 ;
“Expanding of the concept of the Silk Roads” IASS Conference 4, 2018 ; “Tracing
Wāqwāq: How Medieval Authors in the Islamic World Amalgamated Diverse Ancient and
Medieval Geographies” KAMES Conference, 4, 2019 외.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신라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했다는 물품 목록에 관한 재고 135

【국문초록】

본고는 중세 이슬람 세계와 동아시아 간의 무역 형태, 특히 신라와의 관계를 9세기 압


바스 조 궁정의 행정지리서인 이븐 쿠르다지바의 저서 제도로와 제왕국지의 분석을 통
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책은 당시 칼리파들의 지근 상대이자 제국의 우편, 통신, 정보의 수장이었던 저자
가 제국의 성립과 관리에 필요한 행정 지리 수요를 충족하고자 저술했다. 이 원고는 저서
에 적시된 ‘중국의 동쪽 바다’에서 이슬람 세계로 오는 11가지 품목의 역사적 사실성을
고찰하고, 그 물품들이 신라 원산인지 아니면 다른 지역산이거나 전혀 허구의 기록인지
여부를 문헌과 인지적 접근을 통해 풀어낸다.
문헌 연구를 통하여 본고는 저자와 저자의 경향, 저술 목적, 자료 획득과 유통, 변경,
왜곡, 편집 여부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이 목록은 실제 무역을 충실히 반영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하지만, 저서속의 신라가 차지하는 빈도와 분량을 중국과 비교하고, 무슬림 상
인들의 항로와 각 물품들의 특징, 그리고 당대 신라 상인들의 활동과 신라와 무슬림들간
의 양자 교류를 종합해본 결과, 목록 상의 모든 물품들이 신라에서 왔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결과적으로, 본고는 저서 속 모든 품목들이 신라에서 왔다고 믿긴 어렵지만 이
서방 선원들은 해당 11가지 상품들을 신라와 중국, 그리고 아마도 다른 동아시아 지역들
의 여러 곳에서 온 제품들을 모아놓은 것이라고 본다.

주제어 : 신라-아랍 교류사, 이슬람과 동아시아, 이븐 쿠르다지바, 제도로와 제왕국


지, 압바스 왕조, 이슬람 지리, 이슬람 역사, 문명교류, 문명간 교류사

Ⅰ. 머리말

중세 신라가 이슬람세계에 수출한 구체적인 물품의 종류에 관한 유일한 기록


은 이븐 쿠르다지바(Ibn Khurdādhbih1), 820-912)가 저술한 제도로와 제왕국지
(Kitāb al-Masālik wa-al-Mamālik)이다. 이 사료는 압바스 제국의 정보・통신・교통

1) 아랍어의 로마자 표기는 Encyclopaedia of Islam 3판을 기준으로 한다. 아랍어의 한글 표


기는 아랍어 원음에 가까운 발음을 따르되, 한국 학계에서 관용적으로 사용하는 표기가
있다면 이를 우선으로 한다.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136  新羅史學報 48 (2020.04.30)
의 수장인 우편국장(Ṣāḥib al-Barīd)이라는 최고위 관료가 남긴 가장 권위 있는
행정지리서이자 세계지리서2)이며, 동시에 이슬람 세계에서 남긴 가장 오래된 필
사본 중 하나이기에 이슬람제국의 대외 인식과 내치 및 국제교류에 관한 연구에
서 가장 빈번히 연구된 대상 중 하나이다.3) 또한 중세 이슬람세계가 남긴 신라
에 관한 여러 기록들 중 가장 오래된 기록이기도 하며4) 신라의 (대)서역교류 對
연구에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중의 하나이다.
이 저서에서 나오는 신라에 관한 내용은 중세 이슬람세계가 신라에 관해 저
술할 당시에 가장 많이 인용한 저본이다. 또한, 이 책 내용의 신빙성과 구체성
역시 현대 연구자들에 의해 그 편찬 목적의 실용성과 편찬자의 정보원 및 서술
태도에 기반하여 높은 평가를 받기에, 이 책에서 서술한 신라에 관한 내용 역시
대체적으로 사실에 부합하는 내용이 많다고 받아들여지고 있다.5)
하지만 본고에서 상술하듯 제도로와 제왕국지에서 제시한 “중국의 동쪽 바
다에서 이슬람 세계로 오는 물품들”에 대한 사료적 평가와 구체적인 해석에 관
해서는 상반된 시각들 또한 존재한다. 특히 이 물품들을 누가 이슬람세계에 수
출하였는가에 관한 의견은 상당수 국내학자들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신라의 대
이슬람세계 수출품이라는 평가6)와, 이와는 다른 견해를 보이는 일부 한국 학자
들 및 대다수 해외학자들7) 간의 일치를 보지 못해오고 있다.

2) Helaine Selin,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rn Cultur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423~424쪽.
3) Paul Heck,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in Islamic Civilization: Qudāma bin Ja ‘far
and His Kitāb Al Kharāj Wa-Sinā ‘at Al-Kitāba; Jeong “Creating the Medieval Islamic
Geography by Using Korea,” 95~96쪽 참조.
4) 후술하듯 그의 제도로와 제왕국지의 초간본은 848년에 저술되어, 상인 술레이만의 저
술보다 약 3년이 빠르다. 하지만 현존하는 제도로와 제왕국지는 9세기 후반에 간행된
것이다. 또한 술래이만 역시 그의 정보를 10세기에야 알-시라피에 의해 출간한다.
5) Jeong, op. cit, 99~104쪽.
6) Chung Kei Won and George F. Hourani, “Arab Geographers on Korea,”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58, no. 4 (1938) : 658–61; 정수일 (출판저자명: 무함마드 깐
수), 1992, 신라서역교류사 단대출판부 ; 이용범, 1969, 「처용설화의 일고찰」 진단학
보 32 ; 이희수, 1991, 한이슬람 교류사 문덕사 ; 김문경, 2006, 9세기 후반 신라인의
해상활동 재단법인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06 : 92~3쪽, 주석94 ; 김창석, 2006, 「8-10
세기 이슬람 제종족의 신라 來往
과 그 배경」 한국 고대사 연구 44쪽, 93-126; 박남수,
2011 한국고대의 동아시아 교역사, 주류성 등.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신라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했다는 물품 목록에 관한 재고 137

이에 본고는 우선 문헌 사료의 신라에 관한 구절을 문구대로 해석한 후, 해당


구절을 전체 사료의 구성 속에서 다시 읽는다. 그리고 그 내용을 당대 이슬람 세
계의 시대적 수요와 작가가 해당 문헌을 저술한 목적에 비추어 다시 한 번 맥락
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작가가 인지한 신라・이슬람 관계를 당대 두 세계간의
역사적 사실과 비교하여 본문 속의 무역품의 성격과 내용을 검증 한 후, 이 물품
들 전체가 신라에서 온 것인지 아니면 신라를 포함한 다른 동아시아에서 온 것
인지 만을 검증해보려 한다. 따라서 본고는 전체 품목의 성격만을 확인 할 뿐,
개별 물품들의 산지와 유통과정 전체를 다루고 있지는 않다.

Ⅱ. 이븐 쿠르다지바와 제도로와 제왕국지

이븐 쿠르다지바는 앞서 이야기 했듯 이슬람 세계에서 신라에 관한 가장 오


래된 기록을 저술하였다. 그는 조로아스터교를 믿는 페르시아, 또는 코라산8) 출
신의 할아버지가 개종하면서 무슬림이 된 마왈리(비아랍계 무슬림) 집안에서 태
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이란 북부 카스피해 연안의 타바리스탄(대략 오늘날 이란
의 카스피해 연안 지역) 주지사인 명문가에서 출생했다. 이븐 쿠르다지바의 집안
은 대대로 중앙아시아를 통해 동방과 무역하는 집안이었기에 그는 태생부터 이
슬람 세계의 동쪽세계와 그 너머에 관한 지리지식 뿐 아니라 동방의 언어와 종

7) 김정위, 2005, 이슬람문헌에 비친 한반도 상 재단법인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우치다


긴조 ( 內田銀藏), 新羅の島 キュロスに つきて (東京: 芸文, 1915); Nazmi, The Muslim
Geographical Image of the World in the Middle Ages : A Source Study, Orientalia Polona
(Warsaw: Academic Publishing House Dialog, 2007), 265~68쪽 ; Al-Sharīf Al‑Idrīsī: Nuzhat
Al-Mushtāq Fī Ikhtirāq Al-Āfāq, 1st ed., Isḍārāt ed. Ibrāhīm Khūrī, (al-ʻAyn: Markaz Zāyid
lil-Turāth wa-al-Tārīkh, 2000) 등.
8) Khorasan은 ‘태양의 땅’ 또는 ‘동쪽 지역’이라는 뜻으로, 그 범위가 크게 광의의 코라산
지역과 협의의 코라산으로 나뉜다. 협의의 코라산은 현재의 이란 북동부의 몇몇 주들에 해
당하지만, 전통적 의미의 광의의 코라산은 페르시아 지역의 북동지역으로 현재의 이란의
북동부, 아프간 북부와, 투르크메니스탄 일대를 의미한다. 이 전통적 코라산의 경계는 상대
적으로 유동적이기에 문헌에 따라서는 옥수스 강 너머 우즈베키스탄의 일부를 포함하기도
하고 드물지만 동으로 인더스강 계곡 까지를 포함하기도 한다. “Khorasan”, Encyclopedia
Iranina.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138  新羅史學報 48 (2020.04.30)
교, 문화 등에 관해서 밝았다. 그는 이미 어린시절부터 지발 지역 (Jibāl, 대략 카
스피해 연안을 제외한 오늘날의 서북부 이란)의 우편국장이 되어 제국의 동쪽에
서 흘러오는 정보를 취합하고 조세와 지리정보를 종합하는 임무를 맡았고 이 당
시에 이미 그의 제도로와 제왕국지의 초간본을 집필했다. 이후 그는 수도 바
그다드와 이후 천도한 수도 사마라에서 칼리프의 우편국장이 되면서 제국 전체
의 통신과 조세 및 정보와 첩보, 지리와 행정의 책임자가 되었다. 특히 그는 칼
리파 무으타미드(al-Muʿtamid, 재위. 879~892)의 친구(boon friend, 술친구)로 알
려져 있다.9)
그는 다방면으로 저작을 남겼다고 알려졌으나 현존하는 서적은 매우 한정적
이다. 그는 술과 계보학, 음악, 요리법 등에 관한 저술을 하였으나, 현존하는 압
바시야 조의 저술목록 정리・편찬서 중 최고로 꼽히는 피흐리스트(al-Fihrist)의
저자 이븐 알-나딤(Ibn al-Nadīm, 932~990)10)은 이븐 쿠르다지바를 이야기・우
화・마술 저작자들 챕터로 분류하였다. 10세기 아랍 세계역사지리학자 알-마스우
디(945 사망)에 따르면 이븐 쿠르다지바는 이란의 왕들과 이란인들에 관한 역사서
와 2세기 알렉산드리아의 그리스 지리학자 클라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Claudius
Ptolemy, 100 c.~170 c.)의 지리서를11) 아랍어로 번역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이
두 권은 현재 전하지 않는다.12)
제도로와 제왕국지는 조세와 행정을 위한 지리서이다. 이 책은 크게 페르
시아 지리와 점성술에 그리스 지리와 천문, 그리고 인도와 메소포타미아의 지리
지식에 당대의 무슬림들이 경험하거나 들었던 지리지식을 종합하여 완성하였다.

9) Edmund Bosworth, “Ebn Ḵoradāḏbeh, Abu’l-Qāsem ʿObayd-Allāh,” Encyclopaedia Iranica.


10) 이븐 알 나딤은 당대 바그다드에 포진했던 대형 서점의 주인들 중 한 명으로, 그가 편찬
한 저서 및 저자 목록인 피흐리스트로 잘 알려져 있다. “Ibn al-Nadīm,” Encyclopedia of
Islam, 2nd.
11) 프톨레마이오스는 중세 이슬람 세계, 특히 서부 이슬람세계에서 수세기동안 과학적인 지
리・천문에 관한 가장 권위있는 인물이었다. 비록 이슬람 세계의 다수의 저자들은 프톨레
마이오스의 이론들에 끊임없이 도전하고 숱한 비판적 결론들을 도출하였음에도 불구하
고, 다른 여러 이슬람 저작들은 중세 후반까지도 다양한 지리서에 신라를 비롯한 여러 지
식을 기술할 때 그 출처로 프톨레마이오스를 꼽았다. 이중 신라를 비롯한 상당한 내용들
은 프톨레마이오스가 한번도 언급하지 않는 내용이었지만, 이들은 단순히 그들의 저술에
대한 과학적 권위를 높이기 위하여 프톨레마이오스를 위시한 그리스 학자들을 그 근거로
제시하였다. “Baṭlamiyūs,” Encyclopedia of Islam, 2nd.
12) Edmund Bosworth, op. cit.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신라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했다는 물품 목록에 관한 재고 139

특히 그의 지리서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형태는 바그다드를 중심으로 하여 각


방향으로 뻗어 나가는 방사형의 노정을 기록하면서 그 노정 위에 있는 지역들
간의 거리와 이동 수단, 산과 강 등의 자연지리와 특산물, 그리고 왕과 종교 등
의 인문지리, 그리고 기이한 특징 등을 기록하였는데, 이 방법은 다른 로마나 비
잔틴 등에서도 사용되었지만, 대체적으로 페르시아의 지리서를 기초로 한다.13)
제도로와 제왕국지의 초본은 약 848년경에 발간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후 40년 이상 지속적으로 재개정 되었다. 지금 현재까지 전해지는 필사본은 하
나 뿐이며 이 필사본은 보존상태는 온전하지만 확실히 개정된 것이며 축약판이
라는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평가된다.14)
이 책은 이슬람 제국 내의 우편과 세금 수취 등에 관한 가장 방대한 서사적
지리서이며15) 후대에 가장 많이 인용되는 세계지리에 관한 전범이다. 또한 후대
이슬람세계에서 발간된 신라에 관한 대부분의 지리지식은 이 책에 기본을 두고
있다. 유일한 필사본은 De Goeje에 의하여 1889에 초판, 1967에 다시 인쇄되었
으며, 원문은 대부분 부분만을 번역하였을 뿐 전체 번역은 Meynard의 1885년
프랑스어 역주가 유일하다.16)
제도로와 제왕국지는 이슬람세계의 동쪽 지역과 서쪽지역을 각각 남북으로
세 지역으로 나눈다. 이에 따라 동쪽에는 북방의 몽골・투르크 계통의 키막(칼미
크), 카르키르(키르기즈), 투구즈구즈(아홉 구즈) 등의 유목 문명이 묶여 있고, 남
쪽에는 인도와 그 계통인 스리랑카, 동남아의 섬들 등이 소개 되어 있다. 이 둘
사이의 중간에는 동아시아라고 할 수 있는 중국과 신라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지리적 구분은 고대 페르시아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자신의 지역을 중심으로
주변 지역을 6방위로 나누어 세계지리를 구분하였던 전통에 기반을 둔다. 이러
한 지리 구분을 시각화 하면 아래와 같다.

13) Travis E. Zadeh, “Translation, Geography, and the Divine World: Mediating Frontiers in
Pre-modern Islam” (PhD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2007), 150~155쪽.
14) ʻUbayd Allāh ibn ʻAbd Allāh Ibn Khurdādhbih, [Kitāb] Al-Masālik Al-Mamālik, Bibliotheca
Geographorum Arabicorum (Lugduni Batavorum: E. J. Brill, 1889), vi–vii.
15) 이와 비견되는 거의 유일한 저서는 꾸다마 빈 자파르의 알 카라즈 정도이다. Heck,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in Islamic Civilization, 97~99쪽.
16) Jeong, op. cit, 102~104쪽.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140  新羅史學報 48 (2020.04.30)

<그림 1> 세계의 일곱 지역 (키슈와르), 비루니 제작17)

그가 서술한 무슬림들의 동쪽 진출은 육로와 해로로 나뉜다. 먼저 육로는 바


그다드에서 중앙아시아를 관통해서 중국의 서쪽 끝에 도달하며 그 여정의 소개
가 멈춘다. 반면 해로는 인도를 거쳐 중국 서쪽 끝의 항구에 도달하고, 계속하여
중국의 항구 셋을 더 지나친 다음 중국의 마지막 항구 너머에서 신라까지 도달
하는 노정이 소개되어 있다.

17) Al-Bīrūnī (973~1048쪽, 1050쪽 or 1053쪽 참조), Kitāb Tahḍīd Nihāyāt Al-Amākin li-Tasḥị̄
̣ asāfāt al-Masākin (도시들간 거리를 교정하기 위해 비정(
hM 比定)한 좌표(座標)서(書)).
Cairo: Matḅaʿat Lajnat al-Taʾlīf, 1964. 아랍어 원문에 대한 번역문은 Jeong, op. cit, 62에
서 인용.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신라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했다는 물품 목록에 관한 재고 141

Ⅲ. 제도로와 제왕국지 속의 신라

구체적으로 이 책에서 신라에 관해 안내하는 내용은 두 차례이다. 첫 번째는


제국이 바다로 가는 해항인 바스라에서 동아시아까지 가는 항로에 관한 부분 중
가장 말미이다. 여기서 나타난 무슬림들의 항로는 중국의 첫 관문인 서남쪽 끝
의 루낀(현재의 하노이 인근), 칸투( , 지금의 광저우), 칸주(현재의 푸젠성 취廣府
엔저우), 칸뚜(현재의 항저우), 그리고 그 건너의 바다 건너에 신라 왕국이 나온
다. 이 단락에서는 루낀에서 신라까지의 여러 특산물과 특징들이 나오고, 그 다
음 단락은 이 항로의 역순으로 각 지역에서 이슬람세계로 들어오는 수입품들이
소개된다. 이 단락 바로 뒤는 인도의 종교와 계급이 소개되며 이븐 쿠르다지바
의 이슬람 세계의 동쪽으로 가는 항해 안내는 마무리된다. 두번째로 제도로와
제왕국지에 소개된 신라는 세계의 편의 이다. 異蹟 首部
이 부분에서는 신라에 관한 간단한 소개와 특징을 정리하고 있는데 대부분은
앞의 신라에 관한 부분과 겹치지만 그 목적이 달라서 서술 방식과 내용에서 약
간의 차이가 있다.
신라에 관한 원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첫번째 동쪽으로 가는 항로 편에서:

“중국의 마지막인 깐수의 바다 건너에는 산이 많고 왕이 여럿인 신라국이 있다. 신라


에는 금이 많으며 신라에 들어간 무슬림들은 신라에 정착한다. 신라의 뒤에 무엇이 있는지
는 알려지지 않는다.”18)

라고 하였고 뒤이어 중국의 바다 동쪽에서부터 중국의 바다 남쪽 예멘에서 오는


물품 목록을 지역별로 정리하였다.
그 다음 세계의 이적에 관한 부분을 소개하며 술레이만은 그 말미에 말하길:

“중국(동아시아)의 끝에 신라라는 이름의 황금이 많은 나라에 들어간 무슬림들은 그 땅


의 쾌적함으로 인해 정착하고 절대로 그 곳을 떠나지 않는다.”19)

18) Ibn Khurdādhbih, Kitāb Al-Masālik al-Mamālik, Bibliotheca Geographorum Arabicorum


(Lugduni Batavorum: Brill, 1889), 70~71쪽.
19) Ibid, 170.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142  新羅史學報 48 (2020.04.30)
라고 하였다.
이븐 쿠르다지바는 그가 알고 있는 바그다드에서 동쪽 끝까지 가는 수로를
순서대로 나열하면서 바그다드에서 바스라를 거쳐서 동으로 인도와 스리랑카를
통해 중국으로 가는 길, 그리고 중국 동쪽에 와끄와끄와 신라를 소개했다. 신라
는 과거 그 정체에 대한 논란이 거의 신라왕국으로 수렴되었지만, 와끄와끄는
일본,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또는 미지의 섬 가운데 아직 이견이 크게 좁혀지지
않고 있다.20)
당대에 동아시아 세계를 이해하려면 우리는 이븐 쿠르다지바가 설정한 중국
과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차이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 제도로와 제왕국지
에서 설정한 중국의 경계는 북으로는 티벳과 투르크와 접하고 서로는 인도와 면
하며 동으로는 와끄와끄와 마주하고 있다. 당대는 (당)조가 중국을 지배하고 唐
있었기에 중국은 남으로 베트남의 남부까지 해안을 따라 뻗어 나갔지만, 동쪽으
로는 발해에 가로막혀 있었다. 필자는 지난 11월 한국 중동학회에서 기존 한국
사학계와 중동・이슬람・아랍 학계의 주류의 연구와는 달리 와끄와끄는 이 제도
로와 제왕국지내를 포함한 중세 이슬람세계의 문헌에서 일본이 아니라 동남아
와 아프리카 또는 예멘 아래의 섬을 지칭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이
븐 쿠르다지바가 소개한 동아시아는 중국과 한국이 전부이다.21)

Ⅳ. 중국의 바다 동쪽에서 이슬람 세계로 가는 물품 목록

1. 수입품 목록

제도로와 제왕국지의 목록이 신라의 수출품인지를 판별하려면 세 방향에서


검증이 필요하다. 먼저 문헌 내의 수출품 목록과 그 구성을 파악한 후, 이 부분

20) Emily Burnham, “The Edges of the Earth: An Epistemology of the Unknown in Arabic
Geographies from the 5/11th–7/13th Centuries” (PhD dissertation,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2012); Jeong, op. cit, 63~68 & 73~81쪽.
21) Jeong Jin Han. 2019. “Tracing racing Wāqwāq: How medieval authors in the Islamic
world amalgamated diverse ancient and medieval geographies”, KAMES (November 22),
382~393쪽.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신라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했다는 물품 목록에 관한 재고 143

을 문헌 전체의 문맥과 구성 속의 맥락에서 검증하고, 마지막으로 저자의 편찬


목적과 내용을 동아시아 수출품 목록과 수출항, 그리고 원산지와 비교하면서 그
타당성과 역사성을 진단하는 것이다.
제도로와 제왕국지는 각각의 방향으로 가는 노정에 따라 각 지역에 관한
설명이 있고, 그 중 신라에 관한 설명은 이슬람 세계에서 바다(인도양)을 통해
동쪽 끝으로 가는 노정에 관한 서술을 모두 마친 후에야 무슬림들이 그들의 동
쪽 세계로 부터 수입해가는 물품들의 목록들을 정리하였다. 그 중 가장 큰 비중
을 차지하는 것은 그 수입목록들에 관한 설명에서 가장 앞부분에 나온다.

“중국에서 동쪽에 있는 이 바다에서는 비단, 검, 우황, 사향 , 알로에, 馬具, 담비가죽,


陶器, 帆布, 계피, 겹작약이 온다.” 22)

이후 이 책은 와끄와끄에서는 금과 흑단이 오고, 이후 항로를 따로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각각 인도, 스리랑카, 물라이(인도 서남해안의 말라바르)와 신단, 콜
라 (칼라, 현재의 타이령 말레이 반도 서해안의 케다)23), 신드(인더스 강 유역)에
서 오는 수입품들을 나열한다. 이 후 이 책은 인도양의 양 끝을 홍해와 와끄와끄
까지라고 정리하며 그 거리가 4500 파르사크24)라고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인도
양 중 항로상 남쪽에 있는 예멘에서 오는 물품들을 정리하면서 동쪽으로 가는
해로를 매듭 짓는다.
기존의 학술적 입장은 크게 두 부류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다수의 한국 학자
들은 이 물품 목록을 신라에서 아랍으로 수출한 물품으로 보았지만, 대다수의

22) ‫واﻟﺬي ﯾﺠﻲﺀ ﻓﻲ ھﺬا اﻟﺒﺤﺮ اﻟﺸﺮﻗﻲ ﻣﻦ اﻟﺼﯿﻦ اﻟﺤﺮﯾﺮ واﻟﻔﺮﻧﺪ واﻟﻜﯿﻤﺨﺎو واﻟﺴﻤﻚ واﻟﻌﻮد واﻟﺴﺮوج واﻟﺴﻤﻮر واﻟﻐﻀﺎ‬
‫واﻟﺼﯿﻠﺒﯿﻨﺞ واﻟﺪارﺻﯿﻨﻲ واﻟﺨﻮﻟﻨﺠﺎن‬.
23) 지금의 말레이 반도 크라지협의 서남부 해안 지대이다. 고대부터 중세까지 케다 지역은
여러 언어로 불리며 문명간 교류의 허브로 역할 해왔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Cyril
Skinner, “The civil war in Kelantan” in 1839. Vol. 2. Monographs of the Malaysian Branch,
British Royal Asiatic Society, 1965 참조.
24) Farsakh (‫)ﻓﺮﺳﺦ‬는 거리의 단위이다. 시대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1 파르사크는 대략
3 마일 정도이다. 중세 이슬람세계의 1마일은 현재의 1.6004km가 아닌 약 2km가량이었
다. Marcinkowski, Muhammad Ismail, and Walther Hinz. Measures and Weights in the
Islamic World: An English Translation of Walther Hinz's Handbook Islamische Masse und
Gewichte. International Institute of Islamic Thought and Civilization (Kuala Lumpur:
International Institue of Islamic Though and Civilization, 2003), 71~72쪽.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144  新羅史學報 48 (2020.04.30)
외국학자들과 일부 한국 연구자들은 이 목록을 신라의 것이 아니라고 보거나 특
별한 의미를 두지 않았다.
이 목록을 신라의 수출품으로 보는 견해 중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는 연구는
정수일의 것으로, 그는 원문의 두가지 점을 그 근거로 들었다. 먼저 그는 이 목
록이 중국의 바다 동쪽에서 오는 것이라고 하였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그의
주장처럼 이븐 쿠르다지바의 세계에서 중국보다 동쪽에 있는 지역은 신라와 와
끄와끄 뿐이다. 그리고 와끄와끄의 수출품이 따로 나왔기 때문에 자연히 중국보
다 동쪽에서 오는 물건들은 신라에서 온 것이라는 논리이다. 둘째로 그는 이 물
건들이 실제로 신라에서 수출되는 물건들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기
존의 이 원문에 대한 영어 번역 등을 비판하면서 (물건이 10개로 줄었다는 점과
원문에 없는 인삼과 고량강이 추가된 점) 각 물건들이 어떻게 신라 내에서 생산
되고 중국 등지로 수출되었는지를 하나하나 역사적 문헌과 증거들을 찾아 제시
하였다.25) 이보다 앞선 이용범26)이나, 이후 이희수 등의 학자는 역시 원문에 근
거해 이 목록이 신라세계에서 수입되었음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견해는 다수의
국내 사학자들에게 수용되고 있다.27)
하지만 외국에서는 이렇게 위의 목록을 신라의 수출품으로 분류하는 사례를
찾지 못했고, 몇몇 한국학자들조차 해당 부분에 대한 언급(취급)을 하지 않거나
한국으로 분류하는 것에 비판적이었다. 먼저 제도로와 제왕국지에 관한 가장
이른 번역을 한 메이나드는 이를 중국에서 온 수입품이라고 하였다.28) 이어 신
라를 일본으로 인식하였던 초기 일본 이슬람학의 선구자들 그룹인 이시바시 고
로( 石橋五郞
), 시라토리 구라이치( ), 우치다 간조( 白鳥庫吉
) 등도 이 목 内田銀蔵
록이 신라의 것이라는 인식을 나타내지 않았다.29) 한국인 중에서는 가장 먼저
이를 적극 반박하며 신라-한국설을 체계화한 정계현과 호라니 역시 이 구절에
대한 특별한 언급은 없었다.30) 한국의 김정위 역시 신라와 이슬람세계의 관계에

25) 정수일, 앞의 책, 158쪽.


26) 이용범, 앞의 논문, 30쪽.
27) 이희수, 앞의 책; 김문경, 앞의 책 92쪽의 주석94; 김창석, 앞의 논문, 93~126쪽; 박남수,
앞의 책, 외 다수.
28) Meynard, De, and C. Barbier. "Le livre des routes et des provinces par Ibn-Khordadhbeh."
Journal Asiatique 5 (1865): 347쪽.
29) 內田銀藏, op. cit, 재인용, Henry Yule & Cordier, Henri, The Way to Thither, 정수일 역
주, 2002, 중국으로 가는 길 사계절, 358~360쪽의 주석 39.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신라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했다는 물품 목록에 관한 재고 145

관한 논문에서 정수일 의 글을 상당부분 수용하면서도 이 목록에 관한 언급은


하지 않았다.31) 이븐 쿠르다지바나 중세 무슬림들의 각 지역에 관한 지식들을
정리한 아흐마드 나즈미(Aḥmad Nazmi)나 이브라힘 쿠리(Ibrahim Khuri) 역시 신
라의 물품으로 인정하지는 않았다.32)

2. 제도로와 제왕국지의 정보 출처와 유통, 신뢰성

주요 쟁점은 두 가지다. 우선 본고는 이 목록은 과연 실제로 이슬람 세계가


신라 또는 그 밖의 동아시아와 교역한 물품들의 목록인지 아니면 잘못된 정보에
근거한 오류 또는 작가의 상상 즉 실제와는 거리가 있는 목록인지를 확인할 것
이다. 둘째로, 우리는 이 목록들이 과연 신라의 수출품인지 아니면 동아시아의
여러 지역들의 수출품들을 종합한 것인지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이 문헌이 가지는 정보로서의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도로와 제
왕국지의 원 정보의 취득과 유통경로 및 그 최종 편집에 관한 경로를 짚어봐야
한다. 이븐 쿠르다지바와 같은 압바시야 조 궁정학자들의 가장 직접적인 자료는
해외, 특히 인도와 중국으로 간 무슬림들의 해외 네트워크이다. 이중 가장 대표
적인 문헌으로는 중국으로 간 무슬림 상인들의 이야기를 엮은 술레이만을 들 수
있다. 이 상인이 중국에서 함께 활동하는 동료들로부터 취득한 정보들을 엮은 중
국과 인도에 관한 소식은 술래이만이 작성한 원본에 의해 전해지지 않고, 역시
동방으로 간 알-시라피에게 전달되었다. 알 시라피는 10세기 초에 그가 편찬한
역사에 관한 연속물의 전반부가 851년 술래이만에 의해 전달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시라피는 이 술레이만의 소식지 뒤에 자신이 수집한 역사와 지리에 관한
지식을 정리하여 책 후반부에 붙였다.33)
시라피 역시 높은 정확성과 풍부한 정보를 후대에 남겼는데, 특히 그의 당대

30) Chung Kei Won and George F. Hourani, “Arab Geographers on Korea,”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58, no. 4 (1938) : 658~61쪽.
31) 김정위, 앞의 책.
32) Ahama Nazmi, op. cit, 265~68쪽 ; Ibrāhīm Khūrī, op. cit, 401.
33) 알-시라피는 그의 저서 역사의 사슬을 반으로 나누어, 전반부에 중국과 인도에 관한
소식을 인용하고 후반부는 자신이 직접 서술하였다. 그는 신라에 관해 기록하지 하지
않았다. Jeong, “Creating the Medieval Islamic Geography by Using Korea,” 85~86쪽.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146  新羅史學報 48 (2020.04.30)
에 발생한 황소의 난(875~884)과 그 영향으로 무슬림을 비롯한 서아시아 세계의
다양한 외국인들이 중국의 4대항에서 동남아로 그 본거지를 철수한 내용들은 그
가치와 정확도를 인정받고 있다.34) 중요한 사실은 이와 같은 해외 네트워크에서
무슬림들은 정확도가 높고 실용적인 정보 위주의 소식지를 엮어 냈고 이것은 여
러 사람들의 손을 거쳐 후대로 전해져 왔다는 점이다. 술래이만의 정보는 알-시
라피를 거쳐 알-마스우디를 통해 직접 전달되어왔고 이러한 생생한 현장 정보는
후대에 널리 유통, 인용되었다.35) 알 시라피의 책은 이븐 쿠르다지바의 사후에
출간되었기에 그의 제도로와 제왕국지에 반영될 수 없었다. 하지만 제국의 행
정과 통신, 기밀과 지리를 담당한 이 저자는 술레이만과 비슷한 유형의 현지 정
보들을 제국의 중심에서 끊임없이 보고 받고 업데이트 했을 것이라고 유추하는
것은 합리적이다.
이븐 쿠르다지바를 비롯한 이슬람 세계는 이슬람 외부 세계와 정기적으로 왕
래를 거치는 상인집단 외에 수많은 여행기를 통해 동서남북방의 여러 문명권들
에 관한 풍부한 정보를 수집해왔다. 대표적으로 살람 투르주만의 동방에 관한
여행기는 신라에 관한 기록을 전하지는 않음에도 이븐 쿠르다지바가 직접 인용
하였듯 동아시아에 관한 정보 습득과 개념 형성에 중요한 열쇠가 된다.36) 살람
투르주만은 이븐 쿠르다지바가 처음으로 제도로와 제왕국들에 관한 글을 쓴 칼
리파 와씨끄 (재위 844~847)에 중국을 2년간에 걸친 여행을 책으로 기록하였을
뿐 아니라, 이븐 쿠르다지바는 그를 만난적이 있다고 제도로와 제왕국지에 기
록하였다. 물론 살람 투르주만은 알렉산더의 벽을 다녀왔다고 하는 등 그의 여
행과 노정은 진위여부와 그 정확성에 많은 의혹이 있다.37) 특히 알렉산더의 벽
은 고대로부터 중세 이슬람세계와 유럽, 그리고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수많
은 전설과 지명을 탄생시켰고, 그가 가두어 두었다는 곡과 마곡은 야주즈와 마
주즈라는 이름으로 이슬람 세계의 수많은 여행기에 등장하여 신화와 역사 그리

34) Ibid, 111~113쪽. 단, 그가 황소의 난 당시 광저우에서 살해당한 유대인, 무슬림, 페르시아


인 등이10만명이라고 언급한 부분은 그 막심한 피해를 강조하기 위한 과장으로 받아들여
지고 있다.
35) 알-시라피는 인도 등을 여행하면서 알-마스우디를 두차례 만났다. Ibid, 85, 185쪽.
36) Burnham, op. cit.
37) 알렉산더 로망스에 관해서는 Emeri J. Van Donzel and Andrea Schmidt, Gog and Magog
in Early Eastern Christian and Islamic Sources: Sallam’s Quest for Alexander’s Wall
(Leiden; Boston: Brill, 2010) 참조.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신라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했다는 물품 목록에 관한 재고 147

고 환상과 상상의 세계와 현실 세계의 접점 또는 경계를 형성해왔다. 혹자는 그


가 다녀온 곳이 만리장성이라고도 하고 다른 이는 옥문관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모호성에도 불구하고 그의 여행기는 이븐 쿠르다지바가 중국의 경계를 설정하고
그 속의 다양한 산물과 인문을 스케치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38) 비슷한
예로 821년경 위구르 국을 방문한 타밈 이븐 바흐르를 들 수 있다.39)
당대의 지리지식은 여행 경험과 전문의 파편을 귀납적으로 모아 완성한 부분
도 있지만, 거대한 제국의 큰 그림 속에서 분할한 각 지역에 대한 관념이 크게
역할을 하였다. 이븐 쿠르다지바가 활동하기 얼마 전의 칼리파였던 마으문 (재위
813~833)은 약 70여명의 제작자로 구성된 프로젝트를 통해 이슬람 제국 최초로
세계지도와 지구본을 만들었다. 그가 만든 지도와 지구본은 전해지지 않고 있으
며 더러 그 존재여부 자체에 대한 의문도 있으나, 당 프로젝트에 참가한 알-카와
리즈미의 기록 및 부분지도를 통해 우리는 그 당시의 지리 지식의 정확성과 그
경계를 어느 정도 가늠해 볼 수 있다.40) 이 지도는 당대 신라에 관한 묘사는 없
지만 적어도 동아시아에 관한 지식이 기존 그리스・인도・페르시아의 지식에 무
슬림들이 자신들의 경험과 전문을 어느 정도로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는지를 명확
하게 보여준다. 특히 칼리프 마으문의 지혜의 집에 나타난 당시 그리스-로마・인
도・페르시아 등의 지리 지식을 집대성하였고, 그것이 이븐 알 나딤 등의 서점가
를 통해서 이슬람 세계의 엘리트들에게 확산・교류 되었다. 그 과정에서 이슬람
세계는 페르시아의 동방에 관한 전설, 그리스와 로마의 동방 끝에 관한 관념들
(Insula Cherosne)41) 등과, 기독교 세계의 동방 끝에 관한 인식(Eden)42) 등이 비
잔틴제국과 시리아어 번역사들에게 전달되었고, 간접적으로 중국의 봉래산에 관
한 전설43)들 동쪽 끝의 세계에 관한 관념이 뒤섞였고, 이는 기존의 고대문명들
에게서 물려받은 세계지리 지식 중에서 동아시아에 관한 지식에서 가장 가시적
인 발전을 보였다.44)

38) Zadeh, “Translation, Geography, and the Divine Word” 참조.


39) Vladimir Minorsky, “Tamin Ibn Bahr’s Journey to the Uyghurs,”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12 (1948): 275~305쪽.
40) Jeong, “Creating the Medieval Islamic Geography by Using Korea,” 120~122쪽.
41) Ibid, 128쪽.
42) Arthur George and Elena George, The Mythology of Eden (Lanham; Boulder; New York;
Toronto; Plymouth: Rowman & Littlefield, 2014).
43) Jeong, “Creating the Medieval Islamic Geography by Using Korea,” 37쪽.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148  新羅史學報 48 (2020.04.30)
마지막으로 당대 이슬람 세계는 무슬림들이 아닌 동아시아인들에게 직접 현
지 지리정보, 특히 신라에 관한 지식을 습득했을 수 있다. 술래이만을 비롯한 무
슬림 상인들은 중국의 주요항구와 내륙의 도시들에 주요 거점을 만들었고 그들
은 중국내의 신라인들, 신라를 다녀온 중국인들, 그 밖의 중국에 체류중인 신라
를 다녀오거나 신라에 관해서 들었던 여러 외국인들이 전해주는 신라에 관한 정
보를 들었을 수 있다. 이러한 현지인들의 소식들 역시 무슬림들이 직접 보고 경
험한 것과 마찬가지로 신뢰도가 높은 정보처이다. 또한 보다 적은 수이지만 스
리랑카와 인도, 동남아 등에 산재한 여러 항구들은 무슬림들의 주요 해상 거점
이면서 동시에 동아시아 불교 구법승들의 경유지로 겹친다. 특히 한 세기전 혜
초는 상기 항구를 들른 후 몸소 이슬람 세계를 체험했기에 현지에서의 교류를
통해 신라에 관한 소식이 전해질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45) 또한 이슬람
세계로 떠난 중국 선박 등을 통해 신라의 존재와 그에 관한 정보가 전달되었을
수도 있다. 당나라의 재상 賈耽
은 중국의 무역선들이 이슬람 세계의 심장인 이
라크의 바스라 항까지 도달하는 경로와 일정을 상술하였다.46) 따라서 이슬람 세
계로 간 중국 배들을 따라 동아시아와 신라에 관한 정보들이 흘러들어 갔을 것
이다. 보다 희박하지만 신라인들 중 일부는 노예로 잡혀 중국에 팔려가기도 하
였기에47) 이슬람 세계로 향한 중국의 무역선 속에 선원 또는 노예 등의 형태로
신라인들이 섞여 들어갔을 수도 있고, 이들을 통해서도 다소의 정보가 전달되었
을 가능성 역시 있다.
이를 종합하면 이 물품들에 관한 기록의 사실성은 상당히 높다. 먼저 이 글은
흥미나 개인적 호기심에서 편찬한 저술이 아니라 칼리파와 재상이 제국을 운영
하는데 필요한 세계지리를 모은 실용서이다. 물론 일부 문학적인 요소가 없지
않으나 그런 부분들은 모두 해당지역을 목격할 수 없거나 이슬람 세계와 직접적
인 인식의 역사를 공유하는 - 예를 들어 알렉산더의 벽 - 곳에만 해당한다.
당시 이븐 쿠르다지바는 이 책을 통해 제국의 운영에 필요한 조세, 통신, 기밀의
전달, 운송 등에 관한 정보를 정리했고, 동아시아는 당시 많은 무슬림들이 활발
히 진출한 이권이 큰 지역이었기에 추상적 상상보다는 실용적이고 정확한 정보

44) Ibid, 126~137쪽.


45) 혜초 2004 왕오천축국전 정수일 역주, 학고재, 343쪽.
46) Park Hyunhee, Mapping the Chinese and Islamic World, 59쪽.
47) 이승영, 2002, 「장보고 정신과 무역대국의 재현」 국제통상연구 7-1, 213쪽.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신라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했다는 물품 목록에 관한 재고 149

가 더욱 중요했다. 이러한 사실에 더해, 정보의 수요를 충당해주는 정보원 역시


풍부했다. 앞서 보았듯 무슬림 상인들은 동아시아에 넓게 진출해서 그들 간에
정보를 주고받았으며 일부를 종합해 엮었다. 상인 외에도 많은 수의 여행가들은
동방으로 향했고, 동아시아의 여행가들과 상인들 역시 바그다드 방향으로 떠나
이들 간의 교류는 지속되었다. 이 들 중에는 혜초와 같이 확인된 신라인들도 있
고 그렇지 못한 다수가 있다. 이렇듯 여러 형태로 모아진 정보들은 제국의 정보
수뇌부에 의해 종합 정리되었고 그 완성본이 제도로와 제왕국지다.48)

V. 수입품 목록의 신라설을 지지하는 근거와 반론

앞서 열한가지 목품이 신라의 수출품 항목이라는 것을 지지하는 연구자들의


근거는 크게 셋이다. 첫째로 이븐 쿠르다지바의 원문에서 앞선 물품들은 중국의
동쪽 바다에서 온다는 점이다. 즉 이 물품들은 중국보다는 동쪽의 바다에서 오
기에 중국에서 오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이븐 쿠르다지바가 그의 저서에서
중국의 동쪽 세계로 이야기 한 곳은 와끄와끄와 신라가 유일한 데, 와끄와끄에
서 수입하는 물품(금과 흑단)은 따로 분류되어 있다. 따라서 중국보다 동쪽 세계
에서 무슬림들이 아는 곳은 오로지 신라 뿐이니 신라에서 왔다는 근거이다. 다
음으로 신라의 수출품들 중 일부는 신라에서 중국 등지로 수출하는 물품들이고
나머지 물건들은 중계 무역을 통해서 무슬림들에게 팔았다는 논리이다. 각 물품
들이 어떻게 신라인들에게 입수되어서 무슬림들에게 판매될 수 있었는지에 관한
논거는 정수일이 아주 세세하게 밝혔다.49)
하지만 이 물품들이 온전히 신라에서만 온 것인지를 확증하려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해야한다. 먼저 제도로와 제왕국지에 신라의 수출품에 관한 섹
션이 독립적으로 있는 것이 합리적인지를 해당도서가 할당하고 있는 신라의 비
중과 비교하여야 하고 또 신라가 이슬람 세계에 수출하는 물품의 품목과 양을
다른 지역이 수출하는 내용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48) 제도로와 제왕국지는 848년 초간본이후 지속적으로 증보되었다고 여겨진다. Ibn


Khurdādhbih, Al-Masālik Al-Mamālik, vi–vii.
49) 정수일, op. cit, 226~246쪽.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150  新羅史學報 48 (2020.04.30)

1. 저서내 신라와 중국의 비중과의 괴리

앞서 본 바와 같이 이 책에는 이슬람 세계가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목록에


관한 항목은 따로 없다. 하지만 책의 전체의 구성을 살펴보면 중국의 비중이 압
도적으로 큰데 반해 신라에 관한 내용은 확연히 빈약하다. 더구나 신라가 수출
하는 물품의 개수와 비중은 무슬림들의 입장에서 그 거리나 역사적 비중에 있어
확고한 우위를 점하는 인도 등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따라서 상기된 모든 물
품들이 모두 신라에서 이슬람 세계로 수출되었다고 보는 추론은 의심스럽다. 오
히려 위의 중국의 동쪽 바다에서 온 물품들은 신라와 더불어 중국, 또는 신라와
중국 외에 이름이 나오지 않은 중국 바다 동쪽의 다른 지역들에서 무슬림들이
수집한 모든 물품들이 모두 포함된다고 보는 편이 보다 합리적이다.
물론 9세기 전반 장보고와 청해진의 활동기에 동아시아 삼국을 배경으로 신
라가 활발히 활동한 중계 무역50)은 무슬림들이 동아시아에서 수입하는 물품들
을 모두 신라가 되었다고 주장하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9세기 중반을
기점으로 신라인들이 중국 강남으로 활발히 진출한 것은 신라인들이 강남이나
보다 아래인 동남아지역 일부의 물건들의 유통과 중계무역에 관여했다는 강력한
증거이다. 무슬림들이 거래한 물품들 중 상당수의 물품들이 신라가 대량으로 생
산하던 비단이나 검, 도기와 범포류 등과 특산품 또는 신라가 중국으로 많이 수
출하던 약재류,51) 그리고 신라가 동아시아에서 중계할 수 있는 동아시아 특산의
물품들이 다수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2. 유통 경로와 구매 및 보관의 합리성

하지만 무슬림들의 항로와 동선과 유통망을 고려52)한다면 일부 동남아시아,


중국남부, 대만 등지가 원산인 물품들의 경우 신라가 이를 우선 구매한 다음 무
슬림들에게 재판매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먼저 무슬림들이 이 물품들을 신라에

50) 최광식, 정운용, 최근식, 윤재운 공저, 2002, 해상왕 장보고: 천년을 여는 미래인 청아
출판사.
51) 박남수, op. cit.
52) John W. Chaffee, 2018, The Muslim Merchants of Premodern China: The History of a
Maritime Asian Trade Diaspo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750~1400쪽 참고.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신라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했다는 물품 목록에 관한 재고 151

서 구입하려면 이 물품들을 현지나 중국에서 구매하지 않고 신라까지 와서 구매


를 해서 다시 중국과 현지를 지나쳐야 하는데, 이는 보관에 매우 비효율적일 뿐
아니라, 신라라는 중간 유통과정을 최소 하나 이상 보태게 되어 가격이나 신선
도 면에서 결코 유리하다고 볼 수 없다. 무슬림들의 항로를 고려하면 오히려 서
남방에서에서 동북향하여 왔다가 동북에서 서남쪽으로 돌아가는 무슬림들이 항
로는, 자신들이 귀로에 중국남부와 동남아에서 직접 구매하여 본국으로 운송하
거나, 역으로 본인들이 현지에서 구매한 것을 동아시아로 북상하면서 판매하는
편이 훨씬 더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그림 2> 약 800년경 중국과 이슬람 세계의 항로들53)

또한, 동남아 지역들은 신라가 자체 수요에 필요한 물자를 조달하거나 또는


이 지역에 직접 올수 없는 상인들을 위한 물품 구매 대행을 위해 직접 물건의
거래에 참여할 순 있지만, 이 지역에 직접 내방하는 외지인들의 구매까지 차단
할 정도로 유통을 독점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지역이다. 물론 신라가 통일이후

53) Park, 2012, Mapping the Chinese and Islamic World : xxvi.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152  新羅史學報 48 (2020.04.30)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 지역에 적극 진출한 여러 정황이 있지만54) 9세기 이전
부터 무슬림들은 이미 중국 남부와 동남아 일대에 상당 규모의 이주를 하고 이
지역에서 신라보다는 훨씬 더 활발한 무역을 해온 것55)을 감안한다면, 이들과
동남아간의 직접 무역에 신라가 개입하였을 확률은 그리 많아 보이지 않는다.

3. 신라 상인들과와 무슬림 상인들 간의 접촉 빈도 및 형태

그리고 무슬림들은 신라에서 물품을 구매하기보다는 중국에서 신라의 물품들


을 구매하는 경우가 더 많았을 것이라고 추측케 하는 몇 가지 강력한 정황들이
있다. 우선 술래이만은

“우리 일행(중국에 있는 무슬림 상단 동료)들 중에서 신라를 다녀온 자는 없다.”56)

라고 하였다. 즉 여러 무슬림 상인들은 직접 한반도를 내왕하는 것보다는 중


국에 머물며 신라에 관한 전문을 기록하였고, 이는 다시 말해, 무슬림들과 신라
사이의 교류의 큰 부분은 직접이 아닌 간접교류라는 점이다. 이븐 쿠르다지바
역시 그와 마찬가지로, 무슬림들 중에 신라를 다녀온 이가 없다고 하였다. 즉,
무슬림들 중에 신라를 가는 이가 있다손 쳐도, 그들 중 신라에서 무언가를 지니
고 다시 이슬람 세계로 오는 이가 극히 드물었다는 이야기이다. 특히 술레이만
과 이븐 쿠르다지바가 신라의 특산물로 강조한 흰매나 황금 등은 무슬림들의 수
입 품목에 포함되지 않았다. 더구나, 담비 가죽과 같은 물품들은 신라보다는 발
해 등지에서 훨씬 더 많이 생산되며 이는 신라의 한중일 무역보다는 발해에서
당을 통해 이슬람 세계로 전달되었을 가능성도 크다.57) 또한 이븐 쿠르다지바는

54) 최광식 외, 앞의 책 참조.


55) R. Michael Feener, and Terenjit Sevea, eds, 2009, Islamic Connections : Muslim Societies
in South and Southeast As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참조.
56) Al-Sīrāfī, Abū Zayd and Aḥmad ibn Faḍlān, 2015, Two Arabic Travel Books: Accounts of
China and India and Mission to the Volgam Trans. by Tim Mackintosh-Smith and
Montgomery, James. New York: NYU Press) 67쪽.
57) 이에 관한 연구는 Clark, Hugh R, 1996, 「8-10세기 한반도와 남중국간의 무역과 국가관계」
張保皐 해양경영사연구 이진 참고.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신라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했다는 물품 목록에 관한 재고 153

또한 육로로 이슬람 보다 동쪽에 있는 세계를 서술하며 검은 중국과 티벳에서,


사향은 키르기즈에서 많이 생산된다고 하였다. 즉 이 물품들은 신라에서 생산
또는 신라인들에 의해 유통되었다기보다는 해당지역에서 중국을 통해 무슬림들
이 정박한 항구로 전달되었을 가능성이 더 크다.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남은 사료들 중 무슬림들이 한반도를 내방한 가장 이른
기록은 11세기 고려를 예방한 세 차례의 상인 집단들이다.58) 이븐 쿠르다지바가
있던 당시의 무슬림 또는 서아시아에서 왔을 것으로 추청되는 역사적 기록은 처
용 정도가 있지만 이마저도 무슬림이라고 확정지을 근거가 부족하고, 이들 역시
결국 신라에 정착하거나 행방이 묘연한 채 떠났기에 이들이 신라의 물건들을 가
지고 이슬람 세계로 돌아갔다고 추정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결론적으로 앞서 중국의 동쪽 바다에서 오는 물품들이 신라의 수출품이라고
보는 주장을 재고의 여지가 있다. 현재까지 확보한 자료만을 가지고 추정할 때
이슬람 세계와 신라는 부정기적으로 교류했다. 그리고 그 방향은 주로 이슬람
세계에서 신라 방향으로 오는 일방의 직접 교류가 있었을 수 있지만 확인할 수
는 없다. 그리고 둘은 중국에서 만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신라인들이 동아시아 물품을 한중일 무역을 통해 수거해왔다고 하더라도 이들의
거래는 신라가 아닌 중국에서 이뤄졌으리라 보인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동쪽 바
다에서 이슬람 세계로 가는 11가지 물건들은 신라에서 무슬림들에게 전달되었
다고 보기 보다는, 무슬림들이 중국의 동쪽 바다에 있는 신라, 중국, 발해, 대만
이나 동남아 등에서 갖고 들어온 물품 전체의 목록일 가능성이 훨씬 높다.

ⅤI. 결론

8세기 중반에 탄생한 압바스 제국은 기존의 군사적으로 팽창하는 제국에서


한 번 더 진화한 이슬람 문명의 대제국을 건설하면서 세계 지리를 집대성했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페르시아, 그리스로마, 인도 등의 지리지식과 개념들을 흡수
종합하고, 이를 자신들이 직접 목격하고 들은 경험들과 비교・대조하면서 새로운

58) In-Sung Kim Han, “Islamic Material Culture in Medieval Korea and Its Legacy” (2016,
PhD Dissertation, SOAS, University of London), 242쪽.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新羅史學報 48 (2020.04.30)
154 

지리정보를 축적・완성해 나간다. 그들이 새로이 관심을 가졌던 곳은 무궁한 교


역의 기회가 펼쳐진 동아시아였고, 이 지역에 활발히 진출한 이들의 덕택에 그
들은 기존의 고대 중국 以西
지역의 동아시아에 관한 지리지식을 비약적으로 발
전시켰다. 그중 행정적 지리지식의 백미는 이븐 쿠르다지바의 제도로와 제왕국
지이다.
칼리파 제국 운영에 필요한 정보 운용의 총책인 이븐 쿠르다지바는 중세 이
슬람 세계의 최고 권위의 세계 지리서에 신라에 관한 이슬람 최초의 기록을 남
겼다. 실용적이고 사실적인 내용에 가장 충실했던 이 저서는 신라에 관한 풍부
하고 생생한 정보를 전달함과 동시에 이슬람 세계가 신라를 포함한 중국 동쪽에
서 들여오는 열한가지의 품목들을 소개하고 있다. 본고는 해당 목록이 저자와
저본 및 그 정보의 획득과 유통, 편집과정의 편집과정을 검증하여 문헌적인 검
토를 하고, 저자의 편집의도와 시대적 상황에 대한 맥락을 인식론적 접근을 통
해 점검하였다. 이 결과를 당대 이슬람 세계와 신라간의 역사적 사실 관계와 비
교한 결과, 이 목록들은 당대 실제로 동아시아에서 이슬람세계로 온 물품이라는
가정이 타당하다고 보았다.
이어, 오랜 기간 이어진 진위여부와 원산지를 둘러싼 현대 학계의 논쟁을 검
토하였다. 우선 이 논쟁의 출발은 다름 아닌 저자가, 다른 지역은 ‘인도’, ‘와끄와
끄’, ‘예멘’과 같이 원산지에 관한 구체적인 지정을 한 것과는 달리, 유독 그 열
한가지 품목만 ‘중국의 동쪽 바다’에서 온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본고는 지난 기간 여러 연구자들이 상기 물건들을 신라에서 이슬람 세계로
갔다고 볼 여러 근거들을 이미 밝혀냈음을 인정하였다. 하지만 그러한 다수의
긍정적 정황들에도 불구하고 본고는 이 물품들이 신라에서만 공급되었다기보다
는 신라와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산출된 물건들 전체를 ‘중
국의 동쪽 바다’에서 온 상품들로 통칭했을 가능성에 더 큰 무게를 두고 있다.
이러한 결론에 도달하게 된 이유는 구성상, 동선상, 그리고 둘 사이의 교류
형태가 결정적이었다. 우선 구성상에서, 신라는 중국에 비해서 서술의 총량과 관
심도, 이해관계에서 월등히 분량도 적고 깊이도 떨어진다. 하지만 이 열한가지
품목들을 신라에게 모두 배분한다면 무슬림들이 중국에서 들여오는 물품은 없어
진다. 동아시아에 진출한 대다수의 무슬림들이 중국에 정주하던 당시 정황을 보
더라도 이러한 서술 형태는 구성상 무리가 있다.
두 번째로 상기 열한가지 교역품의 상당수는 신라에서는 나지 않고, 동남아시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신라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했다는 물품 목록에 관한 재고 155

아와 대만 등지에서만 자생하며, 또 일부는 발해 지역의 특산품이다. 연구 결과


특히 몇몇 열대지역 특산품들은 장보고 시대를 전후한 신라상인들의 중계무역이
활성화되었고 신라 후대의 신라상들이 중국 강남 이남과 동남아까지 진출하였던
것까지 감안해도, 해당 지역 물품들을 현지인이 아닌 신라인들이 무슬림들에게
공급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무슬림들은 신라를 가기 전 동남아시아를 먼저 들르
고 중국을 지나서 신라로 올 수 있기에 신라가 동남아에서 구입한 물건을 다시
신라인에게 사는 것은 보관과 가격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다. 또한, 동남아로 진
출한 적은 수의 신라인들이, 대규모로 공동체를 형성하고 정기적인 무역상들의
대형 무역거래가 활발한 무슬림들에게서 그들과 현지인들 간의 물품거래 사이에
서 중개한다는 가정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마지막으로 무슬림 상인들의 기록은 그들은 신라인들을 주로 중국에서 만났
음을 암시하고 있다. 즉 그들이 신라로 가더라도 대규모로 물품을 구매해서 이
슬람 세계로 돌아갔을 가능성은 희소하다. 무슬림들이 신라로 간 기록은 적고,
그들이 신라에서 물품을 구매하여 외부로 나간 기록은 없다. 또한 중국에서조차
신라를 다녀온 무슬림들이 사례에 관한 기록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 더욱이 무
슬림들이 동아시아에서 구매한 목록에는 그들이 기록한 신라의 특산물들이 빠져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본고가 이븐 쿠르다지바가 제시한 중국의 동쪽 바다에서 오
는 물품들을 신라만의 수출품이라고 보는 견해를 재고하기를 건의하면서도, 이
의견이 신라가 이슬람 세계에 수출한 물품이 하나도 없다라는 결론에 도달한 것
은 아니라는 점을 밝힌다. 제도로와 제왕국지에서 보듯 이슬람 세계는 동아시
아에서 유일하게 신라와 중국만을 그 이름과 함께 상세히 안내하였다. 신라에서
가는 물건이 없었다면 굳이 중국의 동쪽 바다라고 풀어쓸 것이 아니라 다른 지
역처럼 중국이라고 해도 되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에게 동아시아에서 중요
하게 다뤄지는 곳은 중국과 신라 뿐 이었기 때문이다. 물품 목록 중 개별 상품의
각각의 원산지를 확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가장 큰 이유는 각 물품들의 원산
지를 지금의 기록과 유물로만은 밝혀내는 대는 여러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장

차 신라의 이슬람 교역품의 구체적인 가짓수와 정확한 내용을 밝히는 데는 새
로운 문헌적, 고고학적 발견이 필요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156  新羅史學報 48 (2020.04.30)

【참고문헌】

1. 자료 및 사료
혜초, 2004, 왕오천축국전, 정수일 역주, 학고재.
Yule, Henry, and Henri Cordier. The Way to Thither. 정수일 역주 2002, 중국으로
가는 길, 사계절.
̣ asāfāt al-Masākin (1964, 도시
Al-Bīrūnī, Kitāb Tahḍīd Nihāyāt Al-Amākin li-Tasḥị̄h M
들간 거리를 교정하기 위해 비정( 比定)한 좌표(座標)서(書)). Cairo: Matḅaʿat
Lajnat al-Taʾlīf.
Al‑Idrīsī, Abū ʿAbd Allāh Muḥammad bin Muḥammad bin ʿAbd Allāh bin Idrīsī
al-Qurṭubī al-Ḥassanī al-Sabtī. Nuzhat Al-Mushtāq Fī Ikhtirāq Al-Āfāq (2000,
천애횡단갈망자의 산책), edited by Ibrahim Khuri. al-ʻAyn: Markaz Zāyid
lil-Turāth wa-al-Tārīkh.
Ibn Khurdādhbih, Ubayd Allāh ibn ʻAbd Allāh Ibn Khurdādhbih. Kitāb Al-Masālik
al-Mamālik (1889, 제도로와 제왕국지), Bibliotheca Geographorum Arabicorum.
Lugduni Batavorum: Brill.
Al-Sīrāfī, Abū Zayd and Aḥmad ibn Faḍlān. Two Arabic Travel Books: Accounts of
China (Akhbār al-Ṣīn wa-al-Hind 중국과 인도에 관한 소식) and India and
Mission to the Volga (Riḥlat Ibn Faḍlān 이븐 파들란의 여행). Translated by
Mackintosh-Smith, Tim, and Montgomery, James, 2015, New York: NYU
Press.

2. 저서 및 논문
김문경, 2006, 9세기 후반 신라인의 해상활동, 재단법인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김정위, 2005, 이슬람문헌에 비친 한반도 상, 재단법인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김창석, 2006, 「8-10 세기 이슬람 제종족의 신라 來往과 그 배경」, 한국 고대사 연구
44.
박남수, 2011, 한국고대의 동아시아 교역사, 주류성.
이용범, 1969, 「처용설화의 일고찰」, 진단학보 32.
이승영, 2002, 「장보고 정신과 무역대국의 재현」 국제통상연구 7-1.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신라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했다는 물품 목록에 관한 재고 157

이희수, 1991, 한이슬람 교류사 문덕사.


정수일, 1992, (출판 저자명: 무함마드 깐수), 신라서역교류사, 단대출판부.
최광식, 정운용, 최근식, 윤재운 공저, 2003, 해상왕 장보고: 천년을 여는 미래인 청
아출판사.
Clark, Hugh R., 1996, 「8-10세기 한반도와 남중국간의 무역과 국가관계」  張保皐 해
양경영사연구, 이진.
우치다 긴조( 內田銀藏), 1915, 「新羅の島 キュロスに つきて」 芸文.
Bosworth, Edmund. “Ebn Ḵoradāḏbeh, Abu’l-Qāsem ʿObayd-Allāh,” Encyclopaedia Iranica.
Burnham, Emily. 2012, “The Edges of the Earth: An Epistemology of the Unknown in
Arabic Geographies from the 5/11th–7/13th Centuries,” PhD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Chaffee, John W, 2018 The Muslim Merchants of Premodern China: The History of a
Maritime Asian Trade Diaspora, 750–14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ung, Kei Won and George F. Hourani, “Arab Geographers on Korea,”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58, no. 4 (1938): 658~61쪽.
Donzel, Emeri J. Van, and Andrea Schmidt, 2010, Gog and Magog in Early Eastern
Christian and Islamic Sources: Sallam’s Quest for Alexander’s Wall. Leiden;
Boston: Brill.
Feener, R. Michael, and Terenjit Sevea, eds, 2009, Islamic Connections: Muslim
Societies in South and Southeast As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Flick, J. W. “Ibn al-Nadīm,” Encyclopedia of Islam, 2nd.
George, Arthur, and Elena George, 2014, The Mythology of Eden. Lanham; Boulder;
New York; Toronto; Plymouth: Rowman & Littlefield.
Heck, Paul, 2002,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in Islamic Civilization: Qudāma
bin Ja ‘far and His Kitāb Al Kharāj Wa-Sinā ‘at Al-Kitāba. Leiden; Boston:
Brill.
Jeong Jin Han. 2018. “The position of Korea in the world history of the Islamic
world: Silla and East Asia for Al-Masʿūdī’s Worldview” World Congress of Korean
Studies (September 13)
Jeong Jin Han. 2019, “Tracing racing Wāqwāq: How medieval authors in the Islamic
world amalgamated diverse ancient and medieval geographies”, KAMES
(November 22), 382~393쪽.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158  新羅史學報 48 (2020.04.30)
Jeong Jin Han. 2019~2020, “Creating Medieval Islamic Geography by Using Korea”
(PhD dissertation, SOAS, University of London.
Kim Han, In-Sung, 2016, “Islamic Material Culture in Medieval Korea and Its Legacy”
PhD Dissertation, SOAS, University of London.
Marcinkowski, Muhammad Ismail, and Walther Hinz. Measures and Weights in the
Islamic World: An English Translation of Walther Hinz's Handbook
Islamische Masse und Gewichte. International Institute of Islamic Thought
and CivilizationKuala Lumpur: 2003, International Institue of Islamic Though
and Civilization.
Meynard, De, and C. Barbier. "Le livre des routes et des provinces par Ibn-
Khordadhbeh." Journal Asiatique 5 (1865).
Minorsky, Vladimir. “Tamin Ibn Bahr’s Journey to the Uyghurs,”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12 (1948): 275~305쪽.
Nazmi, Ahmad, 2007, The Muslim Geographical Image of the World in the Middle
Ages: A Source Study. Orientalia Polona. Warsaw: Academic Publishing House
Dialog.
Oberling, Pierre. “Khorasan,” Encyclopedia Iranina.
Park, Hyunhee. Mapping the Chinese and Islamic World. New York: Cambridge,
2012.
Plessner, M. ”Baṭlamiyūs,” Encyclopedia of Islam, 2nd.
Selin, Helaine, 2013,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rn Cultur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Skinner, Cyril. “The civil war in Kelantan in 1839,” Vol. 2. Monographs of the Malaysian
Branch, British Royal Asiatic Society (1965).
Zadeh, Travis E, 2007, “Translation, Geography, and the Divine World: Mediating
Frontiers in Pre-modern Islam” PhD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신라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했다는 물품 목록에 관한 재고 159

ABSTRACT

Reconsidering the List of Silla’s Exports to


the Islamic World:
in Kitāb al-Masālik wa-al-Mamālik by Ibn Khurdādhbih

Jeong, Jin-han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pattern of medieval Islamic world’s trade with
East Asia, particularly with the Silla Dynasty, by examining the ninth-century
Abbasid court’s administrative geographic book, Kitāb al-Masālik wa-al-
Mamālik, by Ibn Khurdādhbih. This book was published to meet the demands
of the administrative geography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Islamic empire by the time’s chief in charge of the post, communication,
and intelligence who was also the boon-friend of the caliphs. This article
scrutinizes the historicity of the elaborated list of the eleven items that came
from “the sea east of China” and the origin of these items whether they came
from Silla, elsewhere, or just imagined, by textual and conceptual approaches.
By analyzing the text, the author and his tendency, the purpose of the
compile, data acquisition, distribution, modification and edition,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list faithfully reflects the actual trade. However, the imports
in the text look hardly believable as all of them came from Silla when we
consider the frequencies and volumes for Silla in the book compared to ones
for other places including China, the itineraries of Muslim sailors and the
features of local items, the activity of the contemporary Silla merchants and
the mutual exchanges between them and Muslims. Consequently, this paper
concluded that not all of these goods came from Silla but seamen from the
West collected the eleven commodities from multiple places in East Asia
including Silla, China, and probably other places in the region.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160 新羅史學報 48 (2020.04.30)

Key Words : Silla, Islam, Ibn Khurdadhbih, al-Masalik wa-al-Mamalik


Abbasid Dynasty, Islamic Geography, Islamic History,
Civilizational Exchanges, Trans-cultural History

논문 투고일 : 2020. 3. 23. 심사 완료일 : 2020. 4. 5. 게재 확정일 : 2020. 4. 7.

한국외국어대학교 | IP:203.253.93.*** | Accessed 2020/09/16 15:23(KST)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