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6

한국 문화 이해

대표 문화
상징

여가 – 관광 – 운동
및 대중문화

명절과 의례

국제결혼 및 다문화
사회의 미래
• https://www.youtube.com/watch?v=k8m65
RTlkE0

• https://www.youtube.com/watch?v=wQlsU
9iP0to
• https://www.youtube.com/watch?v=wQlsU
9iP0to
대표 문화 상징

태극기

밥-반찬- 무궁화
발효 음식

빨리빨리
한복
문화

한옥
태극기

• 흰색 바타은 밝음과 순수함과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성을


나타낸다.
• 빨간객과 파란색의 태극문양은 각각 음과 양의 조화를
상징하는데, 탄생과 성장과 소멸이라는 자연의 진리를 표현한
것이다 .
• 검은색의 4 괘는 음과 양이 서로 변화·발전하는 모습을
구체화한 것이다.
태극기
• 건은 왼쪽 위에 있는 것으로 하늘을 의미하고 곤은
오른쪽 아래에 있는 것으로 땅을 의미한다. 감은
오른쪽 위에 있는 것으로 물을, 왼쪽 아래에 있는
리는 불을 상징한다.

• 이 태극기는 1883 년 (고종 20 년) 조선의 국기로


채택된 것이다.

• 박영효가 사신으로 일본에 가면서 세계에 알렸고


1948 년부터 대한민국 국기로 사용되고 있다.
무궁화

• 대한민국의 국화/ 나라꽃


• 7~10월에 피며 새벽에 피기 시작 →
오후에 오므라들기 시작 → 해 질
무렵에는 떨어지기 시작
• 전 세계에 약 200 종, 한국에는 약 160종

→ 크게는 세 가지 종류: 단심계, 배달계,


아사달계
무궁화
밥- 반찬 – 발효 음식
• 밥 + 국 + 반찬
숟가락과 젓가락을 이용
다양한 영양소를 고루 섭취할 수 있어
건강 유지에 좋음.
밥 : 한국인의 주식, 쌀을 재료로 하는
한국의 가장 기본적 음식.
국 : 보통 고기, 생선, 채소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 끓여 먹음.
여름에는 시원하게 냉국을 만들어 먹는
경우도 있음. 상 위에서
직접 끓여 먹는 전골이나, 국물을 적게
하여 끓이는 찌개도 있음.
• https://www.youtube.com/watch?v=t3WLY00
kf5Y
밥- 반찬 – 발효 음식

• 반찬 : 다양한 재료를 다양한 요리법으로


조리. 대표적 반찬으로는 김치가 있음.
한국에서는 추운 겨울이 되기 전 많은
가정에서 김장을 함.

• 김장 : 늦가을부터 초겨울 사이 많은 양의
김치를 담그는 것. 김치는 지역에 따라 그
재료가 달라, 종류가 다양함.
밥- 반찬 – 발효 음식

• 발효 음식 : 한국에서는 일정 시간 저장해
두었다가 먹는 발효 음식이 발달. 된장, 간장,
고추장 같은 장류 (sốt/súp)나 새우젓,
멸치젓 등의 젓갈류(mắm) 등이 있음.

• 이 외에 대표적 음식 : 불고기, 삼겹살,


삼계탕, 비빔밥 등.
• https://www.youtube.com/watch?v=GrmcmJR
GwnQ

• https://www.youtube.com/watch?v=lEIJNw5X
n_Q
한옥

• 한옥은 한국의 전통 가옥.

• 한국은 집의 위치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배산임수(뒤에 산이
있고, 앞에 강이 있어 바람을
막을 수 있고 물을 구하기 쉬운
곳)의 지형에 집을 주로
지으며, 햇볕이 잘 들어오는
남향집을 선호함.
한옥

한옥은 볏짚 (짚,
갈대)으로 지붕을 만든
초가집과, 흙을 구워
만든 기와로 지붕을 만든
기와집으로 나뉨.
초가집은 서민이,
기와집은 주로 양반이
거주하였음.
한옥
• 한국의 사계절에 맞게
온돌과 대청마루를
가지고 있음. 추운
겨울에는 온돌을 이용해
난방을 하고, 더운
여름에는 바람이 통하는
대청마루에서 더위를
피함.
• 한옥의 창문은 창호지
(한지, 종이, 나무)로
만듬.
한옥

• 한옥의 지붕에는
처마가 있어서 비를
피할 수 있다.
현대 가옥
❖가옥 형태
• 단독주택 + 공동주택

• 한 가구를 위해서 집을 한 채씩 따로 지은
집을 단독주택이라고 함, 단독주택 중 한 가구가
주택을 소유한 상태에서 여러 가구가 거주할 수
있는 주택을 다가구주택이라고 함.

• 공동 주택은 연립주택과 아파트로 구분됨

현재 한국에서는 단독주택보다 아파트에 거주하는


경우가 더 많음.
현대 가옥
• 한국에서의 주요 거주 형태로는
자가, 전세, 월세가 있음.
• 자기가 소유한 집 = 자가

• 일정 금액의 보증금을 맡기고


계약기간 동안 집을 빌려 사는 것
= 전세
• 매달 돈을 내고 방이나 집을
빌려 사는 것 = 월세

• 집을 구할 때는 등기부를
확인하고 공인중개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음.
집 구하는 법
한복
한복은 시대에 따라 모양이 달랐는데,
현재 전해지는 한복은 조선시대 한복임

남자 : 바지와 저고리
기본, 외출 시
두루마기 (áo
khoác ngoài)
착용

여자 : 치마와 저고리 (áo


trên) 기본.

남녀 모두 버선 (Tất)을 착용함
한복

• 여름에는 삼베나 모시 (vải gai/vải xô)를 한복 소재로 사용,


겨울에는 비단(tơ lụa)이나 솜(bông)을 사용.
현재는 명절, 결혼식, 돌잔치 등 특별한 날에 한복을 주로
입음.
전통을 살리면서 일상 생활에도 편한 생활한복 등장
빨리 빨리 문화
• https://www.youtube.com/watch?v=YkyIXePS
wnM

• https://www.youtube.com/watch?v=vaBtcHe5
6ak
빨리 빨리 문화

• 부정적인 의미 : "급히 먹는 밥이 체한다."


→ 한국인의 "빨리 빨리" 문화가
곧 '냄비 근성'이라는 비난을 받기도 한다. 냄비
근성이란 빨리 끓지만 대신 빨리 식는 냄비의
특성에 빗댄 말로, 빠르게 흥분했다가 시간이 조금
지나면
쉽게 잊어버리는 성격을 의미한다.
빨리 빨리 문화

• 긍정적인 의미: 'IT 한국', '인터넷 강국', '다이니믹


코리아'라는 말에서 보여 주듯이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는 순발력과 열정을 표현하는 한국의
역동성이라는 측면을 담고 있다.
수고하셨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