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일본의 음식문화 5.

양식의 대중화
1)가쓰카레 : 돈가스에 카레를 얹음
1. 일본음식의 특징
2)햄버그 카레 : 햄버그 스테이크에 카레를 얹음
1)슌 : 제철
3)가쓰산도 : 식빵사이 돈가스를 끼워 넣은 샌드위치
2)다시 : 가쓰오부시, 말린 멸치, 말린 표고버섯,
4)앙팡 : 단팥빵, 간식용
다시마 등으로 우려낸 국물
5)멘타이코 파스타 : 명란젓 파스타
3)조미료 : 소금, 된장, 식초, 간장, 설탕, 다시마,
가쓰오부시 6. 스시
1)용어
2. 식사예절
①샤리 : 스시의 토대가 되는 밥
1)유일한 식사도구 젓가락
②네타 : 스시 위에 얹는 재료
2)밥그릇은 손에 들고
③쇼쿠닌 : 스시를 만드는 사람
3)음식은 각자 덜어서
2)스시 역사
4)음식을 주고 받을 때 젓가락 사용X
↳ 생선 장기보존 위해 만든 발효식품
5)한국보다 너그러운 부분
①나레즈시 : 생선에 소금&밥 섞어 장기간 보존해 발효
①국물이나 면을 먹을 때 소리내고 먹어도 O
-시가현 후나즈시(붕어스시) : 6개월에서 2년 발효,
②술 따를 때 양손 사용O 가장 오래된 나레즈시
③첨잔 가능 밥은 버리고 생선만 섭취
④술 마실 때 고개 돌리지X 냄새 강력
⑤가족이 아닌 여성에게 술 따르는 것 개의치X ②오시즈시 : 상자 같은 틀에 밥&생선 넣고 일정시간
눌러 만든 스시,
3. 식생활의 변화
2~3일간 숙성기간
1)1200년간 육식금지
①육식금지 계기 : 675년 텐무천황이 불교 가르침에 에도시대 스시 크게 진화
따라 내린 육식금지령
③니기리즈시 : 쥐어서 만든 스시,
②해지 계기 : 1835년 미국에서 페리제독이 함대를
식초로 맛 낸 초밥에 생선을 얹어
이끌고 일본에 나타나자 쇄국정책을
자리서 바로 먹을 수 있는 뉴 스타일
실시한 정부도 서양문물을 수용 결단
-등장계기 : 서민생활의 윤택,
③해지 : 1872년 육식장려 ← 왜소한 일본인 체격개선 가볍게 먹고 싶어 하는 수요의 증가
2)규나베 : 소고기 전골 ④회전스시 : 스시가 대중 음식으로 정착하게 된 계기
①육식에 대한 저항감을 없애는 계기 3)종류
②일본인에게 친숙한 조미료 미소 사용 ①마키즈시 : 김초밥
②이나리즈시 : 유부초밥
4. 양식
③지라시즈시(바라즈시) : 어패류, 달걀지단, 채소 등
↳ 일본스타일로 바꾼 서양요리
1)돈가스 : 돈(돼지고기) + 가스(커틀릿의 줄임말) 색깔에 맞춰 배열한 초밥

↳ 가쓰(이기다)와 발음 동일
④캘리포니아롤 : 마키즈시의 변형,
⇒ 중요한 시험·운동시합 전, 김에 익숙치 않은 외국인 입맛 고안
합격·승리를 기원하며 먹음
7. 전통요리
2)오므라이스 : 일본 오리지널 양식 메뉴,
1)가이세키요리 : 일본식 접대음식, 일본식 코스음식
프랑스요리 오믈렛에 밥 넣어 만든 음식
2)오세치요리 : 연말에 만들어 1월 1일 새해를 축하하며
3)카레라이스
먹는 특별음식
①특징 : 묽은 인도카레와 달리 건더기 多, 걸죽
①특징
← 영국식 카레가 일본에 들어왔기 때문
-수분을 적게하여 보존성을 높여 한꺼번에 장만해놓고
②발달 설연휴 내내 먹을 수 있도록 국물 없는 마른 음식을 준비
해군 군대식에 도입 -간을 아주 달고 진하게 ← 과거 일본서 설탕은 값비싼
식재료
1950년 즉석 고형 카레 루 등장 → 일반 가정에 보급
⇒ 단 음식은 귀하고 맛있는 음식이란 인식
1968년 레토르트 카레등장
3)사시미 : 사스(찌르다, 꽂다) + 미(몸, 생선 및 짐승 살) 10. 돈부리(덮밥류)
①유래 : 장군이 요리를 접대하던 중 생선회를 먹은 1)규동 : 쇠고기덮밥
손님이 무슨 회인지 묻자 생선이름을 몰랐던 2)부타동 : 돼지고기 덮밥
장군이 조리장을 불러 답하게 한 후 장군이 3)가츠동 : 돈가스 덮밥
어려운 이름을 외우지 않고 생선회를 즐기게 4)텐동 : 튀김덮밥
작은 깃발에 생선의 이름을 적어 생선회에 5)오야코동 : 닭고기와 계란 덮밥
꽃아 내놓은 방법 6)카이센동 : 해물덮밥
7)이쿠라동 : 연어알 덮밥
8. 고기를 먹는 다양한 방법
11. 보양식
1)스키야키 : 일본의 쇠고기 음식을 대표하는 요리,
1)우나기노 카바야키 : 장어양념구이 ← 여름철 보양음식
얇게 썬 쇠고기를 간장과 설탕으로
①1200년전 일본고전작품 “만요슈”
달짝지근하게 맛을 냄
- 더위에 지친 몸에 장어가 좋다는 기록有
①유래 : 에도시대 농부들이 밭고랑 일굴 때 사용하는
2)도요노 우시노히 : 일본의 복날
삽모양의 가래에서 쇠고기를 구워 먹은 것
가장 더운 시기인 7월 20일 경
2)야키니쿠 : 불고기 야쿠(굽다) + 니쿠(고기)
①“우”가 붙은 음식 섭취 → 더위를 이겨낼 수 있음
3)샤브샤브 : 철벅철벅의 의성어
ex. 우동, 우메보시, 우시(소고기), 우나기(장어)
아주 얇게 썬 고기 또는 생선을 끓는 물에
재빨리 넣어 살짝 익혀먹는 요리의 총칭 12. 에키벤
↳ 에키(역) + 벤토(도시락)
9. 면요리 각 역마다 특징있게 역에서 파는 도시락
1)우동 ← 시코쿠지방의 사누키우동이 발달
↳ 면 쫄깃쫄깃 13. 야타이
①키츠네우동 : 유부우동 ↳ 포장마차
-삼각형으로 썰어 얹은 유부가 여우의 얼굴형과 닮아
14. 배달문화 ← 오래됨
붙어진 이름이라는 속설
1)에도시대 스시, 소바 배달
②타누키 우동 : 튀김 부스러기를 얹은 우동
2)전화주문 → 인터넷발전에 의한 인터넷 주문
③츠키미 우동 : 우동 위 날계란을 넣은 것
→ 어플 주문
-계란의 흰자 부분을 구름, 노른자 부분을 달이라고 생각해
달구경 한다는 의미인 츠키미를 붙임
④카마아게 우동 : 삶은 물에 담겨나온 뜨거운 우동면을
츠유에 찍어 먹는 우동
⑤니코미 우동 : 국물이 끓기 시작하면 우동을 넣어
잠깐 끓여 내는 냄비우동
-나고야 지방의 미소니코미우동 유명
⑥히야시 우동 : 삶은 우동을 얼음에 헹궈 차가운 우동
국물에 넣어 먹는 우동
-주로 여름철에 먹음
⑦야키우동 : 채소, 소스 등과 함께 우동을 볶은 것
⑧덴푸라 우동 : 튀김우동
⑨니쿠 우동 : 고기우동
2)소바
①종류
-자루소바 : 냉모밀
-카케소바 : 온소바, 따뜻하게 먹는 경우
②독특한 풍습
-힛코시 소바 : 이사시, 이웃·집주인에게 소바 선물, 소바면
처럼 가늘고 길게 신세를 지겠다는 의미
· 에도시대 관습
-토시코시 소바 : 12월 31일, 가족이 둘러앉아 소바 먹으며
소바면처럼 가늘고 길게 오래 살기를 기원
우키요에 3, 외국에 영향 준 우키요에
↳ 에도시대의 풍속을 그린 그림 1)쟈포니슴 : 19C 말~20C 초 유럽서 일어난 일본 미술 붐
일본을 대표하는 미술 ①중심 : 우키요에
②1867년 파리 만국 박람회서 일본 문화 대대적 소개
1. 우키요에
→ 쟈포니슴 열기에 박차
1)탄생 : 1657년 1월 일어난 에도의 대화재
③많은 우키요에 수집가 탄생 : 마네, 모네, 에드가, 드가
메레키 대화재 이후 탄생
후기 인상파 작가多
2)발전계기 : 당시의 풍속화를 목판화라는 복제수단을
-우타가와 히로시게 <카메이도 우메야시키>
이용해 대량으로 싼 가격에 제공 O
→ 고흐 <꽃피는 매화나무>
3)히시카와 모로노부 : 우키노에 창시자
①1682년 “호색일대남” 대중소설에 삽화를 그림으로
우키요에의 시작으로 봄
②소설 삽화에 그림의 비중을 키워 그림책 제작
③그림에 서명을 넣어 자신의 작품 각인
4)분업
①에시 : 화가
②호리시 : 조각가
③스리시 : 인쇄가
④한모토 : 총과정 통괄, 오늘날의 출판사

2. 니시키에 ← 에도, 달력의 필요성으로 그림달력제작


↳ 중국의 비단처럼 아름답다
1)우키요에 발전 계기 : 각자 그림달력 가지고 그
우월을 가리는 모임
그림달력교환회의 유행
→ 사교놀이로 발전
2)스즈키 하루노부 : 그림달력 제작에 독보적 존재
①니시키에 유래 : 그림 달력 제작에 사용했던 판목을
출판업자들이 사들여 한 장짜리
그림인 이치마이에로 제작하여
일반 대중에게 판매
3)장르
①야쿠샤에 : 당시 서민에게 높은 인기를 누린 가부키
배우를 그린 그림
-무대전체를 바라보는 그림 → 연기하는 배우 클로즈업 그림
-도슈라이 샤라쿠가 유명 : 배우의 내면, 개성 잘 표현
-안정된 수요로 우키요에의 반수 이상 차지할 정도로 제작
②미인화 : 미인을 그린그림, 야쿠샤에와 함께
우키요에의 주요 테마
-오늘날의 패션잡지 기능
-전신상 → 얼굴부터 가슴까지 클로즈업
: 기타가와 우타마로 <오오쿠비에> 유행
⇒ 용모 표현의 관심 증가
③풍경화 : 미인화 절정기에 탄생
-원근법 습득의 어려움으로 풍경은 대부분 배경묘사
→ 풍경에 필요한 기술 습득
-풍경화의 대가 : 가쓰시카 호쿠사이, 우타가와 히로시게
· 풍경화 시리즈 발표 → 풍경화 열풍
-서양미술(인상파)에 영향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