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7

先史 시대의 전개

선사
1. 구석기 시대
2. 신석기 시대
먹거리를 구하는 방법들

이동 생활

몰이사냥
몰이사냥모습
모습
평남 상원 검은모루 동굴
청원 두루봉 생활모습을 되살린 그림
공주 석장리 막집을 되살린 그림
구석기인들은뗀
어떤 도구를석

사용했을까 ?




주 먹 도 끼
전기
찍 개
전기
긁개와 밀개
중기
중기

자르개
후기 슴베찌르개
흥수아이
구석기 시대의 예술

수양개
청원 두루봉
물고기 동굴
예술품사람( 얼굴을
소의 정강이
새긴 사슴뼈
뼈에
Part Ⅳ - 신석기 시대
먹거리를 얻는 새로운 방식

농경의 시작
그러나 . . .
아직도 그들은
사냥과 물고기잡이를 해야만
먹고 살 수 있었다 . (-_-a)
계속되는 물고기 잡이
계속되는 사냥
무엇에 쓰는 물건일까 ?










( 오늘날 페루 원주민 )

신석기 시대의
수공업
새로운 집 - 움집
화덕자리
새로운 도구들 - 간석기

돌괭이 돌보습 돌낫
조리도구 보기

갈돌 , 돌괭이
토기
덧무늬토기

이른민무늬토기
빗살무늬토기
토기의 용도는 ?

식량의 저장과 조리
구석기와 신석기시대는 평등하다 !

왜 이만큼
? 늘 배가
고팠다 .

WHO 1 일
권장 섭취량
굶어 죽는 사람이
생겨나 공동체가
유지될 수 없다 .
공동생산
공동분배

배고픔의
평등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
생산력이 너무 낮았다

한 사람이 다 먹을 경우 나머지는 굶는다

공동체를 유지할 수가 없다

공동생산 공동분배
인디언 여인의

옷매무새와 신석기
유적지 출토
치레거리를 이용하여
재구성 .

가죽옷 , 조개 껍질과

동물 이빨로 만든
장신구로 치장

정말 이런

모습이었을까 ?
신석기시대의 변화
구석기
구석기 신석기
신석기
뗀석기 , 뼈도구 간석기 , 토기

동굴 , 바위그늘 움집

이동생활 정착생활

채집경제 생산경제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