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1.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동아시아사 1-3.선사 문화의 전개(01)

3.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유형1. 구석기의 인류와 도구
zb3 )

1. zb1 ) 구석기 인류의 생활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선사 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적절한 것은? (가) 시대 사람들은 여러 뗀석기를 제작하였고, 이러한


도구들로 채집, 사냥, 어로 활동을 하며 삶을 꾸렸다.
농경과 목축 생활을 시작하였다.
뗀석기와 뼈로 만든 도구를 사용하였다. 주로 움집에 거주하였다.

지배자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제작하였다. 불과 언어를 사용하였다.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감과 그물을 만들었다. 주로 정착 생활을 하였다.

강가에 마을을 형성하고 움집을 짓고 살았다.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였다.


씨족장의 권한이 강화하였다.

4. zb4 ) 다음 인류와 관련 있는 내용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 zb2 ) 다음 유물이 제작된 지역을 지도에서 고른 것은?

<보 기>
ㄱ. 뗀석기와 토기를 사용하였다.
ㄴ. 평등한 사회에서 살았다.
ㄷ. 벽화를 남기는 등 원시적인 신앙생활을 하였다.
ㄹ. 동굴이나 막집에서 살았다.
ㄱ, ㄴ ㄱ, ㄷ
ㄴ, ㄷ ㄴ, ㄹ
ㄷ, ㄹ

5. zb5 ) 밑줄 친 ‘이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들은 20만 년 전쯤에 동아시아 대부분 지역에 도달


하였다. 중국의 시허우두, 한국 상원의 검은모루 동굴과
연천 전곡리 등에 이들이 살았던 흔적이 남아 있다. 중국
의 베이징 산정동인, 한국의 역포 아이 등이 대표적이다.
(가) : 훙산 문화 (나) : 양사오 문화
이동하는 동물을 쫓아 사냥을 하였다.
(다) : 허무두 문화 (라) : 한반도
현재 동아시아인의 직접적인 조상이다.
(마) : 조몬 문화
주로 식물 채집을 통해 생존을 유지하였다.
뗀석기를 제작하여 여러 용도로 활용하였다.
대부분 동굴이나 막집에서 집단생활을 하였다.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1 -
[기본] 1-3.선사 문화의 전개(01)

❚유형1. 신석기 문화의 생활과 교류


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신석기 유적지를 지도에서
6.
zb8 )

zb6 ) 밑줄 친 ‘이 지역’을 지도에서 옳게 고른 것은? 골라 해당 지역에서 출토된 유물과 바르게 짝지은


신석기 시대 이 지역의 사람들은 농경보다는 사냥과 어 것은?
로, 채집으로 생계를 유지하였다. 유물로는 새끼줄 무늬 이곳에서는 농기구와 볍씨가 출토되어 벼농사가 이루어
가 있는 토기가 출토되었는데, 토기의 무늬로부터 이 지 졌음을 알 수 있다. 사람들은 움집 대신 고상 가옥을 지
역의 신석기 문화와 시대를 지칭하는 이름이 붙여졌다. 어 생활하였다.
신석기 시대 중기 이후에는 불꽃 모양의 토기가 제작되었
다.

(가) (나)
(다) (라)
(마)

7. zb7 ) 다음 내용의 동아시아 신석기 문화에 대한 설명


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창장강 유역에서는 채도가 특징인 양사오 문화가 발
전하였다.
ㄴ. 랴오허강 유역에서는 훙산 문화권에서 옥기가 많이
출토되었다.
ㄷ. 황허강 중류 유역에서는 채도가 특징인 다원커우 문
화가 발전하였다.
ㄹ. 허무두 문화는 옥기를 특징으로 하는 량주 문화로 발
전하였다.
ㄱ, ㄴ ㄱ, ㄷ
ㄴ, ㄷ ㄴ, ㄹ
ㄷ, ㄹ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2 -
[기본] 1-3.선사 문화의 전개(01)

❚유형 2. 중원 지역의 신석기 문화


11. 만화의 밑줄 친 유물을 고르시오.
9.
zb1 1 )

zb9 ) 이 유물이 발견된 지역을 지도에서 옳게 고른 것


은?

A B
C D
E

10. zb1 0 ) 다음 토기가 제작되었던 시기의 사회모습으로 옳


은 것은?

이동생활을 하였다.
뗀석기를 사용하였다.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었다.
동굴이나 막집에서 거주하였다.
빈부차이와 계급분화가 확대되었다.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3 -
[기본] 1-3.선사 문화의 전개(01)

12. 밑줄 친 ‘이 지역’을 지도에서 고르면?


❚유형 3. 만주와 한반도, 일본 열도의 신석기 문화

14.
zb1 2 )

다음은 중국의 신석기 문화를 정리한 것이다.


이 지역은 벼농사에 기반을 둔 허무두 문화가 발달하였
zb1 4 )

(가) 문화에 해당하는 유물로 옳은 것은?


다. 허무두 문화에서는 간석기 등으로 농기구를 제작하고
가축을 길렀다. 토기로는 흑도, 회도, 홍도 등을 제작하였 지역 문화
고, 표면에는 벼 이삭이나 돼지 무늬를 넣기도 하였다.
중류 ( 가) 문화
황허 강 유역
하류 다원커우 문화

양쯔 강 유역 허무두 문화

랴오허 강 유역 훙산 문화

(가) (나)
(다) (라)
(마)

13.
zb1 3 ) 밑줄 친 ‘이 지역’을 지도에서 옳게 고른 것은?

이 지역에서는 신석기 시대에 새끼줄을 누르거나 굴려


서 무늬를 새긴 토기에 이어 마치 불꽃이 타오르는 듯한
화려하고 정교한 장식의 토기가 나타났다. 신석기 시대가
끝나고 성립된 야요이 시대에는 무늬 없는 토기가 확산되
어 갔다.

15.
zb1 5 ) (가)지역 신석기 문화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가) (나)
룽산 문화로 발전하였다.
(다) (라)
다원커우 문화가 발달하였다.
(마)
황허 강 유역에서 발달하였다.
흑도, 회도, 홍도 등이 제작되었다.
새끼줄 무늬를 넣은 토기가 만들어졌다.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4 -
[기본] 1-3.선사 문화의 전개(01)

❚유형 3. 만주와 한반도, 일본 열도의 신석기 문화


17. 다음 (가), (나) 유물과 관련된 지역의 선사문화에
16.
zb1 7 )

zb1 6 ) 다음 유물이 출토된 지역에서 함께 볼 수 있는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


유물은? 은?

<보기>
이 지역에서는 용, 멧돼지 등을 형상화한 옥기가 다량
ㄱ. (가) - 여신 숭배 사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으로 출토되었다. 중국에서는 마귀를 쫓고 복을 불러오는
물건으로 옥을 중요하게 여겼다. 옥은 금속이 등장하기 ㄴ. (가) - 표면에 새끼줄 무늬가 새겨진 토기 등이 제작
이전에는 최고의 장식품이었으며, 신분을 과시하기 위한 되었다.
상징적 수단이기도 하였다. ㄷ. (나) - 사회 분업화가 많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ㄹ. (나) - 랴오허강 유역의 신석기 문화로 용 모양의 옥
기도 제작되었다.
ㄱ, ㄴ ㄱ, ㄷ
ㄱ, ㄴ, ㄷ ㄱ, ㄴ, ㄹ
ㄱ, ㄴ, ㄷ, ㄹ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5 -
[기본] 1-3.선사 문화의 전개(01)

18.
zb1 8 ) 밑줄 친 ‘이 시대’의 사회 모습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가) (나)
(다) (라)
(마)

<보 기>
ㄱ. 계급이 분화되고 국가가 성립하였다.
ㄴ. 도교가 융성하면서 유학이 약해졌다.
ㄷ. 왕권 강화를 위해 불교를 받아들였다.
ㄹ. 특정 동물을 숭배하는 토테미즘이 나타났다.
ㅁ. 농기구 등 생활 용구는 주로 돌이나 나무로 만들어졌 20.
zb2 0 ) (가), (나) 토기가 주로 제작된 지역을 지도의
다. A~E에서 골라 옳게 연결한 것은?
ㄱ, ㄷ ㄱ, ㅁ
ㄴ, ㄷ ㄴ, ㄹ
ㄹ, ㅁ

19.
zb1 9 ) 밑줄 친 ‘이 지역’을 지도에서 옳게 고른 것은?

(가) (나)
A B
A E
C E
돼지그림 토기는 이른 시기부터 벼농사가 발달한 이 지 D B
역의 대표적인 토기입니다. 이 지역에는 돼지그림 토기뿐
D E
만 아니라 식물이나 삿무늬, 벼 이삭 무늬가 그려진 토기
가 발견되었습니다.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6 -
[기본] 1-3.선사 문화의 전개(01)

21.
zb2 1 ) 다음 토기가 제작된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 23.
zb2 3 ) 다음과 같은 유물을 남긴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한 것은? 가장 적절한 것은?

(다) 지역에 해당한다.


홍도가 만들어지다가 점차 흑도가 제작되었다.
다원커우 문화와 함께 룽산 문화로 발전하였다.
옥기를 특징으로 하는 량주 문화로 발전하였다.
이동 생활하며 뗀석기를 사용하였다.
다산과 풍요를 기원하며 토우를 다량으로 제작하였다.
사냥과 어로를 하며 정착 생활하였다.
벼농사를 지으며 생산력이 발전하였다.
여러 나라가 형성되고 군장이 등장하였다.
한반도로부터 청동기와 철기가 전래 되었다.

※ 다음 지도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 다음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22.
zb2 2 ) 다음 유물을 남긴 신석기 문화가 발전하였던 지 24.
zb2 4 ) 아래의 유물들이 출토된 신석기 문화 시기 지역
역을 지도에서 옳게 고른 것은? 을 지도에서 고르면?

(가) (나)
(가) (나)
(다) (라)
(다) (라)
(마)
(마)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7 -
[기본] 1-3.선사 문화의 전개(01)

25.
zb2 5 ) (가)~(마) 지역에서 발달한 신석기 문화에 대한 설
명으로 옳은 것은?
(가) - 채도를 사용하는 양사오 문화가 발전하였다.
(나) - 빗살무늬토기는 이 지역을 대표하는 토기이다.
(다) - 주술적 의례를 위한 도구로 동탁이 만들어졌다.
(라) - 사회 규모가 커지고 국가가 출현하였다.
(마) - 혈연관계를 바탕으로 한 봉건제가 발달하였다.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8 -
[기본] 1-3.선사 문화의 전개(01)

11) [정답]
[해설] 새끼줄무늬는 일본의 조몬 토기에서 나타난다. 훙
산토기는 랴오허강에서 발굴된다. 돼지 그림 토기는
1) [정답] 양쯔강 하류에서 나타난다. 청동술잔은 상의 유산이
[해설] 구석기 시대에는 주로 뗀 석기를 사용했다. 농경과 다. 갑골문은 상의 유산이다.
목축은 신석기 시대의 일이다.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
의 유산이다. 뼈바늘은 신석기 시대의 유산이다. 12) [정답]
움집은 신석기 시대의 생활상이다. [해설] 창장강 하류 지역에서는 허무두 문화가 나타났으며,
여기서는 돼지 그림의 토기가 발견된다.
2) [정답]
[해설] 보기의 그림은 울산 신암리에서 출토된 여인상이다. 13) [정답]
(가 )는 랴오허강, (나 )는 황허, (다)는 양쯔 , (라)는 한반 [해설] 새끼줄 무늬가 새겨진 토기를 제작한 것은 일본이다.
도, (마)는 일본에 해당한다. 이를 조몬토기라 이름한다. 이후에 등장한 일본의 청동
기 시대는 야요이 시대다.
3) [정답 ]
[해설] 구석기 시대에는 불과 언어 사용이 시작되었다 . 움 14) [정답]
집에 거주하던 것은 신석기 시대의 일이다. 정착생활 [해설] 황허강 중류에서는 무늬가 그려진 채도가 발달했다.
은 신석기 시대에 시작되었다. 농경과 목축을 시작한 네발달린 청동솥은 상나라의 청동기이다. 의 청동
것 역시 신석기 시대다. 씨족장의 권한이 강화한 것 북은 베트남의 동선 문화에 기인한다. 의 조몬토기는
역시 신석기 시대의 중요한 특징이다. 왜의 토기다. 빗살무늬 토기는 주로 한반도에서 출토
된다.
4) [정답 ]
[해설] 구석기 사회에서는 ㉡평등한 사회가 이어졌으며 , ㉣ 15) [정답]
동굴이나 막집에서 거주했다 . ㉠ 토기는 신석기 시대에 [해설] 조몬 토기는 일본의 대표적 토기다. 룽산문화로 발
등장했으며, ㉢ 원시적 신앙형태 역시 신석기 시대의 특 전한 것은 황허 유역의 일이다. 다원커우 문화는 황
징이다. 허 하류의 문화다. 황허강 유역에서는 양사오, 다원
커우 문화가 성장했다. 흑도는 룽산문화의 주요한 특
5) [정답 ] 징이다.
[해설] 보기는 동아시아의 구석기 시대를 다룬다. 구석기 시
대에는 수렵, 채집 등으로 생존했으며, 동굴에서 거주 16) [정답]
했다. 그러나 역포아이 등은 네안데르탈인이기 때문에, [해설] 옥기는 랴오허강 일대에서 출토되며, 이 곳에서는 훙
현대 동아시아인의 직접적 조상은 아니다. 산 토기도 같이 발견된다. 돼지 그림 토기는 양쯔강
하류에서 나타나며, 빗살무늬토기는 한반도의 유산이
6) [정답 ]
다. 조몬토기는 일본의 토기이며, 채도는 황허 중
[해설] 새끼줄 무늬를 사용한 토기는 일본의 ‘조몬 토기 ’를
류에서 출토된다.
지칭한다. 이는 다른 지역에서 발견되지 않는 일본만의
특징적 토기이며, 이를 활용하여 이 시기 일본의 문화 17) [정답]
를 ‘조몬 문화’라고 부르게 되었다. [해설] (가)는 훙산 문화의 여신얼굴상이며, (나)는 룽산 문화
의 흑도다. ㄱ.훙산 문화에서는 여신 숭배가 자리하며,
7) [정답 ]
ㄷ .룽산 문화는 다양한 직업군이 예상된다 . ㄴ.새끼줄
[해설] ㄴ . 랴오허강 유역의 대표 문화가 훙산문화이며, ㄹ.
무늬 토기는 일본의 조몬 토기다 . ㄹ .흑도는 랴오허강
허무두 문화는 양쯔강 하류에서 출발하여 량주 문화로
이 아니라 황허에서 발견된다.
발전했다. ㄱ. 양사오 문화는 황허 중류에서 발생했다.
ㄷ. 다원커우 문화는 황허 하류에서 발생했다 . 18) [정답]
[해설] ㉠청동기 시대에는 계급 분화와 국가 성립이 나타났
8) [정답 ]
다 . ㉤농기구 등의 생활 용구는 돌로 만들었다. ㉡도교
[해설] 양쯔강 하류에서는 벼농사가 일찍 시작되었으며 , 이
나 유학이 등장했던 것은 철기 시대에 해당한다. ㉢불
지역에서는 돼지 그림 토기 등의 흑도, 홍도 등이 제작
교를 받아들인 것은 고대 국가가 등장한 이후의 일이
되었다.
다 . ㉣토테미즘은 신석기 시대에 이미 등장했다 .

9) [정답 ]
19) [정답]
[해설] 황허강 중류 지역에서는 양사오 문화가 발달하였고,
[해설] (가)는 랴오허강 , (나)는 황허강, (다)는 양쯔강, (라)는
이때, 무늬가 그려진 채도가 발달한 것이 특징이다.
한반도, (마)는 일본이다. 이때, 돼지 그림 토기는 양쯔

10) [정답] 강 하류 허무두 문화에서 발견된다.

[해설] 토기를 제작한 것은 신석기 시대의 일이며 , 당시에는


20) [정답]
정착 생활이 시작되었다. 이동 생활과 뗀석기는 구
[해설] (가)는 창장강 하류 허무두 문화의 돼지 그림 토기,
석기 시대의 특징이다. 동굴이나 막집 역시 구석기 (나)는 일본 조몬 문화의 토기이다. A는 창장강 하류,
시대의 생활상이다. 빈부차이가 확대된 것은 청동기 B 는 황허강 하류, C는 랴오허강 유역, D는 한반도, E
시대의 일이다. 는 일본이다.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 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1) 제작연월일 : 2023-02-03 2) 제작자 : 교육지대㈜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
- 9 -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
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I410-ECN-0199-2022-001-000168432
[기본] 1-3.선사 문화의 전개(01)

21) [정답]
[해설] 조몬 토기는 일본의 신석기 시대에 해당하며 , 당시
일본은 농경보다 수렵과 어로로 생계를 유지했다. 뗀
석기는 구석기 시대의 유물이다. 벼농사는 주로 청동
기 시기에 시작되었다. 청동기 시대에 접어든 이후
국가가 성립된다. 청동기와 철기는 신석기에는 사용
되지 않았다.

22) [정답]
[해설] (가)는 랴오허강, (나)는 황허, (다)는 양쯔, (라)는 한
반도, (마)는 일본이다. 이때 , 훙산토기와 여신얼굴상을
만든 것은 랴오허 강 유역의 훙산문명에 해당한다.

23) [정답]
[해설] 보기의 채도는 양사오 문화의 것이며, 이는 룽산문화
로 발전한다. 이는 황허 중류 지방의 문화다. 황허
중류에서는 채도를 만들다가 흑도로 발전했다. 옥기
를 활용한 것은 량주 문화에 해당한다. 토우를 다량
으로 만든 것은 일본이다.

24) [정답]
[해설] 기하학적 무늬의 토기가 발견되고, 용모양의 옥기가
발견된 것은 훙산 문화다. 이는 랴오허 강 근처에 위치
한다.

25) [정답]
[해설] (가)는 양사오 문화를 보여준다 . (나)에서는 돼지
그림 토기가 발견되었다. (다)에서는 기하학적 문양을
내재한 토기가 발견되었다. (라 )에는 빗살무늬 토기가
발견된다. (마)는 새기줄 무늬를 내재한 조몬 토기가
나타난다.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 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1) 제작연월일 : 2023-02-03 2) 제작자 : 교육지대㈜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
- 10 -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
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I410-ECN-0199-2022-001-00016843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