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1.

선사 문화와 고대 국가의 형성

1-1.선사 문화와 국가의 등장(02)

3. zb3 )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사회의 모습으로 옳은


❚유형1. 선사 문화
것은?
1. zb1 ) (가)에 들어갈 유물로 옳은 것은?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 가 )를/을 이용하여 실을


뽑아 옷을 지어 입었다.

뗀석기를 제작했음을 알 수 있다.


농경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동굴 벽화를 제작했음을 알 수 있다.
한이 고조선을 침입했음을 알 수 있다.
청동으로 도구를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4. zb4 )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으로 옳지 않


은 것은?

2. zb2 ) 그림과 같은 생활 모습이 나타나기 시작한 시대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교사 : 지금 보고 있는 유물이 만들어진 시기의 사람들은


어떻게 생활했을까요?
민주 : 가락바퀴를 가지고 실을 만들었어요.
은비 : 사람들은 동굴이나 막집에서 살았어요.
유리 : 이동생활 대신에 정착생활을 시작했어요.
채원 : 돌을 갈아서 만든 간석기를 사용하기 시작했어
돌무지무덤을 만드는 인부들 요.
반달 돌칼로 벼이삭을 추수하는 아버지 예나 : 농경과 목축을 시작해 ‘신석기 혁명’이라 불리고
뼈바늘, 가락바퀴를 이용한 옷을 만드는 언니 있어요.

무늬 없는 토기(=민무늬토기)에 곡식을 넣는 엄마
청동검과 청동거울을 착용한 제사장의 제사 활동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1 -
[발전] 1-1.선사 문화와 국가의 등장(02)

5. 다음 유물과 관련한 전시회에서 체험할 수 있는


❚유형2. 청동기 문화

7.
zb5 )

활동으로 적절한 것은? zb7 ) 다음을 통해 알 수 있는 청동기 시대의 생활 모


습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계급의 발생 ㄴ. 벼농사의 시작
ㄷ. 제정 분리 사회 ㄹ. 왕위 부자 상속
고인돌 끌어보기
ㅁ. 농작물은 빗살무늬 토기에 저장
뗀석기 만들어 보기
ㄱ,ㄴ ㄱ,ㄷ
비파형 동검을 조립해 보기
ㄴ,ㄷ ㄷ,ㄹ
가락바퀴를 이용하여 실뽑기
ㄹ,ㅁ
갈돌과 갈판으로 곡식을 갈아보기

6. zb6 ) 구석기 시대 아이 철수의 자기 소개문이다. 소개 8. zb8 ) 다음 중 청동기 시대와 관계없는 것은?


내용 중 구석기 시대의 모습으로 옳지 않은 것은?

안녕하세요. 저는 경기도 연천 전곡리에 사는 철수에


요. 여섯 살이고, ㉠땅을 파고 움집을 지어 살고 있어요.

좋아하는 음식은 ㉡사냥해온 짐승의 고기와 낚시한 물


고기에요. 하지만 ㉢채집해서 먹는 채소들은 진짜 싫어
요. 먹기 싫지만 혼날까봐 억지로 먹고 있답니다. 내가
좋아하는 것은 ㉣동굴 안쪽에 벽화를 그리러 가는 것이에
요. 커다란 짐승을 잡게 해달라는 의미에서죠. 요즘은 이
근처에 먹을 만한 짐승들이 많이 없대요. 그래서 곧 딴
곳으로 이사를 가야할 것이라네요. ㉤이동생활이라는 것
은 참 고달파요.

㉠ ㉡
㉢ ㉣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2 -
[발전] 1-1.선사 문화와 국가의 등장(02)

9. zb9 ) ‘이 시대’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


zb1 2 ) 다음의 건국 이야기를 가진 나라에 대한 설명으
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옛날에 환인의 아들 환웅이 인간 세상에 관심을 두었다
환인이 아들의 뜻을 알고 지상 세계를 내려다보니, 인간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할 만하였다. .... 그는 바람, 비, 구
름을 다스리는 신하와 함께 곡식, 수명, 질병, 형벌 등
360여 가지 일을 맡아 인간 세상을 다스렸다. 이때 곰
한 마리와 호랑이 한 마리가 환웅에게 사람이 되기를 빌
었다. .... 환웅이 여자가 된 곰과 혼인하여 아들을 낳으
니, 그 이름을 단군왕검이라 하였다.

- <삼국유사> -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보기>

빈부의 차이가 생겨났다. ㄱ. 연의 침략으로 멸망하였다.

철제 농기구로 농사를 지었다. ㄴ. 세형동검, 바둑판식 고인돌의 분포 지역과 문화권이


일치한다.
거주지에 울타리를 쳐 침입을 막았다.
ㄷ. 위만의 집권 이후 철기 문화 확산 및 중계 무역으로
족장은 청동제기를 이용해 제사를 주관했다.
번영을 누렸다.
ㄹ. 위 이야기 속에 특정 동물숭배 사상, 제정일치 사회
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
❚유형3. 고조선 시대
ㄱ, ㄴ ㄱ, ㄷ
10. zb1 0 ) 고조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ㄴ, ㄷ ㄴ, ㄹ
고조선은 철기문화를 받아들이지 못하여 한나라에게 멸 ㄷ, ㄹ
망하였다.
중국과는 다른 독자적인 청동기 문화를 형성하였다.
단군이야기에 고조선 건국과 관련된 청동기 시대의 사
회 모습이 잘 나타나있다.
한반도의 진과 중국 사이에서 중계무역을 통해 성장하 13.
zb1 3 ) 고조선의 법률을 통해 알 수 있는 당시 사회의
였다. 특징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이다.
• 사람을 죽인 사람은 사형에 처한다.
• 남에게 상처를 입힌 자는 곡물로 갚는다.
•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노비로 삼고, 만약 용서를 받으
려면 많은 돈을 내야 한다.

11. zb1 1 ) <보기>의 고조선의 역사적 사실을 일어난 순서대


<보기>
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
ㄱ. 평등한 사회 ㄴ. 노동력 중시
<보기>
ㄷ. 사유재산 인정 ㄹ. 제정분리 사회
㉠ 한무제의 침략
ㄱ, ㄴ ㄱ, ㄷ
㉡ 위만의 왕위찬탈
ㄴ, ㄷ ㄴ, ㄹ
㉢ 한과 진 사이의 중계무역 실시
ㄷ, ㄹ
㉣ 연나라의 침략
㉠-㉢-㉣-㉡ ㉣-㉡-㉢-㉠
㉡-㉣-㉠-㉢ ㉣-㉢-㉠-㉡
㉠-㉡-㉣-㉢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3 -
[발전] 1-1.선사 문화와 국가의 등장(02)

14. 고조선 사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유형1. 철기의 보급과 사회 변화

16.
zb1 4 )

다음과 같은 철기의 보급으로 변화된 사회 모습


수도는 압록강 유역의 국내성이었다.
zb1 6 )

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단군신화를 보면 제정이 분리된 사회임을 알 수 있다.
철기문화를 배경으로 형성된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이다.
사람의 생명을 존중하고 노동력과 사유 재산을 중요하
게 여겼다.
연의 침략을 받아 1년 동안 강하게 맞서다 기원전 108
년에 멸망하였다.

<보 기>
ㄱ. 벼농사가 시작되었다.
ㄴ. 직업의 분화가 나타났다.
ㄷ. 만주와 한반도 지역에 여러 나라가 성립하였다.
15.
zb1 5 ) 지도와 같이 세력을 펼쳤던 국가에 관련 없는 내
ㄹ. 전쟁이 빈번해지고 지배층의 권력이 강화되었다.
용은?
ㄱ, ㄴ ㄱ, ㄷ
ㄴ, ㄷ ㄴ, ㄹ
ㄷ, ㄹ

❚유형2. 여러 나라의 성장

17.
zb1 7 ) 다음을 통해 알 수 있는 부여 사회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부여에서는 마가, 우가, 저가, 구가 등 가축의 이름으로


관리들의 명칭을 정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제가들은 각각
사출도를 다스렸다. 홍수나 가뭄으로 농사에 흉년이 들면
제가들이 그 책임을 왕에게 물어 왕을 쫓아내거나 죽이려
고 하였다.

왕권이 미약하였다.
위만조선의 성립 이후 중국이 본격적으로 지배하였다.
군장의 힘이 약하였다.
홍익인간의 건국이념은 민족을 하나로 통합하는 원동력
이 되었다. 목지국의 군장이 왕으로 추대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로 삼국유사에서는 단군왕검이 건 같은 씨족끼리 혼인하지 않는 풍습이 존재하였다.


국하였다고 한다. 기후와 토양이 농사짓기에 적합하여 벼농사가 발달하였
비파형 동검, 탁자식 고인돌의 분포 지역을 통해 이 나 다.
라의 문화권을 알 수 있다.
중계무역 등을 통하여 강해졌으나 이를 경계한 중국 한
나라의 침입으로 멸망하였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4 -
[발전] 1-1.선사 문화와 국가의 등장(02)

18.
zb1 8 ) 다음에서 설명하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19.
zb1 9 ) 그림에 대한 설명 중 밑줄 친 ㉠에 해당하는 나
것은? 라를 지도에서 옳게 고른 것은?
이 나라는 여러 개의 소국이 모여 연맹을 이루고 있었
다. 여러 소국에는 군장인 신지, 읍차 외에 제사장인 천
군이 따로 있었다.

서옥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10월에 동맹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책화를 통해 부족의 생활권을 보호하였다.
소도라 불리는 신성 지역이 존재하였다.
씨족끼리는 결혼하지 않는 족외혼 풍습이 있었다.

윷놀이의 도, 개, 걸, 윷, 모는 돼지, 개, 소, 말 등의
동물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신채호는 윷놀이가 ( ㉠ )에
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사출도를 주관했던 마가, 우
가, 저가, 구가의 존재를 근거로 들었습니다.

(가) (나)
(다) (라)
(마)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5 -
[발전] 1-1.선사 문화와 국가의 등장(02)

※ 다음 지도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 지도는 철기가 확산되면서 만주와 한반도에서 성립한 여러 나라


를 표시한 것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20.
zb2 0 ) (라) 나라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22.
zb2 2 ) A~E 중 다음 글에서 설명하는 나라는?

10월에 ‘동맹’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보기>

왕이 없고, 군장이 각 읍락을 다스렸다. • 음력 정월에 지내는 제천 행사는 나라의 큰 행사로, 날


마다 마시고 먹고 노래하고 춤추는데, 그 이름을 영
단궁과 과하마 등 특산물이 유명하였다.
고라 한다.
토지가 비옥하고 해산물이 풍부하였다.
• 살인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은 노비로 삼는다. 도
같은 씨족끼리 혼인하지 않는 풍습이 있었다. 둑질한 자는 물건 값의 12배를 배상한다. .... 부인이
질투하면 사형에 처하고 시체는 서울 남쪽 산 위에
버려서 썩게 한다. 여자 집에서 시체를 가져가려면
소나 말을 바쳐야 한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
21.
zb2 1 ) (가)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B

넓은 평야지대에서 농사와 목축을 하였다. C D

홍수나 가뭄이 들면 왕에게 책임을 물었다. E

몇 개의 부족이 연합하여 연맹 왕국을 이루었다.


흰옷을 즐겨 입었고, ‘책화’라는 풍속이 있었다.
23.
zb2 3 ) A~E 중 다음 글에서 설명하는 나라는?
왕이 죽으면 많은 사람을 껴묻거리와 함께 묻었다.
<보기>
• 해마다 10월이면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밤낮으로 술
마시며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니 이를 무천이라고 한
다.
• 그 습속은 산천을 중시했는데, 산천에는 각각 부분이
있어 서로 함부로 들어갈 수 없었다. 따라서 그 읍락
을 함부로 침범하면 즉시 노비, 소, 말로 벌을 물어야
했는데, 이를 책화라고 불렀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
A B
C D
E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6 -
[발전] 1-1.선사 문화와 국가의 등장(02)

24.
zb2 4 ) 다음 글과 관련 있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 해마다 5월이면 씨뿌리기를 마치고 귀신에게 제사를 지
낸다. 떼를 지어 모여서 노래와 춤을 즐기며 술 마시
고 노는데 밤낮을 가리지 않는다. .... 10월에 농사일
을 마치고 나서도 이렇게 한다.
• 천신에 대한 제사를 주관하게 하는데, 이를 천군이라고
부른다. 또 여러 나라에는 각기 별읍(別邑)이 있으니
그것을 소도라고 한다.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
을 매달아 놓고 귀신을 섬긴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

<보기>
ㄱ. 벼농사가 발달하였다.
ㄴ. 서옥제의 풍습을 가지고 있었다.
ㄷ. 신지, 읍차라 불리는 정치적 지배자가 있었다.
ㄹ. 단궁, 과하마, 반어피 등의 특산물이 유명했다.
ㄱ, ㄴ ㄱ, ㄷ
ㄴ, ㄷ ㄴ, ㄹ
ㄷ, ㄹ

25.
zb2 5 ) 다음 글과 같은 혼인 풍속을 가진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그 나라의 혼인 풍속은 여자 나이 10살이 되기 전에


혼인을 약속하는 것이다. 신랑 집에서는 여자를 맞이하여
성장하면 길러 아내로 삼는다. 여자가 어른이 되면 친정
으로 되돌려 보낸다. 친정에서는 돈을 요구하는데, 신랑
집에서 돈을 지불한 뒤 다시 신랑 집으로 돌아온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

가족 공동묘의 풍습이 있었다.


여(呂)자형과 철(凸)자형 집터가 있었다.
동맹이라 불리는 제천행사를 실시하였다.
농토가 부족하여 주변을 정복하며 발전하였다.
왕이 마가, 우가, 저가, 구가의 세력과 연맹하였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 7 -
[발전] 1-1.선사 문화와 국가의 등장(02)

[해설] ㉣중국의 연과 맞설 정도로 성장함 - ㉡준왕을 내몰


고 위만이 왕이 되었다. - ㉢중국과 남쪽 나라들 사이
에 중계 무역을 독점함 - ㉠한무제의 침략으로 고조선
이 멸망함 순서이다.
1) [정답]
[해설] 신석기 시대의 가락바퀴를 통해 실을 뽑아 옷이나 그 12) [정답]
물을 짓는 원시적 수공업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해설] 고조선의 건국 신화에 해당한다. ㄱ. 한나라의 침략을
받아 멸망하였다. ㄴ. 비파형 동검, 탁자식 고인돌, 미
2) [정답]
송리식 토기의 분포 지역과 문화권이 일치한다.
[해설] 제시된 자료는 신석기 시대의 생활상을 묘사한 그림
이다. 신석기 시대에는 가락바퀴나 뼈바늘을 통해 옷이 13) [정답]
나 그물 등을 제작하는 원시적 수공업이 행해졌다. [해설] ㄱ. 고조선은 계급이 존재하는 계급 사회이다. ㄹ. 제
돌무지무덤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이다. 반 정분리 사회가 된 것은 철기 시대에 접어들면서이고,
달 돌칼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석기다. 민무늬 고조선은 제정일치 사회이다.
토기는 청동기 시대 유물이다. 청동기 시대의 생활
14) [정답]
상이다.
[해설] 고조선의 수도는 평양성이다. ‘단군왕검’이라는
3) [정답] 명칭을 통해 제정일치사회였음을 알 수 있다. 고조선
[해설] 빗살무늬 토기는 신석기 시대의 중요한 특징이다. 은 청동기문화를 바탕으로 형성된 최초의 국가이다.
뗀석기는 구석기 시대의 특징이다. 동굴벽화는 구석 중국 한의 공격을 받고 1년 간 저항하였지만 지배층의
기 시대에 그려지기 시작했다. 한이 고조선을 침공한 내부 분열로 멸망하였다.
것은 철기 시대의 일이다. 청동기 시대에는 제사 용
15) [정답]
품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해설] 이 국가는 고조선이다. 위만 조선의 성립 이후 철
4) [정답] 기 문화를 본격적으로 수용하면서 발전하였다. 중국의
[해설] 동굴이나 막집에서 거주했던 것은 구석기 시대다. 그 지배를 받은 것은 고조선 멸망 이후의 시기이다.
러나 가락바퀴는 신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이다.
16) [정답]
5) [정답] [해설] ㄱ. 벼농사가 시작된 것은 청동기 시대부터이다. ㄴ.
[해설] 구석기 시대의 유물들이다.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 직업의 분화가 나타난 것은 청동기 시대부터이다.
의 지배층의 무덤이다. 청동기 시대의 유물이다. ,
17) [정답]
신석기 시대와 관련된 활동이다.
[해설] 부여는 부족 간 연맹체로 이뤄졌으며, 왕권이 약했다.
6) [정답] 군장의 힘이 왕보다 상대적으로 강했다. 목지국은
[해설] ㉠땅을 파고 움집을 지어 거주하기 시작한 것은 신석 삼한 지역에 위치한다. 족외혼은 동예의 풍습이다.
기 시대이다. 구석기 시대에는 이동 생활을 하며 막집 부여에서는 기후가 척박하여 벼농사가 잘 이뤄지지는
이나 동굴에 거주하였다. 않았다.

7) [정답] 18) [정답]


[해설] 사진은 반달돌칼과 고인돌의 모습이다. ㄱ. 고인돌의 [해설] 보기의 삼한은 소도라는 신성한 곳이 있었다. 서옥
거대한 규모를 통해 대규모 인력을 동원할 수 있는 지 제는 고구려의 특징이다. 동맹은 고구려의 제천행사
배층(계급)이 출현했음을 알 수 있다. ㄴ. 반달돌칼은 다. 책화는 동예의 특징이다. 족외혼은 동예의 풍
곡식을 수확할 때 사용한 도구로, 이를 통해 한반도에 습이다.
서 벼농사가 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19) [정답]
8) [정답] [해설] 신채호는 윷놀이가 ㉠부여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하
[해설] 뗀석기이며, 구석기 시대에 사용한 도구이다. 청동 였다. 부여는 왕이 있으나 마가, 우가, 저가, 구가의 대
기 시대에는 농업 생산력이 향상되면서 빈부 격차가 나 가들이 사출도를 다스리는 연맹 왕국이다.
타나고 계급이 출현하고 국가가 형성되었다.
20) [정답]
9) [정답] [해설] (라)나라는 동예이다. 동맹이라는 제천행사는 고구
[해설] 이 시대는 청동기 시대이다. 철제 농기구를 사용한 려의 것이고, 동예에서는 무천이라는 제천행사를 열어
것은 철기 시대부터이다. 청동기 시대에는 청동으로 무 풍요를 기원하고 구성원의 결속을 다졌다.
기나 제사 도구 등을 제작하였다.
21) [정답]
10) [정답] [해설] (가)나라는 부여이다. 부여에서 흰 옷을 즐겨 입었
[해설] 고조선은 위만이 집권하면서 철기 문화를 본격적으 다고 하지만, 책화는 동예의 풍속이다. 책화는 다른 마
로 받아들였다. 그 후, 고조선이 중계무역을 독점하며 을을 함부로 침범하면 소나 말 등으로 변상하는 풍속이
세력을 확장하자 한나라가 침략한 것이다. 다.

11) [정답] 22) [정답]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1) 제작연월일 : 2023-02-02 2) 제작자 : 교육지대㈜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 8 -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
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발전] 1-1.선사 문화와 국가의 등장(02)

[해설] A. 부여 B. 고구려 C. 옥저 D. 동예 E. 삼한이다. 영


고의 제천 행사와 1책 12법의 엄격한 법률이 있던 나
라는 부여이며, 부여에는 순장의 풍속도 있었다.

23) [정답]
[해설] 무천의 제천 행사를 치르고, 책화라는 풍속이 있던
나라는 동예이다. 동예에는 왕이 없고, 읍군·삼로라 불
리는 군장이 다스리는 군장 국가이며 이후 고구려에 흡
수되었다.

24) [정답]
[해설] 이 나라는 삼한이다. 삼한에는 정치적 지배자와 따로
제사장인 천군이 존재하였다. ㄴ. 서옥제는 고구려의
혼인 풍속이다. ㄹ. 동예의 특산물에 해당한다.

25) [정답]
[해설] 민며느리제에 대한 자료이며 이는 옥저의 혼인 풍속
이다. 동예의 집터에 해당한다. 동맹은 고구려의
제천 행사이다. 고구려에 대한 설명이다. 부여이다.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1) 제작연월일 : 2023-02-02 2) 제작자 : 교육지대㈜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 9 -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
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