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4

제3주:

신석기 혁명과 도시 혁명
신석기 혁명
신석기시대의 정의
차일드의 신석기 혁명
농경의 기원에 대한 여러 가지 가설
농경으로의 단계적 전환에 관한 이해

동·식물의 순화

도시 혁명
‘도거랜드’의 침해

빙하기의 종료와 해수면의 상승(서유럽)


신석기시대의 정의
생업 경제의 변화
 수렵 채집에서 농경과 가축 사육으로
 야생 동물과 식물의 순화(馴化, domestication)
 “신석기 혁명(Neolithic Revolution)”

거주 방식의 변화
 이동 생활에서 정착 생활로
 취락과 묘지의 출현

물질 문화의 변화
 마제석기의 제작과 사용
 토기의 제작과 사용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유일하게 유럽인 도착전까지 유일하게 옥수수재배
서아시아에서 밀과 보리 최초 재배

밀, 보리
벼, 조/수수
동아시아에서 최초 재배
옥수수

주요 재배 곡식의 기원지와 확산
밀, 보리

구대륙의 농경 확산과 밀, 벼 등의 재배
옥수수
신대륙 농경
확산과 옥수
수의 재배
동물 야생 조상 시기 지역
개 늑대 기원전 13000년 동아시아, 유럽

염소 아이벡스 기원전 10000년 서아시아 이란


양 무플론 기원전 9000년 서아시아 아나톨리아
돼지 야생멧돼지 기원전 9000년 동아시아, 서아시아
소 야생소 기원전 8000년 동아시아, 서아시아
고양이 야생 고양이 기원전 8000년 근동
닭 멧닭 기원전 6000년 인도, 동남아
말 타르판 기원전 3500년 카자흐스탄
낙타 야생 낙타 기원전 2500년 중앙아시아
기니픽 야산기니픽 기원전 5000년 페루
라마 과나코 기원전 2400년 페루, 볼리비아
알파카 비쿠냐 기원전 2400년 페루, 볼리비아
칠면조 야생 칠면조 기원후 2세기 멕시코

동물의 순화
차일드의 “신석기 혁명”
고든 차일드(Vere Gordon Childe, 1892-1957)
20세기의 대표적 고고학자로서 맑스의 유
물사관과 모건의 문화진화론을 적용
Man Makes Himself (1936) 출간
제5장에서 신석기 혁명(Neolithic Revolution)
을 기술
자연 상태의 수렵 채집 단계에서 식물 재배
와 동물 사육을 통한 “식량 생산” 단계로의
변화를 인류 역사의 결정적 혁신으로 보고
이를 신석기 “혁명”으로 인식
생산 방식의 변화를 중시
차일드의 오아시스 가설

환경의 변화에 따른 생계 방식의 변화


홍적세 말기 근동지역에서 건조기후 확대
식물, 동물, 인간이 오아시스(oasis) 지역에 집

인간과 식물, 동물 사이의 공생 관계 발전
식물 재배와 동물 사육이 발생
기후 변화의 증거 불충분
보다 체계적이고 복잡한 설명으로 대체
단기간의 혁명 혹은 장기간의 점진적 변화?
브레이드우드의 핵심지대 가설
시카고대학 동양학연구소의 브레이드우드
(Robert Braidwood) 교수가 주장
비옥한 초승달 지대(Fertile Crescent) 북단인
이라크 북부 자그로스 산맥 자르모 유적 조사
탄소연대학자, 지형학자, 화분학자, 식물고고
학자, 동물고고학자 등 학제간 공동 연구
재배되기 이전 야생 식물의 자연서식지에서
이를 실험하면서 농경이 출현한 것으로 해석
인류의 개선과 실험을 적극적으로 인정
핵 심 지 대 (nuclear zone) 또 는 자 연 서 식 지
(natural habitat)의 중요성 강조
빈포드의 주변지대 가설
과정고고학(processual archaeology)의 대표적
인 학자인 빈포드(Lewis Binford)가 주장
농경 출현의 장기적인 추세에 주목
홍적세 후기의 해수면 증가로 물고기와 철새
가 풍부한 해변 지대 형성
야생 식량 자원을 활용한 정착 마을이 출현하
면서 인구가 증가하여 인구 압력이 발생
주변 지대에서 부족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부차적인 식량을 활용하면서 식물의 수확, 저
장, 재배 및 동물 사육이 시작
과정고고학의 대표적 가설이지만 지나치게
단순하고 환경결정론적 설명
빈포드의 주변지대 가설
플래너리의 생태학적 가설
미시간 대학의 플래너리(Kent Flannery)가 주장
메조아메리카의 옥수수 농경의 기원 설명
수렵과 채집을 위한 인간의 계획성과 식물과
동물 자원의 계절성에서 균형이 유지
수렵채집인이 옥수수와 콩 등 일부 자원을 집
중 활용하기 시작
생산성이 높고 수확이 용이한 이들 식물의 유
전자에서 변화 발생
야생 식물의 채집과 사냥의 비중이 감소하면서
옥수수의 재배 증가
인간과 환경 사이의 적응적 변화에 주목하면서
인간 자신의 의사결정 과정을 중시
벤더의 사회적 가설
여성고고학자 벤더(Barbara Bender)가 주장
수렵채집인 사이의 경쟁적 선물 교환과 잔치가
식량 생산 및 사치품 교역의 수요 증대
선물 교환과 잔치라는 사회적 관계의 수요를 위
해 잉여 생산물 축적과 가치품의 교역 및 소유
유발
과시적 소비에 필요한 잉여 생산을 위해 농경이
출현
위세품으로서의 재배 식물
농경 출현 과정에서 위계화, 전문 생산, 의례 행
위, 사치품 교역 등의 증거 출현
환경적, 생태학적 설명에서 탈피
호더의 이념적 가설
후 과 정 고 고 학 (post-processual archaeology) 의
대표적인 학자인 호더(Ian Hodder)가 주장
농경으로의 전환이 일어난 근본 원인을 상징
적, 이념적 측면에서 고찰
거주지를 중심으로 자연을 길들여가는 과정을
상징적, 사회적으로 미리 경험한 인류가 야생
식물과 동물을 순화(domestication)하게 되었다
고 주장
유럽 지역의 농경의 기원과 확산을 설명
이러한 이념과 그 변화의 증거를 고고학 자료
에서 확인하기 어려움
농경의 개념적 구분
순화 (馴化, domestication)
야생의 동물과 식물이 인간의 개입에 의해 유
전적 형질과 외부적 형태에 변화를 일으켜 새
로운 종으로 변화하는 생물학적 과정
재배 (栽培, cultivation)
야생종이건 재배종이건 관계 없이 특정 식물
군의 생장 환경을 조작, 통제하는 인간의 문
화적 행위
농경 (農耕, agriculture)
생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재배 식물에 의존
하는 생업경제 체계
식물 순화의 단계적 구분
린도스(David Lindos)가 주장한 인간과 식물의
관계
우발적 순화: 인간이 야생 식물을 그 자연서
식처에서 분리하거나 특별 보호 조치 등을
취하여 식물을 조작하는 단계
전문적 순화: 인간의 영향으로 변형된 자연
환경에서 식물과 인간 상호간의 영향을 주
고 받는 것이 증가하는 단계
농경적 순화: 인간이 조성한 특수 환경 조건
에서 식물이 완전히 적응하는 단계로서 식
물의 독자 생존이 불가능
농경의 단계적 구분
해리스(David R. Harris)가 주장한 생업 경제
방식의 단계
소규모 재배: 야생 식물의 채집이 식량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그 중 일부 식물을
특별히 개간한 지역에서 재배하는 단계
대규모 재배: 재배의 범위와 규모가 보다
확대되는 단계
농경: 순화된 식물의 비중이 생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계
농경으로의 전환
농경은 여러 가지 가능한 생계 집중 전략 가운
데 하나이다
농경의 채택은 수렵채집 집단이 가진 다양한 선
택의 범위에 따라 결정된다
농경의 상대적 장점은 각 지역의 조건과 역사적
제약에 따라 다르다
농경으로의 전환은 장기적이며 점진적으로 이
루어졌다 (혁명revolution이 아닌 진화evolution)
농경의 출현과 보급을 단일 원인에 의한 과정으
로 이해하기 어렵다
환경 및 생태학적 변화와 함께 경제적, 사회적,
이념적 변수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제3주:
신석기 혁명과 도시 혁명
신석기 혁명

동·식물의 순화
식물의 순화: 농경
동물의 순화: 가축 사육
서아시아의 동·식물의 순화
동아시아의 동·식물의 순화

도시 혁명
밀, 보리

벼, 기장

비옥한초승달 지대

구대륙에서의 농경의 출현과 확산


서아시아의 동·식물 순화의 출현
케바라(Kebara) 문화: 18,000-12,500년전
 전문화된 이동성 수렵채집인; 세석기
나투피안(Natufian) 문화: 13,000-9,800년전
 야생 곡물의 수확, 정착 생활, 개의 순화
선토기 신석기 문화 A(Pre-Pottery Neolithic A): 기원
전 8000-7000년
 밀, 보리, 콩 등 식물 재배
선토기 신석기 문화 B(Pre-Pottery Neolithic B): 기원
전 7000-6000년
 양, 염소 등 동물 사육
토기 신석기 문화: 기원전 6000년 이후
 토기의 제작과 사용, 소와 돼지의 순화
야생 밀 야생 밀과 순
순화 밀 화 밀의 변화
야생보리는 낱알의숫자가 매우작음
재배보리는 숫자가 많음

야생 보리 재배 보리

야생 보리와 재배 보리의 변화
서아시아의 초기 신석기유적과 재배 작물
서아시아 농경의 출현과 확산
개의 순화 (15,000-13,000년전 유럽, 서아시아)
염소의 순화 (12,000년전, 이란)
양의 순화 (기원전 9500-8500년, 터키)
동아시아의 동·식물 순화의 출현
양자강 중류 및 하류 지역에서 초기 농경 유적
발견
20,000-19,000년전 최초의 토기 제작
12,000-10,000년전 야생벼에서 재배벼로 변화
장시(江西) 셴런둥(仙人洞) 유적, 후난(湖南) 위
찬옌(玉蟾岩) 유적 등 원시 토기와 재배벼 자료
남중국의 벼 재배에 이어 북중국에서 수수, 기
장 등 재배
농경이 동아시아 전지역(선농경 토기 신석기문
화)으로 확산
개, 돼지, 닭, 소, 양, 말 등 가축 사육
중국 재배작물의 종류
곡식 구근 콩류 식물 과수 음료 섬유 기타

북중국 조 초석잠 콩 마늘 복숭아 삼 뽕


기장 아욱 자두 옻나무
여뀌 살구
파 산사
배추 감
유채 대추
남중국 벼 마 팥 아마란스 오렌지 차 모시 동백
율무 토란 동과 금귤 황마 유동
도입마 수세미 비파
감자마 나리 리치
줄 용안
올리브
벼의 재배 (남중국)
셴런둥 및 댜오퉁환 12,000년전
식물규산체
상산 10,000년전 탄화미
톈루오산 7,000년전 탄화미(위)

조와 기장의 재배 (북중국)
싱룽거우 7,600년전 탄화기장
밀의 재배 (북중국)
왕청강 3,500년전 탄화밀(위)
개의 순화
허베이 난좡터우 10,000년전
돼지의 순화
허난 자후 9,000년전
양의 순화
간쑤 5,600-5,000년전
산시 타오쓰 4,000년전 (위)
소의 순화
4,500-4,000년전
말의 순화
간쑤 다허좡 3,700년전
은허 말 3,300년전 (위)
닭의 순화
다뎬쯔 3,600년전
옌스 상성 3,500년전(위)
제3주:
신석기 혁명과 도시 혁명
신석기 혁명

동·식물의 순화

도시 혁명
세계 각지 고대문명의 발생
세계 각지 문자의 출현
차일드의 도시 혁명
고든 차일드(Vere Gordon Childe, 1892-1957)
Man Makes Himself (1936)의 제7장에서 도시 혁
명(Urban Revolution)을 기술
메소포타미아 청동기시대의 도시 혁명 발생
식량 생산, 인구 증가, 관개 시설, 집약 농경, 잉
여 식량의 축적, 재분배, 장거리 교역, 도시의 출
현 등의 문화적 특징을 설명
사회적 불평등으로 대표되는 사회 조직의 변화,
도시의 발달로 대표되는 거주 방식의 변화, 청
동야금술, 문자, 전문 수공업 생산, 대형 공공건
축물 등 문화 양상의 변화를 설명
생산 기술의 개선과 생업 경제의 발전을 문화
발전의 가장 큰 요인으로 설명
사회적 지위와 계층화
획득적 지위(achieved status)
개인의 경험과 능력에 의하여 획득한 우월한
사회적 지위로서, 그 지위의 성격이 일시적,
잠정적이어서 다음 세대로 지속되지 않음

귀속적 지위(ascribed status)


개인적 능력과 직접적 관련이 없이 자신이 속
한 집단에 따라 부여되는 사회적 지위로서, 혈
통에 의하여 결정되고 혈연에 의해 지속

사회적 계층화 (social stratification)


사회적 불평등의 제도화(institutionalization)
통합론과 갈등론
사회적 불평등이 발생한 근본적 원인에 대한
두 가지 대조적인 이론적 입장
통합론은 불평등이 제도화된 국가와 같은 사
회조직이 제공하는 여러 가지 혜택과 장점을
강조
통합론은 국가의 기원에서 관개농업, 장거리
교역, 종교와 이념 등의 요인을 강조
갈등론은 사회구성원간의 갈등의 결과로서 사
회적 불평등이 발생한 것으로 주장
갈등론은 국가의 기원에서 인구 증가와 경쟁,
전쟁, 제한된 환경 등의 요인을 강조
원초 국가와 이차 국가
원초 국가 (pristine state)
사회 내부의 자체적인 발전 과정을 통해 출현한
국가로서, 서아시아, 동아시아, 메조아메리카 등
세계적으로 몇 개 지역에 제한된다. 그 출현 과
정에 대하여 고고학자의 연구가 집중되며 원초
국가 간의 상호 비교 연구도 활발하다.

이차 국가 (secondary state)


이미 존재하는 국가의 직접적, 간접적 영향을 받
아서 출현한 국가로서 그 지역적, 역사적 맥락이
중요하다. 우리 나라를 포함한 대부분의 고대 국
가가 이에 해당한다.
원초 국가 출현의 주요 원인
인구 증가
인구 증가와 인구 압력에 따른 정치적, 경제적 변화
로 중앙화, 계층화가 출현; 보저럽(Boserup)이 주장
관개 농업
농경을 위한 관개 수로 건설과 관리를 위해 수리 국
가의 출현; 비트포겔(Wittfogel)이 주장
수공업 전문화와 교역
원자재, 생필품, 사치품 등의 교역
교역품의 독점과 재분배를 통한 지배층의 출현
전쟁
경쟁 집단간의 전쟁의 결과로 지배층의 출현
종교와 이념
종교 지도자의 권위와 사회통합 이념을 중심으로 지
배층의 출현
국가의 출현에 관한 다변수 설명
묘제 분석을 통한 사회 조직 연구
무덤에서 발견되는 고고학 자료의 상대적 차
이는 피장자 생전(또는 무덤 조영자)의 사회적
지위를 표현
무덤의 입지: 묘지 내의 공간적, 경관적 입지
무덤의 규모
무덤의 구조
시신의 처리
부장품의 종류 및 수량
부장품 가운데 위세품과 같은 특정 부장품의
존재 여부
취락 분석을 통한 사회 조직 연구
취락 유형(settlement pattern)의 분석을 통해
당시의 사회 조직과 주민의 사회적 지위 복원
가능
단일 취락 내의 위계화와 복수 취락 간의 위계
화로 구분 가능
단일 취락 내의 주거지의 위치 및 구조적 차이
와 성격, 주거지 출토 유물의 종류와 수량 등
을 토대로 개별 주거지의 거주민 또는 가구 사
이의 위계화 복원
복수 취락 간의 위계화는 취락의 규모, 기능,
성격 등을 토대로 분석 가능
상위 취락은 취락 내부의 위계화도 발전
제3주:
신석기 혁명과 도시 혁명
도시 혁명
고든 차일드와 도시 혁명
사회적 계층화 및 고대 국가, 문명의 발생
획득적 지위와 귀속적 지위
국가의 기원에 관한 다양한 설명
묘제 분석을 통한 사회 조직의 연구
취락 분석을 통한 사회 조직의 연구
제3주:
신석기 혁명과 도시 혁명
신석기 혁명
 동식물 사냥, 채집에서 식량 생산으로 변환
 정착 생활과 취락, 묘지의 출현
 인구 증가의 토대 마련
도시 혁명
 잉여 식량을 기반으로 비생업종사자 가능
 계층 분화와 사회적 불평등의 발생
 도시와 문명의 출현
제3주:
신석기 혁명과 도시 혁명
신석기 혁명

동·식물의 순화

도시 혁명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