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2

CHAPTER

세계간호사 13
1. 간호역사의 의미

2. 간호의 발달과정

3. 간호전문직 발전 방향
CHAPTER 13 세계간호사

학습목표

1. 간호역사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2. 간호의 발달과정을 각 시대에 따라 설명할 수 있다.
3. 나이팅게일의 간호철학과 업적을 설명할 수 있다.
4. 영국과 미국의 간호가 간호전문직 발전에 미친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5. 간호전문직 발전을 위한 도전과 과제를 설명할 수 있다.
6. 미래 사회를 위한 간호전문직의 사명과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2
CHAPTER 13 세계간호사

1. 간호역사의 의미

1) 인류사의 간호역사

− 간호는 인류의 역사 속에서 그 역할과 기능이 계속 변화되어 옴


− 간호는 수많은 간호인과 간호지도자의 열정적 노력과 헌신으로 인류
사회에 공헌하는 직업으로 인정받게 되었음

20세기 중반에 이르러


− 간호실무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간호지식체계 확립의 필요성에
대해 합의를 이루고,
− 간호이론 개발을 통해 학문적 체계와 독자적 실무영역을 갖춘 전문직
으로 더욱 발전하게 됨

3
CHAPTER 13 세계간호사

1. 간호역사의 의미

2) 간호역사 탐구의 의의

간호역사의 탐구

• 시대·사회적 상황 속에서 간호가 어떤 형태로 존재했고,


• 간호직 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 이 과정에서 간호지도자들의 업적은 무엇인가에 대한 탐구

− 간호역사에 대한 탐구와 이해는 간호전문인으로서의 정체성 확립과


앞으로의 간호학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요인

4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1) 간호의 기원
− 원시부터 고대에는 자신을 지키고자 하는 본능적인 자기간호와, 가족
구성원을 보호하고 돌보는 가족간호의 형태로 존재

− 원시시대의 간호
과학적 지식이나 과거의 경험에 근거한 간호가 아닌 본능에 따른
자기 돌봄
질병은 모든 사물에 영혼이 있다는 애니미즘(animism)적 사고방
식에 따라 악령의 원한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
질병 치료는 악령을 몰아내거나 달래기 위한 주술적 의식을 통해
이루어짐

5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2) 고대의 간호
− 기원전 3000년경 이집트, 중국, 인도 및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발생
한 고대 문명의 기록에는 질병의 상태와 이를 위한 약품 및 치료방법
등 당시의 의료행위와 의료상황을 짐작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

• 신의 노여움을 풀거나 악령을 물리치기 위한


종교적·주술적 요법과 함께
질병치료
• 음식과 약초를 이용한 자연요법이 혼합된 형
태의 방법이 사용

6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2) 고대의 간호
(1) 고대 이집트

고대 이집트의 의료는 파피루스에 기록되어 있음


이집트에서는 내과 진료와 수술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전문화
된 분야도 있었음
개인위생과 공중위생법이 발달되어 식이요법, 운동, 개인위생에
대한 중요성 강조
깨끗한 물의 공급과 배수시설의 검열 실시
주술과 의료를 함께 행하는 신부의사가 있었으며, 출산을 돕는 산
파가 존재하여 산모와 아이를 돌보았음
7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2) 고대 바빌로니아 및 히브리


고대 바빌로니아의 의료는 함무라비법전에 기록되어 있음
당시 바빌로니아에서는 의료행위에 따른 보수, 의료과실에 대한
처벌 등의 내용과 음료수원의 위생 및 오물처리, 위생시설관리 등
공중보건 및 위생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
고대 히브리의 의료는 구약성서와 탈무드에 기록되어 있음
당시 히브리에서는 나환자나 전염병 환자의 격리와 같은 공중위
생법이 발달
남자아이에 대해서는 생후 8일째에 할례(circumcision)를 실시
과부, 고아, 이방인, 가난한 자들을 돌보도록 함

8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3) 고대 중국

모든 존재와 물리적 현상을 음과 양으로 정의


질병의 치료를 위해서는 음양의 조화를 회복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음
사람의 체질을 태양, 소양, 태음, 소음으로 분류
치료에는 약초, 침, 뜸과 같은 방법을 사용

9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4) 고대 인도

힌두교 경전인 베다(Veda)에 기록


− 위생과 치료에 관한 지식, 아편의 사용, 천연두 예방법
− 편도선절제술과 같은 외과적 시술과, 이를 위한 수술도구의 내
용 포함

- 아유르베다(Ajur-Veda)에는 의술과 관련된 내용이 많은데, 수술, 아동


의 질병에 관한 내용과 함께 위생과 질병예방을 강조하는 내용이 포함
- 아유르베다(Ajur-Veda= 아유르(Ajur, 생명)와 베다(Veda, 지식)

10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4) 고대 인도

수백 가지의 약초를 사용하여 질병 치료


치루수술, 편도선 제거술 및 성형술과 같은 다양한 수술 시행
불교 전파에 힘 쓴 마우리아 왕조의 아소카 왕
− 병원과 부속 의학원을 세워 환자를 돌보았으며,
− 의사, 간호사, 약사, 요리사, 안마사 등과 같은 의료요원을 훈
련시킴
− 간호사에게는
− 약의 조제와 투여 방식에 대해 이해하고 있을 것, 총명할 것, 환자를
돌보는 일에 헌신 할 것, 몸과 마음 모두 순수할 것의 4가지 자격을 요

11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5) 고대 그리스 및 로마
자연과 인간에 대한 탐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철학, 수학 및 자연
과학의 발전이 있었음
질병의 원인에 대해서도 미신적 사고가 아닌 이성적 탐구가 시작
서양의학의 과학적 발전을 위한 시원(始原)이 되었음

☆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
nnnn

− 의학의 아버지로 일컬어짐


− 병의 원인 규명을 위해서는 환자 상태를 세밀히 관찰·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음
− 자연치유력을 강화해야 함을 강조
− 의사의 행위규범에 관한 그의 사상과 가르침은 오늘날 히포크라테스
선서로 남아 있음
12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글상자 13.2 히포크라테스 선서

히포크라테스는 질병을 초자연적 현상이 아닌 자연적인 것으로 생각하였


다. 그는 만물은 스스로 더 나은 상태가 되려는 자연적 경향이 있다고 주
장하면서 질병의 치료를 위해 자연치유력의 강화를 강조하였다. 그는 의
사로서 높은 윤리관을 갖추고 이를 실천할 것을 교육하였는데, 의사의 행
위규범에 관한 그의 사상과 가르침은 오늘날 히포크라테스 선서로 남아
있다.

13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5) 고대 그리스 및 로마

고대 로마 - 창상에 대한 치료법, 야전병원을 설립하고 응급처치


위한 앰뷸런스 활동
공중위생에 대한 의식이 높았음
유명한 의사 : 해부학자인 그리스인 갈렌(Galen), 외과학 분야에
서 결찰법 사용, 갑상선종과 탈장 수술 등으로 유명한 셀서스
(Celsus)

14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6) 기독교의 전파와 간호


이타적 봉사를 통해 예수의 가르침을 실천하고 이를 전파
가정방문을 통해 가난한 사람과 병자를 돌보는 여집사
(deaconess)
음식수발, 위생관리, 투약등의 신체간호+영적간호
대표적인 사람: 바울의 여사도 푀베(Phoebe)

‘로마서 16장 1~2절: 내가 겐그레아 교회의 일군으로 있는 우리 자매


뵈뵈를 너희에게 천거 하노니 너희가 주 안에서 성도들의 합당한 예절로
그를 영접하고 무엇이든지 그에게 소용되는 바를 도와 줄찌니 이는 그가
여러 사람과 나의 보호자가 되었음이니라’

다이아코니아(Diakonia)-휴게소, 보호소, 진료소의 역할 담당


제노도키아(Xenodochia)-입원환자를 위한 시설을 갖춘 자선병원
15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3) 중세의 간호

• 봉건적 사회체계 속에서 교회가 인간의 삶을 지


배한 시대
중세시대
• 질병에 대해서도 성수를 치료제로 사용하는 등,
신학적이고 종교적인 접근으로 치료하려 하였음

− 중세 사회는 수도원과 봉건제도의 특징을 갖고 있지만,


− 중세 후반기에 있었던 십자군 전쟁과 흑사병의 대유행은 사회 시스템
의 붕괴를 가져오는 계기를 제공

16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3) 중세의 간호
(1) 수도원 체제 하에서의 간호
수도원은 집 없는 사람과 순례자를 환대하고 안식처를 제공
환자간호가 모든 것에 선행되어야 한다는 원칙하에 환자간호를
수도원 공동체의 주요 기능과 임무로 수행
• 수도원의 부속 진료소는 사실상 병원->수도원과 부속 진료소는
병자들과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모범 사례
(2) 십자군 전쟁과 군사 간호단
수 차례에 걸친 원정으로 인한 십자군과 순례자를 돌보기 위한 군
인 남성으로 구성된 군사 간호단 구성
이들은 기사도 정신과 종교적 열정을 가지고 환자간호에 임하여
기사 간호단이라고 불리기도 하였음

17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3) 흑사병의 대유행

• 들쥐에 의해 전염되는 병
흑사병 • 환자의 얼굴과 손발의 피부가 검은색으로 변함
• 치사율이 높아 죽음을 몰고 오는 병이라는 뜻인
페스트 또는 흑사병으로 불리게 됨

• 유럽에서 흑사병은 14세기 중엽부터 17세기 중엽까지 100여 차례,


주기적으로 유행하면서 유럽 인구의 약 1/3을 사망에 이르게 함
흑사병으로 인한 인구의 감소는 노동력 부족으로 나타나,
농민들이 다른 도시로 이동하게 되면서 봉건제도 붕괴 요인이 됨
격리원칙: 의료발달에 기여->오늘날 항만검역에 사용되는 ‘검역
(quarantine)’은 이때 생긴 용어

18 흑사병(페스트) 유럽 중세를 끝장내다. 전염병 역사 - YouTube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그림 13.2 흑사병 환자를 돌보는 중세 수도사


19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4) 탁발승단과 세속적 간호단체


자신의 소유와 재산을 버리고 금욕생활을 추구하는 걸인 간호단
종교적 열정을 가지고 구걸을 하면서 전도와 병자의 간호를 실천
하여 탁발승단(mendicant orders)으로도 불리움
가장 유명한 탁발승단
− 아시시의 성자인 성 프란시스가 세운 성프란시스단과,
− 그의 여제자인 성 클라라가 조직한 성클라라단

20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글상자 13.3 중세 수도원 진료소

중세는 봉건적 사회체계 속에서 교회가 인간의 삶을 지배한 시대로서, 환


자를 돌보는 것은 모든 것에 선행하는 수도원 공동체의 주요 기능이자 임
무로서 수행되었다. 수도원에서는 상류층 여성들이 환자를 돌보는 수도
원 간호사들이 있어, 수도원 진료소에서 수준 높은 간호를 제공하였다.

21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5) 병원과 의학교육

중세 후기에는 종교적인 배경을 가지고 설립된 병원들이 있었음


주로 여행자나 병자를 위한 안식처로 사용되었으나 구빈원 또는
고아원과 같이 가난한 사람들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었음
비종교적인 배경하에 의학교육이 시작
16세기에는 조산사 교육을 위한 학교가 파리의 호텔 듀에 개설

22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6) 아랍의 의료
정복지의 지식과 문화를 억압하지 않고 오히려 이들을 장려
⇒ 이 지역에서 의학, 수학, 천문학 등과 같은 실용적인 학문을
발전시킴
방대한 의학 서적을 저술하여 남김
⇒ 서양의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됨

열병이나 외상, 안과질환을 다루는 전문 진료과와


부인전문 병원도 있었음

23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4) 근대의 간호
(1)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르네상스와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Electronic renren.rneret.net

• 인간과 학문에 대한 새로운 탐구가 이루어진 시기


• 이성과 합리적 탐구방법의 발전으로 의학의 발전이 이루어짐
• 중세교회의 붕괴로 인해 간호의 질이 저하되어 암흑기에 들어 가게 됨
• 근대적인 의미에서의 직업적인 간호가 시작됨

24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4) 근대의 간호
(1)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 14~15세기 유럽에서는 봉건제도가 쇠퇴, 교회의 세력약화->봉건사회에서


벗어나 새로운 문화를 건설하려는 지적 운동
• 르네상스는 인간성 회복을 목표로 신 중심 문화를 인간 중심의 문화->예술과
철학, 천문학, 자연과학 등에대한 활발한 탐구는 근대과학의 기초를 제공하게
된다.
• 의학은 자연과학과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해부생리, 특히 순환기의 연구와
감염병의 개념, 산과, 안과, 약리 등에 현저한 발전을 가져왔다.

25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4) 근대의 간호
(1)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 종교개혁은 개혁파 신교도들이 신앙의 자유를 얻어 가톨릭교회로부터


분리되어 나오게 함으로써, 르네상스와 함께 교회의 세력을 크게 위축.
• 가톨릭교회에서 운영하던 대부분의 병원이 문을 닫거나 신교도에 의해 운영
• 수사나 수녀들이 병원에서 축출되어 간호인력의 부족을 초래

26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2) 간호의 암흑기


환자 돌보는 일은 힘들고 천한 일로서 적절한 직업으로 인식되지
않았으며,
불결한 병원환경과 비위생적 환자관리, 비윤리적인 의료진의 행
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

글상자 13.4 간호의 암흑기

종교개혁으로 인한 가톨릭교회의 몰락은 이들 교회에서 운영하던 병원의 쇠


퇴와 함께, 수사나 수녀로 구성되었던 간호인력의 부족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에 자질 없는 사람들이 가톨릭 간호단의 자리를 대신하거나 여성 죄수가
복역 대신 간호업무를 담당하는 경우도 있어 간호의 암흑기를 맞게 되었다.
간호의 암흑기는 16세기 중반에서 19세기 중반까지 약 300년간 지속되는데,
사회개혁 활동, 여성의 사회진출 및 지위 향상, 교육의 남녀 기회균등, 의학
의 발전 등과 같은 변화로 인해 새로운 전환기를 맞게 된다.

27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3) 사회개혁과 간호
간호는 사회개혁의 실현을 위한 주요 실천 사업으로 인식
폴(Vincent De Paul) 신부
− 자선간호단 창설하여 병원 개선과 자선간호를 실천
− 빈곤의 타파를 위해 집단농장 설치

자선간호단의 봉사자
− 일정한 복장
− 간호의 기술과 종교의 의식을 혼돈하지 않는 원칙
− 의사에게 순종하도록 교육
− 가정방문
− 조를 만들어 교대로 간호를 담당-직업으로 간호 발전의 도태
제공
28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3) 사회개혁과 간호
독일 카이세르스베르트(Kaiserswerth)에 신교 여집사단조직
락스타 이재현
. . . .

− 지도자 : 문스터(Frederike Munster), 프리드너(Theodore


Friedner) 목사
− 젊은 여신도들을 뽑아 체계적으로 간호 교육
− 실용간호학, 약학, 위생간호학, 윤리학, 종교학 등이 포함
− 시험을 보고 의사들의 강의도 받음
− 분담제 간호 실시
− 나이팅게일이 간호를 시작하기 위해 이곳에서 간호교육을 받
았음

29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5) 현대의 간호
(1) 현대 간호의 태동: 나이팅게일의 사상과 업적
나이팅게일의 출생과 훈련
− 1820년, 영국 명문가에서 태어나 독일 카이세르스베르트에서
간호훈련
☆ 나이팅게일의 업적
− 크리미아 전쟁 중 위생과 급식 상태를 개선
− 부상자 한사람, 한사람에 대한 개별적인 간호를 제공함으로써
도착 6개월만에 사망률이 2.2%로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왔음
− 크리미아 전쟁 시 병원 및 군 위생제도의 개선
− 훈련된 간호사의 수준 높은 부상병 간호를 통해 간호의 사회적
기여에 대한 대중의 인식 제고
− 근대화된 간호교육과정을 최초로 확립하고 실천함
30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 나이팅게일의 업적:근대적 간호교육과정의 확립


− 영국 정부는 공헌에 대한 보답으로 간호교육기금을 모금하여
성토마스병원에 간호학교 설치
− 완전히 비종교적인 배경에서 간호교육을 시켰다는 점
− 운영상 어떤 단체에도 예속되지 않은 독립된 학교라는 점에서
큰 의미

글상자 13.5 나이팅게일 간호학교의 이념

나이팅게일이 설립한 성토마스병원 간호학교에서 도입한 간호교육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완전히 비종교적인 배경에서 간호교육을 시켰다는 점
• 운영상 어떤 단체에도 예속되지 않은 독립된 학교라는 점
• 체계적인 이론교육과 실습제도를 통해 실력 있는 간호사들을 배출한 점

31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1) 현대 간호의 태동: 나이팅게일의 사상과 업적


☆ 나이팅게일의 업적
− 군대 의무행정 및 군 병원시설의 개선 등, 군 의료제도 개혁을
위해 분투
− 병원행정을 위해 자료를 도표식으로 정리하여 제시
− 질병과 사망의 분류도 최초로 시도
− 미국 남북전쟁 시 군인의 구호사업에 조언, 인도의 위생문제
해결을 위한 제안, 국제적십자사 창건에 기여
− 1859년 발간된 저서 『간호노트(Notes on Nursing)』 : 간호
와 질병에 대한 그녀의 신념과 간호의 원칙이 잘 나타나 있음

32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나이팅게일의 간호철학

• 나이팅게일은 간호는 아픈 이들을 돌보는 예술이며,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 아님을 명백히 지적함으로써 의학과 구분되
는 전문직으로서 간호의 개념을 확립한 지도자이다.
• 나이팅게일은 간호가 추구해야 할 다음과 같은 원칙을 제시
=> 현대에 이르러 전문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

33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나이팅게일의 간호철학
• 첫 번째, 간호는 직업이 아니고 사명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 간호사 면허등록제도를 반대하였는데, 이는 면허제도가 간호를 직업화 하여 간
호사의 사명감과 헌신적인 태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 두 번째, 간호사는 간호사이지 의사가 아니라는 점-> 의학과 구분되는 간호의
독특성
• 세 번째, 간호를 건강간호(health nursing)와 질병간호(sick nursing)로 구분하면
서, 질병이 있는 사람뿐 아니라 건강한 사람에게도간호가 필요함을 강조 전인
간호철학
• 네 번째, 간호사가 아픈 사람들을 돌보는 동안 어려움을 겪는 것이나 성의를 다
하는 태도는 자신의 긍지와 가치관에 따른 것이지, 누구를 위한 희생이 아니라
는 견해 전문 직업인으로서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높은 윤리관

34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글상자 13.6 Enn


나이팅게일의 간호철학

나이팅게일은 간호의 기본 철학을 제시함으로써 현대에 이르러 전문직


_
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간호는 직업이 아니고 사명이다.

1
• 간호사는 간호사이지 의사가 아니다.
• 간호는 질병의 치유과정을 돕는 것이다.
• 간호는 더 좋은 삶을 살도록 돕는 것으로서 건강한 사람에게도 필요
하다.
• 간호사가 아픈 사람들을 돌보는 동안 겪는 어려움이나 성의를 다하
는 태도는 누구를 위한 희생이 아니다.

35
☆詰卜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2) 현대 간호의 발전
영국의 간호
• 19세기 후반 영국은 산업혁명과 진취적인 종교관, 구빈법과 같은 제도적
지원 등으로 인해 다른 유럽 국가에 비해 간호사업이 더욱 발전
• 나이팅게일의 활동과 성토마스병원 간호학교에서 배출된 우수한
나이팅게일 간호사들은 간호가 직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 전통적으로 임상현장의 환자간호를 강조
• 교육도 강의보다는 실습을 더 중요시 함
• 나이팅게일 간호사들은 보건소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간호를 개혁
• 19세기 후반에는 전국적인 지역간호 조직체를 구성-> 방문간호사업을 통
한 지역사회 간호사업을 활발히 전개
1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2) 현대 간호의 발전

영국의 간호

• 나이팅게일의 활동을 제1의 간호혁명이라고 한다면


간호사의 조직적 활동을 가리키는 제2의 간호혁명도 영국에서 일어났음

• 제2의 간호혁명을 이끈 지도자: 펜위크(Ethel Bedford Fenwick)


− 영국간호협회와 국제간호협의회를 조직, 미국간호협회 조직을 후원
− 1919년, 면허법의 통과로 간호사의 면허등록 제도 관철시킴 간호의
직업적 독립과 법적 인정
− 1893년, 오늘날 영국 간호사회지인 『Nursing Times』를 발간하였다

2
펜위크의 업적

배우중의

3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2) 현대 간호의 발전
미국의 간호
개척정신과 실용주의적 사고
• 영국의 간호가 간호전문직의 모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면 미국의
간호는 이를 더욱 발전시켜 현재와 같은 전문직으로 꽃을 피우는 역할
• 식민시대의 미국 병원은 수용소와 구빈원 수준에 불과하였으며, 환자를
돌보는 사람은 노예나 죄수가 대부분으로서 간호는 암담한 상태
• 초기 이민자들의 개척정신과 실용주의적 사고는 산업의 급격한 발전
• 실용적인 학문들이 연구·발전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 오늘날 미국 간호가 현대 간호의 리더로서 세계에 영향력을 발휘하게
만든 원동력이 되었다.

4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2) 현대 간호의 발전
미국의 간호
전쟁을 통한 간호의 발전
• 근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시기에 일어난 여러 전쟁은 간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미국인들의 인식을 확립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 건국 초기의 독립전쟁이나 남북전쟁 당시에는 부상병 이송체계나 야전병원과 같은
지원체계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훈련된 간호 인력이 매우 부족하여, 훈련받지 않은
여성 자원봉사자가 부상병 간호를 담당하였다.
• 열악한 식량보급과 위생 상태로 인해 부상병의 사망률과 합병증 발생률이 매우
높았다. 전쟁들은 간호의 사회적 역할과 중요성을 대중에게 부각시키는 계기->
간호교육의 필요성이 제기, 간호가 전문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게
되었다.

5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2) 현대 간호의 발전
미국의 간호
전쟁을 통한 간호의 발전
• 제1, 2차 세계대전 시에는 국가의 요청에 따라 많은 간호사들이 간호장교로 전쟁에
참여하여 부상자를 간호, 이들의공헌에 대한 국민들의 평가도 매우 좋았다.
간호의 사회적 역할이 다시 한 번 부각되면서, 간호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재정적 지원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
•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육·해·공군 조직 내에 간호장교단이조직, 간호장교에게
정규군과 동일한 계급을 수여하였다.
• 전쟁이 장기화됨에 따라 미국 내에서는 간호사 부족이 심화되어 간호사
보조인력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일어나게 되었다

6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2) 현대 간호의 발전
미국의 간호
간호교육의 발전
• 남북전쟁 후 간호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 병원을 중심으로 한
간호교육기관의 설립
• 초기에는 단기 훈련과정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여 간호사를 배출하였다.
• 873년 벨뷰간호학교, 코네티컷 간호학교, 보스턴 간호학교
- 학교와 병원의재정 분리, 학교의 행정적 독립, 간호학교의 장은
간호사가맡아야 한다는 나이팅게일의 간호교육 원칙에 따라 설립되어 미국
간호교육의 진보를 이끌었다.

7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2) 현대 간호의 발전
미국의 간호
간호교육의 발전
• 이후 간호교육 개선을 위한 간호지도자들과 간호교육 단체의노력이 계속
이어졌다.
• 1917년에는 전국 간호교육연맹에서 간호학교 표준교육과정을
제시하였으며, 이후 수정안을 계속 발표함으로써 간호교육 개선에 힘썼다.
• 1948년에는 카네기 재단의 후원을 받아 전쟁 후 간호서비스 및
간호교육에 대한 브라운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 이 보고서는 간호교육은 승인된 전문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이
교육기관에 대한 공식적인 평가가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8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2) 현대 간호의 발전

미국의 간호
방문간호사업
En
• 1893년 왈드Wald는 뉴욕 빈민가인 헨리가에 구제 사업소
방문간호사업 시작
• 방문간호학교는 방문 간호사를 훈련시키는 기관의 선구적
역할.
• 방문간호사는 가정을 방문하여 환자의 건강과 위생 상태를
돌보고 가족에게는 건강교육을 제공, 임산부 및
영·유아관리도 담당
• 이전의 종교적이고 자선적인 배경에서 비전문인에 의해
제공되었던 지역사회 보건사업-> 비종교적인 배경에서
9
전문적인 간호사에 의해 체계적으로 제공에서 큰 의의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2) 현대 간호의 발전

미국의 간호 (계속)
간호의 전문화
• 제2차 세계대전 후, 간호실무는 대형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발전->간호의
세분화 및 전문화 전문간호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자격증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간호사(nurse practitioner)와 임상전문간호사(clincal
nurse specialist)제도로 인해 높은 수준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간호사가 보다 자율적으로 간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 전문직 간호실무의 바탕이 되는 간호이론도 간호학자들의 활발한교류와
협력 그리고 수준 높은 간호연구를 통해 눈에 띄는 발전을이루었다

10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2) 현대 간호의 발전

11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2) 현대 간호의 발전 딸호인지


어느 구분
유럽의 간호 - 독일

• 유럽 대륙에서는 종교개혁으로 인해 개신교의 교세가 확장->평신도를


중심으로 한 간호가 발달.
• 독일은 적십자사의 단기 양성과정을 통해 배출된 간호사들이 간호사업의
중심적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 신교나 가톨릭 계통의 병원에서는 간호학교를 졸업한 후에도 계속 모교와
연결된 기관에 남아서 일하는 모관(motherhouse)제도-> 현대 독일의 간호가
더욱 높은 수준으로 발전하는 데에 저해요인으로 작용
• 프랑스에서는 전통적으로 가톨릭교가 간호사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
• 특히 폴 신부가 설립한자선간호단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12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2) 현대 간호의 발전

동양의 간호

• 동양에서 현대적 의미의 간호는 기독교 선교사들에 의한 교육사업과 의료


및 간호사업을 통해 시작되었다.
• 그러나 뿌리 깊은 남존여비 사상은 가정에서의 활동에만 국한되었던
여성들이 가정을벗어나 직업으로써 간호를 선택하는 데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하였다.
• 이러한 사회·문화적 특성은 간호사의 사회적 지위 및 인식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고, 간호교육과 간호사업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13
CHAPTER 13 세계간호사

2. 간호의 발달과정

(2) 현대 간호의 발전
동양의 간호 (계속)

• 중국
− 유교적 전통에 따라 여성이 가정을 벗어나 직업을 갖거나 남자
를 간호하는 것을 기피함에 따라 남자간호사를 양성하여 간호
업무를 담당
− 1903년 북경대학 의학부 간호학과나 1921년 록펠러 재단의 후
원으로 설립된 협화대학 간호학과는 높은 수준의 간호교육을
제공
• 일본
− 1853년 문호개방 이후 독일과의 교류를 바탕으로 독일식 의료
를 받아들여
− 적십자사를 중심으로 한 간호교육과 간호사업이 이루어졌음
14
CHAPTER 13 세계간호사

3. 간호전문직 발전 방향

1) 간호전문직의 도전과 과제
• 나이팅게일 시대 이후 간호는 역할의 확대뿐만 아니라 비약적인 학문적 성취를
통해 양적, 질적인 측면에 있어서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전문직으로 발전

• 시대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순간마다 많은 간호지도자들의 리더십은 간호가 전


문직으로 발전하는 데 있어 구심점이 되었으며, 다양한 간호실무 현장에서 간호
인들의 원동력을 발휘하게 하는 지렛대의 역할을 담당해왔다.

15
CHAPTER 13 세계간호사

3. 간호전문직 발전 방향

1) 간호전문직의 도전과 과제
− 간호가 더욱 발전하고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전문직이 되기 위해서는 보다 나은 사회와 환경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노력 하는 도전적이고 진취적인 전문직으로서의 과제를 담당해야 함
− 국제화(internalization) 및 세계화(globalization) 현상은 다양한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이해와 공
감을 간호사들의 필수적인 역량으로 만들고 있어 이에 적합한 교육과 실무의 설계가 필요함.

16
CHAPTER 13 세계간호사

3. 간호전문직 발전 방향

2) 간호전문직의 사명과 역할
• 오늘날 간호사들은 보건의료 분야에서 실무자, 전문가, 정책결정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미래 인류의
건강을 위한 간호전문직의 사명과 역할 중요.
• 간호전문직은 간호 및 보건의료를 둘러싼 물리적·사회적·정치적·문화적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비를
하여야 한다.
• 간호사는 이러한 변화로 인해 직면하게 될 이슈에 대해 개인적 또는 집단적 차원에서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17
CHAPTER 13 세계간호사

3. 간호전문직 발전 방향

2) 간호전문직의 사명과 역할

간호사들이 관심을 기울여야 할 주요 이슈

• 간호대상자 측면: 노령화, 현인의 스트레스, 건강불균형(health disparity)과 건강


불평등(health inequality) 등을 들 수 있다.

• 의료 및 간호의 측면: 첨단기술(high technology)과 IT를 접목한 의료기술의 개발


및 사용 그리고 이에 따른 윤리적 문제를 들 수 있다.

• 사회적 측면: 환자의 권리 확대, 전문직업 및 인력 구성의 변화 그리고 지속적인


의료개혁으로 도래하게 될 의료전달체계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 환경적 측면: 산업화와 인구증가에따른 환경오염과 온난화를 포함한 급격한 기후

18 변화 그리고 새로운 형태의감염병 확산을 들 수 있다(표 13.1).


CHAPTER 13 세계간호사

3. 간호전문직 발전 방향

표 13.1 미래 주요 건강 관련 이슈

측면 주요 이슈
• 인구의 노령화
• 현대인의 스트레스
간호대상자 측면
• 건강불균형
• 건강불평등
• 첨단기술과 IT를 접목한 의료기술의 개발 및 사용과
의료 및 간호의 측면
이에 따른 윤리적 문제
• 환자의 권리 확대, 전문 직업 및 인력 구성의 변화
사회적 측면 • 지속적인 의료개혁으로 도래하게 될 의료전달체계의
변화
• 산업화와 인구증가에 따른 환경오염
환경적 측면 • 온난화를 포함한 급격한 기후변화
• 새로운 형태의 감염병 확산
19
CHAPTER

한국간호사 14
1. 조선시대 의녀제도

2. 구한 말 간호

3. 일제 강점기 간호

4. 해방 후 간호

5. 간호의 발전과 도약
CHAPTER 14 한국간호사

학습목표

1. 조선시대 의녀제도를 설명할 수 있다.

2. 구한 말 간호의 역사를 설명할 수 있다.

3. 일제 강점기 간호의 역사를 설명할 수 있다.

4. 해방 후 간호의 역사를 설명할 수 있다.

5. 최근 한국 간호의 발전과 도약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CHAPTER 14 한국간호사

1. 조선시대 의녀제도

• 유교사상에 기반한 남녀유별의 원칙을 고수하기 위하여 여성


의녀제도
진료는 여성이 담당하게 하고자 1406년(태종 6년)에 수립
수립
• -15세이상 총명한 여성관비를 대상으로 선발
• 제생원( )에서 시행하다가 세조 6년에 혜민서( )가
의녀교육 제생원을 통합하면서 혜민서도 이관
• 문자교육과 진맥, 침구, 명약, 부인병 등에 관한 기본적인 의학
교육
• 침술 등을 실습, 진찰, 처방, 침술, 조산, 간호 등의 업무

• 의녀의 자식 : 양인이 되는 특전
의녀 특전 • 의녀 본인 : 범죄 조사활동이나 기생활동에 필요한 가마, 가발,
모자, 머리장식을 사용할 수 있는 특전
• 조선후기에는 매달 급료를 받았으며 조세나 부역을 감면
• 효종: 천인신분을 명하게 해 주었음
▪ 여성전문직의 시작이자 한국 간호역사의 시초
▪ 여성 진료를 전담하면서 오히려 현대의 간호사보다 자율성이 더 컸음
3
CHAPTER 14 한국간호사
대한제국
→ 조선말
~

2. 구한 말 간호
nnvn

1) 제중원의 간호
• 1884년 12월 갑신정변에서 크게 다친 민영익이 미국공사관 의사 앨런Allen에게 치
료를 받음으로써 서양의학에 대한 관심 급증

제중원

• 1885년 4월 15일 광혜원( )으로 개원,


• 일주일 후 의료의 의미가 강한 제중원( )으로 명칭 변경
• 40병상의 종합병원 모습, 광혜원 규칙에 따라 운영

• 광혜원 규칙: 광혜원에서 일한 인력의 수와 역할, 입원환자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였으나, 간호사를 필요한 인력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
• 제중원 설립 직후 약 두 달간 남성 선교사인 언더우드Underwood가 약제업무와
간호업무를 담당하였다.
4 광혜원->제중원-> 1904년 세브란스병원으로 명칭을 변경
CHAPTER 14 한국간호사

2. 구한 말 간호

1) 제중원의 간호
−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남녀 간의 접촉을 금하는 내외( )의 풍습
▪ 의녀제도 전통에 착안하여 제중원에 필요한 13~16세 사이의 관
기 차출
▪ 3개월간 열심히 일하고 영어를 잘 배우는 학생들을 ‘여자 의학생
(lady medical students)’으로 지정하여 간호훈련을 시작

− 한국에서 활동한 첫 선교간호사: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 엘러스


▪1886년 7월 조선도착, 제중원에서 여의사로 근무

5
m
명성황후2'
▪민비의 시의( ) 필요로 사역
궁중에서 임학부 鬪跳
"
CHAPTER 14 한국간호사

2. 구한 말 간호
1) 제중원의 간호 明沁蠶 ☆
− 제중원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최초의 간호사: 제이콥슨
▪ 청결법, 살균소독법, 간호의 개념을 도입하기 위해 노력

− 한국 근대간호의 어머니: 쉴즈(Elisabeth Shepping)
rm
▪ 1897년 10월 제이콥슨의 후임으로 부임
▪ 세브란스병원에 간호부양성소 설립

6
CHAPTER 14 한국간호사

2. 구한 말 간호

2) 내부병원(광제원)의 간호
− 1899년 대한제국 정부가 직접 국가병원 설립-> ‘병원관제’ : 직원의
수, 임무 등을 규정
내부병원
• 1899년 6월 1일 진료 시작(의사 7명, 약사 4명-> 한방의술 위주)
• 외래 진료 중심병원, 왕진을 하거나 감옥에서 진료하기도 함
피병원( )
• 감염병환자를 입원시키기 위해 설립
• 주민이 사는 곳에서 50보 떨어지고 산이나 물로 차단된 곳에 위치하여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
• 외부 음식은 일체 들여올 수 없게 하고, 의사가 하루에 한 번 왕진
• 의복과 환자가 탔던 가마, 수레 등은 모두 소독
• ‘병원세칙’에 근거하여 환자의 친족 등이 간호 담당
7
CHAPTER 14 한국간호사

2. 구한 말 간호

2) 내부병원(광제원)의 간호
− 1906년, 한국인 의사 대신 일본인 의사가 광제원을 장악

▪ 근대적 서양의술을 적용한 진료가 더욱 확대 됨

▪ 일본인 간호사 3명이 광제원에 근무하게 됨으로써 최초로 전문 간


호인력이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정부병원이 됨

− 광제원은 1907년 3월 15일 설립된 대한의원에 통합

8
CHAPTER 14 한국간호사

2. 구한 말 간호

3) 대한적십자사병원의 간호
− 대한적십자사병원
• 대한제국, 1902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적십자회의에 민영찬
파견
• 1903년 제네바협약에 가입하면서 적십자활동 시작
• 1905년 고종이 대한적십자사병원 창설하고자 하는 뜻 공표
• 10월 중순경에 병원 완성

▪ 황실직속기관
▪ 설립목적: 빈곤한 상병자와 천재 혹은 사변에 의한 상병자를 구호
▪ 정부병원 최초로 간호사를 정규직원으로 규정
▪ 간호부장 1인이 간호사 5인을 관리

9
CHAPTER 14 한국간호사

2. 구한 말 간호

3) 대한적십자사병원의 간호
− ‘대한 적십자사 규칙’이 ‘대한국적십자사관계급 규칙’으로 개정

▪ 목적: ‘전시 및 평시에 부상자와 병자를 구호하고 치료하는 데 최


선을 다하여 고통과 병환을 경감’시키는 것으로 변경

▪ 간호인력 구성: 간호졸감원( ) 1인과 간호부감원(


) 1인으로 변경

▪ 전체적인 인력 구성: 교육, 사무, 간호의 3부분으로 구분

10
CHAPTER 14 한국간호사

2. 구한 말 간호

4) 대한의원의 간호
− 1907년 3월, ‘대한의원관제’ 반포

▪대한제국의 의료기관인 광제원, 의학교 부속


병원, 대한적십자사병원을 하나의 기관으로
통합

▪종두사업도 이 기관에서 담당하도록 함

▪의정부 소속으로 대한의원 설립

11
CHAPTER 14 한국간호사

2. 구한 말 간호

대한의원
• 위생부: 의사, 약제사, 산파의 업무, 약품 관련 업무, 감염병 예방 및
종두 등의 공중위생업무를 담당
• 치료부: 질병 구료와 빈민 시료업무
• 교육부: 의사, 약제사, 산파, 간호사를 양성, 교과서 편찬업무를 담당
• 관제상 정규직원 중에 간호인력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나,
설립 당시부터 간호부를 두고 있었음
• 대한의원이 설립된 해인 1907년에는 10명->1910년에는 60명의
간호사가 근무➔대한의원 전체 의료인 중 60% 이상의 비중

12
CHAPTER 14 한국간호사

2. 구한 말 간호


5) 선교 간호사의 활동
− 최초의 공식 서양인 간호부
▪ 영국성공회 출신의 히스코트(Heathcote)
− 1891년 10월 입국, 낙동 장림병원에서 여성 환자 간호
▪ 성베드로 수녀회가 파송한 웹스터(Webster) 와 로이스(Lois) 수녀
− 한국인 학생을 선발하여 간호 교육 시작,
− 서양인에 의한 한국인 간호교육의 효시
▪ 간호사 엘러스가 1886년 우리나라에 들어와 제중원에서 일했으나 의사
로 근무
• 선교를 목적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온 서양인 간호사의 수는 1910년에 22명
• 개항기에 조선에서 활동한서양인 간호사의 수는 총 40명

13
CHAPTER 14 한국간호사

2. 구한 말 간호
글상자 14.1 서양인 선교간호사의 주요 활동


• 애니 엘러스: 제중원에서 여의사로 근무, 민비 시의( )(1886년 입국)
Elements

• 걸투르드 히스코트: 한국에서 활동한 최초의 공식 서양인 간호부(1891년 입국)


• 엘리자베스 웹스터: 조선 땅에서 최초로 남녀유별의 풍습을 깨고 남성 환자 간호 시
행, 한국인 학생 대상 간호교육 시작(1892년 입국)
• 안나 제이콥슨: 제중원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한 최초의 간호원(1895년 입국)
• 에스더 쉴즈: 세브란스병원 간호원양성소 설립(1897년 입국)
• 마가렛 에드먼즈: 최초의 간호교육기관인 보구여관 간호원양성소 설립(1902년 입국)
• 엘리자베스 셰핑: 우리나라 지역사회 간호의 선구자, 한센병환자의 어머니(1912년
입국)
• 엘리자베스 로버츠: 세브란스병원에 영·유아 보건실 설립, 본격적인 보건간호활동
(1917년 입국)
• 엘마 로젠버거: 태화여자관에서 한국 최초의 아동복지사업 시작(1924년 또는 이전)
14
_
CHAPTER 14 한국간호사

i.
2. 구한 말 간호

5) 선교 간호사의 활동
아횮i뛩i땣샸
☆− 1907년 8월 대한제국 군대 해산 명령 시
▪ 대한제국 군인들 42명이 부상당하여 세브란스병원으로 이송,
▪ 세브란스병원 간호부양성소와 보구여관 간호부양성소 학생들이
응급상황에서 남성 환자를 간호
▪ 이는 풍습의 벽을 깬, 조선의 간호 역사상 획기적인 사건
− 1908년 1월, 최초로 정부 차원에서 전국적으로 국적별, 지역별 의료
인력 파악
▪ 간호사와 산파의 인력에 대한 조사도 이루어졌는데, 이는 간호사
와 산파를 의사와 함께 의료인력으로 분류하고 공식적으로 그 존
재를 인정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음
▪ 한국인, 일본인 간호사가 각각 32명과 155명이었으며 한국인, 일
본인 산파는 각각 33명, 105명
15
CHAPTER 14 한국간호사

2. 구한 말 간호

6) 간호교육 − 1887년, 우리나라 최초의 부인전문 병원


☆ 보구여관( ) − 김마르다와 이그레이스가 1908년 11월 5일에 정
식으로 졸업, 한국 최초의 졸업간호사가 되어 근무

☆ [에드먼즈]
• 1903년 보구여관에 3년 과정 간호부양성소 설립
⇒ 조선 최초의 서양식 정규 간호교육
• ‘돌보고( ), 돕고, 보호하는( ) 사람( )’ 이라는 의미의 간호원( )
이라는 명칭도 이때 처음 사용
• 간호부양성소 입학조건: ‘부모의 승낙, 의사의 건강진단, 교화의 추천서,
소액의 입학금, 주간/야간 근무, 학과에 방해되는 가사일 금지’ 등
• 보구여관의 교육과정을 세브란스병원 간호부양성소에 전파하고 1908년
에 첫 한글 간호학 교과서인 『간호교과셔』를 번역·편찬하여 출판

16
CHAPTER 14 한국간호사

2. 구한 말 간호

6) 간호교육

• 1908『간호교과셔』를 번역·편찬하여 출판
• 총론, 신체, 근 계통, 혈맥, 호흡 등 총 39장으로 구성
• 1910년에는 『간호교과셔』 제2권이 출판.
두 권의 『간호교과셔』는 2016년 4월 문화재 제658호로 등록

17
CHAPTER 14 한국간호사

2. 구한 말 간호

세브란스병원

6) 간호교육

:
− 쉴즈(1987년부터 제중원에서 간호사로 근무), 1906년 9월 세브란스
병원에 간호부양성소를 설립
− 1907년 5명의 학생이 처음 입학

• 세브란스 간호부양성소는 보구여관과 함께 강의와 실습을 공유

• 해부생리, 증상관찰, 음식투여, 안과, 내과, 질량측정, 현미경 미생물 관찰, 간호실
18 무의 8개 교과목을 가르쳤다
CHAPTER 14 한국간호사

2. 구한 말 간호

6) 간호교육
사립조산부
mn

− 1909년 사립으로 조산부양성소를 설립하고 산파 양성


▪ 입학자격: 18~30세 사이의 여성으로 교양을 갖추고 품행이 방정
하며, 조선문과 한문의 독서와 작문 시험에 합격해야 함
▪ 교육기간: 2년
▪ 1913년 3월, 제1회 졸업생 7명 배출을 시작으로, 총 17명의 산파
배출

19
CHAPTER 14 한국간호사

2. 구한 말 간호

표 14.1 사립간호교육의 연도별 주요 사건

양성기관 1903 1904 1905 1906 1907 1908 1909 1910 1911 1912 1913
3월
첫 한글 첫 한글 평양 평양
보구여관 제1회 제2회 교과서 제2회 교과서 이전, 에서
설립
간호부양성소 가관식 가관식 제1권 졸업식 제2권 9월 이호프
출판 출판 동대문 졸업
복귀
첫 입학,
제1회
보구
세브란스병원 졸업식
설립 여관과
간호부양성소 (김배세
함께
졸업)
가관식

사립조산부 한국인 제1회


양성소 설립 졸업식

20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 우리나라 간호의 암흑기


− 남존여비사상의 보수적 가치관
− 간호가 여성의 직업으로 국한
− 간호사가 의사와 수직적 상하관계에 놓이게 되는 등 간호발전 침체
1) 보건간호
− 1912년, 간호사 셰핑(Elisabeth Shepping)
▪ 병원간호사로 근무하면서 사회구제사업 병행하여 보건간호활동
시작
▪ 간병, 직장이 없는 사람 및 가난한 노인환자를 돕고, 모자보건사
업, 구조사업
21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1) 보건간호
E
− 1924년 1월, 선교간호사 로젠버거(Rosenberger), 한국인 간호사 한신광
▪ 태화여자관에서 보건간호사업 시작
▪ 오전에는 가정방문을 통해 육아법 등을 교육, 오후에는 진찰소에서
의사 진료를 보조
− 1924년 5월
▪ 태화여자관에서 생후 3개월에서 5세까지의 어린이 대상으로 조선
최초 무료건강검진사업

22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1) 보건간호
▪ 보건간호사업 구분(조선간호부회 회장 셰핑)
− 보건교육: 한센병과 폐결핵의 예방법과 아편 반대를 강조
− 영·유아보건
− 학교보건

• 1927년: 로젠버거와 최유겸이 보건간호사업을 지속

- 사업내용: 어린이 진찰, 보건교육, 학생건강검진, 자모회 개최, 영유아 가정방문, 무


료목욕 등으로 다양

23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1) 보건간호
− 1929년 경성연합아동건강회 조직

▪ 세브란스병원, 동대문 부인병원, 태화여자관의 3개 선교기관

▪ ‘어린이에게 안전한 한국’을 목적

▪ ① 건아 클리닉, ② 산전사업, ③ 가정방문, ④ 학교건강검진, ⑤ 학교건강강연, ⑥ 어


머니 모임, ⑦ 목욕소, ⑧ 두유보급을 포함하는 우유보급소, ⑨ 1년에 한 번 간호부들
의 보건회의, ⑩ 연 1회 유아주간 개최 등의 사업.
▪ 1930년: 이금전이 캐나다 토론토대학에서 공중위생학학위를 받고 귀국하여 로젠버
거와 함께 보건간호사업을 계속하였다.
− 선교사 중심의 보건사업은 1930년대 후반 일제가 식민정치 강화를 위
해 선교간호사들을 강제로 출국시킴에 따라 위축되었음
24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2) 일본 제국주의 전쟁의 영향
− 1938년 전시총동원체제 발령, 간호부도 전시체제에 동원

− 1941년 12월과 1942년 10월에 의료관계자 징용령과 그에 따른 시행규


칙을 공포하고 시행

▪ 간호사들은 전쟁과 관련된 총동원 업무의 징용 대상

▪ 징용된 간호사들은 방공연습과 전쟁 관련 업무

− 많은 간호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간호교육기관을 대폭 증가시키고, 간


호사 면허 취득자격을 완화하는 등의 정책->간호교육의 질 저하
25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3) 간호교육
(1) 대한의원의 교육
▪ 1907년 설립된 광제원, 대한국적십자병원, 관립의학교 등을 통합
한 대한제국의 최대 의료기관
▪ 치료부, 교육부, 위생부로 구분
▪ 우리나라 최초로 정부수준에서 간호교육을 제도화
▪ 간호부( )와 산파( ) 라는 명칭도 이때 최초로 사용
▪ 1909년 2월 ‘대한의원관제’ - 의사, 약제사, 산파 및 간호부 등 의
료인 교육을 위한 부속의학교 별도 설치
▪ 1910년 2월 ‘대한의원 부속의학교 규칙’ 제정 - 우리나라 최초로
간호교육에 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규정
▪ 교육비 무료, 기숙사 생활(식비, 피복비 등 일체 지급받음), 졸업
후 1년 동안 의무적으로 대한의원에서 근무
26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3) 표
간호교육
14.2 대한의원의 간호교육과정

구분 간호부과 산파과
교육기간 • 2년
• 일본어, 수신( )
교육내용 • 1학년: 기초의학, 기초전공
• 2학년: 세부전공
교육비 • 무료 ※자비부담 정원 외 입학 가능
학자금 • 식비, 피복비 등 일체
의무복무(급비생) • 1년
• 18세 이상 25세 미만
입학자격
• 신체검사와 입학시험에 합격한 자

27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3) 간호교육
(2) 관립간호교육
▪ 1910년 8월 22일 한일합방 조인( )
▪ 1910년 9월 30일 ‘조선총독부 및 소속관서 관제’ 발표
− 대한의원 ⇒ 조선총독부의원
− 대한의원의 교육기능 ⇒ 조선총독부의원의 의학강습소
▪ 1911년 2월 ‘조선총독부의원부속 의학강습소 규칙’ 공포
− 간호부과와 조산부과의 구체적 교육방침 마련
− 간호부과: 학기당 2명 정원으로 1년 6개월 교육
− 조산부과: 학년 당 20명 정원으로 2년간 교육
− 수업은 주당 30시간
− 수업료 무료, 정원의 ½ 학생은 식비, 피복비, 잡비등의 학자금
수령
28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2) 관립간호교육
▪ 1912년 12월 ‘조선총독부의원부속 의학강습소 규칙’ 개정
− 일본인이나 남성도 입학
− 학자금을 받을 수 있는 한국인 학생 수를 정원의 1/3 이내로 제한,
학자금을 받은 학생은 졸업 후 2년간 의무복무
− 간호부과
• 일본어와 수신을 매학기 필수 교과목
• 수학, 해부학, 생리학, 간호학, 소독법, 붕대학, 기계취급법,
수술개보법, 구급법, 위생학, 실습 등
− 조산부과
• 간호부과와 마찬가지로 일어와 수신을 필수
• 수학, 해부학, 생리학, 소독법, 태생법, 산파학, 육아법 등
- 1910~1916년( 7년간 )간호부과 총 34명, 조산부과 총 25명 졸업, 모두 한국인 여성
29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2) 관립간호교육

▪ 1914년 우리나라 최초로 간호부와 산파의 면허에 관한 법률 제정

− 조선총독부의원 의학강습소 간호부과와 산파과 졸업생은 무시


험으로 면허를 받음

− 조선총독부의원은 중앙 관립의료기관

− 도 자혜의원은 지방의 관립의료기관의 역할



▪ 1914년에 반포된 ‘간호부 규칙’과 ‘산파 규칙’을 근거로 조선총독
부의원과 도 자혜의원 졸업생들은 무시험으로 간호부 혹은 산파
면허를 받을 수 있게 됨

30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3) 간호교육의 강화

▪ 1922년 5월 2일 간호부 규칙 개정과 함께 ‘조선총독부의원 및 도


자혜의원 조산부·간호부 양성규칙’도 함께 개정

− 5개 관립의원(조선총독부의원, 광주·대구·평양·함흥 자혜의원)


의 간호학교에 ‘간호부·조산부양성소’라는 명칭 부여

− 입학수준 향상, 간호부과 교육기간 연장, 간호부과와 조산부과


분리, 속성조산부과 폐지

− 간호부과의 교육과정이 1년제에서 2년제로, 전공과목을 8개에


서 19개로 늘림

31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3) 간호교육의 강화

• 조선총독부의원의 간호교육: 관·공립 간호교육의 표준을 제공, 수준 높은 학생을


선발, 실무 중심의 이론교육 실시, 실습에 많은 시간을 배정➔ 이론을 실무에 적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1922년 11월부터 간호부과와 조산부과의 교과과정이 합쳐지면서 간호부과 학


생에게 1년간 조산에 관한 교육 실시

• 1925년에는 도 자혜의원이 공립 도의원으로 이관

• 1928년 조선총독부의원이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의원이 되면서 ‘조선총독부의


원 및 도 자혜의원 조산부·간호부 양성규정’은 폐지

32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3) 간호교육의 강화

• 관·공립 간호교육기관은 지속적으로 증가

• 1930년대 후반에는 8개 기관(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의원 산파·간호부양성소,


경성의학전문학교 부속의원 간호부양성소, 철도의원 간호부·조산부양성소, 소록
도 갱생원 간호부양성소와 대구, 진주, 평양, 함흥 도립 의원 산파·간호부양성소 등)
이 간호교육 실시

• 졸업생은 무시험 간호부와 산파면허취득

33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3) 간호교육의 강화

En
세브란스병원 간호부양성소
• 1924년, 선교계 간호학교로는 가장 먼저 조선총독부의 지정을 받음
• 1925년, 수업연한 3년으로 연장-> 선교계 간호교육 기간이 3년으로 전환되는
시발점
• 교과목: 식이, 재봉, 가사, 위생, 영아 간호, 소아과, 감염병, 피부병, 병리학,
세균학, 약학, 약물학, 마사지, 일어, 수신, 해부학, 산수, 간호윤리, 붕대법,
간호실무, 영어 등
(이 시대에 이미 간호윤리 교과목을 가르쳤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점)
• 학생들은 견습간호부로 일하면서 수업시간에만 나와서 수업을 받는 형식

34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4) 간호면허제도


간호부 규칙
• 1914년 10월 13일 공포, 11월 1일부터 시행
• 자격기준을 정하고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하였다
• 간호사의 자격, 면허, 시험, 법률 위반 시 제재 등을 규정한 우리 나라 최초의 간
호 관계법
• 면허시험: 간호법, 해부생리의 대의, 소독법의 이론 3과목과 실기로 구분, 이론
시험에 합격해야 실기시험에 응시 가능
• 간호에 대한 관리와 규제를 통해 국가에서 간호사를 통제하려는 목적 제정
• 간호사를 여성으로 규정-> 간호를 여성의 직업으로 인식
• 1913년 일본인한국인 간호사 수 445명, 간호부규칙시행 후 186명, 215명으로
35 감소-> 자격요건 미충족 시 간호사 면허 부여받지 못했음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4) 간호면허제도

산파 면허제도

• 1914년 7월 4일 반포, 시행된 산파 규칙에 의해 시작


• 1914년 조선에서 면허제도가 시행되었지만 일본의 간호사 면허자격이
조선의 자격보다 높은 수준
• 조선총독부는 간호사의 수준을 통일하여 일본과 조선의 간호사 면허가
상호 호환이 되도록 하기 위해 조선 간호사의 자격기준을 강화

36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5) 간호조직과 단체 활동
− 조선 최초의 간호직 단체: ‘대한졸업간호원회’ (1908년 조직)

− 1910년 6월 ‘세브란스병원 간호원회’ 조직

▪ 한국인 최초의 간호사회, 대한간호협회의 시작

▪ 기존의 대한졸업간호원회는 1910년 8월 ‘재선서양인졸업간호부


회’로 명칭 변경

− 1928년 조선총독부의원이 경성대학 의학부 부속의원으로 이관

▪ 간호부감독의 명칭이 ‘간호장’으로 변경

37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5) 간호조직과 단체 활동
− ‘조선간호부회(Korean Nurses’ Association)’
▪ 1923년 4월 한국인과 서양인 졸업간호사 각각 17명, 30명이 조직

▪ 조선인 간호사를 위한 간호단체로서 조선의 간호가 전문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발판 마련

▪ 1926년, ‘재선서양인 간호부회’를 조선간호부회로 통합-> 현재의 ‘대한간


호협회’로 발전

▪ 1929년 조선간호부회 회칙 및 세칙을 제정-> 전문단체로서의 면모

38
CHAPTER 14 한국간호사

3. 일제 강점기 간호

5) 간호조직과 단체 활동
− ‘조선간호부회(Korean Nurses’ Association)’
▪ 1929년, ICN 가입을 신청하고, 회장인 셰핑, 이효경, 이금전이 캐나다 몬트
리올에서 개최된 ICN 총회에 참석

▪ 단체를 하나로 통합하라는 ICN의 권고에 따라 1932년 조선간호부회와 일본


간호부협회는 ‘일본제국간호부협회’를 창립, 일본제국간호부협회는 1933년
ICN 가입 승인 받음

▪ 1946년 조선간호협회로 명칭 변경

▪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따라 조선간호협회가 ‘대한간호협회’로


명칭을 변경
39
CHAPTER 14 한국간호사

4. 해방 후 간호
~

1) 미국군정과 간호
− 1945년 9월 일제강점기의 경무청 이생과가 보건후생부로 개편되면서 간
호사업국이 신설되어 최초로 간호사업을 정부단위에서 시행
− 1945년 12월 간호사업국 산하에 보건간호과, 기관간호과, 조산사업과등
체제정비-> 간호교육, 간호사업, 간호행정 체계를 구축
− 1948년 남한 단독으로 총선을 실시하여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면서 간
호사업과로 격하되고 그 규모가 계속 축소
− 1949년 보건부가 설립되면서 의정국 내에 산파간호과가 설치되었고 손
(홍)옥순이 초대과장으로 임명

40
CHAPTER 14 한국간호사

4. 해방 후 간호

2) 한국전쟁과 간호
−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남침~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
− 전상자 간호를 주로 담당한 간호인력: 1948년부터 양성되기 시작한 간호장교
▪ 총 1,257명의 간호장교가 전상자를 간호
▪ 간호장교가 전쟁기간 동안 간호한 입원환자는 총 397,519명
− 1948년 31명의 간호장교 후보생 대한민국 최초의 육군 간호장교 소위로 임관
−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 후 보다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제도를 통해
간호장교를 양성해야 할 필요성 제기
− 1950년 12월 말 육군 군의학교(현 국문의무학교)내 간호사관 생도 교육과정 개
설-> 국군간호사관학교 모태
− 육군의무학교 간호사관생도 교육과정이 설립된 1951년을 국군간호사관학교 역
사의 시작으로 지정
41
CHAPTER 14 한국간호사

5. 간호의 발전과 도약

:
1) 의료법의 변화
1951년 9월, 6·25 전쟁 중 부산으로 피난해 있던 국회에서 국민의료령을 통과시
킴으로써 최초로 제정
1962년, 「의료법」으로 개칭
-「의료법」 개정 통해 간호학교를 졸업하지 않아도 간호사가 될 수 있는 간호
사 자격검정고시제도 폐지, 정규 교육과정을 졸업한 자에 한해 간호사 면허 부여
하는 국가고시제도 시행
1973년, 「의료법」 개정
- 간호고등기술학교 졸업생에게 간호사 면허시험 응시자격을 인정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간호고등기술학교 폐지
1981년, 의료인의 보수교육을 의무화
2017년, 「의료법」에 간호사의 업무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간호업무의 범위
를 명확하게 하고 간호조무사에 대한 지도감독 업무를 포함,
정부인정기관으로부터 평가인증을 받은 대학의 졸업생에게만 국가고시 응시자
격을 부여하도록 개정함으로써 간호교육인증평가를 제도화
42
CHAPTER 14 한국간호사

5. 간호의 발전과 도약

2) 대한간호협회 활동
1948년, 조선간호협회에서 대한간호협회로 명칭 변경

80 1949년 6월, ICN 정회원국으로 가입


4년 뒤인 제10회 브라질총회에 최초로 김온순과 이영복을 한국대표로 파견

1957년, 이효정이 한국인 최초로 나이팅게일 기장을 수상


같은 해 국민의료령에 의해 대한간호협회가 ‘간호원 중앙회’로 인정

* 1925년부터 발간되기 시작한 ‘조선간호부회보’는 1953년 ‘대한간호’로


명칭을 변경하여 지금까지 간호계의 소식을 전하는 대표 소식지
1962년, 간호원 자격시험 국가고시 시행, 미국 등 해외진출 시작
1966년 최초로 간호사의 대규모 파독
1972년, 대한간호협회에서 ‘한국간호원 윤리강령’ 선포-> 전문직 체계공고
43 한국 최초 나이팅게일기장
CHAPTER 14 한국간호사

5. 간호의 발전과 도약

2) 대한간호협회 활동
2004년, 국군간호사관학교에 간호사 대상의 재난간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시행
의뢰: 국가위기상황, 재난 시 의료인의 역할
- 2005년 시행된 ‘제1회 구급간호’ 교육
- 2008년 ‘재해간호교육과정’, 2011년 ‘재난간호교육과정’으로 명칭이 변경
- 한국간호사의 재난 대비·대응 역량 강화에 기여
2014년 서아프리카 에볼라 창궐: 201412월~2015년 3월까지 3진에 걸쳐 총 14명
의 민간 간호사와 군 간호장교, 시에라리온에 에볼라 퇴치위한 파견
- 109명의 에볼라 환자를 간호함으로써 대한민국 간호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역할

44
CHAPTER 14 한국간호사

5. 간호의 발전과 도약

2) 대한간호협회 활동

2015년 국내 메르스 사태 발생
- 일선에서는 감염의 위험을 무릅쓰고 생사를 넘나드는 환자 간호
- 대외적으로는 서울 세계간호사 대회(ICN Conference and CNR 2015 Seoul)를
성공적으로 개최, 한국간호사의 강한 정신력과 국제 사회 영향력 과시

한국간호역사 자료집, 한국근대간호역사 화보집 발간-> 최초의 한글 간호교과서


를 문화재로 등록
한국 간호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보구여관 터’에 간호표석 1호 설치

간호법 제정을 위해 다방면의 노력


- 2015년 간호 관련 의료법 일부개정안이 64년 만에 국회를 통과하는 쾌거

45
CHAPTER 14 한국간호사

5. 간호의 발전과 도약

3) 간호교육
− 간호학교
▪ 1952년 「교육법」 시행령에 따라 고등간호학교로 통일
▪ 1957년 간호고등기술학교로 명칭을 개칭하면서 3년 과정의 고등
학교 수준으로 교육과정 구성
▪ 1962년 「교육법」개정에 따라 초급대학 수준의 간호학교로 개

▪ 1955년 이화여자대학교에 최초로 간호학 학사과정 개설


▪ 1957년 연세대학교, 1959년 서울대학교에 간호학과 설치→ 본격
적인 간호학 학사 시대

46
5. 간호의 발전과 도약

• 간호교육제도가 발전
• 1962년 「의료법」 개정을 통해 간호학교를 졸업하지 않아도 간호사가 될 수
있는 간호사 자격검정고시제도가 폐지
• 1973년: 간호고등기술학교가 완전히 폐지
• 1973년: ‘간호원 보수교육’이 시작되어 계속 교육을 통한 간호사의 역량 강화와
질적 수준 유지를 위한 노력 시작
• 1981년 12월 의료인 보수교육이 의무화 -> 다른 의료인과 마찬가지로 간호사들도
매년 8시간이상의 보수교육을 받고 있다.

47
CHAPTER 14 한국간호사

5. 간호의 발전과 도약

3) 간호교육
− 간호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

• 2011년 간호교육을 4년제로 일원화하는 것을 주요 내


용으로 하는 「고등교육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
간호교육 통과
일원화 추진 • 2011년 6월 교육과학기술부가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을
전문대학 수업연한 4년제 간호과 지정 심사기관으로
지정

• 간호교육의 수준을 상향조정하고 표준화→ 우수 간호


사 양성
간호교육 • 2004년 3월 ‘간호학과 인증평가’로 처음 시작
인증평가 • 2017년 5월 119개 대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70개 전
문대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15개 전문 학사학위 프로
그램이 정부인정 간호교육인증을 받음
48
CHAPTER 14 한국간호사

5. 간호의 발전과 도약

4) 전문간호사(Advanced Practice Nurse, APN)

•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의료기관이나 지역사회에서 대상자에게 상급수준의


전문간호를 자율적으로 제공하는 간호사를 양성하는 제도

− 가정, 감염관리, 노인, 마취, 산업, 아동, 응급, 임상, 정신, 종양, 중환자,
호스피스, 보건 (13개)

− 전문간호사: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하는 대학원 수준의 교육기관에서


2년 이상 교육

− 최근 10년 이내에 해당분야에서 3년 이상 간호사로 근무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가 교육을 신청할 수 있음

49
CHAPTER 14 한국간호사

5. 간호의 발전과 도약
4) 전문간호사(Advanced Practice Nurse, APN)
− 2000년「의료법」에 의해 기존 ‘분야별 간호사’가 ‘전문간호사’로 개칭

- 2003년: 「의료법」 시행규칙이 개정-> 4개 분야에서 10개 분야로 전문간호사


가 확대, 자격요건 강화
− 2005년 8월에 제1회 전문간호사 자격시험 시행

− 2006년에 전문간호사 제도가 시작된 이래 최초로 감염전문간호사 등 9개 분야


전문간호사 배출

− 2006년「의료법」 개정을 통해 종양, 임상, 아동의 3개 분야를 추가함으로써


총 13개 분야로 확대

50
CHAPTER 14 한국간호사

5. 간호의 발전과 도약

5) 간호사의 역할확대와 사회참여


• 1981년, 김모임 박사(전 대한간호협회장)가 간호사 출신으로서는 최
초로 국회의원에 당선
1980년대
• 1989년 ICN 회장에 당선되어 한국간호사의 역량을 세계적으로 알림
• 1987년「의료법」개정으로 ‘간호원’ 명칭이 ‘간호사’로 개칭
• 1991년, 대한간호정우회가 창립
1990년대 - 간호사 출신 정치인을 육성하고 사회 참여를 더욱 활발히 함으로써
국민건강을 수호하고 간호사의 권익 보호
• 2003년 김화중 전 대한간호협회장이 보건복지부장관으로 취임
• 제16대 국회의원: 최영희 전 간호협회장과 김화중 전 간호협회장, 제
19대 국회의원: 신경림 전 간호협회장 당선
• 2017년 제20대 국회의원, 윤종필 전 국군간호사관학교장이 당선
2000년대
• 2002년 양승숙 전 국군간호사관학교장이 여성최초로 육군 장군으로
진급
• 2018년 1월 권명옥 준장이 9대 여성장군으로 진급-국군간호사관학
교장으로 재직
51
CHAPTER

간호 관련 국제기구mn
15
1. 국제간호협의회
2. 세계보건기구
3. 국제적십자사
4. 국제보건활동
5. 국제 보건분야에서 간호사의 역할
6. 국내 보건의료서비스 변화에 따른
간호사의 역할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학습목표
1. 국제간호협의회(ICN)의 설립목적을 이해하고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2. 세계보건기구(WHO)의 설립목적과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3. 국제적십자사의 설립목적과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4. 국제적십자사의 활동과 간호사업과의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다.
5. 유엔아동기금(UNICEF)의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6. 우리나라 국제 보건기구를 설명할 수 있다.
7. 국제 보건분야에서의 간호사 업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8. 국내 보건의료정책의 변화를 찾아볼 수 있다.

2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1. 국제간호협의회 국제기구
hniirn.tl
1) 설립
− ICN(국제간호협의회,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 ne
▪ 국제적으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가장 영향력이 큰 의료인 조직)
▪ 1899년 영국의 간호사 펜위크 여사의 발의로 창립
nnn

▪ 1900년 6월 발기총회: 초대회장 펜위크


▪ 1901년 미국 버팔로,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영국 대표 1
회 총회개최
− 제1회 총회의 회의목적
▪ ‘환자 간호를 더 잘하기 위해 그리고 간호사업의 발전과 명예를
위해 전 세계 간호사들은 힘을 합쳐 자신의 생각, 관심 및 목적을
하나로 묶어 미래를 향해 전진하는 것이 간호사의 책임이라는 사
실을 믿는다.’

3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1. 국제간호협의회

1) 설립
− 국가 단위로 가입
▪ 해당 국가가 인정하는 자치적이고 자율적인 간호단체로서 간호교
육의 수준과 간호업무의 상황을 검토하여 한 나라의 한 단체에 한
해 회원자격 부여
− 회원국 자격심사 기준
▪ 한 주권국에서 한 회원국만을 인정하며 그 나라의 간호교육 기준,
간호업무의 수준 및 직업윤리
− 2016년 ICN은 전 세계 1,600만 명 이상의 간호사를 대표하는 130여
개 국가가 정회원국(http://www.icn.ch/members/members-list/)
으로 참여한 간호 사회(National Nurses Associations, NNA)의 연맹
체(federation)

4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1. 국제간호협의회


2) 목적 및 기능
− 간호사가 운영하고 간호사가 이끌어가는 ICN은 간호사업의 국제적
통계 및 최대의 정보를 보유

E
− 정치, 사상, 종교를 초월한 순수한 전문단체로 모든 사람에게 질적인
간호를 제공
− 의미 있는 글로벌 보건정책을 개발
− 간호지식을 발전
− 존경 받는 간호전문직 확립
− 능력 있는 간호 인력 양성
− 각 회원 협회가 자국 간호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조언, 원조 등
− 한 국가단위로 하지 못하는 일들을 조직적 노력으로 함께 하며 국제
보건문제를 연구하고 협조
5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목적 기능,
.
정책 알아두기 !

1. 국제간호협의회

3) 활동: 정책, 파트너십, 옹호(advocacy), 리더십개발, 네트워크 및



특수한 프로젝트➔ 간호를 포함한 간호사와 건강 향상
▪ 목적: 전세계 간호사와 간호를 발전시키고 보건정책에 영향을 주
기 위함

핵심 프로그램 핵심 가치

• 전문직 간호실무 • 리더십


• 간호규정 • 포괄성
• 간호사를 위한 사회경제적 • 유연성
복지 • 파트너십
• 전문직 성취

핵심프로그램
6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1. 국제간호협의회

➢ 주요활동
■ 전문직 간호실무 분야의 활동 ' 연구 '

5
• 간호실무의 국제간호실무분류체계 확립,HIV/AIDS 간호와 연구, 결핵·말라리아 등
_

의 감염성 질환의 간호와 연구, 여성 건강증진에 대한 연구, 가족건강에 대한 지침


개발

■ 간호규정 분야의 활동

• 간호인증제도 도입, 윤리강령 제정, 보수교육 실시 및 규정 제정

■ 간호사의 사회경제 복지 분야의 활동

• 간호인력 개발, 보건정책 수립,근무환경 개선과 안전에 관한 기준 개발,


7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1. 국제간호협의회

3) 활동
−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연간 4회 발간

• 다양한 공식 네트워크 운영: 학생 네트워


크(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Students Network)-> 간호학과 학생으
로 개인으로 회원 가입 가능
(http://www.icn.ch/networks/student-
network/)

8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2.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북제기구 ②
1) 설립

• 1945년 샌프란시스코 회의에서 국제연합헌장을 토대로 국제보건기구의 필요성이 인정


됨에 따라 설치되었다.

• 제2차 세계대전 전에 있던 국제공공위생사무소(Office of International Public Hygiene),


국제연맹보건기구(League of Nations Health Organization)의 제반 업무를 이어받음

• 1946년 6월 뉴욕에서 개최된 국제보건회의 의결에 의해 UN(국제연합, United Nations) 회


원국 51개국을 포함한 61개국이 헌장에 서명

• 1947년 UN전문기구가 되었으며

• 1948년 4월 7일 UN의 보건전문기관으로 정식 발족

9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2. 세계보건기구

1) 설립
− WHO(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본부: 스위스 제네바

양계보건
finnnfnun
2) 목적 및 기능
− 국제보건활동에 대한 지휘·조정기구
− 목적: 국제보건·의료사업의 지도·조정·연구를 통해 질병 없는 세계를
구현하고 각국의 보건의료 부문의 발전을 위한 재정지원, 기술훈련 및
ㅡㅡ

자문활동 등을 하는 것

-
− 목표: ‘세계 온 인류의 건강을 가능한 한 최고의 수준에 도달하게 한
다.’
WHO의 설립목적
⇒ 모든 사람이 가능한 최고 수준의 건강을 영위하게 하는 것

10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2. 세계보건기구

2) 목적 및 기능

• 의제: 인류가 당면한 보건문제를 해결하고 국가 상호간의 협력을 추구하며, 국제


화에 대처

■ 2개의 목표: 건강과 개발증진, 건강보장 강화

■ 2개의 전략: 건강전달체계 강화, 연구와 정보 및 근거제공

■ 2개의 조작적 접근: 파트너십 확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수행

11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2. 세계보건기구

☆알아두기 !
WHO의 주요기능
mn

• 보건서비스의 강화를 위한 각국 정부의 요청에 대한 지원 및 공동


행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파트너십에 참가함
• 각국 정부의 요청 시 적절한 기술지원과 응급상황 발생 시 필요한
도움 제공
• 감염병 및 기타 질병 등의 예방과 관리에 대한 업무지원

• 영양, 주택, 위생, 경제 혹은 작업여건, 환경 등에 대한 다른 전문
기관과의 협력지원
• 생의학과 보건서비스 연구지원 및 조정
• 보건, 의학 그리고 관련 전문 분야의 교육과 훈련의 기준 개발 및
개발지원, 기술지원, 변화 촉진 및 지속 가능한 역량 개발 지원

12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2. 세계보건기구

WHO의 주요기능 (계속)

• 생물학, 제약학 그리고 유사물질들에 대한 국제적 표준 개발 및 진

.
단 기법의 표준화
• 정신 분야의 활동지원 및 윤리적 근거에 기반을 둔 정책 대안 형성
• 선진국과 후진국 사이의 건강불평등 해소를 목적으로 여성건강,
아동건강, HIV/AIDS, 감염병,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보건서비스
및 연구지원
• 보건상태 모니터링 및 보건의 추이 평가
• 규범과 표준을 마련하고, 전파하며 그 이행을 모니터링
• 연구과제 형성, 가치 있는 지식의 생산 및 전파

13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2. 세계보건기구

3) 활동
− 회원국: 2016년 194개 국가 가입

세계를 6개로 나누어 각 지역 총회 구성


ne

아프리카 지역 유럽 지역

미주 지역 동지중해 지역

동남아시아 지역 서태평양 지역 →우리나라


☒ 활동
* 우리나라: 필리핀 마닐라에 지역총회를 둔 서태평양 지역 본부

14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2. 세계보건기구

3) 활동

• UN 산하에 설립된 17개 전문기구 중 하나인 정부 간 기구

• UN체계 안에서 보건문제를 지도하고 조정하는 기관

• 2016년 194개 국가가 회원국으로 가입

• 의사, 간호사, 보건의료인, 과학자, 역학자, 보건통계학, 경제학, 응급구조의 전문가


이자 행정, 재정, 정보체계의 전문가들로 구성

• 우리나라: 1949년 제2차 로마 총회에서 정회원국으로 가입

15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2. 세계보건기구

3) 활동

➢ WHO와 간호사업과의 관련성

• WHO 제네바 본부에 간호사업부

• -
6개의 지역본부 간호사업과-> 회원국의 간호교육, 간호업무 특히 기술고문 등을 파견하고 세미나 등 사업

• 간호교육의 국제기준, 보건간호사업을 위한 연구 등 업무

• WHO 본부와 6개 지역사무소-> 간호와 조산을 담당하는 ‘간호와 조산(nursing & midwifery)’ 부서, 전문가

(adviser) 배치

• WHO 본부 보건인력자원과(Department of Human Resources for Health) 산하 부서-> 간호와 조산 관련 프로

그램 운영

• 회원국 선출 사무총장(Director-General)과 6개 지역 사무본부의 지역사무처장(Regional Director)

16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2. 세계보건기구


3) 활동
− WHO 근무 또는 경력개발을 원하는 사람은 채용공고와 자격요건을
확인하고 인터넷으로 원서를 제출할 수 있음

우리나라
▪ 가입 초기: 말라리아, 결핵, 한센병 등의 예방과 박멸사업에 주요 기
술 원조를 받고, 보건요원 훈련 면에서 지원 받음
▪ 간호사업 협조로는 보건간호사업, 간호교육 등을 위해 국립보건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에 WHO 간호사가 고문관으로 주재
▪ 2003년 1월 제3차 집행이사회에서 우리나라 이종욱 박사가 제6대
WHO 사무총장으로 당선
▪ 이종욱 박사 사후 에는 KOFIH를 창립하여 공동 활동
17
18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3. 국제적십자사

÷
1) 설립
− 1863년 앙리 뒤낭(Henri Dunant)에 의해 설립

ICRC(국제적십자위원회)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1828년~1910, 스위스

IFRC(국제적십자사연맹)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ed Cross and Red Crescent Societies
각국 적십자사 및 적신월사
National Red Cross & Red Crescent Societies, National Societies

각각 독립된 기구: 하나로 결속


적십자 인도주의 운동 실천
19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3. 국제적십자사

1) 설립

•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인도주의 단체

• 국제적십자 운동의 시초

• 1963년100주년 기념식

• 본부: 스위스의 제네바

• 전쟁 중 공격받지 않기 위해 적십자와 적신월(붉은 초생달)의 깃발을 내걸고 구호활동

• 3개의 기구는 각각 독립된 기구-> 2년마다 대표자회의를 개최, 4년마다 제네바협약 체


약당사국 정부 대표도 참석하는 국제적십자·적신월회의를 제네바에서 개최

• 국제적십자사로 여기는 단체: ICRC와 IFRC를 포함시킨 조직

20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3. 국제적십자사

2) 목적 및 기능

어떠한 차별도 없이 인간의 고통을 예방하고 경감


목표
하기 위해 노력하며 인간의 존엄성을 보호

• 인도(humanity)

(
• 공평(impartiality)
• 중립(neutrality)
기본 원칙 • 독립(independence)
• 자발적 봉사(voluntary service)
• 단일(unity)
• 보편(universality)
21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3. 국제적십자사

2) 목적 및 기능

• 적십자의 대표 정신
• 자애성, 공평성, 중립성, 독립성, 자발적 봉사, 단일성 및 보편성
• 제네바협정에도 밝히고 있으며 이는 간호정신과 직결되는 정신

22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3. 국제적십자사

3) 활동

그림 15.5 IFRC 홈페이지. https://www.ifrc.org/en/


23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3. 국제적십자사

3) 활동

STT위원회
➢ ICRC

• 중립적이고 공평하며 독립적인 인도주의 기관 t 국제적립자사 설명하는 단어


renren.vn

• 인도적 보호를 보장하고 전쟁 중 무장폭력과 충돌로 인한 희생자를 지원

• 국제법에 따라 국제적십자위원회는 피억류자, 무력충돌로 인한 부상자 및 환자, 민


간인에 대한 중립적 지원에 대한 항구적인 책임

• 무력충돌시 각국 적십자사 및 적신월사 와 IFRC의 대응 활동을 조정

24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3. 국제적십자사

3) 활동

➢o
IFRC

• ICRC와 각국의 적십자사가 참가하는 인도주의적 기구로 1919년 설립, 본부 스위


스의 제네바

• 재난대비 및 대응, 취약계층을 위해 각국의 적십자사가 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

• IFRC에서는 1948년 적십자운동의 창시자인 앙리 뒤낭의 생일인 5월 8일을 ‘세계적


십자의 날’로 제정·

• 2016년 ‘세계적십자의 날’의 슬로건: 적십자는 모두를 위해 어느 곳에나 있다는 의


미의 ‘Everywhere for everyone’이다.

25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3. 국제적십자사

3) 활동

➢ IFRC의 주요 업무 및 기능

• 교육활동, 구호활동, 지원활동 및 기타 활동이다.

• 구체적인 교육활동에는 청소년 대상 인도주의 이념과 원칙교육 및 훈련 등

• 구호활동에는 재해 희생자 구호

• 지원활동으로 회원사 간의 연락, 조정, 연구진행, 역량강화 및 기술적 지원을 수

• 기타 활동으로 각국에 독립적이고 승인된 적십자사 설립 및 발전을 지원

☆➢O Once
IFRC는 주로 평화 시 재난활동, ICRC는 주로 분쟁과 관련된 활동
一一

26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3. 국제적십자사

3) 활동

➢ 각국 적십자사 및 적신월사

• 국내 재해구호와 보건 및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

• 전쟁 시 민간인 피해자를 지원하고 필요한 경우 군 의료 활동을 지원

27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3. 국제적십자사

3) 활동
− 대한적십자협회
▪ 1903년 1월 8일, 대한민국 정부가 최초의 제네바협약에 가입
▪ 1905년 10월 27일, 고종황제 칙령(제47호)으로 처음 설립
➔ 널리 구제하고 고루 사랑하라.
▪ 1919년, 상해 임시정부 하에서도 독립군과 거주 동포를 위한 인
도적 활동을 수행
▪ 1950년 6·25 전쟁 시에도 피난민을 대상으로 구호활동을 전개
▪ 1960년대 419혁명, 1980년대 518광주민주화운동; 독립적이고
중립적인 인도주의 활동
▪ 여러 재난현장에서 인명구조 및 다양한 봉사활동 수행

28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4. 국제보건활동
wm

➢ 국제보건활동
• 국제기구의 참여와 국제개발협력으로 요약
• 국제개발협력: 정부의 활동으로 다자간 혹은 양자간의 ODA(공적개발원조,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국제기구에 공무원 파견과 정부/민간 초청
연수를 포함한다.

29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4. 국제보건활동

국제보건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보건복지 분야의 국제기구




국제간호협의회
세계보건기구
국제적십자사

• 유엔아동기금
• 시그마국제학회

• 세계식량계획(World Food Programme, WFP)


• 유엔인구기금(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UNFPA)
• 유엔에이즈계획(UN Programme on HIV/AIDS, UNAIDS)
• 세계은행(World Bank Group, WBG)
•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
lopment, OECD)
• 국제 비정부기구(Non-Governmental Organization, NGO)
• 민간재단 등

30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4. 국제보건활동

우리나라의 국제보건활동

• KOICA(한국국제협력단,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 KOFIH(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Korea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Healthcare) 등

31
?⃝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4. 국제보건활동
^ 유니세프
1) 유엔아동기금 (UNICEF, United Nations Children’s Emergency Fund)
-1946년 12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 UN 총회의 결의
- 뉴욕과 제네바에 본부

설립목적 전쟁의 피해로 고통 받고 있는 전후 어린이와 청소년을 구호


-

설립정신 국적이나 이념, 종교 등의 차별 없이 어린이를 구호

기능
.
UN이 채택한 SDGs(지속가능개발목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달성하기 위해 보건, AIDS, 식수와 위생,
영양, 교육, 어린이 보호, 사회통합의 7가지 중점 사업 분야를 정
하고 190개 이상의 국가 및 영토에서 활동

32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4. 국제보건활동

1) 유엔아동기금 (UNICEF, United Nations Children’s Emergency Fund)


-1946년 12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 UN 총회의 결의
- 뉴욕과 제네바에 본부

• 인종, 종교, 국적, 성별과 관계없이 활동


• 대상: 전세계 개발도상국에서 거리의 아이들과 어린이 노동자,


난민 어린이 등 어려운 처지에 놓인 어린이
• 영양, 보건, 식수공급 및 위생, 기초교육 분야에서 다양한 보호
활동
사업
• 1989년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채택으로 어린이 권리문제가 국제
적인 의제로 떠오르면서 UNICEF의 활동범위는 어린이 생존과
보호, 발달, 참여 분야에 이르기까지 아동 권리 전체로 확대

33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4. 국제보건활동

1) 유엔아동기금 (UNICEF, United Nations Children’s Emergency Fund)

• 우리나라는 1950년 3월에 정식으로 회원국으로 가입


• 1993년가지 각종 지원을 받음
• 1988년 UNICEF 집행이사국

T_T
• 1994년 1월 한국 UNICEF사무소-> UNICEF한국위원회로 명칭 변경
• 회원국 가입 당시 한국전쟁의 폐허 속에서 고통받던 우리나라 어린이들에게
분유와 담요, 의약품 등 긴급 구 호물자를 대량 지원, 농어촌 어리이 영양개선,
저소득층을 위하 유아교육 등 다양한 사업
• 43년 동안 UNICEF의 지원을 받던 한국은 1994년 1월 1일 세계 최초로 도움
을 받는 나라에서 다른 개발도상국을 도와주는 나라로 발전

34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4. 국제보건활동

2) 국경없는 의사회(Médecins Sans Frontières, MSF)

• 1971년 12월 22일 의사, 간호사, 언론인, 그 외 스태프


설립
등의 300명의 지원자로 구성하여 설립

• 성별, 인종, 종교, 정치적 성향을 떠나 누구나 의료서비


목적 스를 받을 권리가 있다는 신념
및 기능 • 사람들에게 필요한 의료 지원이 국경보다 더 중요하다는
-
신념으로 시작

• 환자가 있는 전세계 어느 곳이든 의료인력이 필요한 곳


활동 이면 다가가는 서비스를 제공
• 전세계 29개의 사무소, 3만여명의 직원이 활동

35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卜旦鼠蠟羸 ㅦ볘
4. 국제보건활동
연구
ST
3) 시그마 국제학회(Sigma Theta Tau International, STTI)

1992년,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학문적 교류와 연구


설립
활성화를 위해 설립 삶이학회
간호사의 학습, 지식, 전문직 개발을 지원하고,
목적
간호연구의 과학적 기반을 공고히 하여 인류의 건강을
및 기능
증진하는 것을 목적

활동
Ice
학문적 교류와 연구 활동을 조직적으로 펼치고 있으며,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간호전문직 단체

첫번째→
36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4. 국제보건활동

3) 시그마 국제학회(Sigma Theta Tau International, STTI)


➢ 시그마 국제학회의 주요 활동
■ 간호전문직의 탁월한 학문적 성취에 공헌
■ 간호사의 지도자적 자질 개발 爬與
■ 높은 수준의 간호전문직 표준 강화 활동 격려
o
o 이상 실현을 위한 사명감 고취
■ 간호전문직의 목적과
o n
@ 기반

■ 간호학문의 가치와 간호실무의 우수성을 널리 알림


비교했더니
■ 과학적 근거를 중심으로 한 간호연구 지원
A와
B를

내려강
■ 온라인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

열이
■ 전문직 개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 A가
■ 전 세계인의 건강 수준 향상을 위한 관련 연구 논문의 출판 및 지식의 전파

37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4. 국제보건활동

E.
4) 한국국제협력단(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 1991년 4월에 설립된 외교부 산하의 정부출연기관


설립
• 정부차원의 대외무상협력사업 전담기관
• 우리나라와 개발도상국가와의 우호협력관계 및 상호
목적 교류를 증진하고 이 국가들의 경제사회발전 지원을
및 기능 통해 국제협력의 증진에 기여하고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

• 누구도 소외받지 않는 사람 중심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상생의 개발협력을


위하여 중점협력국 SDGs 달성에 기여, 개발파트너십 재원을 확대하며, 역량
있는 개발협력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38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4. 국제보건활동
뼈 蠟蠟
4) 한국국제협력단(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o
• 중점 분야로는 교육, 보건, 공공 행정, 농림수산, 산업에너지

2D
• 보건분야에서는 개발도상국의 모성 보건, 아동보건, 감염성
질병 예방 및 관리, 보건의료체계 강화 등에 중점을 둔 사업
을 추진
• KOICA해외봉사단(World Friends Korea), 국제 개발협력인
활동 턴십, ODA 청년인턴 등에 지원하여 활동
• 간호사는 보건분야, 간호직종에 지원가능
• 파견단원은 질 높은 보건의료서비스 보급, 모자보건
향상, HIV/AIDS, 말라리아 및 감염병 퇴치, 안전한 식
수 보급을 위한 제반 활동을 지원
39 .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보건B의료텐단
4. 국제보건활동

5)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Healthcare, KOFIH)


• 국내에서 보건의료 분야의 두 번째로 큰 규모의 ODA를 집행하는 단체
설립
• 정부차원의 보건의료분야 대외무상지원사업 수행을 위해 2006년 설립

• 우리나라 국제적 위상에 걸맞게 국제 사회에서의 책임증대와 개발도상


목적 및 기
국가 및 북한 보건의료지원 전문기관으로서의 역할, 개발도상국가의 보

건의료문제 등을 국제 사회와 공조하는 것

• 개발도상국의 보건의료 인적 역량강화, 제도적 역량강화


(v).
• 서비스 접근성 강화를 통한 보건의료체계 강화,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향상
• 감염성 질병 예방 및 관리 강화
• 보편적 건강보장제도협력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개발도상국 보건의료
주요 사업
개발협력사업과 북한 보건 의료 협력사업
• 재외동포 보건의료 협력사업
• 외국인근로자 보건의료 협력 사업
• 해외재난 긴급구호사업
• 의료자원 지원 사업, 고 이종욱 전 세계보건 기구 사무총장 기념사업 등
40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4. 국제보건활동

一一.
5)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Healthcare, KOFIH)
•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의료봉사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국제의료봉사
단을 운영
• 의료봉사에 뜻이 있는 보건의료인과 의료기관의 자발적 참여를 원
칙으로 개인회원과 기관회원으로 구성
• 개인 회원은 간호사,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등 보건의료인
활동
• 기관회원은 종합병원 이상 의료기관의 의료봉사단이다.
• 모자보건사업, 감염병 퇴치사업, 의료인력 교육 등을 추진
• ‘우리는 올바른 장소에서 올바른 방법으로 올바른 행동을 해야 한다’
라고 한 고 이종욱 전WHO 사무총장의 정신을 계승하고자 추모사업
을 시행

41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4. 국제보건활동

5)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Healthcare, KOFIH)


➢ 고 이종욱 전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 기념사업
• 이종욱 박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WHO와 공동으로 제정
_
• 이종욱 공공보건기념상 운영, 개발도 상국 보건의료인력을 위한
활동 교육프로그램인 이종욱 펠로우십 프로그램 등을 운영
• 보건의료 관련 학과 대학생 및 대학원생이 지원->WHO 서태평
양 지역사무소(Western Pacific Regional Office, WPRO) 지역
총회에 참관할 수 있는 기회

42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5. 국제보건 분야에서 간호사의 역할

➢ 최근 국제보건 분야에서 관찰되는 가장 큰 변화


• 급속한 세계화와 병원균의 대륙 간 이동 감염, 의료인의 활발한 국제적 활동 등으
로 지난 수 년간 간호대학에서의 국제보건교육(global health education)에대한 수요
는 크게 증가-> 간호사는 국제보건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
• 최근 국제보건 분야에서 관찰되는 가장 큰 변화는 국제보건 관련 파트너십(global
health partnership)의 중요성이 부각
• 국제보건관련 파트너십: 기금 조성에 참여하면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재단도 의사
결정과정에 참
• HIV/AIDS, 결핵,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2002년에 설립된 세계기금(Global Fund,
The Global Fund to fight AIDS, Tuberculosis and Malaria), 국제백신동맹(GAVI alliance)

43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5. 국제보건 분야에서 간호사의 역할

➢ 최근 국제보건 분야에서 관찰되는 가장 큰 변화

• 세계기금: HIV/AIDS, 결핵과 말라리아를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추가적 자원을


발굴하고 배분하는 데 기여한 유일한 국제적 공공민간기구 연합체.

• HIV/AIDS, 결핵과 말라리아로 인해 죽어가는 생명을 구하기 위해 유엔이 공표한


MDGs(새천년선언, Millennium Development Goals)의 여섯 번째 목표인 예방접종사


업 확대를 목적-> 세계 자본을 투자-> 3개 질병의 대규모 예방, 치료 및 요양관리를
위한 572개 프로그램을 지원→ 140여 개 국가에 156억 달러를 원조하였다.

44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5. 국제보건 분야에서 간호사의 역할

• 국제 환경의 상황에서 제공해야 할 보건의료서비스와 간호사의


역할
− 건강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환경개선: 여성 교육수준 향상, 빈곤 감소,
폭력주기 차단, 모성사망 관련 사회적 여건 향상
− 아동 및 청소년 건강증진: 영아사망률 감소, 모성사망률 감소, 미숙아
감소, 청소년 건강증진, 성인건강과 질병의 아동기 선행요인 확인
− 가족계획 개선
− 약물남용 감소
− 감염성 질환의 확대 예방
− 신체적·정신적 질환관리: 만성질환 발생 감소, 건강증진을 위한 기술
사용, 우울 발생 감소, 통증관리 향상, 욕창 발생 감소
− 국제적 필요성과 요구에 따른 보건의료전달체계의 적용 및 개발
− 타당하고 경제적으로 용이한 건강측정방법의 연구 및 개발
45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6. 국내 보건의료서비스 변화에 따른 간호사의 역할-

간호·간병통합서비스

• 간호사의 역할과 관련이 있는 국내 보건의료정책 중 대표적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사업은 2013년 포괄간호서비스 시범사업에서
시작되어 2016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도입으로 전개
• 가족 중 한 명이 입원을 하게 되면 다른 가족들이 직장생활을 포함
한 거의 모든 생활을 포기하고 병간호를 하거나 고가의 간병비용을
지불하게 되는 현실을 반영하여 환자와 가족의 간병비용과 간병의
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도입된 제도

46
CHAPTER 15 간호 관련 국제기구

6. 국내 보건의료서비스 변화에 따른 간호사의 역할

간호·간병통합서비스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을 운영하는 의료기관은 의료기관 종별, 환자


특성과 간호인력 수급 상황 등을 고려하여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를 팀으로
하고 병동 당 1~4명의 지원인력을 구성하여 배치하고, 간호에 필요한 모든
입원서비스를 병원이 제공하도록 하였다.
• 해결해야 할 문제
- 병동 현장에서 일할 간호사의 부족
- 간호사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어디까지인가에 대한 고민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병동과 그렇지 않은 병동에 입원하는
환자 간 간호서비스 불균형 등
4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