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다윈의 생물학적 진화는 인류가 오랜 기간에 따라 자연선택을 거쳐서 문화, 생물학적으로 집

단 간의 차이가 발생했다는 것을 말함.

19세기 후반 진화의 개념을 적용하여 사회를 야만(원시적 사냥) -> 미개(단순 농경) -> 문명
세 개로 나누어 설명하는 단선진화론이 등장.

단선진화론의 문제?
인류의 문화적 변화와 발전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킨다는 점.

이로 인해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반진화론적 입장의 이론들이 등장.


ex) 극단적 전파주의(피라미드 예시), 역사적 전파주의, 기능주의

반진화론적 설명과 접근 방법이 문화변동을 간과하고 있음을 1940년대의 미국 인류학자


화이트와 스튜어트가 지적
=> 이로 인해 새롭게 보안된 진화론적 관점 등장 : 신진화론(다선진화론)
*화이트
<문화의 진화>: 문화체계는 기술, 사회조직, 이념의 아체계로 구성되며 문화는 환경에 적응하
는 수단이라고 간주함. 그는 문화발전에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규칙성을 문화진화라는 일반 진
화(general evolution)로 설명(★)
*스튜어트
<문화변동의 이론>: 19세기의 진화론=>단선진화론 / 차일드,스튜어트 진화론=>다선진화론으
로 규정. 자신들의 진화론적 도식을 보편진화로 규정.
문화발전에서의 규칙성 발견은 문화체계의 서로 다른 차이를 규정하는 것은 생태학적 적응이
라고 설명.

+살린스와 서비스(사회인류학자):신진화론을 발전시킴


진보라는 일반진화와 적응이라는 특수진화의 개념을 발전시킴.
특수진화: 적응을 증대시키는 것/일반진화: 적응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설명.
인류사의 일반적 양상으로서 진보가 문화적 변동을 규정짓는다고 주장.
*서비스 신진화론 : 군집->부족->족장사회->국가 네 단계로 다양한 사회조직 형태를 분류.

빈포드의 신고고학
-과학철학에 기반하여 문화과정(culture process:사회,경제적 체계에서 어떻게 변화가 일어나
는지)을 설명해야한다고 주장.
-서술과 편년에만 치중한 전통 고고학을 비판
-문화진화론과 환경의 역할을 강조
-체계이론과 연역적 추론으로 종합. (전통고고학은 단편적이 정보를 하나씩 모아서 과거를 복
원하는 귀납적 추론 사용.)/ 체계이론은 문화를 하나의 체계(system)로 파악하고, 이 체계 속
에 정치, 경제, 기술, 이념 등의 내부요소와 환경 등 외부요소를 포함하는 여러 아체계
(subsystem)들이 있다는 설명.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