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2

p.

34

기간 / 특징 / 유의점
기간 ● 만 6세 이후부터 만 12세까지(초등학교 시기)

신체 ● 성인과 비슷한 형태/비율 ● 2차 성징

운동 ● 정교한 운동 능력 발달

→ 스포츠 활동 가능. 소질 있는 경우 뛰어난 기량 드러남.

언어 ● 자기중심적 언어→사회적 언어. 추상적 개념 이해/사용.

정서 ● 자아 존중감. 지적발달 가속화. 타율적 도덕성 발달

→ 상하 관계 이해. 체계화/분류화. 규범/규칙 등 이해/습득


→ 가역성 개념(원인/결과), 보존 개념(본질 변화 없음) 이해

돌보기 ● 규칙적 생활 연습 ● 전자기기 등 자율적 통제


p. 47

한식의 특징
• 주식/부식 구분(cf. 일품식 발달X)
조리 • 곡물 조리법 발달
• 약식 동원 → 보양 음식 발달

• 예의를 중시하는 차림 : 제사, 돌, 혼례 등


제도 • 3첩/5첩/7첩 반상(밥/국/김치+반찬 수)
• 조식/석식 중시(농경 문화)

• 발효/저장 식품의 발달(장/침채/젓갈 등)


풍속 • 절식(특별한 날 먹는 음식)과 시식(제철 음식) 발달
p. 47
p. 48

한식의 우수성
• 색과 맛, 계절과 지역, 자연과 인간의 조화
비빔밥 • 세 가지 유래
(제사 풍습-음복 / 한 해의 마지막 밤참 / 들에서 밥을 먹던 풍습)

• 간장과 된장 : 메주를 소금물에 숙성.기본 조미료


발효 • 고추장 : 복합적인 맛을 내는 조미료
식품 • 김치 : 고유의 저장 식품. 유산균 공급원
• 젓갈 : 어패류에 소금 첨가/숙성. 단백질 공급원

• 약선 조리법 : 식생활을 통해 건강 유지. 한약재를


보양 많이 이용
음식 • 다양한 보양 음식
p. 49

중국의 식생활 문화 - 4대 요리가 발달

베이징 요리 상하이 요리 광저우 요리 쓰촨 요리

• 고 급 요 리가 • 해 산물 요리 • 남 부 중 국을 • 더 위 와 추위
발달한 곳 가 다양함. 대표하는 요리 가 심하여 향신
• 육류 중심 • 간 장과 설탕 • 재 료가 가진 료를 많이 사용
• 강 한 화 력을 을 많이 사용 자연의 맛을 잘 • 신맛, 매운맛
이용하여 짧은 (달콤하고 진 살려 냄. 등이 강함.
시간 조리 한 맛) • 담백한 맛
p. 49

칭정따자씨에
중국의 4대 요리 -민물털게요리

북경오리 홍샤오러우
-돼지고기
훠궈/마파두부 간장양념




p. 49

일본의 식생활 문화
생선 요리, 콩을 이용한 음식 발달

상차림
• 재료와 조리법이 서로 다른 것들로 구성
• 전체적인 조화를 중요시
• 식기는 1인분씩 따로 사용
• 요리의 시각적 아름다움을 살림.

일반적으로 젓가락만 사용

Ex. 1인상 문화
p. 49

일본의 대표 음식
생선 초밥 생선회 낫도

소바 미소국
p. 49

미국의 식생활 문화
• 육류 위주의 식사, 많은 동물성 지방의 섭취로 인해
심혈관 질환 많이 발생
• 많은 열량 섭취로 인해 비만 증가
국가적 식생활 개선에 많은 신경을 씀.

간편성과 실용성을 중요시


→ 가공식품이나 일품요리를 즐겨 먹음.
외식을 즐김.
p. 49

햄버거 스테이크

브런치
p. 49

프랑스의 식생활 문화
일찍부터 식생활 문화 발달

지방마다 특색 있는 음식 문화와 강한 자부심

향신료와 소스로 음식의 향미를 풍부하게 함.

와인
• 지역에 따라 특색 있게 발달
• 정부가 법적으로 엄격한 관리와 지원을 함.
p. 49

프랑스의 식생활 문화
p. 49

바게트

달팽이요리
송로버섯

푸아그라
p. 49

독일의 식생활 문화
실용적인 식생활 문화
• 한 접시에 모든 음식을 담아 먹음.
• 자기의 접시에 올려놓은 음식은 남기지 않음.
상차림이 번거롭지 않고 음식 쓰레기가 적게 발생

감자를 주식으로 함.

소시지와 햄은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음식

가급적 말하지 않고, 소리를 내지 않으며, 빨리 먹음.


다양한 감자요리

소시지의 나라 독일
p. 49

베트남의 식생활 문화
쌀을 이용한 음식이 다양하게 발달

아시아와 유럽의 음식이 조화를 이루면서 전통적인


베트남 음식으로 발달

음식이 자극적이거나 맵지 않고 맛이 부드러움.

식사 예절
• 젓가락 사용
• 커다란 그릇에 음식을 담아 덜어 먹음.
• 밥그릇을 입가에 갖다 대고 젓가락으로 먹음.
p. 49

월남 쌈(고이꾸온)
베트남의 식생활 문화
쌀국수(Pho) 짜조

분짜
p. 49

멕시코의 식생활 문화
지리적 위치 → 풍부한 식재료. 독특한 요리 발달

옥수수가 주식(나초, 타코)

나초 할라피뇨 타코
p. 49

튀르키예의 식생활 문화
유목 생활/사막 기후 → 육류 풍부. 물이 귀해 구이 발달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영향 → 퓨전 요리 발달

종교의 영향으로 금기음식 많음.


p. 49

튀르키예의 식생활 문화

다양한 케밥

다양한 쿄프테
p. 53

한복의 구조
p. 53

한복의 특징
• 상하의 분리
• 여밈이 앞에 있는 전개형
• 여러 겹 겹쳐 입는 레이어드형
• 직선, 평면으로 재단. 깃/도련/배래 등은 곡선 봉제

한복 형태의 美
• 한옥 처마의 형태 - 도련과 배래
• 사선과 직선의 조화 - 깃과 동정. 전체 실루엣
• 움직이면서 생겨나는 새로운 선과 율동감
• 버선코처럼 들어 올린 섶코
p. 53

마고자 배자 당의(당적삼)

용포 관복
p. 53

한복의 발달 역사
상고 • 길이가 길고 소매통이 좁은 저고리
시대 • 여성도 바지 착용하는 경우 많음 (활동과 신체 보호 위주)

삼국 • 소매통과 바지통 넓어짐 (중국의 영향 커짐)


시대 • 여성은 치마+저고리. 남성은 바지+저고리 정착.

고려 • 저고리에 고름다는 문화 정착 (몽골의 영향 커짐)


시대
조선 • 저고리 길이가 가장 짧고 품이 좁아짐
시대 • 현재의 한복과 유사한 형태

개화 • 저고리 길이가 길어지고 치마가 발목까지 짧아짐 (신여성)


기 • 양복이 도입되었으나 일반화되지는 못함
p. 53

상고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개화기

삼국시대
p. 55

영국
스코틀랜드식 킬트(kilt)가 전통 의상

세로로 주름이 잡힌 느슨한 스커트

무릎에 닿을 정도의 길이

킬트의 앞쪽 중앙에는 스포런


p. 55

영국

(검정+녹색의 타탄 체크 무늬)

1725년 창설된 스코틀랜드 육군 최정예


부대의 복장에서 유래
p. 55

스위스
스위스 뿐만 아니라 오스트리아, 독일 등에서도 착용

남성은 레더호젠, 여성은 드린딜

레더호젠은 가죽으로 된 반바지(트랭거+가죽장화)

드린딜은 허리가 잘록하고 무릎정도까지 내려오는 치마


p. 55

스위스
p. 55

중동
지역에 따라 색깔과 스타일에 차이가 있으나 그들 특
유의 옷을 대다수 착용
• 남성 : 머리에 터번을 두르고, 원피스 식으로 된 옷 착용
• 여성 : 눈만 내놓고 몸과 얼굴을 검은 천이나 흰 천으로 가리
는 옷 착용

자연환경과 이슬람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의생활 문



p. 55

아랍 여성의 베일
시리아 등 아프가니스탄 등

<히잡 : 얼굴만 내 놓은 쓸 것 <부르카 : 머리부터 발끝까지


상체만 가리는 것이 특징> 신체의 모든 부위를 가림>
p. 55

아랍 여성의 베일
이란 등
파키스탄, 모로코 등

<니캅 : 눈을 제외한 얼굴 전체 <차도르 : 망토 정도의 길이. 부


를 가리는 면사포 같은 것> 르카와 비슷한 외투의 일종>
p. 55

아랍 남성의 모자
터키, 모로코 등

사우디, 쿠웨이트 등

<페즈 : 챙 없는 남자 모자> <케피야 : 목을 덮을 정도로 쓰


는 남성의 모자>
p. 55

아랍 남성의 모자
주로 이란 남성 애용

<터번 : 천을 둘둘 말아 씀>
p. 55

일본
일상에서 대부분 양복 착용

전통 의상 - 기모노
* 기모노 : 설날, 성인식 등 특별한 날에만 착용

직접 옷을 만들어 입거나 물려입는 경우 많음.

젊은이들은 독특한 개성이 나타나는 옷차림을 많이


하며, 서로의 패션을 존중함.
p. 55

일본

<기모노> <유카타>
p. 55

중국
지역과 민족에 따라 의복이 매우 다양

대표적인 전통 의상 – 치파오, 중산복

• 치파오 : 만주족의 전통 의상
• 중산복
- 생활하기에 편리하도록 고안된 옷
- 요즘에는 농촌에서나 나이가 많은 사람들이 주로 입음.

현재는 젊은 계층 위주로 서양 의복 문화가 유행


p. 55

중국 전통 의상

<중산복>

<치파오>
p. 55

인도
여성들이 착용하는 사리(saree)

남성들이 착용하는 도띠(dhoti)

사리는 바느질이 안 된 사각형의 긴 천

꾸르따(kurta)는 남녀 모두 착용
p. 55

인도

<도띠> <사리> <꾸르따>


p. 55

베트남
얇은 옷감으로 넉넉하게 옷을 만듦.

대표 의상 - 아오자이
p. 55

‘긴 옷’이란 뜻으로
베트남의 전통 의상
현재는 각종 예식이나 교복,
관공서 제복 등으로 이용
상의는 치파오와 비슷하나
속에 긴 바지를 입음.

일명 ‘베트콩 모자’ <논라>


야자 나뭇잎으로 만들어
<아오자이>
우산과 양산 대용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