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42

1주차: 일본인 가정의 하루(1)

학습목표
1. 한 일본인 가정을 통해 일본의 가족제도를 이해한다.
2. 일본인 가정의 아침식사 시간을 통해 그들의 일상생활을 살펴본다.
사토 씨의 가족 구성
• 사토 이치로: 도쿄의 한 기업 영업부 근무
• 사토 미도리: 거주지역의 노인복지시설 근무
• 사토 타카시: 중학생(장남)
• 사토 에리카: 초등학생(장녀)
한일 양국의 가족제도의 차이
• 일본은 남녀가 결혼을 하면 가족이 하나의 성을 사용해야 하는
부부동성(夫婦同姓)의 원칙을 가지고 있다.
• 부부동성제는 사회적 관습으로 인정되어 일본의 전통일 뿐만
아니라, 가족이 일체감을 느낄 수 있는 좋은 제도라고 인식되어
왔다.
일본인의 성씨-특권
• 일본인이 성(성씨)를 가지게 된 것은 메이지유신(1868) 이후로,
그 전까지 귀족이나 무사 계급만이 가질 수 있는 특권이었다.
• 메이지유신(1868) 때 일본인들 중에서 성씨를 갖고 있던 비율은
6%정도라고 알려져 있다.
• 1870년 평민들에게 성씨가 허용되었다.
• 1872년 근대적 호적제가 시행되면서 모든 일본인은 하나의 이
에(家)에 속하게 되었지만(가부장적 대가족제도인 이에제도, 家
制度), 결혼한 부부는 동일한 ‘이에’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성씨
를 바꾸지는 않았다. 따라서 부부가 별도의 성씨를 갖는 부부별
성제(夫婦別姓制)는 일본의 전통에 가까웠다.
일본인의 성씨-부부동일성씨제도
• 1945년 패전 후, 메이지시대 이후 지속되어 온 가부장적인 이에
제도(家制度)를 폐지하였다.
• 그러나 가족 공동체 관념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가족 구성원은 동
일한 성씨를 갖게 했다. 현재의 민법 하에서는 남녀 평등의 원칙
에 따라 결혼할 때 어느 한 쪽의 성씨를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했지만, 부부동일성씨제도(夫婦同一姓氏制度)를 유지한 결과,
압도적인 비율(98%)로 남편의 성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
졌다.
• 사회생활을 하는 여성의 경우, 결혼과 동시에 성씨를 변경해야
함으로 현실적으로 많은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한다.
소프트뱅트 회장, ‘손 마사요시’의 성씨 변경 사례

• 재일교포인 손정의(孫正義) 회장의 성씨 변경 과정


: 1990년 사업상의 편리함을 목적으로 일본 국적으로 귀화할 때,
당시 법률로는 ‘손(孫)’이라는 성씨가 일본에는 없다는 이유로
등록이 거부되자, 먼저 아내가 성을 ‘손(孫)’으로 바꾸고, 부부동
일성씨제도를 이용해 남편인 자신이 아내의 성씨를 따라 ‘손
(孫)’으로 변경하여 조상의 성(姓)을 유지하였다.
부부의 성씨에 대한 조사 결과(법무성)
전체/성별 결과

부부동성제도 유지

결혼 전 성씨의 통칭사용의
법제도 설치

선택적부부별성제도 도입

무응답
부부의 성씨에 대한 조사 결과(법무성)
여성의 연령대별 결과

부부동성제도 유지

결혼 전 성씨의 통칭 사용의
법제도 정비

선택적부부별성제도 도입

무응답
[부부동성제 유지 주장측] [부부별성제 도입 찬성측]

• 가족이라는 것을 생각한다면 동 • 결혼 후 여성은 성씨가 바뀌게


일한 성씨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되어 직장생활과 사회적인 대인
• 결혼한 여성이 업무상 직면할 수 관계에서 여러 가지 부담과 불편
있는 불편은 결혼 전의 성씨를 을 겪게 된다.
‘통칭(通称)’으로 사용할 수 있도 • 이러한 사회적 부담과 불편을 여
록 법을 정비하면 해결된다. 성에게만 지우는 것은 여성의 사
• 부부별성은 혼란만을 야기할 뿐, 회적 지위의 차별을 상징하는 것
성씨를 바꾼다고 여성의 평등이 이다.
신장되는 것은 아니다. • 재혼에 의해 자녀의 성씨가 바뀔
• 부부별성제가 시행될 경우, 자녀 경우, 자녀교육에 심각한 장애요
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인으로 작용한다
선택적부부별성제도 도입
선택적부부별성제가 도입되면 어떻게 하고 싶은가?(복수회답)
70

60

50

40

30

20

10

부부동성이 좋다 부부별성이 좋다 어느 쪽이라도 상관없다 모르겠다

전체 독신 기혼

자료: 일본노동조합총연합 조사
(일본 전국 20-59세 노동자를 성별, 연령별로 균등히 배분하여 1000명으로부터 회답 결과)
일본의 가족제도
• 1945년 패전 후, 민주주의적이고 평등주의적인 새로운 헌법이
도입되어 제시된 가족규범과 가족상은 서구적 근대 핵가족으로
변화하게 된다.
• 일본 가족제도 변화의 핵심은 부부를 중심으로 한 핵가족의 증
가에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전통적인 일본가족의 특질을 갖
추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예를 들면, 일본 가족의 중핵을 이루는 것은 부부보다도 자녀이
며 부부상호간의 호칭도 자녀 중심으로 불린다. 또한 ‘男性は仕
事、女性は家庭(남자는 일, 여자는 가정)’이라는 전통적인 성별
역할분업이 지배적이다.
부부의 가사/육아 분담 비율

아내 남편 10% 남편 20%
100% 아내 90% 아내 80%
자료: 内閣府
평일/주말 가사 시간의 변화 추이(성인남녀별)

성인 여성

평일 토요일 일요일

성인 남성

자료: NHK 방송문화연구소


6세 미만 자녀가 있는 부부의 1주간 평균 가사/육아 시간

남편 아내 시간. 분
2021년
부부 차이

자료: 총무성
배우자의 가사 분담 비율에 대한 만족도
(맞벌이 부부 400명)

아내의 답변

남편의 답변

만족 선택하자면 만족
선택하자면 만족하지 않음 만족하지 않음

자료: 三井住友カード, LikeU


새로운 가족 형태의 등장
• 딩크족(DINK)의 증가
• 편부모 가족의 증가
• 재혼가족의 등장
• 독신가족의 증가

✓일본사회는 이러한 가족의 변화에


대해 가족의 붕괴로 보는 경향과
가족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경향이
경합
일본인 가정의 아침식사 시간의 모습

• 사토 씨는 도쿄 도심의 회사까지 1시간


이상 걸리는 교외에 살고 있기 때문에
오전 6시에는 일어난다.
• 아내인 미도리 씨도 일찍 일어나서, 남편
과 두 자녀를 위한 아침식사를 준비한다.
• 사토 씨 가족은 통근과 통학 시간을 고려
해서 아침 식사는 대개 7시 경 시작된다.
• 사토 씨는 아침식사를 하면서 신문이나
TV로 최신 정보를 살펴보고, 일기예보를
보는 것도 일과이다.
가족이 함께 아침 식사를 하는 빈도
(18세 미만의 자녀가 있는 세대)
모름

거의 없다

자료: 후생노동성
아침식사 개시 시각(자녀의 경우)

초등학생
중학생
평일 오전 TV시청률(남녀연령대별)

자료: NHK 방송문화연구소


전통적인 일본의 아침식사
• 일본의 전통적인 조식은 흰
밥을 주식으로 미소시루(된
장국)에 생선, 낫토, 야채 조
림 등과 같은 와쇼쿠(和食)를
먹는다.
• 한편, 청소년은 계란후라이에
햄, 샐러드와 같은 서양식 메
뉴를 선호한다.
• 최근 일반적으로 조식은 와
쇼쿠보다 준비가 간단한 양
식이 많은 편이다.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록된 ‘와쇼쿠’

• 와쇼쿠(和食)
‘이찌쥬 산사이(一汁三菜)’
: 국 한 가지와 반찬 세 가지로
구성된 식사가 기본
일본 전국의 부모 대상 식사일기 조사(1730명)
(유초중고 자녀와 거주하며, 주로 가정에서 요리하는 20대 이상 여성)

조식: 6시 조식: 7시 조식: 6시 조식: 8시


메뉴: 쌀밥, 햄에그, 메뉴: 식빵, 삶은 콩, 메뉴: 카레라이스 메뉴: 식빵, 홍차
낫토, 바나나 우유, 요구르트 *중간형B *문제형으로 평가
*모범형으로 평가 *중간형A

자료: 食育活動の全国展開委託事業「食と農に関する調査」보고서
ハムエッグ(햄에그, ham and eggs의 일본어 표현 )

햄에 반숙의 달걀 계란을 곁들인 서양 요리의 하나로


일본에서 간편한 아침식사용 반찬의 정석
식생활 실태 유형별 비율(아침식사)

37
31

23

모범형 중간형A 중간형B 문제형


이찌쥬 산사이(一汁三菜)형 아침식사

빵+
와쇼쿠의 위기: 아침식사, 쌀보다 빵
• 2011년 총무성 '가계조사’ 결과, 일반 가정에서의 1년간 ‘빵 소비
금액’이 쌀을 상회하여 화제(빵 28,318엔 vs 쌀 27,428엔)
• 역사적으로 어린 시절부터 ‘빵’에 익숙한 세대가 인구의 대부분
을 차지하게 되었다는 사실 → 전후 미국의 잉여밀을 '지원'으로
받는 형태로 재개된 일본의 학교급식은 '빵'을 전제로 1954년 '
학교급식법' 성립 후에도 계승되어 1960년대 전국적으로 확대
•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에는 정부 스스로 “쌀과 야채로는
일본인의 신체는 강해지지 않는다”라고 빵이나 축산물(동물성
단백질·유제품) 등을 먹는 “음식의 서양화” 를 장려하고 추진
• 또한 일본인들도 1960년 전후부터 서양인처럼 ‘테이블’에서 ‘아
침 식사로 토스트를 먹는’ 생활을 동경하여 일본인의 식사 내용
은 크게 변화
자료: 磯部喜代子 외(2016) , パン及びご飯を主食とする食事の変遷
가계에서 차지하는 밀 관련 제품 지출

(単位: 円/世帯)

✓ 2019-2021년
(3년)
연간 쌀 지출액
평균(22,998엔)

자료: 総務省「家計調査」(全国、二人以上の世帯)
세대당 ‘와쇼쿠’ 조리용 야채/조미료 연간 소비량

배추
대파

간장
된장

자료: 岩村暢子(2013), 『日本人には二種類いる』


왜 일본의 식생활은 서양화되어 왔습니까?

답변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국으로부터의 원조를 받아 학교급식이 시
작되고, 빵과 우유로 이루어지는 학교급식은 일본인의 쌀 중심의
식습관에 큰 변화를 가져옵니다.

전후의 식생활에서는 육류와 그 가공품, 버터, 치즈, 우유, 계란


등의 동물성 단백질원이 특히 늘어났습니다.

식생활이 개선되어 식품기업이 제공하는 인스턴트 식품, 냉동 식


품, 통조림류의 보급 등에 의해 맛의 다양화가 진행되었습니다.

게다가 수입의 자유화 등이 진행되고, 일본인도 외국에 가거나


외국인도 일본에 와서 식재료나 메뉴가 국제화한 것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와쇼쿠의 위기: 식사준비의 간소화, 제각각인 식사시간

• 오늘날 일본의 가정에서는 가족 개개인의 취향이나 형편을 존중


하기 위해 식사도 가족이 서로 다른 시간에 다른 것을 먹는 경향
이 증가. 특히 아침 식사는 대부분이 가정이 그러함.
• 식사 때마다 밥이나 미소시루(된장국)를 다시 데우고, 오카즈(반
찬)를 준비하는 것이 힘들고, 게다가 늦게 귀가하거나 식사 시간
을 놓친 가족 1인분의 식사 준비(국과 반찬)는 불편.
2000년 경부터 “밥류 식사는 반찬을 준비해야하기 때문에 귀찮다”는 의견이
가정주부들 사이에서 나오기 시작

• 빵류나 준비된 소스로 조리하는 파스타, 인스턴트라면이나 우동


등의 면류, 전자레인지에 데워먹을 수 있는 냉동식품이나 피자 등
이라면 반찬 없이도 간편하게 식사 가능.
자료: 岩村暢子(2012),「コメよりパン」になった日本人の食卓
와쇼쿠의 위기: 정말 ‘쌀이 싫어서’일까?
• 일본의 ‘식(食)’ 연구가인 이와무라 노부코(岩村 暢子)의 가정의
식탁 조사(17년간 353가구, 7413식탁의 일기 기록, 13012장의 식
탁사진을 수집·분석)에 따르면, 어느 가정에서도 몇 가지 오카즈
(반찬)가 있으면 지금도 주식은 밥이며, 거기서 빵이나 파스타나
라면은 나오지 않는다고 함.
• 쌀로 만드는 ‘오니기리(주먹밥)’가 편의점의 인기 상품이거나, 외
식으로는 쌀밥이 들어간 ‘카이텐스시(회전초밥)나 ‘규동(소고기
덮밥)’이 인기인 것도 그것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분석.
당신은 ’빵파?’, ‘밥파?‘
(전국 20-60대 남녀, 1,016명 대상 조사)

자료: 青山学院大学과 기업이 지방 자치체의 컨설팅 업무의 일환으로 한 조사 결과


와쇼쿠의 위기? → 일본사회의 문화 반영
• '오니기리’, '덮밥'이라고 하면 최근에는 귀찮아서 오카즈(반찬) 만들고
싶지 않을 때, 밥은 ‘오니기리’나 ‘덮밥’의 형태가 된 것도 재미있다.
• ‘오니기리’는 단지 둥글게 할 뿐이고, 「덮밥」이라고 하더라더 먹고 싶
은 계란후라이나 낫토, 쯔케모노(야채 절임)를 다른 접시에 담은 ‘오카
즈’로 하지 않고 위에 올려놓을 뿐이다. 모든 것이 ‘계란덮밥', ‘낫토덮밥’,
‘김치덮밥’ 등이 된다. 아니, 그렇게 명명해 버리는 것이다.
• 오카즈(반찬)가 없어도 하나의 '식사'로서 허용할 수 있다는 감각이다.
• 가정에서 조리하는 밥 메뉴에서 ‘오니기리’나 ‘덮밥'이 증가하는 것도
이와 같이 '오카즈'를 준비하지 않고, 일품요리로서의 '밥'을 먹으려고
하는 고육지책이 담긴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볼 수 있다.
• 음식은 역시 그 사회의 ‘문화’인 것이다.
2주차: 일본인 가정의 하루(2)

학습목표
1. 일본인 가족의 통근과 통학 시의 이동수단 등을 통해, 그와 관련된 일
상생활의 모습을 이해한다.
2. 사토 씨를 통해 직장인의 점심식사와 관련된 일상생활을, 두 자녀를 통
해 학교급식의 모습을 살펴본다.
통근과 통학
• 아침식사를 마친 사토 씨와 두 명의
자녀들은 출근과 등교를 위해 집을
나선다.
• 수도권에 거주하는 사토 씨는 직장이
있는 도쿄의 도심으로 출근하기 위해
먼저 근처 역까지 자전거로 이동한다.
역 주변의 자전거 보관소에 자전거를
두고, 전철을 타고 회사로 향한다.
• 초등학생 자녀는 도보로, 중학생 자녀
는 자전거로 등교한다.
자전거 총 보유대수(2인에 1대)

자전거

승용차

자료: 国土交通省
자전거 방범 등록은 필수
자전거 방범 등록 카드
자전거의 사용 용도별 비율(일본인 전체)
장보기
취미
통근
사이클링
통학

자료: (財)自動車産業振興協會
통근/통학 이용 교통수단

철도/전철

자가용차

자전거

자료: 総務省
통근/통학 이용 교통수단(2종류)

2000년 2010년 2020년

철도/전철 및 자전거
역 주변의 자전거 보관 요금
도쿄 한 지역의 시영 보관소 수도권 한 지역의 시영 보관소

✓ 유료인 곳도 대부분 2시간까지는


무료
✓ 불법주차나 방치한 자전거는
지자체 등에서 수시로 수거
✓ 되찾을 때, 고액의 보관료 납부
도시권별 자전거 보관소 설치 상황

도쿄권 나고야권 오사카권 그 외 지역 합계

설치 개수

수용 능력

자료: 国土交通省
자전거의 교통분담률 비교(도쿄 VS 런던)

도보 도보
철도 철도

런던
바이크
버스 버스

바이크
자동차 자동차
도시권별 대표 교통수단 분담률
3대 도시권(수도권, 킨키권, 츄쿄권) 지방 도시권

1987

1992

1999

2005

2010

2015

2021

철도/ 버스/ 자동차/ 이륜차/ 도보 철도/ 버스/ 자동차/ 이륜차/ 도보


이동거리별 대표 교통수단 분담률
기타
철도
버스
자동차
바이크
도보
자전거
성별/연령대별 자전거 교통분담률
지역별 통근/통학 평균 소요시간(평일/왕복)

자료: 総務省
초중고 통학시간(평일/왕복)

전체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자료: NHK放送文化研究所
지역별 대학생의 통학시간(편도)

도쿄권
오사카권
그 외 지역
전국평균

자택 기숙사 하숙/자취/기타 자료: 文部科学省


지역별 대학생의 통학시간(편도 1시간 이상 비율)

도쿄권
오사카권
그 외 지역
전국평균

자택 기숙사 하숙/자취/기타
특히, 통근/통학 전철 안에서의 휴대폰 사용매너

• 통화를 하지 않는다.
• 소리를 내지 않는다.
• 만원 전철 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 “車内での通話はご遠慮ください” 라는 안내방송

“열차 내에서 통화는 삼가 바랍니다.”


직장인의 점심식사와 학교급식
• 사토 씨는 점심 시간이 되자, 평소의 도시
락이나 사원식당 대신 오랜만에 직장 근처
의 음식점에서 ‘히가와리런치(日替わりラ
ンチ)’를 먹기 위해 서둘러 사무실을 나선
다.
• 사토 씨의 두 자녀는 학교급식으로 점심을
먹는다.
히가와리런치(日替わりランチ)

런치 타임(11:00~14:00)에는 매일 메뉴를 원코인으로 제공!


매번 다른 요리를 즐길 수 있으므로 매일 방문하셔도 질리
지 않습니다. ※런치는 소진되는대로 종료하겠습니다.
자녀가 있는 직장인 아빠의 점심은 주로 어디서 무엇을 먹는가?

점심식사 장소는 주로 어디? 점심식사는 주로 무엇?

1. 회사내 책상 등 1. 도시락(지참)
2. 회사 내 식당 2. 사원식당
3. 회사 밖 음식점 3. 도시락(편의점)
4. 기타 4. 외식
5. 공원 5. 기타

자료: JOYLAB株式会社(https://joylab.jp/)
자녀가 있는 직장인 아빠는 외식으로 무엇을 얼마에 먹을까?

외식으로 자주 먹는 메뉴는? 평균 외식비는?


카레
패스트푸드
덮밥

라면
정식
직장인의 1일 평균 점심 비용(성별)

자료: 新生銀行, 직장인의 용돈 조사


직장인의 1회 평균 점심 비용 추이(남성만)
직장인의 월 평균 용돈 금액 추이(1979~2015)
1992년, 745
직장인의 월 평균 용돈 금액 추이(성별)
직장인의 1주일 평균 점심식사 형태(남성)

도시락 도시락 사원 재택
외식 배달 얻어 기타
(지참) (구입) 식당 근무
(직접 조리) 먹음
직장인의 1주일 평균 점심식사 형태(여성)

재택
도시락 도시락 사원 외식 얻어
근무 배달 기타
(지참) (구입) 식당 (직접 조리) 먹음
직장인의 점심은 절약 중시 경향
1. 집에서 지참한 도시락 2. 편의점(콤비니)이나 슈퍼마켓 등에서
구입한 저렴한 도시락

3. 사원식당 : 저렴하고 다양한 메뉴


4. 외식 자료: 온라인신문 칼럼(https://iti-inc.co.jp/sub-choice/lunch-fee/)
학교급식 실시 현황 및 월 평균 급식비

자료: 文部科学省
제각각인 학교급식 방식
자교방식 오야코방식 센터방식

선택적 배달방식

자료: 学校給食問題協議会
드라마 ‘맛있는 급식(おいしい給食)’
1965년 경 학교급식의 일례(재현)

드라마 속 학교급식의 일례
3주차: 일본인 가정의 하루(3)

학습목표
1. 일본인 가족 구성원을 둘러싼 오후의 일상을 통해 그들의 일상생활에
관련된 사회적 특징과 문화를 이해한다.
2. 일본인 가정의 저녁식사와 그와 관련된 일상을 통해 일본인의 생활습관
을 이해한다.
여성의 취업과 자녀의 방과 후 일상
• 남편과 두 자녀가 출근과 등교를 위해 일찍 집을 나가면, 아내인
미도리씨도 거주지역의 노인복지시설로 운전을 해서 서둘러 출
근한다.
• 초등학생인 딸은 학교의 ‘클럽활동’이 끝나면 피아노 학원에 간
다.
• 중학생인 아들은 희망하는 고등학교의 수험준비를 위해 방과
후에 ‘쥬쿠(학원)’으로 간다.
맞벌이 비율(전국 평균 57.59%)

자료: 都道府県別統計とランキングで見る県民性
여성의 연령대별 고용률 추이

자료: 총무성
여성 연령대별 고용률의 국제 비교(2018)
스웨덴

미국

영국

독일
OECD국가의 여성 고용률 비교(2020)
자동차 보급률(전국 평균 85.5%, 도쿄 70%)

자료: 都道府県別統計とランキングで見る県民性
2대 이상 자동차 보급률(전국 평균 40.7%)
경차 보급률(전국 평균 32.9%)
자가용을 소유하기 위해서는?
차고증명서(‘자동차보관장소증명신청서’ 제출)

차고증명취득의 4가지 조건(경시청)

주택의 주차장 설치 기준(국토교통성) ・도로는 안 됨


・자택이나 회사에서 2km를 넘지 않을 것
길이 폭
・다른 차의 통행에 지장 없이 주차할 수 있는 면적일 것
・주차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을 것
초등학생의 ‘클럽활동(クラブ活動)’
• 학습지도요령에는 '학년이나 학급의 소속을 떠나 주로 4학년 이
상의 아동으로 조직하며, 클럽을 통하여 다른 연령 집단과의 교
류를 심화시키고, 공통의 흥미·관심을 추구하는 활동을 실시하
는 것'이라고 제시
• 참여 여부는 자유이지만, 많이 아동들이 기대하고 있는 활동으
로 각자 좋아하는 것을 선택
• 체육계(육상경기, 농구, 배드민턴, 축구, 터치볼, 외발자전거, 댄
스, 장기, 바둑, 지역의 고령자에게 배우는 전통놀이 등), 문화계
(영어, 컴퓨터, 과학, 서예, 다도, 요리, 합창 등)로 구분
중고등학생의 체육계 ‘부카츠(部活動)’ 인기 종목
중학생
종목 총 부원수 여자 부원수
1 소프트테니스 306,827 163,806 고등학생(남) 고등학생(여)
2 농구 289,389 129,199 1. 축구 1. 테니스
3 탁구 242,839 83,102
4 육상 222,080 96,322 2. 야구 2. 배구
5 축구 193,692 5,894 3. 테니스 3. 농구
6 배구 188,095 139,017
4. 농구 4. 배드민턴
7 연식야구 167,475 3,302
8 배드민턴 133,661 83,102 5. 육상 5. 육상
9 검도 77,458 31,129
10 수영 45,811 16,297
자료: 온라인 기사(https://activel.jp/F33vM) 등
고시엔 출전을 목표로 하는 선수의 동경, ‘甲子園’

• 매년 3월과 8월에 고교야구 전국대회가 열


리는데, 8월은 규모가 커서 시합이 개최되는
야구장 이름을 따서 ‘여름 고시엔(夏の甲子
園)’이라고도 부른다.
• 전국의 유망 선수를 모아놓은 야구 명문 사
립고가 있는가 하면, 일반 공립고의 ‘부카츠’
야구부가 지방 예선을 통과해 본선에 진출
하는 경우도 있음
• 전국에 생중계될 정도로 대다수 일본인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음
• 왜 그렇게도 일본인들의
마음을 끌어당기는 것일까?
중고등학생의 문화계 ‘부카츠’
• ‘취주악부(오케스트라)’는 중고등학교 문화계 중에서도 뿌리 깊
은 인기를 가지고 있는 대표적 부카츠로 수업 전이나 방과 후,
주말에도 많은 연습을 하는 것으로 유명
‘전일본 취주악 콩쿠르’(고등학교부)
‘부카츠’를 하지 않는 ‘귀가부(帰宅部)’
• 고등학교에서의 수업의 진도가 빠르고, 또 과제가 많아서 부카츠에 충
당할 시간이 없다. (18세 남자·도쿄도)
• 빨리 돌아와 공부에 집중하기 위해 ‘귀가부’를 선택했습니다. 지금 생각
하면, 한 번 정도는 들어가면 좋겠습니다. (18세 남자·도쿄도)
• 공부시간을 확보하기 쉽고, 운동에 의한 피로가 적기 때문에 귀가 후에
도 공부에 집중할 수 있다. (18세 남자·야마구치현)
• 공부시간을 길게 잡을 수 있다.( 18세 여자·오사카부)
• 학교에서 뭔가 하는 것보다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하고 싶기 때문에.
(16세 여자·도쿄도)
• 자유로운 시간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추천입니다.(18세 남자·도쿄도)
자료: 온라인기사(https://shingakunet.com/journal/trend/20211206000001/)
쥬쿠(塾, 학원)
• 일본의 많은 초중고 학생은 방과 후에 학원 수강
1. 보충학원: 학교수업의 예습, 복습 중심
2. 진학학원: 명문 중학교, 고등학교 입시를 위한 심화학습
*예비고(予備校): 대입학원
3. 일반학원: 피아노, 발레, 체조, 미술, 검도, 가라데, 수영, 영어회화
• 유치원생도 명문 초등학교 입학을 위해 ‘진학학원’ 수강
공립유치원생(14%), 사립유치원생(19.4%)
초중고등학생의 보조학습비(문부과학성)
가정 내 학습 통신교육/가정교사 학원비
학원 이용자 비율
공립 사립
80
73
70.4
70

60 53.9

50
38.9 38.3
40 33.2

30

20

10

0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학원비 연간 평균 지출액(학원 이용자만)
공립 사립
50
44.7
45

40 37.5 36.3
35.6
35 32.6

30

25
20.8
20

15

10

0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3주차: 일본인 가정의 하루(3)

학습목표
1. 일본인 가족 구성원을 둘러싼 오후의 일상을 통해 그들의 일상생활에
관련된 사회적 특징과 문화를 이해한다.
2. 일본인 가정의 저녁식사와 그와 관련된 일상을 통해 일본인의 생활습관
을 이해한다.
직장인의 회식 및 가족의 저녁식사
• 사토 씨는 5시에 업무가 끝나지만, 종종 ‘잔교(야근)’을 마친 후,
동료들과의 ‘노미카이(회식)’에서 술을 마실 때도 있다. 특별한
일이 없으면 귀가해서 가족들과 같이 저녁식사를 한다. 퇴근길
에 집 부근 편의점에서 ‘칸비루(캔맥주)’를 사기도 한다.
• 아내인 미도리 씨는 가족이 다 같이 모여 저녁식사를 할 수 있
는 날의 메뉴로는 ‘스키야키’를 준비하기도 한다.
연간 노동시간 국제 비교
멕시코
콜롬비아
한국 ✓ 현재 연간 노동시간
세계 28위(1,607시간)
미국
100시간 감소
영국
뉴질랜드 ✓ 2016년
호주 22위(1,713시간)
캐나다

이탈리아
스페인
자료: OECD
일반노동자와 단시간노동자의 연간 노동시간 비교

단시간노동자

일반노동자

✓ 단시간노동자: 통상 노동시간이 주 30시간 미만인 노동자

자료: 총무성
단시간노동자의 비율
단시간노동자 비율(%)

단시간노동자 총노동시간

일본의 단시간
노동자 비율
세계 3위 수준
(OECD 통계 )

자료: 후생노동성
20-30대 정규직 근로자의 월간 평균 노동시간
(시간외 근무시간 포함)

월간 평균 노동시간

월간 240시간 이상
월간 220~240 시간
월간 200~220 시간
월간 180~200 시간
최장 월간 노동시간
월간 160~180 시간
월간 140~160 시간
월간 140시간 미만

자료: リクルート
장시간 노동이 초래하는 위험성
산재보상지급결정 건수와 과로사 건수

과로사
136건
지급 건수
총 801건

자료: 후생노동성
이직률 증가
• 장시간 노동에 의해 이직률이 높아지면 기업 존속에 큰 리스크
• 후생노동성의 ‘과로사 등의 산재보상 상황’에 따르면 정신장애에
의한 산재청구 건수는 매년 증가 경향
• 지급결정 건수 속에는 상사 등의 직위에 의한 괴롭힘, 업무 내용·
업무량의 변화 등이 많아 직장 환경에 문제가 있다고 파악
• 이것이 원인이 되어 이직률이 오르면 남은 직원이 업무를 보전해
야 하고 새로운 부담 발생
• 생산성 향상과 업무 효율성 등으로 근무시간을 줄이는 것은 물론,
직원의 정신 캐어나 일하기 쉬운 환경 조성 요구
자료: 온라인기사(https://workstyle.ricoh.co.jp/article/workingtime.html)
기업형태별 주휴 2일제 비율(후생노동성)

주휴 부분적 완전
2일제 주휴 주휴
있음 2일제 2일제

✓ 부분적 주휴 2일제: 월 3회, 격주, 월 2회, 월 1회의 주휴 2일제 등을 말함


노동자 1인 평균 연간 총 휴일수
기업형태별 ‘변형노동시간제’ 도입 비율
우리나라에서는 ‘탄력적 근로시간제’라고 함

변형노동시간제 종류(복수응답)
도입 1년 1개월 플렉스 미도입
단위제 단위제 타임제

*도입 기업 비율에는 1주일 단위의 ‘비정형적 변동노동시간제’도 포함


*1주일 단위는 근로자 30명 미만의 소매업, 여관, 요리점, 음식점에 한정
직장인의 ‘노미카이(회식)’
최근 3개월 동안 회식 참석 빈도

주1일 이상 12.7%

2-3주 1회
정도

가지 않음
월1회 정도

2-3개월
1회 정도

자료: 온라인기사(https://gallery.intage.co.jp/nomikai2017)
‘아사히신문’의 앙케트(노미카이)
• “참석은 자유지만, 원칙적으로 참가해야 하는 분위기” (제조업, 군마현, 40대 여성)
• “아이를 낳기 전에는 당연히 참가했지만, 아이가 클 때까지 회식은 힘들다. 남편
은 회식은 물론 송년회, 신년회까지 빠지지 않음” (서비스업, 효고현, 40대 여성)
• “직장의 회식은 상호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강제 참가의 유료 연수라고 받아들이
고 있습니다. 하지만, 말하고 싶은 것도 말할 수 없고, 귀가 후의 가사 시간이 없
어지기 때문에 싫습니다.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비정규직으로 급여가 낮은 형편
으로 회식비는 회사에서 처리해줬으면 좋겠습니다“ (미디어업, 도쿄, 40대 여성)
• “전혀 다른 부서의 선배들에게도 회식에서 말을 걸 수 있게 되어 사내의 인간관
계가 넓어져 일이 원활하게 진행되기도 한다. 싫었던 경험은 회식 때 상담한 사적
인 내용이 사내에 퍼진 것” (의료·복지업, 교토, 20대 여성)
• “젊을 때 싫었던 적도 있었지만, 사람과 사귀는 기본을 가르쳐 준 것처럼 느낍니
다. 지금은 관리직으로서 가능한 한 적극적으로 부하를 초대해 마시는 일이 많습
니다만, 자신이 싫었던 일방적인 강요함을 피해서 가능한 한 자유롭게 말하는 분
위기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관공서, 오사카, 40대 남성)
젊은 세대의 의식변화에 따른 회식문화 개선
• 직원 간의 교류를 위해 회식비 보조
• 직접적 상하 관계가 있는 사원 동석 금지
• 여성 직원(육아 등)을 위한 점심시간 회식
편의점 이용자의
연령대별 구성 비율

자료: 経済産業省 등
편의점 이용자의 평소 이용 빈도

거의 매일 주 3-4회 정도 주 1-2회 정도 월 1-2회 정도


자주 이용하는 편의점 위치

주택가 교외 간선도로변 역앞 회사 근처
상점가
저녁식사 메뉴(스키야키)

사토 씨가 갑자기
회사일로 늦어서
저녁식사 시간에
맞추어 집에 오기
힘들다면, 가족들
은 어떻게 할까?
남녀별 1일간 생활시간 국제 비교(주 전체 평균)

영국 프랑스 미국 독일
유상노동시간 무상노동시간
유상노동시간의 남녀비 무상노동시간의 남녀비 자료: 内閣府
4주차: 일본인 가정의 하루(4)

학습목표
1. 일본인 가정의 취침까지의 모습을 통해 일본인의 일상생활을 살펴본다.
2. 일본인 가정의 주거환경을 통해 그들의 주거와 관련된 삶의 모습 등을
이해한다.
사토 씨 가족의 저녁 생활
• 사토 씨는 일찍 퇴근하는 날에는 저녁식사 후, TV로 스포츠 등
을 시청하기도 하지만, 자기계발을 위해서 온라인으로 영어회화
를 공부하고 있다.
• 아내인 미도리 씨는 저녁의 자유시간에 유료로 한류 콘텐츠를
즐기기도 한다.
• 두 자녀는 공부가 끝나면, 각자 SNS나 유튜브를 즐기기도 하지
만, 엄마와 같이 한류 드라마를 시청할 때도 있다.
• 4명의 가족은 차례대로 취침 전에 하루를 마무리하는 목욕을 한
다.
‘학습/자기계발/훈련’의 연령대별 추이

자료: 총무성
‘학습/자기계발/훈련’의 종류(남녀별 비율)

정컴 가 영 예 자인 관상 외영 간 기
보퓨 정 어 술 연문 계업 국어 병 타


처터 과사 실 어이


가 문 관
리등 학회 무 외 계
사 화


‘학습/자기계발/훈련’의 목적별 비율
(복수응답 있음)

교양을 높이기 위해서

직장을 가지기 위해서


현재 업무에 도움되기 위해서

기타

컴퓨터 등의 가정가사 영어 예술・문화 인문・사회・ 상업실무 영어 이외 간병 관계


정보처리 자연과학 관계 외국어
남녀별 ‘취미/오락’ 종류의 비율
(복수응답 있음)

*행동자수: 9,730만명(남 5,757만명, 여 4,946만명)

*남녀 합계 5% 이상 종류

음 영 게
악 화 임
감 감
(


상 상 정
(

스 영 용
마 화 게
트 관 임
폰 이 기
등 외 등
)
)

)
파친코(パチンコ)

✓ 일본 최대의 레저산업으로 공인된 도박


✓ 서민의 취미생활
✓ 2021년 참여인구: 누적 720만명
- 1회 평균 비용: 2,960엔
- 연간 평균 비용: 94,200엔

자료: 日本生産性本部
파친코 시장 규모/파친코 영업점 추이
<여가 시장 규모>
동일본 서일본 전국



자료: レジャー白書(2022) 자료: 株式会社矢野経済研究所


주행동의 종류
1주간 ‘주행동/동시행동’
종류별 비율
총수

무상노동
통근

무상노동
식사관리

✓ 참고로 2016년 조사 집 정리, 정돈


의류 손질
1위: TV시청
개인적 캐어

2위: 컴퓨터 사용 목욕
주변 정리

아침식사
점심식사
*‘컴퓨터 사용’은 개인 PC나 스마트폰을 저녁식사
사용한 정보검색을 포함 간식

자유시간
자료: 총무성
TV시청
‘스마트폰/TV’ 사용자 비율 및 사용 시간

스마트폰 TV
평균 사용시간
사용자 비율
평균 사용시간
사용자 비율
일본 전국의 Z세대(15-25세, 6953명) 앙케트
평소 사용하는 SNS의 이용 시간(복수응답)

자료: マーケティング・リサーチ(https://neo-m.jp/investigation/3441/)
Z세대의 상담 상대(복수응답)

평소 상담하는 상대 가장 신뢰하는 상담 상대
아버지
어머니
형제/자매
친척
특히 친한 친구
친구
학급친구
인터넷상의 친구
업무/아르바이트
동료
기타
상대가 없거나
상담하지 않음
일상생활에서 ‘여유로운 시간’은 언제?(복수응답)

취침 전
통학/통근 시간

학교 쉬는 시간/업무 휴식시간
저녁식사 전후
목욕 중
일본인의 목욕문화
• 옛부터 일본인들은 따뜻하게 데워진 욕조에 몸을 담그고 하루
의 피로를 푸는 것을 중요한 일과 및 즐거움으로 여겨왔다.
• 목욕문화 발달의 배경
1. 고온다습한 기후
2. 풍부한 온천수의 존재
3. 취약한 난방구조
4. 일본인 특유의 청결지향 의식
언어에 남겨진 일본인의 독특한 목욕문화
• 고대 일본에서의 목욕은 오늘날의 사우나와 같은 ‘증기욕’을 의
미하였다. 석굴 속에 불을 지펴 돌을 달구고 여기에 해수 등을
끼얹어 증기를 발생시켜 이 증기를 뒤집어쓴 것이 시초라고 추
정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교토에는 토굴을 만들어 증기욕을 한
‘가마부로(釜風呂)’라는 것이 있었다.
• 토굴’을 뜻하는 ‘무로(室)’가 와전되어 ‘후로(風呂)’라고 불리게
된 것이 일본어에서 목욕이라는 말의 유래로 전해진다.
• 오늘날, 일본어로 ‘목욕을 하다’는 표현은 ‘お風呂に入る(오후로
니 하이루)’, 직역하면 ‘토굴에 들어가다’이다.
• 이것으로부터 일본인은 ‘더러운 몸을 씻으러 간다’는 개념보다
는 ‘따뜻한 물에 몸을 담그러 간다’는 의식이 강하다.
일본인의 독특한 목욕문화
• 일본에서는 가족이 함께 거주하는 경우, 한 번 받아둔 물은 온
가족이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욕조에 들어가기(오후로니 하이
루) 전에 반드시 몸을 잘 씻는다.
• 욕조에 들어가서도 가능한 깨끗이 사용하고, 다음 가족을 위해
물은 버리지 않는다.
• 매일 긴 시간 동안 욕조에 몸을 담그고 입욕을 즐기는 사람도
많아서, 요즘 분양하는 맨션의 욕실에는 욕조의 물을 원하는 온
도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시스템뿐만 아니라, TV를 설치
하거나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는 시설도 갖출 정도로 인기가 있
다.
4주차: 일본인 가정의 하루(4)

학습목표
1. 일본인 가정의 취침까지의 모습을 통해 일본인의 일상생활을 살펴본다.
2. 일본인 가정의 주거환경을 통해 그들의 주거와 관련된 삶의 모습 등을
이해한다.
주거 환경
• 사토 씨 가정은 4인 가족으로 안방과 작은 방 2개, 거실, 주방
등을 갖춘 집(3LDK)에 살고 있다. 도쿄뿐만 아니라, 수도권의 임
대료도 상당히 비싸서 자녀의 성장에 맞춰 역에서 조금 떨어진
곳의 맨션(マンション)을 임대하여 거주하고 있다.
• 사토 씨 부부는 앞으로 계속 임대를 할 것인지 구입을 할 것인
지 고민이다.
주거 상황
• 자가 또는 임대(월세, 전세 제도 없음)
• 아파트(アパート), 맨션(マンション), 단독주택(一戸建て)
아파트 맨션 타워맨션

• 아파트: 일반적으로 2층의 목조/경량철골조


• 맨션: 3층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주거생활 기본계획

세대인수별 주거전용면적
1인
유도거주 일반형
면적수준 도시거주형

최소거주 면적수준

【 】 안은 3-5세 유아가 1명 있는 경우

✓ 도쿄를 포함한 수도권이나 대도시권에서는 ‘최소거주 면적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주거생활을 하는 경우도 적지 않음

자료: 総務省
실제 도쿄 23구 독신여성의 주거환경 분석 기사

• 거주 면적: 23구내 거주 독신 여성 앙케트(533명)


1위: 25㎡(18.6%)
2위: 20㎡(16.5%)
최소거주 면적수준
1인 도시거주형 면적
3위: 30㎡(9.6%) 25㎡ 이상 거주자 36.6%
40㎡ 이상 거주자 3.6%
4위: 15㎡(6.0%) 25㎡ 미만 거주자 27.4%

5위: 10㎡(4.9%)

자료: FINANCIAL FIELD 編集部


한 달 평균 임대료 추이

✓ “대다수 보통 사람들은 수도권에서도 패밀리 타입으로 15만 엔 정도가 허용할 수 있는 상한이며,


지방에서는 10만 엔의 집세를 높다고 느끼는 사람도 많다”(닛케이비즈니스 칼럼 인용)
✓ 일반적인 직장인의 가계 실수입 당 월세 비율은 20% 정도(정형, ‘일본,일본인,일본문화’)
자료: 総務省
한 달 평균 임대료 추이(1973~2018년)
도쿄 23구의 ‘원룸 맨션’ 평균 시세 분석 기사
(90,300엔)

독신자 평균 월세 시세는 9만엔

• ‘원룸 맨션’(ワンルームマンション) 최고 시세
1위: 미나토구(109,000엔)
2위: 찌요다구(103,000엔) 23구내 거주 독신 여성 앙케트(533명)
3위: 시부야구(95,000엔)

• ‘원룸 맨션’ 최하 시세
1위: 가츠시카구(56,000엔)
2위: 에도가와구(59,000엔)
3위: 네리마구(63,000엔)
자료: FINANCIAL FIELD 編集部
집 안의 구조
• 일본의 주택은 기본적으로 방, 주방, 거실, 화장실, 욕실로 공간
이 구분된다.
• 방 한 칸 정도는 ‘와시쯔’(和室, 다타미가 깔린 방)로 구성되기도
한다. 와시쯔에는 침구나 의류, 또는 생활용품을 넣는 수납공간
인 ‘오시이레’(押し入れ, 벽장)가 있다.
• 일본 주택 구조의 특징으로 화장실과 욕실이 분리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도쿄 등지의 대도시는 인구밀도가 높은 만큼 주택이 좁은 편이
다. 좁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공간 배치나 수납시
설 등이 발달되어 있다.
평면도(間取り図, 마도리즈)
• 3LDK(Living room+Dining+Kitchen)
3개의 방과 거실, 식사공간 및 주방으로 구성되며, 4인 가족용의 기본적 배치

와시쯔
방 넓이를
나타내는
단위
오시이레

화장실

욕실
콤팩트 맨션(コンパクトマンション)
• ‘콤팩트 맨션’은 소형주택으로 9-15평 정도 넓이의 분양 맨션
• 기본 구조는 1K(방 하나와 주방)부터 2LDK(2개의 방과 거실, 식
사 공간이 있는 주방)
• 금액 측면에서 부담이 적기 때문에 독신자나 맞벌이면서 자녀
가 없는 부부, 어린 자녀가 있는 부부, 자녀가 독립한 후의 노부
부 등 다양한 사람들에게 선호(조영남 외, 文化で見る日本語)
✓ 1K과 원룸(1R)의 차이는?
-1K는 방과 주방이 벽이나 칸막이, 문으로 분리
-원룸은 방 안에 주방이 같이 있다는 개념으로 방과 주방의 일체화(저렴)
임대 초기 비용
• 일본에서 집을 빌릴 때, 매달 지불하는 ‘야칭(家賃, 집세) 외에 소요되는 항
목과 비용
• 보증금(敷金, 시키킹): 집세(월세)의 2개월분
입주 시 지불하고 퇴거할 때 내부가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면 그대
로 돌려받지만, 그렇지 않으면 수리비를 공제하고 반환 받음
• 사례금(礼金, 레이킹): 집세(월세)의 1-2개월분
입주 시 집주인에게 지불하는 사례금.
• 중계수수료: 집세(월세)의 1개월분
집을 소개해 준 부동산에 지불하는 수수료
• 주차비: 아파트나 맨션에 주차장이 딸린 경우, 별도로 매달 주차비 지불
• 최근에는 인구가 감소하고, 빈방이 많아졌기 때문에 보증금과 사례금이 없
거나 중개수수료를 받지 않는 집도 있으며, 처음 1-3개월분의 집세를 무료
로 해주는 물건도 나오고 있다(조영남 외, 文化で見る日本語).
자가/임대 및 자가주택 비율 추이

자가 수 임대 수 자가주택 비율 자료: 総務省


자가점유비율(자신이 소유한 주택에 살고 있는 가구)

한국

자료: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


연령대별 자가 비율 추이

집 구입 연령대의 변화

자료: 総務省
사토 씨 부부는 어떤 선택을 할까?
5주차: 일본인의 일년(1)

학습목표
1. 1월부터 2월까지의 다양한 연중행사(풍속/경축일 등)를 통해 그들의 관
습이나 관례 등을 이해한다.
2. 각각의 연중행사의 유래, 특징, 의미 등을 이해한다.
사토 씨 가족의 1월(正月, 쇼가쯔) 달력
직장의 시무(仕事始め)
산가니찌(三が日)

가족들과 하쯔모데(初詣)
간지쯔(元日, 설날)
사토 씨의 신년회(新年会)
대체 공휴일

가족들과 쇼핑몰
성인의 날(成人の日)

타카시와 에리카의
3학기 시업식

✓ 「쇼가쯔」는 일본에서 가장 큰 명절로서 본래 새해 최초의 한 달을 의미


✓ 현재는 공식적으로 「쇼가쯔」는 1월 3일까지이고, 이때 모든 관공서와 대부분의 회사는 휴일.
관공서나 기업에서의 종무/시무
초중학교의 시업식
신년회
1월의 ‘국경일(国民の祝日, 국민의 축일)’
• 1월 1일: 간지쯔(元日, 설날)
: 1949년 1월 1일부터 「그 해의 시작을 축하한다」는 취지로 시
작된 ‘국경일’. 1월 1일을 ‘오쇼가쯔’라고 부르기도 함
• 성인의 날(成人の日, 1월 둘째 월요일)
: “어른이 되었음을 자각하고, 스스로 살아가려는 청년을 축하하
고 격려한다”라는 취지의 국경일. 2000년부터 1월 둘째 월요일로
정함
✓ 「국경일」이 일요일에 해당할 때는 그 날 이후 그 날에 가장 가까운,
「국경일」이 아닌 날을 휴일로 함
쇼가쯔(正月)
• 원래 ‘쇼가쯔’는 「집에 ‘토시가미(年神, 그 해의 풍작과 자손 번
영을 가져오는 신)’를 맞이하기 위한 행사」로 가족 모두가 신을
대접하는 것으로 새해를 환영하며 새로운 일년의 건강과 행복
을 위해서 행해진다.
• 오늘날 ‘쇼가쯔’는 ‘가족 모두 신년을 축하하는 행사’라는 이미지
가 강하다.
‘쇼가쯔’의 대표 음식(1)

• 오세찌요리(おせち料理)

: 12월 말부터 하나씩 만들어 두었다가


새해 3일 동안 두고 먹는 음식으로
주로 오래 두고 먹을 수 있도록 조림
요리로 구성
: 신에게 공양하는 길조가 좋은 요리를
가족 모두 나눠 먹고 새로운 일년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
‘쇼가쯔’의 대표 음식(2)

• 오조니(お雑煮)
: 새해 첫날인 1월 1일에 먹는 찹쌀로 만
든 일본식 떡국을 말함.
: 신에게 공양했던 무, 당근 등의 채소와
떡을 넣어 만든 것으로 공양한 음식에
는 신이 머물러 있어, 그것을 먹음으로
써 신의 힘을 체내에 받아들일 수 있
다고 생각한데서 시작됨

✓ 우리의 떡국과 다른 점은 네모난 커다란 떡이 하나만 들어 있다는 점!


‘쇼가쯔’의 술

• 오토소(おとそ)
: 쇼가쯔에 마시는 술로, 특히 설날 아침
에 마시면 나쁜 기운을 밖으로 내보내
어 1년 동안의 액운을 물리치고 건강하
게 보낸다고 함
: 연소자부터 연장자 순으로 마심. 젊은
사람의 건강한 기운을 연장자가 이어
받아서 장수하기를 바라는 의미
오토시다마(お年玉, 세뱃돈)
• 설날 아침에 부모와 가까운 친척들로부터 받는 세뱃돈을 말함
• 원래 신에게 공양했던 떡을 ‘새로운 해의 혼령’이라고 생각해 가
족과 친한 사람들에게 나눠주던 것에서 유래
• 현재와 같이 현금을 건네게 된 것은 1955년 경부터라고 함.
• 고도경제성장에 따라 사람들이 도시권에 모이게 되어 집에서
떡을 만들지 않게 되었기 때문에 현금을 건네주게 된 것이라고
함.
‘오토시다마’는 얼마?

✓ 신년을 축하하는 의미에서 신권을 넣는 것이 매너!


✓ 아직 돈의 가치를 이해할 수 없는 아기나 5세 이하의 유아에게는
돈 대신 장난감이나 그림책 등을 선물하기도 한다고 함
하쯔모데(初詣)
• ‘쇼가쯔’에 그해 처음으로 신사나 절에 가서 참배하는 것으로 새해 1년 동
안 가족의 건강과 행운을 기원하는 관습
• 하쯔모데는 보통 ‘산가니찌(三が日)’, 즉 1월 1-3일 사이에 방문하는 경
우가 많다.
• 예전에는 그 해에 가장 좋다고 여겨지는 방향의 신사나 절에 참배하는 관
습이 많았지만, 오늘날에는 방향에 관계없이 유명한 신사나 절에 참배하러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오미쿠지(おみくじ)
• 참배 후에 자신의 새해 운세를 점쳐 보기도 하는데, 자신의 운세가 적힌 쪽
지를 말한다.
• 동전 몇 개를 넣고 자신의 띠에 맞추어 단추를 누르면 자동적으로 운세가
적힌 쪽지, 즉 ‘오미쿠지’가 나오는 자동판매기도 있다.
• 오미쿠지는 가지고 가도 좋고, 경내의 지정 장소에 묶어 놓아도 좋다.
후쿠부쿠로(福袋, 복주머니)
• 새해가 시작되면 백화점에서는 특별히
준비한 상품을 주로 빨간색 종이봉투에
넣어 수량을 한정하여 판매하는데, 그
것을 ‘후쿠부쿠로’라고 함
• 봉투 안에 2-3만 엔 정도의 몇 가지 물
건을 넣고, 1만 엔에 팔기 때문에 개장
전에 입구에 많은 사람들이 모임.
• 봉투 안에 제법 쓸 만한 제품들이 들어
있어서, 만약 크기가 맞지 않는 옷 등이
있다면 서로의 물건을 비교하면서 바꾼
다고도 함.
• 쇼핑몰이나 상점가에서도 다양한 ‘후쿠
부쿠로’를 한정 판매함.
성인의 날(成人の日)
• 매년 1월 둘째 월요일
• 만 20세(‘하타찌’라고 함)가 된 사람을 대상으로
성인이 된 것을 축하하는 날
• 법적으로 음주가 허용
• 부모는 이 날을 기념하여 남자에게는 양복 한
벌을, 여자에게는 양장이나 고가의 ‘후리소데’
를 선물
• 각 지자체에서는 그 지역에서 성인이 된 젊은
이들을 초대하여 성인식을 개최하는데, 최근 참
석한 젊은이들의 소란과 민폐행동으로 이 행사
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높다.
• 왜 굳이 일본에서는 ‘성인의 날’을 국경일로 정
해 축하하는 것일까?
‘쇼가쯔’의 대표적 풍물
• 쇼가쯔에는 풍작이나 가족의 건강을 가져다주는 새해의 신을
맞이하기 위한 풍물이 있다. 액운을 쫓고 신이 집을 잘 찾아올
수 있도록 하거나 신을 공양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1. 카도마쯔
2. 시메나와
3. 카가미모찌
카도마쯔(門松)
• 소나무와 대나무를 조합한 장식물로, ‘쇼가쯔’에 현관 좌우에 장식하여 신
(토시가미, 年神)을 맞이한다. 메이지유신 이후 의무교육이 시작되어 전국
적으로 보급된 까닭에 오랜 관습은 아니다. 지방에 따라 세우지 않는 곳도
있다.
• 소나무는 신이 강림하는 장소로 인간의 장수를 상징하며, 대나무는 인간의
성장을 상징한다.
시메나와(しめ縄)
• 신을 맞이하기 위한 장식으로 그 유래는 ‘일본신화’에 있는데,
신화 속에서 밧줄은 신성한 장소를 나타내는 표시로서 사용되
었다. 어느 지역에서나 흔히 볼 수 있다.
카가미모찌(鏡餅, 거울떡)
• 쇼가쯔의 신인 ‘토시가미(年神)’를 공양하는 떡
• 카가미모찌(거울 떡)라는 명칭은 고대의 청동 거울 모양과 비슷
하기 때문이다.
사토 씨 가족의 2월 달력
세쯔분(節分)

입춘(立春)

건국기념일(建国記念の日)

밸렌타인데이
(バレンタインデー)
천황탄생일(天皇誕生日)
사토 씨 조카가
지원한 고등학교의
합격자 발표일
2월의 ‘국경일(国民の祝日, 국민의 축일)’
• 2월 11일: 건국기념일(建国記念の日)
: 1967년 2월 11일부터 「건국을 기리고 나라는 사랑하는 마음
을 함양한다」는 취지로 국경일로 함. 『일본서기』에 전해오는
초대천황인 진무천황(神武天皇, 전설상의 천황)의 즉위일이 기원전
660년 1월 1일(구력)로 되어 있는데, 그 즉위 월일을 메이지시대에
현재의 양력으로 환산한 날짜가 2월 11일에 해당
• 2월 23일: 천황탄생일(天皇誕生日)
: 2020년 2월 23일부터 「천황의 탄생을 축하한다」는 취지로 국경일로

세쯔분(節分)
• 입춘(立春) 전날을 세쯔분(節分)이라고 하는데, ‘계절
(節)을 나누다(分)’라는 의미이다
• 이 날에는 귀신을 쫓아내기 위하여 ‘마메마키(豆ま
き)’라는 전통행사를 한다.
• ‘마메마키’란 “오니와 소토, 후쿠와 우치(鬼は外、福は内: 귀신은 집밖으로,
복은 집안으로)”라고 외치면서 볶은 콩을 뿌려 귀신을 쫓는 행사를 말한다.
• 이때 일본인들은 가족 모두 자기의 나이만큼 볶은 콩을 먹으며 한해에 좋
은 일이 가득하기를 기원하는 관습이 있다.
• 유명 신사나 절에서는 각 분야의 유명인이나 연예인, 스모선수를 비롯한
운동선수 등을 초대하여 경내에 모인 사람들을 향해 마메마키 이벤트를
개최하기도 한다. 세쯔분은 현대의 일본인에게 익숙한 2월의 행사다.
에호마키(恵方巻)
✓ 에도시대 말에 상인의 도시인 오사카에서 유래한 풍습이라고 알
려져 있다.
✓ 세쯔분 날 밤에 그해의 간지에 따라 길한 방위라고 정해진 방향을
향해서 소원을 빌면서 말을 하지 않고, 에호마키를 먹으면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도중에 말을 하면 복이 달아난다고 한다.
✓ 에호마키는 7가지의 복을 부른다는 의미로 7가지 재료(대표적으
로 두부, 장어, 계란, 오이, 버섯조림 등을 사용. 요즘에는 새우, 오
징어, 참치, 시금치, 당근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를 사용하는데,
‘칠복신(사업번성이나 무병장수를 가져오는 신)’에 기인한 것으로
복을 불러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1932년, 이러한 풍습에 맞춰 에호마키를 판촉하는 오사카 스시상
인조합의 벽보자료가 남아 있다. 또한 현대에는 1970년, 오사카의
김판매상조합의 광고도 볼 수 있다. 이들은 김 판매량을 늘리기 위
해 '행복을 주는 에호마키 먹기' 캠페인을 시작했다. 시내의 스시
집에 홍보 포스터를 붙이고, 에호마키 빨리먹기 대회도 열었다. 유
통업체의 마케팅 전략이 일본 사회에 새로운 명절 풍습을 만들어
냈다고도 볼 수 있다.
에호메키 판매점
세쯔분(節分) 동요: 마메마키
‘마메마키’ 이벤트
‘마메마키’ 이벤트 영상
세쯔분의 마메마키로 어떤 콩을 던지는가?
✓ 홋카이도·토후쿠(6개현) → 압도적으로 땅콩
✓ 관동 → 거의 대두
✓ 중부 → 호쿠리쿠(3개현) 이외 지역은 대두
땅콩 ✓ 킨키 → 거의 대두
✓ 쮸고쿠(5개현)·시코쿠(4개현) → 대두만

대두 ✓ 큐슈 → 미야자키·가고시마 이외 지역은 대두
발렌타인데이(バレンタインデー)
• 2월 14일의 발렌타인데이는 원래 서구에서 종교적인 문제로부터 발생하여
연인들이 서로 사랑을 맹세하는, 즉 ‘연인들의 날’로 여겨지는 데 반해, 일
본에서는 여성이 마음에 드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선물하면서 마음을 전달
하는 날로 되어 있다.
• 일본에 서구의 발렌타인데이가 처음 소개된 것은 ‘고베’의 양과자점이
1936년 외국인용 영자신문에 ‘사랑의 선물로 초콜릿을 보내자’는 초콜릿
광고였다. 이 때는 중일전쟁 중이라서 기호품의 유통은 정착하지 않았다.
• 1951년 다시 초콜릿으로 발렌타인 홍보가 시작되어 오사카의 백화점의 눈
길을 끌고, 1958년 도쿄의 백화점에서 처음 발렌타인 페어가 열리고, 또한
유명 제과업계가 ‘여성이 남성에게(女性から男性へ)’이라는 메시지도 기획
하였으며, 60년대에는 신문이나 잡지에 광고가 시작되었다.
• 70년대에는 초중고생들로부터 고백을 위한 발렌타인데이가 떠오르기 시
작하여 그 과열은 신문기사로도 될 정도였다(현재는 교내 반입 금지).
일본의 독자적인 발렌타인데이 풍습
• 70년대 후반에는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도시의 직장 여성들
이 밸런타인데이에 초콜릿을 구입하게 되면서 매출이 급등하였다.
• 80년대 초에는 ‘기리초코(義理チョコ, 의리초코)’ 문화가 탄생하자, 초콜릿
시장은 3,000억 엔을 넘는 규모가 되었다.

✓ 혼메이초코(本命チョコ)란?

• 이렇듯,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선물한다는 풍습은 일본 독자적인 문화가
되었다

1958년 발렌타인 초콜릿으로


처음 발매된 상품
일본의 국민 이벤트, 발렌타인데이의 변화
• 일본에서 발렌타인데이는 「여성이 남성에게 사랑을 전하는 날」로서 널리
인정받고 초콜릿을 건네주는 문화가 정착해 있다. 또한 회사 등에서 상사
나 동료, 그리고 친구, 부모님에게까지 전달하는 ‘기리초코’도 일반적이다.
• 그러나 최근 그 풍조는 크게 변화하고 있다. 매장에는 초콜릿을 좋아하는
남성도 늘어나고, 맛있는 초콜릿을 친한 친구끼리(여성) 교환하는 ‘토모초
코(友チョコ, 친구 초콜릿)’나 직장 여성이 평소 열심히 일하는 자신에게
포상으로서 고가의 고급 초콜릿을 구입하는 ‘고호비초코(ご褒美チョコ, 포
상초코)’ 문화도 발생하고 있다. *지분초코(自分チョコ)
• 이렇듯, 의리, 친구, 감사, 유대감 등 각각의 중심에 있는 것은 ‘사랑’으로
그 대상이 시대의 흐름과 함께 다양화되어 마음의 표현 방법도 변화해 왔
다고 말할 수 있다.
1~2월은 중고등학교 수험 시즌
(대학입시: 1월 중순부터 2월 말)

남중 여중 공학 <고등학교 입시일정>

• 사립/추천・・・1월 하순~원서제출, 2월 초순~입학시험


• 사립/일반・・・2월 중순~원서제출, 입학시험
• 공립/추천・・・1월 하순~원서제출, 2월 초순~입학시험
• 공립/일반・・・2월 중순~ 원서제출, 입학시험
합격기원
• 합격을 기원하러 신사나 절에 가는 수험생과
부모들도 많다. 가족이나 주변 친지들이 수험
생에게 오마모리(お守り, 부적)를 선물하거나
한다.
• ‘오찌루(落ちる,떨어지다)’, ‘스베루(すべる미끄
러지다)’와 같은 말은 ‘시험에 떨어지다’라는
의미를 연상케 하기 때문에 수험생 앞에서는
가족은 물론 주위에서도 사용하지 않도록 노
력한다.
• 편의점이나 마트에서는 수험 시즌에 맞춰 합 [1-2월 중 신문기사 표제어]
격을 기원하는 과자 등의 상품을 판매한다. 오마모리로 수험생 응원
• 또한 가정에서는 돈카쯔(豚カツ)를 자주 먹기 JR 나카즈역에서 무료 배포
도 하는데, 돈카쯔의 ‘카쯔’는 일본어로 ‘이기
다(勝つ, 카쯔)’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
이다.
6주차: 일본인의 일년(2)

학습목표
1. 3월부터 4월까지의 다양한 연중행사(풍속/경축일 등)를 통해 그들의 관
습이나 관례 등을 이해한다.
2. 각각의 연중행사의 유래, 특징, 의미 등을 이해한다.
사토 씨 가족의 3월 달력

사토 씨 조카의
고등학교 졸업식 히나 마쯔리(ひな祭り)

화이트데이
(ホワイトデー)

춘분날(春分の日) 봄방학(春休み)

히간(피안)

사토 씨 회사의 인사이동 공지일


3월의 ‘국경일(国民の祝日, 국민의 축일)’
• 3월 21일경: 춘분(春分の日)
: 1949년부터 「자연을 찬양하고 생물을 소중히 한다」는 취지로
시작된 ‘국경일’
3월의 졸업식(卒業式)
• ‘졸업증서’는 졸업식장에서 대부분 학생 한 명 한 명에게 직접 수여하기 때
문에 사전에 많은 연습을 함

“入退場や卒業証書の受け取り方の練習”
“입퇴장과 졸업증서 수여 방법의 연습”
졸업증서를 받는 방법(초등학생용 안내 영상)
최신 졸업식 트렌드(일본의 TV 방송)

여행 떠나는 날에
(합창곡)
단골 ‘졸업송’
졸업식 노래
• 메이지시대, 서양음악 교육을 위해 만들어진 최초의 음악교과서에 외국곡
에 가사를 붙인 ’아오게바토오토시(仰げば尊し, 존경하는 선생님)’, ’호타루
노히카리(蛍の光, 반딧불)’가 일본인들에게 익숙한 노래로 오랫동안 졸업
식에서 불렸지만, 최근 사라지거나 줄어들었다.
• 그 이유 중 하나는 졸업식의 곡 선택이
‘학생 주체’로 이루어지게 되어, 학생 측이
희망하는 유행곡을 도입하는 학교가 많아
졌기 때문이다.
초중학교의 단골 졸업식 노래

타비다찌히니(旅立ちの日に)
여행 떠나는 날에
새하얀 빛 속에 산줄기는 솟아오르고
아득한 하늘 끝까지라도 그대는 날아오를거야
한없이 푸르른 하늘에 마음을 설레고
자유를 비상하는 새여, 뒤를 돌아보지 말고
용기를 날개에 담아 희망의 바람을 타고
이 넓고 큰 하늘에 꿈을 펼치렴
졸업식 이벤트의 ‘다이니보탄(第2ボタン)’
• 동경하는 선배 교복의 ‘다이니보탄(두 번째 단추)’를 받거나 교환하는 이벤

‘다이니보탄’은 이젠 낡았다!?

“교복의 단추는
이쁘지 않아서
받아도 기쁘지 않다”
현재 여고생의 졸업식 이벤트

졸업식에서 볼 수 있는 연례 이벤트
(여고생 응답)

3. ‘다이니보탄’을 주고 받는다
졸업식 복장
히나마쯔리(ひな祭り)
• 히나마쯔리는 3월 3일, 각 가정에서 히나단(ひな壇)에 히나인형(ひな人形)
를 장식하여, 여자 아이의 행복과 건강한 성장을 기원하는 연중행사로 그
기원은 중국에서 전해진 액운을 떨쳐내는 풍습에 있다.

히나단은 5-7단으로 장식하는 대형부터


남녀 한 쌍만의 인형 등 주택사정에 따름
‘히나마쯔리’, 무엇을 할까?
• 히나인형은 보통 히나마쯔리 1-2주 전에 장식
• 장식하기 전날에는 복숭아술(桃酒)이나 히시모찌(菱餅) 등을 공양
• 조부모를 포함한 가족이나 가까운 친척, 지인들을 초대하여 식사 대접

적색: 액막이
백색: 장수
녹색: 건강

• 요즘은 핵가족화와 주택환경의 변화로 히나인형 장식, 가족만의 축하, 조


부모를 초대한 식사, 스튜디오 촬영 등 다양한 방법을 조합/선택하여 히나
마쯔리를 보냄
화이트데이(ホワイトデー)
• 일반적으로 발렌타인데이에 초콜릿을 받은 남성이 그 답례로 사탕, 마시멜
로, 화이트초콜릿 등의 선물을 여성에게 주는 날로 일본에서 만들어진 이
벤트
• 화이트데이의 유래는 여러 설이 있지만, 점차 발렌타인데이가 일본에서 정
착해가자 유통제과 업계에서, 받은 선물에 대해 ‘돌려주는 날’을 만들자는
방안이 제기되어 ‘화이트데이(ホワイトデー)’ 라는 이름으로 탄생하게 된
것은 분명한 것 같다.
• 즉, 화이트데이는 ‘받은 선물에는 반드시 답례를 한다’는 일본문화(의리와
인정을 소중히 여김)에 토대를 둔 소위 ‘비즈니스 문화’가 아닐까?
• 한국이나 중국, 대만 이외의 세계 각국에서는 이러한 풍습을 볼 수 없다
‘화이트데이’에 대한 앙케트(답례 측)

화이트데이에 대한
의견, 의식, 행동 조사
‘발렌타인데이 때 초콜릿을 준
상대방에게만 보낸다’

자료: ネットリサーチ Myvoice


춘분날(春分の日)
• ‘춘분날’은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날로, 봄의 도래를 축하
하는 날
• 이 날을 전후로 3일간을 불교사상에 토대를 둔 ‘히간(彼岸, 극락
왕생의 시기)’이라고 해서, 일본에서는 조상의 명복을 빌고 감사
하는 마음을 전하기 위해 ‘하카마이리(墓参り, 성묘)’를 하는 날
기업의 인사이동
• 인사이동이란 회사의 명령으로 직원의 근무지나 지위, 근무형태가 바뀌는
것(부서이동, 전근, 승진 등)
가족과 떨어져 단신으로 임지에 가서,
 단신부임(単身赴任): 지방근무 거기서 생활하는 노동 형태

• 인사이동은 시기가 정해진 것은 아니고, 1년 내내 실시된다.


• 다만, 일본 기업의 경우, 일반적으로 인사이동이 많은 것 시기는 결산이 있
는 회계연도 말의 전후가 된다.
• 따라서 일본의 기업에서는 3~4월에 인사이동이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사토 씨에게는 어떤 인사이동이 있을까?


초중고 봄방학(春休み) 일정(관동/관서)
사토 씨 가족의 4월 달력

‘회계연도’의 시작일

빵의 날(パンの日) 미도리 씨 조카의


중학교 입학식

가족끼리 ‘쇼와의 날’(昭和の日)


하나미(花見)
4월의 ‘국경일(国民の祝日, 국민의 축일)’
• 4월 29일: 쇼와의 날(昭和の日)
: 2007년 4월 29일부터 쇼와 천황의 탄생일에 해당하는 이 날을
「격동의 세월을 보내고, 부흥을 이룬 쇼와의 시대를 돌아보고
나라의 장래를 생각한다」는 취지로 ‘국경일’로 함
회계연도 시작일(4월 1일)
• ‘회계연도’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세입·세출을 구분하기 위
하여 설정되는 일정한 기간
• 회계연도의 시작은 나라마다 다른데, 일본은 4월 1일부터 다음
해 3월 31일까지
• 일본에서 회계연도는 1886년에 시작되었는데, 당시 세계 최고
의 경제력을 자랑하던 영국은 일본에 중요한 나라였기때문에
영국의 회계연도를 따랐다고 알려짐
• 외국의 경우 한국과 같은 1∼12월제(프랑스·독일·이탈리아·스페
인·멕시코 등), 4∼3월제(영국·인도·덴마크 등), 7∼6월제(호주·이
집트·스웨덴·필리핀 등), 10∼9월제(미국·태국 등) 등 다양
4월의 입사식(入社式)
• 기업이 신입사원을 정식으로 맞이하기 위한 의식
• 해당 회사의 일원으로서의 자각을 갖게 하는 등의 목적으로 행해진다.
일본의 각 기업에서는 매년 4월에 개최
• ‘신졸일괄채용’을 기본으로 하는 일본 기업의 독특한 풍습
 신졸(新卒)은 신규졸업자의 약칭으로 이듬해 3월 말에 졸업예정으로 취업활동을 하는
학생을 말함.

• 내정식(内定式)
기업이 입사가 정해진 입사 예비자(내정자)를 졸업
전에 미리 모아 경영진과 임원 등 회사관계자가 대면
하는 의식
신입사원 기념촬영
4월의 입학식
• 일년의 시작은 새해인 1월이지만, 학교나 회사 등 일본인의 삶에 관
련된 다양한 장면에서 새해가 시작되는 첫 달은 4월
• 원래 일본에서 에도시대나 메이지시대에 교육기관의 입학시기는 따
로 정해져 있지 않음
• 하지만, 일본에 ‘대학’이 만들어지면서 외국의 학제를 따르자, 모든
교육기관은 9월부터 다음해 8월까지를 한 단위로 함
• 한편 메이지시대(1886년)에 ‘회계연도(4월~3월)’의 시작에 따라 그에
통일하여 많은 공립학교가 4월부터 3월까지로 점차 변경
• 따라서 입학식은 자연스럽게 4월로 정착
• 최근 서구를 따라 9월 입학으로 변경하자는 움직임도 있으나, 일본에
서 입학식과 졸업식은 ‘벚꽃의 계절’이라는 이미지가 정착되어 있어
서 9월에 입학하고 8월에 졸업하는 것은 상상하게 힘들 수도…
지역별 입학식 일정
국립대학의 입학식/졸업식의 국기게양 및 국가제창 현황

주권재민의 일본헌법
국기게양 국가제창 에는 적합하지 않기
실시함 실시안함 때문
대학의 입학식/졸업식의 국기게양/국가제창에 관한
문부성 대신의 발언 철회를 위한 일본 헌법학자 기자회견

• 대학의 국기게양, 국가제창을 어떻게 할지 결정할 권한은 각 대학에 있다.


각 대학이 결정한 사항을 문부성 대신(교육부 장관)은 수용해야 한다.
• 결정에 대한 장관의 비난은 대학의 자치와 학문의 자유를 보장하는 헌법
23조에 반하는 것이다.
• 정치권력이 대학의 자치적 결정과 연구자의 학문내용에 간섭할 때, 그 사
회는 잘못된 길을 내달릴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 민감하게 대응
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하나미(花見, 꽃놀이)
• ‘하나미’란 꽃, 특히 벚꽃을 구경하면서 야외에서 음식을 먹고 즐기는 것을
말하는데, 봄에 가장 인기 있는 풍습 중의 하나다.
• 벚꽃이 피는 3~4월에는 일본 각지에서 가족이나 친구, 회사의 동료들이
벚나무 아래에 모여서 도시락을 펼쳐 놓고, 술을 마시거나 노래를 부르는
광경을 볼 수 있다.
• 이러한 ‘하나미’가 활발해진 것은 에도시대 무렵부터라고 한다.
• 꽃구경을 하는 데는 부자나 가난한 사람이나 다를 게 없으며, 각각 무리를
지어 도시락을 가지고 나가서 먹고 마시고 떠들썩하게 즐긴다. 평소 사농
공상이라는 엄격한 신분사회 속에서 생활하던 서민들에게 ‘하나미’는 속박
에서 벗어나 기분전환을 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다. 지금도 그것은 변함
이 없다.
• 예를 들어, 회사의 상사나 부하를 가리지 않고 신나게 마시고 떠들썩하게
노는데, 때로는 술기운에 싸움이 시작되어 커다란 소동이 벌어질 때도 있
다.
메이지시대의 ‘하나미’ 풍속화로부터
 「도쿄 풍속사」에 의하면, 메이지
33년(1900) 4월 15일 일요일의
무코지마의 하나미에서는 주취
자 205명, 싸움 96건, 부상자 6명,
미아 14명을 기록.
 꽃을 보거나 소란을 구경하거나
또는 그 소란을 즐기는 사람도
있었다고 기록

현재도 하나미 중, “음주에 의한 민폐행위(싸움·고성방가·길가 취침 등)


이 다발하고 있습니다. 지나친 민폐행위를 했을 경우는 경찰에 통보되
는 일도 있습니다. 절도 있는 음주를 하고, 주위 사람들도 하나미를 즐
길 수 있는 환경 만들기에 유의합시다”라고 안내한다.
일본 전국 벚꽃 개화 예상 예보

벚꽃 개화예상
 삼부자키: 30% 피었을 때
 고부자키: 50% 피었을 때
 만카이(滿開): 100%
‘하나미’ 시즌의 일반적인 풍경
바쇼토리(場所取り, 자리잡기)

<하나미 자리잡기 매너>


 통로상의 ‘장소잡기’ 금지
 사람 없는 ‘장소잡기’ 금지
‘하나미’로 인한 일탈
‘하나미’ 앙케트(전국 7만 3천여 명 응답)

올해 하나미는 몇 번 가고 싶은가? 자주 보는 매너 문제는?

고성
방가

자료: ウェザーニュース
빵의 날(パンの日)
• 일본에 빵이 전해진 것은 전국시대이며, 기독교가 금지되고 나서는 나가사
키에서 서양인들을 위해 만듦
• 일본인을 위해 빵이 만들어진 것은 1840년 중국에서 일어난 아편전쟁이
계기로 에도 막부는 외국군의 공격에 대비하여 군용 휴대식량 개발을 명

• 1842년 4월 12일 휴대와 보관이 편리한 군용 빵을 처음으로 구움
• 1982년 일본의 ‘빵보급협회(パン食普及協議会)’는 4월 12일을 기념하여
‘빵의 날’을 만듦
• 현재 전국의 빵집은 매월 12일을 빵 서비스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이벤트
와 캠페인을 실시
• 일본의 대표적인 빵이라고 할 수 있는 단팥빵은 1847년에 등장하였으며,
이후 앙팡(팥빵), 카레방, 크림빵, 코로네, 각식빵, 야키소바빵, 멜론빵 등 일
본인의 식문화나 기호에 맞춘 독자적인 빵 문화 탄생
앙팡만(アンぱんマン)
7주차: 일본인의 일년(3)

학습목표
1. 5월부터 6월까지의 다양한 연중행사(풍속/경축일 등)를 통해 그들의 관
습이나 관례 등을 이해한다.
2. 각각의 연중행사의 유래, 특징, 의미 등을 이해한다.
사토 씨 가족의 5월 달력
녹색의 날(みどりの日)

골든위크
헌법기념일(憲法記念日) (ゴールデンウイーク)

어린이날(こどもの日)
어머니날(母の日)
5월의 ‘국경일(国民の祝日, 국민의 축일)’
• 5월 3일: 헌법기념일(憲法記念日)
: 1949년 5월 3일부터 「’일본국헌법’의 시행을 기념하여 나라의
성장을 기한다」는 취지로 시작된 ‘국경일’
• 5월 4일: 녹색의 날(みどりの日)
: 2007년 5월 4일부터 「자연을 즐김과 동시에 그 은혜에 감사하
고 풍요로운 마음을 기른다」는 취지로 시작된 ‘국경일’
• 5월 5일: 어린이날(こどもの日)
: 1949년 5월 5일부터 「아이의 인격을 존중하고, 아이의 행복을
도모하는 동시에 어머니께 감사한다」는 취지로 ‘국경일’로 함
일본의 헌법
• 현재의 ‘일본국헌법(日本囯憲法)’은 미점
령기인 1946년 11월 3일에 제정・공포되
고, 1947년 5월 3일부터 시행
•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한 일본은 천황
의 통치를 중심에 둔 이전의 ‘대일본제국
헌법’을 폐지하고 새로운 헌법을 제정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일본국헌법(日本囯憲法)
• 신헌법인 ‘일본국헌법’의 제정을 통해 일본은 평화롭고 민주적
인 국가가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 신헌법은 전문(前文)과 본문 11장 103조로 구성
• 전문에는 신헌법의 기본정신 제시
“일본국민은 정부의 행위에 의해 다시는 전쟁의 참화가 일어나
지 않도록 할 것을 결의하고, 여기에 주권이 국민에게 있음을
선언해 이 헌법을 확정한다“
일본국헌법의 3원칙
• 민주주의
제1조
천황은 일본국의 상징이며 일본국민 통합의 상징이고, 이 지위는 주권을 가지는 일본국
민의 총의에 근거한다.
• 평화주의 육해공군 및 그 밖의 전력을 보유하지 않으며,
제9조 국가의 교전권을 인정하지 않는다
일본국민은 정의와 질서를 기조로 하는 국제평화를 성실히 희구하고, 국권을 발동하는
전쟁과 무력에 의한 위협과 무력행사는 국제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영구히 포기한다.
• 기본적 인권 존중
제11조
국민은 모든 기본적 인권의 향유를 방해받지 않는다. 이 헌법이 국민에게 보장하는 기
본적 인권은 침해할 수 없는 영구한 권리로서 현재 및 장래의 국민에게 부여한다.
헌법 ‘제9조’를 둘러싼 개정 논쟁
• 이 조항은 오랫동안 일본국민의 지지를 얻어 군국주의화를 저지하는 역할
을 담당
• 미점령이 끝나자 보수 세력들은 신헌법이 미점령군의 강요에 의해 만들어
진 것이라고 비판하면서 헌법개정운동을 전개
• 그러나 이러한 시도에 대해 유권자들은 국회의원 선거를 통해 헌법개정
기도를 좌절시켜옴(항상 호헌세력에 1/3 의석을 줌)
• 그간 국내외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일본사회에서 개헌논의는 항상 쟁점이
되어 왔지만, 현재까지 1946년 ‘일본국헌법’이 제정된 이래 한 번도 개정된
적은 없음

최근 일본사회의 전반적인 보수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앞으로 일본인들은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
최근 주요 언론사의 헌법개정 여론조사 결과

아사히 신문 요미우리 신문

마이니치 신문
최근 국회의원 선거 결과: 개헌 적극 세력 2/3 의석

참의원 선거 결과에 대한 여론조사

개헌을 위해서는,
「참의원, 중의원
2/3 이상 찬성」으
로 국회가 발의해
국민투표로 과반
수의 찬성이 필요

양원제
중의원 - 참의원
좋았다 좋지 않다
자료: 朝日新聞の世論調査
헌법 제9조 개정에 대한 여론조사

✓ 이전 조사보다
찬성 18% 증가 전체
✓ 찬반 비율 역전
남성

여성

찬성 반대

“육해공군 및 그 밖의 전력을 보유하지 않는다” 등의 헌법 9조 1항, 2항은 유지하고,


“자위대의 존재를 명기한다”는 안에 대한 찬반 여론조사
헌법 제9조 개정에 대한 여론 추이

개정 불필요

개정 필요
이번 선거를 통해 가장 바라는 정책

전체

자민당 지지층

물가대책 경제/고용 사회보장 헌법개정

외교/안전보장
어린이날(こどもの日)
• 5월 5일은 예로부터 ‘단오의 절구(端午の節句)‘라고 해서, 남자
아이가 강하고 늠름하게 성장하기를 기원하는 날이었는데, 194
8年 제정된 국경일법(国民の祝日法)에 의해 남녀의 구별 없이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기원하는 축일로서 ’어린이날(こどもの
日)‘로 함
남아의 성장을 남녀를 구분하지 않고
함께 축하하는 날
(전후, 남녀의 평등한 사회 목표)
축하하는 날

• 당초, ‘어린이날’을 ‘히나마쯔리’의 3월 3일(‘桃の節句’ 라고도


함)이나 학기가 시작되는 4월 1일로 하는 방안이 있었지만, 3월
3일은 홋카이도 등지에서는 추위가 심하고, 4월 1일은 만우절과
겹쳐서 메이지시대 이후 공휴일에서 사라진 ‘단오의 절구’였던
이 날을 추천하여 5월 5일을 ‘어린이날’로 정했다고 함
단오의 절구(端午の節句)
• 예로부터 ‘단오의 절구’인 5월 5일에는 남자아이가 있는 집에서
는 투구나 5월인형(五月人形), 코이노보리(こいのぼり)을 장식한
다.
골든위크(ゴールデンウイーク)
• 4월 하순에서 5월 상순에 걸쳐서 공휴일이 많은 시기를 말함
• 직장인들은 평일에 유급휴가를 얻으면 장기휴가도 가능
• 일본 정부 차원에서도 경제 활성화를 위해 기업 등에 휴가를 장려
어머니날(母の日)
• ‘어머니날’은 매년 5월 둘째 일요일
• 미국에서 일본으로 전해진 것으로, 메이지시대(1868-1912) 말 무렵 기독교
행사로서 최초의 ‘어머니날’ 행사가 개최
• 1936년 제과업체(모리나가 제과)가 중심이 되어 각 단체의 협력을 얻어
‘어머니날’을 전국으로 확대시키기 시작

1937년 5월 8일(토)~9일(일)
제1회 ‘모리나가 어머니날 대회’ 개최

당시 신문기사

• 1947년 미국을 따라 5월 둘째 일요일을 ‘어머니날’로 정함


사토 씨 가족의 6월 달력
요코하마 개항 기념일
코로모가에(衣替え)

‘요코하마 개항 축제’ 구경

화과자의 날(和菓子の日)

아버지날(父の日)

사토 씨 부부의 보너스
6월의 코모로가에(衣替え)
• ‘코모로가에’는 계절의 변화에 맞춰 옷을 갈아입는 것으로 원래 궁중행사로 시작
• 현재는 무엇을 입든 자유이지만, 일본의 전통복식인 ‘와후쿠(和服)’는 지금도 이
습관이 엄격하게 지켜지고 있다. 6월 1일부터는 ‘히토에(単衣, 홑옷)’, 10월 1일부
터는 ‘아와세(袷,겹옷)’로 정해져 있다.

• 학교나 관공서, 은행 등 교복이나 제복, 근무복을 착용하는 곳에서는 6월 1일부


터 하복으로 갈아입는 ‘코모로가에’를 한다.
아버지날(父の日)
• ‘아버지날’은 매년 6월 셋째 일요일
• 일본에 ‘아버지날’이 도입된 것은 1950년대 무렵으로, 당시는 인지도가 낮
았으며 현재와 같이 일반적인 행사로 퍼진 것은 1981년부터이다.
• 특히 1980년대에 백화점 등이 ‘어머니날’과 마찬가지로 판매전략의 일환으
로 ‘아버지날’을 이벤트화 한 것도 ‘아버지날’이 일본 각지로 퍼지는 계기가
되었다.
• 아버지날에는 ‘노란 장미’를 선물하는 하는 풍습이 있는데, 이는 ‘일본 파더
스데이 위원회’에서 개최하는 ‘아버지날 노란 리본 캠페인’의 영향이 크다
고 한다. 이 캠페인에서는 매년 사회 저명인사 가운데 ‘멋진 아빠’를 선정
하여 노란 리본을 달아주거나 노란 장미를 증정하기 때문에 ‘아버지날’에
는 어머니날과 달리 노란 장미로 정착되었다고 한다.
• 노란 장미에는 ‘헌신’, ‘상쾌’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다.
요코하마 개항 기념일
• 에도시대(1603~1868), 막부는 일부 지역(나가사키, 대마
도 등)을 제외하고는 외국과의 교류를 금지하고 있었다.
• 1853년 6월, 미국의 페리 제독이 이끄는 함대가 일본으
로 와 개항을 요구하고 1년 간의 유예기간을 주었으나,
6개월 후인 1854년 1월 다시 내항하여 도쿄만 앞바다까
지 와서 요코하마항에 정박
• 페리 제독은 막부에 강하게 개항을 요구하고, 1854년 4
월에 ‘미일화친조약’을 맺는다.
• 1858년에는 미국, 네덜란드, 러시아, 영국, 프랑스와 수
호통상조약을 맺고, 요코하마는 1859년 6월 2일 국제무
역항으로 개항
• 이상이 지금의 요코하마 개항 축제의 뿌리가 된 ‘요코하
마 개항 기념일’이 만들어진 역사이다.
‘요코하마 개항 축제’ 및 요코하마의 풍물

✓ 개항이 되자 요코하마에는 서양문화나 풍습뿐만 아니라 식재료나 상품 등


많은 문물이 유입되고, 현재도 서양식 건축물 등 일본에서는 최초의 것들
이 많이 남아 있다.
✓ 최근, ‘요코하마 개항 기념일’에 요코하마시립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는
휴교일로 정해짐
✓ 해산물 도리아’나 ‘나폴리탄’, ‘카레’ 등 요코하마 발상의 메뉴도 다수
도리아(Doria)
• ‘도리아’는 필라프 등 쌀밥 위에 크림 소스를 덮어
오븐에서 구운 요리로 양식의 하나.
• 지금은 일본 전국에서 양식의 단골 요리로, 새우
와 오징어를 넣은 것은 ‘해산물 도리아’, 닭고기
를 넣은 것은 ‘치킨 도리아’, 카레를 사용한 것은
‘카레 도리아’라고 불리는 등 재료와 소스에 따라
다양한 메뉴가 있다.

• 현재 ‘시푸드도리아’의 원형은 1930년 경 요코하


마의 한 호텔에서 최초로 개발한 메뉴로 당시 호
평이었던 이 요리는 "Shrimp Doria"(새우와 밥의
혼합)"
나폴리탄(ナポリタン)
• ‘나폴리탄’은 토마토 케첩으로 양념해서
조리한 일본 독자적인 스파게티 요리
• 전후, 요코하마의 한 호텔에서 고안된 양
식으로 일본의 남녀노소에게 사랑받는 클
래식한 파스타 요리
• 스파게티의 본고장 이탈리아 나폴리에는
‘나폴리탄’이라는 요리가 없다.

✓ 나폴리탄은 이탈리아 나폴리 발상의 파스타인가?


정답률
정답은 [×]
카레(カレー)
• 요코하마는 일본에 있어서의 카레 발상지
• 미일수호조약에 체결된 다음해인 1859년 요코하마를 통해 일본
에 카레 요리가 전해짐
화과자(和菓子)
화과자의 날(和菓子の日)
• 국가에서 정한 기념일 외에 기업이나 단체에서 만든 기념일도 많이 있는
데, ‘화과자의 날’도 그 하나로 1979년 ‘전국화과자협회’에서 만든 기념일
이다.
• ‘화과자의 날’이 만들어진 유래는 다음과 같다. 헤이안시대(794-1192)의 중
기 무렵, 역병이 만연하여 천황의 연호를 바꾸었다.
• 연호를 변경한 첫 해에 액막이와 건강을 기원하면서 궁중에서 16개의 과
자와 떡을 신에게 바치는 의식이 행해졌다.
• 이것을 기원으로 매년 6월 16일 일반인도 과자를 먹는 풍습이 생겼으며
에도시대까지 지속되었으나, 메이지시대에 신에게 바치는 의식을 폐지하
였다.
• 현대에 들어와 역사 속에서 태어난 화과자 문화와 일본의 식문화를 후세
에 남기기 위해 새롭게 기념일로 정하였다.
해외출장 시 방문처에 건네는 ‘오미야게’

자료: NTTコム オンライン・マーケティング・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6월 보너스(ボーナス, 상여/특별수당)
• 일본의 민간기업에서는 여름과 겨울의 연 2회 지
급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여름은 6월 하순~7월
상순, 겨울은 12월 중순으로 정해진 경향이 있다.
• 보너스의 지급일은 기업이 독자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 급여일과는 다른 날로 설정하고 있는 기업
이 많다.
• 일본 최초의 보너스는 1876년 ‘미쯔비시상회(三菱商会)’에서 지급하였는
데, 외국과의 경쟁에서 이겨 급성장한 것은 사원이 노력한 덕분이라는 의
미로 지급했다고 한다. 이 때 ‘상여(賞与)’라는 말이 처음 사용되었다.
• 국가 공무원의 보너스 지급일은 ‘인사원’ 규정에 따라 여름은 6월 30일,
겨울은 12월 10일로 정해져 있다. 지방공무원의 경우는 각 지자체의 조
례에 의해 지급일이 정해져 있는데, 기본적으로 ‘인사원’ 규정의 지급일
에 맞추고 있다.
기업 규모별 보너스 평균 지급액

✓ 건강보험료(도쿄도의 경우 4.92%), 후생연금보험료(9.15%), 고용보험료(일반사업 기업은


0.30%, 건설사업 기업 등은 0.40%), 소득세(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4.5%), 개호보험
료(40-64세)

자료: 후생노동성
업종별 평균 보너스
지급액
실수령 보너스는 얼마?
• 30대/싱글
• 보너스: 380,000엔
*최종 보너스 수령금액은
• 전월 사회보험료 공제 후 급여: 28만엔
사회보험료(54,607엔)와
• 사업장 소재지: 도쿄
• 건강보험조합: 협회 건강보험 가입
소득세(19,933엔)를 공제한
• 사업내용: 일반사업
‘305,460엔’

• 건강보험료: 380,000엔×4.92%=18,696엔
• 후생연금보험료: 380,000엔×9.15%=34,770엔
• 고용보험료: 380,000엔×0.30%=1,140엔
• 소득세=(380,000엔–54,606엔)×6.126%=19,933엔
신입사원 1년차는 보너스가 아니라 ‘촌지’
• 産労総合研究所(산업노동종합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83.3%
의 회사가 신졸입사의 직원에게 일시금의 형태로 여름 보너스
지급일에 주었다고 응답
• 신졸사원에 대해서는 ‘촌지(寸志)’라는 형태로 수만 엔이 지급되
는 케이스가 많다.
• 본래는 ‘조금의 감사(ちょっとしたお礼)’라는 의미로 통상의 보
너스 만액만큼의 금액은 기대할 수 없다.
• ‘촌지’는 일반적으로 1만 엔~10만 엔 미만
•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급액의 평균은 대졸 91,117엔, 고졸
73,236엔
보너스 사용 예정 용도(복수응답)
그 밖의 4% 미만 항목으로
✓ 취미/오락 서비스 저축
✓ 자동차/오토바이 관련
✓ 식품/식료(술 포함) 대출금 변제
✓ 취미/오락 용품 구입
✓ TV/스마트폰/노트북 구입 국내여행
✓ 주택수리
✓ 가구/인테리어 외식
✓ 금융상품 투자
✓ 해외여행 생활가전(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 미용관련(화장품 등)
의복, 신발, 패션잡화
✓ 장신구류(시계, 반지)
✓ 정하지 않았음: 13.1% 교육, 교육관련(자격취득, 자기계발 등)
✓ 보너스 없음: 35.5%
자료: 消費者厅
연령대별 보너스 사용 용도(복수응답)

저축

대출금 변제

국내여행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