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8

인도네시아

음식문화
첸다나 – 20228821
01
자연환경
• 17,508 개의 섬을 가진 세계에서 가장 큰 군도
국가이다 .

• 열대 기후와 높은 습도를 가지고 있다 .

• 기온은 연평균 섭씨 23 도에서 28 도이다 .

• 우기와 건기의 두 계절이 있다 .

• 시간대를 기준으로 서부 , 중부 , 동부 등 3 개
지역으로 나뉜다 .

• 6 개의 큰 섬 , 즉 수마트라 , 자바 , 칼리만탄 ,
술라웨시 , 말루쿠 , 파푸아 섬이 있다 .
02
사회환경
• 인도네시아는 1340 개 이상의 부족이 있으며 ,
대부분 언어와 방언을 가지고 있다 .

• 자바인과 순다인이 두 개의 가장 큰 민족으로


전체 인구의 40.05%, 15.50% 를 차지한다 .

• 각 민족은 다양하고 독특한 특색을 지닌 고유의


향토 음식을 가지고 있다 .

• 인도네시아의 요리 발전은 세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 (1) 독창적 단계 , (2) 다문화적 단계 , (3)
현대적 단계 .
동창적 단계
• 초기 단계는 칼리만탄의 힌두쿠타이 왕국 (
기 원 전 400 년 ) 부 터 서 자 바 의 이 슬 람 반 텐
왕 국 ( 기 원 전 1156 년 – 1580 년 ) 까 지
인도네시아의 대왕국 시대에 일어났다 .

• 이 기간 동안 , 다른 나라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음식 활동 .

• 요리 재료는 주변의 천연 자원으로부터


수집되며 조리 기술은 간단했고 손으로 만든
나무나 돌로 만든 조리기구를 사용했다 .
페페스 (pepes) 는 향신료를 곁들인 생선찜 요리로 ,
• 이 기간 동안 가장 인기 있었던 요리는 바나나 바나나 잎에 음식을 싸서 싸먹는 요리이다 .
잎에 싸서 쪄서 먹는 것이었고 , 주 재료는 쌀과
카사바였다 .
다문화적 단계
• 두 번 째 단계는 유럽 , 인도 , 중동 , 중국의
무역업자들이 가져온 요리 예술의 영향을
특징으로 한다 .

• 유럽 무역업자들은 16 세기에 인도네시아에


와서 향신료 ( 육두구 , 정향 , 후추 등 ) 가 있는
지역을 통제하려고 했다 .

• 포르투갈인들은 1512 년에 먼저 도착했지만 곧


스페인 , 영국 , 그리고 마침내 지배적인 선수가
된 네덜란드인들이 뒤따랐다 .
Rijsttafel(‘ 밥상’은 밥의 중심 접시와 함께 식탁 위에
• 네덜란드가 300 년 이상 인도네시아를 식민지로 제공되는 많은 음식 ) 은 오랫동안 인도네시아에서
삼았기 때문에 네덜란드 문화는 인도네시아의 식민지 식사의 중요한 상징으로 인기가 있었다 .
음식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다문화적 단계
• 현지인과 이민자 사이에 음식을 준비하고 ,
조리하고 , 선보이고 , 소비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점에서 식민주의와 이주의 영향으로서
문화적 동화가 있었다 .

• 인도의 영향은 정향과 육두구를 사용한 카레


고기와 야채와 같은 수마트라 요리에서 주로 볼
수 있다 .

• 사 타 이 (satay), 꼬 치 고 기 는 인 도 네 시 아
음식문화에 대한 아랍의 영향의 예이다 .
사타이 (satay)
• 중국 요리의 영향력은 현지인의 취향과 관습 ,
재료에 맞게 변형된 수백 가지의 인도네시아
음식에서 볼 수 있다 .
다문화적 단계
• 무역 기간 동안 힌두교 , 불교 , 기독교 , 그리고
결국 이슬람교가 인도네시아로 유입되었다 .

• 이러한 종교가 현지인들에게 소개된 것은 음식


문화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 나시툼펭쿠닝 (nasi tumpeng kuning) 는 고대


힌두교 신앙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

• 이 음식은 노란색을 띤 원뿔 모양의 큰 찐 쌀로


강황과 풍부한 고명을 가지고 있다 .

• 그 모양은 메루라고 불리는 신화 속의 힌두 산을 나시툼펭쿠닝 (nasi tumpeng kuning)


상징합니다 . 노란색은 힌두교의 네 가지 신성한
색 중 하나로 , 왕족과 숭배의 색이다 .
다문화적 단계
• 인도네시아 음식 문화에 대한 종교적 영향의 또
다른 증거는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고기에서 찾을 수 있다 .

• 인도네시아 인구의 대다수는 이슬람교도이며


종교적인 믿음의 일부로 돼지고기를 먹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

• 닭고기와 쇠고기는 인도네시아 요리에서 가장


흔한 고기 중 하나이다 .

• 반대로 인구의 90% 가 힌두교인 발리에서는


바비굴링 (Babi Guling, 젖먹이 돼지 ) 은 불에 구운
쇠고기를 먹지 않는다 . 통돼지이다 . 쌀 , 야채 , 향신료는 돼지의 몸에
들어간다 .
• 대신에 , 돼지고기는 종종 많은 발리 전통
음식에서 발견된다 .
현대적 단계
• 마지막 단계는 1980 년대 중반 첫 매장을 연
KFC(Kentucky Fried Chicken) 를 시 작 으 로
글로벌 레스토랑 체인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도네시아인들의 식습관이 크게 영향을 받은
현대적 단계이다 .

• 또한 , 세계화의 영향으로 인도네시아에서는


일본 , 태국 , 인도 , 프랑스 등 국제적인 요리를
제공하는 식당들이 크게 성장하였다 .

• 사람들은 전통적인 음식보다 현대적인 음식을


먹는 것을 좋아한다 . KFC (Kentucky Fried Chicken)
03
음식문화의
특징
• 대부분의 인도네시아 요리들은 양파와 마늘 ,
파 , 생강 뿌리 , 강황 , 갈랑갈 , 캔들넛 , 레몬
바질 , 레몬 그라스 , 고추와 같은 신선한
향신료를 사용한다 .

• 인도네시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음식들은 주요 재료와 조리 방법에 따라 이름이
붙여졌다 .

• 아얌 고렝 (ayam goreng) 은 ‘ 닭 ’ 을 의미하는


‘아얌’ (ayam) 과 ‘튀긴’다는 뜻의 고렝 (goreng)
이다 .
지역별 음식의 특징
서인도네시아

• 대다수가 이슬람교도이다 ( 바탁인은 대부분 기독교인이다 ).


• 중동과 인도 문화의 영향력은 그 지역에서 강하다 .
• 요리는 매우 강한 맛을 가지고 있다 ( 맵고 , 시고 , 코코넛
수마트라 밀크를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두껍다 ).
• 쌀은 주식이다 .
• 채소와 함께 음식에 사용되는 쇠고기 및 닭고기 .
• 중국인과 일부 기독교인 바탁인에게는 돼지고기를 먹는다 .

• 대다수가 이슬람교도이다
• 쌀은 주식이다 . 마두라인은 옥수수를 주 음식으로 먹는다 .
자바 파당 (padang) 음식
• 채소와 함께 음식에 사용되는 쇠고기 및 닭고기 .
• 음식은 중앙 자바에서 더 달다 .
지역별 음식의 특징

서인도네시아

• 대다수가 힌두교도이다 .
• 쌀은 주식이다 .
발리
• 돼지고기는 발리 요리에서 흔하다 .
• 많은 발리 요리는 맵다 .

• 절반은 힌두교도이고 나머지는 이슬람교도이다 .


서누사텡가라 • 쌀은 주식이다 .
• 요리의 대표 맛은 맵다 .

바비굴링 (Babi Guling,


젖먹이 돼지 )
지역별 음식의 특징
중앙인도네시아

• 대다수가 이슬람교도이다 .
칼리만탄 • 쌀은 주식이다 .
• 민물고기는 풍부하다 .

• 대다수가 이슬람교도이다 ( 미나하사인은 대부분


기독교인이다 ).
• 쌀은 주식이다 .
술라웨시 • 북술라웨시 요리는 매우 진하고 매운 맛이 난다 . 또한 개 ,
박쥐 , 그리고 숲쥐와 같은 매우 낯선 재료들을 포함한다 .
• 민물고기와 해산물이 풍부하다 . 파니키 (paniki) 는 매운 박쥐의
• 인도네시아 최고의 해산물로 알려져 있다 . 음식이다 .
지역별 음식의 특징
동인도네시아

• 대다수가 기독교와 가톨릭이다 .


• 옥수수와 카사바가 주식이고 , 일부는 파페다를 주식으로
말루쿠 먹는다 .
• 해산물은 음식의 주요 재료이다 .
• 향신료와 신선한 허브의 땅 .

• 일부 토착민들은 여전히 매우 전통적인 생활방식을 실천하고


있다 .
• 대다수가 기독교와 가톨릭이다 .
서파푸아 파페다 (papeda), sagoo
• 옥수수와 카사바가 주식이고 , 일부는 파페다를 주식으로 전분으로 만든 죽이다 .
먹는다 .
• 해산물은 음식의 주요 재료이다 .
04
대표적인 음식
나시 고렝
• 나 시 고 렝 (nasi goreng) 은 태 국 의 팟 타 이 와
같은 인도네시아의 인기 있는 주식이다 .

• ‘ 나시 ’ 는 ‘ 밥 ’ 을 의미하고 ‘ 고렝 ’ 은 ‘ 튀긴 것 ’ 을
의미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인도네시아의
볶음밥이다 .

• 인도네시아에서는 전통적으로 아침 식사로


제공되는데 , 전날 저녁 식사 때 남은 음식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

• 중국 볶음밥은 주로 간장을 사용하지만 ,


인도네시아에서는 달콤한 간장 ’ 케찹 마니스 ’
(kecap manis) 이 사용돼 나시고렝의 향이 더
강해진다 .
사타이
• 사타이 (satay) 는 숯불 위에서 요리되는 고기
꼬치이다 .

• 사테이는 보통 떡 (ketupat) 과 함께 제공되고


땅콩 소스와 함께 부어진다 .

야자수 잎을 담은 다이아몬드 모양의 용기에 담긴 떡 .


렌당
• 렌 당 (rendang) 은 수 마 트 라 의 파 당 에 서
유래되었다 .

• 소고기 카레와 비슷하지만 육수가 들어가지


않는다 .

• 렌당을 만들기 위해서는 코코넛 밀크 , 고추 ,


생강 , 갈랑갈 , 강황 , 샬롯 , 레몬그라스 ,
마늘 , 그리고 다른 향신료들이 4 시간까지
천천히 익혀야 한다 .

• 이 천천히 요리되는 과정이 렌당의 풍부하고


크림 같은 식감을 고기의 중심에 주는 것이다 .
가도가도
• 가 도 가 도 (gado-gado) 는 매 운 땅 콩 소 스 에
야채를 넣어 만든 인도네시아의 샐러드로 , 종종
유부 , 템페 , 삶은 감자 , 콩나물 , 시금치 ,
양배추 , 삶은 달걀과 함께 제공된다 .

• 이 소스는 튀긴 땅콩 , 설탕 , 말린 새우
페이스트 , 그리고 소금의 혼합물로
만들어집니다 .
소토
• 소토 (soto) 는 부드럽고 잘게 썬 닭고기 , 국수 ,
버미첼리 , 파 , 계란을 맛있는 육수가 담긴
그릇에 담근 인도네시아의 또 다른 인기 있는
수프 요리이다 .
05
간식•과일•
음료
쿠에 ( 케이크 )
• 인도네시아에는 쿠 (kue, 케이크 ) 라고 불리는
향긋하고 달콤한 간식이 많이 있다 .

• 전통적인 쿠에는 코코넛 밀크가 풍부하기


때문에 촉촉하고 부드러운 식감을 가진 쿠에
바사 (kue basah, 젖은 쿠에 ) 로 널리 알려져
있다 .

• 전통적인 쿠에는 보통 쌀가루 , 코코넛 밀크 ,


코코넛 설탕으로 만들어지며 구운 것 대신에
대부분 찌거나 튀겨진다 .
전통 크래커
전통적인 크래커는 새우 , 생선 , 야채 , 견과류
조각으로 만들어지며 , 보통 바삭바삭한 간식으로
또는 주요 식사와 함께 먹는다 .
과일
많은 열대 과일들이 인도네시아 군도에서 기원한다 .

랑삿 (langsat) 망고스틴 (manggis, mangoosteen)

람부탄 (rambutan)
무알코올 음료
• 인도네시아의 가장 인기 있는 음료는 차와
커피이다 .

• 인도네시아 가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손님들에게


테 마 니 스 (teh manis, 달 콤 한 차 ) 나 커 피 를
대접한다 .

• 재스민 차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차
종류입니다 .
코피루왁 (kopi luwak) 은 인도네시아의 비싼 커피 음료로 ,
커피 열매의 원두 열매는 아시아사향고양이 (Paradoxurus
hermaphroditus) 가 먹는다 .
아이스켈라파무다 (ice kelapa muda, young coconut ice) 는
차가운 어린 코코넛 물 , 코코넛 과육으로 만든 신선한
음료이다 .
알코올 음료
• 이 슬 람 교 도 가 다 수 인 인 도 네 시 아
이슬람교도들은 술을 금지하는 이슬람식
식이법을 공유하고 있다 .

• 고대부터 인도네시아에서 로컬 술이 개발되었


다.

• 고 대 자 바 사 람 들 은 투 악 (tuak, 팜 와 인 )
이라고 불리는 야자수액으로 만든 와인을
마셨다 .

• 오늘날 투악은 북수마트라 바탁 지역에서 계속


인기가 있다 .

• 술라웨시섬 북부에 있는 미나하사 지역에서


사 람 들 은 챂 티 쿠 스 (cap tikus) 라 고 불 리 는
알코올 음료수를 마신다 .
06

일상식
• 쌀은 대부분의 인도네시아 음식의 기본이다 .

• 아침은 밥 , 국수 , 또는 고기와 야채 수프로 구성되며 , 하루를 시작하기 위해 커피나


차를 곁들여진다 .

• 점심은 하루의 주요 식사이다 . 식사는 오전 내내 준비되고 한꺼번에 제공된다 .

• 저녁은 퇴근 후에 먹는다 .

• 음식을 다시 데워서 저녁을 먹는다 .


07
식사예절
• 오른손으로만 먹는다 . 음식을 먹을 때 왼손을
사용하는 것은 무례한 것으로 여겨진다 .

• 식당에 있지 않는 한 인도네시아 식탁에서


포크와 나이프를 사용하는 것은 흔한 일이
아니다 . 어떤 사람들은 숟가락만 사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

• 어른들이 먼저 음식을 가져가서 먹게 한다 .

• 음 식을 씹 을 때 입 을 다 물고 소 음 없 이 먹 는
것이다 .
상황에 따라서는 맨손으로 먹는 것 도 인도네 시아 에서는
이상한 일이 아니며 , 특히 음식이 건조할 경우 ( 수프 없이 )
그렇다 . 여러분이 서빙 접시에서 음식을 고르고 싶을 때 ,
숟가락이나 포크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

모든 인도네시아인이 식탁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


주인이 음식이 나오는 바닥에 앉으라고 해도 놀라지 마세
요.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