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중급 한국문화 읽기 - 1주차

주차명 음식
1교시. 무슨 이야기일까요?
2교시. 다음 글을 같이 읽어 볼까요?
학습
3교시. 새로운 단어를 알아 볼까요?
주 내용
1 4교시. 새로운 표현을 알아 볼까요?

5교시. 글을 읽고 내용을 정리해 볼까요?
학습 1. 날씨와 음식에 관한 어휘와 표현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목표 2. 날씨와 음식에 관한 글을 읽고 한국의 음식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1교시] 무슨 이야기일까요?
1. 다음을 잘 듣고 질문에 답해 볼까요?
민수 : 리사 씨는 무슨 음식을 좋아해요?
리사 : 저는 김치찌개를 좋아해요.
민수 : 그래요? 김치찌개는 매워요?
리사 : 조금 매워요. 그런데 저는 매운 걸 좋아해서 자주 먹는 편이에요.
민수 : 그럼, 오늘 점심은 한국 식당으로 갈까요?
리사 : 네, 좋아요!

1) 두 사람은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어요?

2) 리사 씨는 무슨 음식을 좋아해요?

3) 리사 씨는 어떤 음식을 좋아해요?

4) 여러분은 어떤 음식을 좋아해요?

2. 다음을 읽어 볼까요?

3. 다음 표현은 무슨 뜻일까요?

- 1 -
중급 한국문화 읽기 - 1주차

4. 메뉴판을 읽고 질문에 답해 볼까요?

1) <인삼 식당>에서 강추하는 음식은 무엇일까요?

2) <명동 국수>에서 개시하는 음식은 무엇일까요?

3) <한국 식당>에서 권하는 음식은 무엇일까요?

4) 여러분은 더울 때 무슨 음식을 먹고 싶어요? 왜요?

5) 여러분은 추울 때 무슨 음식을 먹고 싶어요? 왜요?

5. 오늘 이야기의 주제는 무엇일까요?

[2교시] 다음 글을 같이 읽어 볼까요?
* 같이 읽어 봅시다!
(1) 다음 글을 읽으면서 빈 칸에 알맞은 단어를 생각해 볼까요?
제목 : 날씨와 음식
가. 한국의 계절 음식에는 무엇이 있을까?
한국에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언제나 사람들이 즐겨 먹는 음식도 있지만 계절마다 자
주 먹는 메뉴도 있다. 삼계탕은 사계절 내내 인기가 있는 음식이지만 특히 더운 에
인기 있는 메뉴이다. 한국 사람들이 계절에 따라 즐겨 먹는 음식은 무엇일까?
나. 한국의 겨울 음식
겨울 음식하면 먼저 이 생각난다. 한국에는 일 년 중 밤이 제일 긴 동짓날에 팥죽
을 먹는 전통이 있다. 사람들은 팥죽을 먹으면서 새해에 나쁜 일이 생기지 않기를 빈다.
또 새해 첫 보름인 정월 대보름에는 땅콩이나 호두 같은 견과류를 먹는다. 이런 땅콩이
나 호두를 부럼이라고 부른다. 이런 전통적인 음식 말고도 추운 날 길거리에서 파는 군
고구마나 군밤, 또는 붕어빵을 먹는 것도 겨울의 재미이다.
다. 한국의 봄 음식
□에 사람들은 산과 들에 새로 난 봄나물로 반찬을 만들어 먹으며 봄의 향기를 느낀다.
봄나물로 국이나 찌개를 끓여 먹기도 하고, 또 옛날에는 꽃을 따서 화전을 만들어 먹기

- 2 -
중급 한국문화 읽기 - 1주차

도 하였다. 요즘에도 봄이 되면 예쁜 색깔의 화전을 먹어 볼 수 있다.


라. 한국의 여름 음식
대표적인 여름 음식으로는 삼계탕이 있다. 삼계탕은 뜨거운 음식이다. 한국인들은 더울
때 일부러 뜨거운 음식을 먹기도 한다. 그리고 시원한 콩국수와 냉면도 더위를 잊게 해
주는 여름 음식이다. 여름철에 인기 있는 음식으로는 팥빙수도 있다. 입맛에 따라서
대신 과일이나 커피를 넣을 수도 있다.
마. 한국의 가을 음식
가을은 맛있는 음식이 가장 많은 계절이다. 맛있는 과일도 가장 많다. 그렇지만 가을하
면 먼저 이 생각난다. 요즘에는 언제든지 떡을 먹을 수 있지만 예전에는 가을이 되
어야 햅쌀로 송편이나 백설기, 시루떡 등을 만들어 먹을 수 있었다. 또 감을 말려서 만
든 곶감도 늦은 가을부터 맛볼 수 있다.
_출처 : 세종한국어 4권 중_

(2) 이 글은 무슨 이야기예요?
가. 한국의 계절 음식에는 무엇이 있을까?
한국에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언제나 사람들이 즐겨 먹는 음식도 있지만 계절마다 자
주 먹는 메뉴도 있다. 삼계탕은 사계절 내내 인기가 있는 음식이지만 특히 더운 에
인기 있는 메뉴이다. 한국 사람들이 계절에 따라 즐겨 먹는 음식은 무엇일까?

(3) 계절에 따라 자주 먹는 음식은 무엇일까요?

(4) 여러분 나라의 대표적인 음식을 소개해 주세요. 그리고 계절 음식도 소개해 주세요.

[3교시] 새로운 단어를 알아 볼까요?


* 다음 단어의 뜻을 알아 볼까요?
단어 예문
보름(달) 둥근 보름달이 뜨면 엄마 얼굴이 생각나요.
정월 정월인데도 날씨가 춥지 않았다.
견과류 정월 대보름에는 견과류를 먹는다.
부럼 호두나 땅콩을 부럼이라고 부른다.
길거리 날씨가 춥지만 길거리에 사람들이 많다.
들 봄이 오면 산에 들에 예쁜 꽃이 피었다.
봄나물 봄나물은 건강에 좋다.
화전 진달래 꽃잎으로 화전을 만들어 먹는다.
여름철 여름철에는 음식물이 상하기 쉽다.
햅쌀 해마다 추석에는 햅쌀로 송편을 빚는다.

(1) 다음 문장의 빈칸에 알맞은 단어를 쓰세요.


1) 예전에는 가을이 되어야 로 송편이나 백설기, 시루떡 등을 만들어 먹을 수 있었다.

- 3 -
중급 한국문화 읽기 - 1주차

2) 새해 첫 보름인 에는 땅콩이나 호두 같은 류를 먹는다.


3) 추운 날 에서 파는 군고구마나 군밤, 또는 붕어빵을 먹는 것도 겨울의 재미이다.
4) 옛날에는 꽃을 따서 을 만들어 먹기도 하였다.
5) 에 인기 있는 음식으로는 팥빙수도 있다.

* 다음 단어의 뜻을 알아 볼까요?
단어 의미 예문
내내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해서 시험 시간 내내 교실 안은 조용했다.
년 중 가장 긴 밤(보통 양력
동짓날 동짓날에는 낮이 정말 짧은 거 같다.
12월 22일이나 23일 무렵)
전통 옛날부터 전해오는 문화 부모님께 효도하는 것은 좋은 전통이다.
향기 좋은 냄새 과일 향기가 참 좋네요.
대표적인 가장 잘 나타내는 비빔밥은 한국의 대표적인 음식이에요.
일부러 미리 생각하고 일부러 발을 밟은 것은 아니에요.
입에서 느끼는 맛에 대한 느
입맛 잠을 못 자서 입맛이 없어요.
낌이나 생각
언제든지 =항상 힘들 때에는 언제든지 연락해라.
예전 =옛날 예전보다 더 편해진 거 같아요.
맛보다 맛을 알기 위해 먹어 보다 한 번 맛보실래요?

(2) 다음 문장의 빈칸에 알맞은 단어를 쓰세요.


1) 삼계탕은 사계절 인기가 있는 음식이지만 특히 더운 여름에 인기 있는 메뉴이다.
2) 한국에는 일 년 중 밤이 제일 긴 동짓날에 팥죽을 먹는 이 있다.
3) 봄나물로 반찬을 만들어 먹으며 봄의 를 느낀다.
4) 적인 여름 음식으로는 삼계탕이 있다.
5) 한국인들은 더울 때 뜨거운 음식을 먹기도 한다.

[4교시] 새로운 표현을 알아 볼까요?


1. [N에 따라(서)]
(1) ‘N에 따라(서)’의 형태와 의미와 예문을 공부해요.
N에 따라(서)
한국 사람들은 계절에 따라 즐겨 먹는 음식이 조금 달라요.

1) 의미 : 상황이나 기준을 나타내요.


예) 나이에 따라 생각이 다를 수 있어요.
지난 번 약속에 따라서 오늘은 노래를 부르지 않겠습니다.
2) 형태 : ‘N에 따라(서)’
예) 날씨 ⇒ 날씨에 따라(서)
사람 ⇒ 사람에 따라(서)
3) 사용 예
예문) 기분에 따라서 입맛이 달라져요.

(2) 다음 에 ‘N에 따라(서)’를 사용해서 짧은 문장을 쓰세요.


1) 우리 나라는 에 따라서 .
2) 에 따라서 .

2. [A하면 B이/가 생각나다(떠오르다)]


(1) ‘A하면 B이/가 생각나다(떠오르다)’의 형태와 의미와 예문을 공부해요.
A하면 B이/가 생각나다(떠오르다)
겨울 음식하면 먼저 붕어빵이 생각난다.

- 4 -
중급 한국문화 읽기 - 1주차

1) 의미 : A를 생각하면 자연스럽게 B가 생각나다(떠오르다)


예) 로미오하면 줄리엣이 생각나요.
한국하면 이/가 생각나요.
2) 형태 : ‘A하면 B이/가 생각나다(떠오르다)’
예) 짜장면/짬뽕 ⇒ 짜장면하면 짬뽕이 생각나요.
가을/단풍 ⇒ 가을하면 단풍이 생각나요.
3) 사용 예
예문) 한국의 대표적인 산하면 한라산이 떠올라요.

(2) 다음 에 ‘A하면 B이/가 생각나다(떠오르다)’를 사용해서 짧은 문장을 쓰세요.


1) 우리 나라하면 .
2) .

[5교시] 글을 읽고 내용을 정리해 볼까요?


* 각 단락의 주제를 이야기해 볼까요?
날씨와 음식
가. 한국의 계절 음식에는 무엇이 있을까?
한국에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언제나 사람들이 즐겨 먹는 음식도 있지만 계절마다 자
주 먹는 메뉴도 있다. 삼계탕은 사계절 내내 인기가 있는 음식이지만 특히 더운 여름에
인기 있는 메뉴이다. 한국 사람들이 계절에 따라 즐겨 먹는 음식은 무엇일까?
나. 한국의 겨울 음식
겨울 음식하면 먼저 팥죽이 생각난다. 한국에는 일 년 중 밤이 제일 긴 동짓날에 팥죽을
먹는 전통이 있다. 사람들은 팥죽을 먹으면서 새해에 나쁜 일이 생기지 않기를 빈다. 또
새해 첫 보름인 정월 대보름에는 땅콩이나 호두 같은 견과류를 먹는다. 이런 땅콩이나
호두를 부럼이라고 부른다. 이런 전통적인 음식 말고도 추운 날 길거리에서 파는 군고구
마나 군밤, 또는 붕어빵을 먹는 것도 겨울의 재미이다.
다. 한국의 봄 음식
봄에 사람들은 산과 들에 새로 난 봄나물로 반찬을 만들어 먹으며 봄의 향기를 느낀다.
봄나물로 국이나 찌개를 끓여 먹기도 하고, 또 옛날에는 꽃을 따서 화전을 만들어 먹기
도 하였다. 요즘에도 봄이 되면 예쁜 색깔의 화전을 먹어 볼 수 있다.
라. 한국의 여름 음식
대표적인 여름 음식으로는 삼계탕이 있다. 삼계탕은 뜨거운 음식이다. 한국인들은 더울
때 일부러 뜨거운 음식을 먹기도 한다. 그리고 시원한 콩국수와 냉면도 더위를 잊게 해
주는 여름 음식이다. 여름철에 인기 있는 음식으로는 팥빙수도 있다. 입맛에 따라서
팥 대신 과일이나 커피를 넣을 수도 있다.
마. 한국의 가을 음식
가을은 맛있는 음식이 가장 많은 계절이다. 맛있는 과일도 가장 많다. 그렇지만 가을하
면 먼저 떡이 생각난다. 요즘에는 언제든지 떡을 먹을 수 있지만 예전에는 가을이 되어
야 햅쌀로 송편이나 백설기, 시루떡 등을 만들어 먹을 수 있었다. 또 감을 말려서 만든
곶감도 늦은 가을부터 맛볼 수 있다.
_출처 : 세종한국어 4권 중_

(1) 이 글의 주제는 무엇일까요?

(2) 여러분 나라의 날씨와 음식을 주제로 짧은 글을 써 주세요.

- 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