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Ⅱ. 세계 종교의 확산과 지역 문화의 형성 / 02.

동아시아 문화의 형성과 확산 >> 교과서 62~63쪽

학습지
➊ 한족과 유목 민족의 문화가 융합되다

반 번 이름

학습 목표 >> • 북위 효문제가 추진한 한화 정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 남북조 문화의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내용 정리

1. 위·진·남북조 시대의 전개 2. 위·진·남북조 시대의 사회와 문화


⑴ 삼국 시대: 후한 멸망 후 삼국(위·촉·오)으로 분열 ⑴ 문벌 귀족 사회의 형성: 9품중정제 실시(중정관이
→ 진(晉)에 의해 재통일 지역의 인재를 9등급으로 평가하여 중앙에 추천) →
⑵ 5호 16국 시대 유력 호족이 중앙 관직 독점 → 문벌 귀족 사회 형
① 북방의 다섯 유목 민족인 5호가 화북 지방으로 성
이동하여 16국 건국 ⑵ 위·진·남북조 시대의 문화
② 진은 강남으로 이주하여 동진 건국 ① 남조와 북조에서 각기 다른 문화 발전
⑶ 남북조 시대 ② 북조 문화의 특징: 한족의 문화에 유목민의 강건
① 북조(화북 지방) 하고 소박한 기풍 가미
• 선비족의 북위가 화북 지방 통일(439) ③ 남조 문화의 특징: 우아한 귀족 문화 발달 → 청
• 북위 효문제의 한화 정책: 선비족의 복장과 언어 담 사상 유행, 도연명의 시, 왕희지의 서예, 고개
금지, 한족과의 결혼 장려 → 유목 민족의 문화 지의 「여사잠도」 등
와 한족의 문화 융합(호한 융합) ④ 불교: 남북조에서 모두 유행, 특히 북조에서는 대
② 남조(강남 지방) 규모 석굴 사원 조성(윈강, 룽먼 등) → 왕권 강
• 빈번한 왕조 교체: 동진 → 송 → 제 → 양 → 진 화에 이용, 불경을 한문으로 번역
• 한족의 강남 이주 → 강남 개발 진척 ⑤ 도교: 노장사상·신선 사상·민간 신앙이 결합되
어 도교 성립·유행

확인 문제

1. 선비족의 언어를 금지하고 한족과의 결혼을 장려하는 등 적극적인 한화 정책을 펼친 북위의 황제는?
( )
2. 위·진·남북조 시대에는 관리 등용 제도로 ( )이/가 실시되었으나 유력 호족이 관직을 독점하는 결과를
낳았다.
Ⅱ. 세계 종교의 확산과 지역 문화의 형성 / 02. 동아시아 문화의 형성과 확산 >> 교과서 64~66쪽

학습지
❷ 수 · 당이 통일 제국으로 발전하다

반 번 이름

학습 목표 >> • 수 · 당 제국의 정치적 변천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수 · 당대에 완성된 율령 체제를 설명할 수 있다.

내용 정리

1. 남북조를 통일한 수 ⑵ 당의 쇠퇴와 멸망


⑴ 수의 건국과 발전 ① 쇠퇴: 안·사의 난 이후 절도사 성장, 중앙 정부
① 문제: 선비족 계통, 돌궐이 분열된 틈을 이용하여 의 쇠퇴
남북조 통일(589), 과거제 실시, 토지·조세·군 ② 멸망: 환관과 관료들의 권력 다툼, 황소의 난 등
사 제도 정비 → 중앙 집권 체제 강화 으로 혼란 → 절도사 주전충에게 멸망(907)
② 양제: 대운하 완성 → 화북 지역과 강남 지역의
경제 통합 강화 3. 당의 통치 체제
⑵ 멸망: 대규모 토목 공사와 빈번한 대외 원정으로 백 ⑴ 율령 체제: 율령에 의해 기초하여 통치 체제 마련
성 반발, 고구려 원정을 계기로 반란이 전국으로 확 ① 행정: 중앙(3성 6부제), 지방(주현제)
대 → 멸망(618) ② 농민 지배: 자영농을 국가 운영의 기반으로 삼음.
• 균전제: 성인 남자에게 일정량의 토지를 지급
2. 당의 변천 • 조·용·조: 곡물, 노동력, 직물 등 수취
⑴ 당의 건국과 발전 • 부병제: 농민을 일정 기간 군역에 봉사하게 함.
① 고조: 선비족 계통, 동돌궐의 지원을 받아 건국 ⑵ 통치 체제의 전환
(618), 수도를 장안으로 함. ① 배경: 7세기 말 균전제 붕괴, 장원 증가
② 태종: 동돌궐 복속, 토번과 화친 ② 8세기 중·후반: 부병제 → 모병제, 조·용·조
③ 고종: 서돌궐 복속 → 유라시아 동쪽의 대부분을 → 양세법으로 전환
거느린 대제국 건설

확인 문제

1. 수 양제는 ( )을/를 완성하여 강남의 풍부한 물자가 화북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당은 안·사의 난 이후 균전제를 실시하여 농민에게 토지를 지급하였다. ( ○, × )
Ⅱ. 세계 종교의 확산과 지역 문화의 형성 / 02. 동아시아 문화의 형성과 확산 >> 교과서 67~71쪽

학습지
❸ 동아시아 문화권이 형성되다 ~
❹ 일본에서 고대 국가가 발전하다

반 번 이름

학습 목표 >> • 당 문화의 특징과 동아시아 문화권의 공통 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 일본에서 중앙 집권적 고대 국가가 성립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내용 정리

1. 당의 문화: 귀족적이고 국제적인 문화 ⑶ 다이카 개신


⑴ 문화의 발달 ① 7세기 견수사·견당사 통해 중국의 문물 적극 수
① 시: 귀족의 취향, 이백·두보 등이 유명 용
② 불교: 현장 등 승려들이 인도 순례, 경전 전래· ② 7세기 중엽 당의 율령 체제를 모방한 국왕 중심
번역 의 중앙 집권 체제 정비
③ 유학: 훈고학을 집대성한 『오경정의』 편찬 ③ 7세기 말 국호 ‘일본’, ‘천황’ 칭호 사용
⑵ 비단길의 활성화: 서역의 종교, 학문 등이 전래
4. 나라 시대
2. 동아시아 문화권의 성립 ⑴ 8세기 초 수도를 헤이조쿄(나라)로 옮긴 이후의 시대
⑴ 배경: 당과 주변국의 관계 긴밀화, 인적 교류 활발 ⑵ 불교 융성, 『고사기』·『일본서기』·『만엽집』
⑵ 동아시아 문화권의 공통 요소: 한자, 율령, 유교, 불 편찬

5. 헤이안 시대
3. 야마토 정권의 성립과 발전 ⑴ 8세기 말 수도를 헤이안(교토)으로 옮긴 이후의 시대
⑴ 야요이 시대: 기원전 3세기경 벼농사, 청동기·철기 ⑵ 귀족, 호족, 사원의 대토지 소유 확대 → 무사 등장
사용 ⑶ 국풍 문화: 9세기 말 견당사 파견 중단 이후
① 대륙의 문화를 일본인의 기호와 감각에 맞게 소
⑵ 야마토 정권: 4세기 전후 등장, 주변 소국 통합

① 쇼토쿠 태자: 6세기 말 유교, 불교 수용
② 내용: ‘가나’ 문자, 관복과 주택의 국풍화
② 아스카 문화: 불교문화 발전

확인 문제

1. 당대 훈고학을 집대성하여 편찬되었으며, 과거 시험의 기본 교재가 되었던 책은? ( )


2. 당과 주변국이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한자, ( ), 유교, 불교를 공통 요소로 하는 동아시아 문화권이 형
성되었다.
3. 야마토 정권은 당의 율령을 모방하여 ( )을/를 추진하였다.
4. 9세기 말 귀족층을 중심으로 대륙의 문화를 일본인의 기호와 감각에 맞게 소화한 문화는? ( )
>> 교과서 64쪽

활동지
반 번 이름

수의 대운하

1. 대운하를 건설한 목적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2. 수대 이후 대운하가 어떻게 이용되었는지 살펴보자.


>> 교과서 68쪽

활동지
반 번 이름

국제 문화의 경연장, 장안

인구 100만이 넘는 당의 수도 장안은 동서 교류의 중심지로 번성하여 주변국의 사절단, 유학생, 상인 등이 자주 방문하


는 국제도시였다. 서역에서 전해진 다양한 종교 사원이 장안 곳곳에 조성되었으며, 서역의 영향을 받은 당삼채 제작과
격구(폴로)가 유행하였다

1.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당 문화의 특징을 말해 보자.

2. 다음 자료가 지칭하는 문화 요소를 위 자료에서 찾아보자.

좌로 돌고 우로 구르면서 피로한 줄도 모르고

천 번 돌고 만 번 돌며 그칠 때를 모른다. - 백거이 -
Ⅱ. 세계 종교의 확산과 지역 문화의 형성 / 02. 동아시아 문화의 형성과 확산 >> 교과서 62~71쪽

정답 및 예시 답안 02. 동아시아 문화의 형성과 확산

[확인 문제] ➊ 한족과 유목 민족의 문화가 융합 [나도 역사가] _ 교과서 68쪽


되다 1. 당의 문화는 개방적이고 국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
1. 효문제 2. 9품중정제 었다.
2. 호선무

[확인 문제] ➋ 수 · 당이 통일 제국으로 발전하다


1. 대운하 2. ×

[확인 문제] ❸ 동아시아 문화권이 형성되다 ~


❹ 일본에서 고대 국가가 발전하다
1. 오경정의 2. 율령
3. 다이카 개신 4. 국풍 문화

[탐구해 보자] _ 교과서 64쪽


1. 중국을 통일한 수는 늘어난 수도권의 인구를 부양하
기 위해 물자가 풍부한 강남 지방과 수도 대홍(장안)
을 연결하는 대운하를 건설하였다. 수의 고구려 원정
기지인 탁군(베이징)과 경제 중심지인 강남을 연결하
여 병참선을 원활하게 하는 것도 대운하 건설의 목
적이었다. 대운하는 뤄양을 중심으로 수도 대흥(장
안)과 강남의 여항(항저우), 북방의 탁군(베이징)을
연결하는 대동맥으로서 중국의 경제적 통일에 크게
기여하였다.
2. 대운하는 이후 남송과 금의 대립으로 제 기능을 발
휘하지 못하다가 원이 성립되면서 다시 중요해졌다.
원은 수도인 대도(베이징)와 강남을 직접 연결하는
새로운 운하를 완성하였는데, 그것이 현재 우리가 보
는 대운하이다. 또한 원은 겨울에 대운하가 얼어붙어
서 이용하지 못하는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안 해
상 교통도 크게 활용하였다. 원을 이은 명은 철저한
해금 정책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경제 대동맥으로서
대운하의 기능과 역할은 더욱 중시되었으며, 현재도
중국의 남북을 잇는 운송로의 하나로 기능하고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