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5

[전통놀이 속 과학의 원리]

미래사회를 주도할 창조적 인재


국립중앙과학관의 박물관·미술관을 활용한 STEAM 교재로 거듭납니다.

인류의 역사에서 교육은 지식의 전수와 함께 인간이 서로 더불어 살아가는 민주시민을 양성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그 동안 우

리 교육은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목적으로 암기식과 주입식 교육으로 창의성이 약화되고 개인주의가 심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더불어 살 줄 아는 창의·인성 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과학에 흥미와 호기심을 갖고 창의적인

발상과 융합적 사고력과 감성이 풍부한 인재를 양성하는 융합인재교육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도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융합인재교육(STEM) 예산을 대폭 증액하면서 수학, 과학, 기술, 공학이 융합된 교육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융합인재교육(STEAM)은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의 앞 글자를 합친 단어로 수

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과학과 기술적인 내용을 공학적으로 표현하면서 감성이 포함된 것으로 종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교

육프로그램입니다.

전국적으로 자유학기제, 주5일제 수업이 실행되면서 창의적 체험활동이 적극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 국립중앙과학관에

서는 전국의 박물관·미술관 전시물을 학생들이 체험하여 직접 만져보고 그려보고 만들어 보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학, 과

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 시킬 것으로 확신합니다.

급변하는 사회에 융합인재교육(STEAM)과 본 박물관·미술관을 활용한 STEAM 교재가 좋은 롤 모델이 될 것을 기대하면서 여

러 가지 어려운 환경에서 자료개발에 애쓰신 관계자 여러분들께 감사를 드리며 이 교재가 창의력 및 탐구력 신장을 위한 체험

학습 활동에 실질적인 교재로 유용하게 널리 활용되기를 바랍니다.

2014.3.5.

국립중앙과학관장 최 종 배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STEAM Edu

주 제 전통놀이 속 과학의 원리

대 상 초등 3~4학년

전시관 용인 한국 민속촌

전 시 품 전시마을 - 민속놀이

교사용
박물관ㆍ미술관을 소개합니다

07 한국민속촌박물관 지리정보

주 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107 한국민속촌


S I T E http://www.koreanfolk.co.kr/exhibition/folk/intro.asp
전화번호 031)288-0000
관람시간 9:30~6시(계절별 상이)
한국민속촌 입장료
관 람 료
(어른 15,000원/ 청소년 12,000원/ 어린이 10,000원)

사라져 가는 우리의 민속문화를 재현, 복원, 전시, 보존하고 있는 민속촌의 기능과 역할을
보완하기 위해 1996년에 만들어졌다. 민속관의 전시물은 조선시대 후기를 중심으로 4대
박물관 소개 의 가족 구성원들이 겪는 연중생활의 모습을 세시풍속과 민간신앙, 연희오락, 관혼상제를
통해서 우리의 전통적인 생활문화 전반을 쉽게 이해하고 교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
다.

전시규모 7개의 전시실

체험프로그램 체험 활동 및 전시 관람

추천 관람 코스 민속촌에 준비되어 있는 전통놀이를 해봄

전통놀이의 기원과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고, 우리 조상들에게 그것들이 지녔던 의미에


박물관 체험으로
대해서 알아본다. 또한 전통놀이 속에 숨겨져 있는 과학원리를 알아봄으로써 조상들의
우리가 배우는 점
슬기를 느낄 수 있다.

4 국립중앙과학관 National Science Museum


STEAM 단계요소

상황제시 전통놀이 속 과학 원리 알아보기

창의적 설계 줄타기 놀이 기구 만들기

■자기 효능과 성취 – 스스로 기구 제작하기


감성적 체험 ■배려와 협력 – 제작 과정에서 협력
■자연체험

평가 방법 활동 참여 과정 평가

프로그램 흐름도

1차시
전통놀이에 대해여 관련 교육과정

•전통놀이의 종류와 유래 초등 3~4학년


사회 : 다양한 삶의 모습
•전통놀이 속 과학원리
과학 : 무게중심잡기

2차시
외줄타기 놀이기구 만들기 관련 교육과정

초등 3~4학년
•줄타기 놀이가구 만들기
사회 : 다양한 삶의 모습
•줄타기 명인 김대균 선생님 과학 : 무게중심잡기

3차시
발전하는 전통놀이 관련 교육과정

•국악의 새로운 도전 초등 3~4학년


•플라멩고와 판소리의 만남 도덕 : 자랑스러운 우리나라
•우리 문화 유산의 소중함을 알고 감사의 편지쓰기 국어 : 생생한 느낌 그대로

2013 초등학교1 STEAM Coursebook 5


S cience T echnology E ngineering A rts M athematics
1차시

전통놀이에 대하여
<학습 목표>
•전통놀이의 의미와 숨어있는 과학적 원리를 알 수 있다.
2013 박물관·미술관 전시품을 활용한 STEAM 교재

전통놀이에 대하여

학습목표 전통놀이의 의미와 숨어있는 과학적 원리를 알 수 있다.

관련전시물 민속마을

준 비 물 필기도구

STEAM 요소 ◉ S 베르누이의 원리/ 관성 ◉ E/T 비행의 원리 ◉ A 전통놀이 문화

권장 학습 장소 ◉ 온라인 ◉ 학교 ◉ 박물관

수업단계 활동자료 소요시간

도입 ○ 줄타기 동영상을 시청한다. ( A ) 3분

○ 전통놀이에 대해서 알아본다. ( A ) 15분

전개 ○ 연날리기에 속 베르누이의 원리 ( S , T , E ) 10분

○ 팽이치기 속 관성의 원리 ( S , T , E ) 10분

정리 ○ 내용 정리 및 다음 차시 예고 2분

8 국립중앙과학관 National Science Museu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주제 : 전통놀이 속 과학의 원리

전통놀이 속 숨어 있는 과학원리

친구들은 우리나라의 전통놀이에 대해서 많이 알고 있나요? 줄


위에서 광대가 아슬아슬하게 줄을 타고 있네요. 줄 광대가 줄 위
에서 걷고, 뛰고, 돌고 하면서 관객들을 아슬아슬하게 만듭니다.
여러분은 실제로 본적이 있나요?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429876&cloc=

전통놀이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생각해 보기 전통놀이의 종류와 그것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알아봅시다.

전통놀이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과거 우리는 농업사회를 살았습니다. 농사가 잘 되어 풍년이 들어 풍족하게 지내는 것이 가장 중요한 관
심사였습니다. 농사일에는 많은 일손이 필요합니다. 마을 사람들이 힘을 모아 일해야 할 경우가 많았습니
다. 전통놀이는 이런 사회적 배경을 통해서 생겨났습니다.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서 마을 사람들이 모여
제사를 지내고 놀이를 통해서 공동체 의식을 키웠습니다. 전통 놀이는 대부분 여러명이 함께 합니다. 여
럿이 함께 하면서 협동심을 기르고, 나 혼자가 아니라, 너, 우리, 마을에 대해 알 수 있도록 공동체를 강조
했습니다.

http://koreandb.nate.com/life/nolyee/detail?sn=52

2013 초등학교1 STEAM Coursebook 9


2013 박물관·미술관 전시품을 활용한 STEAM 교재

전통놀이에 대하여

여러분이 알고 있는 전통놀이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그리고 이런 놀이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지 생각해봅시다.

윷놀이의 유래 숨은 의미

윷놀이는 삼국시대 이전부


터 농사의 풍흉을 점치고,
( 도 )는 돼지, ( 개 )는 개, ( 걸 )은 양, ( 윷 )은 소, ( 모 )는
한해의 길흉을 점치는 점술
말을 가리킵니다. 이들 가축의 이름이 붙어진 이유는 몸의
도구로 시작되었다고 합니
크기와 걸음의 속도가 반영된 것입니다. 농사와 목축을 하
다.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
는 시대의 특징이 담겨져 있습니다.
선시대로 이어지면서 점차
놀이로 변화하였습니다.

조선시대 최고의 화가 중 하나였던 혜원 신윤복의


작품입니다. 단오날(음력 5월5일)에 여인들이 모여
창포에 머리를 감고, 그네를 타고 있습니다. 조선시
대에 그네는 여인들만 탔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그
리고 그네타기에 어떤 의미가 숨겨져 있을까요?

그네는 아낙네들만 탔습니다. 조선시대에 여자들은 마음대로 바깥을 다닐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답답한 마음을 단오날에 그네를 탐으로써 해소했습니다.

10 국립중앙과학관 National Science Museu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주제 : 전통놀이 속 과학의 원리

전통놀이 속 숨어 있는 과학원리
관찰해 보기 전통놀이 속 숨어있는 과학원리를 찾아봅시다.

연날리기에는 어떤 과학적 원리가 숨어있을까요?

하늘 높이 여러 개의 연이 날고 있습니다. 연을 하늘로
높이 날리기 위해서 연줄을 당기기도 하고 풀기도 합니
다. 왜 이런 동작을 하는 걸까요? 연날리기 속에 숨어져
있는 과학적 원리를 찾아봅시다.

베르누이의 원리

TIP 1
http://www.youtube.com/
watch?v=3kW2wEi_2w4
베르누이 장난감 만들기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02&contents_id=3133

두 갈래로 나뉘어져 흐르던 공기의 흐름 중 날개 위 곡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은 날개 아랫부분


으로 꺾어진 공기흐름 보다 속도가 빠르게 됩니다. 그러므로 날개 주변의 공기의 흐름을 선으로 표현하
면 그림과 같이 되는데 날개 위쪽은 선의 간격이 좁고, 날개 아래쪽은 선들의 간격이 넓게 됩니다. 이는
날개 위쪽은 공기속도가 크고 아래쪽은 공기의 속도가 위쪽보다 작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유체속도가 커
지면 압력이 작아지고 유체속도가 작아지면 압력이 커진다는 베르누이 원리 에 의해 공기 속도가 큰 날
개 위쪽은 공기 압력이 작고, 공기속도가 작은 날개 아래쪽은 공기 압력이 커집니다. 그래서 공기압력이
큰 아래쪽에서 공기압력이 작은 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힘인 양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베르누이의 원리를 이용한 발명품은 무엇이 있을까요?

가장 대표적인 것은 비행기입니다. 베르누이 원리의 양력을 이용해서 하늘을 비행할 수 있게

설계되어있습니다.

2013 초등학교1 STEAM Coursebook 11


2013 박물관·미술관 전시품을 활용한 STEAM 교재

전통놀이에 대하여

팽이치기에는 어떤 과학적 원리가 숨어있을까요?

얼음판에서 팽이치기를 해본적이 있나요?


우리 조상들은 주로 얼음판에서 팽이치기를 했답니다.
왜 얼음판에서 했을까요?
그리고 팽이가 뱅글뱅글 도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관성의 법칙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운동하는 물체는 계속 그 상태로 운동하려고 하고,


정지한 물체는 계속 정지해 있으려고 한다."

팽이치기는 겨울철에 인기 있는 민속놀이입니다. 그 놀이방법도 다양해 5~10cm의 목표 지점을 설정해


놓고 빨리 돌아오기를 겨루는 놀이, 자신의 팽이와 상대편 팽이를 맞부딪혀 쓰러뜨리는 팽이싸움놀이 등
이 있습니다. 그런데 끝이 뾰족해 그냥 세우면 쓰러지는 팽이가 돌기 시작하면 쓰러지지 않고 팽글팽글
잘 돕니다. 이는 정지해 있는 물체는 계속 정지하고 운동하는 물체는 계속 운동하려는 성질인 '관성' 때문
입니다.팽이는 땅 위에서 보다 얼음 위에서 더 오래 잘 돈다. 이는 얼음과 팽의 축이 마찰이 작아 생기는
현상으로 자전거를 타보면 팽이의 원리가 쉽게 이해됩니다. 자전거를 타다가 잠시 페달을 밟지 않아도 자
전거는 어느 정도 앞으로 나가지만 곧 바퀴와 바닥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때문에 좌우로 흔들리다가 쓰
러지게 됩니다.

버스 안에서 승객들의 몸이 흔들립니다. 어떤 경우에 이렇게 움직일지 생각해보세요.

1) 노란 버스의 승객들은 몸을 앞으로 숙이고 있습니다.


버스가 어떻게 움직이고 있을까요?
( 버스가 속도를 줄이고 있습니다. )

2) 파란 버스의 승객들은 몸을 뒤로 숙이고 있습니다.


버스가 어떻게 움직이고 있을까요?
( 버스가 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

12 국립중앙과학관 National Science Museu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주제 : 전통놀이 속 과학의 원리

교사를 위한 도움 자료
베르누이의 원리

인류는 언제부터 하늘을 날기를 꿈꿔 온 것일까? 새의 깃털과 밀납을 사용해 날개를 만들어 붙이고 창공을
향해 몸을 던졌던 신화 속 이카로스(Icarus)를 생각해 보면, 고대부터 우리는 늘 비행을 꿈꿔왔던 것 같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에게는 하늘을 나는 일이 더 이상 그저 꿈만은 아니다. 장거리 여행의 교통수단으로 제
일 먼저 떠올리는 것이 바로 비행기일 정도로 비행이 상용화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득 궁금하다. 많게
는 600명까지도 수용 가능한 400톤이 넘는 육중한 몸을 하늘에 띄우는 비행기, 그 비행기 속에는 어떤 원
리가 숨어 있는 것일까? 비행기가 지상에 정지해 있을 때는 일반 자동차와 크게 다를 바가 없어 보인다.
단순히 덩치 큰 자동차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자동차가 아무리 빨리 달리고 점프를 한다고 해도
하늘을 날 수는 없다. 그렇다면 자동차와 비행기의 어떤 차이가 비행기를 날 수 있게 하는 것일까? 자동차
와 비행기의 가장 큰 차이점이 날개라는 것은 금방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비행기를 뜨게 만드는 힘은 무엇인가?

아래 [그림 1]에서처럼 비행기의 날개는 특징적인 모양과 공기와 맞닥뜨리는 각도를 통해 비행기가 공중에
떠오를 수 있도록 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 움직이는 비행기 날개 주변에는 [그림1]에서처럼 날개로 접
근하는 공기의 흐름을 보인다. 날개는 앞쪽이 위쪽으로 적당한 각도로 들려 있는데다가 날개 모양의 곡면
때문에 날개로 접근하는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킨다. 날개로 접근하는 공기의 흐름은 날개 앞부분에서 날
개와 부딪혀 두 갈래로 나뉘게 된다. 한 갈래의 공기의 흐름은 날개 위 곡면 모양을 따라 흐르게 되고, 다
른 하나는 날개에 부딪혀 날개 아래쪽으로 꺾이게 된다. 이때 날개와 꺾인 공기는 작용반작용 법칙인 뉴턴
의 제 3법칙에 의해 상호작용을 하여 비행기를 공기 중으로 띄우는 힘인 양력을 발생시킨다. 날개는 공기
의 흐름을 날개 아래쪽으로 꺾이게 하기 위해서 공기에 힘을 작용하고, 공기는 같은 크기의 힘을 방향만 반
대로 날개에 반작용하게 된다. 이 반작용에 의해 날개에 생기는 힘 F가 비행기를 공기 중으로 떠오르게 하
는 양력이다.

한편 두 갈래로 나뉘어져 흐르던 공기의 흐름 중 날개 위 곡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은 날개 아랫부분


으로 꺾어진 공기흐름 보다 속도가 빠르게 된다. 그러므로 날개 주변의 공기의 흐름을 선으로 표현하면 아
래 [그림1]과 같이 되는데 날개 위쪽은 선의 간격이 좁고, 날개 아래쪽은 선들의 간격이 넓게 된다. 이는 날
개 위쪽은 공기속도가 크고 아래쪽은 공기의 속도가 위쪽보다 작다는 것을 나타낸다. 유체속도가 커지면
압력이 작아지고 유체속도가 작아지면 압력이 커진다는 베르누이 원리 에 의해 공기 속도가 큰 날개 위쪽
은 공기 압력이 작고, 공기속도가 작은 날개 아래쪽은 공기 압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공기압
력이 큰 아래쪽에서 공기압력이 작은 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힘인 양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앞서
설명한 뉴턴의 제3법칙에 의한 양력 발생 설명과도 부합되며 결국 두 원리설명이 일맥상통함을 알 수 있
다.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02&contents_id=3133

2013 초등학교1 STEAM Coursebook 13


2013 박물관·미술관 전시품을 활용한 STEAM 교재

전통놀이에 대하여

지금까지 설명한 비행기 날개에 작용하는 양력은 비행기가 정지해 있을 때는 생기지 않는다. 비행기는 어
느 속도 이상으로 움직일 때에만 자신의 무게를 이기는 양력을 발생시킨다. 비행기는 자신의 무게를 이기
고 하늘로 떠오를 수 있는 최소한의 속도 이하에서는 비 행할 수가 없으므로 최소속도이상이 될 때까지는
지상에서 활주를 한 후 이륙하게 된다. 착륙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지상 활주가 필요하다. 비행기가 추락하
지 않고 착륙하기 위해서는 비행기 무게와 같은 크기의 양력을 유지한 채 지상에 접촉해야 한다. 그러므로
비행기가 땅에 닿는 순간 속도는 최소속도정도일 것이다. 최소속도 정도로 땅에 닿은 비행기는 속도를 줄
여 정지하기위해 지상 활주가 꼭 필요하다. 반면 점프제트기는 엔진의 노즐방향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추
진력의 반작용으로 양력을 얻어 수직으로 이륙한다.

14 국립중앙과학관 National Science Museu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주제 : 전통놀이 속 과학의 원리

관성의 법칙

뉴턴은 1687년 <프린키피아>에서 고전역학을 집대성하며 자신의 운동 법칙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그 첫


번째가 관성의 법칙이다. 관성의 법칙이란 다음을 말한다.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운동하는 물체는 계속 그 상태로 운동하려고 하고,


정지한 물체는 계속 정지해 있으려고 한다."

이 내용은 갈릴레오나 뉴턴의 근대과학 이전 중세를 지배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역학관에 정면으로 반대


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물체가 똑같은 운동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끝없이 힘이 제공
되어야만 한다.
이렇게 물체에 힘을 제공하는 기동자가 물체에 직접적으로 접촉해야 운동이 일어난다. 기동자가 없어지거
나 물체와의 접촉이 중단되면 물체는 자신의 운동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그러나 관성의 법칙에 의하면 외
력이 없는 한 물체는 자신의 원래 운동 상태를 유지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기본적으로 물체의 운동을 하나의 정지 상태에서 다른 정지 상태로의 변화로 이해했다.
즉 아리스토텔레스에게는 물체의 정지상태가 물체의 운동 상태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었다.
그러나 뉴턴이나 혹은 근대 과학의 시대를 열었던 갈릴레오에 의하면 물체가 정지한 상태는 운동하는 상태
의 특수한 경우이다. 운동 상태가 바뀌는 것은 물체의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이다. 즉, 힘은 운동의
상태를 바꾸는 요인이다.
관성의 법칙은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 성립한다. 이 말을 뒤집으면 외부에서 힘이 작용할 때 관성
은 깨진다. 관성을 바꾸고 싶으면 밖에서 어떻게든 힘이 작용해야 한다. 작심삼일로 끝나기 일쑤이지만 연
초마다 사람들이 새로운 계획을 세우는 것도 '연초'라는 외부의 힘으로 자신의 관성을 바꾸려는 시도이다.
흔히 담배를 끊을 때 주위 사람들에게 그 사실을 널리 알리라고 한다. 이런 행위는 스스로가 원래의 관성을
타파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하나의 계기를 만드는 행위이다. 이는 스스로 외부로부터 힘을 빌리는 것과도
같다. 외부의 힘이 없이 자기 혼자서 관성을 바꾸기란 무척 어렵다. 이처럼 개인이든 조직이든 스스로의 의
지와 노력으로 잘못된 습관을 고치기 어려우면 외부의 힘을 적절하게 빌려 보는 것도 괜찮은 생각이다.
내가 보던 드라마를 바꾸는 것도 그냥 쉽게 바뀌지 않는다. 타 방송사에서 훨씬 더 재미있는 드라마가 나오
지 않는 이상 나의 채널은 고정된다. 시청률이 부진한 드라마는 아무리 새로운 인물을 투입하고 스토리를
비틀더라도 시청률을 만회하기 어렵다. 그래서 조기종영의 운명을 맞이하기가 일쑤다. 같은 힘을 들여 새
로운 관성을 만들 때 잘못된 길로 가는 관성을 뒤집는 것이 그만큼 더 어렵기 때문이다. 세 살 버릇은, 대체
로 여든까지 가게 마련이다.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0&contents_id=893

2013 초등학교1 STEAM Coursebook 15


S cience T echnology E ngineering A rts M athematics
2차시

외줄타기 놀이기구 만들기


<학습 목표>
•외줄타기 놀이기구를 통해서 무게중심 원리에 대해 알 수 있다.
2013 박물관·미술관 전시품을 활용한 STEAM 교재

외줄타기 놀이기구 만들기

학습목표 외줄타기 놀이기구를 통해서 무게중심 원리에 대해 알 수 있다.

관련전시물 전통놀이 체험관

준 비 물 종이, 가위, 찰흙, 실, 철사 등

STEAM 요소 ◉ E/T 무게중심을 이용한 놀이기구 ◉ S 무게중심 ◉ A 인형제작하기

권장 학습 장소 ◉ 온라인 ◉ 학교 ◉ 박물관

수업단계 활동자료 소요시간

도입 ○ 줄타기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기 ( T , S ) 4분

○ 무게중심을 잡는 방법에 대해 생각하기 ( S )

전개 ○ 무게중심을 이용한 놀이기구 제작하기 ( S , T , E ) 35분

○ 놀이 경험 나누기 ( A )

정리 ○ 다음 차시를 예고 21분

18 국립중앙과학관 National Science Museu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주제 : 전통놀이 속 과학의 원리

무게중심 놀이기구 만들기

줄타기 놀이에 숨겨진 비밀은 무엇일까요?

문제확인 줄타기 광대는 어떻게 외줄에서 균형을 잡을 수 있을까요?

줄광대가 줄을 타고 있습니다. 줄 위에서 걷고, 돌고, 점프를 합니


다. 어떻게 이런 것이 가능할까요? 줄타기에 숨어있는 과학적 원
리를 줄타기 놀이기구를 만들면서 알아봅시다.

http://blog.daum.net/pine19/13991138

대안탐색 및 선정 무게중심을 잡는 원리를 생각해봅시다.

외줄타기를 잘하기 위해서 알아야할 과학적 원리를 무엇일까요?


그림에서 잠자리는 작은 나뭇가지에 균형을 잡고 앉아있습니다. 어떤 원리로 이것이 가능할까요?

무게중심의 원리에 의해서 가능합니다.

줄타기 광대는 부채를 항상 갖고서 줄에 오릅니다. 부채의 역할이 무엇일지 생각해보세요.

부채를 흔들면서 무게중심을 이동합니다.

부채가 균형을 잡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합니다.

2013 초등학교1 STEAM Coursebook 19


2013 박물관·미술관 전시품을 활용한 STEAM 교재

외줄타기 놀이기구 만들기

계획하기 줄타기 놀이기구를 만들기 위한 계획을 세워 봅시다.

어떤 방법을 이용해서 만들 수 있을까요?

어떤 재료들을 사용할지 정해봅시다.

실행하기 줄타기 놀이기구를 만들어 무게잡기 놀이를 해봅시다.

1. 두꺼운 종이로 만들어진 삐에로 그림을 자릅니다.

20 국립중앙과학관 National Science Museu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주제 : 전통놀이 속 과학의 원리

2. 자른 삐에로 그림 뒤에 철사를 붙입니다.

3. 철사의 양쪽 끝에 고무찰흙을 붙여줍니다.

4. 친구들과 재미있게 줄타기 놀이를 합니다.

2013 초등학교1 STEAM Coursebook 21


2013 박물관·미술관 전시품을 활용한 STEAM 교재

외줄타기 놀이기구 만들기

평가하기 줄타기 놀이기구 원리를 알아봅시다.

무게중심 놀이기구에 숨겨진 과학적 원리를 찾아봅시다.

1. 찰흙을 양쪽 발에 붙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무게 중심을 잘 잡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2. 찰흙을 붙이면 무게중심이 어떻게 될까요?

인형의 무게 중심이 아래쪽으로 옮겨져 중심을 잡기가 쉽습니다.

3. 무게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해보세요.

실보다 아래쪽에 찰흙을 달면 무게를 잡기 쉽습니다.

4. 실제 줄타기에서 줄타기 광대가 무게중심을 잘 잡기 위해서 어떤 방법을 사용할지 생각해봅시다.

부채를 흔들어 무게중심을 잡습니다.

오랫동안 연습해서 균형감각을 키웁니다.

22 국립중앙과학관 National Science Museu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주제 : 전통놀이 속 과학의 원리

생각해 보기 줄타기 명인 김대균 선생님의 삶

많은 사람들이 둘러 앉아 줄광대의 줄타기를 보고


있습니다. 아슬아슬 재주를 넘는 광대를 보면서 사
람들은 즐거워합니다.
줄타기의 명인 김대균 선생님의 이야기를 들어봅시
다.

"제가 외줄타기를 선생님으로부터 배우기 시작했던


시기는 초등학교 2학년에 다니던 아홉 살 때부터였
습니다.
돌이켜보면 그렇게 10대 때 줄을 배워 20대 때부
터는 줄 위를 날아다녔지만 30대가 돼서야 줄을 탄다는 것이 무엇인지 조금은 알았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지
금의 40대 중반에 되어서야 외줄을 탄다는 것은 내가 여전히 안개 속을 걷는 것이겠지만 외줄과 동화되어 내가
나를 줄 위에 내려놓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는 것입니다."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줄타기의 명인 김대균

명인이라는 이름이 붙기까지는 굉장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여러분도 자신의 꿈을 실현하기 위한 명인이 되고 싶지 않나요?

2013 초등학교1 STEAM Coursebook 23


2013 박물관·미술관 전시품을 활용한 STEAM 교재

외줄타기 놀이기구 만들기

무게중심

무게중심이라는 개념은 본래 물리학에서 시작됐다. 때문에 무게중심이라는 개념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중력에
의한 알짜토크가 0인 점', '중력의 합력의 작용점' 등의 풀이가 나오며 단번에 이해하기 어려운 물리용어가 되어
버린다.
하지만 무게중심은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는 '생활밀착형' 단어다. 즉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는 무게중심
을 가지고 있다. 무게중심은 물체 각 부분에 작용하는 중력들이 모아지는 작용점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다시 말
하면 물체의 무게가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도록 공평하게 나눠주는 지점을 말한다.

무게중심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은 바로 '중력'이다. 즉 중력이 있어야 무게중심이 있을 수 있다.


중력은 지구가 지구 위에 있는 물체를 끌어당기는 힘이다. 물체가 받는 중력, 즉 지구가 물체를 당기는 힘이 바
로 우리가 말하는 물체의 '무게'다. 무게중심의 영어 이름은 'center of gravity'로, 중력의 중심 이라는 뜻이다.
무게는 결국 중력의 효과이기 때문에 무게 중심이나 중력중심이나 같은 개념으로 볼 수 있다.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57&contents_id=17873

24 국립중앙과학관 National Science Museu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주제 : 전통놀이 속 과학의 원리

오리의 걸음걸이.

오리는 몸통과 머리의 무게중심을 이은 선 위에 있다(A), 오리가 머리를 앞으로 내밀면 오리 전체의 무게중심도
앞으로 이동한다(B), 몸통이 머리를 따라 앞으로 이동하면 무게중심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C).

그렇다면 사람은 왜 머리를 앞뒤로 움직이지 않고도 잘 걸을 수 있는 걸까.


흔히 사람은 팔만 흔들며 걷는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목, 어깨, 허리 등 거의 모든 관절을 사용해서 걷는다.
때문에 몸의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는 방법도 각자 체형마다 조금씩 다르다.

결국 사람마다 걸음걸이가 다른 이유도 무게중심으로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겠다.

2013 초등학교1 STEAM Coursebook 25


S cience T echnology E ngineering A rts M athematics
3차시

발전하는 전통놀이
<학습 목표>
•세계로 나아가는 전통놀이의 모습에 대해 알 수 있다.
•전통놀이를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
2013 박물관·미술관 전시품을 활용한 STEAM 교재

발전하는 전통놀이

세계로 나아가는 전통놀이의 모습에 대해 알 수 있다.


학습목표
전통놀이를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

관련전시물

준 비 물 필기도구

STEAM 요소 ◉ A 감사의 마음 전하기

권장 학습 장소 ◉ 온라인 ◉ 학교 ◉ 박물관

수업단계 활동자료 소요시간

도입 ○ 세계 속으로 나아가는 우리 문화에 대해 소개하기 ( A ) 4분

○ 새로운 국악의 모습 살펴보기 ( A ) 10분

전개 ○ 새로운 판소리의 모습 살펴보기 ( A ) 10분

○ 우리 문화에 대한 소중한 마음을 편지로 적어보기 ( A ) 10분

정리 ○ 수업 소감을 말하며 정리하기 6분

28 국립중앙과학관 National Science Museu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주제 : 전통놀이 속 과학의 원리

다양한 변화를 하고 있는 전통놀이

생각해 보기 변화하는 국악의 모습을 살펴봅시다.

< 월드스타 싸이와 소리아밴드, 백악관 공연으로 한국문화를 알리다. >

월드스타 싸이가 미국 백악관 행사(White house correspondents dinner 2013)에 참여하여 연일 미디어를 뜨겁
게 달구고 있습니다. 이 행사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을 비롯하여 니콜 키드먼, 제시카 알바, 마이클 더글러스, 스
티븐 스필버그 감독 등 유명 인사가 대거 참석하는 자리로 한국 가수 '싸이'의 국제적인 위엄을 확인할 수 있었
습니다.
이에 과거 백악관에서 초청된 국내 아티스트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데, 여성 크로스오버 '소리
아밴드(SOREA Band)'가 가수 싸이 보다 2년 앞서 한국 뮤지션 최초로 백악관 초청을 받아 주목을 받고 있습니
다. '소리아밴드'는 국악기 연주와 현대적인 사운드, 그리고 팝 보컬리스트가 어우러져 새로운 장르의 음악을 개
척해 가고 있으며, 한국문화를 대중화, 현대화하여 세계인들이 함께 문화적 소통을 이어갈 수 있는 음악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젊은 국악인들의 새로운 도전으로 국악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발전하는 국악의 모습을 조사해보세요.
그리고 이것은 우리에게 어떤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지 생각해봅시다.

국악의 발전으로 전세계 많은 사람들이 우리나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을 할 것이다.

2013 초등학교1 STEAM Coursebook 29


2013 박물관·미술관 전시품을 활용한 STEAM 교재

발전하는 전통놀이

생각해 보기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는 판소리의 모습을 알아봅시다.

< 세계에 펼쳐진 우리의 판, 이자람의 '사천가' >

사천가는 이미 국내외에서 수 차례 공연되었던 작품으로서 독일의


극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서사극 ‘사천의 선인’을 바탕으로 한
국적 상황에 맞게 이야기를 만들어내 우리나라와 해외에서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사천가는 착하게 살고 싶은 주인공이 착하게 살수 없게 만드는 세
상에 대한 풍자와 해학이 담겨진 작품으로 이자람씨 본인이 직접
극을 만들었습니다.
기존의 판소리는 고전의 이야기를 정해진 틀에서 진행해서 젊은
사람들에게 재미가 없다. 들으면 지루하다는 평을 듣곤 했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판소리를 외면하고 있습니다. 이런 창작 판
소리를 시작으로 판소리가 더욱 대중화 되고, 많은 사람에게 사랑
을 받을 수 있는 문화유산으로 이어져야 하겠습니다.

사천가 공연 장면을 찾아보세요. 그리고 보고난 느낌을 적어보세요.


그전에 알고 있던 판소리랑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적어보세요.

기존의 판소리처럼 한사람이 극을 이끌어 갑니다.

다양한 의상 및 소품을 활용해 마치 뮤지컬처럼 이야기를 진행해 갑니다.

현대 이야기를 함으로써 알고 있던 판소리에 비해서 재미있습니다.

TIP http://www.youtube.com/
watch?v=EdbyWVIYEeA#t=86

30 국립중앙과학관 National Science Museu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주제 : 전통놀이 속 과학의 원리

우리 문화를 지키고 발전 시키는 분들에게


우리 전통놀이는 우리민족의 문화유산으로써 그 가치는 무한하다고 할 수 TIP
있습니다. 하지만, 판소리, 국악, 전통놀이 등은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 우리의 문화유산을 지
키기 위해서 노력하는
지 못하고 하찮게 여겨졌던 시간들이 있었습니다.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
그렇지만 이제는 그 중요성을 다시 깨달아 문화유산을 지키고 발전시키려 을 가진다.
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우리의 것을 지키고 발전시키는 이들의 노
력에 감사하면서 편지를 적어봅시다.

2013 초등학교1 STEAM Coursebook 31


2013 박물관·미술관 전시품을 활용한 STEAM 교재

발전하는 전통놀이

참고문헌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02&contents_id=3133
베르누이의 원리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0&contents_id=893
관성의 원리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57&contents_id=17873
무게중심 관련 자료

참고사이트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uji6745&logNo=70172342982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a_plugin&logNo=30138730996
소리아 홈페이지

32 국립중앙과학관 National Science Museum


2013 박물관·미술관 전시품을 활용한 STEAM 교재

2013 초등학교 ❶

STEAM
인쇄일 2013년 12월 25일
발행일 2013년 12월 30일

발행처 국립중앙과학관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481 (구성동 32-2)
Tel 042.601.7894~6
www.science.go.kr
발행인 최종배 (국립중앙과학관장)
편집인 윤용현, 민병철, 채대명 (국립중앙과학관 교육문화과)
집필진 총 괄 : 최유현 (충남대학교 기술교육과 교수)
집필진 : 정정숙 (청주 원평초 교사)

인쇄 (주)프랜즈아이플러스
대전광역시 중구 용두동 147-5번지
Tel 042.221.8315 Fax 042.221.8314

Ⓒ 국립중앙과학관
국립중앙과학관 STEAM 교재에 실린 내용의 무단전제와 복제를 금합니다.

발간등록번호 11-1710115-000010-0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