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사회문제명 : 문화소외

문제정의
(정의) 문화소외는 성별, 종교, 인종, 세대, 지역, 정치적 견해, 사회적 신분, 경제적 지위나 신체적
제약 등으로 인하여 문화권*을 보장받지 못하거나 문화적 경험이 부족한 상태를 말하며, 특히 이러한
상태에 있는 사람을 문화소외계층**이라 함

- (문화권)* 모든 국민은 성별, 종교, 인종, 세대, 지역, 정치적 견해, 사회적 신분, 경제적 지위나 신체적
조건 등에 관계없이 문화표현과 활성에서 차별받지 아니하고 자유롭게 문화를 창조하고 문화활동에
참여하며 문화를 향유할 권리(문화권)를 가짐(문화기본법 제4조. 국민의 권리)

- (문화소외계층)** 경제적・사회적・지리적 제약 등으로 인하여 문화예술을 향유하지 못하고 있는 자


(문화예술진흥법 제15조 3)로, 문화예술을 향유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한 사람(동법 시행령 제23조의 2)

현황분석
(문화격차) 문화향유 측면에서 지역・연령・소득・장애여부 등의 조건에 따라 문화격차 현상이 존재함
- 2019년 코로나 발생 이후, 문화향유율은 전세대, 전지역, 소득차이를 불문하고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기존의 문화격차는 유지되거나 연령, 소득에 따라 심화
- 문화예술행사 관람률(’21년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의 문화격차 현상(’19년도 → ’21년도)
∙ (지역) 대도시 84.1% → 39.2%, 읍면지역 71.4% → 21.7%
∙ (연령) 20대 97.4% → 63.8%, 30대 91.5% → 42,2%, 60대 64.9% → 17.5%, 70세 이상
49.9 → 5.6%
* 연령에 따른 문화격차는 더 심화되고 연령이 높은 수록 관람율이 저조
∙ (소득) 600만원 이상 92,5%→48.9%, 100~200만원 60.4%→14.4%, 100만원 미만 51.7%→14.7%
* 소득이 낮을수록 문화예술행사 관람율이 더 저조

-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율(’20년 장애인생활체육실태조사)은 ’19년 대비 0.7% 감소


∙ 조사시작 2006년 이후 증가 추세였으나, 코로나 19로 다소 감소(장애인 생활체육 완전실행자
24.9% → 24.2%)

(정책사업의 대상 범위) 문화체육관광부의 소외계층문화순회 사업의 대상은 경제적 소외계층, 사회적


소외계층, 지리적 소외계층, 특수 소외계층, 순수예술관람이 어려운 자 등으로 포괄적으로 접근
- 경제적 소외계층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임대주택 거주자 등
- 사회적 소외계층 : 장애인, 노인, 재활원, 요양원, 보육원, 쉼터 등 사회복지시설 이용자, 소아병동
환자, 외국인 노동자 등
- 지리적 소외계층 : 읍・면・동・도서(섬), 산간벽지, 공단지역 주민 등
- 특수 소외계층 : 교정시설 수용자, 다문화가정, 새터민, 군인 등
- 순수예술 관람이 어려운 자 : 기타 연간 순수예술 관람 경험이 없거나 적은 문화소외계층

(문화소외 요인의 중복) 소외요인이 중복될수록 기하급수적으로 문화향유의 정도가 낮아짐


- 일반적으로 고령 소외이거나 신체 소외의 경우 경제 소외를 함께 보유하고 있을 확률이 높음
* 문화소외계층의 신계층화 : 이중소외집단, 삼중소외집단 등 새로운 소외요인 중복현상에 따라 새로운 계층화 현상

(디지털 문화 시대 도래) 코로나19에 따른 문화소외 계층의 급격한 증가와 역차별 예상


- 디지털 문화의 빠른 확산으로 새로운 문화소외 계층 증가 및 문화소외 문제 발생

원인분석
사회적 불평등과 연관된 문화격차
- 문화활동에 대한 접근과 이용이 각 개인마다 다르게 작용하는 문화 불평등 현상
- 문화접근도와 문화이용도 측면에서 격차 현상이 나타남
- 소득, 성별, 연령 등의 차이로 디지털 기기에의 접근, 활용차이(디지털 디바이드)가 발생하고, 디지털
문화격차 발생

문화인프라 시설의 편중으로 인한 접근성의 문제


- 기초 지자체 단위에서 문화인프라는 부족하며, 시설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전문인력 확충이나
기관 간 협력체계 필요
* 전체 문화기반시설의 36.2%가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에 집중(’20년 전국문화기반시설 총람)
* 문화기반시설이 공공도서관, 박물관에 집중되어 있어서(’20년 전국문화기반시설 총람), 영화 등을 요구하는
문화향유자의 수요(’21년 문화향수실태조사)와 불합치

지역사회 문화시설이나 상품・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제한


- 고령층이 대부분인 지역사회에서 문화활동에 접근하기 위한 이동성이 제한되고, 문화단체나 상품
및 서비스가 도달하는데 많은 시간과 제약이 뒤따름
- 실제 문화관련 서비스는 찾아가는 서비스의 유형이 적합하나, 코로나 19 등 전염병 확산의 위험,
소득감소 등의 요인으로 문화향수 기회가 절대적으로 감소

일 중심의 사회와 일-삶의 불균형


- 일과 삶의 균형(WLB : Work-Life Balance)의 가치가 중시되고 있으나, 여전히 일 중심의 사회
* OECD BLI의 ‘일-삶의 균형’ 영역에서 한국인의 균형수준은 41개국 중 35위(3.8점/10점 기준)
* 장시간 근로자 비율 37위/41개국, 여가와 개인적 돌봄시간 25위/41개국

- 장시간 노동, 여가시간 부족, 여가에 대한 인식 부족, 문화활동 경험의 부족 등으로 일-삶의 불균형 문제
주 : 1) OECD의 BLI 결과는 실시간으로 결과가 상이하므로 기준시점에 따라 결과 값이 상이함. 본 분석의 시점은 2022년
8월 10일 기준임
2) 일-삶의 균형 영역은 2개 하위 지표를 포함하며, 0~10점으로 응답함
출처 : http://www.oecdbetterlifeindex.org/topics/work-life-balance/

국내외 대응
[국내]
국민의 문화향유권 확대 및 지역문화 균형발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기본권 확보 및 코로나19에
대응하여 디지털 기술 활용 강화

문화나눔 사업

- (통합문화이용권 사업 : 문화누리카드 사업) 저소득층에게 문화・여행・스포츠 향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계층간 문화양극화를 줄이고 삶의 질 고양을 도모하는 바우처 방식의 문화복지사업
∙ 문화 향유 지원으로 삶의 질 향상 및 문화격차 완화 목적
∙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 계층(6세 이상) 대상 문화・여행・체육 활동 관련 가맹점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문화누리카드’ 발급(2016년 153만명, 연간 5만원 → 2021년 197만명 연간 10만원 지원)
∙ 통합문화이용권은 6세 이상의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의 문화향유 활동 지원

- (나눔티켓) 저소득층의 문화향수권 신장 및 삶의 질 제고, 문화예술 체험을 통한 문화감수성, 창의성을


개발하기 위해 문화예술단체로부터 객석을 기부 받아 회원들이 무료 또는 할인된 가격으로 좋은
공연이나 전시를 관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

문화비 소득공제를 통한 문화향유 기회 확대(기재부, 문체부)

- 조세특례제한법 제126조의2제2항제3호 각목에 따라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도서구입, 공연관람,


박물관, 미술관 입장, 신문 구독 등에 사용한 금액에 대한 추가 소득공제 실시

- 도서・공연비 최초 적용(18년), 박물관・미술관 입장료(’19년), 신문구독료(’21년) 확대

생활문화시설(SOC) 확대를 통한 접근성 개선

- 생활 속 기본문화시설 확대 : 생활문화센터, 박물관・미술관, (공공/작은) 도서관, 국민체육센터 등

- 시설 운영의 복합화 및 내실화를 통한 국민 이용 편의 향상 : 생활문화시설 복합화, 시설운영의 체계화,


인력 지원 등

지역문화활력 촉진(문체부 2022년 업무계획)

- 지역 소멸 위기에 직면한 지자체 대상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문화활력 촉진 사업 공모・선정 계획


(6개 지자체, 각 7.5억원)
* 예시 : 고령화-다문화 문제 해결형 문화프로그램, 도서・접경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문화프로그램, 기존 시설을
활용한 문화특화공간 조성 등
문화소외 계층 대상별 맞춤형 문화예술 활동・교육 지원 확대(문화체육관광부)

- (학교 밖 아동・청소년) 한국형 엘 시스테마* ‘꿈의 오케스트라’ 음악교육 지원 확대


* 엘 시스테마 : 베네수엘라의 빈민가 청소년 대상 음악교육. 오케스트라 상호학습을 통해 바른 성장 유도

- (장애인) 국악・무용・미술・연극・영화 등 6개 분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지원 확대

- (농어촌・다문화 가정 등) 움직이는 예술정거장, 찾아가는 프로그램 지원

- (북한이탈주민) 남북간 문화 이질감 해소, 안정적 정착 지원을 위한 문화예술 활동 운영

문화소외계층을 위한 생활 속 문화유산 향유 확대(문화재청)

- (동행 관람서비스) 고령층, 장애인, 임산부 등 특수 문화 사각지대 계층을 위한 문화재 동행서비스 실시

- (이동형 체험관 운영) 문화소외 계층・지역 대상 「이동형 디지털 문화유산 체험관」 운영(’20년 한국의
정원 영상 체험관, 남해안 공룡화석지 360VR 체험관 운영)

- (시각장애인 멀티미디어 점자책 보급) 특수 문화소외 계층인 장애인 중 가장 문화 향유에 소외 받고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문화재 멀티미디어 점자책」 보급(’20년 천연기념물 동물, ’21년~’24년
자연유산 및 문화유산 멀티미디어 점자책 보급)

취약계층 관광 지원(문체부, 관계부처 합동, 관광진흥기본계획 2022년 시행계획)

- 특수(장애)학교, 방과후 아카데미, 학교밖 청소년, 북한이탈 청소년 등 취약계층 청소년 대상 문화관광체험
여행 지원(6,000명 내외, 1인당 10만원 내외)

- 무장애 관광환경조성(열린 관광지 등), 무장애 정보제공 및 서비스 개선


* 열린 관광지는 ’22년 기준 누적 112개소 선정되어 있고, 도시개 교통(이동권 보장), 민간시설을 포함한
관광인프라 개선 중)
* 무장애 관광정보 플랫폼 개시 및 고도화 추진, 무장애 여행정보(숙박, 식당, 관광지 등) DB 발굴 및 현행화,
무장애 관광 컨텐츠 개발, 시각장애인을 위한 특별한 관광가이드북 제공

- 관광약자를 위한 맞춤형 여행상품개발, 장애인・고령자 등 관광약자 대상 나눔여행지원학대, 무장애


인식개선 교육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지원 사업 추진(2022년도 성과관리 시행계획)


- 온라인 문화예술교육지원 수혜자 확대(’20년 2,509천 명 → ’22년 2,730천 명)
- 아동, 청소년대상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상상학교(방과후 문화예술교육지원 사업), 예술꽃 씨앗학교
(문화소외지역 소규모 학교 대상 등 지원
- 고령층은 생애전환 문화예술학교운영 및 노인복지관 등를 활용하여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

디지털 포용사회 구현 정책(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도 업무계획)


- 디지털을 기본권 수준으로 보장하기 위하여 디지털 포용국가 기본계획(디지털 포용 2.0) 마련 및
전국 1,000개소에 디지털 배움터 운영으로 50만 명 교육
[국외]
문화에 대한 권리와 문화접근성 향상
- (프랑스) 1990년 ‘문화에 대한 권리(le droit de la culture)’ 개념 도입
- 프랑스의 문화에 대한 접근성은 특히 1998년 문화소외와 관련된 법 제140조에서 “전 생애에 걸쳐
문화, 스포츠, 바캉스, 여가활동에 대한 모든 이들의 평등한 접근은 국가의 목적이다. 그리고 이를
통한 시민권의 유효한 행사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명시
- 문화통신부 산하에 2003년부터 ‘접근성을 위한 문화단체들의 모임(Réunion des établissements
culturels pour l'accessibilité, (RECA)’을 결성해서 운영
- (영국) 2018년 ‘문화는 디지털이다(Culture is Digital)’ : 문화 전반에 디지털 기술 활용 장려 정책 추진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대중참여 확대


- 영국 문화유산 구글 아트 앤 컬쳐 서비스(Coogle Arts and Culture) 적용 확대
- 영국 예술위원회는 유산복권기금, Nesta, BBC 등 다양한 파트너와 협력하여 ‘Creative People
& Plaes 프로그램’과 같은 관련 프로젝트 추진・공유 : 흑인, 소수민족, 장애인 등 문화 소외 계층에
대한 다양한 편의 제공

문화소외계층의 문화경험 확대 지원
- 영국 예술위원회의 ‘새로운 관객개발 프로그램(New audiences programme)’ : 문화적 소외계층
(고령자, 청소년, 장애인 등)에 대한 문화적 경험 확대
- 프랑스의 문화예술 공연티켓 할인제도
- 이탈리아의 “Bonus Cultura” 제도 : 18세의 모든 청소년(외국인포함)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바우처
사업으로 500유로의 문화바우처를 제공하여 서적, 컨서트, 전시회, 박물관, 영화 등에 활용가능
- 프랑스의 “Pass Culture” 제도 : 만 18세의 프랑스 청년들에게 문화와 관련된 소비를 할 수 있는
500유로가 제공되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주변의 이용가능한 문화서비스 정보 제공
* 2018년 시범사업으로 시작하여 2019년 본격 시작
(the Public News, 손동기 호남대학교 교양융합대학조교수(2020), “정책-외국정책사례 :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청년들을 위한 공공문화서비스” 참조
- 미국 국립예술기금(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 NEA)의 문화접근성 지원금 제도
- 프랑스 파리시의 문화교육 야간강좌
- 미국의 알츠하이머의 시 창작 프로젝트(Alzheimer's Poetry Project : APP), 파킨스 질병을 위한
댄스(Dance for PD)
핵심키워드
(국문) 문화권, 문화소외계층, 문화격차, 문화복지, 일과 삶의 균형, 문화나눔, 문화접근성, 디지털
문화, 디지털 격차,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문화격차
(영문) Cultural Rights, the Cultural Disadvantaged Group, Cultural Divide, Cultural Welfare,
Work-Life Balance, Cultural Sharing, Cultural Accessibility, Digital Culture, Digital
divide, Digital literacy, Digital culture divide

참고자료
- 관계부처합동(2019), 생활SOC 3개년 계획(안)(2020-2022)
- 관계부처 합동(2022) 관광진흥기본계획 2022년 시행계획
- 문화체육관광부(2018),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
- 문화재청(2020), VR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문화유산 콘텐츠 자원화 연구
- 문화재청(2020), 2020년 디지털문화유산콘텐츠 제작 및 보급
- 문화재청(2019), 문화유산 미래 정책비전: 새로운 20년을 준비하다
- 국립문화재연구소(2020), 시각장애인을 멀티미디어 점자책 발간
참고문헌 - 문화체육관광부(2021) 2021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 문화체육관광부(2021) 2020 장애인생활체육실태조사
- 문화체육관광부(2021) 2021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
- 문화체육관광부(2022) 2022년도 업무계획 : 세계를 선도하는 문화강국 국민이 체감하는
문화일상
- 문화체육관광부(2022) 2022년도 성과관리 시행계획
- 문화체육관광부(2022) 2022 문화예술교육 시행계획
-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2), 2022년도 업무계획

- 문화누리카드 홈페이지(www.mnuri.kr)
- 문화제육관광부(www.mcs.go.kr)
참고사이트 - 법제처(www.moleg.go.kr)
-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www.kcti.re.kr)
- OECD BLI 홈페이지 (www.oecdbetterlifeindex.org/topics/work-life-balance/)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