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2023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온라인 제출용)

m 교 과 목 명 : 학교사회복지론
m 학 번 :
m 성 명 :
m 연 락 처 : 010-3946-0720
과 제 유 형
m : 공통형
(공통형/지정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1)

현대사회에서는 가족 구성원의 변화, 경제적 어려움, 학교폭력, 성폭력 등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정서적 안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학생들의 상담 및 지원, 가정폭력 예방 및 대처,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 학습지원,
진로상담, 건강증진 등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정서적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학교사회복지는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고 학교에서의 문제와 고민을
함께 나누며 대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학교
내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제공 및 활성화는
학교의 발전과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에 큰 도움이 됩니다.

2. 학교사회복지의 목적2)

학교사회복지의 목적은 학생들의 복지와 발달을 증진시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학교사회복지는 학생들의 다양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데 주력합니다.
학교사회복지가 제공되는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학교사회복지를 받은 학생들은 정서적 안정이
더해지고 학교폭력 등의 문제에 대한 대처 능력도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3. 학교사회복지의 개념3)
학교사회복지는 교육과 사회복지의 결합으로, 학생들의 복지와 발달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학교사회복지는 학교 내에서 학생들의 학습, 정서적 발달, 가족
문제, 학교폭력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입니다.

1) http://html6.tistory.com/618
2) http://html6.tistory.com/618
3) http://html6.tistory.com/618

- 1 -
프로그램으로는 학교상담센터, 학교보건실,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 프로그램, 가정폭력
예방 및 대처 프로그램, 학습지원 프로그램, 진로상담 프로그램 등이 있습니다.

2.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학교 한 곳

가. 학교명과 주소 : 불로중학교, 동구 방천로 5길 8

나. 해당 학교 및 지역의 지리적·사회적 특성에 대해 기술하시오.


- 지리적 특성
· 군소음피해 1종구역으로 금호강 건너 구도심 교육·문화 소외지역임.
· 도심의 변두리 지역으로 다리를 건너야 도심으로 연결되는 소외지역임
- 사회적 특성 : 학습, 문화적인 면에서는 소외지역이나, 학생들의 품성은 도심지
아이들보다 순박함.
- 교사 실태 : 교육과정특화형 모델학교 및 수평공동체 운영이 활발하여 예술 기반
교과융합에 강함.
- 예술교육 환경
· 음악실, 예술공감터, 학생카페, 숲길, 오케스트라 강사비 등 3억원 확보
· 문화관광부 <예술강사지원사업> 전문 강사 5명 확보
· 악기 90대 확보(1억원 상당) : 학교장 20대 기증, 악기교류 40대, 교비 등 30대

3. 해당 학교에서

가. 학교사회복지가 필요한 대상
- 기초생활수급권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등 저소득층
- 기초 학력 미달학생
- 학생현황

1차 대상학생 2차 대상학생
기초생활 중위
수급자 시설 법정 합계
차상 소득 다문
보호 한부 기타
위 소계 60% 화학 소계
생계 의료 주거 교육 대상 모가 학생
계층 이하 생
급여 급여 급여 급여 자 정
학생

12 3 5 11 0 0 7 38 14 22 33 69 107

- 2 -
나. 지원할 내용
- 오케스트라, 댄스, 캘리그라피, 디자인, 사진, 만화 동아리 중 택1.
- 강사비 2,500만원 지원(시교육청)

다. 구체적인 학교사회복지 실천방법


- 전교생 예술동아리 기반 융합교육(1학년)
· 교과, 창체, 방과후학교와 연계하여 주2회(4시간) 이상 전문강사와 코티칭
· 문화·예술 기반 융합교육 : 공연 프로포절 작성, 공연에 대한 생각 나누기 등
- 전교생의 문화감수성 및 문화소양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 문화·예술공연 관람 : 문화·예술 소외를 극복하고 심미안을 기를 수 있는 체험

일시 장소 내용 대상
6.15.(목) 14:00 학생문화센터 배틀시리즈Ⅱ 전교생 300명, 전직원 60명
7.11.(화) 전일 교육박물관 체험학습(학급형) 1학년 90명, 직원 10명
7.14.(금) 10:00 콘서트하우스 스쿨콘서트 전교생 300명, 전직원 60명
11. 2.(화) 14:00 학생문화센터 뮤지컬 전교생 300명, 전직원 60명
12.26.(화) 전일 예술창작터 예술창작(학급형) 3학년 110명, 직원 10명

- 지역 유관 기관과 학교의 교류를 통한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구축


- 마을 공동체 및 지역 축제 공연 활동을 통한 문화예술 나눔 활동 실시
- 교과, 창체, 방과후학교와 연계하여 주2회(4시간) 이상 전문강사와 코티칭
- 문화·예술 기반 융합교육 : 공연 프로포절 작성, 공연에 대한 생각 나누기 등
- 진로탐색활동 17시간 : 진로탐색활동, 진로체험활동
- 주제선택활동 68시간 : 문학, 연극, 광고, 신문과 뉴스, 생활 수학, 생활 영어
- 체·음·미활동 68시간 : 감상과 표현, 아트인, 손 피아노, 칼림바, 우쿨렐레, 핸드벨
- 동아리활동 17시간 : 연극, 영화, 디자인, 사진, 만화, 캘리그라피, 댄스, 오케스트라
- 연합동아리 운영
· 지역축제 참여 봉사활동으로 지역사회에 기여, 재능 나눔으로 내적 성장 도모
· 교과서 작품(낮은 수준)을 주로 하며, 협력활동을 통하여 흥미와 관심을 높임
· 전문단체(아양아트센터 교향악단)와 연계를 통한 자문단 및 강사진 구성
- 방학 중 캠프 : 학생들의 실기집중 이수 시간을 확보
- 페스티벌(동아리 합동 전시·공연)
· 참여하는 예술, 체험하는 예술, 즐기는 예술로의 발전
· 일 년 동안의 예술숲학교 운영 성과를 공유(12.21.(목))
· 교육공동체와 지역 주민이 함께하는 축제의 자리로 기획하여 운영(저녁 시간)

- 3 -
· 마을 축제 출연 봉사
· 창의적 체험활동(봉사활동)과 연계하여 전교생을 대상으로 운영
· 벚꽃 축제, 어르신을 위한 음악회(동구청, 교육지원청, 진명복지재단과 MOU)
· 합동 연주(불로초, 경상고와 협연): 학교 앞(캠페인), 공항, 불로시장
- 교직원·학부모 연수
· 교사들의 예술체험을 통해 예술적 감수성을 높이고 즐거움을 체감
· 운영 방향 및 가치, 비전의 공유, 평가회
· 지저동행정복지센터 문화교실(플룻) 운영을 통한 행복한 마을 공동체 형성

라. 시사점
- 삶(몸)에 기반한 배움으로 융합(진로)교육에 자신감을 가진다.
- 공동체 활동을 통하여 사회적 존재로서의 자신을 발견한다.
- 학교 교육과정, 방과후학교, 생태적 마을교육공동체와 교육의 연계를 지향한다.
- 경연대회 참가는 지양하고, 참여 과정에서 느끼는 배움과 즐거움에 집중한다.
- 특별교실과 일반교실을 최대한 활용하여 일상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환경을 확충한다.

- 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