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4

I.

한국의 주요 사회 문제
현황: • 공업화 시기 이전 → 한국은 ???
→ 주로 농업
• 1960 년 이후 → 한국은 ???
→ 농림 수산업의 비율☟ >< 광공업과 서비스업의 비율☝
🡪 산업 구조가 고도화
• 3 차 산업 이후부터 → 한국은 ???
→ 인구 비율 꾸준히 증가 (1960 년 27%,
1970 년 32%, 1980 년 43%, 1990 년 55%, 2000 년 67%, 2005 년 69%)
1.산업
구조와 • 1 차 산업: 자연으로부터 재화를 채취하는 행위 (농림어업, 광업)
노동 • 2 차 산업: 재화를 변형, 가공, 조작하여 새로운 재화를 만드는 행위 (제조업)
시장의 • 3 차 산업: 서비스를 창출하는 행위 (서비스업)
고도화
산업 구조의 - 농업 부문 낙후
문제점 - 조립·가공업 발전 >< 부품·소재 공업 낙후
- 서비스업 과도 평창 (도소매·음식·숙박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비율이 너무 높다.)

노동 시장의 1) 정신노동 시장과 육체노동 시장의 분리 및 격차


문제점 � 대졸 노동 시장과 고졸 이하 노동 시장이 나뉘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2) 남녀 노동자의 고용 차별·임금 차별
3) 비정규직 노동자 수가 늘고 있고, 그들의 임금 수준과 노동 조건이 악화되고 있다.
4) 실업자률 ☝ // 외국인 노동자 고
• 2017 년 청년층(15~29 세) 고용률(42.1%)은전년보다 0.4%p 증가하고, 실업률(9.8%)은 동일함.
• 13~24 세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률은 48.7%로 3 년전(31.2%)보다 17.5%p 증가함.
• 2016 년 대졸이상 대비 고졸 임금수준은 20 대 전·후반 모두 전년보다 격차가 감소함.
*고졸 임금수준(대졸이상 임금=100.0, %) 
  20∼24 세 : 92.0(’15) → 92.6(’16) 25∼29 세 : 87.7(’15) → 89.0(’16)
• 청소년이 가장 근무하고 싶은 직장으로 「대기업」 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 국가기관·공기업·중소기업은 2 년
전보다 증가함.
● 비정규직 : 자신이 일하는 직장에서 정년을 보장 받는 정규직 근로자와 비교하여 정년을 보장 받지 못한 채, 일정 기간
동안만 일시적(1-2 년)으로 일하는 근로자를 가리킴.
● 노동시장의 유연성 → ?
→ 비정규직은 임금을 적게 주고, 해고를 쉽게하기 위해 등장함.
● 어떤 문제점:
→ 비정규직 문제로 인한 계층간 격차문제
→ 청년 비정규직 취업 증가
2.비정규직 ●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의 월평균 임금은 164 만 4000 원으로 정규직(300 만 9000 원)보다 136 만 5000 원 적었다.
문제 ● 1 년 전과 비교할 때 비정규직 임금은 7 만 5000 원(4.8%) 올랐다. 그러나 정규직 임금이 15 만 8000 원(5.5%) 늘어 정규직과의
임금 격차는 더욱 커졌다.
● 비정규직의 평균 근속기간은 1 년 전보다 1 개월 늘어난 2 년 7 개월이었다. 정규직(7 년 9 개월)과는 5 년 2 개월 차이가 난다.
● 비정규직의 1 주당 평균 취업 시간은 31.2 시간으로 1 년 전보다 1.5 시간 감소했다. 정규직(39.3 시간)보다 짧았다.
● 비정규직의 사회보험별 가입률은 건강보험 45.9%로 1 년 전보다 0.6%p 상승했다. 국민연금은 36.6%로 전년과 같았지만,
고용보험은 43.6%로 0.5%p 하락했다.
3.인구 문제 수도권 집중 ● '수도권 집중 현상‘ 이란 일종의 도시화 현상으로, 많은 나라가 겪는 문제이다.
현상 ● 속담: "사람은 서울로 보내고 말은 제주도로 보내라."
🡪 부작용: 집값 증가, 부동산 투기, 실업, 환경 오염…
● 행정안전부: 2018 년 말 한국의 주민등록 인구는 51,826,059 명으로 2017 년에 비해 47,515 명(0.1%)을
늘었다.
● 인구의 수도권 집중 현상
🡪 서울과 경기도에 인구 집중
① 서울은 세계 11 위의 슈퍼스타 도시다.
② 서울에는 부자들이 많이 산다.
(서울은 30 명에 가까운 억만장자가 사는 세계 11 위의 억만장자 도시다.)
③ 셋째, 사람들이 서울로 모인다
● 첨단기술 분야의 스타트업 집중: 디자이너, 작곡가, 시나리오 작가, 카피라이터, 마케터
● 문화시설 집중: 박물관, 음악당, 도서관
● 대중교통 시설 집중
● 3 분기 주택 매매가격 상승률 평가:
- 서울은 높다는 의견이 90%이상
- 반대로 비수도권은 80,4%로 적정 이하로 판단
평균 수명과 - 한국에서는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음.
고령화 - 독거 노인의 증가 등 노인 문제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도시화로 인해 노인 문제는 농촌에서 더욱 심각하게 나타남.
저출산 통계
지수
원인 - 급격한 인구 증가를 경험한 한국은 경제 발전을 위해 1960 년대부터 인구 억제 정책을 추진함.
- 급속한 도시화와 경제 성장으로 인해 한국인들은 자발적으로 자녀를 덜 낳게 되었고, 현재 한국의
출산율은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임.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 증가 → 특히,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은 한국의 경우, 양육비와 교육비
부담이 출산율 저하를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 여성의 사회 참여 증가 →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율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지만, 육아를 지원하는 시설과
서비스가 부족하여 여성이 일을 하며 아이를 기르기 어려운 환경도 출산을 피하게 된다.
- 의료 기술의 발달
- 결혼 연령 상승 및 미혼 인구 증가 등 사회.경제적 요인과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 변화
- 청년층의 취업이 어렵고 취업을 하더라도 고용 상태가 불안정한 경우가 많아 결혼과 출산을 미루거나
피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문제점 - 산업 전반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국가 전체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 저출산은 장기적으로 산업 활동에 투입되는 노동력 부족과 소비 인구 감소에 따른 국내 시장 수요의
감소로 이어지게 됩니다.
- 이러한 추세가 계속된다면 생산 인구의 감소와 경제 위축, 국가 재정 지출 증가 등의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
- 고령화 현상을 더 심각화하게 한다.
→ 소득을 벌 수 있는 인구에 비해 연금을 받으며 생활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높아져 사회 보장 비용 (
사회복지 비용)이 증가하다.
→ 세대 간 갈등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

해결 1. 출산양육비 부담 완화
정책 ① 아동수당 지급대상 확대: 7 세 미만 전체 아동 대상 월 10 만원 지급
( ② 가정에서 양육되는 86 개월 미만 아동 대상 가정 양육수당 지급 : (12 개월 미만)20 만원, (24 개월 미만)15 만원,
대책과 (86 개월 미만)10 만원
추진성 ③ 출산급여 사각지대 줄이기: 고용보험 미가입 일하는 여성 출산급여 지급(월 50 만원, 최대 3 개월 150 만원)
과 ④ 건강보험 혜택
(2020 - 생후 6 개월~중학교 1 학년(2007 년생)까지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 접종 지원
년 2 월 - 0 세 아동 외래 진료 부담 인하 : 21%~42%
기준) - 15 세 이하 아동 입원진료비 부담 인하 : 10%~20%
⑤ 임신·출산환경 개선
- 난임지원 연령기준(만 44 세 이하) 폐지, 지원횟수 확대(최대 17 회까지)
- 임신·출산의료비 지원강화 (국민행복카드 인상 50 만원 → 60 만원, 다태아 90 만원 → 100 만원)
⑥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지원
-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전국 27 개 시군구 대상 2020 년 1 월 1 일 이후 출산한 산모와 임산부에게
친환경농산물을 꾸러미 형태로 공급(12 개월, 연간 48 만원)
⑦ 2021 년까지 고교 무상교육 단계적 확대: 고등학교 2,3 학년으로 확대 시행
- 입학금, 수업료, 학교운영지원비,교과서비 지원으로 학생 1 인당 연간 158 만원 학비 부담경감 

2. 부모와 아이가 함께하는 시간 늘리기


①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확대: 10 일까지 유급으로 1 회 분할 사용가능
②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 육아휴직기간 포함 총 2 년까지 사용가능(1 일 1 시간부터 5 시간까지)
③ 가족돌봄휴가 확대: 가족돌봄이 필요한 경우 1 일 단위로 사용가능(1 년 10 일 범위)
④ 돌봄 대상인 가족의 범위 확대 : 부모, 배우자, 자녀, 배우자의 부모 → 조부모, 손자녀도 포함
⑤ 배우자 동시 육아휴직 허용: 같은 아이에 대해 부모 동시 육아휴직 가능
⑥ 출산전후(유산사산) 휴가급여 상한액 인상: 월 200 만원  
3. 평등한 출발을 지원하는 신혼부부 주거지원
① 임차가구 주거비 경감
② 신혼부부 주거자금 (주택구입, 신축, 임차) 대출이자 지원

4. 촘촘하고 안전한 돌봄체계 구축


① 보육의 공공성 강화
- 국공립 어린이집 등 공보육 이용률 40% 조기 달성
- 기본·연장보육 구분, 연장보육 전담교사 배치 등 보육지원체계 개편
② 유치원 공공성 강화
- 국공립 유치원 이용률 40% 조기 달성
- 회계 투명성 제고, 방과후 과정 및 돌봄 확대 등
③ 온종일 돌봄
- 초등 온종일 돌봄 (학교+마을) 2022 년까지 20 만 명 추가 확대
- 초등돌봄교실 700 개소, 다함께 돌봄센터 400 개소 신규 확충
④ 가정 내 돌봄지원
- 아이돌보미 처우개선과 돌보미 통합관리를 통해 우수인력 확보
- 정부지원 대상(중위소득 120% → 150% 이하)과 시간(연 600 시간 → 720 시간) 확대

5. 포용적 가족문화 조성
① 비혼 출산·양육에 불합리한 제도 단계적 정비
- 의료기관이 모든 출생아동을 국가기관에 통보하는 출생통보제 도입 추진
② 한부모 자녀 1 인당 아동양육비 지원 확대
- 일반 한부모(만 25 세 이상): 만 14 세 미만 월 13 만원 → 만 18 세 미만 월 20 만원
- 청소년 한부모(만 24 세 이하): 월 18 만원 → 월 35 만원
③ 임신·출산 관련한 갈등상담 체계 마련
- 위기 임신·출산 상황에서 24 시간 긴급 상담, 기관연계 등 서비스 제공
④ 학생 미혼모 학습권 보장 강화
- 학생 미혼모 위탁교육기관 전국 확대 시행

4.불평등, 성별 차별 - 가부장제 : '가(집에서) 부(아버지 또는 남편이) 장(대장인) 제(제도)'이다.


양극화 - '남아 선호' 사상
문제 - '삼종지도'
- 옛날: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 오늘날: "암탉이 울면 새벽이 온다."
-
소득 불평등과 - 소득 불평등: 개인 간 경제적 자산과 소득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불평등
양극화 - 소득 불평등은 빈곤층과 부유층 간의 물질적 격차를 포함.
- 소득 불평등이 증가하는 현상을 경제 양극화라고 부름.
- 양극화: 사회 불평등의 전체적 양태를 가장 대중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개념.
- 중간소득 계층의 줄면서 부유층과 빈곤층으로 소득집단이 양분되는 현상을 의미함.
II. 21 세기 한국 사회: 미래와 새로운 변화
1.다문화사회 - 세계 주요국은 저출산고령화 대책으로 이민을 허용하는 추세
- 인구감소, 고령사회 진입 및 국제결혼 증가와 외국근로자 유입으로 한국사회는 다문화 사회로 이행 중

2.한류의 확산

3.경제적 세계화

4. 한국 사회의 • 불평등, 양극화


미래 • 저출산·고령화/초고령화
• 미래세대 삶의 불안정성
• 고용불안
• 북한과 안보/통일문제
• 기후변화와 자연재해
• 저성장과 성장전략 전환
• 성장과 복지를 동시에 고려하는 복지국가
문화재
1. 문화재 정의 문화재 문화적 가치가 있는 사물, 즉, 보존할 만한 가치가 있는 민족의 문화유산을 말한다.
• 1984 년에 개정된 문화재보호법의 정의(제 22 조)에 의하면 문화재를 크게 유형문화재와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자료
등으로 구분하였다.

2. 문화재 분류
• 문화재 보호법에 따라 지정 보호되는 국가지정문화재와 시도문화재보호 조례에 의한 시도지정문화재, 법령으로
지정(인정, 등록) 되지는 않았지만 지속적인 보호와 보존이 필요한 비지정 문화재로 나눌 수 있다.
3. 대한민국
문화재 현황

4. 대한민국 • 국가지정문화재 지정에 있어 공모 및 직권(문화재청)에 의한 일괄공모제 도입, 지정대상의 다변화 등으로 지정건수는
문화재 전망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

• 문화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당분간 문화재 지정 건수는 증가할 것이다. 하지만, 문화재관리에 관한
전문화 및 체계   화가 강화될수록 문화재 지정 및 인정에 대한 기준 역시 강화될 것이며, 문화재 지정에서부터 해제에
이르는 조사 및 심의과정도 고도화 할 것으로 예측된다.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정의: 보물급의 문화재 중 국가가 법적으로 지정한 유형 문화재

• 국보의 지정번호는 해당 문화재의 가치로 정해진 것은 아니며 지정(指定)된 순서에


따라 정해진다.

숭례 문 – 국보 제 1

보물

정의: 역사적 · 예술적 · 학술적으로 가치가 큰 것으로서, 국가가 법적으로 지정한 유형문화재다

• 그 대상은 목조건축· 석조물(石造物) · 전적 · 서적 · 고문서 · 회화 · 조각 · 공예품 ·

고고자료 · 무구등이 있다.

서울 흥인지문 – 보물 제 1 호
사적 정의: 기념물중 유적·제사·신앙·정치·국방·산업·교통·토목·교육·사회사업·분묘·비 등으로서 중요한 것이다

경주 포석정지 – 사적 제 1 호
명승
정의: 명승은 지방지정문화재에 속하는 국가지정문화재로, 문화재청에서 경치가 뛰어난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한다.

백령도 두무진 – 명승 제 8 호

천연기념

정의: 천연기념물은 동물, 식물, 광물, 동굴, 지질, 생물학적 생성물, 자연현상 중에서 민족의
역사성을 확인시켜주는 역사적, 문화적, 과학적 가치가 있거나 경관이 특별히 아름다우면서 학술적
가치가 큰 것으로서 문화재보호법에 의거하여 지정한 것을 말한다.

대구측백나무숲 – 천연기념물 제 1 호

국가무형 정의: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기술적 가치가
문화재 있는 것, 지역 또는 한국의 전통문화로서 대표성을 지닌 것, 사회문화적 환경에 대응하여 세대 간의
전승을 통해 그 전형을 유지하고 있는것

종묘제례악 – 국가무형문화재 제 1 호
국가민속
문화재 정의: 의식주·생산·생업·교통·운수·통신·교역·사회생활·신앙 민속·예능·오락·유희 등으로서 중요한 것

국가민속문화재 제 1 호

시도지정 • 정의: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이하 '시·도지사')가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되지 아니한 문화재 중 보존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문화재 것을 지방자치단체(시·도)의 조례에 의하여 지정한 문화재

• 유형문화재·무형문화재·기념물 및 민속문화재 등 4 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문화재자료
정의: 시·도지사가 시도지정문화재로 지정되지 아니한 문화재 중 향토문화보존상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시·도 조례에 의하여 지정한 문화재를 지칭한다.

박 노수 – 서울특별시문화재자료 제 1 호

비지정문화재 정의: 문화재보호법 또는 시·도의 조례에 의하여 지정되지 아니한 문화재 중 보존할 만한 가치가 있는 문화재를 지칭한다.

등록문화재 정의: 등록문화재는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 건설·제작·형성된 후 50 년 이상이 지난 것으로서


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보존과 활용을 위한 조치가 특별히 필요하여 등록한
문화재다

서울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 – 국가등록문화재 제 1 호.


유형문화재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입니다.
- 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 1 번지에 위치해 있으며, 사적 제 125 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 위치상으로 창덕궁과 창경궁의 남쪽에 인접해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서로 연결되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에 도로가 나면서 끊기고, 현재는 육교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 해인사
 
해인사 장경판전은 13 세기에 만들어졌다.
장경판전.
• 고려 대장경판 8 만여 장을 보존하는 보고로서
해인사의 현존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 해인사 팔만대장경은 오랜 역사와 내용의
완벽하다
• 고도로 정교한 인쇄술의 극치를 엿볼 수 있는
세계 불교경전 중 가장 중요하고 완벽한 경전이다.

• 정면 15 칸이나 되는 큰 규모의 두 건물을 남북으로 나란히 배치하였다.


• 남쪽의 건물을 수다라장, 북쪽의 건물을 법보전이라 하며 동쪽과 서쪽에 작은 규모의 동·서사간판전이 있다.
• 세계유일의 대장경판 보관용 건물이며, 해인사의 건축기법은 조선 초기의 전통적인 목조건축 양식을 보이는데 건물 자체의
아름다움은 물론, 건물 내 적당한 환기와 온도·습도조절 등의 기능을 자연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불국사 • 불국사(佛國寺)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동쪽 토함산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 신라시대인 경덕왕에서 혜공왕 시대에 걸쳐 대규모로 중창되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