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8

사회복지개론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1주차 1교시

사회복지의 개념 이해

1. 사회복지 개념 등장 배경
- 빈곤, 질병, 고통, 사회해체와 같은 사회문제는 전 인류의 역사를 통해서 존재해옴.
- 19세기 전까지는 가족, 교회, 부락과 같은 전통적인 사회제도에 의해서 인간사회의 문제가 주로 취급
- 산업화 이후 전통적인 사회제도는 인구의 이동과 기술적인 변화에 의해서 새로 대두되는 사회문제를 취
급하기에 미흡, 보다 공식적인 사회복지제도가 필요하게 됨.
- 사회복지 개념이 오늘날처럼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제도로 쓰이게 된 것은 산업사회에 있어서 사회문제
의 해결 내지 예방이라는 것과 관련
- 현대의 산업사회가 안고 있는 사회문제의 중대성과 심각성은 그것의 예방과 해결의 주체가 정부 및 공
공기관에 속하든지 민간기관에 속하든지 간에 보호를 필요로 하는 국민들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를 조직
화하지 않을 수 없게 되어 사회복지라는 개념이 나타나게 됨.

2. 사회복지 용어

- 영국
• 사회복지(social welfare)라는 용어보다 ‘social services’라는 용어가 더 자주 사용됨.
• 영국의 공식문서에 최초로 사회복지 ‘social services’가 사용된 해는 1920년.
• 사회복지개념이 세계 최초의 산업사회에서 국가의 행정용어로 자리를 잡게 된 역사가 아직 100년이
안되었다는 것.

- 미국
• ‘social welfare’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됨. 특히 줄여서 ‘welfare’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됨.
• 그것의 의미는 일부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국가의 지원이란 부정적 의미를 주로 담고 있음.
• 그래서 ‘welfare mother’라는 속어가 있음.
• 이는 혼인관계가 난잡하고 많은 수의 자녀를 낳으면서 공공부조 public welfare에 의지해 살아가는 게
으름뱅이 흑인 어머니를 경멸적으로 지칭하는 것.

- 한국
• 복지는 ‘복 복(福)’와 ‘복 지(祉)’자가 합쳐진 것. 결과적으로 복이 둘씩이나 겹쳘 정도로 굉장히
복지 많다는 것.
• 우리의 옛말에 오복이란 말이 있듯이, 복은 상당히 포괄적인 개념. 부, 번영, 안녕과 같이 물질적이고
육체적인 차원에서 불편이 없거나 바람직한 상태를 포함.
• 쾌락, 만족, 행복과 같이 정신적 차원의 상태도 포함.

※ 웰빙(well-being)과 welfare
- 최근 웰빙(well-being)이라는 유행어가 흔히 사용되고 있음.
- well-being과 welfare는 용어상 차이가 있음.
• 웰빙(well-being)은 흔히 복리, 안녕이라고 번역되며 그 의미는 복된 상태를 뜻함.
• welfare는‘복된 상태로 나간다’는 역동적인 의미
- 그래서 well-being은 welfare의 결과로서 이루어지는 상태
※ 비(非)복지
- 궁핍, 불행, 질병, 고통, 전쟁 등 바람직스럽지 않은 인간의 생활 상태를 나타내는 복지와 반대되는 비
전문적인 용어.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2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역(逆)복지
- 복지에 역행하는 상태를 설명할 때 쓰는 용어.
-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해 정부가 채택한 특정 법이나 제도 혹은 정책이 복지를 증진시키기는커녕 오히
려 악화시키는 경우, 우리는 그것을 역(逆)복지적이라고 표현할 수 있으며 반드시 복지에 반대되는 개
념(비복지)라고 할 수는 없음.
- 예를 들어, 초등학교에서 빈부차별을 없애는 수단으로 무상급식을 실시했는데, 결과적으로 급식의 질이
낮아졌다거나 부유층 학생이 식사를 거절하는 등의 행위를 보인다면 무상급식은 역복지적이라고 할 수
있음.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3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1주차 2교시

사회의 기능과 제도

1. 생산․분배․소비의 기능
- 사회구성원들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로 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 분배, 소비하는 과정
과 관련된 기능
- 교통과 통신이 발달되지 않았을 때 인구의 이동과 교역이 제한되었던 전통사회에서는 이웃, 부락
등의 지역공동체를 중심으로 수행
- 지식정보화 사회, 세계화 시대 현대사회에서는 국내외 기업들, 정부를 위시한 각종 전문기관, 종교
단체, 교육기관 등이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제제도.
- 개별적인 사회 구성원의 차원에서는 생산의 방법과 가족의 욕구 충족 방법에 영향
- 공동체 전체의 차원에서는 구성원들이 어느 정도 자립할 수 있는가를 결정짓는 주요변수

2. 사회화 기능
- 사회화 socialization이라는 것은 사회가 향유하는 일반적 지식, 사회적 가치 그리고 행동양태를 사
회구성원들 전달 과정
- 사회화 과정은 어린 시절에 중요하며 일생을 통해서 계속되는 것. 한 개인은 세상에 태어나면 부
모로 부터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가장 기본적 지식, 가치, 행동방식을 배우게 된다.
- 한 개인이 어떤 사회화 과정을 거치느냐는 그 사람이 가정생활, 직장생활, 그리고 사회생활에 얼마
나 잘 적응 할 수 있느냐를 결정짓는 토대가 됨.
- 유년 시절의 가족관계를 통한 사회화가 중요, 사회화 기능을 수행하는 가장 중요한 일차적인 제도
는 가족제도임

3. 사회통제 기능
- Social control은 사회가 그 구성원들에게 사회의 규범에 순응하게 하는 것을 말함.
- 한 사회에서 이러한 규범을 준수하도록 하는 강제력이 결여되면, 개별 구성원들은 개인의 욕심이
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멋대로 행동할 것이다. 즉, 사회해체 현상을 낳게 됨.
- 사회통제를 담당하는 일차적인 기관은 정부로서, 정부는 경찰력(공권력)과 사법권을 통해서 보편적
으로 적용될 수 있는 법을 집행하는 강제력을 발휘
- 다른 사회조직인 가정, 학교, 종교, 사회기관들도 이런 기능을 부분적으로 수행.
- 사회 구성원들에게 가장 광범위하게 그리고 가장 강력하게 규범의 준수를 요구할 수 있는 곳 국가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4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4. 사회통합의 기능
- 사회통합(social integration)이란 사회체계(social system)를 구성하는 사회의 단위조직들간의 관계와
관련된 기능을 말함. 특정 조직(기관)의 구성원이나 전사회체계의 구성원들은 상호간에 충성할 것
을 요구받게 됨.
- 사회체계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전 사회체계에 이바지하기 위해서는 어는 정도의 결속력과 사기
를 유지
- 사회화 기능은 사람들에게 어떻게 행동해야 할 것인가를 가르쳐주는 기제(mechanism)
- 사회통제 기능은 그러한 행동을 하도록 지배하고 강조하는 기제
- 사회통합 기능은 사람들 스스로 규범을 준수, 바람직한 행동을 하도록 촉진하는 기제

5. 상부상조의 기능
- 상부상조(mutual support, aid, assistance)란 이상에서 살펴본 주요 사회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
할 때 필요하게 되는 사회적 기능
- 사회구성원들의 일부, 대다수가 어떤 이유에서든 자기들의 욕구를 충족할 수 없는 경우
- 가정은 누구나 질병, 사망, 실업, 사고 등의 이유에서 자력으로 생활할 수 없는 경우
- 과거의 전통적 사회에서는 상부상조의 기능이 주로 가족과 친척, 동네사람들, 친목단체나 자선단체
와 같은 일차적 집단에 의해서 수행
- 현대사회에서는 그러한 기능이 정부, 민간사회복지단체, 종교단체, 경제단체, 자조집단 등 이차적
집단으로 옮겨지게 됨.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5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1주차 3교시

사회복지의 정의

1. 광의의 사회복지와 협의의 사회복지


- 사회복지는 인간의 삶의 질에 관련된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하기 때문에 아주 넓게 추상적으로 정
의할 수 있고 혹은 아주 좁게 구체적으로 정의

넒은 의미 사회복지 협의의 사회복지


개인과 사회전체의 복지를 증진시키려는
국민전체의 복지를 지원, 제고시키는 것이라고 정
모든 형태의 사회적 노력, 사회문제의 치료와 예방,
의하고 있지만 실제로 사회복지의 범위는 협의적이
인적 자원의 개발, 인간생활의 향상에 직접적 관련
고 잔여적 방향을 취하고 있음.
을 갖는 일체의 시책과 과정을 포함.
인간이 만들어낸 사회제도의 하나로서
미국의 사회복지는 국민 중 특수계층의 욕구를 충
다른 사회제도와 구별될 수 있는 특유의 사회적 기
족시키려는 정책, 급여, 프로그램, 서비스를 의미함.

빈곤, 노령, 신체 혹은 정신적 장애, 질병, 기타 특
인간생활을 향상시키려는 제반시책과 노력을 포함 별한 사정으로 인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
로 국한

도움의 내용도 제한적으로 현금이나 물품, 기타 서


사회복지 개념은 국가·시대에 따라서 달라 짐 비스와 같이 범위가 좁음. 심한 경우에는 ‘복지’
를 공공부조와 동일시하는 경향도 있음.

2. 잔여적복지와 제도적복지
잔여적 개념 제도적 개념
사회기능의 정상적 공급원으로서의 가족이나 시장
현대의 산업사회에서 가족과 시장경제제도는 평상
경제가 제 기능을 원활히 수행치 못할 경우파산 문
시에도 온전히 운영되기 힘듬
제를 보완 내지 해소 위한 제도
사회복지의 필수적 기능이란, 사회구성원 간의 상
사회복지는 그 기능을 보충할 뿐이며, 사회복지활
부상조로서 이러한 기능은 다른 사회제도가 수행하
동이 사회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필수적이라고
는 기능과 구별될 뿐 아니라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생각하지 않음
고 생각
현대의 산업사회에서는 핵가족화가 불가피하고 가
사회로부터 최소한의 보호를 받는 것이 불가피. 이
족기능이 약화되기 때문에 아동의 양육과 노인, 장
들에게 안전망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사회복지제도
애인 돌보기 및 그들의 사회화를 가족이 전적으로
라고 주장
책임지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

경제제도가 생산과 분배에 따른 제 기능을 온전히


평상시의 사회는 가족이나 시장경제와 같은 주요 수행할 수 없어 예상치 못한 실직과 빈곤을 경험할
제도들이 제대로 그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회 기능성이 높다는 점을 지적.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복지활동이 불필요 개인과 가정의 경제적 안정을 도모하는 수단으로써
 사회복지제도는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6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전통적으로 사회복지제도는 잔여적인 성격이 강했으니, 산업화의 진전과 더불어 제도적 성격에 대
한 강조가 확대되는 현상이 나타남.
- 웰렌스키와 르보에 따르면 사회문제의 발생 원인
• 잔여적 개념 → 개인의 책임 강조
• 제도적 개념 → 사회구조적 책임 강조

- 사회복지는 잔여적 성격에서 비롯된 자선과 일시적 구호에서 벗어나 사회문제의 발


생을 예방하고 경감시키는 지속적이고 독자적인 제도로 발전

3. 예외주의와 보편주의

1) 예외주의적 이념관
- 사회문제 → 특정범주에 속한 사람들에게서 예측할 수 없이 발생
- 사회규범에 비추어 볼 때, 다분히 예외적이고 개인의 결합, 사고, 불행한 상황 속에서 발생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도 자연히 개별적 접근방법에 의해야 한다 주장

2) 보편 주의적 이념관
- 사회문제란 사회체제가 불완전하고 불공평한 데서 발생. 예측가능하기 때문에 공공의 노력으로서
예방 또한 가능하다고 봄. 결국 사회문제는 어는 계층의 특수한 사람들에게 특수하게 발생하는 것
이 아님을 주장
- 사회복지 성격을 잔여적 혹은 예외주의적인 것으로 규정하면 사회복지의 관심분야는 문제를 갖고
있는 특수집단이나 계층(빈민, 장애인, 노인, 소년·소년가장 등)이 된다.
▲ ▼
- 반대로, 제도적 혹은 보편주의적인 것으로 규정했을 때에는 국민 전부를 사회복지의 대상에 포함
시키게 된다.

4. 사회복지 유사 개념

1) 사회사업
- 중심적 역할 수행 전문직
- 개입 혹은 서비스대상인 클라이언트들로 하여금 사회문제를 예방․해결
- 그들의 사회적 기능력을 회복하고 고양시켜 돕는 전문직업 및 서비스

2) 사회보장
- 개인 및 가족이 질병, 실업, 사망, 노령, 불구폐질, 사고 등의 이유로 인해 경제적, 사회적 위기에
빠진 경우 , 국가가 취하는 보호조치

3) 사회적 서비스
- 사회부조, 사회보험, 아동복지, 교정, 정신위생, 공중보건, 교육, 오락, 노동보호, 주택제공 등을 포
함한다는 점에서 매우 광범위한 개념

4) 사회복지서비스
-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주로 사용. 사회복지라는 제도적 틀 안에서 제공되는 개별 사회적 서비스라
는 제한된 의미로 이해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7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5) 사회안전망
- 국민을 실업, 빈곤, 재해, 노령, 질병 등의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보호 위한 제도적 장치

6) 사회개발
- 사회전체를 정치, 경제, 사회, 문화로 나눌 때 사회개발은 앞의 두 가지 제외한 부문의 개발을 위
한 것
- 인간의 보편적 욕구 충족, 사회문제의 해결. 환경보존, 공동체 형성 및 문화발전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8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2주차 1교시

서구의 사회복지실천의 주요 발달 과정

서구의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은 어떠한가?

1. 전문적 사회복지실천 이전기(빈민법~19세기 말)


(1) 엘리자베스빈민법(구빈법, 1601)
① 최초로 빈곤문제에 대한 책임을 국가가 짐
② 기존의 빈민관리법과 조례들을 집대성
③ 빈민통제적, 치안유지적, 형사법적 성격 강함
④ 빈민을 속성에 따라 분류 처우
• 노동력 有 → 노동강제(작업장) / 거부 → 감옥에 투옥
• 노동능력 無 → 생활부양(구빈원, 자선원)
• 빈곤아동 → 도제로 보냄(또는 입양)
⑤ 지방교구단위로 구빈세 징수 → 교구이기주의 발생(→훗날 정주법 제정)
⑥ 각 교구에 빈민감독관 임명 의무화(책임 - 치안판사)
⑦ 중앙기구인 추밀원이 지방 감시 ․ 통제 및 중앙과 지방의 구빈행정 연결 역할

(2) 정주법(거주지제한법, 1662)


- 빈민들의 주거이전의 자유금지

(3) 작업장법(작업장시험법, 1722)


① 국가적 부의 증대에 기여하고자 노동능력 있는 빈민을 작업장에 고용
② 직업보도 프로그램의 효시, 작업장 조사의 기원

(4) 길버트법(1782)
① 작업장 개선 운동 → 인도주의적 성격↑
② 노동능력 있는 빈민에 대한 원외구제 인정
③ 교구연합을 통해 효율적 구빈행정 시도
④ 최초로 유급구빈사무원 채용

(5) 스핀햄랜드법(1795)
① 임금보조제도- 빵 가격과 부양가족 수에 대응하여 지방세에서 임금보조 → 최저생계보장
② 가족수당 및 최저생활보장의 기반을 이룸

(6) 공장법(1833)
- 최초의 아동노동복지법

(7) 개정빈민법(신빈민법, 1834)


① 일차적 목적 - 구빈비용의 감소
② 개정빈민법의 3대 원칙
㉠ 전국균일처우(전국적 통일)의 원칙
㉡ 열등처우(최하위자격)의 원칙
㉢ 작업장 활용(수용)의 원칙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9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2. 전문적 사회복지실천 출현기(19세기 말 ~ 1900년 후)

인보관운동
자선조직협회 COS
(Settlement House)
1869년 런던 자선조직협회 1884년 토인비 홀
최초
(※ 미국 : 1877년 뉴욕 버팔로) (※ 미국 : 1887년 근린조합)
주도인물 로크 바네트
주 활동층 신흥자본가들, 산회중산층 엘리트 청년들
개인적 관점 사회구조적 관점
빈곤관
(빈민의 책임) (국가의 책임)
활동방향 개인(빈민)의 변화 사회개혁(입법)
․ 빈민의 교육과 문화발전
․ 중복구호 방지를 위한 자선활동의 조정 ․ 빈민의 생활환경에 관한 정보와 긴밀한
목적 ․ 환경조사(사례조사)와 적절한 원조의 제 사회적 욕구 파악
공 ․ 사회 ․ 건강문제 및 사회입법에 대한 일
반국민의 관심 촉구
․ 조사 → 등록 → 협력 ․ 조정
․ 3R : 거주(Residence) → 조사
․ 구제받을 가치가 있는 빈민과 없는 빈민
(Research) → 개혁(Reform)
을 구분
․슬럼지역으로 들어가 빈민들과 함께 거주
․ 개인의 도덕적 의무 강조 → 공고의 구
하면서 빈곤문제 조사 → 사회조사에 의한
빈정책 반대
통계자료를 법률제정에 활용
․ 우애방문원에 의한 면밀한 환경조사 →
주요내용 및 ․ 교육사업 : 보건교육, 아동위생교육, 소년
빈민에 대한 과학적 조사에 있어서 선구적
의의 소녀들에 대한 기술교육, 문맹퇴치, 성인교
역할
육등
․ 무질서했던 구제사업을 조정, 합리화 →
․ 인보관 설립 → 주택, 도서관, 시민회관
자선활동을 전문적 사회사업으로 승화
등으로 활용
․ 사회사업가 훈련, 유급사회사업가 고용배
․ 입법운동 : 박애보다는 법규를 더 중요시
치 확대
여겨 사회개혁에 영향
․ 비판 : 보수적, 스티그마 유발
영향 전문사회복지, 개별사회사업

핵심정리

자선조직협회 인보관운동
이념과 이론 사회진화론 사회교육, 사회개혁, 기독교 사회주의
주요활동가 중산층부인중심 우애방문원 젊은 대학생, 교수등 지식인
기독교적 도덕성강조
도덕성에 대한 관점 도덕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 인정
빈자의 나태함 비난
실천장소 가정방문 빈곤지역에 거주
영향 개별사회사업, 지역사회복지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복지

서구의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은 어떠한가?

3. 사회복지실천 전문화기(1900년 전후 ~ 1920년 전후)

1) 전환기
① 사회복지실천이 전문직으로 발돋움하게 되는 계기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하나는
보수체계의 정립이며 다른 하나는 교육 ․ 훈련제도의 채택이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0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② 자선조직협회에서 우애방문자에게 임금을 지급하여 책임감을 고취하였고 그 기능과 활동역역이


확대되면서 전문가로 발돋움하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③ 실천가들로 지도 ․ 감독할 관리자가 필요해지면서 교육과 훈련제도를 만들게 되었다. 1898년 뉴욕
자선조직협회에 의해 미국 최초의 사회복지인력 훈련과정이 뉴욕자선학교(현재 컬럼비아 대학의
전신)에서 6주 여름학교 프로그램으로 실시되기 시작하여 그 후 1904년에는 1년 정규과정, 1910년
에는 2년 정규과정으로 발전하였다.
④ 1905년 미국에서 의사 카보트(Cabot)가 매사추세츠 병원에 보조사회복지사와 신경정신병원 내지
병동의 정신의료사회복지사를 채용하는 것을 계기로 전문직으로서 보다 공고해졌다.
⑤ 1915년 플렉스너(Flexner)가 미국 자선 교정회의에서 사회복지실천이 전문직이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음을 지적하고 비판하였는데 이것으로 사회복지 전문성에 대한 논쟁이 시작되었다.

2) 리치몬드(Richmond)의 업적
① 볼티모어 자선조직협회에서 근무하던 리치몬드는 1897년에 열린 자선 및 교정학회에 참석하여 전
문교육을 담당할 필요성을 역설하였는데 이를 계기로 1898년에 미국 최초의 사회복지전문인력 훈
련과정이 뉴욕 자선조직협회에 의해 뉴욕 자선학교의 후원하에 개설되었다. 리치몬드는 이 학교
에 겸임교수로 출강하면서 실무에서의 경험을 정형화된 교육으로 변환시키는 과정에 참여하였다.
② 1900년에 필라델피아 자선조직협회의 총책임자가 된 리치몬드는 그 동안 자신 및 동료들의 사회
복지실천 활동내용 및 활동과정을 종합하여 1917년에 『사회진단(social diagnosis)』이라는 책을
출판하였는데, 이것은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이론과 방법을 최초로 체계화한 책이다. 특히 이 책은
빈민이 처한 상황을 체계적으로 진단하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정보수집을 통해 사례를 연구(조사)
하는 단계, 진단단계, 문제상황이 어떻게 진행되어 나갈 것인가를 예측해보는 단계, 어떻게 개입
할 것인가를 생각하는 개입계획단계, 그리고 실행단계 등 리치몬드가 이 책을 통해 제시한 사회
복지실천 과정은 지금도 실천과정에서 그대로 이용되고 있다.
③ 더 나아가 리치몬드는 1922년 『개별사회사업이란 무엇인가? (What is Social Case Work?)』라는
책을 통해 개별사회사업이란, “개인과 개인, 인간과 환경 간의 적절한 조화와 조정을 통해 인격
의 발달 및 성장을 가져오게 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한 바 있는데, 현재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개
념 틀인 ‘환경 속의 인간(Person -In -Environment)'은 이때의 리치몬드의 저술에서 비롯되었다
고 볼 수 있다.

4. 사회복지실천 전문적 분화기(1920년 전후 ~1950년)


- 사회복지실천이 전문직으로서의 기틀을 다지고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확대되면서
사회복지실천의 공통적인 지식기반을 갖추자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 특수화된 전문지
식과 기술도 필요하지만 각 영역별 발전이 앞서게 되면 사회복지전문직이 채 발전하기 전에 주체
성을 상실할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다. 이에 몇몇 전문가들에 의해 사회복지실천의 고통요소를
정리하는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이는 밀포드(Milford) 회의에서 개별사회사업방법론을 기본으로 하
는 다음의 8개 영역을 공통요소로 정리하여 발표하는 것으로 마감되었다.

1) 밀포드(Milford) 회의에서 발표한 8개의 공통영역(1929)


- 사회복지실천을 전문직으로 하는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지식 및 방법론에 대한 공통
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
① 사회에서 받아들여지는 규범적 행동으로부터 벗어난 행동에 관한 지식
② 인간관계 규범의 활용도
③ 클라이언트 사회력의 중요성
④ 클라이언트 치료를 위한 방법론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1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⑤ 사회치료에 지역사회자원 활용
⑥ 개별사회사업이 요구하는 과학적 지식과 경험 적용
⑦ 개별사회사업의 목적, 윤리, 의무를 결정하는 철학적 배경 이해
⑧ 이상 모든 것을 사회치료에 응함.

2) 사회복지실천의 정착
- 개별사회사업방법론을 바탕으로 일반사회복지 접근이 시작되었다. 즉, 사회치료를 기본 기능으로
하여 사회규범적인 행동범위를 중시하고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기본
지식과 방법론을 익힌 사회복지사는 개인적이고 사적인 영역(아동상담소, 병원 등)에서 전문적인
사회복지실천을 시작하였다.

3) 사회복지실천의 분화
- 1929년 대공황으로 미국정부가 뉴딜정책을 펼치면서 공공영역에서 사회복지사를 대거 고용하기 시
작하였으며, 대공황으로 인해 지극히 정상적이던 성실한 사람들이 직업을 상실하고 우울증에 걸리
는 등의 문제를 보이게 되자 개인문제의 근원을 사회에서 찾는 것에 대한 수용적인 자세가 늘어나
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회복지실천은 개별사화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으로 분화 ․
발전되었다.

① 개별사회사업(Case Work)
㉠ 1920년대에는 진단주의, 1930년대에는 기능주의가 등장하였다.
㉡ 진단주의 학파는 개인의 과거 경험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접근한다. 한편 대공황 이후 개인
문제의 원인이 사회구조에 있음을 인식하면서 기능주의 학파가 등장한다.
㉢ 진단주의 학파는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에 영향을 받았으며, 기능주의 학파는 랭크의 자아
심리학에 영향을 받았다.

진단주의와 기능주의

진단주의 기능주의
사회복지사의 원조에 의해 클라이언트의 자아의 클라이언트의 의지에 따른 자아와 힘에 의해서 문
힘이 강화될 수 있다고 본다. 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
사회복지사는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과거중심의 치료의 원천으로서 과거가 아닌 현재의 경험을 중
변화주체자가 된다. 시한다.
클라이언트의 참여를 중시하며 치료보다는 원조과
클라이언트의 참여를 배제하며 치료중심적이다.
정을 더 중요시한다.
진단의 치료를 효과적으로 가능케 하는 조건으로 클라이언트의 자신의 자아실현을 촉진하는 경험으
대인관계를 중요시한다. 로 대인관계를 중요시한다.
변화의 주체자가 사회복지사이므로 질병심리학으 변화의 주체자가 클라이언트 자신이므로 성장심리
로 비유된다. 학으로 비유된다.

② 집단사회사업(Group Work)
㉠ 1920년대 지역사회 공공시설과 지역사회센터 건설 등으로 자발적인 여가활동과 집단활동이 활
성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체계화된 전문적 기술이 필요해지면서 집단사회사업에 대한 전문교
육이 시작되었다.
㉡ 1936년 미국집단사회사업연구협회가 발족되었고,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정신분석의 집단치료방
법으로 활용하여 군대나 사회복지관에 집단지도자가 고용됨으로써 집단지도자가 발전하였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2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1946년 미국 사회복지회의에서 집단사회사업을 공식적으로 사회복지실천기술로 인정하였다.

③ 지역사회조직(Community Organization)
㉠ 1920년부터 주 단위로 공공복지기관이 설치되면서 지역사회조직(지역사회복지실천)으로 전환하
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대공황으로 인해 민간사회사업은 한계를 드러냈고, 국가가 사회복지기관을 설립하면서 공공기
관에서 활동하는 사회복지사의 수가 증가되면서 지역사회조직이 발달하고 전문화되어 사회복
지실천방법론의 한 분야로 정착하게 되었다.
㉢ 뉴딜정책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배치된 공공기관의 사회복지사는 사회계획 등의 지역사회복지
실천활동에 개입하게 되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3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2주차 2교시


서구의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은 어떠한가?

5. 사회복지실천의 통합(1950 ~ 1960년) - 부분통합기


- 대공황에서는 벗어나지만 제 2차 세계대전 및 각종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사회복지실천은 다시
변화를 겪게 되는데, 그것은 치료적 접근방법의 희생과 통합방법론의 등장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1950년대 후반 이후부터 개인과 환경을 동시에 고려하고, 파편화된 사회복지실천 영역을 통합하여
3대 방법론(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 간의 경계를 넘어선 통합적인 사회복지실
천방법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1) 사회복지실천의 통합배경


① 전쟁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경험과 문제를 갖게 되었다.
② 계속해서 복잡 ․ 다양화되는 사회문제와 사회변동 속에서 과거의 방법론별 접근으로는 대응할 수
없게 되자 사회복지실천방법론을 통합하자는 움직임이 나타나게 되었다.
③ 미국사회복지사협회(NASW) 내부의 분회제도를 폐지하고 통합적 방법을 지향하는 ‘사회복지실
천’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여 일반화되었다.

(2) 치료적 접근방법의 희생


① 전쟁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개인별로 다양한 문제를 경험하게 됨에 따라 그에 반응하기 위한
치료적 접근이 다시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② 전쟁으로 인한 여러 형태의 상실, 가족의 붕괴 등이 심화되면서 청소년 문제가 심각해졌고, 하나
의 문제가 아닌 다양한 문제를 동시에 갖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으며, 한 가족 내에서도
여러 형태의 문제를 동시에 경함하게 되는 경우가 증가하면서 가족치료분야가 발전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③ 또한 이러한 현상은 개업사회복지사(private practice)를 탄생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3) 사회복지실천이론의 통합
- 우선적으로 전통적인 방법을 상황에 맞게 절충하여 사용하면서 통합이 진행되었고, 이후 각 실천
방법 간에 공통기반과 준거틀을 명확하게 하면서 사회복지실천의 공통 기반을 완성한 후, 이 공통
기반을 토대로 통합적인 사회복지실천이론을 형성하면서 통합하였다.

(4)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통합
- 3대 방법론을 절충적으로 사용하면서 사회행동과 조사, 계획, 그리고 정책, 행정 등을 포함한 거시
적 관점으로 시각을 확대하고 사례관리(Case Management)나 자조집단 지원 등을 포함한 사회적
지지망의 형성 등 과거 미시적 수준의 원조와 거시적 수준의 원조를 통합한 새로운 영역으로 넓혀
가게 되었다.

(5) 전문직 단체의 통합


- 사회복지실천과 관련된 단체들(의료사회사업가협회, 학교사회사업가협회, 미국사회사업가협회, 정신
의료사회사업가협회, 집사사회사업가협회 등)이 모두 모여 1955년 미국사회복지사협회 (또는 전미
사회복지사협회, NASW)로 새롭게 탄생하였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4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6. 사회복지실천의 발전(1960~1980년) - 확대통합기

(1) 새로운 접근방법의 시도


- 사회복지기관에서 클라이언트를 기다리기보다 클라이언트가 있는 곳으로 직접 찾아가서 접근하는
아웃리치(현장접근, outreach)방법을 시도하게 되었다.

(2) 확대통합과 전문직 발견


① 지역사회를 개입대상의 한 단위로 보았으며, 빈곤뿐만 아니라 비행, 장애, 보건, 정신건강 등 다양
한 문제를 다루게 되었고 각 방법론과 통합방법론을 정착시켰다.
② 새로운 모델들이 발전하였고 전문직 영역이 확대되었으며, 동시에 사회복지사의 수가 계속 증가
하면서 개인문제와 사회문제를 모두 다루는 전문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3) 개별사회사업의 발견
① 대상의 확대 : 전통적 방법론에서 대상으로 했던 한정되고 특정한 클라이언트뿐 만아니라 모든
사람이 개별사회사업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인식하게 되면서 실천에 있어서도 보편적 대
상의 개념으로 접근하게 되었다.
② 기능의 확대 : 대상(클라이언트)의 확대는 개별사회사업의 기능의 변화와 확대로도 연결이 되었다.
③ 다양한 모델의 등장 : 토마스(Thomas)의 행동주의 모델, 라포르트(Rapoport)의 위기개입 모델, 리
드와 엡스타인(Reid & Epstien)의 과제중심모델 등 표적문제에 초점을 두고, 개입목표를 구체화 ․
명확화하여 클라이언트의 변화를 돕는 단기개입 성격의 모델들이 다수 등장하였다.

알아두기
대표적인 통합모델로는 ①핀거스와 미나한(Pincus & minahan)의 4체계 모델, ②골드스타인
(Goldstein)의 단일화 모델, ③저매인과 기터맨(germain & Gitterman)의 생활모델,
④콤튼과 갤러웨이(Compton & Galaway)의 문제해결과정모델 등이 있다.

(4) 임상사회사업(또는 임상사회복지실천)의 발전


① 또한 이 시기에 임상사회사업이라는 보다 전문화된 영역을 구축하려는 시도도 생겨나게 되었는
데, 이는 미국에서 1970년대 이후 존슨의 보수주의 정책으로 공공부문의 직업과 재원이 삭감되는
어려움을 겪으면서 발전하게 된 것이다.
② 임상사회사업은 ‘환경 속의 인간’ 이라는 관점을 바탕으로 대인 상호작용, 정신역동, 생활지원
과 관리에 입각하여 개입하였다.
③ 주요 서비스로는 심리치료와 상담, 클라이언트의 중심 옹호, 자문, 평가를 포함하여, 사정, 진단,
치료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5) 집단사회사업의 발전
-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에 이르러 사회적 목표모델, 치료모델, 상호작용모델 등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6) 지역사회조직사업의 발전
- 1960년대에는 소외된 집단에 대한 접근이 강화되면서 사회행동에 의한 사회문제 해결이 강조되었
으며, 사회행동으로 분명해진 사회복지 욕구를 서비스로 구체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면서
1970년대 중반 이후의 지역사회복지실천은 사회계획 방향으로 발전해 나갔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5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7. 새로운 관점의 등장과 개입전략의 확장(1980년~)

(1) 다중적 개입
① 다양한 이론적 관점들을 수용하고 클라이언트의 시각에서 관심을 가지며, 개인의 병리보다는 강
점에 초점을 두고, 클라이언트의 상황에 맞는 역할과 개입전략의 다중성을 중시하고 있다.
② 생태학적 관점, 지역사회중심 접근, 가족중심 접근방법들은 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폭넓게 프로그램을 수행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2) 임파워먼트(empowerment)
- 집단성원들이 자신의 고유한 능력과 힘을 개발하여 개인적 뿐만아니라 주변의 문제도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 권한을 강조함으로써 역량강화(또는 권한부여 ․ 임파워먼트)가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
였다.

(3) 일반사회복지실천과 전문사회복지실천


- 198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일반사회복지실천과 전문사회복지실천으로 사회복지실천
을 세분화하는 경향이 유지되고 있는 것도 특기할 만하다.
① 일반사회복지실천
㉠ 일반사회복지실천(Generalist Social Work)은 광범위한 지식과 기술로 문제를 포괄적으로 사정
하고 해결한다. 따라서 다양한 모델과 이론, 기법을 자유롭게 활용하면서 모든 클라이언트와
상황에 접근할 수 있다.
㉡ 미시적인 수준에서 거시적인 수준에 이르기까지 개입의 초점도 다양하며, 주로 영역별 전문가
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촉진하여 노력을 통합하고 보호의 지속성을 조성하는 데에 강조를 두고
있다.

② 전문사회복지실천
㉠ 전문사회복지실천(Specialist Social Work)은 사회복지실천이 전문직으로 미진하다는 주장과 함
께 과학에 기반한 전문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 이는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으로 접근방법을 분리하였고, 나름대로 각각
실천기법을 개발하고 있다. 하나의 방법론만 추구하도록 전문가를 교육 ․ 훈련하면서 각 접근
방법론별로 전문성을 키워나가고 있는 것이다.
㉢ 전통적인 3대 방법론은 전문사회복지실천 영역에서 발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6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2주차 3교시

한국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은 어떠한가?

1. 한국의 사회복지실천의 주요 발달 과정

1) 개별사회사업의 시작과 발전

(1) 1927년 방면위원제도 - 개별사회사업실천의 기원


- 빈민의 생활실태를 조사하고 빈곤원인을 판명하여 적절하게 지도하고 교화하는 구제방법을 강
구하는 것이 목적

(2) 개별사회사업의 발전
- 본격적으로 전문적인 개별사회사업을 실행한 것은 1948년 이화여대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사회
복지인력을 배출하기 시작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 이후 미국선교사들이 설립한 병원, 상담소 등에서 사회복지사를 고용하여 심리치료를 주로 하
였고, 3.26전쟁을 전후로 설립된 기독교 아동복리재단, 홀트아동복리회(현재의 홀트아동복지
회), 선명회(현재의 월드비전), 등 외원기관이 주축이 되어 활동, 1952년 외국 민간원조기관 한
국연합회(KAVA)가 결성됨.
- 1959년 국립의요원에서 의료사회사업 시작, 같은 해에 개별사회사업가협회가 창설됨.

2) 지역사회복지의 시작과 발전
- 1921년 서울에서 태화여자관 설립(최초의 사회복지관)
- 1970년 사회복지사업법 재정 시행
- 1985년 각 시도 단위로 종합사회복지관 설립
- 1989년 사회복지관 설치운영 규정
- 1991년 영구임대아파트 내 사회복지관 건립
- 1992년 재가복지봉사센터 전국적 설치, 운영
(2010년 종합사회복지관 재가복지봉사서비스로 흡수 통합)
- 1998년 사회복지시설 평가제도 시행
- 2004년 사회복지 시범사업 실시
(1992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 복지사무전담기구 법제화)
- 2005년 :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시행
(←2003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

3) 사회복지교육의 시작과 자격제도의 발전


(1) 1947년 : 이화여대 기독교사회사업학과 개설
(2) 1953년 : 중앙신학교(강남사회복지학교, 현 강남대)에 사회사업학과 개설
(3) 1970년 : 사회복지사업종사자 자격제도 시행 (※근거 : 사회복지사업법)
(4) 1984년 :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시행(※ 1983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
(5) 2003년 :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제도 시행(※ 1997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7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4) 사회복지 전문직 단체의 발전


(1) 1957년 : 한국사회사업학회(현재의 한국사회복지학회) 창립
(2) 1967년 : 한국사회사업가협회(현재의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창립
(3) 1999년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창립

5) 공공영역의 발전
(1) 1987년 : 5대 직할시에 사회복지전문요원(현재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최초 임용
(2) 1988년 : 서울특별시에 사회복지전문요원 최초 임용
(3) 1992년 :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법적 근거 마련

6) 기타 사회복지영역의 발전
(1) 의료사회사업
① 1958년 : 현대적 의료사회사업의 시작(※ 한노병원에서 의료사회사업가 최초 고용)
② 1959년 : 국립의료원, 원주기독병원 등에서 의료사회사업 시작
③ 1973년 : 종합병원에 의료사회복지사 채용 의무화(당시의료법 시행령 개정, 현재 시행규칙에
규정되어 있음)

(2) 정신보건사회복지
① 1955년 : 정신보건법 개정
② 1996년 : 정신보건법 시행
③ 1997년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회(현재의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 창립
④ 2002년 : 제 1회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급 승급시험 실시

(3) 학교사회복지
① 1997년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창설, 학교사회복지사 배치
② 2000년 : 한국학교사회사업실천가협회(현재의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창립
③ 2005년 : 제 1회 학교사회복지사 자격시험 실시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8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3주차 1교시

사회복지 전문직

1. 전문직의 개념
-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한 사회복지제도 속에서 직접, 간접으로 활동하는 전문직의 종류는
다양하다.
- 제스트로에 따르면, (미국에서) 거의 모든 사회사업가(사회복지사;social worker)들이 사회복지 분야
에서 얼하고 있지만, 다양한 전문직업 집단들 역시 사회복지 분야에서 활동하게 된다고 지적하고,
다음과 같은 전문직들을 예시하고 있다.
• 가난한 사람들에게 법률구조(legalaid) 서비스를 제공하는 법조인(attorneys)
• 사회계획을 수립하는 기관에서 활동하는 도시계획가(urban planners)
• 보건소 등에서 일하는 의사, 정서장애인의 교정시설에서 일하는 교사
• 정신병원에서 일하는 심리치료사
• 간호사
• 오락치료사
• 정신보건센터에서 일하는 정신과 의사 등이 사회복지 전문직이다(Zastrow, 2000 : 10).

- 사회사업을 전문직으로 간주하느냐의 여부는 나라에 따라 그리고 시대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


다.
- 학문적으로나 실제에 있어서 사회사업이 가장 발달된 미국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사회사업을 전
문직으로 생각하고 있다.
- 그들 중 어떤 사람들은 사회사업을 인정된 전문직이라고 말하고, 또 어떤 사람들은 '나타나고 있는
(emerging)' , 전문직으로 간주한다(Skidmore rt al. 2000 : 345).
- 이상의 자료를 보면, 적어도 미국에서는 사회사업직(사회복지사)이 전문직으로 인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나라에서는 어떤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의 사
회사업(사회복지)교육은 이미 반세기 전에 시작되었다.
- 그리고 1987년부터 정부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채용·배치하였다.
- 더불어 다수의 사회복지기관과 단체에 소속한 사회복지사들이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여러 가지 면에서 전문직으로서의 확고한 위치를 확보했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2. 전문직의 판단기준

1) 속성론(trait model)
- 첫째, 이론의 체계적 본체(systematic body of theory)를 갖추어야 한다.
- 둘째, 전문적 권위(professional authority)가 있어야 한다. 전문직에 의한 서비스의 대상은 흔히 클
라이언트라 하고, 비전문직의 대상은 흔히 소비자(costomer)라 한다.
- 셋째, 전문직은 공동체로부터 일정한 권한과 특권(sanction of community)을 인정받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권한과 특권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전문직 인력에 대한
독점적 통제권을 인정받는다는 점이다.
- 넷째, 전문직은 전문직 자체의 윤리강령(code of ethics)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위에서 언급한 전
문직의 특권은 때로는 남용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남용의 위험을 막기 위하여 전문
직은 자체 규범체계를 갖고 있는데, 이것이 전문직의 윤리강령이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9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다섯째, 전문직에는 고유의 전문직 문화(professional culture)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전문직에는 다른 전문직과 구별될 수 있는 고유한 가치, 규범, 상징들이 존재한다. 또한
전문직이 하는 일은 일종의 소명(召命, calling)로 보며, 그 자체가 수단이 아니고 목적이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즉 전문직을 수행하는 것이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되
어서는 안 된다는 것 등이다.

- 그러나 이상과 같은 속성론은 너무 이상적 형태의 전문직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이분법적(dichotomous)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그런 비판을 따르면, 현실세계에 존재한 많은 직업들
의 전문직 여부를 판단할 때, 속성론은 현실을 반영할 수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사회의 많은 직
업들은 나름대로의 특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속성으로 전문직 여부가 가려지지 않
는다고 본다. 더욱이 위와 같은 속성을 가졌다고 해서 전문직이라 하고, 갖고 있지 않는다고 본다.
더욱이 위와 같은 속성을 가졌다고 해서 전문직이라 하고, 갖고 있지 않다고 해서 비전문직이라고
쉽게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2) 과정론(process model)
- 속성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나온 것이 이른바 '과정론'이다.
- 이 관점에서는 어떤 직업들의 전문직 여부는 이분법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전문성 정도의 연속성
상태에서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 예를 들어, 직업들을 전문화가 많이 진행된 직업 또는 적에 진행된 직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이 관점은 직업의 생성역사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즉, 특
정 직업이 특정 시점에서 어떤 단계에 도달하였는가를 기준으로 전문직화릐 정도를 판단하는
것이다.
- 이상과 같은 과정론에 의하면, 서로 다른 직업들의 전문직 위상은 위에서 설명된 전문직화 단계에
따라 상이하게 판명될 수 있다. 그러나 과정론의 약점은 현실세계의 많은 전문직업들이 윌렌스키
의 단계론을 충실히 따르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리고 더 근본적인 문제로서 그가 제시한 여덟 단
계의 위계가 과연 전문성의 심화 정도를 정확히 반영하고 있느냐 하는 것이다.

3) 권력론(power model)
- 지금까지 두 가지 관점에서는 그것이 속성을 따르든, 과정을 따르든간에 전문직에 대한 객관적 기
준을 가지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권력론에서는 전문직에 대한 일정한 사전 기준이 존재
하지 않는다고 본다.
- 대신, 어떤 직업이든 특정 영역에서 특정한 일을 하는 것에 대해 독점적 지위를 부여 받으면 전문
직이 되는 것이다(Cullen 1978.) 이 관점에 의하면, 전문직화는 전문직이 되고자 하는 직업과 사회
와의 상호관계에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 경위를 보면, 먼저 사회가 복잡해질수록 사회에서 필요
로 하는 일이 복잡해진다. 그렇게 되면, 관료적 방법은 원활한 일처리에 한계 드러낸다. 따라서 점
차 어떤 영역에서는 전문직이 필요하게 된다는 주장이다.
- 전문직 등장의 초기단계에서 많은 직업들이 해당 영역의 독점권을 둘러싸고 치열한 권력투쟁
(power struggle)을 하게 된다.
- 이와 같이 권력론은 전문직 결정의 요소를 독점권을 배당 받는 정치적 권력투쟁에서 찾고 있다.
그 결과, 전문직화의 결과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선 두 관점이 보지 못한 측면을 부각시킨 장점
이 있다. 그러나 이 관점은 특정 직업의 전문직화 가능성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약점도 지니고 있
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20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3주차 2교시

3. 사회사업의 전문성 논란

1) 미국 사회사업의 전문성
- 미국의 사회사업은 처음부터 전문직 여부에 대하여 관심이 많았고, 전문직이 되기 위해 많은 노력
도 했다. 사회사업의 전문직 여부에 대한 최초의 논쟁은 1915년에 일어났다. 의사인 플렉스너가 '
전국 자선 및 교정회의(National Conference of Charities and Correction)'에서 "사회사업이 전문직
인가" 라는 논문을 발표한 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Flexner, 1915).
- 첫째, 사회사업이 다루는 영역이 너무 광범위하여 특정의 세부적인 영역을 갖지 못했다는 것이었
다.
- 둘째, 체계적 지식체계가 발전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전문교육을 시킬 수 없다는 것이었다.
- '플렉스너 증후군(Flexner syndrome)'
- 이와 같이 사회사업이 완전 전문직으로서의 위치를 확보하지 못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그것의
속성상 너무 많은 분야에서 너무 다양한 일을 하기 때문에 고유한 이론체계가 없다는 점이다.
- 예를 들어 캐롤에 따르면,
• 사회복지 활동의 대상은 7가지로 나눌 수 있다.(개인,가족,집단 등) 그리고 개입의 문제영역은 10
가지로 나눌 수 있다.(빈곤,건강 등) 또한 개입방법은 9가지로 나눌 수 있다(개별사회사업, 집단
사회사업 등) 따라서 이러한 대상, 문제영역, 개입방법의 차이에 따른 세부적 전공분류는 630개
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 이러한 63개의 서로 다른 영역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사회사업 지식과 이론체계를 만드는 작업은
상당히 어렵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Caroll 1977.)
- 요컨대 전문직 속성을 기준으로 한다면 지금까지의 사회사업은 그 속성상 전문직이 될 수 없는 기
본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사회사업의 전문직 여부는 다른 관점에서 평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바로 앞에서 언급한 '권력론'의 관점이다.
- 이 관점에 의하면, 사회사업은 사회복지사만이 독점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영역이나 기능을 사회로
부터 부여받았기 때문에 전문직이 된다는 것이다.(Popple 1985.) 따라서 문제의 핵심은 사회사업이
독점적 지위를 누릴 수 있는 사회적 기능이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2) 한국 사회사업의 전문성
- 첫째, 다음 절에서도 상술되었듯이, 일찍부터 전문가조직을 결성하고 자격등제도도 시행했지만, 사
회복지사에 대한 사회적 처우는 전문가 대접이 아니었다.
- 둘째, 여타 전문직이나 인접직업이 사회사업의 전문성에 대해 가시적 도전장을 던져본 예가 별로
없다.
- 셋째, 정부차원에서 사회복지사 자격증 국가고시제도를 도입하는 등 전문성을 인정하면서도, 사회
복지사에 대한 독점적 권한부여에는 소극적 태도를 보이는 이중성이 나타난다.
- 다른 사람들은 아무도 관심을 보여주지 않는 가운데, 사회복지사들끼리 모여서 전문성도 논의하고
자격증도 만들었던 것이다.
- 그러나 2003년부터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을 위한 국가고시제도가 도입된다는 사실이 확정된 1998
년 직후부터 사정이 급변하기 시작했다.
- 생활과학대학 등의 인접 전공학과에서 그들의 교과목이나 개설과정 이름에서 '복지'라는 단어를 즐
겨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21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그들이 보기에 복지관련 업종의 직업전망이 밝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뿐만 아니라 복지관련 전문
직의 영역 경쟁에서 기존의 사회복지학계와 겨뤄볼 만하다고 판단했던 것으로 보인다.

- 앞으로의 전망을 말하자면, 사회사업의 전문성에 대한 공방이 점차 열기를 더해갈 것으로 예상된
다. 그 과정에서 사회복지사들이 자신들의 전문성을 얼마만큼 확립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은 전
적으로 사회복지학계와 사회복지사들의 노력 여하에 달려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어
떻게 해야 최선의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를 알아보려면, 본 장의 2절에서 설명된 속상론, 과정론
그리고 권력론을 잘 활용해야 한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22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3주차 3교시

4. 한국 사회복지직의 현황

1) 사회복지사의 자격
- 한국 직업표준분류에 근거하여 한국사회복지사협회는 사회복지사의 주요업무를 다음과 같이 구체
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 사회적·개인적 문제로 어려움에 처한 의뢰인을 만나 그들이 처한 상황과 문제를 파악하고 그
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의 유형을 판단한다.
• 문제를 처리, 해결하는 데 필요한 방안을 찾기 위해 관련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대안을 제
시한다.
• 재정적 보조, 법률적 조언 등 의뢰인이 필요로 하는 각종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기획,시행,평가
한다.
• 공공복지서비스의 전달을 위한 대상자 선정 작업, 복지조치. 급여, 생활지도 등을 한다.
• 사회복지 자원봉사자를 모집하여 교육시키고 배치 및 지도·감독을 한다.
•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에 참여하여 정책분석과 평가를 하며 정책대안을 제시한다.
-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개인력 조사 및 사회조사 작업을 진행하며, 정신질환자
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생활훈련 및 직업훈련, 그 사족에 대한 교육, 지도 및 상담업무를 수행한
다(한국사회복지협의회, 2012)
(1) 사회복지사 1급
(2) 사회복지사 2급
(3) 사회복지사 3급

<표 3-1>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1급 자격 국가고시용)

사회복지개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법재론, 사회복지실천론,


필수과목(10)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행정론,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현장실

아동복지론, 청소년복지론, 노인복지론, 장애인복지론, 여성복지론, 가족복지론, 산업복
지론, 의료사회사업론, 학교사회사업론, 정신건강론, 교정복지론, 사회보장론, 사회문제
선택과목(4)
론, 자원봉사론,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사회복지 지도감독론, 사회복지 자료분석론, 프로
그램개발과 평과, 사회복지달달사,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중 4과목 이상

2) 사회복지사의 활동영역
- 사회복지사업법 시행령 제6조 제1항에서는
(1)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2) 시설거주자의 생활지도 업무
(3) 사회복지를 필요로 하는 자에 대한 상담업무 등을 수행하는 자를 사회복지사로 채용하도록 규
정하고 있다.
- 먼저 공적 사회복지영역으로는 시, 군, 구 및 읍, 면, 동과 같은 지방자치단체에 소속하여 공공부조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이 대종을 이루고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23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정원은 2002년에 7,144명이었던 것이 2009년에는 12,270명으로 늘어났다, 그


러나 실제 활동하는 인원은 2009년에 10,334명이었다(보건복지부 자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란
명칭은 1987년에 시작된 사회복지 전문요원이란 이름을 2000년부터 바꿔 부른 것이다. 이 외에도
아동복지지도원, 노인복지지도원, 장애복지상담원, 보육지도원, 여성복지상담원, 보훈복지사, 군 전
문상담원 등의 다양한 명칭이 공적 부문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그 숫자는 많지 않다.

- 민간 사회복지영역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다수는 사회복지관과 사회복지시설에서 종사하고 있


다. 2006년 전국에는 390개의 각종 사회복지관이 있으며, 사회복지시설의 수는 945개에 이른다. 이
곳에서 대부분의 사회복지사들은 지역복지사업, 아동복지, 노인복지, 장애인복지, 모자복지 등의 업
무를 맡고 있다. 또 상당수의 사회복지사들이 보건의료영역(의료법, 정신보건법에서 규정)에서 의
료 사회복지사와 정신보건 사회복지사로 일하고 있다. 그리고 4재보험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관
련공단에도 소수의 사회복지사들이 활동하고 있다.

- 사회복지사의 자격증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사의 임금수


준은 다른 전문직에 비해 낮은 편이다. 사회복지사의 처우를 개선하고 신분을 보장하기 위해 한국
사회복지사협회를 위시하여 전국 규모의 사회복지단체(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사회복지학회 및
각종 사회복지직능단체)가 노력을 하고 있다.

- 이에 따라 2011년 3월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이 제정·공포되어 2012


년 1월1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이 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를 개선하고 복지를 증진함과 아울러 그 지위 향
상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2) 사회복지사 등의 보수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보수수준에 도달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3) 보건복지부 장관과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사회복지사 등의 보수수준 및 지급실태 등에 관해 3
년마다 조사해야 한다.
(4) 사회복지사 등은 사회복지 법인 등의 운영과 관련된 위법·부당 행위 및 그 밖의 비리사실 등
을 관계 행정기관과 수사기관에 신고하는 행위로 인하여 징계조치 등 신분상 불이익이나 근
무조건상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

3) 사회복지사의 실태

(1) 일반사항
- 성별로는 남자가 35.8%, 여자가 64.2%이며, 연령은 30대 이하가 63%를 차지하고 있다.

(2) 종사기관
- 사회복지사가 종사하고 있는 시설 형태는 이용시설(50.7%), 생활시설(26.4%), 기타시설(22.9%)이
며, 이용시설 중에는 장애인복지시설(23.6%)이 가장 많고, 이어서 노인복지시설(21.7%), 아동복
지시설(20.8%) 등의 순이다. 생활시설 중에는 노인복지시설이 34.8%로 가장 많고, 장애인복지
시설(27.5%), 아동복지시설(15.9%)의 순이다.

(3) 임금
- 사회복지사의 평균연봉은 약 2,233만원이며, 연봉액을 소득구간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1,500
만원 초과 2,000만원 이하에 해당하는 응답자가 24.6%로 가장 많고, 근소한 차이로 2,000만원
초과 3,000만 원 이하에 해당하는 응답자가 24.1%로 나타나 사회복지사의 임금이 매우 열악한
상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24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4) 근무환경 만족도


- 사회복지사의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5점 척도 기준에서 2.38~3.51까지 분포해 전반적으로
근무만족도가 낮게 나타난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동료와의 관계 및 의사소통'이 3.527로 가장
높았고, 그 뒤를 '유관기관 종사자와의 관계 및 의사소통'(3.118), '직장상사와의 관계 및 의사
소통'(3.110) 순으로 인간관계 및 의사소통과 관련된 부분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복리
후생제도 충분성'(2.378), '임금수준의 적절성'(2.404) 등 처우와 관련된 부분에 가장 낮게 나타
난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25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4주차 1교시

사회복지의 구성요소

1. 욕구의 개념과 분류
- 인간은 스스로 자신의 욕구(needs)를 충족시킬 수 없을 때, 외부로부터 도움을 받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외부의 도움을 사회적으로 체계화, 제도화한 것이 사회복지이므로, 사회복지를 이해하기 위
해서는 먼저 욕구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남세진·조흥식, 1995 : 33) 욕구는 범위, 강도(剛
度), 지속 정도 등에서 다양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

1) 욕구의 의미
- 욕구는 대부분 어떠한 목적을 위해 좋은 것, 필요한 것, 필수적인 것을 의미한다. 즉, 목적을 위해
필요하거나 필수적인 것이 결여되거나 결핍된 것을 지칭한다. 욕구의 목적이 갖는 중요성은 여러
연구에서 언급되었다. 플랜트(Plant) 등 (1980 : 25-33)은 욕구의 목적을 생존과 자율이라고 보며,
밀러(Miller, 1979 : 130-132)는 삶의 계획을 욕구의 목적으로 본다. 또한 위일(Weale, 1983 : 28-38)
은 사회적 최저선에 대한 사회적 행위자의 의무를 욕구의 목적으로 본다.

2) 욕구의 분류

(1) 인간욕구
- 매슬로는 인간의 욕구를 단계별로 다섯 가지를 분류하고 있다.
①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
② 안전의 욕구(safety needs)
③ 사랑과 소속의 욕구(love and belonging need)
④ 자아존중의 욕구(self-esteem need)
⑤ 자아실현의 욕구(self-actualization need) 등이 그것이다(Maslow, 1954 : 80-93).

- 그가 의미하는 생리적 욕구는 인간의 욕구 중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강한 생물학적 생존의 욕


구이다. 예컨대 배고픔, 갈증, 수면, 성욕, 피로 등 감각적 자극과 연관된 욕구를 말하는데, 이
러한 생리적 충동들은 유기체의 생물학적 유지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기본적 욕구가 될 수 있
다.
- 둘째, 안전의 욕구는 개인의 환경 내에서 안정성, 안락함, 평정, 평온 등으로 적절히 보장받고
자 하는 욕구이다. 이는 일단 생리적 욕구가 만족된 후에 새롭게 등장하는 동기와 관심이다.
- 셋째, 사랑과 소속의 욕구는 주로 생리적 및 안전의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 건전한 사랑의 관
계로 나타난다. 즉, 개인은 한 집단 내에서 타인과의 애정적 관계 형성, 준거집단에 대한 애
정, 사회적 소속감과 선호 등을 갈망하는 욕구를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 넷째, 자아 존중의 욕구는 자신의 성취나 성공에 대해서 사회적으로 인정받으려는 욕구, 즉 자
기존중과 타인으로부터의 존경을 받고자 하는 욕구이다. 이러한 욕구는 개인의 능력, 신뢰감,
자신감, 자기개발, 긍정적 자아관 등을 통해 나타나게 된다.
- 마지막으로, 이상의 모든 욕구가 충족됨으로써 자아실현에 대한 욕구가 발생하는데, 자아실현
은 자신이 성취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이루려는 욕구를 말한다. 예컨대 자아를 실현한다는 것
은 자신의 재능, 능력,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여 자기가 원하는 유형의 사람이 된다는 것이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26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그에 따르면, 욕구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종류로 나누어진다.


① 규범적 욕구(normative need)
② 감지적 욕구(felt need)
③ 표현적 욕구(expressed need)
④ 비교적 욕구(comparative need) 등 네 가지이다.

• 첫째, 규범적 욕구는 전문가, 행정가, 사회과학자들이 욕구의 상태를 규정하는 것이다. 미리
바람직한 욕구충족의 수준을 정해놓고 이 수준과 실제 상태와의 차이에 의하여 욕구
의 정도를 규정하거나, 최고의 욕구수준을 정해놓고 실제 상태와의 차이에 의하여 욕
구의 정도를 규정하는 것이다. 초기 빈곤연구에서 사용된 최저생계비의 계측은 주로
규범적 욕구의 개념을 이용하였다.
• 둘째, 감지적(된) 욕구는 욕구상태에 있는 당사자의 느낌에 의해 인식되는 것이다. 이것은
어떤 욕구상태에 있는지 혹은 어떤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는지 물어서 파악하는
욕구이다. 따라서 이것은 실제적 욕구측정이 되지 못하고 개인의 인식 정도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며 허위(false)욕구로 판명되는 위험을 알고 있다.
• 셋째, 표현적(된) 욕구는 감지적 욕구가 실제상황에서 욕구충족의 추구행위로 나타난 것이
며, 수요(demand)라고도 할 수 있다. 이것은 의료 및 보건의 욕구파악에 많이 이용되
며 실제로 서비스 받기를 원하는 사람의 수로 파악된다.
• 넷째, 비교적 욕구는 특정 집단 구성원들의 욕구를 그 집단과 유사하다고 인식되는 다른
집단 구성원들의 욕구와 비교할 때 나타나는 욕구이다. 예를 들면, 인접하고 있지만
경제사정이 다른 두 동네의 욕구수준을 비교해 보는 것이다.

(2) 기본 욕구
- 기본 욕구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욕구의 개념을 사회복지적인 것으로 한정시킬 때, 기본 욕구는
세 가지 특성을 지닌다(김상균, 1987 : 17-19)
• 첫째, 기본 욕구는 모든 인간에게 공통적이다.
• 둘째, 기본 욕구는 인간성 유지에 필수적이다.
• 셋째, 기본 욕구는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서비스의 양과 질에서 일정한 수준이 정해
진다.
- 이렇게 볼 때 기본 욕구라는 말 속에는 인간이면 누구나 그 수준 이하로 떨어져서 생활해서는
안 된다는 일종의 규범적 선언이 내표되어 있다.

(3) 사회적 욕구
- 사회적 욕구는 두 가지의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첫째, 그것의 해결방법이 사회공동적이란 뜻이다. 사회가 산업화될수록 사회적 위험이 증대
된다는 사실을 앞에서 설명했다. 그러나 그러한 사실보다 더 중요한 점은 사회적 위험
이 발생했을 때, 그 원인을 추궁하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 사회적 욕구가 갖는 두 번째 의미는 욕구해결의 주 동기를 이윤추구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이 책 제 1장의 사회복지의 어의에 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사회적이란 뜻
은 경제적의 반대의미를 지니고 있다. 특히 사회적 욕구의 충족은 인간성 상실이라는 중대
한 위기에 처해 있는 사람들을 겨냥하기 때문에 제3자의 이윤추구가 끼어들면 안 된다. 따
라서 사회적 욕구해결에는 시장에서 상품을 사고파는 행위와는 달리 기본욕구의 충족이 일
차목표가 되어야 한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27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4) 사회적 욕구의 측정


- 사회적 욕구조사의 대표적인 것이 빈곤조사(또는 최저생계비 조사)이다. 빈곤정의를 수치로 표
시할 경우, 그것을 빈곤선(poverty line) 또는 빈곤수준(poverty standard)이라고 부른다. 빈곤선
또는 빈곤수준을 누가 정하느냐에 따라 학술적 빈곤선과 행정적 빈곤선으로 나누어진다. 이
중 후자는 정치적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국민 여론의 향방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28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4주차 2교시

2. 자원
- 사회복지에 필요한 자원을 구분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 먼저 자원을 부담하는 주체의 성격에 따라 크게 공공자원과 민간자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두 번째로, 자원 자체의 성격에 따라 유형자원과 무형자원, 혹은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 등과
같이 자원의 형태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 세 번째로, 공급자의 공급동기를 기준삼아 수급자의 권리에 대한 의무수행이 될 수 있는가 하
면, 공급자 측의 선의 표시가 될 수도 있다.
- 이 장에서는 먼저 공공자원과 민간자원의 다양한 형태를 살펴본 후에 사회복지가 그러한 자원을
공급하는 역할의 형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1) 자원의 종류

(1) 공공자원
- 현대 복지국가의 복지자원 측면에서 공공자원의 역할은 가장 중요하다. 실제로, 복지선진국들에
서는 공공자원이 사회복지자원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김태성·성경륭, 1993) 우리나라의
경우도 아직 복지자원의 총량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총 자원 중 공공부문이 차지하는 비율은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OECD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공공자원의 비중은 1990년에는 국
민총생산의 2.9%에 불과하던 것이 2005년에는 6.9%로 15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약 2배
이상 증가하였다.(OECD, 2008)

(2) 민간자원
- 공적 자원이 현대 복지국가의 복지자원으로서는 중요성이나 비중이 가장 크지만, 민간자원도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복지자원이다. 특히 현대 복지국가에서는 늘어나는 복지욕구를 충당하
기 위해서 공적 자원을 보충해줄 수 있는 민간자원의 역할이 강조된다. 이러한 민간자원은 이
용자사용료 기부금, 기업복지, 비공식자원(가족, 이웃, 친지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자원) 등으
로 나누어진다.

2) 자원공급의 역할

(1) 자원중개의 역할
- 중개역할은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를 찾아내고, 그들에게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며 서비스가 제대로 전달되는가를 확인하는 활동이다. 사회복지제도와 분야가 확대되고 복잡
해짐에 따라 이러한 제도에 익숙하지 못한 사람들은 그들의 욕구충족에 필요한 자원을 발견하
고 활용하는 일을 어렵게 생각한다. 우리가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려면 변호사를 찾아 도움을
요청하듯이, 사회복지서비스가 필요한 자원을 발견하고 활용하는 일을 어렵게 생각한다. 우리가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려면 변호사를 찾아 도움을 요청하듯이, 사회복지서비스가 필요한 클라이
언트는 사회복지사를 찾게 된다. 이 경우에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자원을 발견하
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개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 중개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과업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 첫번째 과업은 클라이언트들이 활용할 수 있는 공식적·비공식적 자원을 사정하는 것이다.
• 두번째 과업은 주민들을 현존 서비스에 연결시켜 주는 것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29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2) 클라이언트 옹호역할(advocating role)


- 옹호자(advocate)란 "타인의 명분을 호소하는 자이며, 명분(cause)과 제안(proposal)을 위해 논쟁
하는 자"이다(Halley 외, 1998 : 217). 변호사가 법정에서 클라이언트의 법적 권리를 주장하는 경
우가 바로 옹호자의 역할이다.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옹호자 역할은 개인이나 가정이나 집단이
나 공동체를 위해 앞장서는 일종의 특수한 호소행위라 할 수 있다. 옹호역할은 정부나 사회복
지기관에 부당한 요구를 하는 것이 아니라 공인된 합법적 수단을 활용하여, 개인을 대신해 그
의 권리를 옹호하고 방어하는 행위이다. 사회복지기관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에게 옹호자로서
의 역할은 도전적 행위일 수 있다. 때로는 자기가 속한 기관에 대해서 항의하고 대결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기 때문에 실직당할 우려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클라이언트의 권리를 보호한다는
직업적인 윤리관에서 보면 옹호는 사회복지사의 책임임에 틀림이 없다.

(3) 자원동원 역할(mobilizing role)


- 자원동원 역할이란 지역사회 내에 있는 구성원이나 조직들이 공동체의 조건을 개선시키고 싶은
동기에서 출발하여 구성원들을 조직화하는 활동을 말한다. 이는 지역사회 개발(community
development)과 사회계획(social planning)을 포함한 전통적 사회사업 방법의 하나인 지역사회조
직(community organization)의 핵심적 영역이기도 하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30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4주차 3교시

3. 전달체계

1)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념
- 클라이언트와 지역사회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는 그 조직적 환경 여하에 따라 사업
의 성패가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복지수급자에게 조직적 환경이란 그에게 직접 도움을 주는 사
회복지기관, 시설, 단체는 물론 중앙과 지방의 모든 공사조직을 지칭한다. 이와 같은 모든 공사(公
私)기관들은 정부의 정책 혹은 민간기관의 방침에 따라서 클라이언트에게 어떤 성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느냐를 결정짓게 되는 것이다(서상목 외 1988.).

2)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의 주요 원칙


(1) 행정구조적 측면

① 기능분담의 체계성(systematic functions distribution) 원칙


- 전달체계를 상부와 하부체계로 나누고, 상부와 하부를 연결시켜 주는 중간체계를 생각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와 같은 상부체계의 주 기능은 정책결정과 관련된 계획 및 통제기능
이 된다 그리고 기획, 감독 및 지도를 맡게 될 중간체계인 시·도 단위에서는 책임기능
및 서비스 제공기능에 초점을 맞춘다. 시·군·구 및 읍·면·동 단위의 하부체계는 클라
이언트와의 접촉을 가장 빈번하게 가져야 하는 초입기능 및 서비스 제공기능을 주로 맡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적 전달체계는 상부로부터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기능상의 분담이 체계성과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② 전문성에 따른 업무분담(job distribution)의 원칙


- 사회복지서비스의 제공과 관련된 제반업무는 그 특성에 따라 반드시 전문가가 해야 할 일
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구별될 수 있다. 예컨대 클라이언트의 욕구파악이나 진단, 그가 필
요로 하는 서비스에 대한 판정 및 평가 그리고 자원봉사자의 관리 등과 같은 업무는 전문
적 성질의 것이다. 그러나 기록, 보고서의 정리 및 보관 현금 및 물품의 전달, 수급자의
고재파악 그리고 타 기관의 위치파악 및 업무고새 등은 전문가의 감독하에 비전문가도 하
려면, 우선 해당 기관의 업무를 전문적인 것과 비전문적인 것으로 구분하는 업무분담이
요구된다. 그리하여 전문가의 필요성이 낮은 업무는 최대한 비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이 좋
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문가조차 전문가와 준전문가로 구분함으로써 행정비를 절
감시킬 수 있다.

③ 책임성(accountability)의 원칙
- 사회복지가 사회의 한 제도로서 존재한다는 뜻 속에는, 서비스 공급자는 반드시 규정에
맞는 절차를 따라야 할 의무가 있다. 그것을 전달체계의 책임성이라고 부르는데, 책임성의
문제는 서비스의 효과성과 밀접히 관련된다.
- 사회복지서비스의 책임자가 구체적으로 누구에 대해 책임을 지는가에 관해서는
㉠ 사회에 대한 책임
㉡ 클라이언트에 대한 책임
㉢ 전문가협회에 대한 책임 등 세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31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④ 접근용이성(accessibility)의 원칙
- 사회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 필요한 때 편리한 곳에서 해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서비스공급의 시기가 늦어진다면 클라이언트의 문제
가 그만큼 더 악화되어 서비스의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그 문제의 악영
향이 크게 파급될 가능성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서비스가 제공되는 위치와 장소도 마찬가
지이다. 자신의 문제해결을 위해 도움을 받고자 원하지만 어디로 찾아가야 좋을지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설사 알고 있다 하더라도 그 장소가 원거리에 위치한다든지, 혹은 찾아
가보고 싶을 마음이 내키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게 된다면, 결국 서비스와 복지대상자의
욕구는 별개로 존재하여 상호연결이 될 수 없다. 이때 서비스와 욕구의 연결상태를 우리
는 접근용이성이라고 부른다. 전달체계상의 접근용이성을 클라이언트 측면과 서비스 공급
자 측면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⑤ 통합조정(coordination)의 원칙
- 클라이언트의 문제는 한두 가지 서비스로 해결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다양한 서
비스가 동시에 투입되어야 할 정도로 복잡하에 얽힌 특징을 지녔기 때문이다. 한편 사회
복지서비스는 행정의 편의상 그리고 전문성 문제 때문에 다양하게 분산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자칫하면, 여러 개의 서비스기관이 각기 독립적으로 동일한 클라이언트에게 서비
스를 공급함으로써 서비스 효과를 저하시키고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와 같
은 부작용을 없애려면,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책임기관을 선정하거나
책임전문가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사회복지 계획 및 자원의 배분과 업무수행 시,
관련기관 및 관련자 간의 협조·조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세심한 배려를 해야
한다.

⑥ 지역사회참여(community participation)의 원칙
- 현대사회의 사회복지문제는 공식적 사회복지체계만으로 해결하기에는 서비스의 양과 질이
모두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다시 말해서, 비공식적 사회복지체계의 복지기능을 결코 과소
평가할 수 없다. 그러나 이상적 관점에서 보면, 공식적 체계가 비공식적 체계를 최대한으
로 수용, 활용해야 하는 것이다.

⑦ 조사 및 연구의 원칙
- 앞에서 열거한 사회복지기관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계획 및 통제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는 조사 및 연구의 필요성이 지대하다. 조사와 연구를 필요로 하는 활동영역은 다음과 같
이 실로 광범위하다. 표출된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 잠재된 욕구
를 발견하는 노력, 서비스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기술의 개발, 사회적 보호의 질
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전문적 임상기술의 개발, 서비스의 관리 및 운영기법의 개발 등 여
러 가지가 있다. 한마디로 사회복지서비스의 전문화로 이 조사 및 연구활동의 성패에 따
라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사회복지 서비스의 전달체계는 조사 및 연구
기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2) 서비스 공급자 측면


① 평등성(equality)의 원칙
- 이 원칙은 모든 국민이 사회복지서비스를 신청 또는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을 수
있음을 규정하는 것이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32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② 재활 및 자활(self-support)목표의 원칙
- 사회복지서비스의 궁극적 목표는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사회복지서비스의 필요성을 줄여주
거나 해소시킴으로써 자립 또는 정상적 사회복귀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③ 적절성(appropriateness)의 원칙
- 클라이언트는 앞에서 언급한 서비스의 궁극적 목표인 자활 및 재활을 성취하는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충분한 서비스의 양과 질을 공급받을 수 있어야 한다. 어느 정도 서비스가
필요하고 적당한가에 대한 판정은 매우 어려운 직업이다.

④ 포괄성(comprehensiveness)의 원칙
- 앞서 보았듯이, 인간의 욕구는 다양하다. 복지와 관련된 문제를 가진 사람일수록 욕구의
다양성은 증가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기에 클라이언트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도 다양
해질 수밖에 없다. 서비스에는 교육, 의료, 주택, 소득 사회적응 등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가 있는가 하면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 등 서비스의 성격도 다양하다.

⑤ 지속성(continuity)의 원칙
- 앞서 설명된 재활 및 자활목표의 원칙을 완수하기 위한 전문적 과정은 오랜 기간을 요하
는 어려운 과정이다. 클라이언트가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점차 정상화에 접근해
가는 발전과정에서, 특정 기간별로 필요한 서비스의 종류와 양은 달라진다. 서비스공급자
인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변화과정을 면밀히 분석·평가하는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
그 말을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해석하면, 재활 및 자활의 목표가 성취될 때까지 모든 서비
스는 자활이라는 목표를 중심으로 통합되고 지속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
속성 원칙은 앞에서 설명한 포괄성의 원칙이나 통합조정원칙 그리고 적절성 원칙과도 밀
접히 관련되는 것이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33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5주차 1교시

사회복지실천방법

1. 학문으로서의 사회복지

1) 체계적 이론
- 사회복지학은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과학적인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며 체계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자선이나 박애와는 다르다.
- 사회복지학은 인접 사회과학의 이론과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출발했지만 독자적인 이론적 체계와
지식을 축적해 오고 있다.

2) 사회복지학과 인접 학문

인접학문 심리학
사회학 과학적인 방법 사회문제나 개인의 문제해결

개인에게 영향을 미칠 수 클라이언트의 심리 정서적 문제 해결을 위


심리학 한 상담서비스 및 사회적·경제적 서비스
있는 다양한 요인 제공

① 사회학
- 사회학은 사회문제의 원인과 결과를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규명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반면,
사회복지학은 사회문제나 개인의 문제를 해결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데 초
점을 둔다는 차이가 있다.
② 심리학
- 심리학은 개인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밝히는 데 주력하여 심리치료 서비
스를 제공한다면, 사회복지학은 클라이언트의 심리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담서비스
이외에 사회적 ‧ 경제적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③ 정신의학
- 정신의학은 개인의 질병을 치료하는 것을 강조하지만, 사회복지학은 개인과 가족, 사회의 기
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조한다는 데 차이가 있다.
④ 정치학
- 정부와 정치제도의 과정, 원칙, 구조를 연구한다.
- 사회복지정책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사회복지실천과 연관성을 갖는다. 또한 복지정책에 대
한 정부의 역할, 행정조직, 전달체계 등의 개선 및 발전에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는 데 기여한
다.
⑤ 경제학
- 상품의 생산, 분배, 소비를 연구한다.
- 생활수준의 측정과 결정, 조세와 사회복지서비스 및 정책과의 관계, 임금과 시장체계, 노동문
제 등에 관해 필요한 지식과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사회복지와 관련을 갖는다.
⑥ 문화인류학
- 고고학적 ‧ 민족지학적 ‧ 언어학적 ‧ 사회적 ‧ 심리학적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인간문화를 연구
하고 분석방법을 연구한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34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3) 사회복지학의 응용 학문적 특성
- 사회복지학은 응용학문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사회학, 심리학, 정신의학 등 위에 언급된 학문
외에도 다양한 학문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 어떤 학문의 어떤 이론이라도 인간의 사회적 기능을 높이는 목적에 직접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면
사회복지의 지식기반으로 적용될 수 있다.

2. 사회사업, 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

1)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 사회복지는 사회사업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이다. 즉, 사회복지는 사회사업을 포함한다.
-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은 일차적으로 실천의 차원에서 관련된다.

2) 사회복지실천(social work practice)


- 사람들에게 실체적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돕는다.
- 개인 ‧ 가족 ‧ 집단에 상담 및 정신적 치료를 제공한다.
- 지역사회나 집단 사회서비스 및 보건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개선하도록 돕는다.

3. 사회복지실천의 분류

1) 클라이언트체계의 크기 또는 규모에 따른 분류
① 미시(micro)수준의 사회복지실천
- 개인의 가장 친밀한 상호작용 과정에 개입하는 실천 활동으로서 개인, 부부, 가족을 포함하는
다양한 클라이언트체계를 대상으로 한다.
② 중범위 혹은 중간(mezzo)수준의 사회복지실천
- 중범위 혹은 중간수준에서의 실천이란 미시수준과 거시수준의 중간수준에서 활동하는 것을
말한다.
- 개인이나 가족생활보다는 덜 밀접하게 관련된 대인관계, 조직과 기관의 대표들 사이보다는
더 의미 있는 관계에 개입한다.
③ 거시(macro)수준의 사회복지실천
- 거시수준의 사회복지실천은 클라이언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나 전체 사회, 혹은
국가의 복지체계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실천활동이다.

2) 클라이언트의 접촉 유무에 따른 분류
① 직접실천(direct practice)
- 클라이언트와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으면서 개입하는 실천방식이다. 주로 개인, 집단, 가족을
대상으로 클라이언트를 직접 대면하여 개입하는 미시적 실천을 말하지만, 지역사회의 집단이
나 단체들에 제공하는 거시적 방법들의 측면을 포함하기도 한다.
- 인간이 환경과 원활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능력인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② 간접실천(indirect practice)
-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직접적으로 개입하지 않는다.
-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클라이언트를 둘러싼 환경체계에 개입하여 사회적 지지체계나 자원들을
발굴 또는 연계하는 방법을 활용한다.
- 사회복지정책이나 사회복지행정인 간접실천이라는 이름으로 사회복지실천에 포함된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35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3)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정의
- 사회복지실천현장은 사회복지서비스가 직접, 간접적으로 제공되는 장(setting)으로서 사회 복지실천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1) 넓은 의미의 실천현장
① 사회복지실천분야(fields of practice)또는 서비스의 초점이 되는 문제영역(problem erea)을 포괄
하는 개념으로서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직․간접적으로 관련되는 모든 현장
을 뜻한다.
② 물리적인 ‘장소’의 개념을 넘어 사회복지실천이 이루어지고 있는 전문분야들을 일컫는다.
(2) 좁은 의미의 실천현장
① 클라이언트에게 사회복지서비스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사회복지기관을 의미한다.
② 필먼(perman)은 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4p)로서 개인(person), 문제(problem), 과정(process)과
함께 서비스 제공 장소인 기관(place)을 강조하였으며, 기능주의의 대표적 학자인 스몰라
(smalley)도 기관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원조과정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제안
하고 있다.

4.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분류

1) 기관의 설립주체나 자금의 조달방식에 따라


① 공공기관 : 공공부문으로 알려진 정부기관 또는 공공기관은 정부의 지원에 의해 운영되며, 서비스
를 계획․관리․지원하는 행정체계와 서비스를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집행체계로 나뉜다.
② 민간기관 : 사회복지사업을 목적으로 사회복지법인이나 재단법인, 사단법인, 종교단체, 시민사회단
체 등이 운영하는 비영리기관을 총칭하며,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기관과
간접서비스나 행정지원을 위해 조직된 협의체로 나뉜다.

2) 기관의 운영목적에 따라
① 일차현장 : 기관의 일차적인 기능(목적)이 사회복지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것으로 사회복지사들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는 실천현장을 말하며, 각종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기관 등이 이
에 해당된다.
② 이차현장 : 사회복지전문기관은 아니지만(=그 기관의 일차적인 목적은 따로 있지만) 사회복지 서
비스가 기관의 운영과 서비스의 효과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사회복지사
의 개입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천현장을 말하며, 병원(의료기관), 학교, 유
치원, 보육시설, 교정시설, 행정기관, 군대 등이 이에 해당된다.

3) 제공되는 서비스의 내용에 따라


① 생활시설 : 클라이언트가 시설에 입소하여 숙식과 함께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설
② 이용시설 : 클라이언트가 왕래하면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설

4) 서비스의 직․간접 제공 여부에 따라


① 서비스기관 : 클라이언트에게 직접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주요 대상이나 문제
영역에 따라 서비스 분야를 나눈다.
② 행정기관 : 전달체계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기획 ․ 감독 ․조정 등 체계의 효율적 발전을 목표로
하는 행정업무와 기관들 간의 연계 ․협의 업무를 담당하며, 가정 대표적인 중앙부처는
보건복지부이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36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주요 사회복지시설의 종류

구분 시설의 종류 근거법
① 양로시설
노인주거복지시설 ② 노인공동생활가정
③ 노인복지주택
①노인요양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 ②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③노인전문병원
①노인복지관
노인복지시설 ②경로당 노인복지법
노인여가복지시설
③노인교실
④노인휴양소
①방문요양서비스
②주․야간보호서비스
재가노인복지시설
③단기보호서비스
④방문목욕서비스
노인보호전문기관
①국․공립보육시설 ②법인보육시설
보육시설 ③직장보육시설 ④가정보육시설 영유아보육법
⑤부모협동보육시설 ⑥민간보육시설
①모자보호시설 ②모자자립시설
③부자보호시설 ④부자자립시설
한부모가족 ⑤미혼모자시설 ⑥미혼모자공동생활가정
한부모가족지원법
복지시설 ⑦모자공동생활가정 ⑧부자공동생활가정
⑨미혼모공동생활가정 ⑩일시보호시설
⑪여성복지관 ⑫한부모가족복지상담소
①아동양육시설 ②아동일시보호시설
③아동보호치료시설 ④아동직업훈련시설
⑤자립지원시설 ⑥아동단기보호시설
이동복지시설 ⑦아동상담소 ⑧아동전용시설 아동복지법
⑨아동복지관 ⑩공동생활가정
⑪지역아동센터 ⑫아동보호전문기관
⑬가정위탁지원센터
①장애유형별 생활시설
장애인복지시설 장애인시설 ②중증장애인요양시설 장애인복지법
③장애영유아생활시설
①장애인복지관
②장애인의료재활시설
③장애인주간보호시설
④장애인단기보호시설
⑤장애인공동생활가정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⑥장애인체육시설
⑦장애인수련시설
⑧장애인심부름센터
⑨수화통역센터
⑩점자도서관
⑪점자도서 및 녹음서출판시설
①장애인보호작업장
장애인직업재활시설
②장애인근로사업장
장애인유로복지시설
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
정신의료기관
정신보건시설 정신요양시설
정신질환자 사회복귀시설 ①정신질환자생활시설 장애인복지법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37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구분 시설의 종류 근거법

②정신질환자지역사회재활시설
③정신질환자직업재활시설
④중독자재활시설
⑤정신질환자생산품판매시설
⑥정신질환자종합시설

정신보건센터
가정폭력방지 및 피
가정폭력피해자 ①단기보호시설 ②장기보호시설
해자보호 등에 관한
보호시설 ③외국인보호시설 ④장애인보호시설
법률
성매매방지 및 피해
성매매 ①일반지원시설 ②청소년지원시설
자보호 등에 관한
피해자지원시설 ③외국인여성지원시설 ④자활지원센터
법률
자활자원
①중앙자활센터 ②지역자활센터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공공부조)
①청소년수련관
②청소년수련원
청소년 ③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수련시설
활동시설 ④청소년특화시설
⑤청소년야영장
⑥유스호스텔

①문화예술진흥법의 규정에 의
한 문화시설
②과학관육성법의 규정에 의한
과학관
③체육시설의 설치 ․이용에 관
한 법률의 규정에 의한 체육시

청소년활동진흥법
④평생교육법의 규정에 의한
평생교육시설
⑤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의
청소년이용시설
규정에 의한 자연휴양림
⑥수목원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의한 수목원
⑦사회복지사업법의 규정에 의
한 사회복지관
⑧시민회관 ․ 어린이회관 ․ 공
원 ․ 광장 ․ 고수부지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공공용 시설로서
청소년활동 또는 청소년들이
이용하기에 적합한 시설

청소년 쉼터 청소년 쉼터 청소년복지지원법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38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5주차 2교시

1. 사회체계이론

1) 사회체계이론의 의의
- 사회체계이론은 사회복지사들로 하여금 인간의 행동을 이해할 때 원인과 결과를 중시하는 단선적
인 견해에서 벗어나 인간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을 고려하도록 하였다.
- 과거에는 많은 사회복지사들이 정신분석과 같은 특정 심리학 이론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가 경험
하는 문제의 단일한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 그러나 사회체계이론에서는 클라이언트의 문제와 관련한 다양한 맥락을 강조하기 때문에 복지사들로
하여금 클라이언트가 처한 상황을 다양한 체계의 수준에서 사정하고 설명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2) 체계의 속성(마틴과 오코너)


- 체계의 속성을 좀더 세분화시킨 마틴과 오코너는 체계가 조직화, 상호인과성, 항구성, 공간성, 경계
라는 다섯 가지 속성을 가진다고 보았다.
(1) 조직화(organization)
• 체계의 부분 혹은 요소가 서로 관계가 있고 연결되어 있음을 뜻한다.
(2) 상호인과성(mutual causality)
• 상호의존을 의미한다. 체계의 한 부분에 일어난 사건은 직접적, 간접적으로 모든 부분들에 영
향을 미친다.
(3) 항구성(constancy)
• 체계가 지속성이 있음을 뜻한다.
(4) 공간성(spatiality)
• 체계가 물리적 공간을 점유하며, 관찰될 수 있음을 뜻한다.
(5) 경계(boundary)
• 공간성과 관련되는데 이것은 체계의 테두리로 다른 체계들과 환경을 구분한다. 체계로 들어
오고 나가는 정보와 자료는 경계를 통해 여과된다.
- 즉 사회체계는 일정 기간에 걸쳐(항구성), 서로 관계를 맺고 있는(조직화), 적어도 두 사람을 포함
하며(공간성), 어떤 식으로든 구성원이 아닌 사람을 분리하면서(경계), 관련된 모든 구성원이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상호인과성).

3) 체계와 사회체계
(1) 체계(system)
- 상호의존적이고 상호작용하는 부분들과 구성된 전체, 즉“부분들 간에 관계를 맺고 있는 일련
의 단위들”로 정의된다.
- 인과적인 관계 속에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관련된 구성요소들의 복합체이며, 이때 각 구성요
소는 어떤 특정한 기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와 안정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체계
란 서로 관련을 맺고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집합이다.

(2) 사회체계(social system)


- 사회체계란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적 환경 안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인간 공동체에 적용
할 수 있는 사회조직의 모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것의 구성부분들을 초월하여 하나의 특수
한 단위를 이루고 있는 집합체로서 가족, 집단, 조직, 지역사회, 문화 등을 포함한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39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이러한 사회체계는 명백하게 규정된 경계에 의해 외부환경과 구별되는데, 그 경계내의 하위단


위들은 비교적 안정된 상태로 상호 관련되어 있다. 또한 사회체계 내에서 한 부분의 행동은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2. 사회체계이론의 주요개념

1) 경계
- 사회체계에서 경계(boundary)란 체계를 외부환경으로부터 구분해주는 일종의 테두리로, 전체체계와
부문체계, 상위체계와 하위체계를 구분하는 것도 경계에 의해 이루어진다.
- 이것은 개념적인 것으로 누가 그 체계에 참여하는 지를 규정하는 임의적인 방법이다. 경계는 종종
사람의 피부에 비유되지만, 피부와 달리 사회체계에서의 경계는 눈으로 보거나 만질 수 없고, 단지
그 체계를 구성하는 사람들이 서로에 대해 그리고 외부사람에 대해 행동하는 방식에 드러난다.
- 즉, 사회체계에서의 경계는 사회적인 구조이지 물리적인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경계를 유지하는
행동을 통해서만 드러난다.
- 경계의 두 가지 기능
• 체계와 체계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교류의 특징을 구분해주기 때문에 경계는 체계의 독특성 혹
은 정체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 경계는 체계 내부로 흘러들어오는 에너지와 외부로 흘러가는 에너지를 규제한다. 즉, 체계와 주
위환경과의 에너지 교환을 통제한다.

2) 관계와 공유영역
① 관계(relationship)
• 둘 이상의 사람들이나 체계들 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으로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과 연결되
는 것 또는 연결되어 있거나 교류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② 폐쇄체계(closed system)
• 다른 체계들과 상호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체계로부터 투입도 없고 다른 체계에 산출도 하
지 않는다.

3) 개방체계와 폐쇄체계
① 개방체계(open system)
• 체계 내에서 정보와 자원을 자유롭게 교환하면서 체계 안으로뿐만 아니라 체계 밖으로도 자유
롭게 에너지의 통과를 허용한다.
② 폐쇄체계(closed system)
• 다른 체계들과 상호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체계로부터 투입도 없고 다른 체계에 산출도 하
지 않는다.

4) 대상체계, 상위체계, 하위체계


- 사회체계는 부분성과 전체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즉, 체계는 부분들로 구성되는데 그 부분들에
대해서는 전체가 되고 동시에 이 체계는 보다 큰 체계에 대해서는 하나의 부분이 된다.
① 대상체계(subject system)
• 분석의 대상이 되는 사회체계
② 상위체계(supersystem)
• 대상체계의 외부에 있으면서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영향을 미치는 사회단위들
③ 하위체계(subsystem)
• 대상체계의 내부에 있으면서 내부의 다른 하위단계의 단위들과 상호작용하여 체계를 이루는 것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40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예를 들어, 부모와 2남 2년의 자녀들로 이루어진 어느 가족의 문제에 개입한다고 할 때 그 가족은


대상체계가 되고, 가족이 함께 다니고 있는 교회는 그 가족(대상체계)의 상위체계가 되며, 가족 내
에 형성되어 있는 부모체계, 부모자녀체계, 형제체계, 자매체계, 남매체계 등은 그 가족(대상체계)
의 하위체계가 된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41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5주차 3교시

1. 생태체계이론

1) 생태학적 이론의 의의
- 브론펜브레너(Bronfenbrenner)는 생태학적 이론을 ‘활동적이고 성장하는 인간과 환경 간의 일생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진보적이고 상호적인 적응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
다.
- 즉, 생태학적 이론에서는 유기체를 환경과 분리할 수 없으며 상호작용하는 체계라고 보기 때문에
개인과 환경을 이분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양자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둘 수 있게 된다.
- 생태학적 이론은 인간과 환경 사이의 상호보완성을 설명하는데 관심을 두고 있으며, 환경과 인간
을 하나의 총체로 간주하고 있다.
- 사회복지전문직에서 생태학적 이론을 실천에 적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정신 내적 생활과 환경적
조건을 개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는 서비스, 즉 적접적 서비스와 간접적 서비스를 통합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하게 되었다.
- 개인-환경 간의 적합성 및 상호적 교환 그리고 교환을 지지 또는 방해하는 힘 등과 같은 폭넓고
통합적인 실천적 지식을 제시해 주고 있다.

2) 생태체계이론의 주요 개념

(1) 유기체
- 유기체(organism)는 개별적이고 통제적이며 살아 있는 체계로 에너지와 정보를 필요로 한다.
- 가족, 집단, 조직, 사회는 인간 유기체로 구성된 체계의 예라고 할 수 있으며 인간 유기체는
그들의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인간생태체계를 구성한다.

(2) 적응, 적합성, 유능성


- 적응(adaptation)
• 인간과 환경 간의 활발한 상호교환을 포함하는, 인간-환경이라는, 하나의 단위 안에서 이루
어지는 과정이다. 생태학적 이론에서는 개인과 환경이 상호영향을 미치고 최적합상태를 성
취하기 위하여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고 반응한다고 본다. 따라서 인간은 환경이 자신의 욕
구에 적합하도록 변화시키고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또한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 적합성(goodness of fit)
• 인간의 적응욕구와 환경자원이 부합되는 정도를 말하며, 전 생애를 통해 성취된다.
- 유능성(competence)
• 사람들의 생활문제를 완화시키는 또 다른 적응전략으로, 개인이 환경과 효과적으로 상호작
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유아는 옳거나 어떤 대상을 붙잡거나 기어 다니거나 걸어 다니는
등의 행동을 통해 외부환경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유아는 효율
성(또는 효능감)을 경험하게 된다.

(3) 스트레스와 대처기술


- 스트레스(stress)
• 개인이 지각한 요구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사이의
불균형에 의해 야기된 생리적․심리적․사회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42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대처기술(coping skill)
• 정서적 고통을 통제하기 위하여 개인이 수행하는 행동으로, 대처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내적 자원(자존감과 문제해결기술)과 외적자원(가족, 사회적관계망, 조직의 자원)이 필요하
다.

(4) 생활영역과 거주환경


- 생활영역(또는 적소, niche)
• 지역사회 성원들이 사회적 구조에서 차지하고 있는 사회적 지위 혹은 직접적 환경을 의미
한다. 브론펜브레너는 생태학적 생활영역을, 특별한 개인적 특성을 지닌 개인의 발달을 촉
진 또는 방해하는, 환경 내의 영역이라고 하였다.
- 거주환경(HABITAT)
• 개인의 문화적 맥락 내에 존재하는 물리적 ․ 사회적 환경과 관련된 개념이다. 생태학적 접
근으로 보았을 때 집, 건물, 농촌마을, 도화지 같은 물리적 환경은 거주하는 사람들이 그들
의 생활양식, 연령, 성, 문화적 양식에 적합한 방식으로 가정생활, 대인관계, 직장생활, 종교
생활 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지원해야 한다.

* 브론펜브레너의 네 가지 환경체계
- 브론페브레너의(Bronfenbrenner)는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생태학적 환경을 가장 가까운 것에서부터
가정 먼 것에 이르기까지 네 가지의 구조체계, 즉 미시체계(소속체계), 중간체계, 외부체계(외체계),
거대체계(거시체계)로 구성하였는데 이들은 서로 상호작용을 한다.

(1) 미시체계(또는 소속체계, micro system)


- 가정 인접한 수준의 환경으로 가족, 친구, 학교, 학원, 동아리, 이웃, 직장 등과 같이 개인에게 직
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을 말하며, 대면관계에 의한 상호작용을 특징으로 한다.
- 개인에게 가장 인접한 환경인 미시체계가 효과적으로 기능하면 그 이외의 체계에서도 성공할 기
회가 많아진다.

(2) 중간체계(meso system)


- 미시체계 간의 연결망으로 개인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둘 이상의 미시체계 간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중간체계란 가정과 학교 간의 관계, 학교 와 직장 간의 관계와 같이 개
인을 둘러싸고 있는 두 가지 이상의 환경에서 일어나는 과정과 연결성을 의미한다.
- 중간체계에서 주목할 점은 각각의 미시체계에 존재하고 있는 발달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특징과
그러한 미시체계 환경에서 일어나는 과정들이 상호작용하면서 만들어내는 상승효과에 초점을 맞
추는 것이다.
- 예를 들어, 가정과 학교, 즉 부모와 교사 간의 관계 및 상호작용이 긍정적이면 자녀인 학생은 가
정 및 학교생활에서 보다 발전적인 행동이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3) 외부체계
- 개인이 직접 참여하지는 않지만, 그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소를 의미한다.
- 예를 들어, 어린 아이에게 있어 부모의 직장은 그 아이가 직접 참여하는 미시체계(또는 소속체계)
는 아니지만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보다 구체적인 예로 부모가 모두 출장을 가거나 야근을 해야 하는 경우 부모가 없는 시간만큼 집에
혼자 있는 어린 아이를 다른 누군가가 보호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만약 부모가 직장에서
원치 않는 실직을 당하게 된다면 아이의 성장 및 교육 등에 큰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43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4) 거대체계(또는 거시체계, macro system)


-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법, 종교, 교육제도, 관습, 이념, 가치관 등과 같은 광범위한 사회적 맥락
을 의미한다.
- 이러한 거시체계는 개인의 삶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사회구조적인
맥락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비록 간접적이긴 하더라도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44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6주차 1교시

1. 가치의 개념

1) 가치의 개념
- 가치는 믿음 또는 신념과 같은 것으로 “좋다/싫다, 바람직하다/나쁘다” 등과 같이 선호하는 것에
대한 암묵적 견해로서 인간의 삶과 관련된 특정 수단, 목적, 조건들에 대한 보편적 선호이다.

2) 상대적 중요성에 따른 가치체계(Johnson)


① 궁극적 가치(ultimate values)
- 가장 추상적이고 다수에 의해 가장 쉽게 동의를 얻을 수 있는 내용들이다.
 자유, 인간의 존엄성, 정의 등
② 차등적(근사적) 가치(proximate values)
- 추상적인 궁극적 가치와 구체적 행위나 상황과 관련된 도구적 가치 사이에 있으며 추상적 가치
를 좀 더 구체화한 가치이다.
- 사회문화적 영향이나 개인의 경험에 따라 찬성과 반대가 가능한 가치이다.
- 특수하고 단기적인 목표를 제시하는 중간 수준의 가치이다.
 보건의료서비스나 치료를 거부할 수 있는 환자의 권리, 낙태나 동성애에 대한 가치 등
③ 수단적(도구적) 가치(instrumental values)
- 목적을 위해 요구되는 수단들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며, 궁극적 가치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다.
 자기결정, 비밀보장, 고지된 동의 등

3) 차원에 따른 가치 분류

① 개인적 가치
- 가족, 문화, 사회의 가치에서 비롯된다.
- 개인적 가치는 종교적 ‧ 문화적 가치의 영향을 강력히 받으므로 각 개인의 환경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② 사회적 가치
- 개인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며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특성이 있다.
- 사회의 일반화된 정서적 공감대를 반영하는 것으로 역사적으로 형성되었으며 경험에서 비롯된
다.
③ 기관의 가치
- 각 사회복지기관은 역할, 기능, 책임에 따라 고유한 가치를 갖는다.
- 기관의 가치는 종종 클라이언트의 가치와 갈등을 빚을 수 있다.
④ 전문직 가치
- 클라이언트의 관심을 우선시하는 전문적 행동의 기준으로 삼는 가치이다.
- 어떤 직업이 전문직으로 인정되는 과정에서 그 전문직의 독특한 실천활동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가치로서 기본적으로 해당 전문직 활동의 평가와 책임소재의 근거가 된다.
- 사회적 가치로부터 전문직 가치가 나온다. 두 가지의 가치가 대부분은 일치하지만 강조점이나
우선순위, 해석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미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가 제시한 사회복지전문직의 가치는 다음과 같다.
• 개인의 가치와 인간의 존엄성, 수용, 비밀보장, 정직, 책임성
• 클라이언트의 자기 결정권, 원조과정에의 적극적 참여권리 존중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45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클라이언트체계가 필요한 자원을 획득할 수 있도록 원조할 책임성


• 사회제도 개선의 책임: 사회제도가 인도적으로 운영되고, 인간의 욕구에 부응하도록 만드는
노력
• 다양한 집단의 고유한 특성을 존중하고 수용하여 이를 이해할 수 있는 교육내용(문화, 계층,
성별, 성적 취향, 종교, 장애, 연령 등)의 필요성 인정
• 전문직업적 특성 개발을 위한 노력: 자신이 행한 윤리적 행위와 실천 내용에 대한 책임, 전문
적인 지식과 기술을 반전시키는 노력

2. 사회복지실천의 주요 가치
- 기본적 가치: 인간의 존엄성, 인간의 자율성, 기회의 균등성, 사회적 책임성, 개인의 가치와 존엄성,
개인에 대한 존경, 개인의 변화가능성,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 비밀보장, 사생활보장, 적절한 자
원과 서비스 제공, 역량강화, 등동한 기회보장, 비차별성, 다양성 존중 등

1) 사회복지실천의 본질적 가치
- ‘인간의 존엄성 존중’과 ‘배분적인 사회정의’는 사회복지실천의 본질적 가치인데 이를 사회복
지실천의 이중(double)가치체계라고도 한다.
① 인간존엄성 존중
• 인간을 존엄한 존재라고 생각하는 것
• 클라이언트의 개별화, 자기결정권, 비밀보장을 존중하는 수단적 가치와 직업적인 윤리의 토대
가 됨
• 모든 인간은 가치가 있는 존재로 인정하는 데에서 사회복지서비스가 제공됨
② 배분적인 사회정의(=분배정의)
• 사회의 책임성과 참여를 중시 개인의 문제는 사회적 자원의 결핍이나 사회환경의 역기능적 영
향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회는 개인의 발전을 위해 최소한의 사회적 자원을 공평
하게 배분해 주어야 한다는 신념
• 개인의 능력이나 노력에 따라 빈부의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사람들이 인간적인 삶을 영
위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사회적 자원이 필요하다고 믿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는 모든 사람들
에게 기본적인 사회자원을 공평하게 배분시켜 주어야 한다고 믿는 가치

2) 사회복지 전문직 자체의 가치


- 레비(Levy)는 사회복지 전문직의 가치를 아래의 3개 범주로 나누어 설명하였는데 이는 사회복지
가치들이 갖는 기능적 측면을 기준으로 구분한 것이다.
① 사람우선 가치
- 사회복지실천의 대상인 사람 자체에 대해 전문직이 갖추고 있어야 할 기본적 가치관으로,
개인의 가치와 존엄성, 개인의 건설적인 변화에 대한 능력과 욕구, 상호책임성, 소속의 욕구,
공통적인 인간의 욕구, 그리고 개개인의 독특성에 대한 가치 등이 거론된다. 클라이언트를
하나의 개별화된 인간으로 보고 그의 능력과 권한을 인정해 주는 가치관이다.
② 결과우선 가치
- 서비스를 제공하여 발생되는 결과에 대한 가치관으로, 사회가 개인의 발전을 위해 사회참여
에 대한 기회를 동등하게 제공해야한다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믿음이다. 문제를 해결하거나
예방해야 할 사회적 책임에 대한 가치이며 이와 함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자원을 제공
해야 하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믿음이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46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③ 수단(도구)우선 가치
-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과 수단 및 도구에 대한 가치관으로, 이는 사람은 존경과 존엄으로
다루어져야하고, 자기결정의 권리를 가져야하며, 사회변화에 참여하도록 북돋워져야 하고,
하나의 독특한 개인으로 인정되어야 한다는 믿음과 같은 것이다.
- 인간의 자율성으로 요약될 수 있는 이 가치는 사회복지실천의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게 지켜
져야 할 가치라고 할 수 있다. 즉, 사회복지사가 판단할 때 아무리 바람직해보이는 결정이더
라도 클라이언트의 자율적 결정이 아닌, 강요된 것이라면 이는 사회복지의 기본 가치에 어
긋나는 것이다. 특별히 제한되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모든 결정과정에서 클라이언트의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47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6주차 2교시

1. 사회복지실천가치의 발달
-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체계들은 어느 한 순간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역사와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발전되어 왔다.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체계가 발전되어 온 맥락에 대해 리이머(Reamer, 1999)는 다음
과 같이 4단계로 설명하였다.

1) 제1단계: 19세기 말
- 전문적 사회복지실천의 태동기, 자선조직협회 등이 활동하던 시기로서 구제활동과 빈곤에 대한 대
응이 가장 중요한 임무였다.
- 사회복지실천은 전문직이나 실무자의 도덕성 또는 윤리에 관한 것보다는 클라이언트의 도덕성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다. 도덕적으로 교화시키는 것을 최고의 가치로 여겼지만, 인간의 기본적 권리
에 대한 가치는 고려되지 못했다.

2) 제2단계: 20세기 초
- 20세기 초는 인보관운동의 시작 및 진보의 시기이다.
- 사회복지의 목적과 가치지향이 빈곤자의 도덕성에서 주택, 건강, 위생, 교육, 고용, 빈곤과 관련된
광범위한 사회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요구로 바뀌어 갔다.

3) 제3단계: 1940년대 말~1950년대 초


- 전문직의 도덕적 차원에 대한 관심이 집중된 시기로서 사회복지 전문직의 가치와 윤리가 본격적으
로 언급되기 시작하였다.
- 초기(1단계)에 클라이언트의 도덕성에 관심을 가졌던 것과는 달리 전문직과 실천가들의 도덕성 및
윤리문제에 더 큰 관심을 두게 되었다.

4) 제4단계: 1960년대 이후
- 사회적 평등, 인권, 복지권, 차별, 억압 등의 가치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이러한 가치를 사
회복지실천과 교육에 접목시킨 시기이다.
• 사회복지실천의 3대요소: 지식, 기술, 가치
• 가치는 믿음 또는 신념과 같은 것으로 “좋다/싫다, 바람직하다/나쁘다” 등과 같이 선호하는 것
에 대한 암묵적 견해로서 인간의 삶과 관련된 특정 수단, 목적, 조건들에 대한 보편적 선호이다.
• 기본적 가치: 인간의 존엄성, 인간의 자율성, 기회의 균등성, 사회적 책임성, 개인의 가치와 존
엄성, 개인에 대한 존경, 개인의 변화가능성,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 비밀보장, 사생활보장,
적절한 자원과 서비스 제공, 역량강화, 등동한 기회보장, 비차별성, 다양성 존중 등
• 사회복지실천의 본질적 가치: 인간의 존엄성과 배분적인 사회정의-사회복지실천의 이중가치체계

2. 사회복지 전문직의 가치
- 전문직 가치란 어떠한 직업이 전문적으로 인정되는 과정에서 그 전문직의 독특한 실천 활동과 관
련하여 요구되는 가치로서 기본적으로 해당 전문직 활동의 평가와 책임소재의 근거가 된다.

① 수용
• 클라이언트는 사회복지사에게 자신의 개인적인 문제를 공유하는 위험을 무릅쓰고 깊은 감정을
표현하기 전에, 먼저 자신이 충분히 수용되었음을 느껴야 하고 사회복지사의 선의와 돕고자
하는 의지를 경험해야 한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48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② 판단유보
•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와 함께 그들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스
스로 해결책을 찾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③ 개방성
• 사회복지사가 개방성과 수용능력을 증대시키려고 할 때 자신과 확연하게 다른 믿음, 생활양식,
행동방식을 가진 사람과 협조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3. 가치와 윤리

1) 가치
- 어떤 행동이 좋고 나쁘며, 바람직하고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도덕적 판단의 기준이 된다.
2) 윤리
- 윤리는 사회적 의식의 한 형태로 인간이 마땅히 따라야 하는 규범의 총체를 의미한다.

가치와 윤리

가 치 윤 리
• 어떤 행동의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
• 믿음, 신념 같은 것
• 가치의 기반 위에 구현된 행동지침
• 무엇이 좋고 바람직한가와 관련
• 행동의 원칙이나 지침 제공
• 방향 제시
• 가치에서 나오기 때문에 가치와 조화를 이루어
• 구체적인 실천을 지시하기보다 일반적으로 선
야 함
호하는 더 폭넓은 사회의 가치를 반영
• 판단

4. 사회복지실천윤리

1) 사회복지실천윤리에 대한 정의
① 로웬버그와 돌고프의 정의(Loewenberg & Dolgoff, 1996)
- 사회복지실천 윤리란 사회복지 실무자가 무엇이 윤리적으로 올바른 실천방법인지 인식할 수 있
게 도와주며 전문적인 사회복지실천 상황에서 초래되는 윤리적 측면과 관련된 올바른 실천행위
를 결정하고 행동에 옮길 수 있는 방법이다.
② 종합적인 정의
- 사회복지사는 전문가로서 사람을 돕는 일을 펼쳐 나감에 있어 윤리적 결정을 내려야 하는 다양
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전문가로서 전문적 견해와 기술을 바탕으로 내린 결정도 윤리와는
무관할 수 없다. ‘주어진 상황에서 도덕적으로 마땅히 해야 할 옳은 일은 무엇인가?’, ‘그
상황에서 사회복지사는 비윤리적인 행동을 어떻게 피할 수 있는가?’ 등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
다양한 문제에 부딪히게 되는데 이런 상황에서 판단의 근거나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는 것이
바로 사회복지실천윤리이다.

5. 가치 갈등의 문제

1) 가치갈등의 상황
-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가치갈등의 문제를 경험하게 될 수 있으
며, 이러한 가치갈등은 다양한 윤리적 딜레마를 파생시킨다.
• 사회복지사는 두 가지 이상의 경쟁적 가치와 직면하게 될 때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경쟁하는
가치들이 모두 무시될 수 없는 것일 때 사회복지사는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49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사회복지사는 기관에 대한 의무와 클라이언트에 대한 의무 사이에서 가치갈등을 경험할 수 있


다. 예를 들면, 자신이 근무하고 있는 기관의 정책과 클라이언트의 이익이 충돌할 경우 갈등상
황에 놓일 수 있다.
• 사회복지사는 복합적인 문제로 인해 클라이언트 체계가 여러 개인 경우 어는 클라이언트의 이
익을 최대한으로 보장해야할 지 갈등할 수 있다.
• 사회복지사는 자신이 내려야하는 결정의 결과나 장기적인 효과성이 모호할 경우 갈등상황에 놓
일 수 있다.

2) 가치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
- 사회복지사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치갈등을 경험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갈등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 사회복지사는 가치갈등이나 모순에서 벗어나기 위해 부단히 자기훈련과 자기경험을 쌓아나가야 한
다.
- 사회적 기능수행에 기본적으로 바람직한 가치는 무엇이며, 자신의 개인적 가치관은 무엇인지 분별
할 수 있어야 한다.
- 사회의 법과 도덕 등 사회규범을 항시 익힘으로써 갈등이나 모순에 대한 올바른 가치판단을 내릴
수 있어야 한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50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6주차 3교시

윤리적 딜레마
-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클라이언트가 나이가 너무 어리거나 정신연력이 낮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이 없을 때), 비밀보장(법적 판단이 필요할 때, 슈퍼비전이나 전문가 회의에서 논의될 때
사전 동의를 거쳐), 진실을 말할 의무, 나의 개인적 가치와 전문적 가치가 상충될 때, 제한된 자원
의 공정한 분배, 상충되는 의무와 기대, 전문적 동료관계, 규칙과 정책 준수

1. 윤리적 딜레마 해결을 위한 지침들

1) 리머(Reamer, 1990)의 윤리적 지침


- 생명, 건강, 음식, 생활필수품, 정신적 평형상태 등에 대한 권리는 부, 교육, 여가, 오락, 비밀 등과
같은 부가적 권리(이익)에 우선한다.
- 개인의 자기결정권은 원칙적으로 존중되어야하지만 그것으로 인해 타인의 기본적인 행복에 피해를
입히는 상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제한될 수 있다.
- 자발적으로 자유롭게 동의한 법, 규칙, 규정 등을 따르는 의무가 개인의 권리를 우선할 수 있다.
- 개인의 복지관이 법과 규칙, 지원 단체의 협정 등에 우선한다.
- 기본적인 해악을 방지할 의무와 공익을 증진할 의무는 개인의 재산통제권보다 우선한다.

2) 로웬버그와 돌고프(Lowenberg & Dolgoff, 1996)의 윤리적 원칙


- 로웬버그와 돌고프는 일정 순서에 기초한 윤리원칙을 서열화하여 제시하였다. 즉, 원칙 1은 원칙 2
에 우선하며, 원칙 2는 원칙 3에 우선한다는 식으로 의사결정을 이끌어낸다.

• 윤리원칙 1. 생명보호의 원칙
- 인간의 생명에 대한 보호는 클라이언트를 비롯한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된다. 이 원칙은 다른 여러
의무나 원칙들에 우선하여 발생한다. 생명에 관한 권리는 모든 권리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이며,
만약 생명의 권리가 침해되면 어는 누구도 다른 권리를 누릴 수 없다.

• 윤리원칙 2. 평등 및 불평등의 원칙
- 평등과 불평등의 원칙은 모든 사람들은 평등하게 처우되어야하나, 사례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처
우될 수도 있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아동학대의 상황에서 학대받은 아동은 성인과 동등한
위치에 있지 않기 때문에 학대상황이 비록 생과 사를 걱정할 만큼 심각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학대
하는 성인에 대한 비밀보장과 자율성의 원칙은 아동을 보호하는 의무에 비해 낮은 순위를 차지한
다.

• 윤리원칙 3. 자율과 자유의 원칙


- 사회복지사는 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 그리고 자유를 신장시키는 실천적 결정을 해야 한다. 하지
만 자유가 매우 중요한 가치라 하더라도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생명의 원칙이 갖는 중요성보다 우
선할 수는 없다.

• 윤리원칙 4. 최소해악의 원칙
- 사회복지사는 항상 최소한의 손실, 즉 최소한의 영구적 손상 혹은 가장 쉽게 회복될 수 있는 손실
을 초래하는 대안을 선택해야한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51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윤리원칙 5. 삶의 질의 원칙
-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뿐만 아니라 개인들과 모든 사람들의 삶의 질을 보다 향상시키는 기회를 선
택해야한다.

• 윤리원칙 6. 사생활 보호와 비밀보장의 원칙


- 사회복지사는 모든 사람들의 사생활 보호의 권리를 신장시키는 실천적 결정을 해야 한다. 비밀을
누설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은 이 의무를 지킨 직접적인 결과이다.

• 윤리원칙 7. 진실성과 완전공개의 원칙(성실의 원칙)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 다른 사람들에게 진실을 말하고, 필요 시 모든 관련 정보를 충분히 개
방하는 것을 허용하는 실천적 결정을 해야 한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52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7주차 1교시

사회보장제도

1. 사회보장의 정의
- 사회보장이란 용어가 최초로 사용된 것은 1935년 미국에서 사회보장법이 제정된 데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사회보장제도가 실질적으로 시행된 것은 1880년대 독일의 비스마르크 통치하에서 사회입법
으로서의 건강보험(1883), 산재보험(1884), 노령폐질연금(1889)이 시행됨으로써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회보장이라는 용어는 미국에서 최초로 사용되고, 제도는 독일에서 최초로 시행
되었지만, 사회보장에 관해 이론적으로 정립이 된 것은 1942년 영국의 베버리지에 의해 “사회보
험과 관련서비스에 관한 보고서”가 발간된 때부터라고 할 수 있다.

- 베버리지 보고서에서는 사회보장이 이른바 5대악, 즉 결핍, 질병, 무지, 불결, 나태 중 ‘결핍으로
부터의 자유를 지향하며, 빈민과 같은 특정 집단을 넘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삼고, 전 국민에게 최
저한의 소득을 보장해주기 위한 제도라고 규정했다.

- 사회보장이란 용어를 최초로 사용한 미국의 사회보장법은 사회보장을 “일반복지의 증진을 위해


연방정부가 관장하는 노령급여제도를 실시하고, 주 정부가 관장하는 노인, 맹인, 요보호 아동, 장애
아동을 위한 복지, 모자복지, 공중보건 및 실업보상법의 관리운영을 자원하며, 사회보장청의 신설
과 재정조달 및 기타 목적을 추진하기 위한 법”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 국제노동기구(ILO)에서 사회보장이란 사람들이 살아가다가 직면하는 여러 가지의 위험들, 즉 질병,


노령, 실업, 장애, 사망, 출산, 빈곤 등으로 인해
• 첫째, 소득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거나
• 둘째, 소득이 장기적으로 없어지거나,
• 셋째, 지출이 크게 증가하여 사람들이 이전의 생활을 사지 못할 경우, 이전의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의 모든 프로그램들을 말한다.

- 이 정의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가령 질병이 발생하여 소득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면 질병수당으


로, 치료비로 인해 지출이 늘어나는 것은 의료보험으로 해결해 준다는 것이다. 또한 실업을 해서
일시적으로 소득이 중단 되면 다음에 취업할 때까지의 생활을 실업보험으로 보장해 주고, 이밖에
출산으로 지출이 늘면 아동수당으로 보장하고, 노령·장애·가구주의 사망으로 소득이 장기적으로
중단될 때는 국민연금으로 해결하는 것 등이 있다.

- 이상의 정의들을 통해서 주목해야 할 것은 사회보장은 국가가 책임지는 것만을 말한다는 점이다.
사실 사람들이 살아가다가 위험에 부딪혀 생활이 어렵게 될 때 가족, 친척, 이웃 등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도 있고, 또 오늘날 민간에 의한 여러 가지 상부상조에 의한 기제들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것은 ‘항구적인 보장성’이 없기 때문에 사회보장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보장에
관한 정의들은 사회생활의 보장을 물질적·경제적 측면에서의 보장만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이
다.

2. 사회보장의 방법

1) 비기여·비소득/자산조사 프로그램
- 이 유형에 속한 프로그램들은 한 나라 국민이면 누구나 인구학적인 일정조건만 갖추면 기여를 하
지 않고, 그리고 수급자의 자산조사를 하지 않고 급여를 지급하는 프로그램들을 말한다. 그리고 이
를 흔히 보편적 프로그램 혹은 Demogrant라고 부른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53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이러한 프로그램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오늘날 선진 산업국가들을 비롯한 많은 나라들에서


실시하고 있는 아동수당 혹은 가족수당 고도로 발전된 복지국가들에서 실시하고 있ㄴ느 보편적 연
금과 장애수당 등이 있다.

- 현재 우리나라는 이러한 유형의 프로그램들을 가지고 있지 않다. 우리나라는 노인과 장애인을 위


한 노인수당과 자애인수당이라는 이름의 프로그램들이 있으나, 이러한 것들은 위의 유형에 속하지
않고 귀에 설명할 비기여·소득/자산조사 프로그램인 공공부조에 속한다. 또한 우리나라는 아동수
당제도가 없지만, 아동수당제도의 기능을 부분적으로 수행하는, 즉 아동이 있는 가구에 대한 조세
감면제도가 있다. 이 제도는 소득이 없거나 소득이 낮은 가구가 소득이 높은 가구에 비해 오히려
불리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2) 비기여·소득/자산조사 프로그램
-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일정한 소득이나 자산수준 이하인
모든 사람에게 급여하는 일반적 공공부조와 범주적 공공부조가 있다. 이 가운데 특히 범주적 공공
부조가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되었고, 통상적으로 공공부조라고 하면 이것을 의미하는 경향이 있다.

- 이러한 프로그램들의 가장 큰 장점은 주어진 자원으로 가난한 사람들에게 집중적으로 급여를 제공


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소득재분배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보편적 프로그램이 없고 사회보험이 미성숙한 상황에서, 그리고 사회복지에


사용할 재원이 비교적 적은 상황에서는 이러한 프로그램의 역할이 중요할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
에서 기존의 생활보호법에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으로 획기적인 변화를 시도한 것은 이러한 배경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 반면 이러한 공공부조의 가장 큰 단점은 수급자들에게 낙인화로 수치심을 불러일으켜 인간의 존엄


성을 훼손할 수 있고, 수급자와 납세자 사이의 대립을 유발시켜 국민연대감을 해칠 수 있다는 것
이다.

3) 기여·비소득/자산조사 프로그램
- 오늘날 선진 사업국가들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보장 프로그램은 통상
‘사회보험’이라고 불려지는 기여·비소득/자산조사 프로그램이다. 그래서 선진 산업국가들에서는
거의 모든 국민들이 수급대상자이고, 실제로 수급하는 사람들의 숫자나 지출액 등에서 다른 사회
보장제도보다 월등히 많아, 사회보험이 사회보장제도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 여기에는 노령, 장애, 사망의 위험에 대비한 국민연금, 질병에 대비한 질병보험, 실업에 대비한 실
업보험, 그리고 작업 중 장애에 대비한 산업재해보상보험, 노후질병에 대비한 수발보험이 있다. 이
러한 다섯 가지 사회보험 프로그램들은 국가들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미래에 부
딪칠 수 있는 위험에 대비해 평소 경제활동을 통해 소득이 있을 때 그 소득의 일부를 강제로 갹출
하여 미래를 사전에 대비하는 것이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54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7주차 2교시

1. 사회보장의 기능

- 사회보장을 실시함으로써 그 결과로 나타나는 영향은 사회보장이 의도한 목적에 상관없이 크게 다


음의 네 가지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① 보호기능
② 소득재분배 기능
③ 생산성기능
④ 사회·정치적 기능이다.
- 이러한 기능 중에서 사회보장의 기본 기능은 보호기능과 소득재분배 기능 그리고 생산성기능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결과적으로 사회·정치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1) 보호기능
- 사회보장의 보호기능은 가장 오래되고 기본적인 기능으로 분류되는 기능이다. 이는 사회보장제도
가 도입될 당시부터 가장 기본적으로 해결해야 할 사회적 위험으로부터의 보호를 의미한다. 즉, 공
공부조는 빈민을 보호하고, 사회보험은 근로자를 보호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었고, 현재까지도
이러한 것이 가장 우선적인 목표이자 기능이라 할 수 있다.

- 사회보장의 보호기능은 외적요소와 내적요소로 분류하는데, 공공부조는 외적 보호의 성격을 보이


고 있으며, 사회보험은 내적 보호기능과 상당한 관련이 있다. 외적 보호기능은 모든 국민이 인간의
존엄성을 잃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근로자에 대해서는 인본주의에 근거하여 사람들이 노동시장에
서 부정적인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 사회보험에서 보호기능은 우선적으로 사회보장이 대상으로 하는 사회적 위험, 즉 노령, 질병, 사망,
장애, 실업 등으로 인해 발생하게 될 위험은 기존의 소득을 유지할 수 없게 되거나 별도로 지출해
야 할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사회보험은 가입자가 영위하고 있던 생활에서 탈락되어 빈곤으
로 추락하는 것을 막아주는 보호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이때 사회보험은 위험이 발생한 이후
에 조치를 취하거나, 또는 빈곤으로 추락한 이후에 공공부조적 보장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보험료
를 납부하고 예방하는 보호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2) 소득재분배 기능

- 사회보장의 소득재분배 기능은 시간적인 소득재분배와 사람 간의 소득재분배로 나눌 수 있다. 시


간적인 소득재분배란 한 개인의 생활소득에 따른 시간적인 소득재분배를 뜻한다. 예를 들면, 근로
자가 취업하여 소득이 있는 경우에 사회보험에 가입하여 노후, 질병, 장애, 사망 등에 의해 재정적
인 어려움을 겪게 될 때 사회보장으로부터 급여를 받게 되어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하게 되도록 하
는 재분배 기능을 의미한다.
- 즉, 시간적 소득재분배는 근로자가 자신의 일생의 소득을 전체 인생으로 나누어 소득을 재분배하
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인생의 기간 중 높은 소득시기에서 낮은 소득시기로, 건강한 시기에서 병
약한 시기로, 안정적 근로생화 ㄹ시기에서 불안정한 소득시기로 소득을 이전함으로써 소득재분배
에 의해 생에 전반에 걸쳐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3) 생산성 기능
- 사회복지에서 생산성 기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 첫째, 인간을 생산요소의 하나로 보는 것으로 인간이 자신의 노동력을 이용하도록 하는 관점에
서의 접근이다. 현대의 노동경제학에서는 인간의 노동력을 경제학적인 측면에서 가장 합
리적인 방법으로 이용하여 최대한의 효과를 내도록 하고, 생산요소를 낭비하거나 비능률
적이 되지 않도록 의무적으로 강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55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둘째, 사회보장의 생산성 기능은 거시경제학적 측면에서 볼 때 사회에 대한 정책적인 안정효과


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국민경제나 이와 직·간접으로 관련되어 있는 경
제주체들은 사회보장정책을 통해 각자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회보장제도는 교육향상이나 고용확대정책 그리고 산


업재해 발생을 감소시키는 정책 등과 같이 개인의 생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사회 구성원은 본인이 사회적 위험에 빠지게 되더라고 사회에 대한 저항이나
반항보다는 사회에 순응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을 할 수 있도록 만든다
는 것이다.

4) 사회·정치적 기능
- 사회·정치적 기능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회보장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면서 종합적으로 얻어
지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사회보장은 역할을 수행하면서 적어도 보호기능에서 적절한 수준을 보장
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찾게 될 것이다. 또한 소득재분배에 있어서 소득재분배를 사회적으로 유리
한 계층에서 불리한 계층으로 소득이전을 이루는 과정에서 적어도 최저보장이 일정수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2. 사회보장의 쟁점들

1) 사회보장에 대한 국가의 책임
- 첫째, 노동생산성의 측면에서 국가발전에 저해가 된다는 점이다. 한 국가가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건강하고 잘 훈련된 노동력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대로
먹지 못하여 영양상태가 나쁘거나 질병을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하거나 교육과 훈련을 제
대로 받지 못할 경우, 이러한 사람들의 노동생산성은 낮을 수밖에 없게 된다.

- 둘째, 가난한 사람들이 많아지게 되면 경제적 안정의 측면에서도 국가발전에 저해요소가 된다. 즉,
빈곤한 사람들은 구매력이 낮기 때문에 그 규모가 늘어날수록 산업활동이 위축되고, 이러한
산업활동의 위축은 장기간 불경기로 이러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 셋째, 가난한 사람들이 많으면 개별적으로는 범죄행위가 늘어나고, 집단적으로는 폭동행위가 많아
지게 되어 이는 자본주의의 기본 질서에 크게 위협이 되고, 마침내 사회가 불안정해지게 됨
으로써 국가발전에 저해가 된다는 것이다. 역사에서 주목한 19세기 말 독일 비스마르크의 사
회입업은 사회주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일종의 정치적인 선제전략으
로 알려지고 있다.
- 넷째, 이러한 경제적·물질적 측면 외에도 빈곤계층이 많으면 일반계층의 정신적인 안녕에도 해가
되어 그들의 효용이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 다섯째, 사회보장을 국가가 책임져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사회보장을 민간부문에 맡기게 되
면, 사회가 바람직하다고 보는 수준의 사회보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 여섯째, 사회보장을 국가가 해야 되는 또 하나의 이유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미래에 발
생하는 위험에 대비하지 않기 때문이다. 아무리 산업화가 되었다하더라도 사람들이 일을
할 때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들에 대비해 모두 소비를 하지 않고 일부분 저축하게
되면, 국가에 의한 사회보장의 필요성이 많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현실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매리의 위험에 대비해 저축을 하지 않는다. 이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미
래에 발생하는 위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 마지막으로, 만일 국가의 사회보장이 없을 경우, 평소의 미래의 위험에 대비해 열심히 일하고 소비
를 적게 하고 저축을 하는 사람들이 위험에 대비를 하지 않고 소비만 한 사람들을 도와야 하는 불
공평의 문제도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많은 사람들이 저축을 하지 않게 됨에 따라 문제가 더욱 악
화된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56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7주차 3교시

1. 사회보장의 쟁점들

1) 사회보험의 당위성
- 사회보험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첫째, 사회보장은 국민들의 기본적인 최저생활을 보장해준다는 목표도 있지만, 사회적 위험에 봉
착하여 소득이 중단될 때 이전의 생활수준을 최대한 유지해주는 목표도 있다.
• 둘째, 국가의 입장에서 볼 때, 이렇게 강제적인 기여방식의 사회보험을 통해 빈곤해질 수 있는
많은 사람들을 빈곤해지지 않도록 미리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사회보장의 비
용을 절감할 수 있다.
• 셋째, 일반 국민들의 입장에 기여를 함으로써 사회보험의 급여를 받을 때 일종의 권리로 받아들
이게 되기 때문에 사회보험을 선호하게 된다.

• 넷째, 전통적인 공공부조는 일정한 소득과 자산 이하의 사람들에게만 급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근로나 저축동기가 약화될 수밖에 없어 많은 경우 ‘빈곤덫’에 빠져 빈곤에서 벗어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2) 사회보험과 민영보험의 차이
- 사회보험과 민영보험은 적어도 다음의 여섯 가지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 첫째, 가장 핵심적인 차이는 사회보험은 강제가입이고 민영보험은 자발적가입이다. 이러한 강제


성 때문에 사회보장은 민간부문이 효율적으로 하지 못하고 국가만이 할 수 있는 중요한
이유가 된다.

• 둘째, 일반적으로 민영보험에서는 가입자의 개별적인 위험이 중요하여 각각의 위험에 따라 보험


료가 다르게 책정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 보험의 경우 자동차 사고가 날 확률이 높은 사
람들의 보험료가 확률이 낮은 사람들 보다 높다. 반면 사회보험의 보험료는 이렇게 개별적
인 위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평균적인 위험이나 소득에 비례하여 결정된다.

• 셋째, 일반적으로 민영보험에서는 보험에 가입한 위험이 발생하여 보험사고가 성립되면 자동적
으로 보험급여의 자격이 주어진다. 반면 사회보험에서는 위험이 발생하였다하여 자동적으
로 급여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 넷째, 민영보험에서는 보험급여액이 보험수리원칙에 따라 보험료 납부액에 비례한다. 따라서 가
입자의 보험료 납부액이 많으면 보험급여액도 비례적으로 많아진다. 즉, 가입자의 개별적
공평성의 원칙을 급여액에 반영한다. 반면 사회보험에서는 이러한 보험수리원칙에서 벗어
나 급여액이 보험료에 비례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회보험 급여액은 별도의
‘급여계산방식’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때 고려하는 것이 소위 ‘사회적 적절성’의 가치
이다. 그래서 저소득에게는 자신들이 낸 보험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급여액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 다섯째, 원칙적으로 민영보험은 보험재정이 보험수리원칙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에 민영보험은


현재와 미래에 들어오는 보험료 수입과 현재와 미래에 지출되는 보험지출액의 재정적
균형을 맞춘다. 반면 사회보험은 민영보험과 달리 이러한 보험수리적인 재정적 균형을
반드시 맞출 필요가 없다.

• 여섯째, 민영보험에서는 보험가입자와 보험자와의 계약이 매우 구체적이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57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즉, 대상이 되는 위험, 급여의 범위, 급여수준, 자격조건 등의 상세한 약관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는 보험수리의 재정에 맞추기 위해 구체적인 계약이 필요한 것이다. 반면 사
회보험은 개별적인 계약이 아니라 국민과 국가 간의 집합적인 계약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때의 계약은 민영보험과 달리 상당히 포괄적으로 이루어진다.

3) 사회보장의 확대와 국가경제

- 사회보장의 확대가 국가경제에 해를 줄 수 있다고 흔히 거론되는 논리는 다음의 여섯 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 첫째, 사회보장이 확대되면 사용자(고용주)의 입장에서 보면 일반조세나 각종의 사회보장성 조세
(보험료)의 부담이 커져서 총노동비용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생산하는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이 높아지고 경쟁력이 약화되어 국가경제에 해가 된다는 것이다.
• 둘째, 피고용자의 입장에서는 한편으로 일을 열심히 해서 임금이 많아져도 높은 조세부담 때문
에, 다른 한편으로 일을 하지 않더라도 후한 사회보장급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근로동
기가 약화되어 국가 총생산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 셋째, 사회보장의 확대로 세금부담이 높아지면 저축할 수 있는 가처분 소득이 줄고, 각종의 위험
발생에 대한 철저한 사회보장 혜택 때문에 사람들에게 저축동기가 감소한다는 것, 국민 저
축액이 줄어들게 되고 다시 투자 감소로 이어지고, 종국에는 생산성 감소로 이어져 결국
국가 총샌산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 넷재, 사회적자원(자본이나 노동)이 비효율적으로 배분되어 생산성이 높은 노동시장의 경직성을
야기하여 생산성에 따른 효율적인 노동의 배분이 발생하지 않아 경제성장에 해가 된다는
것이다.
• 다섯째, 사회보장의 확대는 가족해체를 유발하여 노인이나 여성 세대주 가구를 증가시켜 생산에
참여할 수 있는 노동인력을 감소시키는 반면, 사회보장제도의 의존성을 증가시켜 경제에
해가 된다는 것이다.
• 여섯째, 높은 조세부담(사회보장성 조세 포함)에서는 사용자오 피공용자 모두 탈세의 동기가 커
져 지하경제의 규모가 커지게 되고, 이렇게 되면 효율적인 자원배분이 왜곡되어 경제에
해롭다는 것이다.

- 위의 주장이 이론적으로 실증적으로 타당한가?


• 우선, 사용자의 사회보장 부담이 커져 노동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경쟁력이 많이 떨어진다는 것
은 실증적으로 부정되고 있다. 사회보장 때문에 노동비용이 커지는 것은 사실이다.
• 둘째, 사회보장의 확대가 근로동기를 약화시켜 국가경제에 해를 준다는 주장도 실증적인 뒷받침
이 크지 않다. 사회보장제도 가운데 공공부조는 어는 정도 근로동기를 약화시키는 것이 사
실이다. 그래서 공공부조의 주요 수급자인 여성 세대주나 노인들의 근로동기가 약화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공부조의 규모는 크지 않아서 전체 사회보장제도가 근로동기에 미
치는 영향은 작다. 특히, 남자이면서 노동활동이 왕성한 연령층에게는 사회보장제도가 그
들의 근로동기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기 때문에, 국가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미미한 정도이다.
• 셋째, 사회보장으로 사람들의 저축이 감소하게 된 문제도 논란이 많다. 일반적으로 서구 복지국
가들이 개인저축률(가계저축률)이 낮은 것은 사실이다. 이러한 국가들의 저축률은 10% 미
만이고 반면 한국, 일본 등은 305 이상이다. 문제는 이렇게 서구 복지국가들의 저축률이
낮은 것이 사회보장때문인가 하는 점이다.
• 넷째, 사회보장의 확대가 노동시장의 경직성을 야기하여 경제에해롭다는 주장은 부분적으로 설
득력이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빠른 기술변화에 노동시장이 유연
하게 대응하는 것은 중요하다. 특히, 오늘날과 같은 치열한 세계경쟁의 시대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 다섯째, 사회보장의 확대로 노인이나 여성 세대주 가구가 늘어나 경제활동인구는 줄고 사회보장
에 의존하는 사람들이 늘었다는 점. 사회보장의 확대가 어느 정도 가족해체를 유발시켰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58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다하더라도, 이러한 가족해체현상은 주로 산업사회의 일반적 특성, 즉 생활양식의 변화


및 가치관의 변화 등에서 찾아야 한다.
• 여섯째, 사회보장의 확대가 지하경제를 늘린다는 점도 실증적인 증거가 빈약하다. 사회보장의 확
대로 사람들의 탈세에 대한 동기가 커지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를 실제 행동으로
옮기기 위해서는 조세체계, 소득파악의 정확성 여부, 국민들 간의 연대감 정도, 조세에
대한 가치관 등의 여러 가지 사회적 조건들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사회보장이 확대되면 국가경제에 이로운 측면이 많다.


• 첫째, 현재나 미래의 인적자본의 향상을 통해 근로자들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 둘째, 총 수요관리를 통해서 경제안정의 도움이 되며
• 셋재, 생활안정으로 근로자들이 기술변화에 따른 대응을 쉽게 할수 있다
• 넷째, 사회적 정지척 안정을 통해 국가경제에 여러 가지 측면에 이로운 점을 주고
• 다섯째, 사회보험을 통해 미래의 위험에서 나오는 불확실성을 제거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2. 한국 사회보장제도의 현황
(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2) 국민연금제도
(3) 국민건강보험
(4) 산업재해보상보험
(5) 고용보험
(6) 노인장기요양보험

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서비스 종류와 내용


- 현물급여-시설급여(4종)
• 수급자가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요양 공동생활가정 등의 장기요양기관에 장기간 입소하여 신체
활동 지원 및 심신기능의 유지 및 향상을 위한 교육 또는 훈련 등을 제공하는 급여
․ 첫째, (구)노인요양시설
․ 둘째, 노인요양시설(단기보호에서 전환)
․ 셋째, 노인요양시설 (구)노인전문요양시설
․ 넷째,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 현물급여-재가급여(5종)
• 수급자가 가정 등에서 요양보호사, 간호사(혹은 조무사) 등에 의해 신체활동 및 일상생활 지원,
목욕, 간호, 구강위생 등의 급여를 받는 것으로, 급여종류는 다음과 같다.
․ 첫째, 방문요양(방문당)
․ 둘째, 방문목욕(방문당)
․ 셋째, 방문간호(방문당)
․ 넷째, 주ㆍ야간보호(1일당)
․ 다섯째, 단기보호(1일당)
․ 여섯째, 기타 재가급여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59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9주차 1교시

복지국가의 어원과 국가유형

1. 복지국가의 어원

1) 복지국가
- 일반적 정의 : 국가가 국민의 복지를 책임지는 국가
- 단어의 어원 : 독일어 Wohlfartstaat

2) 국가복지
- 국가가 복지공급의 주체가 된다는 의미
- 가족복지, 교회복지, 지역복지, 기업복지 등 다른 복지공급 주체들의 복지와 함께 존재할 수 있다.

3) 브르스(Bruce)
- 복지국가란 말이 언제, 누구에 의해서,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가에 대한 연구를 최초로 시도한
학자
- 복지국가는 산업발전과 대중사회의 공통문제인 풍요속의 빈곤과 같은 역설적인 문제에 대한 영국
식 해답이다.
- 영국이 복지국가의 선구자이다.
- 복지국가라는 단어의 어원은 독일어 ‘Wohlfartstaat’
- 1970년경 사회주의 학자들이 개발했던 용어를 비스마르크가 실천에 옮김
- 현대적 의미의 welfare state는 영국에서 최초로 사용
- 구두로 최초 사용한 사람은 1934년 짐메른, 문자로 출판한 최초의 사람은 1941년 템플

4) 한국에서의 복지국가
- 용어의 사용 : 1980년대 전두환 정권이 ‘복지사회의 건설’을 국정지표의 하나로 내세우면서부
터 사용
- 당시의 정치‧경제적 여러 상황은 결코 우리나라를 복지국가라고 할 수 없었음
- 성경륭 교수는 제6공화국이 공식 출범하는 1988년을 한국 복지국가의 태동기로 잡음
- 김상균 교수는 2000년 10월 1일이 복지국가의 시작이라고 주장
① 평화보장이 가능한 안보체계의 확립
② 혼합경제체제와 국가경쟁력
③ 민주주의 정치체계
④ 높은 사회복지비용의 지출

2. 국가유형

1) 국가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 복지국가의 기원, 발전, 쇠퇴 혹은 재조직 등 복지국가의 흥망성쇠 문제를 보다 체계적으로 다루
기 위해서는 국가는 무엇이며 어떤 과정을 통해 성장해 왔는가를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다.(김태성‧
성경륭)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60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2) 국가유형의 기준
① 국가의 기본적 기능 vs 실체적 기능
- 기본적 기능 : 국가가 사회에 대해 법과 질서유지의 기능 수행
- 실체적 기능 : 경제발전이나 시민을 위한 복지제공 등의 기능 수행
② 국가권력의 구성과 행사가 폐쇄적 vs 개방적
- 폐쇄적/권위적 : 소수의 지배집단에 의해 독점
- 개방적/대중참여적 : 국가의 구성원 전체에게 개방
국가권력의 구성과 행사
구 분
폐쇄적/권위적 개방적/대중참여적
기본적 기능 Ⅰ. 정복/약탈국가 Ⅲ. 민주국가
국가기능
실체적 기능 Ⅱ. 발전국가 Ⅳ. 복지국가

3) 국가의 유형
(1) 정복/약탈국가 : 강압력의 축적과 집중, 전쟁준비와 수행, 사회로부터의 자원추출 등의 국가형성과
정을 통해 수립된 원형적 국가

① 원형적 국가는 ‘갈취적 국가’라고도 불림


- ‘정복국가’라 불리는 이유 : 강압수단을 소유하고 타인 혹은 타 집단을 강제적으로 지배
하는 데 전문화된 정치집단(또는 군사집단)이 특정 영토 내외의 경쟁세력을 무력으로 정복
함으로써 강압력을 독점하고 국가를 수립했기 때문
- ‘약탈국가‘라 불리는 이유 : 국가 자신이 생산적 활동을 통해 부를 창출하지 않으면서, 특
정 영토 내의 사회성원들에게 폭력을 사용하거나 폭력 사용의 위협 혹은 외부로부터의 침략
위협을 이용하여 보호요금을 갈취하기 때문

② 최소한의 질서유지 기능을 수행해야 함(기본적인 국가기능)


- 사회 내부로부터 저항이 존재하거나 사회세력의 일부가 강압수단을 소유하고 있을 경우 외
부로부터의 침략위협과 함께 정복국가와 약탈국가에게는 가장 중요한 위협요인이 됨
- 사회로부터 자원을 추출할 경우, 사회성원들에게 최소한의 보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공공
재의 성격을 띔)

③ 간접통치를 근간으로 하는 연합체적 국가나 봉건국가로부터 주민에 대한 직접통치를 실시하는


‘국민국가’로 발전
- 간접통치 : 국가나 지배자의 통치력이 전 영토와 주민에게 직접적으로 행사되지 못하고 다
양한 중간매개자에 의해 간접적으로 행사되거나 공유되는 지배체제

(2) 발전국가 : 정복국가/약탈국가에서 발생하는 제약조건을 극복하기 위해 합리적 행동대안을 선택하


여 실천하는 국가
- 정복국가/약탈국가는 국민국가에 이르러 강압력을 독점하고 특정 영토와 주민에 대한 직접적
통치를 완성
- 정복과 약탈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약
① 국가 간 전쟁이나 치열한 생존경쟁에 의해 조성된 외부적 제약
② 정복과 약탈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이에 대한 각종 저항 발생
③ 더 나은 보호와 자원을 제공하는 다른 국가가 존재할 경우 사회구성원들의 타국가로의 이
탈 가능성
-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합리적 행동대안
① 사회성원들의 재산소유와 생산 활동에 대한 보호‧장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61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② 장기간에 걸쳐 재정수입의 극대화 도모


③ 약탈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키거나 자발적 복종을 유도
- 정복국가/약탈국가가 모두 발전국가로 전환하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나라와의 전쟁이나 경쟁에
서 살아남고 사회성원들로부터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재정수입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국가가 발전국가로 전화하는 것은 불가피 하다.
- 서비스국가(유기적국가) : 생산활동을 보호하고 경제발전을 지원한 발전국가
- 발전국가가 경제발전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과정에서 강압수단을 소유한 정치집단과 생산수단을
소유한 경제집단, 특히 자본가 계급 사이에 이익의 융합현상이 나타남. 그 결과 양자 사이에 폐
쇄적 지배연합이 형성됨

(3) 민주국가 : 소수의 지배자, 즉 군주들에 의해 폐쇄적으로 독점되었던 국가권력이 사회성원들의 참


여와 견제에 개방됨으로써 탄생한 국가
- 국가권력이 사회성원들의 정치참여와 선거에 의해 구성
- 자의적으로 이루어져 왔던 국가권력의 행사가 의회나 사법부 등에 의해 공공적 통제를 받게됨
-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인위적으로 구분하여 두 가지 상이한 원리를 차별적으로 적용
① 공적영역 : 정당간 경쟁과 선거를 통해 국가권력이 구성되고 행사됨, 민주주의 원리가 적용됨
② 사적영역 : 시장을 통해 상업 및 산업활동이 영위됨, 자유주의 원리가 적용됨
- 자본가계급의 정치‧경제적 이데올로기적 헤게모니 반영
- 19세기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존재했던 서구 부르주아 민주국가의 작동방식을 뚜렷이 보여줌
- 민주국가가 사회에 대해 실질적으로 담당했던 기능 : 법과 질서유지 기능과 국내‧외 시장에서의
자본가계급에 대한 보호기능

(4) 복지국가 : 국가복지의 제공을 통해 국민들의 삶의 안전과 평등을 촉진하고자 수립됨


- 민주국가의 대부분이 복지국가로 전환하는 경향성 있음
• 이유 ① 민주주의는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주요 계급으로 성장한 노동계급에게 노동 3권을 부
여하여 노동계급의 조직화와 집단행동을 합법적으로 보장
② 민주주의는 민주적 제도와 절차를 통해 노동계급의 이익을 대변하는 좌파정당이 합
법적으로 국가권력을 장학함으로써 자본가계급의 이익에 반하는 개혁정책을 시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장
- 민주적 국가와 자본주의적 경제체제 사이에 피할 수 없는 구조적 갈등 초래
• 갈등 해소 방안 : 국가가 국가복지의 제공을 통해 국민들의 삶의 안전과 평등을 촉진하고자
하는 복지국가 수립
- 복지국가가 성립되는 시기와 나라마다의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민주국가로부터 복지국가에 이르
는 하나의 길을 제시하기는 어려움
- 자본주의적 경제발전이 상당히 진전되고 또 정치민주화가 이루어진 경우 대부분의 나라들이 복지
국가로 전환함

3. 복지국가의 개념
- 국민들의 ‘비복지’를 제거하고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국가
- 국민들의 복지향상을 가장 중요한 책임과 의무로 삼는 국가
- 복지국가에 대한 정의는 논자의 가치관 이론적 관점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제시됨

1) 윌렌스키(Wilensky)의 정의
- 복지국가의 핵심은 국가가 모든 국민에게 최소한의 수입 영양, 건강, 주택, 교육을 보장하는 것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62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복지제공은 자선이 아니라 모든 국민이 누리는 정치적 권리에 대응하여 주어지는 것


- 국가가 시행하는 프로그램들의 결과는 재분배를 통해 평등을 증진시키더라도 그 목적에서는 평등
과 아무런 관계가 없음

2) 헥셔(Heckscher)의 정의
- 복지국가는 자국내 거주하는 국민들의 삶에 대해 집합적 책임을 지는 국가
- 빈곤을 제거하기 위해 노력하고 국민들이 빈곤상태에 빠지는 경우 그들을 위해 적절한 사회복장을
제공
- 기회의 평등을 촉진하여 국민들의 삶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

3) 미쉬라(Mishra)의 정의
- 복지국가란 국민들의 삶과 관련된 최소한의 전국적 기준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의 책임을 제도화하
는 것

4) 코르피(Korp)의 정의
- 복지국가의 발전 정도는 정치적 민주주의와 국민들에 대한 최소한의 사회보장을 전제조건으로 하
여 상대적 빈곤이 어느정도 감소되는가, 결과의 평등이 어느정도 실현되는가에 의해 결정됨

5) 에스핑-안데르센(Esping-Anderson)의 정의
- 복지국가에는 다양한 형태의 복지체계가 존재하지만 복지국가의 발전의 정도는 국가에 의해 부여
되는 사회권이 국민들의 시장에 대한 의존성을 얼마나 줄이느냐에 달려있음

6) 학자들간 공통점
① 복지국가가 자본주의 경제체제 속에서 발전
- 복지국가란 자본주의적 산업화의 진전에서 오는 사회악을 사회주의 혁명과 같은 급격한 방법
이 아니라 국가의 개입에 의해 점진적이고 누진적인 복지개혁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② 복지국가가 탄생할 수 있는 필요조건 혹은 복지국가에 수반되어야 할 필수조건으로 민주주의를
전제로 하고 있음
- 권위주의 국가와 공산주의 국가에서 제공되는 복지를 두고 그러한 국가를 복지국가라고 부르
지 않는 것은 자유권과 정치권을 핵심으로 하는 민주주의가 이러한 국가에서 부정되고 있기
때문
③ 복지국가의 개념 정의에서 모든 학자들이 ‘최소한의 전국적 수준’을 강조
- 복지국가가 모든 국민의 삶의 안전을 위해 최소한의 전국적 수준을 보장한다고 하는 것은 복
지국가의 책임범위를 규정할 뿐만 아니라, 특정의 빈곤층만을 대상으로 ‘열등처우의 원칙’
에 따라 빈민구제를 실시했던 과거의 국가와 복지국가를 구별하는 기준이 됨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63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9주차 2교시

복지국가와 복지사회

1. 복지국가의 유형
- 김태성 교수가 제시한 복지국가 유형화 분류를 위한 기준
• GDP에서 차지하는 사회복지 지출비
•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도입시기
• 복지국가 성격
• 복지국가 정책 결정요인
• 복지국가프로그램 내용 분석

1) GDP 대비 사회복지 지출의 비율에 근거한 분류


- 오늘날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준
- 장점 : 자료확보가 쉽고 비교방법이 단순
- 단점 : ① 국가마다 사회복지비 산출방식이 다름
② 국가마다 사회복지비 지출의 성격이 다름
③ 국가마다 사회복지지출의 분야별 편차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무시함
④ 정치적 자유가 심하게 제한되어 있지만 사회복지지출의 비율만 높으면 복지국가로 판정
받음

2)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도입시기에 근거한 분류


- 복지국가들에서 발견되는 가장 보편적인 다섯가지 사회복지프로그램의 도입시기를 연대별로 분류
• 산재보험
• 의료보험
• 국민연금
• 실업보험
• 아동수당
- 장점 : GDP 대비 사회복지지출 비율을 산출하는 방법처럼 간편
- 단점 : ① 도입시기를 통일시킬 수 없다.
- 분석대상의 프로그램에는 공적인 것, 사적인 것 모두 있기 때문
② 도입시기만으로 복지국가의 우수성을 판단하기 어렵다.
- 도입시기가 빨라도 발전 속도가 느릴 수 있고, 반대로 도입은 늦어도 빠른 기간 내에
크게 성숙할 수 있다.
③ 이 방법으로는 복지국가의 질적 비교를 할 수 없다.
- 대표학자 : 커들(Kurdle)과 말모르(Marmor), 피어슨(Pierson)

3) 복지국가 성격의 개념적 분석에 근거한 분류


- 앞서 설명한 두 가지 분류방법에서 발견되는 복지국가의 질적 성격을 반영하지 못한 약점을 보완
하기 위한 연구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64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① 퍼니스(Furniss)와 틸튼(Tilton)의 연구(1976)


- 서구 선진국가들에서 행해지는 정치적 선택을 설명해주는 규범적 기준
• 국가정책의 목적
• 국가정책의 방향
• 사회정책의 방향
- 퍼니스(Furniss)와 틸튼(Tilton)의 복지국가 유형
• 적극국가(미국) : 조합지향, 국가와 기업 간의 협동이 중시, 복지체계는 시장체계의 기능을 강
화하기 위한 사회통제적 성격이 강함
• 사회보장국가(영국) : 최소수준 보장, 국민들의 최저생활보장이 목표, 평등이 강조
• 사회복지국가(스웨덴) : 철저한 민주주의와 평등주의 지향, 정부와 노동조합 사이의 협력 강
조, 삶의 질의 평등을 추구하는 복지체계를 운영

② 미쉬라(Mishra)의 복지국가 유형론


- 복지국가의 위기를 타개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려 복지국가 유형론 개발
- 분화 복지국가(미국, 영국)
• 사회복지가 경제와 구분되고 대립되어 경제에 악영향을 끼침
• 국가의 역할 및 복지서비스를 잔여적인 것으로 인식
• 경제와 관련하여 뚜렷한 연계를 갖지 않는 사회복지정책 제공
• 경제, 사회복지 및 정치의 세가지 영역에서 뚜렷이 구별
- 통합 복지국가(오스트리아, 스웨덴, 서독, 네덜란드)
• 경제의 수요 및 공급 측면이 조화를 이룸
• 사회복지는 제도화되면서 경제정책과 상호보완적 기능 발휘
• 정치는 사회적 합의에 기초하여 주요 사회세력들 간에 균형 유지
• 사회와 경제간의 상호관련성을 근거로 사회복지정책 제공

③ 에스핑-안데르센(Esping-Anderson)의 세 가지 유형의 복지국가


- 자유주의적 복지국가
• 미국, 캐나다, 호주
• 노동윤리 강조
• 소득조사에 기초한 공공부조 중시
• 국가복지는 시장 또는 민간자원단체들의 복지활동에 대한 보조역할 이상으로 확대하기 어렵다.
• 사회권이 제한받고 사회계층은 다원화되면서 계층간 대립적 관계 형성되기 쉽다.

- 보수주의적 조합주의 복지국가


• 오스트리아,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 국가복지의 제공과 사회적 지위의 격차 유지는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 국가의 역할 확대
• 국가복지의 재분배 효과는 크지 않음
• 자유주의형에 비해 민간보험, 기업복지의 역할에 대한 강조는 상대적으로 약함

- 사회민주적 복지국가
• 스웨덴, 덴마트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65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보편주의 원칙과 사회권을 통한 탈상품화 효과가 가증 큼


• 국가 대 시장, 노동계급 대 중간계급 사이의 갈등을 최소화 하면서 동시에 평등의 확대를
추구
• 국가복지는 가능한 한 하나의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체계로 통합된다.
• 복지와 노동을 적절히 배합시키기 위해 완전 고용정책을 강력하게 유지하려 함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66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9주차 3교시

복지국가와 복지사회

1. 복지국가의 위기와 재편

1) 1970년대 서구의 복지국가들의 위기 배경


① 인구‧사회학적 변화 : 노인인구의 증가, 저출산, 핵가족화 등
② 경제적 배경 : 경기침체, 성장의 둔화 및 실업의 증대, 지하경제 문제, 세금회피와 탈세 등
③ 정치‧행정적 배경 : 정부에 대한 신뢰성 저하, 정당에 대한 애착 결여, 관료기구의 비효율성 및 통
제 강화, 이익집단 중심의 비효율적 다원주의
④ 사회문화적 배경 : 아노미 현상, 사회통합의 이완현상, 성별‧계층별 갈등현상

2) 1980년대 영국과 미국에서 신자유주의 이념을 신봉하는 신우파 정당 집권


- 영국의 대처정부, 미국의 레이건 행정부
- 복지국가의 해체를 공약으로 제시
- 과도한 사회복지 지출이 경제성장을 둔화시키고 정부의 재정위기를 불러왔다는 신념체계를 기반으
로 둠
- 복지비의 삭감 및 지출 구성의 변화, 공공서비스를 포함한 공공부문의 민영화 및 기업에 대한 규
제의 완화 지방정부의 역할 축소, 노조를 포함한 사회세력의 약화 등의 정책기조를 견지함
- 1980년대 복지국가는 신우파들에 의해 복지제도의 내용과 양적인 측면에서 많은 변화 초래됨
- 해체된 것은 아니고 GDP대비 사회복지비 지출비율이 과거에 비해 완만하게 증가

3) 복지국가의 위기재편 기간동안의 사회복지 분야의 변화


- 민영화의 결과로 주민의 참여, 기업, 종교, 사회단체 등의 복지역할 증대
- 민과 관의 파트너십 강조
- 복지비용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공공 및 민간사회복지기관들의 사회적 책임성 강조
• 사회적 책임성 : 사회복지기관들이 그들이 수행하는 사업에 대한 정당한 분석과 설명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
주어진 돈으로 무엇이 성취되었는가를 객관적으로 증명함으로써 사업을 정당
화할 수 있는 능력

2. 복지사회
• 복지국가에 대한 서구인들의 신뢰는 1960년대 초반까지 지속됨
• 복지국가의 문제에 대한 개선의 소리가 높아짐

1) 티트머스의 복지사회론
- 국제적 시각과 평등주의 사상에 입각하여 국가간의 불평등과 국내적 빈부격차 심화를 복지국가의
단점으로 봄
- 복지국가에서 이루어지는 재분배적 성격의 지출을 못마땅해 함
- 노령연금에 대한 국고지출이 경제성장을 방해하고 국가자원을 낭비한다고 믿음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67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복지국가에 대한 분석의 척도 두 가지 제시
• 보편주의 원칙의 실시 여부
․ 공공복지서비스 수혜자가 자신의 지위나 자존심에 손상을 받지 않는 거운데 모든 국민이 자
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 서비스가 얼마나 예방적이고 재활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를 가늠
- 재분배 문제를 한 나라의 내부문제로만 보지 않고, 국가 간 균형적 발전이란 주제로 격상시킴
- 부유한 나라들이 앞장서서 국가 간 평등조치들을 취할 것을 제시함
- 국가개입의 확대방향으로 대안 제시
- 복지사회가 복지국가에 후속되는 개념으로 봄

2) 롭슨의 복지사회론
- 티트머스의 복지사회 개념과 달리 국민 개개인의 인식이나 태도의 변화 요구
- 국민들의 의무감 약화, 소수 과격파들의 독단적 의사결정, 개인의 자유침해 , 거대조직체들의 횡포
를 문제시 함
- 복지국가는 근본적으로 기본 철학의 결핍에 직면했다고 주장
- 복지국가가 너무 많은 사상들의 좋은 면만을 하려고 과욕을 부렸다고 지적
- 복지국가를 향한 롭슨의 지적
① 복지국가가 국가자원을 집합적 통로를 통해 분배하거나 배분하는 단순한 도구로서의 기능만으
로서는 만족할 수 없다.
• 많은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이기적 권리만을 주장하다보니 복지국가는 오히려 자유방임적
성격으로 점점 변질되고 이타주의적 색채는 퇴색했다.
② 소수의 과격한 사람들이 집단의 조직력을 이용하여 과도한 요구를 하게 되었다.
• 침묵을 지키는 다수의 사람들은 소외되거나 개인적 자유를 침해당하고 만다.
• 복지사회는 모든 사람들의 참여와 의사표현이 보장되어야 하며 반대의사를 자유롭게 표명
할 수 있는 환경이어야 한다.
- 롭슨의 복지사회론은 복지국가의 대안을 제시하지는 못했다.
- 다른 학자들과는 달리 복지국가의 도덕성에 관한 의문 제기
- 복지사회를 복지국가의 전제조건으로 파악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68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10주차 1교시

자원봉사

1. 자원봉사의 개념과 특성

1) 자원봉사
- 용어의 어원 : 인간의 자발적 의지와 욕망을 나타내는 라틴어 ‘voluntas’
- 자원봉사란 기본적으로 자발적인 활동에 근거하고 있고 국가권력이나 외부압력에 의해 지배되지
않는다.
- 『자원봉사 정신, 자발적인 활동, 자발적 조직』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중심내용으로 함

2) 자원봉사의 대표적 정의

① 맨서와 카스
- 자원봉사 : 개인 자신이 선택한 자발복지기관을 통하여 활동, 창조, 실험하고 또 새로운 목표
를 달성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최대의 자유와 민주적 과정 속에서 독특한 역할
을 수행하며 공익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노력하는 활동
- 자원봉사자 : 이러한 자원봉사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사람들

② 영국의 자원봉사센터
- 자원봉사활동: 자신이나 가족이 아닌 다른 사람을 위해 직접적인 보상없이, 국가나 기관에 의
해 요구되는 것이 아닌, 자유스런 선택에 의해 수행되는 활동
- 무보수성과 자발성 강조

③ 크래머
- 자원봉사 : 자원봉사정신으로 알려진 일련의 가치지향과 자발적 구조 또는 조직이라는 두 가
지 요소로 구현된다.
• 가치지향 : 정책입안, 계획수립, 옹호, 행정 또는 공동모금과 같은 행위로 나타날 수 있는 모
든 것을 포함
• 자발적 조직 : 구체적 문제해결을 위한 비공식적 자조집단에서부터 공식조직 또는 관료조직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
- 자원봉사자 : 자원봉사정신을 기반으로 하는 자발적인 활동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자원봉사의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 또는 기관의 활동까지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

3) 자원봉사의 특성
① 인격적 성장을 이룩하고 자신의 잠재능력을 실현하는 절호의 기회
- 자아실현은 사회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자각하고 타인에게 또 타인과 함께 봉사활동을 몸소 경
험함으로 가능
② 자발성 및 자주성
- 자원봉사가 자신의 의사로 활동하는 것이지 권력이나 외부의 영향 등 타의에 의해 강제로 활
동하는 것이 아님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69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③ 무보수성
- 금전적‧물질적 대가를 바라고 행하는 것이 아니며 순수한 의미에서의 봉사활동
- 직업으로서가 아니라 비영리적 행위로서 금전적 보수를 기대하지 않고 활동
- 자원봉사자에게 활동에 따른 교통비, 식비, 기타 필요경비를 지급하는 것은 ‘보수’라고 볼
수 없다.

④ 이타성
- 타인의 생명을 존중하며 이웃과 더불어 사는 가치관에 바탕을 두고 있음

⑤ 사회성 : 각 개인이 다른 사람과 공통성을 가졌다고 의식하며 소속감을 느낄 때 발생


- 사회에 영향을 주고, 사회적 책임을 다함
- 자원봉사활동은 자기발전과 성숙에 기반한 사회성을 강화시킴

⑥ 공동체 의식을 높이고 그러한 생활을 실현하는 장(場)


-공동체성은 사회에 대한 소속감, 주인의식, 적극적인 참여 없이는 불가능

⑦ 자발성에 바탕을 둔 행위가 자신만의 이익이 아닌 공동체의 구성원이나 욕구를 지닌 사람들의 복


지향상과 관련된 것이어야 함
- 자원봉사활동은 자신의 이익이나 어느 특정 종교의 확장, 특정 집단의 이익이나 특권을 지지
하는 활동이 될수 없음

⑧ 인간존중의 정신과 민주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의 공동선을 실현

⑨ 개척성과 지속성
- 자원봉사활동은 모두가 공동체 건설에 헌신한다는 개척자적 사명의식 필요
- 자원봉사활동은 일회적이고 우연한 활동이 아닌 지속적이고 의도된 활동
- 일정기간 지속되는 프로그램이 있어야 하고 활동자체가 임의로 변경, 단절되면 안됨

2.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과 의의

1)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
가) 자원봉사활동은 사회적 욕구를 가진 측과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측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짐
나) 현대사회에 자원봉사활동이 필요하게 된 배경

(1) 공급자 측면(자원봉사자가 자원봉사활동에 참가하게 된 사회적 배경)


① 여가시간의 증대
② 현대 산업사회의 진행에 따른 소외감, 주체성의 상실감에 따라 삶에 대한 불안이 높아져 사람
들 간의 교류나 경험에 의한 심리적 충족감을 얻고자 함
③ 노인, 자살, 장애인, 청소년 등과 관련된 심각한 사회문제가 등장하면서 그것이 자신의 문제가
될 수도 있다는 문제의식이 높아짐

(2) 수요자 측면(자원봉사활동이 필요하게 된 배경)


① 대인적 욕구 증대
- 가족기능의 약화로 인해 인간적인 만남, 정서적인 교류, 외출서비스, 식사서비스, 목욕서비
스 등 물질적이거나 금전적인 것으로 해결되지 않고 사람에 의해서만 해결 가능한 대인적
욕구 증대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70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② 공식 서비스의 한계
- 복지욕구의 증가로 시설의 증대, 복지전문가의 배치, 경제적 보장 등의 공적 서비스가 증대
되고 있지만 이들 제도적 장치만으로는 개별적 욕구 응대가 어려움
- 공적 서비스를 보완하거나 공적 서비스와 협력해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데 사랑과 열정
을 가진 민간인 참여가 절실히 요구됨

③ 기본적인 인권문제를 일상적인 생활상의 가치나 인식의 문제로 받아들이려 하는 시민운동이


성숙하게 됨
- 지역복지, 장애인복지 분야에서 통합화, 정상화의 새로운 복지관이 대두됨

④ 주민들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 증대
-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원천적인 생활의 장인 가정과 지역사회가 해체되면서 여러 가지 사
회문제가 대두되자 이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주민들이 공동체 의식을 갖고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앞장서야 한다는 인식이 새롭게 대두됨

⑤ 민주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과의 관련성


- 자원봉사활동을 통해서 인간의 존엄성을 배우고 자기발견, 사회복지에 대한 이해, 지역사회
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일반시민으로 주체적 역량을 형성할 수 있다.
- 민주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체험교육, 사회교육, 민주주의 교육, 복지교육 등을 내
재화하는 방안으로 자원봉사활동이 유용하게 활용됨

2) 자원봉사활동의 의의

(1) 국가‧사회적 측면
① 복지사회의 실현을 위한 공‧사 협력관계 구축
- 복지사회의 실현을 위해서는 국가를 포함한 전체 사회의 책임이 전제되어야 함
- 제도에 의한 공적인 사회복지 행정전달체계의 확립과 더불어 민간 및 주민‧자원봉사자와
협동관계를 유지함으로써 공‧사의 명확한 역할분담을 통한 상호 보완적 협력관계를 구축

② 사회통합의 촉진에 이바지


-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주체라는 주인의식과 함께 지역사회에 대한 공
동체의식과 연대의식을 갖도록 함
- 제반 사회적 상황에 대한 생생한 지식과 정보 및 규범을 배울 기회를 제공하며, 사회계층
간의 간격을 메워줌

③ 유휴자원(여성, 퇴직자, 노인)을 활용하여 인적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


- 지역사회에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을 자발적 동기에 의해 동원하여 보다 실제적이고 효과
적인 사회복지 목표, 사회개발의 목표를 달성

④ 재원의 효과적 사용 도모
-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제나 욕구에 대응함에 있어 문제나 욕구의 정도나 수준에 따라 공적
보장과 민간자원을 적극 개발, 활용함에 따라 재원의 효과적인 사용을 행할 수 있음
-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로 적재적소에 바람직한 서비스가 행해질 수 있도록 해야함

(2) 자원봉사자 활용기관 측면


① 업무의 질적 향상 도모
- 업무 담당자는 자원봉사자가 보조하는 만큼의 시간을 활용하여 업무의 질적 향상을 기할
수 있고 긴급한 업무, 전문적 탁월성을 발휘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71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② 새로운 서비스를 확대시킴


- 제한된 유급직원보다 다양한 새로운 서비스 형태의 확대가 가능
③ 다양한 자원봉사자들이 유급직원을 보완함
- 자원봉사자는 다양한 나이, 종교, 사회적 배경 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창조적인 생각과 더
불어 봉사대상자가 가질 수 있는 낙인을 줄임
④ 자원봉사자의 지역사회접근 용이
- 대부분 자원봉사자가 기관의 근린지역에 살고 있으며 이웃에게 기관에 대한 긍정적 측면을
제공
⑤ 특정 문제 또는 클라이언트에게 집중적으로 헌신 가능
- 집중 헌신과 개별적 관심 제공 가능

⑥ 자원봉사자는 기관의 좋은 지지자가 될 수 있음


- 자원봉사활동에 만족한 자원봉사자는 조직에 지지적이어서 금전적 기부나 지역주민들의 자
원봉사활동 참여 유도

⑦ 운영비 절약 가능
- 자원봉사자 활용시 투입되는 예산에 비해 산출되는 결과가 크고 눈에 보이지 않는 부가적
인 기능도 추가 산출

(3) 자원봉사자 측면
①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새로운 경험에 도전하고 자신의 잠재력 발견
- 일에 대한 성취감을 통해 자신감, 긍정적 자아상 확립
②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 가치를 가진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면서 타인의 의견을 이해, 수용하
는 힘을 키우고 인간의 존엄성과 사회적 연대감, 공동체의식 신장
③ 문제해결능력 고양
-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고 전체집단의 이익을 위해 자신을 양보하고 집단성원들과의 의
견조정, 타협 등의 과정에서 문제해결능력 고양
④ 이전에 알지 못했던 새로운 지식, 기술 등을 학습하고 더욱 발전시킴
⑤ 많은 레크리에이션 가치들을 지니게 됨
- 개인적인 안정감을 증진시키며 권태, 단조로움, 외로움을 떨쳐버리게 됨

(4) 사회복지적 측면
① 공적 사회복지 보완가능
- 사회복지제도의 재정과 인력부족에 따른 복지제도의 불완전성을 보완‧강화하며 자원이 부족
한 공적‧민간 복지기관의 인력을 보충해 줌

② 사회복지 전달체계에 있어 공‧사 협력관계 구축가능


- 자원봉사자는 제도적 시책과는 달리, 클라이언트나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인권상의 문제나
복지상의 문제에 대하여 원인을 찾아내며 공명하게 행동하는 자유가 있기 때문에 운동적
전개가 가능
- 자원봉사의 독자적인 성격과 입장에서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공‧사 역할을 분담하여 협동 가능

③ 복지교육을 통해 사회복지의 저변 확대가능


- 전 국민을 대상으로 민주‧복지교육 및 훈련의 장을 제공하여 사회복지에 대한 국민의 이해
와 참여를 증진시킴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72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10주차 2교시

자원봉사

1. 자원봉사활동의 영역

1) 일반적인 자원봉사활동 분류기준


① 활동의 장(場)
- 국제(해외) 자원봉사, 지역사회,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관, 병원, 도서관, 관공서, 공익기관 등
② 활동의 대상
- 장애인, 노인, 청소년, 아동, 환자, 이재민 등
③ 자원봉사활동 과업의 성격
- 직접적인 원조, 예방적 활동, 전문적인 활동, 일반적인 활동
④ 자원봉사활동 개입방법
- 직접적 개입방법 : 대부분의 자원봉사활동에서 활용
- 간접적 개입방법 : 공익기관에서 이사나 위원으로 활동하는 경우

2) 활동의 대상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분류

(1) 아동을 위한 자원봉사활동


- 모든 아동이 자원봉사활동의 지원대상이 되는 것은 아님
- 대상 : 건강상의 이유로 가정과 사회로부터의 일상적인 도움으로는 정상적인 성장을 할 수 없
는 아동들
- 아동의 일반적 특성과 요보호아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그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
- 직접적인 자원봉사활동 : 상담, 교육지원, 여가선용지도, 사회활동지도
- 간접적인 자원봉사활동 : 아동시설에 업무보조, 요보호아동에 대한 각종 캠페인

(2) 청소년을 위한 자원봉사활동


- 청소년이 당면한 문제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에서부터 청소년의 성장 가능성을
최대한 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까지를 포함
- 직접적 서비스 : 개인이나 집단 및 지역사회 등 대상자에게 직접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행하
는 것
• 기능
① 심리적 지지 : 청소년에 대한 전화상담, 면접상담, 집단상담, 학교상담, 법무부‧검찰청과
관련한 비행청소년 상담, 소년소녀가장, 결손가정청소년, 비행청소년들과
의 결연 등
② 사회성 증진 : 교육지원활동, 사회지원활동, 여가선용활동 등
③ 생활안정 : 취업지원서비스와 생활 및 가사지원서비스
- 간접적 서비스 : 대상자에게 직접적인 활동을 하기보다는 대상자들을 위한 서비스를 행하는 기
관이나 대상자가 속한 사회환경을 변화시키려는 개입활동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73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① 시설지원활동 : 행정적인 업무보조 활동과 시설정비활동, 교호시설‧소년원 등의 위문공연


등의 방문활동
② 사회환경조성활동 : 청소년과 관련된 사회조사, 청소년 유해환경 단속 및 계몽, 바자회,
청소년 관련 캠페인, 가출청소년을 위한 아웃리치 등

(3) 노인을 위한 자원봉사활동


- 재가노인을 위한 서비스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집이나 이용시설을 방문하여 노인 및 부양자들에게 필요한 서
비스 제공
• 가정방문 봉사, 주간보호, 단기보호, 임종간호(호스피스), 노인안부전화 등
- 시설노인들을 위한 서비스
• 말벗, 상담, 각종 행사 돕기, 취미교육, 오락지도, 청소, 물리치료 보조, 위문활동 등
• 후원자 결연사업, 재정후원, 시설장비‧도구지원 등
- 노인들의 삶의 보람을 증진시키기 위한 자원봉사활동
• 노인대학 운영보조, 문맹노인 학습지도, 노인 자서전 쓰기, 독거노인 모임지도, 체육지도 , 취
미활동 그룹지도, 특기 개발지도, 노인관련 출판물 제작, 취업 알선
- 독거노인들을 위한 자원봉사활동
• 도시락 배달, 세탁물 배달, 외출동행, 독거노인 가정결연, 무의탁 노인 가정방문, 노인 건강
강좌, 노인진료, 목욕보조, 이‧미용 보조 등

(4) 장애인을 위한 자원봉사활동


- 오늘날 대부분의 사회에서는 장애인들을 사회로부터 격리시키지 않고 지역사회 내에서 사회의
일반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시책 형성
- 최근들어 시설보호와 재가보호를 통합한 ‘지역케어’ 또는 ‘커뮤니티 케어’로의 전환이 이
루어짐
- 장애인을 위한 자원봉사활동은 다른 서비스 대상들에 대한 것보다 다양하고 광범위함
- 장애인에 대한 자원봉사활동의 종류를 일률적으로 규정하기 어려움
• 장애인이란 심신의 어떤 부분의 ‘장애’라는 특수성을 지녔을 뿐 삶의 전반에 걸친 모든 영
역에서 다른 사람들과 똑같은 욕구를 지녔기 때문
• 장애인을 위한 자원봉사활동의 종류를 정형화시키기보다는 그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삶의 보
람을 느끼며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방향으로 서비스를 조직, 정비해야 함
- 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하는 활동이 아니라 하더라도 경제적‧사회적 소외계층을 위한 각종 자원봉
사활동들에 대해서도 장애인은 대상이 될 수 있다.
- 장애인과 비대면적인 관계에서 행해지는 자원봉사활동
• 물리적 환경정비를 위한 각종 활동
• 장애인의 사회적 자립을 촉진하기 위한 지역사회 정비활동
• 차별과 편견 제거를 위한 사회계발활동
• 장애인 시책 및 프로그램 이용을 돕기 위한 홍보활동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74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10주차 3교시

자원봉사

1. 우리나라의 자원봉사활동

1) 자원봉사운동의 흐름
(1) 고대로부터 농촌부락 단위로 행해졌던 자발적인 상부상조활동
- 두레, 품앗이, 계, 향약 등 각종 민속적인 부락 협동 관행
(2) 자발성, 무보수성, 복지성 등의 특성을 지닌 현대적 의미의 자원봉사활동은 기독교 사상을 바탕으
로 한 사회단체가 설립되면서 본격화됨
- 1903년 대학YMCA연맹, 1922년 대한YWCA 연합회, 1905년 대한적십자사 등
- 교회 및 관련단체의 자선적‧박애적 성격을 띈 초보적 자원봉사활동
(3) 일제시대의 자원봉사활동 : 조선총독부에서 설립한 인보관을 중심으로 행해진 관(관)주도의 교회
사업 형태
- 일제치하의 구국운동으로 시작한 학생운동은 해방 이후 사회개량적 운동으로 전환되어 문맹퇴
치를 위한 야학, 농촌봉사활동 등의 사회봉사활동으로 전개됨
(4) 1945년의 해방과 1950년의 한국동란 시기
- 우리나라는 정치, 경제,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혼란을 겪은 시기이며 이웃과 국가를 위한 자원
봉사활동을 기대하기 어려움
- 미국과 유럽을 위주로한 민주 우방국가들의 도움으로 빈민을 구제하는 것이 당면과제였음
- 당시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주체는 국가도 국민도 아닌 원조기관의 몫이었음
(5) 1960년대
- 5‧16 군사혁명 발발
- ‘도탄에 빠진 민생고를 시급히 해결하는’것이 중요한 국가적 이슈
- 1961년 ‘혁명정부’는 생활보호법의 제정‧선포와 함께 국가가 국민의 복지를 책임져야함을 천
명하였으나 국가복지를 수행할 여력이 없던 상황
- 국민의 대부분이 자원봉사의 대상자였던 상황에서 자원봉사활동이 존재할 수 없었던 상황이
상당 기간 지속됨
- 1960년대 후반 : 기존의 자원봉사 관련단체들의 활동이 면면히 이어졌고 주요 대학의 학생들
을 중심으로 농촌봉사활동이 전개
- 지역사회개발사업이 활성화됨
(6) 1970년대
- 새마을운동의 시작으로 우리나라의 자원봉사활동이 국가의 주도와 지원하에 활성화됨
- 군사독재에 대한 항거와 경제성장에 따른 불평등의 심화 등으로 사회적 혼란이 지속되는 가운
데 대학생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자원봉사운동도 농촌주민, 저소득층, 하급 노동자 계층의
‘의식화’운동으로 변화됨
(7) 1980년대
-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관심이 본격적으로 증대됨
- 1984년 한국여성개발원의 자원봉사인력은행 설치
- 1985년 88서울 올림픽조직위원회의 자원봉사단이 조직되어 한층 조직적인 자원봉사 활동이 전
개됨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75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1987년 서울에서 자원봉사자 모집‧교육‧배치를 전문으로 하는 한국자원봉사능력개발연구회 발


족, 대구에 국내 최초의 자원봉사센터인 대구자원봉사지원센터 설립
- 1986년의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올림픽을 통해 전국적으로 자원봉사를 인식, 확산시킴

2) 자원봉사 지원조직
- 자원봉사활동 지원조직 :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사회복지 관련기관, 기업, 언론, 학교 등

(1) 중앙정부의 자원봉사활동 담당부서


① 보건복지부
• 행정자치부가 주무부서가 되기 이전까지 자원봉사활동을 담당했던 곳
• 현재는 한국사회복지현의회 부설 ‘사회복지 자원봉사 정보안내센터’와 한국사회복지관협
회의 ‘자원봉사 알선센터’, ‘재가복지 봉사센터’에 예산지원 및 행정지도 담당
② 여성가족부
• 여성의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지원하는 부서
• 1992년부터 시‧군‧구 가정복지과를 중심으로 ‘여성자원활동센터’를 설립 및 지도, 감독함
③ 행정자치부
• 현재 자원봉사활동의 주무부처
• 시‧도 및 시‧군‧구의 사회진흥과에 자원봉사지원 전담부서 설치
④ 문화관광부
• 청소년 자원봉사와 관광산업과 연관된 자원봉사의 활성화 촉진
• 1995년 7월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로 하여금 ‘청소년 자원봉사센터’를 설립, 운영하도록 함

(2)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지원조직


- 지역주민들과 가까이 할 수 있는 기회로 이용하려는 정치적 의도
- 부족한 행정인력을 자원봉사자들로 메우려는 의도
- 대부분의 시‧군‧구 차원에 자원봉사센터들이 설립되어 자원봉사자의 모집‧훈련‧배치‧사후관리 등
을 담당
- 자치구의 자원봉사활동 지원사업과 내용은 자치구의 관심, 자치단체장의 관심과 이해도에 따라
그 수준이 천차만별로 나타남

(3) 민간부문의 지원조직


-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여성개발원, 한국자원봉사협의회, 한국자원봉사능력개발원, 한국대학사
회봉사협의회, 한국자원봉사포럼 등
- 한국자원봉사학회 : 2004년 10월 자원봉사에 관한 연구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창립
•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한 법정단체
• 주요기능 : 사회복지에 관한 조사연구, 교육훈련, 정책건의, 국제교류, 회원단체간의 조정 및
협의 등
• 1978년 서울에 ‘자원봉사안내소’ 설치 후 지속적으로 자원봉사사업 펼침
• 지방차원으로 전국 16개 시‧도에 지역사회복지 협의회 및 부설 지역복지봉사센터 운영

- 한국여성개발원
• 1984년부터 1992년까지 여성자원활동 인력은행 운영
• 1993년부터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조사연구, 자원봉사활동 관련자료 및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관련기관과 일선 활동자들 지원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76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한국사회복지관협회
• 사회복지사업법에 의거해 전국 사회복지관의 육성‧발전을 위한 제반사업 수행
• 1992년부터 사회복지관부설 재가복지봉사센터의 관리업무를 보건복지부로부터 위탁받아 자
원봉사알선센터 운영

- 한국자원봉사포럼
• 1995년 10월 창설
• 자원봉사의 활성화를 위한 대중교육과 인식제고 및 정책제안 등에 관한 포럼 운영

(4) 대기업의 지원
- 1990년대 이후 큰 폭으로 증가
-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993년부터 『사회공헌 백서』를 정기적으로 발간

3) 자원봉사활동기본법
- 국민의 자원봉사활동 진작을 위해 법에 근거한 제도적 장치마련이 중요
- 정부는 1992년부터 자원봉사활동과 관련한 법률제정 시도
- 2005년 6월 30일 행정자치부가 발의한 ‘자원봉사활동기본법’ 국회통과
- 시행령이 마련되어 2006년부터 본격 시행(전문 20조와 부칙으로 제정)

4) 자원봉사 참여실태
- 한 나라의 국민 중 얼마나 많은 사람이 자원봉사활동에 참가하고 있느냐 하는 것은 그 국가의 발
전 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됨
- 일반적으로 선진국은 후진국에 비해서, 기독교 문화권의 구미제국은 기타 국가에 비해서 국민들의
자원봉사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짐
- 특정 국가의 국민 개개인의 자원봉사 참여도 성별, 연령, 학력, 직업 및 소득, 종교 등 여러 인구사
회학적인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짐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77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11주차 1교시

아동복지의 개념과 발달배경

1. 아동복지의 개념
- 아동복지는 일반적으로 특수한 장애를 가진 아동은 물론 모든 아동들이 가족 및 사회의 일원으로서 육
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건정하게 성장∙발달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나 사회복지서비스 분야에 있는 공사
단체나 기관들이 협력하여 아동복지에 필요한 사업을 계획하고 실행에 옮기는 조직적인 활등으로 정의
하고 있다.

- 보다 포괄적인 의미에서 본다면 아동복지란 아동의 전반적 안녕(아동권리 국제협약 – 생존권, 발달권, 참
여권, 보호권)에 관심을 두어 아동의 신체적∙심리적∙사회적 발달을 보호하고 도모하기 위해 설계된 제반
대책을 말한다.

- 사회복지의 한 분야로 제한해서 본 아동복지는 일반적으로 부모가 아동양육의 책임을 담당할 수 없거나,
정서적∙행동적∙발달상의 문제 때문에 가족 내에서 기능하기가 어려운 경우에 가족과 아동이 갖게 되는
특수한 욕구에 관심을 갖는다.

- 그러나 아동복지의 상위개념으로서 사회복지의 개념 또한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사회복지가 영


원불변의 가치를 가지고 있지 않다’라는 관심을 일으키게 되었다.

- 오늘날 아동복지의 개념은 보다 나은 인간의 행복을 추구하는 이념, 즉 명확한 목적과 가치를 수반하는
활동분야로 정의한다. 특히 실천적인 면에서 아동복지는 사회복지의 한 하위영역으로서 아동복지전문가
의 전문적이고 적극적인 활동이 요청되는 분야라는 관점에서 전문적 교육훈련과 실천 경험을 가진 아동
복지전문가에 의하여 모은 활동이 전개되어야 할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2. 아동복지의 발달배경

- 아동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문적 아동복지의 출현은 20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이다. 역사적으로 아동문


제 해결책은 가능한 문제의 원천을 봉쇄하고자 전근대적인 피임, 유기, 유산, 유아살해 등의 방법들이
다양하게 횡행해왔음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인본주의와 기독교 사상의 발전과 변화로 인하여 점차 감소
되었다.

- 이들의 등장으로 인하여 이전에 수용되었던 아동문제 해결방법의 부당함과 아동생명의 경시는 곧 범죄
임이 인식되면서 아동복지가 개인적 의무에서 종교적 의무로, 시민적 의무로 발전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
다.

- 이러한 인도주의적 이념을 강화하고 지원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 사회의 경제적∙정치적 변화를 들 수 있
다. 산업혁명을 토대로 증대된 생산력은 다수의 요보호아동을 돌볼 수 있는 여력으로 연결되었고, 정치적으로도 투표
권 등 시민적 권리가 빈곤계층의 부모를 망라하여 모든 국민에게 부여되어있기 때문에 아동의 욕구를 충족시킴으로
써 사회의 불안이나 불균형의 위협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현실적인 인식 또한 아동복지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 또한 경제적 발전, 의료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인간의 기대여명이 길어지면서 아동기 역시 중요한 시기로
인식되었고, 아동을 위한 공식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제도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아울러 종합복지 기능
을 담당했던 가족, 이웃과 같은 일차적 사회제도의 기능은 산업화, 도시화와 더불어 그 기능이 축소되거
나 상실되면서 아동복지서비스를 전담하는 전문적 기관이 요구되었다.
- 우리나라도 핵가족화가 증가되면서 노인중심의 가치관이 자연스럽게 자녀중심의 가치관으로 전환되었다.
초저출산으로 인하여 부모와 아동간의 정서적 애착관계는 보다 친밀하고 강렬한 융합으로 표출되어, 자
연스럽게 가족체계 내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게 된 아동에 대한 인식의 증대는 그들이 직면하는 제
반문제에 대비하기 위한 아동복지의 제도와 서비스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78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1989년 유엔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되어 1990년 9월 2일 국제법으로서 효력을 발휘하게 된 「아동의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은 아동을 독립적 기본 권리와 자유를 향유하는 주체로 인정하고 아동과 관련된
모든 결정에 있어서 아동의 최선 이익이 일차적 기준이 되어야 함을 법적으로 명시함으로써 아동의 법
적 지위를 최고수준으로 높여놓았다.

3. 외국의 아동복지

- 아동의 권리에 대한 국제협약은 아동을 능동적 권리의 소유자, 행사자로 정의한다.

- 아동권리협약의 일반원칙
1) 생존권 : 아동이 생명을 유지하여 최상의 건강과 의료혜택을 받을 권리
2) 발달권 : 정규교육과 비정규 교육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교육을 받을 권리와 아동이 신체적, 정서적,
도덕적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평균수준의 생활을 누릴 권리
3) 참여권 : 아동이 자신과 관련된 모든 일에 대해 자신의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권리
4) 보호권 : 차별대우와 학대 혹은 방임으로부터 보호받을 권리

- 영국의 구민법은 여러 차례 개정을 통해 아동복지의 기초가 되었다. 근대적 의미의 아동복지는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법적, 사회적, 의학적, 심리학적, 교육학적, 정치적으로 제도화되어 육아원, 장애아동
을 위한 특수학교의 설립, 아동노동의 조건개선을 위한 보호조치 등으로 이어졌다. 19세기 중반 이전까
지의 아동관련정책은 부모에 의해 제대로 보호 ∙ 양육됮 못하는 아동을 사회에 대한 위협으로 보아 구
제의 대상이었다면, 19세기 후반에는 잘못된 제도 또는 희생자로 보아 국민의 한 사람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1884년 아동학대방지협회가 설립, 1889년에 아동학대방지법이 제정, 1933년 아동청소년법이 제정
되면서 아동의 복지에 경제적, 심리적 복지의 개념이 추가되었다.

- 현대적 의미의 영국 아동복지는 1948년의 아동법의 통과 이후 아동은 ‘희생자’라는 관점에서 ‘미래에


대한 투자’라는 관점으로 변화하면서 1989년 개정 아동법에서는 가족에게 관심을 두고 아동, 가족, 지장
정부와 국가와의 관계를 다루면서 아동보호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 스웨덴의 아동복지제도는 가족이 아동을 건강하게 양육하기 위해 필요한 재정적 지원, 의료보험, 주택수
당, 보육서비스, 출산휴가 및 아동양육을 위한 유급휴가제도 등을 제공함으로써 사전에 문제발생을 예방
하는 보편주의적 접근을 취하고 있다.
1) 재정적 지원 : 아동수당, 부모보험보조, 부양대출, 아동연금, 장애아보호수당 등
2) 영우아보육서비스 : 1995년부터 모든 시 당국의 1~6세 아동들을 위한 탁아소나 가정탁아소 제공,
6~12세 아동들을 위한 방과후 보호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의무화, 개방유아원 등.
3) 아동양육의 휴가제도가 강화되고, 취업부모뿐만 아니라 취업 조부모도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음.
- 미국의 아동복지서비스는 잔여적 접근을 고수해왔다. 영국으로부터 독립 후 자급자족할 수 없는 아동과
가족들을 시설 외 구호로서 빈약한 원조를 제공하였으며, 오늘날 복지수습을 받을 수 있는 시한을 일생
동안 60개월로 제한, 24개월간 복지수급 후에 반드시 일을 하고 있어야 급여를 받을 수 있고, 십대 미혼
부모는 다른 성인과 같이 살고 있어야만 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제한하는 요보호가정을 위한 일시부조
(TANF) 프로그램의 기원이 되었다.

- 미국은 1909년 1차 백악관회의 후 미국연방정부에 아동문제를 전담하는 아동국을 설치하여 아동노동의


착취를 금지, 아동의 안전과 보건에 관한 기준을 마련. 1930년대의 경제대공황은 1935년의 사회보장법의
제정으로 이어지면서 요보호아동부조를 설립하여 AFDC(Assistance to Families with Dependent Children)
로 발전하였다. 1964년 존슨행정부에서 도시빈민층 자녀를 위하여 취학 전 빈곤아동에게 언어 ∙ 보건 ∙
정서 등 다방면에 걸친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빈곤의 악순환을 끊겠다는 취지로 만들어진 Head
Start 프로그램과 저소득층을 위한 Food Stamp 프로그램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1990년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79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아동보육∙ 발전지원법, 1992년 아동양육지원재개법, 1994년 아동양육지원명령법, 1998년 부적격부모법 등


에서 부모의 책임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은 늘 아동과 가족정책에 소극적인 태도를 견지해왔다. 가능하면
가족의 독자적인 아동양육 권리와 책임을 존중하면서 가족이 빈곤이나 다른 문제로 인하여 제 기능을 할
수 없을 때만 개입하는 잔여적 입장을 고수해왔다. 그러나 25개 국가의 비교에서 나타난 것처럼 아동복
지의 보장에는 보편주의적 접근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4. 우리나라의 아동법

1) 삼국시대 ~ 고려시대
- 주로 불교의 자선사상에 영향을 받은 전문적인 구제제도가 시작되었고, 봉건제도의 질서하에 구제사업이
전개되었다. 조선시대는 건국 초부터 불교를 멀리 하면서 유교를 지도이면으로 삼고 유교의 왕도사상을
치자의 근본으로 삼아 모든 국가의 제도를 확립하였다.

2) 1777년
- 한국 천주교회는 ‘가난한 이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고자 하는 교회의 사회복지적인 애덕의 정신으
로 1854년 ‘영해회’라는 명칭의 아동복지사업을 시작하였다. 영해회는 1843년 프랑스 파리에서 홀본
잔송이 창설하여 죽음의 위험이 있는 어린이들에게 세례를 주고 살아나면 그리스도 가정에 맡겨 키우도
록 하였던 아동구호사업인 성영회의 한국명이다. 1977년에는 성바오로보육원이란 이름으로 운영되다가
현재는 인천해성보육원으로 이어져 운영되고 있다. 1886년에는 미국 북장로교의 언더우드가 고아들을
모아 예수학당 ∙ 구세학당을 시작, 영국 성공회 선교사 란디스는 인천에 고아학원을, 구세군은 1923년
서대문 밖에 고아원을 설립하였다.

3) 일제강점기
- 조선구호령 중 13세 이하의 유아와 임산부에 대해 규정하고, 아동보호를 위한 보육원을 두도록 되어 있
어 1934년 말에 이르러서는 전국에 23개의 아동복지시설에서 2,192명의 다도이 수용 ∙ 보호되었다. 이
시기에 천도교의 소년운동은 민족독립운동의 성격을 띤 사회운동으로서 봉건시대의 아동관을 불식하고
새로운 아동관의 계몽에 힘쓰면서 ‘어린이’라는 순 우리말을 만들어 보급하고, ‘어린이 날’을 제정
하는 등 아동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공헌하였다. 이때 아동의 건강한 발달과 복지에 관심을 가졌던 방정
환, 윤석중 등은 현대적 의미의 아동애호사상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4) 1921년
- 미국 감리교 선교사들에 의해 설립된 태화사회관은 여성교육, 전도, 사회사업의 세 분야에 역점을 두고
초기에는 여성교육에 치중하였으나, 점차 아동보건을 위하여 아동건강진단과 가정방문을 통한 위생교육,
육아법 등을 보급하였다. 저소득층 가정을 위한 무료 유아교육사업, 무료 목욕사업, 우유급식사업 등을
실시.

5) 해방 이후
- 아동복지는 1950년대까지는 사회구호단계, 1970년대의 선별주의 단계를 거쳐 1980년 이후 보편주의를 지
향하고 있다. 1950년대 말까지 계속된 한국의 아동복지는 절대빈곤 속에서 민간 외원단체에 의한 아동후
원사업이 전개되었다.

6) 1961년 5∙16 이후
- 국가주도에 의한 경제개발계획의 추진에 의하여 ‘선 성장 후 부분배’라는 국가발전의 논리에 따라 사
호복지에 대한 투자는 억제되었지만 아동복지시설에 수용되는 아동인구는 계속 증가하다가 1970년대 이
후에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7) 1970년대
- 외원단체가 철수하면서 아동복지서비스 운영에 대한 국가의 책임이 증대하게 되면서 아동복리법을 개정
하여 전체아동을 대상으로 보편주의에 입각한 아동복지서비스의 전문화와 다양화를 지향하는 아동복지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80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법이 1981년 제정되었다. 이후 1984년 개정된 새 아동복지법은 대상을 ‘모든 아동’으로 보편화시켜 건


강하게 출생하여 행복하고 건강하게 육성되도록 복지를 보장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으나 여전히 제한
적이고 잔여적인 아동복지관에 기초를 두었다. 1991년에는 아동권리 국제협약의 회원국이 되면서 2007년
7월부터 시행된 2차 아동복지법은 아동을 단순한 보호의 대상이 아닌 권리의 주체로 보는 국제협약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8) 특히 정부의 보호를 받는 아동들에 대해 지금까지 결여된 정서적 지원체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그 필


요성이 강조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과거 아동복지의 주류를 이루었던 사설보호사업이 감소하고
가정과 지역사회 중심의 국내입양, 가정위탁사업, 재가복지, 보육서비스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실제
시행되는 아동복지사업은 여전히 잔여적인 서비스에 집중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탁아서비스의 보편화를
주장하는 여성계의 요구에 의해 독립 탁아입법으로서 ‘영유아보육법(1991);이 제정되었다.

9) 2004년
- We Start 운동 시작 - ‘사회 모두가 함께 힘을 모아 빈곤층 아동의 가난 대물림을 끊어주자’

10)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아동복지사업은 외국과 마찬가지로 민간책임에서 국가책임으로, 집단적 수용보호
에서 소규모 보호로, 시설보호에서 재가보호로, 포괄적 서비스에서 분화된 다양한 서비스로, 비전문적 개
입수준에서 전문적 개입으로 발달하고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81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11주차 2교시

아동복지의 원칙과 아동복지의 내용

1. 아동복지의 원칙

1) 권리와 책임의 원칙
- 아동 : 스스로가 단순히 성인의 보호를 필요로 하는 의존적이고 수동적인 존재가 아닌 독립적 존재
로서 자신의 생활을 책임지려는 적극적 자세여야 한다.
- 부모 : 아동양육에 일차적이고 근원적 책임을 지며, 가정에서 아동이 건전하고 이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보호, 양육, 교육하여야 하며 아동의 건강한 사회구성으로서 그 책임을 다하도록 그들의 자질과
개성을 존중해야 한다.
- 국가 : 아동들이 건전한 사회인으로 기능하게 하려면, 국가가 책임성을 띠고 보호, 교육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아동을 둘러싼 체계를 이해하고, 그 체계 속에서 아동을 보호, 양육, 교육할 수 있도록 국
가가 그 역할을 대리, 보조, 지지하여야 한다.
- 아동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가장 잘 지지해 줄 수 있는 방법은 아동, 부모, 국가가 각각의 책임을 확
립하며 더불어 서로 간의 상호작용을 원만히 유지하는 것이다.

2) 보편성과 선별성의 원칙
- 보편성의 원칙
• 아동복지사업을 실천함에 있어서 어떠한 조건이나 제한을 두지 않고, 모든 아동들에게 같은 종류, 동
일한 수준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아동복지의 궁극적 목표로 아동의 최소한의 생활을 위한 최
저소득 보장, 최소한의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기초생활, 예절교육, 기본적 의료조치 등.
- 선별성의 원칙
• 아동복지사업의 대상을 조건이나 기준에 따라 제한한다. 대부분의 기준은 부모의 양육능력 수준에 따
라 그 아동을 요보호아동으로 간주하여 무상교육, 저소득층 맞벌이 부부의 자녀 무료탁아 등.

3) 개발적 기능의 원칙
- 사회복지의 기본적 기능의 하나로서 아동복지에서도 보호적 ∙ 예방적 ∙ 조정적 기능과 더불어 중요한 기능.
- 개발적 기능이란 제도적 변화만을 초래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경제 개발과 사회개발의 제 조건을 향상시
키고 창조하는 일에의 참여를 의미하며 여러 가지 부정적인 사회문제에 대한 의도적인 변화를 초래케
하여 국가적 개발체계와 보조를 맞추는 일련의 활동을 뜻한다.

4) 통합적 기능
- 아동이 하나의 정체성을 띤 인간으로서 그들에게 관련되는 여러 측면들이 서로 상호적 관계를 가지면서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아동을 위한 가정생활, 경제적 안정, 교육, 보건, 노동, 오락, 특수보호 등에 대한 프로그램이나 서비스가
총제적, 포괄적, 상호보완적으로 적용되어야 아동의 전인적 발달이 이루어 질 수 있다.
- 이러한 원칙은 행정조직면에서 적용되어야 한다. 부처가 각각 그들의 소관업무에만 집착하게 되면 부분
적 측면의 해결은 가능하겠지만 포괄적 욕구는 충족될 수 없다.

5) 전문성의 원칙
- 아동복지사업이 전문가와 전문기관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칙.
- 아동이 가지는 욕구와 발달단계 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진 전문가의 필요성을 말하는 것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82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2. 아동복지의 내용

1) 아동복지의 대상체계
- 아동복지의 대상체계 : 아동, 부모 , 가정
- 부모 및 가정이 포함되는 이유는 발달단계 특성상 아동의 건강한 발육과 성장을 위해서는 보호 ∙ 양육
의 역할을 담당하는 보호자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보호 ∙ 양육의 일차적 책임은 아동이
속해 있는 가정과 부모에게 주어진다.

- 아동복지의 대상체계는 사회복지서비스 또는 급여의 할당원칙으로 제시되는 보편주의와 선별주의에 의해 구분된다.


① 보편주의
• 기본권으로서 모든 사람이 사회복지 급여를 받을 수 있다는 경우
아동복지의 대상체계 : 아동, 부모, 가정이 속함.
이는 모든 아동에 대해 동일한 수준에서 할당이 이루어짐을 의미하며, 낙인의 문제를 최소화
하고 사회적 통합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② 선별주의
• 자신의 욕구를 스스로 충족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한계집단에게 집중적으로 급여가 제공괴어
야 한다는 경우
아동복지의 대상체계 : 요보호아동과 그 가족이 속함.
충족되지 못한 욕구가 보다 큰 대상자에게 우선적이고 집중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희소
한 공공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사회의 긴장감과 적대감이 감소된다는 점에서
사회적으로 더 효과적이다.

(1) 요보호아동
- 욕구를 충족시키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정이 부재한 경우, 또한 개별 가정의 능력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상황에 처한 아동을 요보호아동이라 할 수 있다.
- 요보호아동의 분류
첫째, 양육환경상의 보호가 필요한 아동이다. 가족의 구조와 기능이 결손되어 건강한 양육환경
하에서 성장하기 힘든 아동들로 구체적으로는 빈곤가정 아동∙ 부모부재아동 등이 포함된
다.
둘째,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으로 문제나 장애를 지닌 아동이다. 이들 아동들은 자신들이 가진
독특한 심신상의 결함으로 인해 정상적인 사회참여에 제한을 받고 있고, 독립적인 인격체
로서의 존엄성을 침해당하고 있다. 장애아동은 크게 신체장애아동, 정신장애아동, 정서장
애아동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셋째, 사회적 ∙ 법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이다. 즉, 가출아동, 비행아동 등이 포함된다.
넷째, 특별보호를 요하는 아동이다. 즉, 학대 및 유기된 아동, 미혼모의 아동 등이 포함된다.

(2) 일반아동
- 아동이 속한 가정에서 제공되는 보호 이외의 다른 특별한 보호를 받지 않고 생활할 수 있는 아
동을 의미한다.
- 일반아동은 현재 심각한 문제를 경험하지 않는다는 개념이지만 앞으로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전혀 없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에 요보호아동이 경험하는 문제의 예방적 차원에서 아동복지서
비스의 필요성은 일반아동에게도 충분히 찾아볼 수 있다. 아동수당, 무상교육, 육아휴직, 보육
서비스는 일반아동을 위한 대표적인 아동복지서비스라 할 수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83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2) 아동복지서비스의 분류

(1) 서비스 제공 장소에 의한 분류


- 아동복지서비스를 직접적으로 제공받는 아동이 어떠한 장소에서 생활하고 있는가에 따른 분류.

재가서비스 가정 외 서비스

원가정을 떠나 시설이나 다른 가정에서 생활하면


아동이 원가정에서 생활하면서 제공받는 서비스
서 제공받는 서비스

(2) 서비스 기능에 따른 분류


- 아동이 속해 있는 원가정에 대해 서비스가 수행하는 기능이 분류의 기준.
- 카두신(Kadushin, 1974)은 지지적, 보충적, 대리적 서비스로 분류함. 이들 서비스는 서로 간에
보완, 중첩 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① 지지적 서비스
• 도움이 필요한 가족에 대해 사회는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사회적 의무가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함. 지지적 서비스는 가족과 부모-자녀관계 체계가 구조적으로 손상되지는 않았
지만, 스트레스에 노출될 경우 아동복지에서의 초기 문제를 다루는 제일 방어선 역할을
한다. 즉, 지지적 서비스는 아동이 속해 있는 원가정의 구조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그 가
정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외부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가정기
반 서비스와 아동보호서비스가 그 예이다.

② 보충적 서비스
• 가족의 사회적 체계 안으로 들어와 제공된다는 점에서 지지적 서비스와 대별된다. 보충
적 서비스는 부모의 보호, 양육의 질이 부적절하거나 제약되어 있을 때, 이를 보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부모의 사망, 유기, 이혼, 별거 등으로 인해 부모의 역할이
영구적으로 수행되기 어려울 때, 혹은 교도소 수감, 질병, 직업상의 이유 등으로 인해 일
시적으로 부모의 역할수행이 힘들 때 제공될 필요가 있다. 사회보험제도와 공적부조와
같은 소득보충 프로그램은 부모의 소득창출 역할을 보충한다는 의미에서 중요한 보충적
서비스라 할 수 있다.

③ 대리적 서비스
• 부모의 역할 전부가 상실되었을 경우, 아동에게 부모를 대신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즉. 아동이 속한 원가정이 완전히 해체되어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부모 중 누구도 아
동에게 보호, 양육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제3의 가정이나 시설이 이 기능을 대
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입양, 가정위탁, 시설보호서비스 등이 이에 포함된다.

지지적 서비스 보충적 서비스 대리적 서비스


부적절하거나 제약된 부모의 보
아동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아동의 개별적 요구에 따라 부모의
호를 보상하거나 아동이 받아야
부모의 능력을지지, 강화함 보호를 부분 또는 전체를 대리함
할 보호를 보충함
∙ 아동상담소, 가정상담소, 지역 ∙가정위탁서비스
사회복지기관에서 제공하는 ∙소득보충 프로그램 ∙입양서비스
상담서비스 ∙가정봉사원 파견 서비스 ∙시설보호 : 긴급피난처, 그룹
∙ 학대, 방임 아동을 위한 보호 서비스 ∙보육서비스 홈, 아동양육시설, 아동치료보
∙ 미혼부모, 한부모를 위한 서비스 호시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84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11주차 3교시

아동복지서비스 분야, 아동복지의 전망과 과제

1. 아동복지서비스의 분야

1) 아동상담
- 아동상담은 가정 내에서 부모가 생존해 있고 부모와 아동이 그들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의지와 능력
이 있으나, 부모-자녀관계의 갈등, 부부갈등, 형제 간의 갈등으로 인하여 난관에 부딪쳤을 때, 가족성원의
사회적 기능을 개선하여 가족붕괴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직접적 ∙ 간접적으로 돕는 원조의 한 방식이다.
- 주로 가족생활에서 자연적으로 겪게 되는 위기, 부모의 능력 부족으로 아동에게 부적절한 보호를 함으로
써, 아동이 바람직한 경험과 그 기회를 잃는 경우, 아동의 신체발달이나 행동에 문제가 있는 경우, 지역
사회의 제반환경이 생활상의 압박이나 긴장감을 주거나 아동의 욕구와 권리를 침해할 경우에 개별, 집
단, 지역사회조직 등의 방법으로 개입하게 된다.
- 우리나라는 아동상담을 위해 시 ∙ 도립을 포함한 아동상담소와 아동일시보호소를 설치 ∙ 운영하고 있으
며, 각 시 ∙ 도 ∙ 및 시 ∙ 군에 아동복지지도원을 배치하고, 읍 ∙ 면 ∙ 동 단위에는 아동위원으로 위촉
∙ 활용하고 있다.
- 아동상담이 더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아동상담의 법적 근거가 강화되어 아동상담소의 기능이 확장되고,
아동상담서비스 전달체계의 전문성이 보강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2) 방임 ∙ 학대하동의 보호
- 아동학대의 개념
① 협의의 정의
• 신체적 학대로 제한하는 경우로, “아동에게 관찰 가능한 상해를 입힌 행위”를 의미하거나, “우
발적 사고에 의한 것이 아니라 부모나 아동보호자의 행위나 태만의 결과로 인해 아동에게 신체적
상해를 입힌 행위”를 의미한다.

② 광의의 정의
• 아동에게 가해진 실제적인 피해 이외의 잠재적인 피해까지 포함하고 있다. 1999년 3월 제네바에서
열린 아동학대예방에 관한 회의에서 세계보건기구는 아동학대를 “ 아동의 양육에 책임을 지고
있거나 신뢰관계에 있거나 권위를 가진 사람에 의한 모든 형태의 신체적, 정서적으로 가혹한 처
사, 성 학대, 방임 또는 보호의 태만 및 상업적이거나 다른 형태의 착취로서 그 결과 아동의 건
강, 생존, 발달 및 존엄성에 해를 끼치거나 그러한 가능성을 초래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광의의 아동학대는 주 양육자 및 주위의 모든 환경이 아동의 적절한 발달이나 복지의 보장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거나, 현재 저해하고 있는 모든 발달영역상의 손상을 말한다.

③ 현행 아동복지법 제2조
• “아동학대라 함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에 의하여 아동의 건강,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
해할 수 있는 신체적 ∙ 정신적 ∙ 성적 폭력 또는 가혹행위 및 아동의 보호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유기와 방임을 말한다”고 규정.

- 아동학대의 유형

① 신체적 학대
•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에게 우발적인 사고가 아닌 상황에서 신체적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신체손상을 입히도록 한 모든 행위를 말하며, 생후 12개월 이하의 영아에게 가해진 처벌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심각한 신체학대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85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② 정서적 학대
• 언어적, 정신적, 심리적 학대라고도 하며, 보호자나 양육자가 아동에게 언어적 ∙ 정서적 위협, 감
금이나 억제, 기타 가학적인 행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 정서적 학대는 눈에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
도 아니고 당장 그 결과가 심각하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그냥 지나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더욱
유의하여야 한다.

③ 성 학대
• 성인의 성적 만족을 위해 아동의 신체에 접촉하는 행위를 말하며, 아동과 성인 사이의 부적절한
성적인 행동들을 모두 포함한다. 가족 내 성 학대는 가족 및 친인척 사이에서 발생하는 형태를 말
하며, 가족 외부의 성 학대는 아동과 안면이 있는 사람 혹은 강압적인 힘으로 성적 행위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④ 방임
• 고의적, 반복적으로 아동양육과 보호를 소홀히 함으로써 정상적인 발달을 저해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방임은 아동이 위험한 환경에 처하거나 충분한 영양을 공급 받지 못해 발육부진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나이 어린 아동에게는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오거나 사망에까지 이르게 한다. 또한
발달상황에 놓여있는 아동에게 다양한 측면에서 잠재되어 있는 파생적인 문제들이 발견될 수 있
다.

물리적 방임 교육적 방임 의료적 방임

학교에 무단결석하여도 고의적으


아동에게 의식주를 제공하지 않거 로 방치하거나 취학연령이 되었
예방접종을 제때로 하지 않거나 필요한
나 아동을 장시간위험하고 불결한 음에도 불구하고 학교에 보내지
의료적 처치를 소홀히 하는 것을 의미
주거환경에 그대로 방치하는 것 않는 행위, 숙제 및 준비물을 챙
겨주지 않는 행위

- 학대아동에 대한 복지서비스
① 피해아동의 신체적 ∙ 심리적 손상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각종 검사 실시
② 신체적 손상의 치료를 위해 개별상담을 위시한 각종 치료 제공 서비스
③ 학대 행위자에 대해서도 개별상담, 입원치료, 재학대 예방교육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

3) 공공부조
- 소득보조사업의 한 부분인 아동을 위한 공공부조사업은 아동의 보호자가 현실적으로 생활불능 상태에
있거나, 생활이 곤란한 상태에 있는 자에게 국가 또는 공공단체가 최종적인 생활보장수단으로써 각출을
요건으로 하지 않고 최저생활에 필요한 급여를 행하는 제도이다.
- 우리나라는 국민기초생화보장법을 근거로 공공부조가 실시되고 있다. 재원은 전액 국가재정으로 이루어진다.
① 거택보호 : 빈곤으로 인한 각종의 요보호아동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위하여 극빈가정과 한부모가
족 등의 생활이 어려운 가정에 경제적 지원을 하는 보호
② 시설보호 : 아동이 보호자로부터 유기, 또는 이탈된 경우나 보호자가 자신의 자녀를 도저히 가정에서
양육하기가 어려운 18세 미만의 아동을 지원하는 보호
③ 자활보호 : 보호대상자의 자립능력을 배양시켜 스스로 저소득층을 벗어나 자립하여 정상적인 사회성
원이 되도록 하는 보호
④ 교육보호 : 취학적령기에 있는 수급자의 자녀에게 교육기회를 부여하여 장차 이들이 사회에서 정상적
인 근로 능력을 가지고 자활해나갈 수 있도록 중학교 및 고등학교의 수업료 및 입학금
전액을 국가가 지원하는 보호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86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⑤ 의료보호 : 질병이 발생해도 스스로 의료비를 부담할 수 없는 저소득층을 위한 보호

-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아동을 위한 공공부조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수급자에 아동이 일부


대상자로 포함되어 있어 아동의 특수성을 고려한 보호가 미흡하다.

4) 보육사업
- 종전의 탁아사업을 말하는 것으로, 영유아 및 아동이 부모나 가족으로부터 하루 중의 일정한 시간 동안
양육받기가 어려울 때, 타인이 일정 생활에 필요한 보호와 함께, 잠재된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사업을 말한다.
- 보육의 종류

분류기준 보육의 종류
보육장소 자기집보육, 가정보육, 직장보육시설, 기관보육시설, 기타
보육시간 반일제, 종일제, 시간제, 주간보육, 야간보육, 24시간 보육
연령 유∙영아 보육, 유아보육, 방과후 보육 등
설립 ∙ 운영주체 국∙공립, 민간(법인, 단체, 개인), 직장, 가정
법령 ∙ 행정관리 인가보육시설, 신고보육시설, 유치원

5) 가정위탁보호
- 개념 : 부모의 사망, 실직, 질병, 학대, 방임, 알코올 중독, 약물중독, 수감 등으로 아동이 자신의 가정에
서 도저히 양육되기 어렵거나 입양이나 통원에 의한 시설보호가 불가능하거나, 또는 바람직스럽
지 못할 때, 계획된 기간 동안만 타인의 가정에서 제공되는 대리보호를 말한다.

- 의의 : 가정위탁보호는 아동에게 있어 장기적 측면에서 아동이 부모나 가정에서 영원한 분리가 아니라,
잠시 위탁되어 있는 동안에 부모가 양육능력을 회복하거나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가정을 되찾을
수 있으며, 정서적 안정, 가족이 해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가정위탁보호의 유형
① 대리양육과정
② 친이적에 의한 위탁과정
③ 일반위탁가정

6) 입양
- 개념 : 대리보호의 한 형태로서 혈연관계가 아닌 사람과 사회적 또는 법적 관계에 의해서 부모-자녀관계
를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 종류
① 독립입양 : 입양기관을 통하지 않고 입양하는 것으로 친부모나 가족이나 친구, 이웃집에 직접 아동을
입양시키거나 , 제3의 소개로 입양시키는 입양.
② 기관입양 : 아동복지기관에서 전문가에 의해 친부모로 하여금 친권을 포기하게 하고, 기관이 모든 법
적 대리인이 되어서 입양절차를 밟는 경우로서 양쪽 부모 및 가정을 조사하여 가장 적절
한 가정과 연결해 주는 입양.
- 우리나라는 근래 국내입양이 저조한데, 그 이유로는 혈연중심의 가족제도, 장애아동 입양의 기피, 가족
이기주의 등을 들 수 있다.
- 입양기관 : 홀트아동복지회. 대한사회복지회, 한국사회봉사회, 동방사회복지회 등 국내 ∙ 외 입양기관과
성가정입양원 등과 같은 국내입양기관 20개 등 총 24개 입양기관이 입양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87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7) 시설보호
- 개념 : 시설보호는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유기 또는 이탈된 아동과 보호자가 양육하기 곤란한
아동을 아동복지시설에서 만 18세 미만까지 양육하는 집단보호서비스이다.
- 목적 : 과거에는 주로 기 ∙ 미아를 양육하는 데 1차적 목적, 오늘날에는 단순한 수용보호의 차원을 넘어
아동들의 건전한 성장과 인격발달 및 사회적 치료를 목적으로 하여 아동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
하려는 시도까지를 포함. 즉, 아동이 시설을 통해서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받고 사회화 및 교육
등의 전반에 대한 지도를 받아 사회인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종류 : 보호아동 중 90% 이상을 차지하는 양육시설(8개소), 직업훈련시설(3개소), 보호치료시설(8개소), 자
립지원시설(13개소), 일시보호시설(13개소), 종합시설(2개소) 등 총 282개소에 약 18,400여 명의 아
동이 보호를 받고 있다.

8) 시설퇴소연장아동 자립지원
- 개념 : 시설연장아동은 법적인 수용한계 연령인 18세 이상 20세 미만의 아동으로 가까운 장래에 퇴소하여
독립적인 사회생활을 하여야 할 시설보호와 독립생활의 과도기에 있는 청소년기의 아동을 의미한다.
- 사회취약계층인 시설보호아동은 일반아동보다 시설보호가 종결되면, 대부분 사회생활을 위한 사회지원체
계로부터 멀고 독립을 위한 정신적 ∙ 사회적 준비가 부족한 청소년기에 가족과 같은 일차적인 지원체계
가 결여된 상태에서 충격과 위기를 직면하게 된다. 이런 아동 중 일부는 자립의지의 미약과 사회의 냉대
로 사회적응력이 부족하여 문제 청소년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연장아동을 위해 퇴소 후에 자립
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지역사회로부터의 비공식적 지원이나 국가의 제도적 보장체계가 필요하다.
- 우리나라에서는 직업훈련, 연장아동 직장주기, 자립생활관 운영 등이 실시되고 있다.
① 직업훈련 : 연장아동의 퇴소 후 취업을 위한 시책으로 전국 아동 직업훈련 15개소에서 직업훈련교육
을 실시하고 있다.
② 연장아동 직장주기 사업 : 기업체 등의 협조와 참여로 1976년 이후 실시되고 있으며 매년 1,000명 이
상의 연장아동을 취업시키고 있다.
③ 자립생활관 운영 : 퇴소아동에게 지원되며 주거마련을 위한 자립지원금의 비현실성, 퇴소 후에 완전
한 독립생활을 하기 전의 중간단계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각 시 ∙ 도에 1개소의
자립생활관이 설치 ∙ 운영되고 있다.

2. 아동복지의 전망과 과제
- 우리나라 아동복지의 목표
① 보편적 ∙ 예방적 아동복지서비스 정착
② 전체 아동의 안녕과 행복 증진을 위한 환경제공
③ 자녀양육 유지 ∙ 향상
④ 서비스 공급주체의 다원화 및 행정체계 개선을 강조
- 즉, 아동복지의 주요 목표가 예방적 ∙ 보편적 복지서비스를 지향한다는 것과 서비스 정책이 잔여적 성격
을 벗어나 제도적 형태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는 것을 천명하고 있다.
- 사회 변화에 따라 아동복지의 여건 또한 변화하고 있음이 분명하지만 아동복지의 궁극적인 목표는 아동
권리 증진이다.
- 김승권(2004)은 아동권리 증진을 위한 우선적 과제로 아동권리에 대한 홍보와 계몽의 확산, 아동권리 협
약 관계 관계자(교사, 사회복지사, 판사, 검찰과 경찰, 보건인력)에 대한 교육, 아동안전 관련제도의 보완
과 장비, 아동이 있는 가족에 대한 경제적 지원, 아동학대 피해자를 위한 양질의 서비스 제공, 무상교육
의 확대, 학교 폭력의 근절, 문화여가 프로그램 개발, 아동안전의 보장 등을 주요 과제로 제시하였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88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전 세계적인 아동복지의 추세는 원가족과 친척들의 기능을 최대한지지 ∙ 강화하여 가능하면 가족들과
친지들 사이에서 아동이 양육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최선의 아동복지는 곧 최선의 가족복지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를 위하여 안정된 가정에서 아동이 성장할 수 있도록 가족기능을 지지 ∙ 강
화하기 위한 가족보존지원정책이 개발되어야 한다.
-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포함하여 빈곤계층으로 제한된 잔여적 서비스로부터 모든 가구에
출산수당뿐만 아니라 양육비용을 보조하는 아동수당을 지급하는 방안을 도입 ∙ 실시함과 아울러 실질적
으로 부 ∙ 모의 육아휴직제도가 정착되어야 한다.
- 시설보호와 응급보호, 입양서비스가 주를 이루었던 아동복지영역이 보편적 성격을 가진 서비스체계를 개
발하여 그 영역을 넓혀나가는 시점에서 이를 다루는 전문 인력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아동
복지인력의 전문성 확보와 유지를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사회적 처우와 보수를 보장해야 할 것이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89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12주차 1교시

여성복지의 개념과 발달배경

1. 여성복지의 개념
- 개념
• 여성복지는 여성이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충족한 가정생활 및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궁극의 목표로 하는 제도와 활동의 총칭으로서 미혼과 기혼을 가리지 않고 모든 여성에 관한
복지 전반을 포함하는 여성의 복지를 뜻한다. 즉, 여성복지란 미혼모, 가정폭력 및 성폭력피해여성,
성매매피해여성, 가출여성, 근로여성, 저소득여성 및 학대받는 여성들과 같은 요보호여성은 물론 모든
여성들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부 및 민간이 행하는 모든 조직적인 활동.

- 대두 배경
① 여성만이 가지는 임신, 출산 및 양육의 기능을 중심으로 여성은 특수한 상황에 처하게 되며, 아동,
가정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② 산업사회 구조의 다원화 및 사회변모로 가출여성, 이혼율, 근로여성, 노령인구의 증가 및 빈곤문제의
대두 등 여성문제의 사회화와 다양한 여성복지의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정책개발이 요
구되기 때문이다.

- 종래의 여성복지가 요보호여성과 이들로부터 파생되는 빈곤모자가족, 매매춘, 미혼모. 여성노등 등의 문


제에 국한되는 잔여적 복지개념이었다면, 이제 일반여성의 인권문제와 복지문제, 사회참여와 자아실현을
돕는 여건조성, 성차별 철폐운동으로 확대되어가면서 사회복지분야에서 새롭게 부상되는 정책과제가 되
고 있다.

- 여성복지 상태 : “여성이 인간으로서 존엄성이 보장되고 그가 가진 능력이 평등의 기반 위에 제한 없이


개발되며, 개발된 능력은 사회의 제 부문에서 차별 없이 활용되어 여성의 인간다운 삶이 보장”되는 상
태를 여성복지가 증진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여성복지의 개념변화는 여성의 문제를 여성복지
시각으로만 제한시키는 것에서 벗어나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여성과 남성의 평등을 성취하고자 한는 사
회복지분야의 기본적 이해와 노력을 필요로 한다.

- 여성이 국가나 사회에 대해서 수동적 위치로 개념화된 정태적 개념에서 보다 적극적, 동태적 여성복지로
의 획기적인 변화는 1980년대부터 구미 각국에서 여성의 경험과 상황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재구성하려
는 노력으로 성역할에 민감하고, 성차별을 하지 않으며, 여권론적 실천에 접근하려는 세 가지 경향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 최근 경향은 상호관심, 비판적 의식, 정치적 ∙ 문화적 맥락이라는 조건하에서 여러 가지 상호작용에 대


한 가정을 수립하고 적용하는 방법론과 기술들인 강점접근과 역량강화접근을 발전시키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는 여성복지는 여성의 경험과 관점을 중심에 두고 문제를 재분석하며 모든 사회
법과 제도, 정책을 재검토하고 여성중심의 새로운 목표, 새로운 방법,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실천이어
야 하며, 여성들이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마음의 평화와 삶의 활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직접적으로 관
심을 갖는 사회복지서비스나 정책을 포함한 적극적인 변화에 대한 노력까지 포괄함을 의미한다.

2. 여성복지의 사회적 배경
-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여성개발원에서 여성복지에 대하여 “여성이 국가나 사회로부터 인간의 존엄성
과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동등하게 보장받음으로써 여성의 건강, 재산, 행복의 조건들이 만족스러
워지는 상태를 의미하며 동시에 가부장적 가치관과 이에 기초를 둔 법, 기타 사회제도를 개선하는 것
등으로 여성의 인간다운 삶을 실현하기 위한 모든 실천적 노력을 포함하는 개념”이라는 정의를 시작으
로 사회 전체가 모든 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해야 한다는 점에는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
고 하겠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90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이렇게 여성정책이 확장되는 변화 속에서 여러 차례에 걸친 가족법 개정, 남녀고용평등법과 여성발전기


본법 및 남녀차별금지법의 제정, 여성을 우대하는 이른바 적극적 조치의 부분적인 도입, 여성가족부 설
치 등의 가시적인 성과를 이루어낼 수 있었다.
- 그러나 이러한 외형적 법제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의 곳곳에 뿌리 깊은 가부장적 관행과 의식
들로 여성은 우리 사회에서 인간으로서나 주체로서가 아니라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전통적 성역할
을 요구받고 있다.
- 우리나라의 여성복지정책은 국제적 관계 속에서 발전한 측면이 많다. 유엔이 1975년 ‘세계 여성의 해’
로 공표하고 이후 10년간을 여성을 포함시키는 ‘발전에의 여성개발(WID: Women in Development = 여
성을 경제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미활용된 자원으로 보는 것을 기본 원리로 삼고 있다)이었다.
- 우리나라 역시 유엔 세계 여성의 해 10주년을 앞두고, 여성발전정책을 추구할 수밖에 없었으며 1984년
유엔여성차별철폐협약 가입국이 되면서 구체화되어 요보호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던 극히 제한적인 부녀
복지정책에서 벗어나기 시작하였다. 1983년 국가적인 차원에서 여성문제와 정책을 담당할 한국여성개발
원을 설립하였고,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여성정책심의위원회를 설치하여, 그 결과 <여성백서>,
<여성발전기본계획>과 <남녀차별개선지침>과 같은 정책 관련 문서가 처음으로 간행되었다.
- 1987년 11월 30일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정책은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보호’중심에서 ‘평
등’으로 확대되었다. 즉, 유엔 여성발전전략으로 본다면 비로소 ‘발전에의 여성개발(WID:
Women-in-Development)’ 단계로 들어갔다고 볼 수 있겠다.
- 우리나라 여성정책전략이 WID에서 ‘성과개발(GAD : Gender And Development)’로의 변화로 파악할
수 있는 정책은 1989년 개정된 남녀고용평등법으로 볼 수 있다. 동일노동에 대한 동일임금 규정, 성차별
분쟁에서 사용자의 책임입증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으며 차별의 정의가 새로이 추가되었다. 이로써 여성
정책은 형식적이나마 ‘보호’와 ‘평등’의 차원에서 ‘우대조치’로 한 단계 진전하게 되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91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12주차 2교시

여성문제와 여성정책

1. 여성문제의 개념

1) 여성문제의 개념
① 여성문제란 우리 사회의 조직 내에서 여성이 당연히 차지해야 하는 사회적 지위에 관한 것이며,
여성이 모든 사람과 평등한 권리를 누리면서 인간사회의 유용한 자원이 되기 위해서는 여성이 각
방면으로 자기의 능력과 재능을 어떻게 발휘해야 하는가에 관한 문제이다.
② 또한 가정과 사회에서의 남성과 여성의 불평등의 문제와 여성의 인간화를 저해하는 사회조직 내에서의
여성에 대한 억압의 문제로 압출될 수 있다.

2) 여성문제의 유형

(1) 일반여성의 문제

- 개념 : 우리 사회의 여성이라면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문제로서 사회적 참여 여부를 떠나서


가정이 여성의 일차적 삶의 터전이라는 인식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가정에의 종속과 의
존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 첫째, 가정의 종속으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유형∙무형의 폭력에 의한 피해자인 여성과 가정 내
에서의 폭력유형으로서 아내에 대한 폭력, 여성학대 등)
- 둘째, 가정에서 여성의 역할과 관련되는 문제로서 여성의 가정에의 종속∙가사 및 육아의 1차적
책임전담으로 인한 사회참여의 제한과 사회적 노동에 참여하지 않는 여성의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저하와 심리적 보상이 정당화되지 못하는 문제이다.

(2) 요보호여성의 문제
- 개념 : 요보호여성의 문제는 종속성과 의존성의 대상이 되는 가정과 남성의 부재 내지 부조화
에서 비롯된 것.
- 이들 여성의 문제에 대한 원인이 남성위주의 여성차별적 사회구조에서 남성의 부재로 빚어지는
문제라는 상황 – 생존을 위한 자원접근의 장애 – 이라고 보면 이들에 대한 대책으로서 사회복
지 측면의 지원의 준비가 요청된다. 사회적으로 특수한 문제를 가진 것으로 인식되는 여성으로
서 이들의 문제는 환경부적응, 욕구불만, 불안 등 여성 자신의 개인적 결함으로 발생하는 문제
에 봉착해 있는 사람들이다.
- 사회적 측면의 여성문제는 가정 내에 문제가 있으나 사회로부터 도움이 적절치 않은 상황 또는
문제가 잇는 사회로부터의 영향 때문에 가정 자체로서는 그 안정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는 경우가 그 주 대상이 된다
- 이들이 갖는 문제들은 일시적∙장기적으로 가정과 사회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개인과 가정에게
치명적일 수도 잇고 또 다른 문제의 유발요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심각성을 띠고 있는 것이다.

(3) 여성정책과 여성복지정책


- 개념 : 여성정책이란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여성의 지위와 권익을 향상시켜 남녀가 평등한 사
회를 이루려는 포괄적인 국가의 정책이며, 소극적으로는 이에 장애가 되는 모든 요소를
제거하는 정책이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92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우리나라에서는 여성발전기본법에서 여성정책을 남녀평등의 촉진,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및 복


지 증진에 관한 대통령이 정하는 정책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 여성복지정책 : 사회복지 정책 가운데 여성을 그 대상으로 하는 정책이며 여성의 욕구를 충족
시키고 여성문제를 해결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국가적 시책이라고 할 수 있다.

- 여성정책의 기본목표
① 여성의 지위 향상
② 사회참여 확대
③ 여성복지 증진

- 이 세 범주는 상호 배타적인 것은 아니며 어디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 하나의


기준이 될 뿐이다. 그러나 사회복지 측면에서는 이 세 범주 중 여성복지 증진을 목표로 하는
시책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따라서 여성복지정책은 전체 여성의 보다 인간다운 삶의 조건을
형성하기 위한 정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자는 보건 의료, 교육, 문화, 노동 등에서의 복지수
준의 향상이 정책의 과제이며, 후자는 특별한 보호를 필요로 하는 저소득 여성, 모자가정, 성폭
력 및 가정폭력피해여성, 미혼모, 성매매여성, 가출여성 등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사회복지서비
스가 여기에 해당한다.
- 여성복지의 증진 과제는 여성이 처한 근본적인 장애적 요소를 불식하고 여성문제가 직접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가정과 사회를 변화시키며 여성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가 시급히 요청되고 있는
취약여성의 당면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이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93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12주차 3교시

여성복지의 대상과 서비스

1. 모자가정

1) 모자가정의 개념
- 모자가정 : 일반적으로 사별 ∙ 이혼 ∙ 유기 ∙ 별거 ∙ 미혼모 및 기타 사유에 의해 남편이 결손된 상태에
서 편모와 18세 미만의 아동이 함께 살고 있는 가구.
- 모자가정을 여성가구가족, 여성세대주가족, 미망인가구 등과 혼용하기도 하는데 이들은 서로 중복되는
면도 있지만 반드시 일치되는 개념은 아니다.
- 국가의 경제적 지원을 필요로 하는 모자가정은 저소득층 모자가정, 영세모자세대, 빈곤모자가정, 요보호
모자세대 등 다양한 개념과 용어과 혼용되고 있다.
- 모자가정은 그들이 갖는 특수한 생활상의 곤란한 문제가 여성복지의 주요한 관심대상이 되어왔는데 이
를 사회복지 측면에서 보면 어머니에 대한 여성복지의 의의와 함께 자녀에 대한 아동복지의 의의를 동
시에 갖고 있다.

2) 모자가정의 특성과 문제
- 모자가정의 특성 : 모자가정의 편모는 통상적인 어머니와 가정주부로서의 역할 외에도 경제적 가장 및
일반적인 아버지가 수행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역할까지 담당해야 하며, 배우자의 부
재로 인한 정서적 문제, 생계유지를 위한 생업활동, 자녀양육 등의 복합적인 문제에
봉착하고 있다.
- 모자가정의 문제
① 가장 큰 어려움은 가족부양을 맡았던 부의 상실로 인하여 소득이 감소됨으로써 생기는 경제적 문제이다.
② 부의 부재에 따른 자녀양육과 교육문제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③ 부의 상실로 인한 충격으로 가정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관계망의 축소와 그에 따른 사회적 지원의 감소
④ 사회활동의 위축
⑤ 가족 구조상의 기능적 결함에서 오는 좌절감, 실패감, 죄책감 등의 심리∙사회적 문제

3) 모자복지서비스
- 모자가정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모∙부자복지법, 아동복지법 등에 근거하여 모자
가정의 가족해체를 미연에 방지하고 이들에게 자립기반을 조성하여 건강하고 문화적인 생활을 유지토록
하기 위해 생계 급여, 자립기반 조성, 시설보호가 이루어지고 있다.
- 특히 요보호 모자세대에 대한 모∙부자복지법상의 급여내용은 아동양육, 아동교육지원비, 직업훈련비 및
훈련기간 중 생계비, 아동양육비 등의 지급과 모자가정의 모와 아동에 대한 직업훈련과 취업알선, 모자
복지시설에의 보호 등이다.
- 모자가정에 대한 사회복지 서비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먼저 그들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파악하여 적절한
원조가 이루어지도록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2. 미혼모
1) 미혼모의 개념

- 미혼모 : 법적으로 결혼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기를 임신했거나 분만한 여성을 말함. 그 중에는 이미 결
혼한 기혼자가 이혼, 별거, 과부의 상태에서 법적이 아닌 남자와의 관계에서 임신했을 경우도
있고 또 처녀가 혼전 임신한 경우도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94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미혼모문제는 미혼모를 모두 사회문제의 대상으로 삼아야 할 필요는 없다. 다만, 부정한 성행위가 사회
의 가치관이나 도덕규범을 이탈했거나 임신으로 인하여 사회적 ∙ 경제적 지위가 떨어지거나 사회에 적
응하지 못하게 되고 정서적, 교육적, 경제적 지위가 불안하여 아동양육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아동의 법
적 지위가 문제되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킬 때 사회문제의 대상이 된다.
- 우리나라에서 미혼모는 사회적 일탈자가 되고, 사회적 부적응자가 되기 쉬우며 심지어 기아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법적 가정 단위에서 이탈하여 출생한 아동은 사생아(私生兒)라는 이름으로 그 어머니
와 함께 현실적인 고통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미혼모와 그들의 사생아는 가정과 사회에서 소외될 때 그
생명은 유기되어 질병과 영양실조 상태에서 급기야는 영아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을 것이고 이런 와중
에도 살아남은 사생아는 고아라는 이름으로 시설수용보호를 받거나 다른 가정에 입양되어지게 된다.

2) 미혼모의 발생요인과 문제

- 미혼모의 발생요인
① 심리적 요인
• 심리적 요인은 여성의 성장발달과정과 관련지어 설명되고 있는데, 미혼모가 되는 것은 성장과정에
서 해결되지 못한 정서적 갈등의 표현이며 성격장애의 한 증상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성격장애로
서 충동성, 초자아, 발달의 경험, 자기배척, 성에 대한 불안 및 고독 등이 지적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 사이의 관계 장애와 가족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의 부족과 갈등, 가정의
심리적 장애요소가 함께 작용하는 것이다.

② 사회문화적 요인
• 가족기능의 약화, 성윤리의 변화, 산업화∙도시화에 따른 사회적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미혼모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으로 어떠한 특정 요인 한 가지에 의해 미혼모가
되기보다는 개인적, 가정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미혼모가 된다고
볼 수 있다.

- 미혼모의 문제
① 임신한 아기에 대한 문제로서 분만 ∙ 양육비, 분만에 대한 불안과 공포
② 사회적 관념에 따른 가족과 사회의 비난에 대한 두려움과 수치심
③ 학업에 대한 증오와 적개심으로 사회에 대한 반항 ∙ 자학적 태도
④ 사회적 관계와 경제적 수단의 상실에서 오는 사회적 지위와 기회의 박탈
⑤ 사회적응의 문제 등 심리적, 정서적, 경제적, 신체적 문제로 복합적 성격을 가진다.

3) 미혼모 서비스
- 미혼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방법은 미혼모 발생의 사전 예방을 위한 조치와 사후 치료적 차원의
프로그램으로 대별할 수 있다.
- 미혼모 발생의 근절책은 기대할 수 없지만 문제발생의 원인에 따른 개인, 가정, 사회에 대한 상담서비
스, 결손가정, 빈곤가정에 대한 지원의 확대를 통한 가정생활의 안정을 도모하고 학교, 기업체 등 미혼
여성이 집단적으로 생활하는 집단에 대해 성교육, 성상담을 확대하며, 청소년 유해업소의 근절, 원하지
않는 임신에 대한 합법적인 임신중절수술의 허용 등의 방법이 모색됨으로써 미혼모 발생의 예방 내지
수적 감소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 미혼모에 대한 서비스는 사회적 치료와 심리적 치료로 구분된다.
① 사회적 치료 : 수입의 유지, 주거의 제공, 산전∙산후의 진료, 직업상담 등을 통해 사회적응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서비스.
② 심리적 치료 : 대인관계의 조정, 임신과 출산에 대한 반응, 자아개념 등 임신∙출산으로 인한 전반적
인 정서문제를 다루어 자아의 분열을 막고 건전한 자아를 확립하여 자신의 문제를 해
결해나가도록 돕는 서비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95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3. 이혼여성

1) 이혼의 의미
- 이혼 : 법적으로 부부의 혼인관계가 생존 중에 해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 이혼에 대한 개념이나 인식은 사회가 발달하고 시대적인 사상이 변하면서 달라지고 있다. 특히 현대사회
는 남녀 누구나 이혼을 생각하게 되는 사회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어버렸다. 이러한 영향 등으로 이혼율
은 급속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황혼이혼’문제가 제기되고, 이혼연령도 모든 연령
층에서 나타나고 있고 그 원인도 다양해지고 있어 앞으로도 계속 증가될 전망이다.

2) 이혼 결과에 따른 문제

- 이혼모 가정이란 일반적으로 이혼으로 인해 편모와 자녀만으로 이루어진 가정을 의미한다. 이혼은 현실
적으로 겪게 되는 문제는 물론 신체적 ∙ 정신적 건강문제와 가족문제 그리고 대인관계문제를 일으킨다.
① 현실적 문제 : 이혼은 여성을 빈곤하게 하는 주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되고 있으며 경제적 자립능력
이 없는 여성의 어려움은 더욱 심각하다. 소득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이혼 그 자체
가 영향을 미친다기보다는 낮은 생활수준이 더욱더 경제적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② 신체적 ∙ 정신적 건강문제 : 이혼과정 동안의 긴장은 신체적 건강을 악화시키고 심리적 장애를 초래
할 가능성이 많다. 남편과 자녀에게 지나치게 의존적인 삶을 살던 여성은 이혼을 인생의
실패로 생각하는 경향이 높으며, 반대로 독립적인 성역할 태도를 가진 여성이 이혼하는
경우 이들은 자아상실에 대해서 어려움을 덜 느끼게 된다.

③ 가족문제 : 주로 자녀문제로 여자아동들보다 남자아동들의 반항적이고 일탈적으로 변화되기 쉽다. 이


환한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하게 될 때 어머니의 부모역할 양식은 보다 더 권위적으로 변
화하는 경향이 있다. 가족관계 측면에서 이혼 후 편모가 부모의 역할을 다하기에는 이해
와 능력이 부족하고 결과적으로 의사소통의 어려움까지도 따른다.

④ 대인관계문제 : 이혼 후 사회적 접촉망의 축소에 기인된 고립감으로 어려움을 겪게 된다.

- 이와 같이 이혼은 이혼건수나 이혼율의 문제뿐만 아니라 이혼 후의 결과나 영향이 심각성을 띠고 있으


므로 가족기능을 회복시키는 차원의 대책이 당면과제이다.

4. 가정폭력 피해여성

1) 가정폭력의 개념

- 가정폭력 : 가족구성원 중의 한 사람이 타인에게 의도적으로 적대적인 물리적 힘을 사용하거나 정신적


행위와 효과, 특히 눈에 보이는 육체적 손상을 의미함.

- 가정폭력이 다른 형태의 폭력과 다른 특색


첫째, 가정폭력은 가해자와 피해자가 서로 긴말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면에서 다른 형태의 폭력과 구분된다.
둘째, 가정폭력이 초래하는 신체적 및 감정적 해악은 일회적이 아니고 오랫동안 지속되고 반복되는 특징
을 갖는다.
셋째, 가정폭력은 피해당사자에게만 충격이 주어지기보다는 함께 사는 가족구성원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
다는 특징을 갖는다.

2) 가정폭력의 유형과 실태

- 가정폭력의 유형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96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첫째, 손과 발로 구타하거나 기구를 사용하는 구타 등 신체적인 형태


둘째, 협박이나 모욕 혹은 경제권 박탈 등 언어적 ∙ 심리적 형태
셋째, 강제적인 성행위, 가학증과 같은 성적 형태
넷째, 재산이나 기물을 파괴하는 형태
이러한 폭력들은 동시에 일어나기도 하며, 특히 신체적 폭력은 언어적 ∙ 심리적 폭력이나 학대와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고 나머지 폭력과도 상화 관련된다.

- 가정폭력의 실태
① 신체적 증상과 고통
② 자존심 손상과 수치심
③ 정서적 억압
④ 불안과 긴장
⑤ 정신 신체증 증상
⑥ 환경통제능력의 결여

3) 가정폭력 피해여성에 대한 지원체계


- 가정폭력에 대한 입법 :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의 목적 :
가정폭력을 예방하고, 가정폭력으로 인한 피해자를 보호함으로써 건전한 가정을 육성하기 위해 사회복지
차원의 대응으로 가정폭력관련상담소와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을 설치 ∙ 운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상담기관


① 가정폭력관련상담소
② 성매매피해상담소
③ 여성회관
④ 긴급전화‘1366’

- 가정폭력에 대한 사회적 개입 : 사업체계 및 경찰, 의료체계, 사회복지체계를 포함해 가정폭력문제를 전


담하는 전문기관과 쉼터가 있다.

5. 성폭력 피해여성

1) 성폭력의 개념
- 성폭력 : 동의없이 강제적으로 성적 행위를 하거나 성적 행위를 하도록 강요 ∙ 위압하는 행위 및 성행위
를 유발시키는 선정적인 언어로 유인하는 행위
- 성폭력은 강간뿐만 아니라 추행, 성적 희롱, 성기노출, 성추행과 근친상간을 포함하는 어린이 성학대, 윤
간, 아내강간, 강도강간 등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에게도 가해지는 모든 신체적, 언어적, 정신적 폭력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2) 성폭력의 실태
- 성폭력에 대한 공식 통계만으로는 성폭력 실태를 파악하기에 미흡하다, 그러나 상담기관이나 연구조사에
서 나타나는 성폭력의 실태를 종합해보면, 성폭력이 인생의 특징적 성격이며 많은 여성들이 생애 동안
다양한 형태의 성폭력을 여러 번 경험하는 것이다.
- 성폭력 피해여성은 연령이나 교육 정도, 사회 ∙ 경제적 지위 등에 관계없이 경험하고 있으며 발생장소도
인적이 드문 곳뿐만 아니라 피해자나 가해자의 집이나 숙박업소, 대중교통수단 등 다양한 곳에서 발생하
고 있다. 또한 가해자는 모르는 사림일 것이라는 통념에서 벗어나 피해자와 안면이 있거나 주변인물일
경우가 많아 성폭력이 보편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97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성폭력 피해여성의 대표적인 후유증 증상


① 불안, 두려움, 우울
② 사회적응 및 성적 기능상의 문제
③ 정신적 후유증

- 성폭력 피해여성이 경험하는 문제


① 지속적 공포와 불안, 우울증, 자아존중감의 감소 등 정서적 문제
② 모든 남성을 무서워하고 혐오하는 것은 물론 친구들과도 어울리지 못하는 대인관계의 문제
③ 가족관계도 심각하게 손상되는 문제

3) 성폭력 피해여성에 대한 지원체계


- 성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입법 : 성폭력 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 민간차원의 지원 : 여성단체 등에 의한 상담서비스 위주로 실시
- 성폭력피해자를 위한 상담기관 : 한국성폭력상담소
-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성폭력피해상담소는 성폭력피해를 신고 받거
나 이에 관한 상담에 응하는 일, 성폭력피해자로 인하여 정상적인 가정생활 및 사회생활이 어렵거나 기
타 사정으로 긴급히 보호를 필요로 하는 사람을 병원 또는 성폭력피해자보호시설은 성폭력피해자보호시
설은 성폭력피해상담, 성폭력피해자일시보호, 성폭력피해자의 신체적 ∙ 정신적 안정회복과 사회복귀를
돕는 일, 기타 성폭력피해자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일을 담당한다.

6. 성매매 피해여성

1) 성매매의 개념
- 성매매 : 불특정인을 상대로 금품 그 밖의 재산상의 이익을 수수 ∙ 약속하고 성교행위, 구강 ∙ 향문 등
신체의 일부 또는 도구를 이용한 유사성교행위를 하거나 그 상대방이 되는 것을 의미.
- 성매매 알선 등 행위 : 성매매를 알선 ∙ 권유 ∙ 유인 또는 강요하는 행위, 성매매의 장소를 제공하는 행
위, 성매매에 제공되는 사실을 알면서 자금 ∙ 토지 또는 건물을 제공하는 행위.
- 매춘의 문제
① 성매매 여성의 수적 증가 그 자체만으로도 문제
② 개인적 문제 : 성병의 감염과 신체적 학대로 인한 건강의 문제, 수입의 중간 촉매자에게 착취당하고
있는 문제
③ 사회적 문제 : 인신매매의 성행, 퇴폐문화의 심화, 성병의 만연으로 인한 국민보건의 침해, 성규범의
해이와 성도덕의 문란으로 성범죄의 증가, 성을 상품화함으로써 도덕성과 건강성을 상
실하게 되어 인간의 존엄성을 해치게 되는 문제

2) 성매매의 원인과 사회적 통제


- 성매매의 원인 : 성매매 여성의 개인 및 가족과 관련된 요인과 사회 ∙ 문화적 요인
① 성매매 여성의 개인 및 가족과 관련된 요인 : 정신적 ∙ 도덕적 타락, 정신적 ∙ 심리적 결함에 기인하
는 것이고 가정생활의 문제, 즉 문제가정, 빈곤가정, 결
손가정 등의 배경과 가정생활의 경험에서 오는 요인
② 사회 ∙ 문화적 요인 : 도시화, 성의 개방풍조, 향락추구의 사회분위기 등과 관련, 남녀 간의 불평등한
경제 ∙ 사회적 제도에도 기인.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98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성매매 행위에 대한 통제형태


① 성매매 행위를 범죄로 간주하여 형벌을 가하는 사회
② 성매매 행위의 금지입법은 제도화되어 있으나 직접 형벌을 가하지 않고 성매매에 부수되는 행위를
처벌하는 사회
③ 성매매 행위를 제도적으로 공인하여 특정 지역이나 특정 조건에 한하여 인정하고 그 이외의 성매매
행위는 금지하는 사회
④ 성매매 행위에 대하여 아무런 제도적 제약을 가하지 않는 사회

- 이와 같이 성매매 행위에 대한 각 국의 태도는 금지국(禁止國), 규제국(規制國), 폐창국(廢娼國) 등으로


구분 할 수 있는데 점차 폐창국의 수가 증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최근 들어 여성의 권리신장과
더불어 구미제국에서는 직업의 일종으로 성매매 행위를 허용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 성매매 행위를 반드시 근절해야 되는 사회문제로 보지 않고 사회의 필요악으로 보는 견해와 반드시 근


절해야 될 사회병리로 보아 규제가 필요하다는 견해가 상반되고 있다.

3) 성매매 피해여성에 대한 보호와 자립 지원


- 성매매 행위의 근절과 성매매 여성에 대한 보호와 자립 지원은 건전한 사회기풍의 진작과 국민보건의
보호 및 인권의 존중이라는 거시적 차원의 사회문제 해결에서 비롯된다.
- 우리나라는 성매매 행위에 대한 대책으로 1947년 공창제도를 폐지한 후 1961년 윤락행위 등 방지법을
제정하여 윤락행위를 금지하는 법적 제재를 가하면서 아울러 선도보호사업을 시행해왔으나 법의 실효성
문제가 제기되어 1995년 윤락행위 등 방지법의 상벌규정과 벌금액수의 강화, 징역기간의 연장을 골자로
하는 부분적인 행형강화를 통해 성매매를 통제하겠다는 입법취지를 담고 있다. 그러나 형벌권의 강화만
으로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되자 성매매 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과 성매매 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로 대체되기에 이르렀다.

- 성매매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조치의 내용


① 성매매 행위의 금지
② 성매매 행위의 유인, 권유, 강요, 장소 제공 금지
③ 성매매 행위를 한 자 또는 성매매 행위의 상대자에게 금품, 기타 재산상의 이익을 요구하거나 받거나
또는 받을 것을 약속하는 행위
이들 금지행위를 위반할 경우 벌칙규정을 두고 있다.
- 성매매 피해자를 위한 복지시설 : 일반지원시설, 청소년지원시설, 외국인여성지원시설, 자활지원센터

7. 다문화가정 여성
- 국제결혼을 통해서 여성이 다른 나라로 이주하는 현상은 개인적 선택으로 보이지만 그 내면에는 자본주
의 체계의 원리와 사회, 정부, 이를 이용해 영리를 추구하는 결혼중매업체 등 다양한 사회적 요인이 관
련되고 있다.
- 한국에서의 사회적 이수가 되고 있는 국제결혼은 많은 경우가 저개발국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저개발국
여성은 자신의 가족과 경제상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보다 나은 조건을 선택하여 결혼이주를 하는 것이
기 때문에 복합적 문제를 안고 있다. 다문화가족의 가장 큰 문제는 문화의 차이와 원활하지 못한 의사
소통이며, 이주여성에게는 귀화 전까지의 외국인 신분 등으로 한국생활에의 적응과 복지 혜택의 사각지
대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 이주 여성들이 한국에서 가정을 이뤄 이민자의 삶을
살고 있고, 한국인 2세들의 양육을 하게 되므로 다문화가족들이 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가각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99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1) 국제결혼의 현황
- 국제결혼 : 국적을 달리하는 남녀가 결혼하는 일
- 이주여성은 여성이주노동자, 여성결혼이민자, 성매매 종사 외국인 여성, 국제적 인신매매 피해 여성을
아우르는 복합 개념이므로 혼인이민자를 지칭하는 용어로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 혹
은 ‘ 결혼이민자’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 한국 사회는 국제적 지위향상, 세계화 및 외국과의 빈번한 교류,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정보공유의 확산
등으로 국내 ∙ 외 인구이동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한편, 저출산 ∙ 고령화와 혼인수급의 불균형 등으
로 외국인과 결혼하는 국제결혼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2) 다문화가족의 문제
- 이주여성인권센터(2004)에서는 ‘이주의 여성화와 국제 결혼 심포지엄’에서 국제결혼으로 유입된 이주
여성의 문제 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① 가정 폭력 – 상습적 구타
② 성적 학대와 인격모독
③ 경제적 빈곤의 문제
④ 한국 사회 적응문제
⑤ 임신 ∙ 출산의 어려움과 육아문제
⑥ 국제결혼에 대한 한국 사회의 편견과 몰이해
⑦ 신분상의 불안문제 – 체류문제

- 한국생활에서의 문제
① 의사소통의 어려움
② 문화적 차이로 인한 고충
③ 사회적 편견
④ 차별대우
⑤ 시부모의 무시나 학대
⑥ 남편의 폭력
⑦ 이로 인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적응력이 낮아지고 있다.(채옥 ∙ 홍달아기, 2006)

- 배우자의 음주문제, 친정걱정, 자녀양육문제, 경제문제,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불안(김영주 외, 2008)


- 결혼이주 남성도 역시 한국생활적응 시 경제적인 문제와 언어문제, 편견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 (노지현 ∙ 우경임, 2010)
- 결혼이민자들의 공통된 주된 문제는 언어이다. 가족관계 및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시급한 것이
의사소통인데, 특정 종교를 통해 결혼하는 여성은 집단생활을 통해 한국어를 습득할 기회를 갖는 반면,
그렇지 못할 경우 한국어 습득의 기회를 갖기 전에 임신과 출산으로 한국생활 적응기간을 갖지 못한 채
바로 가족생활을 하게 되고, 지역사회 주님으로 살아가야 하는 경우가 많아 여러 방면에서 소통의 어려
움에 직면하게 된다. 가족 간의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가족들 간의 대화를 기피하게 하는데, 의사소통은
단순히 언어만의 문제가 아니라 관계맺음을 의미하므로 곧 부부갈등이나 가족갈등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3) 다문화가족의 복지정책과 서비스


- 여성결혼이민자와 한국남성과의 국제결혼에 의해 형성된 다문화가족을 위한 정책은 현재 여성가족부가
주요 주관부처로 되어 있다.
- 다문화가족을 위한 정책은 다문화가족지원법 제12조와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강화대책
(2008.10.30.)을 추진근거로 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설치 ∙ 운영하고 있으며 앞으로 확대 ∙ 설치하여
추진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00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다문화가족지원체계는 여성가족부와 중앙관리기관(전국다문화가족사업지원단), 거점센터, 시∙군∙구 센터


의 체계를 가진다. 상위체계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을 총괄하고 센터 선정 및 운영 안을 마련하여
시 ∙ 도별 국고지원 센터 배정 및 지원, 센터관리기관과 거점센터를 지정 ∙ 관리하고 있다.
① 전국다문화가족사업지원단 :프로그램 및 매뉴얼 개발, 종사자역량강화교육, 전문인력 교육, 홍보 및
기관연계, 사업관리 등의 사업을 하며, 거점센터와 지역센터에 대한 업무
지원 및 사업연계를 도모하고 센터사업을 평가하여 적절한 운영이 이루
어지도록 제반정보를 제공지원하고 있다.
② 거점센터 : 권역별로 지정 ∙ 운영하여 방문교육지도사 양성, ∙ 관리 및 신규센터 지원 등을 원활히 하기 위
해 2008년부터 설치하였으며, 역할은 방문교육(한국어 및 아동양육지도원)지도사 교육 및 수혜자
괸리 등 여성가족부 또는 중앙관리기관이 사업지원과 관련하여 요구하는 사항 등을 수행한다.
③ 여성가족부 : ‘가족 모두가 행복한 사회, 함께하는 평등사회’를 비전으로 하면서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지원’을 강화과제로 하고 있다. 또한 ‘일과 생활이 조화롭고 여성 ∙ 청소년
∙ 가족이 건강한 사회조성’을 정책목표로 가족기능과 다양한 가족지원 측면에서 다문
화가족의 사회통합과 결혼이민자 인권보호강화 정책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를 하
고 있다. 결혼이민자 가족을 위한 정책은 2005년 이후 급속하게 증가하는 결혼이민자
의 비율만큼 빠르게 다양한 정책들을 내놓고 있다.
④ 다문화가족지원센터 : 지역사회 내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다문화가족을 적극 발굴하여 지속적인 관리
및 정보제공을 한다. 지방자치단체나 출입국관리사무소, 보건소 등 지역 내 관
련기관과 연계를 구축하여 발굴된 가족들은 센터에 회원등록을 하고 가족사업
실적관리시스템을 필수적으로 등록하게 되어 있으며, 지속적인 접촉을 하며 한
국생활 적응을 돕는다. 센터에서는 사전교육 프로그램 이수 결혼이민자에게 서
비스를 우선 제공하고, 한국어 교육, 산전∙후 건강관리, 자녀양육지원 등 단계
별로 필요한 서비스를 안내, 제공한다.

- 보건복지부의 다문화가족을 위한 지원정책은 보건의료서비스 외에 보육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다문화가족의 증가는 자녀의 증가를 의미하며, 모의 한국어능력 부족과 취업으로 인한 자녀의 보육에
대한 사회적 도움이 필요한 실정임을 고려하여 취약계층 보육대상으로 아동뿐만 아니라 아동의 가정환
경도 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서비스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 미래사회의 적응기반 구축을 위한 저액으로 다문화사회의 서로 ‘다름’을 포용하는 다문화 이해증진


프로그램을 개발 ∙ 확대 실시하고, 문화소외계층에 대한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대상에 여성결혼
이민자를 포함하고 언어 및 문화이해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01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13주차 1교시

1. 노인의 개념
- 노인에 대한 개념은 국가나 사회적 · 경제적 · 문화적 배경과 사회의 관습 · 규범 또는 그 사
회의 전통과 역사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용어의 사용에서도 법률상에서의 ‘노인’, 노인복지시설
과 노인복지기관에서는 ‘어르신’, 생활에서는 ‘연장자’와 같이 각각 차이를 보인다. 연구분야
역시 노년학, 노인의학, 노인복지학 등 다양하다.

- 노인의 정의는 크게 제도상의 정의와 통념상의 정의, 두 개로 나눌 수 있다. 제도상의 정의로 노인


관련 법률상의 정의는 노인을 「고령자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 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에서는 고
령자를 55세 이상인자로, 국민연금법상에서는 노인을 60세로, 노인복지법이나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상에서는 65세 이상인 자로 규정하고 있다. 즉, 노인복지의 대상이라고 할 수 없는 노인에 대한 개
념정의는 노인복지서비스를 실천하는데 따라 다양하다.

- 제도상의 정의 중 국제노년학회의 정의는, 1951년 제2회 국제노년학회에서는 노인의 개념을 ‘인


간의 노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 심리적 · 환경적 변화와 행동의 변화가 상호작용하는 복
합형태의 과정에 있는 사람’이라고 개념을 규정하였다. 또한, 비버(M. Beaver, 1983)는 노화(aging)
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기체의 세포, 조직, 기관조직 또는 유기체 전체에 일어나는 점진적인
변화’라고 정의했다. 브린(L. Breen, 1960)의 견해에 따르면 노인이란 ‘생리적 · 육체적으로 변
화기에 있는 사람, 심리적인 면에서 정신기능과 개성의 기능이 감퇴되고 있는 사람, 그리고 사회적
변화에 따라서 사회적 관계가 과거에 속해 있는 사람, 즉 지위와 역할이 상실되어가는 사람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 제도상의 정의 중 노년학자들의 정의로 노화를 두 가지 개념으로 정의한 오토 폴락(O. Pollak,


1948)은 물리적 · 기계적인 시간의 측정에 의하면 연령이 몇 세 이상인 자로 규정하는 소위 시간
적 연력(年歷)의 방법과 심신의 기능변화에 따라 노화현상이 어느 단계까지 이른 것을 노령으로 간
주하는 실제적이 방법인 소위 생활연령에 이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노년기는 초로
기 · 노화기 · 노쇠기로 나눌 수 있으나 개인차가 크고, 기능이나 기관의 감퇴는 반드시 일정하
지 않으므로 분명하게 연령적으로 구분하기는 곤란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노년기에 이르면 신체
적 · 심리적 · 사회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되고, 이로 인해 인생살이 전반에 걸쳐 부적응
내지는 부조화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즉, 노인의 ‘생리적 및 신체적 기능의 퇴화와 더불
어 심리적인 변화가 일어나서 개인의 자기유지 기능과 사회적 역할기능이 약화되고 있는 사람’이
라고 노화의 복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추상적으로 정의할 수 잇다(최성재 · 장인협, 2010).

- 노년기의 연령기준에 따른 정의는 오래전부터 논의해왔지만 아직도 정확히 규정하기란 어려움이


많다. 그 이유는 첫째, 사람이 나이를 먹어 간다는 것은 흔히 생각하는 생물학적인 퇴화만을 의미
하지 않고 오히려 심리적 및 사회적 여러 가지 요인과 관련하여 나타난다. 인간의 생물학적 과정
과 더불어 그 시대의 사회 · 문화 · 정치 · 경제 등 여러 요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이
다. 둘째, 한 개인의 노화과정은 정신연령과 생리적 연령이 개인에 따라 다를 뿐만 아니라 역연령
(曆年齡)과 생리적 연령이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노인이라는 선을 몇 세부터 그을 수 있는지는
더욱 어려운 일이다. 일반적으로 노년학자들은 노인을 정의하는 데에 ‘늙음자체’, ‘역연령(曆年
齡)’, ‘사회적 역할, ’늙음에 대한 자각(老性自覺)의 관점‘등을 준거로 삼고 있다.

- 종합해 보면, 노인이란 늙어감이 상당히 진행된 사람이라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늙어
간다’는 말은 반드시 ‘쇠퇴해간다’는 뜻이 아니라 ‘성숙해간다’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02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인간의 육체는 나이 먹어감에 따라 누구나 쇠퇴해간다. 인간의 정신역시 연륜과 함께 완숙(完熟)으


로 나아갈 수도 있음을 인지하고 노인을 대할 때 이러한 양 측면을 동시에 보아야 한다.

- 노인에 대한 통념상의 정의로는 스스로의 자각(self-awareness)에 의한 노인이 있다. 개인 스스로 주


관적으로 판단하여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을 노인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성자각
은 신체적 증후와 정신적 · 사회적 경험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데 대부분의 노인들의 경우 노성을
자각하고 현실로 받아들이는 데는 심리적 저항을 갖는다. 이러한 스스로의 자각에 의한 노인정의
는 노화의 생물학적 · 사회적 및 심리적 측면을 어느 정도 내포하고 있지만 개인의 주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객관성이 크게 결여된다. 따라서 보편적으로 사용하기는 어려운 정의이다.

- 1951년 7월 미국에서 열린 국제노년학회에서는 “노인이란 인간의 노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 심리적 · 환경적 행동의 변화가 상호작용하는 복합형태의 과정이다”라고 정의하고, 이를 세
분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① 환경변화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는 자체 조직에서 결함을 가진 사람
② 생활 자체가 자신을 통합하려는 능력이 감퇴되어가는 시기에 있는 사람
③ 인체의 기관, 조직기능 등에 감퇴현상이 일어나는 시기에 있는 사람
④ 삶 자체에서 적응이 정신적으로 결손되어가는 사람
⑤ 인체의 조직 및 기능의 소모로 적응 감퇴상태에 있는 사람

- 달력상의 일정한 연령(60세 또는 65세 등)에 도달한 사람을 노인으로 규정하여 현재는 일반적으로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같은 정의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노화의 개인
간의 차이뿐 아니라 개인 내의 차이를 무시하고, 이로 인하여 노인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갖
게 만드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Butler, 1975). Neugarten(1974)은 65세 이상을 동일한 노인집단으로
취급함으로써 노인의 개인적 사회적 특성이 무시되는 점을 감안하여, 미국 노인들을 55~74세까지
를 연소노인(young-old), 75세 이상을 고령노인(old-old)으로 구분하였다. Brody(1977)는 60~64를 연소
노인(young-old), 65~74를 중고령 노인(middle-old), 75세 이상을 고령노인(old-old)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구분은 평균수명이 크게 연장되고 있는 현실에서 매우 유용한 노인의 정의라고 할 수 있으
며, 모든 노인을 65세를 기준으로 동일하게 취급함으로써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

- 다른 기준으로는 심신의 노화로 인해서 사회활동을 할 수 없는, 사회적 역할상실에 의한 사람을


노인으로 보자는 견해이다. 오오미치 안지로(大道安 次郎, 1970)는 근대사회에서 노인의 위치는 사
회적 활동 여부에 따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현대 산업사회에서 노인의 연령선은 정년제에
서 찾아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일어한 정의는 노인의 역할을 사회적 역할이란 측면에서만 보았
고,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분명치 못한 사람이나 그러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 있
는 사람에게는 적용되기 힘든 정의이다. 또한, 서구와 우리나라의 연금수급연령, 은퇴연령과 같은
차이를 극복하기 힘들고, 이 정의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55~58세에 퇴직 하는 것을 생각
하면 사실상 많은 사람들이 사회적 노인이 되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 역연령에 의한 노인의 규정은 개인 간의 차이가 무시되는 단점이 있다. 산업노년학은 역연령의 단점


에 반(反)한 기능적 연령은 어떤 일을 수행하는 데 개인의 특수한 신체적 및 심리적 영역의 기능 정
도에 의해 노인을 규정하는 것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정의는 개인 및 개인 간의 노화의 특
성이 다름을 감안한 장점이 있으나 실제로 이러한 기능을 판단할 수 있는 의학적 및 기타 행동적
판단기준이 복잡하고 이러한 판단에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쉽게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 일본의 야마다(山田博)는 기능적 연령을 여러 가지의 체력 검사와 지능검사를 통해 측정하여 역연


령과 기능적 연령과의 차이를 <표 12-1>에서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03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표 12-1> 역연령과 기능적 연랑의 차(세)


역연령 기능적 연령 차
25 23~27 4
35 31~39 8
45 39~51 12
55 48~62 14
65 57~73 16
75 66~84 18

출처 : 이해영(2010).

- 기능적으로 본인의 역연령보다 젊을 수도 있고 늙을 수도 있어 역연령에 의한 기능의 판단은 오차


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능연령의 측정방법의 편의성만 잘 개발된다면 노인을 역연령이
아닌 기능연령으로 판단하여 보다 공평하게 개인차를 인정하게 되어 사회적으로 유익한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노화에 관련된 이론
- 노화와 관련된 한 개인의 사회적 적응과정이나 이에 대한 사회의 반응과 대응이라는 사회적 현상
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어떠한 이론도 노화와 관련된 사회현상을 총체적으로 설명하는 데는 한
계가 있다. 각각의 이론적 관점에서 본 노인문제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권중돈, 2004).
이론 주요 내용
• 노년기에는 신체 및 환경적 제한이 따르고 중요한 역할의 상실을 경험하지만 중·장
년기처럼 지위에 따르는 역할이나 다양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긍정적 자
활동이론 아개념을 유지하고 성공적으로 노화에 적응 할 수 있음
• 중년기까지의 활동과 역할의 축소를 강요받아 사회적으로 분리될 경우 노인들은 문제
를 경험함
• 노인이 자발적으로 사회에서 분리됨으로ㅆ 사회는 유능한 젊은이들이 일할 기회를 제
공할 여지를 마련하게 되고, 노인은 편안히 쉬면서 죽음을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갖
분리이론 는 것이 바람직함
• 노년기에는 사회적 교류와 활동범위를 축소하고, 개인이나 사회를 위해 노인이 사회
로부터 분리되고, 사회 역시 노인을 사회에서 분리시키는 것이 타당함
• 인간은 성인기 이후에 자아 이미지, 성격이나 생활습관 등이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며
노년기에도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생활함
지속이론
• 노년기에 자신의 고유한 생활습관과 성격, 행동유형을 유지하는 것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킴
• 개인이 노화에 얼마나 잘 적응하는가는 노년기의 역할변화를 어느 정도 수용하는가에
의해 결정됨
역할이론
• 노년기에 상실되는 역할은 많은 반면 새로운 역할을 얻지 못하거나 역할의 불확실성
등으로 인하여 사회적 정체감과 자아 존중감의 혼란이 초래됨
• 노년기에는 배우자 상실, 퇴직 등으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지만 이에 대처
스트레스 할 수 있는 자원이 부족하여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짐
이론 • 동일한 스트레스라고 하더라도 개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과 대처자원, 사회적 지
지수준에 따라 스트레스의 결과는 달라지게 됨
• 노인들의 삶은 그 시대의 문화가 요구하는 연령규범의 영향을 받게 됨
생활과정
이론 • 노년기의 연령규범과 사회화 기준이 불명확하여, 많은 노인들이 성공적인 노화와 만
족스러운 노년기 삶에 대한 인식의 혼란을 경험함
• 사회의 현대화(보건기술 발전, 생산기술의 변화, 도시화, 교육의 대중화) 수준과 반비
현대화
례하여 노인의 지위가 하락됨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04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이론 • 노인지위의 하락에 반비례하여 노인문제가 발생함


• 의술의 발달로 노인들의 활동능력은 증가하였지만 경제제도하에서는 노인을 은퇴시키
구조지체 며, 사회복지제도에 있어서도 노인의 욕구에 맞추어 적절한 서비스를 개발하여 시행
이론 하지 못하는 등 사회제도가 노인드르이 욕구와 현실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지체
되어 있음
• 사회가 노인들을 비생산적이고 쓸모없는 존재로 규정하면, 노인들은 이러한 사회적
낙인이론
규범과 낙인에 맞추어 스스로 행동하려는 경향이 있음
• 노인이 부적잘한 행동에 비해 비판을 받게 되면 의존적 존재가 되지만, 장점과 능력
을 인정받으면 자율적 존재가 되는데, 일반적으로 사회가 노인을 부정적으로 인식함
사회와해
에 따라 노년기와 사회적 관계와 사회참여가 위축됨
이론
• 사회가 노인에게 은퇴를 강요하게 되면 노인은 자신감 상실과 정서적 불안 등으로 부
적절한 행동을 하고 의존적 존재가 되어 문제를 경험함
• 사회의 차별, 노인들 간의 신념과 관심사의 유사성 등으로 노인들은 집단 특유의 규
하위문화 범과 가치를 창조해냄으로써 집단 정체감과 하위문화를 형성함
이론 • 노인세대의 하위문화가 다른 세대와의 갈등, 분화를 통하여 집단 내 결속력을 높이고
더 많은 권력을 얻지 못한 결과, 노인들은 문제를 경험함
• 사회가 경제적 계급에 의해 계층화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청년, 중년, 노년으로 연령에
따라 계층화됨
연령계층화 • 서로 다른 연령계층으로 구성된 사회에서 노인은 이전까지 누리던 역할과 권력 등이
이론 약화되면서 배분과정에서 소외되어감
• 노화에 따른 권력의 약화, 사회배분구조에서의 소외로 인하여 노인은 세대 간 차이를
느끼고 낮은 서열로 밀려나게 됨으로써 문제를 경험함
•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에 존재하는 정치적 불평등에 의해 제3세계 노인들의 지위
사회체졔 와 삶의 질적 수준이 저하됨
이론 • 중심국가(선진국)의 주변국가(개발도상국)에 대한 경제적 지배나 착취가 개발도상국
노인의 문제를 야기함
• 사회의 정치경제적 제도 속에서 노인은 다양한 기회가 축소되거나 상실한 존재임
정치경제
• 사회정책과 조직, 집단권익옹호행동에서 노인의 기회를 박탈하고 의존성을 조장함으
이론
로 사회경제적으로 열악한 상태에 이르게 됨
• 노인은 재산소유 및 통제권의 약화, 지식의 낙후성, 가족의 유대관계 약화 등으로 인
교환이론 해 노인의 교환자원이 점차 악화되고, 노인의 가치가 저하됨에 따라 교환관계에서 열
등한 지위에 처하게 되고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소외됨

3. 노인문제
- 노인문제는 개인적인 문제와 사회적인 문제로 대별할 수 있다. 개인적인 노인문제는 개인이나 가
족잘못으로 일어나는 자고차원의 문제로, 어느 특정한 개인에게 일어나는 문제이다. 사회적인 노인
문제는 사회 제도나 변화로 인해 일어나는 문제를 말한다.

- 노인문제는 다양하고 복잡하지만 크게 4가지로 묶어 말할 수 있다.


• 첫째, 소득이 부족하거나 없어서 생계유지가 어려워 인간다운 생활율 향유하기 어려운 것(경제적
문제)
• 둘째, 질병이 생기거나 사고를 당해 치료를 제대로 받을 수 없거나, 질병이나 장애로 인하여 다
른 사람으로부터 수발을 받아야 하지만 이를 제대로 받을 수 없는 것(건강보호문제)
• 셋째, 가정이나 사회에서 뚜렷이 할 일이 없고 무료하게 시간을 보내는 것(역할상실과 여가활동
문제)
• 넷째, 가정과 사회에서 심리적으로 소외되고 고독감을 느끼게 되는 것(심리적 소외와 고독문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05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이러한 노인문제는 노인의 욕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노년기의 특성과 관련하여 노인들의 사회
적 욕구를 살펴보면 소득 및 경제적 안정의 욕구, 고용 및 직업적 기회에 대한 욕구, 안정된 주거
환경에 대한 욕구, 신체 및 정신건강의 유지, 자립적 일상생활, 치료와 요양 등 건강에 대한 욕구,
여가 및 문화활동에 대한 욕구, 사회적 관계의 유지와 사회참여에 대한 욕구, 지식, 교육 및 훈련
기회에 대한 욕구, 차별, 학대 등으로 자유로울 수 있는 기본적 권리 보장에 대한 욕구, 인생의 통
합과 죽음에 대한 대처 등과 같은 초월적 욕구들로 대표되고 있다.

- 다양한 노인복지대책을 통해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펼쳐나갈 때 국제적인 동향


도 고려해야 한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는 2002년 제2차 세계노인대회를 맞이
하여 ‘활기찬 노후(Active Ageing)’라는 정책기틀을 발표했다.

※ 활기찬 노후
• 구체적으로 노화과정에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건강, 참여, 안전을 위한 기회를 최대화하
는 과정. 노인들이 그들의 욕구에 따라 사회에 참여하며 생애주기를 통한 신체적, 정신적, 그
리고 사회적인 안녕을 위해 그들의 잠재력을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
• 활기찬 노후 접근법은 노인의 인권과 UN의 노인의 5가지 원칙 – 독립, 참여, 보호, 자아실현과
존엄성-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는 과거 정책이 노인의 욕구 중심의 전략에서 노인의 권리를
기본으로 하는 전략으로의 큰 변화를 의미한다. 또한, 만성질환으로 인한 신체기능의 제한이
없는 ‘건강한 삶의 여명(Healthy Life Expectancy)’개념을 사용하여 건강한 삶을 강조하고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06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13주차 2교시

1. 노인인구의 변화
- 인구의 고령화는 전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현상이다. 우리나라 국민 수명은 사회 · 경제발전에 따
른 국민 생활수준의 향상과 보건의료수준의 향상으로 꾸준한 증가를 보여왔다.
<표 12-2> 연령계층별 인구 (단위 : 천명, %)

구분 1990 2000 2010 2016 2020 2030


총인구 42,870 47,008 49,410 50,802 51,435 52,159
0~14세 10,974 9,911 7,975 6,899 6,788 6,575
15~64세 29,701 33,702 35,983 37,039 36,563 32,893
65세이상 2,195 3,395 5,452 6,864 8,084 12,691
구성비 100 100 100 100 100 100
0~14세 25.6 21.1 16.1 13.6 13.2 12.6
15~64세 69.3 71.7 72.8 72.9 71.1 63.1
65세이상 5.1 7.2 11 13.5 15.7 24.3
출처: 통계청(2011.12), 장래인구추계

<표 12-3> 기대수명의 추이 (단위 : 세)

구분 1970 1980 1990 2000 2005 2010 2012 2014


평균 61.93 65.69 71.28 76.02 78.63 80.79 81.44 82.4
남 58.67 61.78 67.29 72.25 75.14 77.2 77.95 78.99
여 65.57 70.04 75.51 79.6 81.89 84.07 84.64 85.48
출처: 통계청(2016), 생명표

- 노인인구의 증가는 생산가능한 인구가 부양해야 할 노인인구의 상승을 의미


- 또한, 장기적 요양보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이 점차 늘어나게 됨을 의미
- 반면, 저출산율로 인한 연소인구의 감소는 미래의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로 연결
- 노인부양에 따른 노동자들의 사회적 부담 증가
- 고령화, 노인인구 수의 증가 → 성별 인구 수의 불균형, 혼인상태의 차이, 동거가족 형태의 다양화 등과 결부되어
노인 문제 유발 요인

2. 노인복지를 위한 국제적 노력

1) 노인을 위한 유엔원칙
- 1991년 12월 16일 유엔총회(결의:1991.4.6.)에서 채택
① 양성평등(Gender equality)의 원칙
• 연령차별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차별을 철폐한다
• 노인 여성과 남성의 욕구와 경험을 고려하기 위하여 모든 정책과 사업에서 양성평등적 시각
을 주류화 할 필요가 있다.
② 자립(Independence)의 원칙
• 소득, 가족과 지역사회의 지원 및 자조를 통하여 적절한 식량, 물, 주거, 의복 및 건강보호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거나, 다른 소득을 얻을 수 있는 기회에 접근 할 수 있어야 한
다.
• 직장에서 언제 어게 그만둘 것인지에 대한 결정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07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적절한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 개인의 선호와 변화하는 능력에 맞추어 안전하고 적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 살 수 있어야 한다.
• 가능한 오랫동안 가정에서 살 수 있어야 한다.

③ 참여(Participation)의 원칙
• 사회에 통합되어야 하며, 그들의 복지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정책의 형성과 이행에 적극적
으로 참여하고, 그들의 지식과 기술을 젊은 세대와 함께 공유하여야 한다.
• 지역사회 봉사를 위한 기회를 찾고 개발하여야 하며, 그들의 흥미와 능력에 알맞은 자원봉
사자로서 봉사할 수 있어야 한다.
• 노인들을 위한 사회운동과 단체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④ 보호(Care)의 원칙
• 각 사회의 문화적 가치체계에 따라 가족과 지역사회의 보살핌과 보호를 받아야 한다.
•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안녕의 최적 수준을 유지하거나 되찾도록 도와주고 질병을 예방하거
나 그 시작을 지연시키는 건강보호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 그들의 자율과 보호를 고양시키는 사회적, 법률적인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 인간적이고 안전한 환경에서 보호, 재활, 사회적, 정신적 격려를 제공하는 적정수준의 시설
보호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 그들이 보호시설이나 치료시설에서 거주할 때도 그들의 존엄, 신념, 욕구와 사생활을 존중받
으며, 자신들의 건강보호와 삶의 질을 결정하는 권리도 존중받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의 권
리와 기본적인 자유를 향유할 수 있어야 한다.

⑤ 자아실현(Self-fulfillment)의 원칙
• 자신들의 잠재력을 완전히 개발하기 위한 기회를 추구하여야 한다.
• 사회의 교육적, 문화적, 정신적 그리고 여가에 관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⑥ 존엄성(Dignity)의 원칙
• 존엄과 안전 속에서 살 수 있어야 하며, 착취와 육체적, 정신적 학대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
• 나이, 성별, 인종이나 민족적인 배경, 장애나 여타 지위에 상관없이 공정하게 대우받아야 하
며, 그들의 경제적인 기여와 관계없이 평가되어야 한다.

2) 고령화 관련 국제행동계획
- 고령화와 관련된 정책의 형성과 집행은 각 국가의 주권적인 권리와 척도
- 해당 국가의 특수한 수요와 목적에 근거를 두고 수행

※ 고령화 관련 국제행동계획 원칙
① 발전의 목표는 발전과정과 발전에 른 이익의 형평성 있는 분배에 있어서 전체 국민이 참여
하여 국민의 복지가 증진되어야 한다. 발전과정은 인간의 존엄성을 높이고 사회자원, 권리와
의무를 나눔에 있어서 연령계층 간 형평성을 확보되어야 한다. 개인들은 나이, 성별 혹은 신념
과 관계없이 자신들의 능력에 라 기여를 하고 자신들의 필요에 따라 대우를 받아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경제성장, 생산적인 고용, 사회정의 및 인간 연대성은 발전에 있어서 근본적
이고 없어서는 아니될 요소들이며, 문화적인 정체성의 유지와 인식도 역시 불가결한 요소이다.
② 노인들의 여러 가지 문제점은 평화, 안전, 무기경쟁의 중지, 그리고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되
었던 자원을 경제·사회적인 발전을 위하여 재배분하는 조건들하에서만 진정한 해법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③ 노인들의 발전적이고 인도주의 차원에서의 문제점들은 독재와 억압, 식민주의, 인종주의, 인종·
성·종교에 근거한 차별, 백인 우월주의, 종족말살, 외국 침략과 점령, 그리고 다른 형태의 외국
지배가 널리 퍼져있지 아니하고 인권이 존중받는 곳에서 해결책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08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④ 각 국가는 전통, 사회구조 및 문화적 가치의 맥락 아래, 인구학적인 추세와 그 변화에 대응하
여야 한다. 모든 연령계층의 사람들은 조화로운 발전을 추구함에 있어서 전통적인 요소와 혁
신적인 요소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여야 한다.
⑤ 노인들의 정신적, 문화적, 사회·경제적인 기여는 사회에 귀중한 것이며, 더욱더 인식되고 증
진되어야 한다. 노인에 대한 지출은 지속적인 투자로 간주되어야 한다.
⑥ 다양한 구조와 형태를 갖고 있는 가족은 세대를 이어가는 사회의 기본적인 단위이며, 각 국가
의 전통과 관습에 따라 유지되고, 강화되고 그리고 보호되어야 한다.
⑦ 부, 특히 지방정부, 민간단체, 개인 자원봉사자, 그리고 노인협회를 비롯한 자발적 단체들은 가
정과 지역사회에서 노인들을 위한 지원과 보호에 특히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 정부는 이
러한 종류의 자발적이 ㄴ활동을 유지하고 장려하여야 한다.
⑧ 정사회·경제적인 발전에 있어서의 중요한 목표는 연령에 따른 차별과 비자발적인 인종차별을
없애고, 세대 간 연대감과 상호지원이 장려되는 세대 간 통합이 이루어진 사회를 만드는 것이
다.
⑨ 고령화는 전 생애에 걸친 과정이며, 그렇게 인식되어야 한다. 전 인류의 노후 삶에 대한 준비
는 사회정책의 토합적인 분야가 되어야 하며, 육체적, 심리적, 문화적, 종교적, 정신적, 경제적,
건강 및 기타 요소들을 포괄하여야 한다.
⑩ 행동계획은 물질적인 측면뿐 아니라 정신적인 측면에서도 정당하고 번영된 노후를 달성하기
위하여 세계적인 사회·경제·문화 그리고 정신적인 추세의 보다 광범위한 배경하에서 고려되
어야 한다.
⑪ 고령화는 경험과 지혜의 상징인 동시에 인간들에게 드르의 신념과 열망에 따라서는 개인적인
성취에 더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⑫ 노인들은 정책에 특히 영향력이 있는 이들을 포함하여 정책들의 형성과 실해오가정의 적극적
인 참여자이어야 한다.
⑬ 정부와 민간단체 그리고 모든 관계자는 노인 중 가장 취약한 계층, 특히 여성과 농촌 출신이
많은 가난한 노인들에 대하여 특별히 책임을 져야한다.
⑭ 고령화에 대한 모든 측면에서의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3) 마드리드 고령화 국제행동계획


- 제2차 세계고령화회의를 2002년 4월, 스페인 마드리드 개최
- 마드리드 고령화국제행동계획 채택
① 모든 사람의 인권과 모든 노인들의 기본적인 자유의 완전한 실현
② 노년기의 빈곤해소 빛 노인을 위한 유엔원칙을 세우는 목표를 재확인하는 것을 포함하여 안전
한 노후 달성
③ 노인들의 소득활동과 봉사활동을 포함하여 사회의 경제·정치·사회적 생화렝 완전하고 효과
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능력 부여
④ 노인들이 단일한 동질집단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면서, 노후에 지역사회에서의 평생교육과
참여와 같은 기회제공은 물론, 전 생애를 통한 개인개발, 자이실현 빛 복지를 위한 기회제공
⑤ 개인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 및 시민적·정치적 권리의 완전한 향유와 노인에 대한
모든 형태의 폭력과 차별 철폐
⑥ 특히 성차별의 철폐를 통하여 노인의 성평등 달성
⑦ 사회개발을 위하여 가정, 세대 간의 상호의존, 연대와 호혜주의 중요성 인식
⑧ 예방적 보건의료와 재활관련 보건의료를 포함한 노인을 위한 보건의료 지원, 사회적 보호의
제공
⑨ 국제행동계획을 실제적인 행동으로 전환함에 있어 모든 수준의 정부, 시민사회, 민간분야 및
노인들 사이의 협력관계 추진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09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⑩ 특히 개도국에서 과학적 연구와 전문적 지식을 강화하고, 기술의 가능성을 고령화가 개인, 사
회, 건강 분야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도록 하는 것
⑪ 노화과정에 있는 노인의 고유한 상황과 노인들의 특수한 환경에 대한 인식 및 노인들에게 직
접 영향을 미치는 결정에 노인들이 자신들의 소리를 효과적으로 낼 수 있는 방법을 찾을 필요
성에 대한 인식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10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13주차 3교시

1. 노인복지실천과 과제

1) 노인을 위한 미시적 실천
- 노인복지실천이란 개인, 집단, 조직 및 지역사회수준에서 원조와 서비스르 제공하여 노인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려는 통합적인 노인복지 접근방법

※ 미국사회복지사협회(NASW, 1992) 노인복지의 세부적 실천 목표


① 노인의 문제해결능력, 대처능력 및 발달상의 능력 향상
② 자원, 서비스 및 기회를 제공하는 체계와 노인의 연결
③ 자원과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체계의 효과적이고 인간적인 작동
④ 사회정책의 개발과 증진
⑤ 위험에 처한 집단의 역량강화를 통한 사회경제적 정의의 증진
⑥ 전문적 지식과 기술의 개발과 검증

※ 미국사회교육협의회(CSWE, 1995)의 세부 목표
① 노인 의 사회적 기 능 유지, 회 복, 증진
② 노인 의 욕구충 족과 능력 개발에 필 요한 사회 정책, 서 비스, 자 원, 프로 그램의 계 획, 형성, 수행
③ 위험 에 직면한 노 인의 역량 강화와 사 회경제 적 정의를 증 진시키 기 위한 옹호 와 행동
④ 노인 복지와 관 련된 전문 적 지식과 기 술의 개발 과 검증

- 노인들이 처해 있는 상황이나 욕구(가정적,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 욕구 등)에 의해서 개입 방법


선정
- 사회복지사는 노인에 대한 지식, 가치, 기술을 고루 갖춘 전문가로서 자질 함양

※ 일반적인 개입기법
① 노인상담 : 회상기법, 조각기법, 문장완성기법, 심리극기법
② 긴장완화 치료
③ 생활양식의 변화 : 운동, 영양개선, 금연 및 금주
④ 인지치료 : 비합리적인 인지구조의 변화
⑤ 자기표현훈련
⑥ 시간관리 프로그램
⑦ 음악치료
⑧ 미술치료
⑨ 원예치료
⑩ 문예요법 : 독서요법, 자서전 쓰기

2) 노인학대
- 노인학대(elder abuse)는 노인 스스로 자기를 돌보지 않거나, 노인의 부양이나 수발을 담당하고 있
는 부양자가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노인에게 신체적, 정서적, 성적, 재정적인 손상을 가하거나
부양의무를 소홀히 하는 것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11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학대유형 개념 학대행위의 예시
때리기, 치기, 밀기, 차기, 화상, 신체의
신체적 학대 신체의 상해, 손상, 고통, 장애를 유발할
구속, 상처나 멍, 타박상 등을 가하는
(physical abuse) 수 있는 물리적 힘에 의한 폭력적 행위

정서적·심리적
모멸, 겁주기, 자존심에 상처 입히기, 위
학대
협, 어린애 취급하기, 의도적인 무시, 멸
(emotional, 정신적, 또는 정서적인 고통을 주는 것
시, 비웃기, 고립시키기, 감정적으로 상
psuchological
처 입히기 등
abuse)
언어적 학대 언어로 정신적인 고통을 주는 것(정서적 욕설, 모욕, 협박, 질책, 비난, 놀림, 악
(verbal abuse) 학대에 포함) 의적인 놀림 등
성적 학대 노인의 동의가 없는 모든 형태의 성적 노인의 동의 없이 옷을 벗기거나 기타
(sexual abuse) 접촉 또는 강제적 성행위를 하는 것 성적 행위를 하는 것
재산이나 돈의 악용, 훔치기, 경제적으
로 의존하기, 함부로 사용, 무단으로 사
용, 허가없이 또는 속이고 자기 명의로
재정적·물리적
자금, 재산, 자원의 불법적 사용 또는 변경하는 것, 무단으로 신용카드나 소유
학대
부당한 착취, 오용 및 필요한 생활비 등 물을 사용하는 것, 연금 등의 현금을 주
(financial/material
을 주지 않는 것 지 않거나 가로채서 사용하거나 노인
exploitation)
소유의 부동산을 무단으로 처리하는 것,
경제적으로 곤란한 노인에게 생화립, 용
돈을 주지 않는 것
일상생활에 필요한 것(식사, 약, 접촉,
목욕 등) 주지 않기, 생활자원 주지 않
적극적 기, 신체적인 수발 필요한 사람 수발 안
의도적으로 서비스나 수발을 재공하지
방임 하기, 보호가 피요한 사람 보호 안 하
않는 것, 또는 보호 의무의 거부, 불이
(active 기, 의도적으로 필요한 보건·복지·의

neglect) 료 서비스의 이용을 거부하거나 노인에
게 필요한 의치, 안경을 빼앗거나 복용
방 해야 할 약을 복용시키지 않기
임 노인 혼자 있게 하기, 고립시키기, 존재
조차 잊어버리기, 수발자의 방치 결과
소극적 신체적·정신적인 고통이나 건강악화가
비의도적으로 서비스나 수발을 제공하
방임 일어난 것
지 않는 것 또는 보호의무의 거부, 불이
(passive • 보건·복지·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

neglect)
부족으로 서비스를 이용을 하지 않아
케어가 제공되지 않은 경우도 해당함
적극적 본래 자기가 해야 할 신변의 청결, 건강 스스로 의식적으로 식사와 수분을 섭취
자기방임 관리, 가사 등을 본인이 할 수 있는 능 하지 않거나, 질병으로 인한 식사제한을
(active 력이 있어도 스스로 포기하여 하지 않 지키지 않거나, 필요한 치료와 약 복용
자 self-neglec 는 결과 심신의 건강상 문제가 생기는 을 중지한 겨로가 건강 상태가 악화된
기 t) 것 경우 등도 포함됨
방 소극적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본인의 체력·지 자신의 체력, 지식, 능력의 부족 또는
임 자기방임 식·기능 부족 또는 어떤 사정으로 인 기타의 사정으로 자시도 모르게 신변의
(passive 해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못하게 된 결 청결, 건강관리, 가사 등을 수행하지 못
self-neglec 과. 신체 및 심리적 기능에 문제가 발생 함으로써 심신의 건강상의 문제가 일어
t) 하는 것 나는 것
공공장소나 시설 등에 버리고 연락두절,
유기 비독립적인 노인을 격리하거나 방치하
집에서 내쫓기, 격리, 감금, 외부와의 교
(abandonment) 는 행위
류차단
기본인권침해 노인의 자유, 의료, 개인재산 활용, 종
노인의 기본적 인권을 침해하는 모든
(violation of 교, 투표, 존엄ㅎ한 인격체로 대우받을
행위
right) 권리를 침해하는 모든 행위
출처 : www.elderabuse.or.kr;, www.ageconcern.org.uk; www.castle.net; www.geocities.com; 권중돈(2004)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12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사회복지사는 실제 실천현장에서 노인들의 생활환경, 행동 특성, 감정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능


력 함양
- 노인학대에 대한 서비스체계 : 응급보호서비스, 의료서비스, 상담 및 교육서비스 등으로 구성
- 노인부양에 관한 사회적 지원시스템 구축
- 노인 시설의 확충과 정비
- 사회적인 재택보호체계의 정비

3) 노인복지의 실천과제
- 선진국의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노인복지정책 추구
① 건강한 노후생활
② 생산적인 노후생활
③ 통합적인 노후생활
- 우리나라는 ‘최소의 대상에게 최소의 비용으로 최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3저 복지의 속성을
지님.
- 사후중심적인 서비스를 탈피, 노인복지정책의 문제를 보완·개선하고, 노인복지 수요와 복지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국가실천전략’수립
– 부처 간의 협력체계 구축, 소요재원의 마련, 전달체계의 개선, 정부교체시 다음 정권에서의 지속
여부 등 다양한 장애요인 극복 방법 강구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13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14주차 1교시

1. 장애의 개념
① 장애의 개념은 사회적 상대성을 갖고 있으며, 그 사회의 경제·사회·문화·복지수준과 가치에
따라서 다르게 정의(이종운 외, 2011).
② 우리나라 장애인복지법 제2조 “장애인은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자.”
- 신체적 장애 : 주요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 등
- 정신적 장애 : 발달장애 또는 정신질환으로 발생하는 장애
③ 오늘날 널리 이해되고 있는 장애의 개념(협의의 개념, 광의의 개념)
- 협의의 장애 : 신체 또는 정신 기능의 저하·이상·상실 등을 지칭하는 의학적 차원의 개념
- 광의의 장애 : 협의의 장애를 포함하여 이로 인해 발생되는 능력의 저하와 사회환경과의 관계에
서 오는 장애까지 포함

2. 장애개념의 분류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른 장애분류

1) ICIDH-1

Disease/Disorder Impairment Disability Handicap


》 》 》
질환/질병 손상 능력장애 사회적 불리

① 손상(Impairment)
- 손상은 신체구조학적, 해부학적 기능 및 심리적인 구조나 기능의 일부가 상실한 상태
- 미국의학협회의 정의로는 손상은 전문가적 결정으로 이는 증후나 증상, 검사 시 소견 또는 심
리적검사에 입각해서 평가된 해부학적 또는 기능적 이상이나 의미 있는 행동상의 변화
- 손상은 평가 당시 변동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거나 진행성이 없는 영구적인 손상을 의미
- 손상의 개념에서 볼 때 장애인은 시각, 청각, 언어, 지체, 정신지체, 정서장애 등 외부로 현저하
게 나타는 비정상적인 특성을 가진 자
- WHO에서 손상에 포함되는 장애분류 : 지적 손상, 기타 정신적인 손상, 언어손상, 귀의 손상, 시
각의 손상, 내장의 손상, 골격의 손상, 기형의 손상 등 의미

② 능력장애(Disability)
- 능력장애 : 기능제약으로 인하여 나타는 능력저하로 정상적이라고 생각되는 방법이나 범위에
속하는 행동이 불가능하거나 제한되어 있는 상태로 인해 활동하는 능력의 결여 또는 제한을 가
진 상태
- 정신적·신체적 손상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의식구조 기능에 발생하는 의식장애가 신체장애
와합해진 것
- 능력장애의 개념에서 볼 때 장애인은 각 자격에서 정해진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도 포함
- WHO의 능력장애에 포함되는 장애분류 : 행동상의 장애, 의사소통장애, 개인생활보호장애, 운동
장애,신체자세장애, 순련장애, 상황적 장애, 특수 기교장애, 기타 활동장애 등 의미
③ 사회적 불리(Handicap)
- 사회적 불리 : 손상이나 능력장애로 인해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하는 데 제한을 받거나 지
장을 초래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장애인과 그를 둘러싼 주변환경과의 관계에서 발생되
는 문제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14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비장애인은 이용가능하지만 장애인은 이용할 수 없는 여러 가지 사회제도에 대한 문화적, 물리


적 또는 사회적 장벽을 의미
- 장애인이 다른 사람과 평등하게 사회생활을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거나 제약하는 것 의미

2) ICIDH-2
- 1997년 세계보건기구(WHO) 새로운 장애분류표(ICIDH-2) 제시
- 장애가 개인적인 손상에서 출발하여 고정된 개념의 능력장애나 사회적 불리로 고착된다는 잘못된
의미를 바꾸기 위해 중립적 의미의 장애 개념으로 개정
- 장애 : 손상(Impairment), 활동(Active), 참여(Participation)
- ICIDH-2의 주요한 특징은 손상을 전제로 능력장애나 사회적 장애로 발전되는 것이 아니라 환경과의 상
호적인 관계성 속에서 보다 포괄적인 장애를 규정하는 것
(환경적 요인 : 사회적 태도, 건축 장벽의 특징, 법체계 / 개인적 요인 : 성, 나이, 보건상태, 삶의 형식,
습관, 성격, 전문성, 심리적 사상이나 특성)

① 손상(Impairment)
- 신체구조나 기능 혹은 심리적·정신적 기능의 손실이나 비정상(abnormality)을 의미
- 기능의 손상 : 인간의 기본적인 정신기능, 음성, 언어, 청각 시각 및 다른 감각기능, 심장 및 호흡기
능, 소화 및 신진대사기능, 면역 및 내분비기능, 비뇨생식기능, 신경근육 및 운동기능 기타 내부 및
관련구조기능의 손상
- 구조의 손상 : 뇌, 척수 및 관련구조, 음성·언어 및 관련구조, 귀 및 청력체계의 구조, 눈 및 관
련구조, 순환계 구조 및 호흡기 체계, 면역 및 내분비체계 및 관련구조, 비뇨기체계, 성욕 및 생
식 관련구조, 운동 관련구조, 피부 및 관련구조의 손실 및 비정상

② 활동(Active)
- 활동 제한 : 개인의 기능이나 본질의 정도의 수준을 나타내며, 활동지속성이나 질의 제한을 가
진 자
- ICIDH-2 활동제한의 범위 : 시력, 청력 및 감각활동의 제한, 학습, 응용능력이나 수행능력 제한, 의사
소통 활동의 제한, 운동 활동의 제한, 이동활동의 제한, 일상생활 활동의 제한, 가정활동 및 개인 활
동의 제한, 대인관계행동의 제한, 특별한 상황에 대한 반응이나 대처의 제한, 보조기구, 재활용품 및
기타 관련용품 사용의 제한으로 규정

③ 참여(Participation)
- 손상, 활동, 건강상태와 상황적 요인과 관련된 생활상황의 참여의 정도와 본질,
- 참여의 지속성이나 질의 제한을 가진 자
- ICIDH-2에서 참여제한의 범위 : 개인적 관리에 있어 참여의 제한, 이동력 참여의 제한, 정보교환 참
여의 제한, 사회적 관계참여의 제한, 교육, 작업, 여가 및 종교참여의 제한, 경제적 참여 제한, 시민
및 지역사회 생활참여의 제한

3. 각 국의 장애 개념
국가 장애개념 관련법률

장애인은 ① 개인의 일상생활 활동 중 한 가지 이상을 현저히 제한하는 신체


적 또는 정신적 기능장애를 지닌 자,
(일상생활:자기보호, 보기, 듣기, 말하기, 걷기, 숨쉬기, 손으로 미국 장애인법
미국
하는 작업의 수행, 배우기, 일하기 등의 기능) (1990)
② 이러한 기능장애의 기록이 있는자,
③ 이러한 기능장애를 가진 것으로 *간주되는 자 등.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15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국가 장애개념 관련법률
*간주된다라는 의미는 ① 주요 일상활동을 현저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고용인
에 의해 그러한 제약을 가졌다고 취급되는 정신적
또는 신체적 기능장애를 가진 것
② 오직 기능장애에 대한 고용인의 태도의 결과로서
주요 활동을 제한하는 기능장애를 가진 것
③ 어떠한 기능장애도 갖지 않았으나 고용인에 의하여
그러한 장애를 가진 것으로 취급되는 것 등
장애는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하기 위한 개인의 능력에 지속적이고 장기적으
로 불리한 영향을 주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손상을 말한다고 정의. 여기서
손상이란 단지 정상적으로 일상생활을 하기 위한 개인의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 중의 하나에 영향을 주는 손상
을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 이동력
장애인 차별법
영국 • 손기능
(1992)
• 신체협응력
• 지속력 : 들 수 있는 능력, 일상의 사물을 이동하는 능력
• 말하고, 듣고 보는 능력
• 기억력 또는 집중력, 학습 또는 이해력
• 신체적 위험에 대한 자각력
장애인이란 신체장애, 정신박약, 또는 정신장애가 있음으로써 장기에 걸쳐 일
상생활 또는 사회생홀에 상당한 제한을 받는 자라고 정의하면서 신체장애의
종류로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및 평형기능, 지체부자유, 심장·신장·호흡기
기능장애, 음성·언어·기능장애, 직장·소장·방광기능장애, 정신박약자는 장애인 기본법
일본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정신발육이 항구적으로 지연되고 그 때문에 지적 (1994)
능력이 열등하고 자기의 신변에 대한 처리 또는 사회생활에의 적응이 현저히
곤란한 사람으로 정의하고 정신장애인이란 정신분열증, 중독성 정신병, 정신
박약, 정신병질 등의 정신질환을 가진 자로 규정되어 있다.
장애는 생업능력상실률(mDe)을 기준으로 해서 mDe가 30% 이상인 사람을 장
애인이라 하고, 50% 이상인 사람을 중증장애인이라 하며, 80% 이상인 경우
최중도장애인이라 한다. 장애유형은 크게 신체장애(시각, 청각, 지체, 언어장 사회법전
독일
애 등을 포괄함), 정신장애 그리고 정서 및 심리장애로 구분하고 잇다. 여기 (2001)
서 생업능력상실률은 모든 생활영역에서의 장애, 또는 신체적, 정신적 또는
심리적 능력의 결함으로 인한 결과에 따른 척도를 의미한다.
장애는 신체적, 지적, 심리적, 정신적, 감각적, 신경적 장애와 추형, 기형 및
장애인차별
질병을 야기하는 유기체의 존재(예:HIV바이러스)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호주 금지법
현재뿐 아니라 과거와 미래에 가질 가능성이 있거나 가진 것으로 인지되는
(1992)
장애를 포함한다.

4. 장애의 범주
- 장애의 범위 :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자폐정 장애, 정신장애, 심장장애, 호흡기장애 등
15종류 + ‘장애발생의 다양화’로 인해 2003년 7월에 5종류(호흡기장애, 간장애, 안면장애, 장루·
요루장애, 간질장애) 확대
- 1997년 공포 ⌜장애인복지발전 5개년 계획⌟에 의해 장애범주 확대
: 5개 → 199년 10개 유형 → 2003년 15개 유형으로 확대·실시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16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표 13-3>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장애범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지체장애 절단장애, 관절장애, 지체기능장애, 변형 등의 장애
뇌병변장애 중추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
외부 신체기능의 시각장애 시력장애, 시야결손장애
장애 청각장애 청력장애, 평형기능장애
언어장애 언어장애, 음성장애, 구어장애
신체적 안면장애 안면부의 추성, 함몰, 비후 등 변형으로 인한 장애
장애 신장장애 투석치료 중이거나 신장을 이식받은 경우
심장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심장기능 이상
내부기관의 간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간기능 이상
장애 호흡기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호흡기 기능 이상
장루·요루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장루·요루
간질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간질
지적장애 지능지수가 70 이하인 경우
정신분열병, 분열형 정동장애, 양극성 정동장애, 반복성
정신장애
정신적 장애 우울장애
발달(자폐성)장애 소아자폐 등 자폐성 장애

<표 13-4> 선진국의 장애범주 비교

국가 장애인구 비율(연도) 장애인 범주


• 신체장애
- 외부 신체 기능장애 :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안면장애
한국 4.59%(2005) - 내부장애 : 신장장애, 심장장애, 간장애, 호흡기장애, 장루·요루장
애, 간질장애
• 정신장애
- 지적장애, 발달(자폐성)장애, 정신장애
•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일본 4.07%(2000) • 정신지체, 정신장애
• 내부장애 : 심장, 호흡기, 신장, 방광 및 직장, 소화기능장애
• 신체장애(지체, 시각, 청각, 언어)·외형적 추형, 신경계, 근골격계, 감각
기관장애
미국 19.30%(2000)
• 정신질환, 발달장애, 정서장애, 학습장애, 알코올중독
• 내부장애 : 생식기, 소화기, 비뇨기, 피부, 혈액·내분비계, 암, AIDS
• 신체장애(지체, 시각, 청각, 언어)
• 정신지체, 학습장애, 정신장애, 정서장애, 약물·알코올 중독
스웨덴 20.6%(1987)
• 내부장애 : 폐질환, 심장질환, 알레르기, 당뇨
• 사회적 장애 : 의사소통이 어려운 외국이민자, 타인의존자
• 신체장애(지체, 시각, 청각, 언어, 안면기형)
호주 15.6%(1987) • 정신지체, 정신장애, 정서장애, 알코올중독, 약물중독
• 내부장애 : 심장, 신장, 호흡기, 당뇨, 암, AIDS 등
• 신체장애(지체, 시각, 청각, 언어, 추형)
• 정신지체, 정신질환, 정서장애
독일 10.20%(2003)
• 내부장애 : 호흡기, 심장·순환기, 소화기, 비뇨기, 신장, 생식기, 신진
대사, 혈관, 피부
출처 : 정무성·양희택·노승현(2006). 장애인복지론.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17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14주차 2교시

1. 장애인복지의 이해

1) 장애인복지의 개념
① 장애인들이 모든 생활에서 안락하고 평안함을 누릴 수 있도록 원조해 주는 총체적인 제반활동
② 세계보건기구 “의료적·사회적·교육적·직업적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사용하여 개인을 훈련시켜
개인의 기능적 능력을 가능한 한 최고의 수준으로 높이는 것”
- 장애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배제한 채 장애인의 기능습득과 사회적응을 강조한 것으로 최근의
장애인복지 흐름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정의
③ 장애인복지의 두 가지 시각
- 장애인에게 있어서 바람직한 상태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이념이나 목표라고 하는 목적 개념.이
개념의 장애인복지는 장애인의 인간의 존엄성 보장, 인간으로서 권리 회복, 재활과 정상화,
‘완전참가와 평등’같은 주요 가치 중요
- 실체 개념으로서 정책, 제도, 원조활동 등의 사회적 체계
이 개념은 다시 현행의 복지정책, 제도, 원조활동 등 협의의 장애인복지와 협의의 장애인복지에
교육, 위생, 노동 등의 관련시책을 포함하는 광의의 장애인복지로 구분하여 사용
④ 장애인복지의 이념과 목표를 바탕으로 상황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문제점을 찾아 대책을 구상함으
로써 장애인복지 실현
⑤ 장애라는 것이 신체 구조 및 기능의 손상, 인식의 문제, 활동성의 제약, 참여의 제한 등을 포함하
는 사회문화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함

2) 장애인복지의 필요성
- 장애인복지는 장애인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사회의 모든 구성원을 위한 것
① 산업화에 따른 장애유발 요인의 증대
누구든지 장애인이 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어 모든 사회구성원을 잠재적 장애인으로 볼 수 있다.
② 사회적 부담의 경감
장애의 정도를 최소화시키고 잔존능력의 개발을 통해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일익을 담당하게 함으
로써 이들을 의존적 비경제활동 인구집단에서 끌어내어 생산활동에 기여 할 수 있게 도움
③ 장애가 사회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의 최소화
복지체계에 의해 중증장애인 보호에 따를 부담을 분산, 최소화시킴으로써 장애인 자신의 복지와
주변인들의 생활 보호
④ 인간의 존엄성과 국민의 권리보장
장애인의 잠재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경제적·제도
적·문화적 환경을 개선하여 장애인이 인간으로서 존엄성과 권리를 보장

3) 장애인복지의 이념

① 인권존중
- 장애인복지의 가장 중요한 목적
- 장애인복지법 제4조 “장애인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존중받으며, 이에 상응하는 처우
를 받는다. 장애인은 국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기타 모든 분야의 활
동에 참여할 권리가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18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장애인의 인권과 존엄성 규정 : 세계인권선언(1948), 정신지체인권선언(1971), 장애인권리선언


(1975) 등
- 인간의 생존권, 생명권 보장 + 장애인 본인의 의사를 존중, 생존의 위협(이동권의 제한, 고용차별
등)이나 생명의 위협(장애아동의 유기, 방치 등)을 거부하고 인간답게 살 권리를 보장하는 것

② 평등
- 모든 사람이 풍요롭고 만족스러운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공동체 사회를 의미
- 사회구성원들의 연대와 협력을 통한 이상적 상태 의미
- 자원의 재분배를 통해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을 골고루 향상시키고자 하는 보편주의적 제도를
의미함에 있어 장애인의 평등은 장애인에 대한 처우가 정의와 공익을 바탕으로 결정될 때 이루
어짐
- UN 인권선언“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능력의 손상으로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도 비장애인과
동일한 의무와 권리가 인정되고 평등한 기회를 보장받아야 하며, 이것은 장애인복지를 위한 원
칙의 시작.”

③ 정상화
장애를 가진 사람을 장애인으로 특별 대우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대우하고, 보편적 생활을 당연히 영위할 수 있도록 사회적 조건을 정비하는 것
- 1981년 세계장애인의 해를 기점으로 확산된 자애인복지의 이념중 하나로 1959년 덴마크의 지적장
애인부모회에서 처음으로 사용하게 된 용어
- 정상화 이념의 제창자 미켈슨(Mikkelsen) “정상화는 지적 장애인이 가능한 보편에 가까운 생활을
하는 것”,“인간생활의 조건은 *¹주거조건, *²일과,*³여가”
*¹주거조건 : 시설이 아닌 가족과 함께 살도록 하는 것, 성인장애인의 경우 자립 여건 조성
*²일과 : 교육을 받을 권리가 다른 아동들과 동등하게 존중돼야 하며, 성인의 경우 능력에 맞는 노동을 할 수 있는 여건 마련
*³여가 : 타인과 똑같이 여가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기회와 권리 확보

- 정상화 : 지역사회의 다양성을 존중, 개인적 경험과 이웃과의 교류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가치 있는


역할 수행할 수 있도록 동등한 생활 보장

④ 자립생활
장애인 본인이 생활의 주역이 되어 생활의 주체자로서 자기결정권과 자기선택권을 행사하며 자신의
생활 전반에 대하여 통제권을 갖고 살아가는 것

⑤ 사회통합
더불어 사는 사회,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이 차별 없이 모든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복지사회 구현
- 장애인복지의 기본 이념 : 완전한 사회참여와 평등한 기회를 통한 장애인의 사회통합
- 기본적인 가치이념의 이유 : 첫째, 장애를 가진 사람은 누구나 인간
둘째, 어느 누구도 장애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 통합화의 과정은 장애인과 비장애인들이 모든 기회에 서로 공동·협력해갈 가능성을 위한
조건추구를 지향하는 과정

2. 장애인복지 관련법률과 시설

1) 장애인복지와 관련된 법률
① 장애인복지법
- 1981년 제정된 심신장애자복지법이 장애인복지법으로 개정
- 제1조 “장애인복지법은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과 권리보장을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의
책임을 명백히 하고, 장애발생 예방과 장애인의 의료·교육·직업재활·생활환경개선 등에 관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19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한 사업을 정하여 장애인복지대책을 종합적으로 추진하며, 장애인의 자립생활·보호 및 수당지


급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2조 제1항 장애인이란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
- 제2조 제2항 “장애의 종류 및 기준에 해당하는 신체적 장애란 주요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 내
부기관의 장애 등을 말하고, 정신적 장애란 발달장애 또는 정신질환으로 발생하는 장애를 말한
다.”
- 장애인복지법의 의의 : 장애인을 주체적으로, 재활에서 자립생활로, 지역사회통합을 유도하고
있으며, 장애인에 대한 개별 접근에서 사회적 관점에서 개정됨

②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 1977년 12월 31일 법률 제3053호로 특수교육진흥법 제정·공포
당시 우리나라 장애인 교육을 공적으로 보장하기 시작, 전국 시·도에 공립 특수학교 및 특수
학급이 설치되는 등 특수교육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는 법적 근거
- 9차례에 걸친 개정, 그 중 1994년 전면 개정에서는 통합교육 및 개별화 교육 등 새로운 교육사
조의 도입, 장애학생의 적절한 선정·배치 등 절차적 권리강화를 위한 특수교육운영위원회의
도입 등 획기적인 조치 포함
- 특수교육진흥법은 초·중등교육 중심으로 규정
- 장애 영·유아 및 장애 성인을 위한 교육지원 규정 미흡으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공포(‘07.5.25.), ’08년 5월 26일부터 시행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은 ⌜교육기본법⌟ 제18조에 따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장
애인 및 특별한 교육적 요구가 있는 사람에게 통합된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생애주기에 따라 장
애유형·장애 정도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을 실시, 이들의 자아실현과 사회통합을 하는 데 기여
하고자 함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의의 : 특수교육대상자 특성에 따라 지원, 특수교육 대상자의
확대와 세분화, 의무교육 확대에 대한

③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한 법률


- 목적 : 모든 생활영역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장애를 이유로 차별받은 사람의
권익을 효과적으로 구제함으로써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참여와 평등권 실현을 통하여 인간으로
서의 존엄과 가치를 구현
-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한 법률⌟상 차별행위(법 제4조 제1항 및 제2항)는 *¹직접차
별, *²간접차별, *³정당한 편의제공 거부에 의한 차별, *⁴광고에 의한 차별로 구분
*¹직접차별 : 장애인을 정당한 이유 없이 제한·배제·분리·거부 등 불리하게 대하는 경우
*²간접차별 : 형식상으로 공정한 기준을 적용했으나, 정당한 사유 없이 장애를 고려하지 않는 기준을 적용해 장애인에게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
*³정당한 편의제공 거부에 의한 차별
과도한 부담이나 현저히 곤란한 사정과 같은 정당한 이유 없이 장애인에 대하여 정당한 편의제공을 거부하는 경우(정당한 편의 : 장애가 없는 사
람과 동등하게 같은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편의시설·설비·도구·서비스 등 인적·물적 제반수단과 조치제공)
*⁴광고에 의한 차별 : 정당한 사유없이 장애인에 대한 제한·배제·분리·거부 등 불리한 대우를 표시·조장하는 경우,
차별의 금지영역으로 고용, 교육, 재화와 용역의 이용, 사법·행정 절차와 서비스, 모·부성권, 가족·가정복지시설 건강권으로 규정

- 장애인이 차별시 권리구제


국가인권위원회 시정권고, 조치, 시정권고 → 불이행 → 법무부 시정명령 → 불이행 → 3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 민사상 손해에 대해 손해배상청구, 벌칙으로 차별의 고의성, 지속성, 반복
성, 보복성 등 고려 3천만원 이하 또는 3년 이하 징역
-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의 의의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20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첫째, 장애인 당사자주의에 입각한 입법 및 인권패러다임으로 전환


둘째, 장애인 차별에 대한 가이드라인 및 판단기준 제시
셋째, 사회적 약자의 인권증진을 위한 입법의 모범
넷째, 국제인권협약의 국내이행에 대한 기준

④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 법률


- 1990년 1월 ‘장애인 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 제정
- 19차례의 개정
- *¹한국장애인고용공단 :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 법률⌟에 근거하여 설립된 기관
*¹한국장애인고용공단 설립 목적 : 장애인이 직업생활을 통해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
사업주의 장애인 고용을 전문적으로 지원

⑤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 제1조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이 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안전하고 편
리하게 시설 및 설비를 이용하고 정보에 접근하도록 보장함으로써 이들의 사회화동 참여와 복
지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4조 “접근권이란 장애인 등이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보장받기
위해 비장애인이 이용하는 시설과 설비를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동등하게 이용하고 비장애인
이 접근할 수 있는 정보에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 1981년 제정 ⌜심신장애자 복지법⌟ 제13조 “도로, 공원, 공공건물, 교통시설, 통신시설, 기타
공중이 이용하는 시설을 설치하는 자는 심신장애자가 이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나
설비를 갖추도록 노력해야 한다.”
- 1989년 장애인복지법 개정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 편의시설이나 설비의 기준에 미
달하는 시설이나 설비를 설치한 자에게 이의 시정할을 요구 할 수 있고, 시정하지 않으면 5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
- 1997년 4월 10일 제정, 1998년 4월 11일 시행
- 제1차 개정 1999년 1월 21일

2) 장애인복지시설
- 장애인복지시설의 유형 : 서비스 형태 기준, *¹시설중심재활 / *²지역사회중심재활
*¹시설중심재활 : 모든 재활서비스가 장애인생활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시설 장애인을 대상으로 제공(생활시설 : 장애인이 장
애인생활시설에서 필요한 기간 동안 생활하면서 재활에 필요한 상담, 치료, 훈련 등의 서비스를 받아
사회복귀를 준비하거나 장기간 요양할 수 있는 시설)
*²지역사회중심재활 : 장애인과 그 가족 및 지역사회 내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인적·물적 자원을 개발·활용하여 장애인의
기본적 문제를 해결해줌으로써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 사회통합 도모
- 지역사회중심재활 목표 : 장애인의 재활과 사회통합을 위해 지역사회 중심의 재활방법으로 접근하여 지
역사회에 정착, 확산시키는 것

① 장애인생활시설
장애인이 필요한 기간 동안 생활하면서 재활에 필요한 상담·치료·훈련 등의 서비스를 받아 사회복
귀를 준비하거나 장애로 인하여 장기간 요양하는 시설
- 장애유형별 생활시설 : 장애유형이 같거나 유사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입소 또는 통원하게 하여
그들의 장애유형에 적합한 의료·교육·직업·심리·사회 등 재활서비스와 주거서비스를 제공하
는 시설.지적장애인시설, 지체장애인시설, 청각장애인시설, 시각장애인시설 등
- 중증장애인 요양시설 : 장애의 정도가 심하여 항상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입소하게 하여 상담·치료
또는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21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장애영유아 생활시설 : 6세 미만의 장애영유아를 입소 또는 통원하게 하여 보호함과 동시에 그 재활


에 필요한 의료·교육·심리·사회 등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②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장애인을 전문적으로 상담·치료·훈련하거나 장애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참여 활동 등에 편의를 제
공하는 장애인복지관, 의료재활시설, 체육시설, 수련시설, 공동생활가정시설 등
- 장애인복지관 : 장애인에 대한 각종 상담 및 사회심리·교육·직업·의료 재활 등 장애인의 지역
사회생활에 필요한 종합적인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사업을 수행
하는 시설,
장애인의료재활시설은 장애인을 입원 또는 통원하게 하여 상담, 진단·판정, 치료 등 의료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 장애인을 주간에 일시 보호하여 장애인에게 필요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 장애인 단기보호시설 : 장애인을 일정기간 보호하여 장애인에게 필요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 스스로 사회에 적응하기 곤란한 장애인들이 장애인복지 전문 인력에 의한 지
도와 보호를 받으며 공동으로 생활하는 지역사회 내의 소규모 주거시설
- 장애인 체육시설 : 장애인의 체력증진 또는 신체기능 회복활동을 지원하고 이와 관련된 편의를
제공하는 시설
- 장애인 수련시설 : 장애인의 문화·취미·오락 활동 등을 통한 심신수련을 조장·지원하고 이와
관련된 편의를 제공하는 시설
- 장애인 심부름센터 : 이동에 상당한 제약이 있는 장애인에게 차량운행을 통한 직장 출·퇴근 및 외
출보조나 그 밖의 이동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 수화통역센터 : 의사소통에 지장이 있는 청각·언어장애인에게 수화통역 및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
는 시설
- 점자도서관 : 시각장애인에게 점자간행물 및 녹음서를 열람하게 하는 시설, 점자도서 및 녹음서 출
판시설,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간행물 및 녹음서를 출판하는 시설

③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일반 작업환경에서는 일하기 어려운 장애인이 특별히 준비된 작업환경에서 직업훈련을 받거나 직업생
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
- 장애인 보호작업장 : 직업능력이 낮은 장애인에게 직업적응능력 및 직무기능 향상훈련 등 직업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제고하고, 보호가 가능한 조건에서 근로의 기회를 제공하며, 이에 상응하는 노동의
대가로 임금을 지급하며, 장애인 근로사업장이나 그 밖의 경쟁적인 고용시장으로 옮겨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시설
- 장애인 근로사업장 : 직업능력은 있으나 이동 및 접근성이나 사회적 제약 등으로 취업이 어려운 장
애인에게 근로의 기회를 제공하고, 최저임금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며, 경쟁적인 고용시장으로 옮겨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시설

④ 장애인 유료복지시설
장애인생활시설로서 장애인에게 필요한 치료, 상담, 훈련 등 편의를 제공하고 모든 비용을 입소한 자로
부터 수납하여 운영하는 시설

⑤ 장애인 생산품판매시설
장애인복지법에 의기하여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
- 장애인 생산품의 판매활동 및 유통을 대행하고, 장애인 생산품이나 서비스·용역에 관한 상담, 홍
보, 판로개척 및 정보제공 등 마케팅을 지원하는 시설
- 전국 16개소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22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3) 장애인단체
- 장애인들에 의해 설립
- 장애인의 권익증진과 인권옹호를 위해 노력
- 장애인단체는 장애인들의 사회적인 억압에서 스스로 벗어나고자 권익옹호를 위한 자생적인 단체
- 자조적, 자주적 활동
- 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인식변화와 함께 장애인단체들의 사회참여와 평등을 위한 노력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는 역할 수행
- 장애인복지법 제63조 : 장애인단체의 보호·육성 규정
-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한국지체장애인협회, 한국농아인협회, 한국시각장애인협회, 한국지체장애인협회,
한국장애인연맹, 한국장애인부모회 등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23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 14주차 3교시

1. 장애인복지서비스

1) 재활서비스
- 재활 : 장애인에게 의료적·사회적·교육적·직업적 재훈련을 통합적·협동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장애인 스스로가 가능한 최대한의 지능회복과 잠재능력을 개발시켜 자활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NASW, 1997)

※ 재활의 목표 : 장애인이 사람으로의 기능을 최적의 수준으로 되찾아 최상 생활을 유지할 수 있게 도


와주는 것
- 첫 번째 단계 ‘장애의 예방’ : 1차 수준의 예방(산전, 산후관리, 유전상담),
2차 수준의 예방(조기발견 및 치료),
3차 수준의 예방(ADL:훈련 및 보장구 사용교육)
- 두 번째 단계 ‘기능향상’ : 손상된 신체부위의 능력증진과 손상되지 않은 신체부분의 기능적 보강과
보장구 사용, 환경적인 장애의 제거 등
- 세 번째 단계 ‘사회적통합’ : 장애인이 교육·직업·심리 등을 포함하여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
이러한 재활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장애인을 전인적인 관점에서 평가·판정하고 그 결과
에 따라 재활계획을 일관된 체계하에서 실시해야 한다. 따라서 재활 프로그램의 방향은 장애인에
대해 재활의 목표, 재활의 시기와 장소, 장애수용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① 정상화 : 장애를 가진 사람을 지역사회에서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대우, 보편적인 생활 영위할 수


있도록 사회적 조건을 정비하는 것
② 탈시설화 : 1940년대 후반, 장기간의 시설보호로 인한 시설병의 예방과 시설거주자의 삶의 질 향
상, 대규모 수용시설에 부적절하게 수용된 시설거주자를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보호하고 서
비스를 제공하기 위함
낮병원, 자조집단, 중간거주시설, 재활 프로그램 등
③ 사회통합(장애인복지의 최고의 가치와 목표)
장애인이 사회적으로도 일상생활에서 격리되지 않고 지역사회에서 생활 할 수 있도록 해야 함장
애인이 지역사회의 정상적인 가정에서 살 수 있어야 하며, 지역사회 내에서 단순히 근접해 사는
것이 아니라 그들과 동등한 교육을 받고, 동일한 직업 환경에서 일하며, 기타 다른 사회활동에 적
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함을 내포

2) 특수교육서비스
- 장애인가구 자녀교육비 지원,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서의 특수교육 실시 및 운영비 지급, 그리고
장애인을 대상으로 대학입학 시 정원 특례 입학 제도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① 제2조 제1호 “특수교육이란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및 제2호에 따른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교육”
② 제2조 제2호 “특수교육 관련서비스란 특수교육대상자에게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을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상담지원·가족지원·치료지원·보조 인력 지원·보조 공학 기기 지원·학습 보조 기
기지원·통학지원 및 정보 접근 등을 말한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24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주요 정책 방안(이종운 외, 2011)
①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의무교육 연한 확대
② 장애의 조기발견 체제 구축 및 장애영아의 무상교육
③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설치와 운영의 법적 근거 마련
④ 통합교육의 강화
⑤ 진로 및 직업교육의 강화
⑥ 장애인에 대한 고등교육의 강화 및 평생교육 지원 등 제시

3) 재활공약
장애인, 노인 등 인간을 위한 공학으로 의료적, 교육적, 사회·심리적, 직업적 재활을 원활히 수행하
고 그 재활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과학적인 지식과 기술적인 지식을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응용과학(이종운 외, 2011)

※ 재활공학의 접근방식
① 원격조작과 같은 장치를 통해 장애인들의 삶을 편리하고 윤택하게 하는 접근방법
② 의사소통기기들, 특별히 고안된 휠체어, 보조기 같은 장애인들의 욕구에 따른 장치들의 개발
③ 비장애인들이 사용하는 장치들의 개조

- 재활공학의 목적 : 장애인의 원활한 사회참여와 활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기 개발

※ 우리나라 보조공학서비스
- 1964년 원호처(현재 국가보훈처) 산하 보철구공장으로 시작,
- 보훈병원의 보장구센터가 국가유공자를 대상으로 재활에 필요한 보조공학기기를 제공한 것이 시초
- 1997년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통해 보조기기 지원 시작
- 현재 보건복지부, 노동부, 행정안전부 등 부분적 지원
- 한계점 : 보조기기가 필요한 다수 장애인, 노인들이 충분한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음.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또한 복지서비스 틀에서의 접근보다 보조기기의 단편적 공급을 중심으로 한 전
달체계
- 문제점
① 공공부조와 사회보험 간의 통합성 미흡, 사회보험들 간의 단절현상으로 인한 중복지급, 부정수
급 등의 문제 발생
②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서비스 제공의 통합성 결여
-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종합적, 총체적 지원 및 관리에 대한 정책 마련
- 합리적, 전문적 서비스 체계에 기반한 보조공학 서비스 보편화되어야 함

4) 접근성서비스

※ 장애인 접근권
장애인이 사회 전 분야에 걸쳐 기회의 균등과 적극적 사회참여를 목적으로 교육, 노동, 문화생활을
향유할 수 있는 근본적 권리로, 물리적 장벽을 없애는 ‘이동권’, ‘시설이용권’, 각종 정보에의
장벽을 없애는 ‘정보이용권’ 3가지 권리가 있다.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25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 제4조 “장애인 등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보장받기 위하여 장애인
등이 아닌 사람들이 이용하는 시설과 설비를 동등하게 이용하고 정보에 자유롭게 접근 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 ⌜장애인인권헌장⌟
- 제4항 “장애인은 자유로운 이동과 시설이용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받아야 하며, 의사표현과 정보
이용에 필요한 통신, 수화통역, 자막, 점자 및 음성도서 등 모든 서비스를 제공받을 권리를 가진
다.”

① 물리적 접근법(편의시설)
-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법적 근거
- 편의시설 : 모든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시설
- 시설 : 공원, 공공건물 및 공중이용시설, 공동주택 등
- 장애인을 고려한 용품 비치(의무권정용품 등 대상시설에 따라 규정)
② 이동권
물리적 장벽, 특히 교통시설 이용 등에서 제약을 받지 않을 권리
- ⌜장애인 등 편의증진법⌟에서 이동권 보장
장애인 등이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접근권 인정

③ 정보접근권
- 장애인 인권헌장 : 장애인의 인권존중, 사회참여와 평등을 보장하기 위해 선포, 13개 항 구성
- 제4항 “장애인은 자유로운 이동과 시설이용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받아야 하며, 의사표현과 정보이용
에 필요한 통신·수화통역·자막·점자 및 음성도서 등 모든 서비스를 제공받을 권리를 가진다.”
- 이를 기초로 정보화촉진기본법 1998년 12월 24일 개정
- 정보화촉진기본법 제16조의 2(보편적 역무의 제공과 복지정보통신의 실현) “1. 정부는 정보통신망에 대
한 자유로운 접근과 이용을 보장하고 지역적·경제적 차별이 없는 균등한 조건의 보편적 역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2. 정부는 장애인, 노령자, 저소득자 등 사회
적 약자들이 자유로운 정보접근의 기회를 누리고 정보화의 혜택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
여 정보 통신 요금, 정보통신기기의 사용편의성 및 정보이용능력의 개발 등에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 정보화와 복지화 상호의존적 발전

5) 직업재활서비스
- 직업재활 :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한 최대의 과제인 자립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하는 재활서비스
중 가장 중요하고 핵심이 되는 서비스로 의료적, 심리적, 교육적 재활과 함께 총체적 재활에 기여
하며 전 인격적으로 큰 영향을 주는 재활의 마지막 단계
- 장애인들을 의존적인 생활로부터 독립적인 생활로 변화시킴으로 가족과 사회로부터 자존, 존엄을
찾게 하는 인도적, 비경제적인 인간을 가용인간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사회적 부담을 경감하고 사회
적 생산에 기여하게 하는 경제적이고 생산적인 재활영역

※ 직업재활의 대상
① 국제노동기구(ILO) “신체적 또는 정신적 손상의 결과 적당한 취업의 장을 얻고 또한 그것을 계속
할 수 있는 상대가 상당히 감퇴하고 있는 자”
② 우리나라 “신체 또는 정신상의 장애로 인해 장기간에 걸쳐 직업재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26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 직업재활서비스
① 접수 및 직업상담
② 진단 및 직업평가
③ 직업적응훈련
④ 직업훈련
⑤ 취업알선
⑥ 사후지도 등의 과정을 통해 장애인으로 하여금 독립적으로 경제력을 갖는 생산적 인간으로 사회 복귀
시키는 전문적 활동

6) 가족지원서비스
⑴ 경제적 지원
① 생활안정지원 : 장애아동가족이 우리나라 대표적인 공적부조제도인 기초생활보장법의 대상자
에 해당되는 경우, 생계비를 지원받을 수 있으며, 장애아동을 보호하는 보호·양육하는 보호자
의 경제적 생활수준, 장애 정도에 따라 장애아동의 보호자에게 장애로 인한 추가적 비용보전
을 위해 장애아동 부양수당이 지급
② 의료비지원 : 의료보호, 저소득장애인 의료비 지원, 보장구무료교부사업 등
③ 자녀교육비지원 : 교육기회의 제공과 장애인 가구의 생활안정 도모 목적
④ 자립자금 대여 : 자활자립 및 생활안정 도모 목적

⑵ 시설이용지원
<표>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운영현환(보건복지부, 2010)

장애인 장애인 의료·재활 주간보호 단기보호 공동생활 장애인


복지관 체육관 시설 시설 시설 가정 심부름센터
137 25 26 274 69 358 129

⑶ 예방 및 재활지원
① 장애예방지원
1997년부터 모든 신생아에게 무료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실시, 저소득층의 선천성 대사이상
환아에게는 특수조제분유 무료지급, 임산부·영유아 무료검진 및 예방접종 등 모자보건 사업
실시
② 의료재활
- 목적 : 인간의 기능을 재활수준까지 증대시켜 생애를 통하여 그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자원 활용할 수 있도록 함
- 범위 : 물리치료, 작업치료, 일상생활 동작훈련, 언어치료, 보행훈련, 보장구에 의한 처치
- 지원 : 재활을 통한한 훈련, 의료사회사업에 의한 원조 등 재활요품 제작 수리 및 장착 (훈련),
체력단련실 운영, 재활용품보급, 보장구 대여, 무료투약, 안진료 지원, 치과진료, 언어
치료 등 지원
③ 직업재활
- 직업지도, 직업훈련, 직업알선 등 직업적 서비스 제공 포함
- ⌜장애인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 1991년부터 시행 → 장애인 의무 고용
- 일반기업체에 취업하기 어려운 중증장애인을 위한 근로시설, 보호 작업장 운영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고용촉진 훈련과정,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산하의 일반직업훈련원,
특수학교, 장애인복지시설, 근로복지공사산업재활원, 장애인전문직업훈련원 등에서 실시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27


······
꿈을 향한 첫걸음! Start With VISION 사회복지개론

④ 1997년 특수교육진흥법의 제정으로 특수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며, 이외에 점역 및 녹음 서비스,


시각장애인 기초 생활훈련, 검정고시 준비 및 한글교육, 점자교육, 부모교육 등이 시행
⑤ 장애인이 사회적 기능을 최대한 수행할 수 있도록 주간보호사업, 장애인 청소년 학교,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자원봉사자 교육 및 활동, 사회적응훈련 등 실시

본 자료는 강의 수강을 위해 참고로 활용하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2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