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1

장애인복지론

1주차. 장애와 장애인복지의 개요


1교시. 장애의 개념과 범주

‘장애인복지론’ 과목 주차별 강의 미리보기

1 장애와 장애인복지의 개요 9 장애인복지 행정과 전달체계

2 장애에 대한 이해 10 장애인복지정책과 관련법

3 장애인복지의 역사 11 장애인복지시설 및 기관

4 장애를 설명하는 이론 12 장애인복지 핵심 이슈 Ⅰ

5 장애에 대한 생애주기 접근 13 장애인복지 핵심 이슈 Ⅱ

6 장애인복지서비스와 장애인 14 한국 장애인복지 실천현장의 과제

7 장애인복지실천

1
1. 장애의 개념
가 ICIDH에 따른 장애개념

 장애에 대한 개념은 시대와 문화, 한 나라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상황과 수준에 따라 영향 받음.

 1980년 세계보건기구(WHO)는 ICD(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의 분류를 근간으로 하여
장애에 관한 개념적인 틀인 국제장애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Disabilities and Handicaps:
ICIDH)를 발표함.

 장애를 심신의 손상(impairment), 능력장애(disability),


사회적 불리(handicap)의 차원으로 분류.

 이후 각국은 국제장애분류에 의하여 장애를 분류하게 됨.

 국제장애분류에 나타난 장애개념을 도표화하면 [그림 1]과 같음.

[그림 1] WHO의 장애개념(ICIDH)

2
1) 손상(impairment)

가) 손상은 신체구조적, 해부학적 및 정신적인 구조나 기능의 손실


또는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인 병리적 상태를 의미.

나) 미국의학협회의 정의에 의하면 손상은 증후나 증상,


검사 시 평가된 해부학적 또는 기능적 이상을 말함.

다) 손상은 사지, 기관, 피부, 정신적 기능체계를 포함한


신체구조의 비정상, 결손 및 손실을 포함하는 것으로
병리적 상태가 외재화된 것.

2) 능력장애(disability)

가) 능력장애는 손상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행동이 불가능하거나


제한되어 있는 상태.

나) 능력장애는 일상적으로 기대되는 활동수행 및 행동의 과다


또는 결핍이 특징.

다) 과다/결핍은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일 수 있고,


회복 가능하거나 회복 불가능할 수도 있음.

예) 무릎 아래를 절단한 사람의 경우, 다리의 손실은 ‘손상’,


다리의 손실로 인한 보행능력의 상실은 ‘능력장애’.

3
3) 사회적 불리(handicap)

가) 사회적 불리는 손상이나 능력장애가 사회화된 것.

나) 개인이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하는데 제한을 받거나


지장을 초래하는 상태.

다) 사회적 불리의 발생조건


① 개인적 요인: 성, 연령 등
② 사회문화적 요인: 거주지역, 직장, 만나는 사람들 등

라)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장벽을 의미 즉,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평등하게 사회생활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
하거나 제약하는 것.

4) ICIDH의 문제점

가) ICIDH는 질병과 손상, 능력장애, 사회적 불리 간에 명확한 경계를 구분하기 어려움

나) 질병, 부상, 손상 이외에도 능력장애와 사회적 불리에 영향을 주는


많은 요인들이 있음을 간과함.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① 단순동작기능장애를 능력장애로 오인하게 함. 즉, 보는 것이나


걷는 것 등의 한두 가지 장애로 인간의 능력을 판단하게 함.

② 손상이 곧 능력장애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에도


손상과 능력장애를 동일시함.

예) 오른팔을 절단한 사람은 ‘손상’을 입었으나 보조기구와 재활훈련


등으로 오른팔로 해야 하는 많은 일들을 수행해낼 경우
‘능력장애’는 발생하지 않음.

4
다) 사회적 장애를 간과함. 즉 장애인 개인의 장애 외에
사회의 물리적, 문화적, 심리적 장벽으로 인해
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음.

나 ICIDH-2에 따른 장애개념

1) 손상
• 신체구조나 물리적, 정신적 구조 및 기능의 상실, 제한이나
비정상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ICIDH의 정의와 거의 동일.

2) 활동(activity limitation)
• 일상생활과 관련된 개인의 활동에서의 제한을 말함.
예) 신변처리, 쇼핑, 직무수행 등

3) 참여(participation restriction)
• 손상정도, 활동, 건강조건 등과 관련된 생활상황에서의 개인의
연관성 정도. 즉, 사회에 대한 개인의 참여정도와 참여를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사회적 반응.

5
[그림 2] ICIDH-2에 따른 장애개념

4) ICIDH의 문제점과 개선책으로서의 ICIDH-2


ICIDH의 문제점 → ICIDH-2
• 장애의 부정적 WHO는 • 질병, 손상이 능력장애나 사회적 불리로 발전되는 것이
측면을 부각시 아니라, 장애를 환경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포괄적으로
키고 장애인을 • 1988년 ICIDH 규정.
부정적인 존재 개선을 위한 회
로 인식하게 함 의 개최 • 손상, 활동, 참여는 상호관련성을 갖는다고 봄.
즉, 장애는 개인의 건강상태 ↔ 사회환경적 요인
• 장애인에 대한 • 1997년 장애
사회적인 차별 개념을 손상 활 – 개인적 요인: 성, 나이, 보건상태, 삶의 형식, 습관,
과 분리를 심화 동, 참여의 세 양육태도, 성격, 사회적 배경, 교육정도, 전문성,
시키는 부작용 차원으로 설명 과거와 현재의 경험, 심리적 사상이나 특성 등
이 나타남. 하는 ICIDH-2
를 확정. – 환경적 요인: 사회적 태도, 건축물의 특징, 법체계 등.

• 손상, 활동, 참여라는 세 차원은 장애인뿐만 아니라,


모든 개인에게 적용 가능.

•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가 점차 무너지고 있는 추세 반영.

• 시대가 변함에 따라 장애문제는 개별적 문제에서


사회적 문제로 간주되고 있음을 나타냄.

6
다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1) 2001년 5월 WHO는 국제기능분류(ICF)를 승인.

2) ICF의 목적
• 건강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체계와 통일된 분류를 제시하기 위한 것.

3) ICF의 특징

가) 장애 및 보건에 대한 개념에서 개인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을


동시에 고려.

• 상황요인(contextual factor)
: 손상, 활동, 참여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

• 개인적 차원에서는 활동과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요인


(성, 연령, 인종, 습관, 대처양식, 신체의 구조와 기능 등)

• 환경적 차원에서는 활동과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인


(물리적, 사회적, 인식적 측면에서 촉진 또는 방해하는 요소)

[그림 3] ICF의 장애개념 분류

7
나) 장애인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의 건강에 관련된 요소를 설명해 줄
수 있는 보편적인 적용이 가능

다) ICF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언어를 사용.

라 오늘날의 장애개념

1) ICIDH-2, ICF로 인해 장애개념이 크게 확대됨.

2) 장애인 개인뿐만 아니라 개인을 둘러싼 사회환경적 맥락이


더욱 강조됨.

• 이런 측면에서 볼 때, 개인에게 문제는 없으나


의도적인 따돌림이나 사회적 낙인 등은
사회참여의 제한이라는 측면에서 장애가 될 수 있음.

8
3) ICIDH-2, ICF는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구분하는 것 자체를
무의미하게 만듦.

4) 장애는 환경과의 관계에서 이해되어야 함.

• 장애는 개인이 아닌 사회가 만든 것.


• 장애문제는 개인이 아닌, 사회적 측면에서 해결해야 하는 것.

2. 장애의 범주
가 OECD 국가별 장애에 대한 정의

1) 미국
• 청각, 시각, 인지, 보행, 자기관리, 자립생활 어려움이 있는 사람

2) 캐나다
•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심각한 수준의 특별한 제약이 있는 사람

3) 유럽연합
• 보기, 듣기, 걷기, 의사소통 등 기본적 활동에 어려움을 가진 사람

9
4) 네덜란드
• 임금근로를 수행하거나 구하는 것을 지연시키는 지속적인 불만,
질병이나 장애로 고통 받는 자(직업적 장애)

5) 호주
• 활동의 어려움 또는 보조기구 필요여부, 도움 필요여부 등
핵심적인 활동제약이 있는 사람

6) 덴마크, 노르웨이: 오랜 건강문제 또는 장애가 있는 자

7) 멕시코: 영구적인 또는 일시적인 장애가 있는 자

8) 스위스: 1년 이상의 지속적인 건강문제로 능력이 감소하는 자

9) 뉴질랜드: ICF에 따라 판정된 사람

나 외국의 장애 범주

1) 미국·유럽 등 서구 선진국은 장애의 범위가 매우 포괄적.

2) 신체적 장애, 정신적 장애, 노동능력의 장애, 환경적 요인에 의한


불이익 등 사회적 장애 포함.

3) 일부 국가에서는 난치병 질환자(암, AIDS 등),


의사소통이 어려운 이민자를 포함하기도 함.

10
[그림 3] 외국의 장애인 출현율

주) 각 국가에서 2013년 이후에 발표한 장애인 관련 통계자료


출처: 고용노동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다 우리나라의 장애 범주 및 확대 과정

1) 1981년 심신장애자복지법에서 5종
(지체, 시각, 청각, 언어, 정신박약)

2) 1989년 장애인복지법에서 5종
(지체, 시각, 청각, 언어, 정신지체)

3) 2000년 1단계 장애범주 확대로 10종


(5종+ 발달장애, 정신장애, 신장장애, 심장장애)

4) 2003년 2단계 장애범주 확대로 15종


(10종+ 호흡기, 간, 안면변형, 장루·요루, 간질장애)

11
5) 2008년 장애명 변경: 정신지체 → 지적장애, 발달장애→ 자폐성장애

6) 2014년 장애명 변경: 간질장애 → 뇌전증 장애

7) 2019년 7월 장애등급제 폐지

라 우리나라 장애인구

[장애인 추정 및 등록장애인 현황]

12
[연령 분포]

[1인 가구 비율]

13
차시 예고
장애인복지의 이념과 특징

14
장애인복지론
1주차. 장애와 장애인복지의 개요
2교시. 장애인복지의 이념과 특징

장애인복지의 이념과 특징
 장애인복지의 이념은 장애인복지정책 및 실천현장에 적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가치개념.

 장애인이 인간으로서 존중받고 자신이 가진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한 인간으로서 가치 있는 삶을 누림과 동시에
비장애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것.

 장애인복지의 이념과 가치는 크게


인권존중, 정상화, 사회통합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음.

15
1. 인권존중
가 UN의 각종 선언문

 세계인권선언(1948)은 “모든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존엄과


권리에 있어서 평등하다(제1조).”를 채택. 이는 장애가 있든 없든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은 천부적인 것임을 천명하고 있는 것.

 장애인권리선언(1975)에서 “장애인은 인간으로서의 존엄이


존중되는 천부의 권리를 가지고 있다. 장애인은 장애의 원인,
특징, 정도에 관계 없이 같은 연령의 시민과 동등한 기본적 권리
를 가진다.”고 함으로써 신체 및 정신적 장애인을 비롯한 모든
장애인의 권리에 대해 역설.

 장애인인권헌장(1998.12.9. 선포)의 전문을 보면,


“장애인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
진다. 장애인은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책임 있는 삶을 살아가며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여야 한다. 국가와 사회는 헌법과 국제연합
의 장애인권리선언의 정신에 따라 장애인의 인권을 보호하고
완전한 사회참여와 평등을 이루어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여건과 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고 규정.

16
나 우리나라

 헌법 제10조에서는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


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
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고 선언.

 이렇듯 장애인들의 인권이 존중 또는 보장받기 위해서는


건강권, 거주이전권, 접근권, 이동권 및 보행권, 생존권 및 생활권,
노동권, 교육권, 보육권, 문화향유권, 선거권 등이 보장되어야 함.

2. 정상화(Normalization)
가 대두 배경

1) 1960년대까지 장애인에 대한 보호를 목적으로 한 시설중심의


복지서비스가 주를 이루었는데 이는 많은 경우 획일화된
생활환경에서 인간으로서의 존엄이 무시되곤 하였음.

2) 시설중심의 접근법을 비판하면서 대두된 정상화 이론은


모든 사람이 시민으로서의 혜택을 완전히 누려야 한다는
권리의 철학으로, 장애인도 사회에 참여할 권리를 가진다는
사회정치적 의미를 내포.

17
나 정의 및 발전과정

1) 1959년 덴마크의 지적장애인부모회가 지적장애인법을 토대로


‘지적장애인을 최대한 정상적인 생활조건에 가깝게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정의.

2) 1969년 미켈슨(Mikkelsen)과 니르에(Nirje)가


‘발달장애인(지적장애인)에 대한 평등한 기회’를 주장하면서
주목 받기 시작.

• 미켈슨은 “정상화는 지적장애인이 가능한 한 보편에 가까운


생활을 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특히 주거, 일, 교육, 여가의
측면을 중요시함.

• 니르에는 “정상화는 모든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의 양식과


조건을 사회의 보편적 환경과 생활방법에 가능한 한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하며 보편에 가까운 생활로서 “하루의 보편적 리듬,
일주일의 보편적 리듬, 일 년의 보편적 리듬, 생애주기에서의 보편
적 경험, 보편적 요구의 존중, 이성과의 생활, 보편적 경제적 수준,
보편적 환경 수준”을 구체적으로 제시.

18
다 기본원칙

1) 장애인의 생활상황을 가능하면 비장애인의 생활상황과 유사하게


하고, 일상생활의 형태를 사회주류에 근접하게 한다.

cf) 주류란 중산층 국민이 영위하는 평균적인 생활양식을 말함.

2) 장애인복지시설 등에 거주하는 사람에게 비장애인과 같은


생활리듬을 찾아준다.

예) 시설장애인들은 정해진 시간에 일어나,


똑같은 메뉴로 식사를 하고, 정해진 시간에 노동을 하고,
정해진 시간에 잠자리에 들어야 하는 경우가 많음.

3) 장애인도 연령에 맞는 생활경험을 할 수 있게 한다.

• 비장애인들은 아동이면 아동, 여성이면 여성, 노인이면 노인


으로서의 연령과 발달상황, 특성에 맞는 사회생활을 경험함.

• 그러나 시설에서는 연령과 특성에 맞는 경험을 하기 어려움.

4) 장애인에게 선택의 자유를 제공한다.

• 대규모의 장애인시설은 개인의 욕구나 선택을 제한함.


즉 획일화된 시설방침에 맞추어 행동하도록 요구하고
개별적이거나 자율적인 행동을 하면 제제를 가하기도 함.

19
5) 장애인복지시설의 생활환경을 바꾼다.

• 장애인시설의 공간배치(숙소, 식당 등) 규칙은 남녀를 구분하여


수용하고 서로 만나지 못하게 하는데 이는 지극히 부자연스러운
것이므로 비장애인들처럼 서로 대화하며 교제할 수 있도록
생활 환경을 바꿔야 함.

라 정상화 vs 탈시설화

차이점
공통점
정상화 탈시설화
- 시설의 비용절감 강조.

- 재정투자의 대폭적인 - 즉, 시설유지를 위한


- 장애인의
증대를 통한 서비스 질의 비합리적인 재정 투자에
지역사회 복귀 반대함으로써 복지예산
향상을 주장.
의 삭감에 대한 정치적
이유를 제공.

20
3. 사회통합
가 대두 배경

 1970년대, 가정과 지역사회로 복귀한 장애인들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를 요구하기 시작하면서 점차 사회통합에 대한
욕구까지 표출하게 됨.

나 개념

1) 사회에 장애인이 공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장애인도


기본적인 시민의 권리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

2)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개인’으로서 인격적인 존중을


받으며,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방식을 통해 사회활동과 대인관계
에 참여하는 것.

3) 신체적, 정신적 장애를 가진 장애인이라고 하더라도


사회적 장애는 제거해 주는 것.

21
다 사회통합의 전제조건

1) 장애인이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능력이 개발되어야 함.

• 장애인은 신체적 능력이 부분적으로 상실되었다고는 하나


잔존능력이나 잠재능력이 있음을 고려하여 이러한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어야 함.

2) 사회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개선해야 함.

3) 사회적 편견과 차별의식을 개선해야 함.

4) 사회 각 영역의 서비스 제도가 체계화되어야 함.

• 교육, 의료, 직업, 심리, 재활, 사회환경 등 포괄적인 입법체계와


정책, 행정제도가 정부의 주도적인 계획 아래 실시되어야 함.

5) 이러한 지원은 장애인에게 긍정적 이미지를 부여할 것이며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앞당길 것.

22
차시 예고
장애에 대한 이해

23
장애인복지론
2주차. 장애에 대한 이해
1교시. 장애 유형별 이해

1. 신체적 장애(외부기능의 장애)


가 지체장애

1) 정의

• 신체의 골격, 근육, 신경 중 일부 또는 전체에 질병이나 외상


등으로 영구적인 운동기능장애, 감각장애 등을 갖게 되는 것

24
2) 원인

• 선천적 원인
: 출생 이전의 유전적 결함, 출생 전후의 바이러스 감염(예, 풍진
이나 매독), 임신 중 음주·흡연·약물복용, 방사선 과다노출,
조산 또는 난산, 혈액형부조화(산모가 RH- 혈액인자 보유),
고령 임신 등.

• 후천적 원인
: 당뇨·관절염·혈액순환장애로 인한 신경계 손상, 교통사고 및
산업재해 등.

cf) 최근에는 외상보다 당뇨, 혈액순환장애, 관절염 등


만성질환이 장애원인의 70~80%를 차지.

3) 판정

• 재활의학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신경과 전문의 중 1인이 있는


의료기관에서 실시.

• 판정 시기는 장애의 원인질환의 발생 후 또는 수술 후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치료한 후 장애가 고착되었을 때.
다만 지체의 절단 등은 예외.

• 수술 또는 치료로 기능이 회복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장애판정을 처치 후로 유보.

25
• 왜소증에 대한 장애판정
: 성장이 정지되었을 때, 남성은 20세부터, 여성은 18세부터 판정.
다만, 남성의 경우 왜소증의 증상이 뚜렷하여 앞으로의 성장이
미미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에는 18세 이상에서 판정할 수 있음.

• 위의 연령조건 등을 충족함에도 장애등급 판정시점 이후에


계속 성장할 것으로 예측될 때에는 2년 후에 재판정.

4) 유형: 소아마비, 근이영양증, 척수손상, 관절염, 절단 등.

가) 소아마비(Poliomyelities)

• 소아마비를 일으키는 바이러스 균이 입으로 들어가 척수전각


세포를 파괴시켜 상지나 하지에 이완성 마비를 일으키는
감염성 질환

• 감각에는 이상이 없음.

• 대부분 소아에서 발생하므로 소아마비라고 부르지만


청년기나 성인에게도 발병할 수 있음.

• 소아마비는 병의 경과에 따라 급성기, 회복기, 잔유기로


구분하며 그에 따라 증세가 달라짐.

26
나) 근이영양증(Progerssive Muscular Dystrophy: PMD)

• 근육계 질환으로 통증은 없으나 근육이 점차 위축되어


힘이 떨어지는 질환

•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고 호흡이나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어


사망에 이르게 됨.

• 원인은 대개 유전이라고 하나 원인불명인 경우가 더 많음.

• 주로 남자에게 나타나며 여자에게는 없음.

• 개인별로 근육이 마비되는 속도가 다르며


몇 살에 시작되었는지에 따라 수명에도 차이가 있음.

다) 척수장애

• 척추 내에 있는 기둥과 같은 굵은 신경을 척수라고 하는데


경추, 흉추, 요추, 천추로 되어있음.

• 경추손상일 경우 사지마비, 흉추손상일 경우 하지마비 초래.

• 즉, 척수가 질병이나 외상으로 손상을 받으면


그 손상부위 이하에 운동 및 감각마비가 나타남.

• 원인은 대부분 교통사고, 산업재해, 운동경기 중 부상 등에 의해 발생.

• 그러므로 추간판 탈출증, 척추협착증 등으로 인한 마비는


해당되지 않음.

27
• 주 증상은 운동마비, 신경마비, 감각마비이며 이로 인해
배설장애, 요로감염, 욕창 등 발생.

• 척수장애는 만 18세 이상의 경우, 최초 판정일로부터 2년 후에


반드시 재판정을 해야 함.

라) 변형 등의 장애

• 변형은 신체의 외적 모양이 정상과 다른 것을 말함.

• 사지 중 한쪽이 짧거나 신체의 발육부진으로 인한


왜소증, 척추측만증, 척추후만증 등.

28
5) 장애정도

가) 신체의 일부를 잃은 사람
①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두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 한 손의 모든 손가락을 잃은 사람

㉰ 두 다리를 가로발목뼈관절(Chopart’s joint) 이상의 부위


에서 잃은 사람

㉱ 한 다리를 무릎관절 이상의 부위에서 잃은 사람

②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손가락을 잃은 사람

㉰ 한 손의 셋째 손가락, 넷째 손가락 및 다섯째 손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 한 다리를 발목발허리관절(lisfranc joint) 이상의 부위에서


잃은 사람

㉲ 두 발의 발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29
나) 관절장애가 있는 사람

①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두 팔의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손목관절 중 2개 관절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두 팔의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손목관절 모두의 기능에


장애가 있는 사람

㉰ 두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의 관절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손의 모든 손가락의 관절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팔의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손목관절 중 2개 관절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팔의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손목관절 모두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두 다리의 엉덩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중 2개 관절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두 다리의 엉덩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모두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다리의 엉덩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모두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30
②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3개 손가락의 관절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손의 엄지손가락의 관절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 손가락의 관절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손의 셋째 손가락, 넷째 손가락, 다섯째 손가락 모두의


관절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팔의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손목관절 모두의 기능에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팔의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또는 손목관절 중 하나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의 관절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다리의 엉덩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모두의 기능에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다리의 엉덩관절 또는 무릎관절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다리의 발목관절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31
다) 지체기능장애가 있는 사람

①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두 팔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두 손의 엄지손가락 및 둘째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 한 손의 모든 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 한 팔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다리의 기능을 잃은 사람
㉳ 두 다리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목뼈 또는 등·허리뼈의 기능을 잃은 사람

②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한 팔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세 손가락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손의 엄지손가락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 한 손의 셋째 손가락, 넷째 손가락 및 다섯째 손가락 모두의 기능을


잃은 사람
㉳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 한 다리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목뼈 또는 등·허리뼈의 기능이 저하된 사람

32
라) 신체에 변형 등의 장애가 있는 사람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에 해당함)

① 한 다리가 건강한 다리보다 5센티미터 이상 짧거나


건강한 다리 길이의 15분의 1 이상 짧은 사람

② 척추옆굽음증(척추측만증)이 있으며, 굽은각도가 40도 이상인 사람

③ 척추뒤굽음증(척추후만증)이 있으며, 굽은각도가 60도 이상인 사람

④ 성장이 멈춘 만 18세 이상의 남성으로서


신장이 145센티미터 이하인 사람

⑤ 성장이 멈춘 만 16세 이상의 여성으로서


신장이 140센티미터 이하인 사람

⑥ 연골무형성증으로 왜소증에 대한 증상이 뚜렷한 사람

나 뇌병변장애

1) 정의

• 뇌의 기질적 병변에 기인한 신체적 장애로서


보행이나 일상생활동작에 제한을 받는 상태.

2) 판정

• 판정기준: 이동능력과 일상생활동작의 수행능력


• 판정기관: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있는 의료기관

33
• 판정 시기

- 발병 또는 외상 후 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치료한 후에 판정.

- 6개월이 경과 한 후 기능향상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판정을 미루어야 함.

- 식물인간 또는 장기간의 의식소실의 경우,


발병 후 6개월이 경과하면 장애판정을 할 수 있음.

3) 유형: 뇌성마비, 뇌졸중 등

가) 뇌성마비(cerebral palsy: CP)

① 정의
• 뇌성마비는 뇌가 발육하는 시기에 손상을 받아
운동기능이 저하된 상태.

• 비유전성, 비진행성 질환으로 근육의 조절능력이 없어


마비증상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

• 사람에 따라 지능, 언어, 감각의 장애, 발작을 동반하기도


하는 등 여러 장애가 중복되기도 함.

34
② 원인
• 출산 전 원인
: 임신초기(대개 3개월 이내)에 산모의 질환(예, 풍진, 매독 등),
연탄가스 또는 약물 중독, 태내에서 뇌의 발육부전,
혈액형의 부조화, X-ray 과다노출 등

• 출산 시 원인
: 조산, 신생아의 저체중, 난산으로 인한 산소결핍, 기계분만 등

• 출산 후 원인
: 유아기의 심한 황달, 뇌막염, 뇌염, 두부 손상 등.

③ 증상

• 아기가 젖 빠는 힘이 약할 때,
• 팔이나 다리를 잘 움직이지 못할 때,
• 목을 가누고 돌아눕고 기어가는 등의 운동발달이 늦을 때,
• 이유 없이 경기를 자주 할 때

→ 소아과나 재활의학과 전문의에게 진단을 받고


조기에 치료를 해야 함.

35
나) 뇌졸중

① 정의
• 흔히 ‘중풍’이라고 불리는 것으로서 뇌혈관장애로
몸의 절반에 마비가 오는 것.

• 뇌출혈은 뇌혈관이 터져서 뇌에 피가 고이는 경우이며,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혀서 뇌에 피가 통하지 않아서
뇌세포가 손상되는 것.

② 원인
• 고혈압, 고지혈증, 심장병, 당뇨, 콜레스테롤 등 혈중 지방농도가
높은 사람, 동맥경화가 있는 사람

• 지나치게 긴장된 생활을 하거나 불안감, 욕구불만,


스트레스가 많은 경우에 발생

③ 증상
• 편마비(안면마비 등), 인지능력장애(지남력, 기억력 등),
시야결손, 언어장애(실어증, 조음장애 등), 욕창 등.

• 주로 50대 이후에 많이 발병하나 일찍 발병하는 경우도 있음.

36
4) 장애정도

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보행 또는 일상생활동작이 상당히 제한된 사람
• 보행이 경미하게 제한되고 섬세한 일상생활동작이
현저히 제한된 사람

나)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보행 시 절뚝거림을 보이거나 섬세한 일상생활동작이
경미하게 제한된 사람

다 시각장애

1) 정의

• 시각장애는 물체를 식별하는 눈의 기능 결함으로 인해


시력에 제한을 받게 되는 경우

2) 원인

• 선천적 원인: 유전성 질환, 안구 기형 등

• 후천적 원인: 질환, 외상, 중독, 심리적 원인 등이 있으며


대부분 후천적 원인이 더 많음.

37
• 질환
- 안질환: 백내장, 녹내장, 각막혼탁, 시신경위축, 망막변성, 안구위축,
트라코마, 포도막염, 망막박리, 망막색소변성 등.

- 전신질환: 영양장애 - 비타민 A, B, B6, C 결핍증, 베체트병


내분비장애 - 당뇨

- 감염성질환: 결핵, 매독, 한센병, 뇌막염, 성홍열, 디프테리아, 신장염 등.

• 외상: 안구에 이물질 침입, 화상, 화학물품에 의한 손상, 사고, 산업재해 등.

• 기타: 약물중독, 심리적 원인 등.

3) 유형
• 시력장애: 시력의 정도에 따라 맹, 준맹, 약시 등으로 분류

- 맹: 교정시력 0.05미만으로 빛의 구별도 되지 않는 경우

- 준맹: 밝고 어두움을 구별할 수 있으나


1m 앞의 손가락의 수를 구별할 수 없는 경우

- 약시: 교정시력 0.3미만으로 일상생활은 영위할 수 있으나


신문이나 책에 실린 보통 크기의 글자를 읽을 수 없는 경우

38
4) 장애정도

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① 좋은 눈의 시력(공인된 시력표로 측정한 것을 말하며, 굴절이


상이 있는 사람은 최대 교정시력을 기준으로 한다. 이하 같다)
이 0.06 이하인 사람

② 두 눈의 시야가 각각 모든 방향에서 5도 이하로 남은 사람

나)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① 좋은 눈의 시력이 0.2 이하인 사람

② 두 눈의 시야가 각각 모든 방향에서 10도 이하로 남은 사람

③ 두 눈의 시야가 각각 정상시야의 50퍼센트 이상 감소한 사람

④ 나쁜 눈의 시력이 0.02 이하인 사람

⑤ 두 눈의 중심 시야에서 20도 이내에 겹보임[복시(複視)]이 있는 사람

39
라 청각장애

1) 정의

• 청각기관의 이상 및 결함으로 인해 청력이 손실되거나


소리를 뜻있는 말로 해석하는 중추기관에 이상이 생겨
의사소통에 지장이 있는 경우

2) 원인

• 선천적 원인
: 임신 중 질환(예, 풍진), 임신 중 약물중독,
출생 시 황달 및 외상(저산소증),

• 후천적 원인
: 출생 후 고열, 홍역, 뇌막염, 성홍열, 수막염, 중이염,
외상성 고막파열, 내이의 질환, 약물로 인한 청각신경손상,
소음성 난청, 노인성 난청 등.

40
3) 유형

가) 청력장애(농, 난청)

• 농: 일반적으로 70dB 정도로 청력이 손실되어 보청기를 착용


하고도 청각을 통해 언어적 정보를 주고받지 못하는 상태.

• 난청: 35~69dB로 보청기를 착용했을 때 잔존 청력으로


청각을 통한 정보교환이 가능한 상태.

나) 평형기능장애

• 공간 내에서 자세 및 방향감각을 유지하는 능력을 담당하는


반고리관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신체의 평형능력, 민첩성, 협력,
운동 속도 등에 장애를 보이는 경우

• 판정
- 판정기준: 일상생활동작의 수행능력

- 판정기관: 이비인후과 전문의가 있는 의료기관

- 판정시기: 원인질환을 충분히 치료(또는 수술 후 6개월 이상


치료 후)후 장애가 고착되었을 때

41
4) 장애정도

가) 청력을 잃은 사람
①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두 귀의 청력을 각각 80데시벨 이상 잃은 사람
(귀에 입을 대고 큰소리로 말을 해도 듣지 못하는 사람)

②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최대의 명료도가
50퍼센트 이하인 사람

㉯ 두 귀의 청력을 각각 60데시벨 이상 잃은 사람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 발성된 말소리를 듣지 못하는 사람)

㉰ 한 귀의 청력을 80데시벨 이상 잃고,


다른 귀의 청력을 40데시벨 이상 잃은 사람

나) 평형기능에 장애가 있는 사람
①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양측 평형기능의 소실로 두 눈을 뜨고 직선으로 10미터 이상을
지속적으로 걸을 수 없는 사람

②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평형기능의 감소로 두 눈을 뜨고 10미터 거리를 직선으로
걸을 때 중앙에서 60센티미터 이상 벗어나고,
복합적인 신체운동이 어려운 사람

42
<표> 청각장애 정도 구분
(단위: dB)
1964년 ISO
(국제표준기구) 분류 정도 비고
기준
10~26 정상
• 1dB의 소리는 정상인의 귀에
경도 • 먼 곳의 말소리를 잘 알아듣지 못함.
27~40 들릴까 말까 함.
난청
중등도 • 1~1.5m안에서의 대화를 알아들을 • 밤의 소음은 40dB
41~55
난청 수 있는 정도. • 주택가의 낮 소음은 50~55dB
• 1~1.5m에서 큰 소리로 말해야만
중등 고도
56~70 알아들을 수 있으며 강의실에서의 • 전화벨 소리는 60~70dB
난청
청취곤란.
• 30cm내에서 큰 소리로 말해야
71~90 고도 난청 • 번화가의 교통소음은 70~80dB
들리는 경우
• 제트엔진소음은 150dB
• 귀가 견딜 수 있는 최강음은
• 90dB는 언어청취가 거의 불가능한
91이상 농(최중도) 120~140dB
상태.
• 80dB의 소음을 오래 들으면
평생 청각장애인이 될 수 있음.
cf) dB(데시벨): 청력을 측정하는 단위.

마 언어장애

1) 정의

• 구음기관과 조음기관에 문제가 생겨 음의 고저가 적당하지


않거나, 발성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 대뇌에서 소리를 이해하고 정리하는 기능이 발휘되지 못하여


언어습득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 연령이 2년 6개월에 이르러서도 언어발달이 충분하지 않을 때


언어발달지체라고 하며, 7세에 이르러서도 언어표현 및 사용이
완전하지 못할 때 언어장애가 판단

43
2) 원인

• 선천적 원인: 출산 전 산모의 음주 및 흡연, 약물중독

• 후천적 원인
: 출산 후 혀, 입술(구개열), 치아, 인두, 후두 등 음성기관의 이상,
뇌성마비 및 뇌졸중(언어중추 이상), 심리적 원인(유창성장애
(말더듬), 실어증), 지능지수의 저하, 언어 습득의 경험이 없을
때, 청력손실 등.

cf) 언어장애는 대부분 청각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나


지적장애, 뇌성마비에 의해서도 발생.

3) 판정

• 재활의학과, 정신과, 신경과 전문의 또는 언어치료사가 있는


이비인후과 등에서 실시.

4) 장애정도

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음성기능이나 언어기능을 잃은 사람

나)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음성·언어만으로는 의사소통을 하기 곤란할 정도로
음성기능이나 언어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44
바 안면장애

1) 정의

• 선천성 기형, 후천적 사고 및 질환, 화상 등으로 인해


안면 부위의 색깔, 모양, 혹 등이 변형을 보여서
사회활동에 상당한 지장이 있는 경우.

• 큰 점, 색소침착 등 안면부 추상, 조직의 비후· 함몰· 결손 등의


선천성기형, 화상, 피부질환, 피부암 등으로 얼굴 등 노출 부위
에 기형이나 색의 변화 등을 포함.

2) 원인

• 선천적 원인: 혈관기형, 신경섬유종증, 거대모반증 등


• 후천적 원인: 화상, 각종 사고로 인한 반흔.

3) 판정 시기

• 원인질환에 대해 6개월 이상 충분히 치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장애가 고착되었을 때.

45
4) 장애정도

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① 노출된 안면부의 75퍼센트 이상이 변형된 사람
② 노출된 안면부의 50퍼센트 이상이 변형되고
코 형태의 3분의 2 이상이 없어진 사람

나)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① 코 형태의 3분의 1 이상이 없어진 사람
② 노출된 안면부의 45퍼센트 이상에 백반증(白斑症)이 있는 사람
③ 노출된 안면부의 30퍼센트 이상이 변형된 사람

2. 신체적 장애(내부기관의 장애)


가 신장장애

1) 정의

• 만성신부전으로 인하여 3개월 이상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경우

• 신장을 이식받은 경우

cf) 신부전은 급성과 만성으로 나뉘는데


우리나라는 만성신부전만을 장애범주에 포함.

46
2) 원인

• 만성사구체염, 만성신우신염, 악성고혈압, 당뇨, 다낭포성 신염,


다발성 동맥염, 선천적 기형, 홍반성 낭창/ 당뇨병성 신증이
34%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말기신부전 환자 점차 증가.

3) 증상

• 신장 기능이 감소되어 혈중 요소와 질소 및 기타 다른 노폐물을


배설시키지 못하고 체내에 축적되며 수분 과다상태가 되어
부종과 함께 요독증세를 보이게 되는 상태.

<표> 사구체 여과율에 따른 신장의 상태와 증상

구분 사구체 여과율 신장상태 증상

• 환자는 자각증상이 없음
초기 정상의 35~50%까지 감소
• 혈액검사가 정상으로 나옴.

• 비로소 질소혈증이 나타남.


• 식욕부진,
중(中)기 정상의 25~35%까지 감소 • 이는 혈중의 질소 대사물인 • 구토,
요소와 크레아티닌 등이 • 쇠약감,
정상치보다 높은 것을 나타냄. • 소양증,
• 근 경련,
중(重)기 정상의 20~25%로 감소 • 현성 신부전 • 빈혈
• 출혈성 경향
말기 정상의 5%까지 감소 • 말기 신부전

47
4) 장애정도

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만성신부전증으로 3개월 이상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사람

나)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신장을 이식 받은 사람

나 심장장애

1) 정의

• 심부전증, 협심증 등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호흡곤란 등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현저하게 제한되는 경우.

cf) 심부전증이란, 심장의 펌프기능이 장애를 일으켜 정맥압이 상승


하고 충분한 양의 산소를 말초조직에 공급할 수 없는 상태.
심부전이 가벼울 경우에는 운동할 때 증상이 나타나지만 병세가
진행되면, 가만히 있을 때에도 증상이 나타나 결국에는 누울 수가
없게 되고 일어나 앉아서 호흡하게 된다.

48
2) 원인

• 당뇨, 고혈압, 고콜레스테롤, 감상선 기능저하, 흡연, 비만,


운동부족 등

3) 증상

• 심근경색, 심근변성, 심장판막증, 고혈압, 심낭염 등으로 인한


호흡곤란, 빈맥, 피로, 권태, 쇠약, 빈약한 기억력, 우울증 등.

4) 판정

• 심장장애가 최소한 1년간 지속적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치료를


받고 있음을 증명해야 함.

• 최근 2개월간의 환자의 상태를 지켜본 임상소견을 통해서 판정.

• 6개월 이내에 1회의 입원경력이 있는 경우에 입원치료로 인하여


검사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퇴원 후 2개월이 지난 후
에 장애등급을 판정함.

• 의학의 발달로 많은 경우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2년마다 재판정.

49
5) 장애정도

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가정에서 가벼운 활동은 할 수


있지만 그 이상의 활동을 하면 심부전증상이나 협심증 증상 등
이 나타나 정상적인 사회활동을 하기 어려운 사람

나)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심장을 이식 받은 사람

다 호흡기장애

1) 정의
• 호흡기관(폐, 기관지 등)의 만성적 기능부전으로 인하여 치료를
받고 있으나 일상생활이나 사회활동에 현저한 제한을 받는 경우.

2) 원인
• 흡연, 황사 등 대기오염, 기관지 감염, 작업장에서의 유독가스,
그 외 유전적 요인 등.

3) 증상
• 천식,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늑막염, 결핵, 폐암 등으로
인한 만성적인 기침, 객혈, 호흡곤란, 가슴통증 등.

50
4) 판정

• 호흡기관의 기능장애, 호흡곤란의 지속정도,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의 제약 정도에 따라 판정.

• 의료적으로 흉부 X-선 촬영, 흉부 CT, 기관지 내시경, 운동부하


폐기능 검사, 폐동맥 촬영술 등 객관적인 검사소견

• 판정은 현재의 상태와 관련한 최초 진단 이후 1년이 경과하고,


2개월 이상의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호전의 기미가 없는
경우에 장애로 판정.

• 향후, 장애정도의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최초의 판정으로부터 2년 경과한 후 재판정.

5) 장애정도

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① 만성호흡기 질환으로 기관절개관을 유지하고


24시간 인공호흡기로 생활하는 사람

②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장애로 평지에서


보행해도 호흡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 환기 기능(1초시
강제 날숨량) 또는 폐 확산능(폐로 유입된 공기가 혈액 내로
녹아드는 정도)이 정상 예측치의 40퍼센트 이하 이거나
안정 시 자연호흡상태에서의 동맥혈 산소 분압이 65밀리미터
수은주(mmHg) 이하인 사람

51
나)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① 폐를 이식 받은 사람
② 늑막루가 있는 사람

라 간장애

1) 정의

• 간의 만성적 기능부전과 그에 따른 합병증으로 인해


일상 및 사회활동에 제한 받는 상태.

2) 장애질환

• 간경화, 만성 간염, 간암 등

52
3) 증상

• 얼굴이 흑갈색으로 변함
• 목이나 가슴에 거미줄 모양의 혈관종이 생김
• 비장이 커지고, 복수가 차고, 배가 부풀어 오름
• 부종이 생김
• 소변이 진해지거나 혈변을 봄
• 만성적인 황달,
• 피로, 구토, 식욕부진, 헛배부름, 소화불량, 체중감소 등.

4) 원인

• B형, C형 간염바이러스와 알코올의 과다섭취,


자가면역성 만성간염, 선천적 대사이상 등.

5) 판정

• 최초진단 후 1년 이상이 경과하고, 2개월 이상의 치료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에 판정.

• 향후 장애정도의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


최초의 판정으로부터 2년 이상 경과한 후 재판정.

53
6) 장애정도

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① 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 만성 간질환을 가진 것으로 진단받은
사람 중 잔여 간기능이 만성 간질환 평가척도(Child-Pugh score)
평가상 C등급인 사람

② 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 만성 간질환을 가진 것으로 진단받은


사람 중 잔여 간기능이 만성 간질환 평가척도(Child-Pugh score)
평가상 B등급이면서 난치성 복수(腹水)가 있거나 간성뇌증 등의
합병증이 있는 사람

나)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간을 이식 받은 사람

마 장루·요루장애

1) 정의
• 배변 또는 배뇨기능의 장애로 인하여 장루(인공항문) 또는
요루(인공방광)를 시술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활동에
현저한 제한을 받는 상태.

2) 원인
• 대장암, 직장암, 방광암(장루요루장애의 95% 차지),
그 외 쿠론씨병, 장결핵, 거대결장증, 가족성용종증 등.

cf) 식생활이 서구화되기 시작한 90년대를 기점으로


대장암, 직장암의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

54
3) 판정

• 장루 및 요루 조성술 이후 1년이 지난 후 장애가 고착되었을 때

• 장애인 등록 이후 매 3년마다 재판정

• 다만, 2회에 걸친 재판정에서 최초판정 시와 동급판정을 받은


경우(최초판정을 합하여 3회에 걸쳐 동급판정)에는
이후의 의무적인 재판정에서 제외.

4) 장애정도

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① 배변을 위한 말단 공장루를 가지고 있는 사람


② 장루와 함께 요루 또는 방광루를 가지고 있는 사람
③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으며, 합병증으로 장피누공 또는
배뇨기능장애가 있는 사람

나)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①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진 사람
② 방광루를 가진 사람

55
바 뇌전증 장애

1) 정의
• 뇌전증에 의한 뇌신경세포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 및 사회활동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경우

cf) 뇌전증이란,

a. 뇌의 신경세포 중 일부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기능이상을 일으켜

b. 가끔씩 짧은 시간동안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전기보다 훨씬 과도한


양의 전기를 발생시킴으로써 발작을 일으키는 신경계의 만성질환으로

c.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으며

d. 통계에 의하면 일반인이 평생 한 번 이상의 발작을 경험할 확률은


10%라고 함.

2) 원인

• 선천적 원인: 유전성, 혈액형 부조화, 산모감염(매독, 풍진 등)

• 뇌의 산소부족, 저혈당, 신경계 염증, 알코올 또는 납중독 등

cf) 뇌전증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20세 이전에


발병하는 경우가 전체 환자 수의 75%를 차지하며
대체로 남자가 여자보다 약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56
3) 판정

• 원인질환에 대하여 충분히 치료하여 장애가 고착되었을 때

• 최초진단 이후 3년이 경과하고 2년 이상의 지속적인 치료를


받았음에도 호전되지 않을 때

• 장애등록 이후 성인은 매 3년마다,


18세 미만은 매 2년마다 재판정.

• 다만, 2회에 걸친 재판정에서 최초판정 시와 동급판정을 받은


경우 이후의 재판정에서 제외.

4) 장애정도

가) 성인 뇌전증

①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만성적인 뇌전증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연 6회 이상의 발작(중증 발작은 월 5회 이상을 연 1회,
경증 발작은 월 10회 이상을 연 1회로 본다)이 있고, 발작
으로 인한 호흡장애, 흡인성 폐렴, 심한 탈진, 두통, 구역질,
인지기능의 장애 등으로 요양관리가 필요하며,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에서 보호와 관리가 수시로 필요한 사람.

57
②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만성적인 뇌전증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연 3회 이상의 발작(중증 발작은 월 1회 이상을 연 1회,
경증 발작은 월 2회 이상을 연 1회로 본다)이 있고,
이에 따라 협조적인 대인관계가 곤란한 사람.

나) 소아청소년 뇌전증

①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전신발작, 뇌전증성 뇌병증, 근간대(筋間代) 발작, 부분발작


등으로 요양관리가 필요하며,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에서
보호와 관리가 수시로 필요한 사람

②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전신발작, 뇌전증성 뇌병증, 근간대(筋間代) 발작, 부분발작


등으로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에서 보호와 관리가 필요한 사람

58
cf) 뇌전증에 대한 오해

• 뇌전증은 갑자기 발생하기 때문에 예측이 어렵고 발작으로 인하여


직업 및 사회생활이 어렵다고 간주됨.

• 또 유전병으로 바라보고 정신 및 신체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많음.

• 그러나, 뇌전증 장애인들은 꾸준한 검진과 적합한 약물복용으로


대부분 자신의 발작을 예측가능.

• 발작을 하더라도 곧바로 업무를 수행하는 등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

• 뇌전증은 단지 질환의 하나일 뿐 주변사람들에게 전염되지 않음.

3. 정신적 장애
가 지적장애

1) 정의

• 정신발육이 항구적으로 지체되어 지적 능력의 발달이


불충분하거나 불완전하고 자신의 일을 처리하는 것과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것이 상당히 곤란한 사람.

59
cf) 미국정신지체협회(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AAMR, 1992)는 정신지체는 인지기능, 언어,
운동, 사회적 기능에서의 기능저하로 인해 18세 이전에 의사소
통, 자기보호, 집안에서의 생활, 사회적 기술, 지역사회의 이용,
자기감독관리, 건강 및 안전, 학업능력, 여가, 일 등의 적응적
기술영역 중 두 가지 이상의 영역에서 제한이 있으며 동시에
평균 이하인 지능(I.Q. 70~75 이하)이라고 하였음.

2) 원인

• 선천적 원인
: 임신 중 태아의 감염(뇌염, 풍진, 뇌막염 등), 중독,
산모와 태아의 혈액형 부조화(RH-산모와 RH+태아),
염색체 이상(21번-다운증후군)

• 후천적 원인
: 물리적 외상(교통사고, 추락, 두부손상 등), 신진대사 이상,
영양장애(페닐케톤뇨증, 갈렉토스증, 저혈당증 등),
뇌의 성장 이상, 난산으로 인한 산소결핍, 뇌손상,
양육과정에서 부모의 따뜻한 보살핌을 받지 못했거나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환경 속에서 성장하였을 경우

60
3) 특징

• 기억력이 낮아서 모방학습이 잘 안 됨.

• 주의가 산만하여 집중시간이 짧음.

• 전이와 일반화가 안 되고 응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어려움.

• 의사소통능력이 저하되어 대인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나타내기도 함.

4) 장애등급 폐지 전 장애정도(2019년 7월 이전)

• 1급(중(重)도/강력한 지원)
: IQ가 35 미만, 일생동안 보호와 지원 필요.

• 2급(중등도/제한적 지원)
: IQ가 35~49, 교육보다 훈련에 중점 두어 재활,
단순직에 종사 가능.

• 3급(경도/간헐적 지원)
: 지적장애인의 대부분(약 80%)을 차지, IQ가 50~75,
교육 가능, 직업생활 가능, 약간의 도움만 주어도
사회에 통합되는 데 무리가 없음.

61
5) 장애정도(2019년 7월 이후)

• 지능지수가 70 이하인 사람으로서 교육을 통한


사회적·직업적 재활이 가능한 사람

나 자폐성 장애

1) 정의

• 언어·신체표현·자기조절·사회적응 기능 및 능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

cf) 1943년 Kanner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고


보통 30개월 이전에 나타남.

2) 원인

• 약물중독, 대사장애, 감염성 질환(풍진 등), 뇌의 이상 등.

62
3) 증상

• 유아의 경우, 안아주는 것을 거부함.


(등을 뒤쪽으로 활처럼 휘는 것)

• 유아기에 아주 수동적이거나 지나치게 흥분된 아이라는 느낌을 줌.

• 대체로 사람에 대한 반응이 없으며 자기고립적


→ 대인관계를 형성하지 못함.

• 특정한 물건, 생물에 관심이나 애착을 보임


(예: 자동차 바퀴에 집착, ...)

• 대명사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등 언어습득이 지연됨.

• 반향어 즉, 앵무새처럼 다른 사람의 말을 되풀이하는 경향이 있음.

• 변화에 대한 저항이 심하고 동일성 유지에 대한 강박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음(예: 늘 같은 음식, 같은 색깔의 옷, 같은 길로만
가려고 하고, 틀에 박힌 놀이를 반복).

• 주의집중시간이 짧아 학습능력이 떨어지나(상상력의 결여를 보임)


기계적 암기력은 좋음.

• 감정조절 능력 부족,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을 때


자해를 하기도 함.

• 외견상 정상적인 신체발달을 보임.

63
4) 판정

• 정신과, 소아정신과 전문의가 있는 의료기관에서 판정.

5) 장애정도

• 제10차 국제질병사인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0th Version)의 진단기준에 따른 전반성발달장애
(자폐증)로 정상발달의 단계가 나타나지 않고, 기능 및 능력
장애로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간헐적인 도움이 필요한 사람.

다 정신장애

1) 정의
• 생물학적· 심리적 병변으로 인하여 정신기능의 제 영역인 지능,
지각, 사고, 기억, 의식, 정동, 성격 등에서 병리적인 현상이
진행되는 것.

2) 원인
• 유전, 가족의 상호작용 특성, 개인의 내적·외적 스트레스 등.

3) 유형
• 조현병, 반복성 우울장애, 양극성정동장애(조울병),
분열형정동장애 등.

64
4) 판정

가) 시기
• 1년 이상의 지속적인 치료 후에도 호전의 기미가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되었을 때

• 치료결과에 따라 상태의 변화가능성이 있으므로 매 2년마다 재판정.

• 다만, 2회에 걸친 재판정에서 최초판정 시와 동급판정을 받은 경우


(최초판정을 합하여 3회에 걸쳐 동급판정)에는 이후의 의무적인
재판정에서 제외.

나) 검진기관은 1년간 지속적으로 치료받은 정신의료기관 또는


최근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치료받은 정신의료기관.

5) 장애정도

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① 조현병 또는 뇌의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기질성 정신장애로


망상, 환청, 사고장애 및 기괴한 행동 등의 양성증상이 있으나,
인격변화나 퇴행은 심하지 않은 경우로서 기능 및 능력 장애
로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간헐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

② 양극성 정동장애(情動障碍, 여러 현실 상황에서 부적절한


정서 반응을 보이는 장애)에 따른 기분·의욕·행동 및 사고의
장애증상이 심하지는 않으나, 증상기가 지속되거나 자주 반복
되는 경우로서 기능 및 능력 장애로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간헐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

65
③ 재발성 우울장애로 기분·의욕·행동 등에 대한 우울 증상기가
지속되거나 자주 반복되는 경우로서 기능 및 능력 장애로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간헐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

④ 조현정동장애(調絃情動障碍)로 ①부터 ③까지에 준하는 증상이


있는 사람.

나)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① 조현병 또는 뇌의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기질성 정신장애로


망상, 환청, 사고장애 및 기괴한 행동 등의 양성증상이 있으나,
인격변화나 퇴행은 심하지 않은 경우로서 기능 및 능력 장애로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경미한 도움이 필요한 사람.

② 양극성 정동장애(情動障碍, 여러 현실 상황에서 부적절한


정서 반응을 보이는 장애)에 따른 기분·의욕·행동 및 사고의
장애증상이 심하지는 않으나, 증상기가 지속되거나 자주 반복
되는 경우로서 기능 및 능력 장애로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경미한 도움이 필요한 사람.

66
③ 재발성 우울장애로 기분·의욕·행동 등에 대한 우울 증상기가
지속되거나 자주 반복되는 경우로서 기능 및 능력 장애로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경미한 도움이 필요한 사람.

④ 조현정동장애(調絃情動障碍)로 ①부터 ③까지에 준하는 증상이


있는 사람.

⑤ 지속적인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는 강박장애, 투렛장애


(Tourette’s disorder) 또는 기면증으로 기분·의욕·행동 및
사고의 장애증상이 심한 경우로서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수시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

<표> 장애인복지법상 15가지 장애유형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지체장애 절단장애, 관절장애, 지체기능장애, 변형 등의 장애
뇌병변장애 뇌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
외부 시각장애 시력장애, 시야결손장애
신체기능의
장애 청각장애 청력장애, 평형기능장애
언어장애 언어장애, 음성장애, 구어장애
신체적 안면장애 안면부의 추상, 함몰, 비후 등 변형으로 인한 장애
장애 신장장애 투석치료중이거나 신장을 이식 받은 경우
심장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심장기능 이상
내부기관의 간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 중증의 간기능 이상
장애 호흡기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 중증의 호흡기기능 이상
장루·요루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장루·요루
뇌전증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 중증의 뇌전증
지적장애 지능지수가 70이하인 경우
정신적 발달장애
자폐성장애 소아청소년 자폐 등 자폐성 장애
장애
정신장애 정신장애 정신분열병, 분열형정동장애, 양극성정동장애, 반복성우울장애

67
차시 예고
장애인의 생활실태와 인식개선

68
장애인복지론
2주차. 장애에 대한 이해
2교시. 장애인의 생활실태와 인식개선

1. 장애인의 생활실태(2020년 장애인실태조사)


가 건강

1) 주관적 건강상태

• 좋음과 나쁨은 감소했으며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증가함.

• 전체 인구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15.6%임

69
2) 우울감 경험, 자살생각

• 우울감 경험률은 18.2%이며, 자살 생각률은 11.1%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체 인구의 우울감 경험율(10.5%) 에 비해 높은 수준임

• 특히 만 65세 이상 장애노인의 우울감 경험률은 18.5%,


자살 생각률은 11.5%로 높은 수준임.

3) 스트레스 인지율

• 만 19세 이상 장애인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33.7%로


전체 인구(28.6%)에 비해 높게 나타남.

70
4) 정기적, 지속적 진료 여부

• 장애인의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은 낮아지고 미충족 의료서비스


경험은 큰 폭의 증가를 보여서, 코로나19 장기화 등 사회환경 변
화로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남

• 장애인이 정기적으로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을 하는 경우는


76.3%로 2017년과 비교하여 낮아짐

5) 미충족의료율(병의원)

• 장애인이 최근 1년간 병의원에 가고 싶을 때 가지 못한 경험은


32.4%로 2017년에 비해 약 2배에 가까운 증가를 보임

• 전체 인구의 연간 미충족 의료율(6.6%, 2019 국민건강통계)과


비교할 때 약 5배 높음

• 장애인 미충족 의료서비스 경험의 주된 이유는 의료기관까지의


이동 불편(29.8%), 경제적 이유(20.8%), 증상의 가벼움
(19.3%)으로 이동의 어려움이 경제적 이유 보다 높게 나타나
이전과 차이를 보임

•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장애인의 외출빈도가 크게 감소한 점도


병의원 이용 경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임.

71
※ 2020년 전체 국민의 보건의료서비스 이용률은 관련 조사 및
통계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환경을 원인으로 고려할 수 있음.

전체적으로 의료서비스 이용이 제한된 상황에서 장애인의 경우


에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이 감소하고 미충족 의료 경험은 높게
나타날 수 있음

• 2020년 의료서비스 경험조사: 2020년(상반기)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은 59.1%로 2019년(68.9%) 동기간에 비해
9.8%p 감소 (보건복지부)

• 2020년 상반기 진료비 주요통계: 명세서 건수 13.3% 감소,


내원일수 12.5% 감소(건강 보험심사평가원)

72
나 사회적 특성

1) 생활만족도

• 장애인의 생활만족도는 2017년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나


여가생활 만족도는 낮아짐

• 생활만족도는 3.2점으로 2017년과 동일하고,


문화 및 여가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2.9점으로 감소함

※ 5점 기준: 5점 매우 만족 ~ 1점 매우 불만족

※ 2017년: 생활만족도 3.2점,


문화 및 여가생활에 대한 만족도 3.0점

73
2) 장애인 차별 관련 인식

• 장애인 차별에 대한 인식은 좋아졌다고 느끼는 반면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인식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음

• 장애인 차별에 대하여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36.5%로


2017년 20.1%, 2014년 27.4%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대해서 ‘알고 있다’로 응답한 경우는
10.5%로 2017년 13.9%에서 감소함

• 장애인 차별이 없다는 응답은 이전에 비해 높아졌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므로 지속적인 차별 예방 노력이 필요함

• 「장애인차별금지법」인지 비율은 다소 감소하였는데


연령별로는 장애노인의 인지 비율은 5% 수준으로 낮음

※ 장애인 차별 인식(차별 없음): 2017년 20.1%, 2014년 27.4%


※ 장애인 차별 금지법 (알고 있음): 2017년 13.9%, 2014년 8.3%

74
3) 외출빈도

• 지난 1개월 간 장애인의 외출 빈도는 거의 매일 외출하는 경우가


45.4%로 2017년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전혀 외출하지 않는 경우는 8.8%로 2배 정도 늘어남

• 주 1~3회 외출(32.9%)과 월 1~3회(12.9%)는 증가하여


장애인이 외출 빈도를 줄이고, 외출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진 것
으로 보임

• 외출하지 않은 이유는 ‘장애로 인한 불편함’이 가장 큰 이유이나


‘도우미 부재’와 함께 감소 경향을 보이고, ‘코로나19로 인해’
이외 ‘교통 불편’, ‘하고 싶지 않아서’는 증가 경향을 보임.

75
4) 교통수단 이용

• 교통수단 이용 시 장애인의 39.8%가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2017년에 비해 증가함

• 교통수단 이용이 어려운 이유는 ‘버스·택시가 불편해서’(52.6%),


‘장애인 콜택시 등 전용교통수단 부족’(17.4%),
‘지하철 편의시설 부족’(12.1%)의 순으로 높음

• 다만, 버스‧택시 불편도, 지하철 편의시설 부족, 전용 교통수단


부족의 이유는 2014, 2017년에 비해서 지속적으로 감소 경향임

76
다 일상생활 및 돌봄 특성

 장애인의 일상생활 수행 시 도움 필요 정도는 장애인의 32.1%가


타인의 도움을 필요하여 2017년 33.9%에 비해 다소 감소함.
다만 지원 수준이 높은(거의 남의 도움 필요)경우는 6.2%로
증가함

 만65세 이상 장애노인의 경우 일상생활에서 도움이 필요한


경우는 34.1%로 전체 장애인에 비해 높으며,
2017년(장애노인의 일상생활 도움이 필요한 비율 37.6%)에
비해서 다소 감소함

77
• 일상생활 지원 서비스(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노인장기요양보험,
장애인 생활도우미 등)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13.5%로
2017년에 비해 4.0%p 증가함

• 주 도움제공자는 가족구성원이 76.9%(2017년 81.9%)로


여전히 가족의 부담이 높았음

• 활동지원사, 요양보호사 등 공적 돌봄서비스 제공자가


주 도움제공자인 비율은 18.7%로 2017년 11.5%,
2014년의 11.1%에서 큰 폭으로 증가함

• 장애인활동지원사업 확대, 발달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등


돌봄지원 서비스 확대 노력의 결과라 할 수 있음

78
•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등 돌봄서비스 확대와 이용 경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의 일상생활 지원의 충분 수준(현재 도움 충분도)은
낮아진 경향을 보임

• 현재 도움이 충분하다는 비율은 54.9%로 2017년 63.6%에 비해 감소

• 서비스 이용률이 증가했음에도 돌봄이 불충분하다는 비율이 높아진 것은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서비스 이용 환경 변화 등 요인을 고려할 수 있음

79
라 경제적 특성

 장애인가구의 주관적 경제적 계층 인식은 2017년에 비해 하향함

 자신의 경제 상태에 대해 상층 혹은 중층으로 인식하는 비율은


30.6%로 2017년의 38.5%에서 7.9%p 감소함

 장애인의 69.4%는 자신의 가구를 경제적으로 어려운 저소득


가구(일반 가구의 1.8배)로 인식하고, 전체 인구는 60.9%가
자신을 중상층으로 인식하여 상반된 경향을 보임

 장애인 가구는 낮은 소득 수준과 식·주거 및 의료비 지출 비중이


높은 열악한 경제 구조로 파악됨

80
마 복지서비스 수요

 국가 및 사회에 대해 가장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사항은


‘소득보장’(48.9%), ‘의료보장’(27.9%), ‘주거보장’(7.4%),
‘고용보장’(3.6%)의 순으로 나타남

 소득보장 욕구가 더욱 커지고, 의료보장에 이어 주거보장 욕구가


높게 나타나 2017년과 차이를 보임

• 소득보장 욕구의 증가와 고용보장 욕구의 감소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소득감소 및 고용시장 위축을 고려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음

※ 2017년: 소득보장(41.0%), 의료보장(27.6%), 고용보장(9.2%)

81
• 향후 보육·교육 시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27.0%가 발달재활서비스
확대를 꼽았고, 다음으로 특수교육 보조인력 증원(19.7%)이
높게 나타남

• 학령기전 장애아동은 특수교육 보조인력 증원, 초등학교 연령대


장애아동은 발달재활서비스 확대, 중학교 연령대 이상 장애아동은
특수교육 보조인력 증원 욕구가 높음

82
• 여성장애인이 가장 필요로 하는 서비스는 자녀양육 지원 서비스
(13.3%)를 가장 많이 원하였고,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11.3%),
출산비용 지원(10.2%), 건강관리 프로그램(10.0%)에 대한
욕구가 높음

• 연령대별로 20대는 ‘활동지원서비스’, 30대는 ‘출산비 지원’,


40대는 ‘자녀양육지원’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83
2.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가 장애인에 대한 인식 실태

1) 공무원

• 「공무원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경기도 공무원들의 사회복지업무 경험 유무는
장애인시설에 대한 인식에 차이를 가져옴.

• 사회복지업무 및 장애인 관련 교육경험이 있는 공무원은


그렇지 못한 공무원보다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84
• 최문경(2005)은 장애인이 주변에 있는지 여부 및 교육경험이
있는지 여부가 공무원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함.

• 따라서 접촉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언함.

2) 사회복지사

• 이학범(2000)의 연구결과, 장애인과 빈번한 접촉을 하는


사회복지사가 일반인에 비해 장애인에 대해 높은 인식과 태도
수준을 가지고 있었음.

• 또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장애인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개발되어야 함을 제언함.

85
3) 대학생

• 김인호(2002)는 대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긍정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초·중·고등학교 시절에 장애인과의 잦은
접촉을 통해 장애인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함.

4) 청소년

• 김태성(2005)은 청소년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해


장애인시설에서의 자원봉사활동, 장애체험, 장애예방교육,
장애예방 캠페인 등의 활성화 및 통합교육 등을 제언함.

5) 사회지도층

• 강석주(2008)는 사회지도층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원봉사경험, 장애인 관련 교육경험, 자아존중감
이라고 함.

• 또한 가족이나 친척 중 장애인이 있는 경우와 자아존중감은


장애인에 대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남.

• 따라서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프로그램 개발과 장애인에 대한


자원봉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함.

86
나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EDI 행동 프로그램)

 EDI 행동 프로그램은 2008년부터 사업주, 인사담당자, 비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인식개선을 위해 공단 고용개발원에서 개발하여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

 2007년 미국 윈드밀 프로그램 매뉴얼 원문을 구입하여 한국어로


번역, 활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2008년 국내 실정에 맞게 프로그램
을 구성하여 EDI 행동 프로그램을 개발함.

 2010년에는 보완하여 2010년 EDI 행동 프로그램 II를 개발함.

 프로그램의 모듈별 내용은 범주별로 보면 장애 일반과 직업일반으로


구분하거나 고용 전과 고용 후로 구분하여 내용을 구성함.

<표> EDI 행동 프로그램의 모듈별 내용


연번 모듈명 내용 단계
장애라는 것은 나와 전화 관계가 없는 것이 아니라 장애
1 장애와 나
나, 가족 그리고 사화환경적 문제라는 것을 알게 함 일반
장애인이라도 다양한 능력과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장애로 장애
2 정말 그럴까?
인한 잘못(심리적·기능적)된 추론이 옳지 않음을 알게 함 일반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것은 장애가 아니라 직무수행
직업
3 에피소드1 능력이며 장애가 있더라도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일반
참여자들 스스로 알게 함
장애로 인해 직무수행능력이 저하되는 것은 아니며, 장애가
직업
4 장애와 직무능력 있더라도 직무수행능력과 팀워크를 할 수 있음을 참여자들이
일반
스스로 알게 함
방법이 장애가 있어도 직무수행능력이 있으면 직무를 수행할 수 있으 직업
5
다를 뿐 며, 이는 단지 방법이 다를 뿐임을 알게 함 일반
장애유형과 등급에 따라 적합한 직업이 있는 것이 아니라 직업
6 장애와 직업
직무수행 능력이 직업선택에 중요함으로 알 수 있도록 함 일반
장애인 근로자의 직접적인 직무수행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직업
7 배려 활동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며 이는 단순한 것부터 시작될 수
일반
있음을 알게 함
(1/3)

87
연번 모듈명 내용 단계
회사가 장애인을 고용하는 것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8 에피소드2 것이며 이는 회사 이미지 향상에 긍정적임을 참여자들이 고용전
알게 함
장애인 근로자 모집 시 발생할 수 있는 편견에 대해 알아보고
9 모집 고용전
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함
장애인 근로자와 함께 일하는 것이 불안하거나 어렵지 않다는
10 장애불안 고용전
것을 실제 논의를 통해서 알게 함

발 없는 말이 장애인 근로자 배치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소문의 영향을


11 고용전
천리 간다 살펴보고 이러한 소문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처방법을 알게 함

부서나 팀에 장애인 근로자 배치 시 목표달성에 부정적 영향을


12 직무배치 고용전
주는 것이 아니며 직무수행능력이 중요함을 알게 함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업무지시나 지도 그리고 비장애인 근로
13 의사소통 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고용전
알게 함
장애인 근로자와 비장애인 근로자 사이의 원활한 직무수행과
14 직장 동료 고용전
협력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알게 함
(2/3)

연번 모듈명 내용 단계
장애인 고용과 장애인 고용이 사업체에 긍정적 이미지 형성과 실제 생산성
15 고용후
사업체 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참여자 논의를 통해서 알게 함

장애가 있으면 산업안전에 더 취약한 것이 아니라 장애인이


16 산업안전 든 비장애인이든 안전에 주의하는 것은 마찬가지라는 것을 고용후
알게 함

장애인의 직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보조도구, 편의시설,


17 편의제공 그리고 직무편의가 정당하며 이러한 편의제공이 큰 비용이나 고용후
어려운 것이 아님을 참여자들 스스로 알게 함

장애인 차별사례 분석을 통해 직장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18 차별사례 분석 차별의 종류에 대해 논의하여 장애인 차별을 예방할 수 고용후
있도록 함
(3/3)

88
차시 예고
장애인복지의 역사

89
장애인복지론
3주차. 장애인복지의 역사
1교시. 서구의 장애인복지의 역사와 관점
(고대, 중세, 근대, 현대)

1. 장애인복지의 역사적 발달과정의 중요성


 현재 우리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제도 등이
역사성과 시대성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

 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인식과 제도는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형성됨.

 장애인복지를 이해하고 발전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역사에 대한 인식이 기초가 되어야 함.

90
2. 서구 장애인복지의 역사적 관점
구분 내용

- 장애에 대한 미신, 편견 등 부정적 인식이 지배적,


고대
이로 인해 장애인을 유기, 학대하던 시기

- 장애인에 대한 편견, 차별, 학대


중세
→ 자비와 동정으로 변화되고 구제가 시작된 시기

- 근대사상의 영향과 더불어 장애인관에 큰 변화가 이루어짐.


근대
- 장애인 교육이 시작되었고 장애인을 시설에 수용.

제1기 1910~1960년대로 장애인복지의 태동기


제2기 1970년대로 장애인복지의 전환기
현대
제3기 1980년대로 장애인복지의 발전기
제4기 1990년대로 장애인복지의 도약기

가 고대의 장애인복지

1) 고대사회의 당면과제

가) 최대의 관심사는 파괴적인 자연, 동물, 적으로부터


자신과 종족을 보존할 수 있는가.

나) 고대사회는 농경사회로 노동력은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건이었음.

다) 그러나 장애인은 전투력과 노동력이 부족하여


종족의 안정과 단결에 공헌하지 못했음.

라) 이런 장애인은 결국 유기, 추방, 도태됨.

91
2) 고대사회의 장애관

가) 장애에 대한 미신, 편견 등 부정적 인식이 지배적,


이로 인해 장애인을 유기, 학대하던 시기.

• 신체장애아를 절벽에서 던져 버림.

• 그리스, 로마, 스파르타는 장애 영아를 살해하는 풍습이 있었음

• 로마인들은 청각장애인들을 리베르강에 던져 익사시키거나


투기장과 흥행장, 귀족들 연회의 노리개감으로 이용.

• 네로왕은 장애인을 활쏘기 연습의 표적으로 삼기도 했음


(숭실대학교 장애인복지연구회, 2004).

나) 고대의 기독교 사상은 중세시대 장애인 보호와 서구 인권론의


사상적 뿌리가 됨.

• 장애인에 대한 학대와 유기가 자행된 반면,


종교적 동기에 입각한 장애인보호사상도 발견됨.

• 구약성경은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존재로 언급함으


로써, 장애인을 포함하여 모든 인간의 존엄성의 근거를 제공함.

• 반면, 장애인에 대해 ‘죄의 대가’, 혹은 ‘저주받은 사람’이라는


부정적 견해도 있었음.

• 신약성경은 장애인에 대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인식을 표현함.

92
• 장애를 하나님의 섭리로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것이라는
관점으로 보았고, 예수는 장애인을 치유하여 장애인에 대한
구체적인 사랑을 표현하였음. 그리고 장애인도 하나님 나라의
당당한 구성원임을 언급함.

• 이러한 신약성경의 사상은 이후 중세의 장애인에 대한 자선에


많은 영향을 미침.

나 중세의 장애인복지

1) 장애인에 대한 편견, 차별, 학대


→ 자비와 동정으로 변화되고 구제가 시작된 시기

2) 중세는 과학의 발달과 문예부흥, 종교개혁 등을 통해


인간 존중 사상이 발전함에 따라 장애인복지도 발달.

3) 중세에는 종교적 자선, 박애에 입각한 장애인 구제노력이


싹트기 시작함.

4) 중세초기의 성직자들은 빈민, 장애인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을 설립.

93
5) 장애인의 교육, 의료, 직업과 같은 사회참여에도 관심을 두기
시작함.

6) 그러나 장애인에 대해서 이웃으로 수용하기보다


동정의 대상으로 일방적인 시혜를 베풂.

다 근대의 장애인복지

1) 장애인에 대한 인식변화의 시기

가) 르네상스, 의학의 발전, 종교개혁, 철학사상의 변화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변화의 계기를 마련.

나) 르네상스는 신 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


금욕주의에서 자연주의로, 권위주의에서 이성주의로
모든 중세적 세계관을 극복하고 근세적인 인간중심주의로
환원하려는 특징을 갖고 있음.

94
다) 근대의 인문주의자은 고대와 중세의 편견과 미신으로부터
탈피하여 장애인의 본성과 장애의 본질을 합리적으로 이해하게
하였으며, 장애인에 대한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도록 하였음.

라) 그리고 종교개혁은 교육이 빈부, 성별, 능력, 계급에 관계없이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한 보통교육이어야 하며,
학교의 설립 및 유지는 정부의 책임이라고 주장하였음.

2) 재활가능성을 모색한 시기

가) 의학의 발전과 더불어 장애아동에 대해 미신적 편견으로 인한


운명론을 극복하게 하였음.

나) 16세기에 접어들면서 성직자를 중심으로 장애아에 대한


교육의 시도가 이루어짐.

다) 18세기에는 교육의 보편화 운동으로 인해


일반 서민 자녀의 교육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었음.

라) 일반아동에 대한 교육은 특수아동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키게 됨.

95
마) 19세기 후반부터는 생리학, 의학, 사회심리학의 발전으로
장애아를 위한 특수교육이 촉진됨.

바) 19세기 초, 유럽에 설립된 시설은 장애인에 대한 보호와 교육이


함께 이루어짐.

라 현대의 장애인복지

1) 제1기: 태동기(1910~1960)

가) 제1차 세계대전과 장애군인

① 전쟁에 참여했던 퇴역 상이군인의 복지증진을 위한 각종 제도 발달.

② 영국에서는 1919년에 임의할당제도로서 퇴역상이군인을


일정비율 이상 고용하고 있는 고용주의 방명록제도를 설치함.

③ 이탈리아에서는 1921년, 전쟁으로 인한 신체장애인의 고용의무를


정한 법률이 제정됨.

④ 신체장애인의 범위를 퇴역한 상이군인들을 위주에서


점차 모든 신체장애인으로 확대함.

96
나) 제2차 세계대전과 장애인고용에 관한 법률

① 1923년 국제노동기구(ILO)가 상이군인을 중심으로 한


신체장애인의 고용촉진방법연구회를 운영.

② 영국에서는 1944년 3월 ‘신체장애인고용법’이 제정되었음.

③ 이탈리아에서는 1947년 ‘산재장애인의무고용법’이 제정됨.

④ 서독에서는 1953년 ‘신체장애인고용법’을 제정.

⑤ 1955년에는 38회 ILO총회에서 신체장애인의 직업재활에 관한


국제적 기준을 제시.

• 고용주가 일정배율의 신체장애인을 고용할 것(고용의무제),

• 신체장애인을 위한 지정 직종을 보유할 것,

• 중증의 신체장애인에게 적당한 직종으로 고용의 기회를 줄 것


(보호 고용) 등.

⑥ 프랑스는 1955년에 ‘할당고용법’을 제정하였고


1957년에는 ‘재활기준법’을 제정 실시.

97
다) 1960년대는 정상화 이념으로 인해 장애인노동정책이 더욱
강화된 시기

① 벨기에는 1963년 ‘장애인고용법’을 제정, 실시.

② 오스트레일리아는 1968년 ‘직업재활법’을 제정하였고


1969년에 ‘보호고용법’을 제정, 실시.

③ 미국은 1920년에 제정한 ‘직업재활법’을 1967년에 개정하여


중도장애인의 직업훈련을 확대.

2) 제2기: 전환기(1970년대)

가) 1970년대는 장애인의 인간적 가치를 재인식하는 시기

• 장애에 관한 각종 국제적 선언문이 발표됨

• 1971년, UN, 정신지체인의 권리선언

• 1972년, UN, ‘청각장애인의 권리선언

• 1975년, UN, 장애인의 권리선언

98
나) 정상화(Normalization)의 이념의 영향

• 장애인도 정상인과 마찬가지로 모든 사회활동에 참여할 권리가


있음을 선언.

• 모든 국가는 장애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이를 보장하는


적극적 시책을 펴 줄 것을 촉구함.

다) 정부의 대책을 촉구하는 시기

• 1970년대부터 수용시설 중심 → 지역중심의 재활이 강조됨.

• 중증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지향하는 형태로 변화.

라) 각국의 장애관련 법률 제정

• 영국은 1970년 ‘만성병 및 장애인법’을 제정

• 독일은 1974년에 ‘중증장애인법’을 제정

• 미국은 1970년에 ‘발달장애인서비스 및 시설건축물법’을 제정.

1973년에는 ‘직업재활법’ → ‘재활법’,


직업재활정책에서 소외된 중증장애인까지 포함.

1975년에는 ‘장애아동교육법’을 제정,

1978년 ‘장애인 부조 및 권리법’을 제정


(기존의 장애의 분류별 정의 삭제, 사례관리 도입).

‘재활법’ 제정 이후, 전국적으로 자립생활센터가 설립됨.

99
3) 제3기: 발전기(1980년대)

가) 1980년대는 장애인복지가 도약한 시기

• UN은 1981년을 ‘세계장애인의 해’로 정함.


(주제: 완전한 사회참여와 평등)

• UN은 1983~1992년을 ‘UN 장애인 10년’으로 선포하고


‘장애인에 관한 세계행동계획’을 발표.

나) 각국의 법률 제정

• 스웨덴은 1986년 ‘정신지체인 특별법’을 제정.

• 영국은 1981년 ‘장애인법’을 제정하여 건축물에


장애인 편의시설 및 주차공간 확보를 하도록 함.

• 독일은 1980년대, 중증장애인을 위한 보호작업장 설치,


직업재활 등에 주력.

• 미국은 1984년 ‘발달장애인법’을 제정(1987년 개정)하면서


장애인이 구직활동을 보장함.

100
다) 자립생활운동의 등장

• 이 모델의 핵심은 장애 문제는 장애인 운동을 통해서

• 사회에 만연한 심리적, 물리적, 사회적 장벽 등을 제거하는 활동


을 통해서 해결해야 함을 주장.

• 이 운동은 미국의 중증 지체장애 대학생들이 전문가의 도움 없이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자 하는 움직임에서 출발.

라) 1980년대의 장애인복지정책

• 장애인의 기회평등화에 초점.

• 이를 위해 접근성, 교육, 소득, 사회보장, 가족생활, 문화, 여가,


종교 등의 영역에 규칙 제시.

101
4) 제4기: 도약기(1990년대)
가) 장애인 복지가 형태를 갖춘 시기

• 사회통합을 위한 장애인의 능력개발과 접근성 보장을 위한


노력 병행.
(예: 건축물, 이동 시스템, 사회․심리적 주민의식개선 등)

• UN은 ‘장애인의 기회균등을 위한 표준 규칙’을 채택하여


주체성, 자조생활, 문화 항목 보완.

나) 각국의 법률 제정

• 스웨덴은 1994년 장애인 옴부스맨 사무소를 설치 운영

• 미국은 1990년 ‘장애를 가진 미국인법’ 제정.


이 법은 우리나라의 장애인차별금지법에 해당.
(이 법은 장애인이 사업장, 도로, 전화, 통신서비스의 이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고, 고용근로자 15인 이상의 기업은 장애인을 고용하
도록 하고 적합한 환경, 특별장비의 마련 및 청각장애인을 위한 통역사
배치를 명시함. 또한 건축물과 대중교통수단도 장애인의 출입이 가능
하도록 설계·제작하여야 한다고 규정)

• 호주는 1992년 ‘장애인차별금지법’을 제정

• 영국은 1991년, 장애생활수당과 장애근로수당을 도입,


1995년에 ‘장애차별금지법’을 제정

102
다) 현대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관점

•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차이가 없다는 신념을 강조

• 장애인들이 비장애인이 누리는 권리와 자유를 가질 자격이


있음을 강조.

• 요컨대, 장애인복지는 인권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차시 예고
한국의 장애인복지의 역사와 발전과정

103
장애인복지론
3주차. 장애인복지의 역사
2교시. 한국의 장애인복지의 역사와 발전과정

1. 근대 이전
가 삼국시대

1) 삼국시대에 백성들의 생활 안정은 국가의 존립과 직결.

2) 빈곤한 백성에 대한 구제사업은 중요한 국가시책 이었음.

• 관에서 비축하고 있는 양곡을 빈곤한 백성에게 배급하는 관곡의 곡진(穀賑),

• 무의무탁한 홀아비·과부·고아·노인을 구제하는 사궁구휼(四窮救恤),

• ‘불구폐질자’에 대한 구제가 이루어졌으며


재해 이재민에게 조세를 감면하는 조조감면(租調減免)
등의 시책을 시행함.

104
cf)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28년(유리왕 5년)에
불구폐질자(不具廢疾者)로서 자활능력이 없는 자에게
급식, 건강이나 위생을 돌보아 주게 하였고,
고구려 196년(고국천왕 18년)과 백제 312년 (비류왕 9년) 등
에도 구휼한 사실이 있었음(한국민족문화대백과, 2010).

나 고려시대

1) 장애인에게 특혜 제공

• 고려의 1138년(인종 16년)에는 장애인에게 형법상의 특혜를


준 일이 있음.

• 1260년(원종 1년)과 1308년(충렬왕 34년)에는


부역이나 병역에 특혜를 주었음.

• 보호자가 없는 경우, 동서대비원(東西大悲院)에 수용,


보호하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음.

105
2) 장애인의 직업

• 맹인들을 위하여 과거에 복업을 포함시켜 복인을 선발

cf) 복업은 고려 시대 과거의 잡업(雜業) 중 하나이며


복은 일·월·성·신, 즉 천문의 운행을 관찰하는 것으로
복인은 복박사·복정·일관 등의 천문을 담당하는 관직이었음.

• 또한 돈을 받고 점을 쳐 주는 매복맹인이 있었음.
매복맹인들은 구병을 위한 독경을 하고, 기우제를 지내며 궁중
이나 민간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역할을 했으며 대우가 좋았는데
장애인에게 정식적으로 주어진 최초의 직업이라 볼 수 있음.

다 조선시대

1) 각종 구휼제도

가) 1393년(태조 2년), 1419년(세종 1년)에 장애인에 대한


구휼과 부역면제를 해줌.

나) 1457년(세조 3년)에는 동서활인원(東西活人院)을 설립


• 장애인, 맹인, 질병에 걸린 자, 돌보아 줄 사람이 없는 자 등을 구제

다) 흉년에 곤궁한 백성을 구원하여 도와주는 진휼을 실시.

106
2) 장애인의 직업

가) 1783년(정조 7년)에는 불구폐질자를 규정하여 맹인은 복술을,


절름발이는 그물 짜는 일을 통해 자립하도록 하였음.

나)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구휼사업이 이루어졌으나,


대부분의 장애인은 친족부양에 의존하였음.

2. 근대
가 기독교의 영향

1) 선교사에 의한 장애인학교 설립

• 미국선교사 홀(Hall,R.S.)은 1894년, 우리나라 최초의 특수학교인


평양여맹학교를 설립함.

• 1909년에 최초의 농학교인 평양농아학교를 설립함.

• 그 후, 평양여맹학교와 평양농아학교를 합병하여 평양맹아학교로 개칭.

• 선교사에 의하여 시작된 특수교육은 정부가 개입함으로써


법적 근거가 설치되어 빠르게 발전함.

107
2) 내국인에 의한 장애인학교 설립

• 1935년 이창호(李昌浩) 목사가 평양광명맹아학교 설립.


(한국인에 의해 설립된 최초의 특수학교)

• 1938년 제생원 졸업생인 손용주가 원산맹학교를 설립.

나 정부의 학교 설립

1) 1913년 최초의 관립특수학교인 제생원 맹아부(濟生院盲啞部)


를 서울에 설립함.

2) 1937년 동대문공립국민학교에 병·허약아를 위한 양호학급을


병설함.

3) 같은 해 7월, 헬렌 켈러의 내한강연이 개최되어


장애인에 이해와 특수교육의 필요성이 주장됨.

4) 1948년에는 정신박약아 수용시설인 중앙각심학원을 설립.


이후 국립재활원이 되었음.

108
3. 현대
가 장애인복지의 태동기(정부수립 이후~1970년대 까지)

1) 상이군경에 대한 국가보훈사업

• 6·25전쟁의 영향으로 군인이나 경찰의 특수집단을 위한 제도가


마련되기 시작함.

• 이는 군인과 경찰들의 권익증진이라는 차원에서 제정된 것임.

• 1950년에 ‘군사원호법’이 제정.

• 1953년부터는 연금을 지급, 상이군경을 위한 무임승차권 발급,


직업재활사업 등 진행.

2) 특수교육진흥법 제정

• 장애인의 고등교육기회에 관한 차별과 취업상의 차별이


심각해지자 1977년에 제정·공포.

• 이 법에서 특수교육대상자는 시각·청각·정신·정서·언어·기타


심신장애자, 지체부자유자 등.

• 국가 및 지방자치 단체에게 특수교육진흥을 위한 시책을


강구하도록 함.

• 이 법의 제정취지는 장애인에게 교육기회를 부여함에 있어


차별을 금지하고자 한 것임.

109
3) 심신장애자종합대책

• 1978년 보건사회부는 ‘심신장애자 종합대책’을 발표.

• 1979년 장애자실태조사를 실시,


보건사회부 안에 장애자보호제도 수립을 위한 전담기구를 설치.

나 전환기(1981~1987년)

1) 1981년 최초의 장애인복지에 대한 종합적 법률이라 할 수 있는


‘심신장애자복지법’ 공포됨

2) 1982년 영세장애인에 대한 보장구교부사업 실시

3) 198년 장애인 취업알선사업 실시(한국장애자재활협회)

4) 1984년 장애인편의시설 의무화(건축법시행령)

5) 1986년 국립재활원 개원(1949년 5월 중앙각심학원으로 최초 설치)

6) 1987년 장애인등록 시범사업(서울 관악구, 충북 청원군)

110
다 발전기(1988~1997)

1) 장애인복지의 제도적 틀을 재정비

2) 재가장애인에 대한 본격적인 서비스의 확대를 도모

• 1988년 10월 제8회 장애인올림픽이 개최됨.


• 1988년 11월 장애인등록사업 전국 확대 실시.

3) 장애인복지법의 전면 제정

• 장애명칭 개칭.(지체부자유자를 지체장애인으로, 정신박약을 정신지체로)

4) 장애인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의 제정

• 1990년 ‘장애인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

• 장애인의 직업안정과 고용촉진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장애인고용촉진공단 설립.

5) 특수교육진흥법의 개정

• 1994년 1월 ‘특수교육진흥법개정안’이 공포됨.

• 이 법안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정을 의무교육으로 명시,


유치원과 고등학교 과정은 무상 규정.

• ‘통합교육’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명시되었음.

• 1999년 재개정.(순회교육, 통합교육, 치료교육등 다양한 교육방법들이규정됨)

111
6) 국립특수교육원 설립

• 1994년 교육부 장관 직할기관으로서 ‘국립특수교육원’이 설립됨.

• 특수교육에 관한 연구, 학습자료의 개발 및 보급,


특수교육 담당교원 등의 연수에 관한 사무 관장.

7)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 1995년 ‘장애인 편의시설의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을 제정·시행.

• 그러나 이 규칙 편의시설 설치를 지원할 수 있는 근거가 미흡,


이를 어길 시 제재수단이 미약.

•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1997년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 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

라 도약기(2000~ )

1)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장애인복지발전 5개년계획을 수립·시행.

2) 장애인복지법 개정

• 1999년 ‘장애인복지법’을 전면 개정.

• 개정된 장애인복지법은 장애범주확대, 장애인복지복지조성


위원회 설치, 정보접근권 명시, 장애인 우선 주택분양 및 비용지원,
장애인보조견 명시, 장애인수당제 실시 등의 내용이 신설되었음.

• 2000년부터 장애를 10종으로 확대,


2003년 7월부터 15종으로 확대됨.

112
3)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개정

• 2000년 1월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이 통과됨.

• 이 법률은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중증장애인의


고용촉진과 직업재활을 강조, 고용장려금의 지원단가를
경증장애인의 2배로 정하여 고용유인책을 강화하였음.

4) 2005년 ‘장애인기업활동촉진법’ 제정

5) 2006년 UN 장애인권리협약 채택

6) 2007년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시행

7) 2007년 ‘장애인차별및권리구제등에관한법률’ 제정공포


(‘08. 4. 11 시행)

8) 2010년 중증장애인 연금제도 도입

9) 2011년 중증장애아동 가족양육지원 돌보미 서비스

10) 2019년 장애등급제 폐지

113
차시 예고
장애를 설명하는 이론

114
장애인복지론
4주차. 장애를 설명하는 이론
1교시. 장애에 대한 관점(1)

1. 정상화와 사회적 역할 강화
가 정상화

1) 대두배경

• 1960년대까지 장애인에 대한 보호를 목적으로 한 시설중심의


복지서비스가 주를 이루었는데 이는 많은 경우 획일화된
생활환경에서 인간으로서의 존엄이 무시되곤 하였음.

• 시설중심의 접근법을 비판하면서 대두된 정상화 이론은


모든 사람이 시민으로서의 혜택을 완전히 누려야 한다는 권리의
철학으로, 장애인도 사회에 참여할 권리를 가진다는 사회정치적
의미를 내포.

115
2) 정의 및 발전과정

가) 1959년 덴마크의 지적장애인부모회가 지적장애인법을 토대로


‘지적장애인을 최대한 정상적인 생활조건에 가깝게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정의.

나) 1969년 미켈슨(Mikkelsen)과 니르에(Nirje)가 ‘발달장애인


(지적장애인)에 대한 평등한 기회’를 주장하면서 주목받기 시작.

• 미켈슨은 “정상화는 지적장애인이 가능한 한 보편에 가까운


생활을 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특히 주거, 일, 교육, 여가의
측면을 중요시함.

• 니르에는 “정상화는 모든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의 양식과 조건


을 사회의 보편적 환경과 생활방법에 가능한 한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하며 보편에 가까운 생활로서 “하루의 보편적 리듬,
일주일의 보편적 리듬, 일 년의 보편적 리듬, 생애주기에서의
보편적 경험, 보편적 요구의 존중, 이성과의 생활, 보편적 경제적
수준, 보편적 환경 수준”을 구체적으로 제시.

116
3) 기본원칙

가) 장애인의 생활상황을 가능하면 비장애인의 생활상황과 유사


하게 하고, 일상생활의 형태를 사회 주류에 근접하게 함.

cf) 주류란 중산층 국민이 영위하는 평균적인 생활양식을 말함.

나) 장애인복지시설 등에 거주하는 사람에게 비장애인과 같은


생활리듬을 찾아줌.

예) 시설장애인들은 정해진 시간에 일어나,


똑같은 메뉴로 식사를 하고, 정해진 시간에 노동을 하고,
정해진 시간에 잠자리에 들어야 하는 경우가 많음.

다) 장애인복지시설의 생활환경을 바꿈.

• 장애인시설의 공간배치(숙소, 식당 등) 규칙은 남녀를 구분하여


수용하고 서로 만나지 못하게 하는데 이는 지극히 부자연스러운
것이므로 비장애인들처럼 서로 대화하며 교제할 수 있도록
생활 환경을 바꿔야 함.

117
4) 정상화 vs 탈시설화

가) 공통점: 장애인의 지역사회 복귀

나) 차이점:

• 탈시설화는 시설의 비용절감 강조.


즉, 탈시설화는 시설의 유지를 위한 비합리적인 재정 투자에
반대하여 복지예산의 삭감에 대한 정치적 이유를 제공.

• 정상화는 재정투자의 대폭적인 증대를 통한


서비스 질의 향상을 주장.

나 사회적 역할 강화(Social Role valorization)

1) 정의

가) 가능한 한 사람들에게 가치 있는 사회적 역할을 습득, 유지시키


기 위해서는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수단을 이용해야 하는 것.

나) 1983년 미국의 울펜스버거(Wolfensberger)가


정상화이론으로부터 정교화한 것.

다) 이는 사회로부터 가치절하의 평가를 받은 사람들이, 가능한 한


다양한 영역과 가장 높은 수준에서 사회에서 가치를 인정받는
생활에 통합될 수 있어야 함을 의미.

118
라) 그러기 위해서는,

• 가치 있는 지역사회의 정상적인 가정에서 살아야 하고,

• 가치절하를 받지 않은 사람들과 동등한 교육을 받고,

• 그들과 동일한 시설 내에서 일할 수 있어야 하며,

• 사회구성원들이 누리는 일반적인 활동(예, 종교, 여가, 쇼핑 등)


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

2) 실천방법

가) 지역사회(학교, 일터, 가게, 레크리에이션센터, 교회 등)에서


장애인들의 존재가 비장애인들과 동등하게 보장받도록 해야 함.

나) 장애인들이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누구와 같이 살며,


어떤 종류의 일을 할 것 인지와 같은 중요한 일을 선택하고
결정하는데 사회적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함.

다) 장애인들이 활동, 거주, 의복, 언어 사용 등에 관하여


스스로 선택할 뿐 아니라, 정상적 시민으로 인식되도록
사회적 평판이나 인식을 계속 높여가야 함.

라) 장애인들에게 인간관계를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의 생활에 원활하게 참여하도록 해야 함.

119
3)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 형성의 7가지 요인

가) 울펜스버거는 사회적으로 가치절하 된 사람들을


사회에 통합하는 2가지 방법이 있다고 함.

나) 울펜스버거는 이러한 요인을 개선함에 따라 이미지가 향상되며,


가치 있는 사회적 역할이 부여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하였음.

① 가치 절하된 사람들의 사회적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것,

② 가치 절하된 사람들의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

• 서비스가 제공되는 장소
• 대상자의 인간관계
• 생활리듬
• 대상자에게 사용되는 호칭
• 서비스의 호칭
• 대상자의 외견
• 서비스 기관의 자금 수집방법

120
2. 개인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
가 개인적 모델

1) 장애는 개인의 문제

가) 장애를 개인에게 무작위로 발생하는 불행한 사건


(장애에 대한 개인적 비극이론을 형성).

나) 이 모델은 장애인을 비정상의 상태로 보고 이를 교정해야 함.

• 이 모델은 의학적 측면에서 장애인의 기능상실 혹은


능력부족을 강조

다) 장애인은 늘 치료의 대상이 되는 완전치 못한 사람.

• 장애를 유형별로 구분.

• 장애인에게 의료적인 진단명을 붙임.

• 이러한 명칭은 장애인을 부정적인 맥락에서 이해하는 계기가


되어 왔음.

• 이는 장애인에 대해 스테레오 타입화 된 인식들을 만들어 냄.

• 결과적으로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가져오게 되었음.

라) 개인에게 장애가 발생한 것이므로 해결도 개인이 해야 함.

• 치료 및 재활훈련을 통해 사회복귀.

121
2) 의료전문가의 역할

가) 의료전문가는 장애에 대한 치료에만 집중할 뿐,


개인의 선택과 결정을 인정하지 않음.

나) 의료전문가(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언어치료사 등)는 진단과 처방, 재활보조기구의 활용을 통해
장애문제를 해결하고자 함.

다) 의료전문가의 판단에 따라 장애인은 순응하는 역할만을


요구 받음.

3) 한계

가) 근본적인 한계

• 신체 및 정신적 기능의 손상은 완전히 회복될 수 없기 때문.

122
나) 심리학적 측면에서의 한계

• 신체 및 정신적 손상으로 인한 심리적 상처 발생.

• 정신분석을 통한 상처 치유 및 갈등 해소.

• 즉, 재활에 대한 심리적 의지만 회복하면 장애 문제가


해결된다고 봄.

• 재활이 안 되는 것은 장애인의 욕구와 동기의 부족 때문


→ 행동주의를 통한 치료로 해결.

• 그러나 오랜 시간 장애인에게 축적되어 온 심리적 억압이나


갈등은 사회구조적 환경에 의해 형성된 것이므로
사회적 환경의 변화를 통해야만 회복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

다) 사회학적 측면에서의 한계

• 장애인은 기능저하로 인한 의존성을 갖게 된다고 봄.

• 그러므로 장애인에게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부여해야만


의존성을 해결할 수 있다고 봄.

• 그러나 사회는 편견과 차별로 인해 장애인에게 사회적 역할과


책임조차 부여하지 않고 있음을 간과.

123
나 사회적 모델

1) 사회적 모델 대두 배경

가)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장애와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대한 성찰이 일어남.

나) 그에 따라 장애개념에 대한 재정의와 논의가 이루어지게 됨.

2) 사회적 모델의 관점

가) 장애문제는 사회환경적인 문제

나) 장애발생 요인

① 장애인의 활동과 참여를 방해하는 물리적 환경

② 장애인에 대한 편견, 인식부족, 제도화된 억압 등 사회적 환경


즉, 이 모델은 장애인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의 손상은
사회가 그들에게 적절한 사회환경을 마련해 주지 못했기 때문
→ 장애인의 사회활동 및 참여에 제한.

124
다) 사회적 모델이 던지는 질문

① 사회가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모습과 관계없이 모든 구성원을


동등하게 대우하고 있는가?

②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민으로서의 최소한의 평등과 정당성을


보장하고 있는가?

→ 만일 이것이 부족하다면 사람들은 장애인으로 살아갈 수 밖에


없다는 결론.

라) 해법: 사회환경 개선

차시 예고
장애에 대한 관점(2)

125
장애인복지론
4주차. 장애를 설명하는 이론
2교시. 장애에 대한 관점(2)

1. 재활모델과 자립생활모델
가 재활모델

1) 1990년대 이전까지 장애정책을 지배해 온 장애이론.

2) 산업사회의 값싼 노동력의 제공과 더불어 국가가 전쟁 후 부상한


병사를 위하여 치료, 훈련, 생계에 대한 책임을 질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등장.

126
3) 재활모델은 의료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음.

• 의료모델에서 가장 중요한 판단자는 의사.

• 의사는 의료적 기준에 따라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여


회복가능 여부를 결정.

• 의료모델은 의사의 전문성을 강조하고,


결정권을 극대화하며 대상자에게 환자역할을 수용케 함.

• 치료과정에서 진행되는 모든 것이 불문에 지켜지는 것이


원칙이었음.

• 이러한 의료모델이 복지서비스로 전환한 것이 ‘재활모델’.

4) 재활모델의 ‘재활’은 비장애인의 상태를 기준으로


장애인의 손상된 상태를 되돌리려고 하는 행위를 말함.

5) 재활모델에서 장애인은 일상활동수행능력과 직업수행능력이


부적절한 ‘환자’나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하도록 기대됨.

6) 장애인은 치료와 재활이 필요한 병리적 존재로 규정됨.

7) 즉 문제를 지닌 대상이자, 변화의 대상은 장애인 개인.

8) 재활의 목적은 신체의 기능 회복이나 직업을 얻는 것.

127
9) 재활의 성공은 의료전문가, 사회복지사, 특수교사 등
전문가의 지도에 얼마나 잘 순응하느냐 여부.

10) 그러나 중증장애인들이 재활전문가의 도움 없이 자립생활을


해내고 있는 경우가 많아지자, 재활모델에 대한 신뢰를 잃게
되었고 대안이 될만한 새로운 장애모델이 출현하게 됨.

나 자립생활모델

1) 장애인의 자립생활

•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는 정도를 최소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자력으로 생활하는 것을 의미.

• 장애인이 자신의 의사결정권을 가지고 → 신변처리를 포함한


일상생활을 스스로 관리하며 → 지역사회 내에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가는 것.

128
2) 자립생활모델

• 문제의 본질은 장애인 개인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해결방안에 있음.

• 기존의 재활모델은 의사와 환자, 전문가와 클라이언트로 규정되는


관계의 의존성이 특징

• 그러나 자립생활모델에서는 전문가에 의해 주도되는 재활과정은


오히려 문제로 여겨짐.

• 문제의 소재는 장애인 개인이 아니라 환경.

• 여기서 환경이란 재활과정을 포함하여 물리적 환경과


전반적인 사회통제 기제를 일컬음.

• 이들 환경상의 장애물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환자 또는 클라이언트


의 역할이 아닌 소비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함.

• 즉 장애인이 서비스의 구매권을 갖고 전문가의 프로그램을


소비해야 한다는 관점.

• 이 모델에서 사회의 역할은 장애인이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직업적,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필요한 기술과 원조를 제공.

• 소비자 관점과 더불어 권익옹호, 동료상담, 자조 등은


자립생활모델의 핵심이 됨.

• 이 모델에 입각하여 자립생활운동 탄생.

129
3) 자립생활운동

• 1972년 에드워드 로버트(E.D. Robert)에 의해 자립생활센터가


탄생하면서 자립생활운동이 시작됨.

• 로버트는 자립생활에 대해 다음의 네 가지를 설명하고 있음.

– 장애인을 시설에 수용하지 말고 지역에서 살 수 있게 해야 함.

– 장애인은 치료받는 환자, 보호받을 아동, 숭배할만한 신이 아님.

– 장애인은 서비스를 관리하는 입장에 있는 사람.

– 장애인은 장애 그 자체보다도 사회적 편견 때문에


희생자가 되고 있음.

4) 자립생활운동의 지향점

가) 주체성

• 장애인 본인이 삶의 주체자로서 자기결정권을 행사함으로써


자신의 생활 전반에 통제권을 갖는 것.

예) 활동보조인이 필요한 중증장애인이라도


자신의 생활방식에 대해 스스로 결정하는 것

나) 책임성

• 자신의 선택으로 인한 결과까지도 자신이 책임지는 것.

130
다) 선택과 결정 존중

• 일상생활의 모든 부분에서 보호를 받는 장애인일지라도


선택 및 자기결정권이 존중되면 ‘자립’.

라) 권익 확보

• 자립생활은 장애인의 독립적인 생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스스로 살아갈 수 있는 법적, 제도적 권익을
확보하는 것까지 내포.

5) 자립생활의 기본원칙

가) 자신이 어디에서, 누구와 함께 살 것인지 등을 결정하고


주거공간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함.

나) 생활에 필요한 도움은 누구에게, 어떻게 받을 것인지에 대해서


스스로 선택할 수 있어야 함.

다) 자신의 시간은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등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함.

131
• 이러한 선택의 기회를 통해 장애인은 자신의 결정에 대해 책임
의식을 갖게 되고, 사회참여에 대한 만족감을 가질 수 있게 됨.

• 영국의 장애운동가 Brisenden은 “장애인들의 자립생활은 아무런


지원 없이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장애인들이 필요한 원조와
지원을 제공받음으로써 자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라고 정의.

6) 재활모델 vs 자립생활모델(출처: 오혜경, 2001)

항목 재활모델 자립생활모델
문제의 정의 신체적·정신적 손상, 직업기술의 부족 사회적 억압, 전문가, 친척 등에 의존
문제의 위치 개인 환경, 재활과정
동료상담, 옹호, 자조, 소비자주의,
문제의 해결 전문적 개입
사회적 장애 제거
사회적 역할 환자, 클라이언트 소비자
통제, 조정자 전문가 소비자 자신

개인의 비극이론에 기초, 개인적인


문제, 개인적인 치료에 의존한 재활, 정상화이론, 사회통합, 사회적 행동과
접근법의 특징 의료적인 접근(병리적인 차원), 조치가 요구됨. 자조활동적 접근,
전문집단에 의해 조정, 관리, 집단적 책임,
지배 전문가적 지식이 요구됨.

나타나는 결과 최대한의 일상생활기능, 유급취업 가능 자립생활


자기관리, 이동, 취업, 치료, 개입, 생활여건 조성, 소비자 주권, 옥외활동,
중요 변수
장애인 개인의 특성 사회제도, 정책, 환경적 장애요소

132
차시 예고
장애에 대한 생애주기 접근

133
장애인복지론
5주차. 장애에 대한 생애주기 접근
1교시. 장애인과 생애주기

1. 생애주기 접근의 개념
 생애주기(life cycle)란 인간의 보편적 삶의 과정 즉 출생~사망에
이르기까지 한 개인의 성장과 발달단계를 설명하는 것

 즉 모든 사람은 생애과정에서 각 발달단계마다 개인적, 사회적 욕구를


갖고 있으며 수행해야 할 과업이 있다는 것.

 그런데 이러한 생애주기 관점은 비장애인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왔음.

 그래서 장애인복지서비스에도 생애주기 관점을 도입함.

∵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성장에 따른 발달과업을


수행해야 하며 이는 사회통합의 토대가 되기 때문.

134
 그동안 장애인과 가족은 서비스의 분절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생애주기 관점을 도입.

 이러한 생애주기 관점은 장애인의 생애전환기에 직면하는


다양한 위기와 과제에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함.

 요컨대, 생애주기 관점은 장애로 인한 특수성을 고려하되,


정상화와 사회통합의 측면에서 보편적인 삶을 동시에
고려해야 함을 강조.

2. 생애주기별 특성과 주요 서비스


가 영유아기(0~6세)

1) 특징

• 인성이나 품성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

• 에릭슨은 이 시기를 신뢰감, 자율성, 주도성을 형성하는 시기로 봄.

• 상징세계에 대한 이해력이 증가하고 언어발달을 통한 인지도식이


정교해짐.

• 아동은 옳고 그름에 대한 분별력을 발달시킴.

• 다른 사람의 욕구와 기대에 반응하는 행동을 하기 시작함.

135
• 관계의 범위가 부모, 가족을 넘어 친구와 다른 사람까지 확대됨.

• 이 시기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가치관은 유아의 인성을 형성하는 데


절대적 영향.

∴ 부모의 지지와 격려, 일관된 양육태도 중요.

• 장애영유아는 의료재활 서비스로 인해 낯선 사람과의 접촉에


놀라거나 불안감을 느낄 수 있음.

• 치료를 위한 입원 때문에 부모와 분리를 경험할 수도 있음.

2) 발달과업

• 장애와 주변환경에 대해 인지하고 신체적인 통제력 습득.


• 의사소통의 발달과 관계의 발달.

3) 발달과업의 수행방안

• 발달욕구 인식
: 부모가 장애아동의 생애주기별 과업에 대한 지식 습득.

• 사회적 모델의 시각
: 가족이 장애아동을 비장애아동과 차별 없는 시선으로
바라보아야 함.

136
• 장애유아와의 상호작용
: 비슷한 유형의 장애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장애에 대한 이해 증진.
예) 지적장애, 언어 대신 몸짓, 비언어적 발성, 그림 등
자폐성 장애 대안적 의사소통방식 활용

청각장애 시각적 자료와 수화를 통한 의사소통 활용

시각장애 음성매체 활용

• 지지적 환경 제공
: 과잉보호하지 말고 가족 외의 사람들과도 접촉하게 함으로써
장애유아의 환경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

• 잠재력 개발
: 부모는 유아에 대한 관심과 자연스러운 양육환경을 통해 잠재력 개발.

4) 주요 서비스

• 장애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의료보장


(진단, 물리치료, 언어치료, 작업치료 등 재활훈련)

• 조기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교육보장
(특수교육)

137
나 아동기(7세~12세)

1) 특징

• 신체적 성장, 지적 성장을 이루는 시기.

• 사회화를 위한 학습능력을 강화하는 시기.

• 가정중심의 생활패턴에서 벗어나 학교를 중심으로 대인관계가


확대되는 시기.

• 다양한 사회활동과 관계의 증진을 통하여 협동성을 습득하는 시기.

• 교사의 지도와 또래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시기.

2) 발달과업

• 학교와 또래친구를 통해 자신의 세계를 확장

3) 발달과업의 수행방안

• 비장애아동과의 통합교육을 통한 사회적 관계 확대

• 장애에 대한 이해: 장애를 ‘비정상’으로 규정할 것이 아니라 다양


한 존재형태 중 하나일 뿐이라는 것을 인식시킴.

4) 주요 서비스

• 특수교육
•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긍정적 인식 형성)

138
다 청소년기(13세~18세)

1) 특징

• 자아정체성 확립 시기.(즉 자아성장기)

• 사춘기와 함께 신체적, 성적, 사회적 변화에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중요.

• 2차 성징의 발달과 함께 성적 성숙에도 적응해야 하는 시기.

• 경제적, 정신적 독립을 준비하는 시기.

• 성인으로의 전환 시기.

2) 발달과업

• 개인의 정체성 확립

• 다양한 문제를 경험하고 구체적 활동을 통햔 문제해결능력 향상

• 긍정적 성적 자아의 발달

• 가족 및 친구와의 지속적 관계 유지

• 성인기로의 전환 준비

139
3) 발달과업의 수행방안

가) 긍정적 정체성 확립
• 장애의 원인, 해결에 대해 개인에게 귀인하지 않고
사회적 관점을 갖도록 함.

나) 성교육
• 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통제할 기회를 제공하여 성적 학대를 예방.
• 성교육을 통해 성에 대한 지식과 성에 있어서 장애가 갖는
문제점을 이해
→ 긍정적인 성적 자아 형성.

다) 고등교육에의 참여
• 직업교육, 전환교육 등을 통해 성인기로의 전환을 준비.

4) 주요 서비스

• 직업상담, 직업평가, 직업훈련 등


•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140
라 청년기

1) 특징

• 원가족으로부터 독립, 취업, 결혼, 가정형성 시기.

• 진정한 의미에서 자율성과 독립성을 확보하는 시기.

• 직업을 통하여 독립된 존재로서의 지위와 역할을 부여받는 시기.

2) 발달과업

• 대인관계의 성숙, 취업, 성적 적응, 결혼과 출산을 통한


생산성 획득 등.

3) 발달과업의 수행방안

• 다양한 직업선택의 기회 제공

• 다양한 직업교육 및 훈련 제공

• 성폭력 예방 프로그램

• 이성과의 교제 준비

141
4) 주요 서비스

• 활동보조서비스

• 보조공학 지원

• 고용지원
: 직업상담, 직업평가, 직업훈련, 취업알선, 지원고용, 보호고용 등

• 이성교제 및 결혼지원 프로그램

• 출산 및 양육지원 프로그램(재가복지서비스 포함)

• 후견인 지원

마 중년기

1) 특징

• 관심과 선택이 외부로 넓어지는 시기.

• 가족에서 소속된 공동체에 깊이 몰두하는 시기.

• 유사한 장애를 갖고 성공적으로 생활하고 있는 다른 사람들과


지지적인 네트워크를 갖고 성장을 촉진하는 것이 필요.

• 한편 당뇨나 심장질환 등 질병을 얻게 되는 시기.

2) 발달과업

• 가족을 넘어 지역사회에 관심 갖고 생활의 폭을 넓혀


생산성을 극대화해야 하는 시기.

142
3) 발달과업의 수행방안

• 지역사회보호체계 확립
• 의료(보장구 등)와 연계된 지지적 환경체계 필요
• 정서지원 서비스

4) 주요 서비스

• 소득보장 서비스(후원연결 포함)


• 의료서비스
• 정서지원 서비스

바 노년기(65세 이상)

1) 특징
• 에릭슨에 따르면, 자아통합의 시기
• 신체적 노화로 인하여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쇠퇴한 시기
• 치료와 요양이 필요한 시기
• 새로운 발달과업보다는 지난 인생을 돌아보고 시기

2) 주요 서비스
• 지역사회보호체계 확립
• 의료(보장구 등)와 연계된 지지적 환경체계 필요
• 정서지원 서비스
• 소득보장 서비스(후원연결 포함)

143
<표> 장애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지원서비스
생애주기 지원 서비스
- 장애 진단
유아기 - 특수교육
- 물리, 작업, 언어치료 등
- 특수교육/ - 장애아동 보육
- 개별, 집단 언어치료 프로그램
아동기 - 신변처리기술 향상
- 또래관계형성
- 학습능력향상 프로그램
- 학습능력 향상
- 스포츠활동을 통한 신체능력 향상
청소년기 - 집단활동을 통한 사회성 향상
- 지역사회시설 이용능력 향상
- 직업탐색 프로그램
- 직업상담, 직업평가, 직업훈련
성인기 - 취업 알선(일반고용, 지원고용, 보호고용 등),
- 사후관리
- 가사서비스, 반찬서비스, 목욕서비스, 이·미용서비스, 정서지원
노년기 - 후원결연(현금, 물품 후원)
- 물리치료, 작업치료, 건강검진 등

차시 예고
장애인 가족과 생애주기

144
장애인복지론
5주차. 장애에 대한 생애주기 접근
2교시. 장애인 가족과 생애주기

1. 장애아동이 가족구성원에게 미치는 영향 (양숙미, 2017)


가 부모에게 미치는 영향

 장애자녀의 출생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

 이러한 스트레스는 양육책임의 부담감 때문


→ 부모에게 무력감, 좌절, 우울증을 일으키는 원인.

145
나 형제자매에게 미치는 영향

 장애인의 비장애형제자매는 장애형제자매가 적절한 사회화를


하도록 돕는 동료이자 교사.

 비장애형제자매가 장애형제자매로부터 받는 긍정적 영향.

• 장애형제자매로 인한 성숙한 사고.

• 자아개념, 인내심, 타인에 대한 애정과 이해심 향상.

• 자신의 지적 능력에 대한 감사, 자신과 타인에 대한 통찰력,


책임감 향상.

• 특히, 부모 사후 장애형제를 돌보는 것과 관련된


미래계획 수립에 더 높은 책임의식을 나타냄.

 비장애형제자매가 장애형제자매로부터 받는 부정적 영향

• 장애형제자매를 잘 돌보지 못하는 것에 대한 죄책감, 분노 등


심리적 갈등 경험

• 일상생활에서 장애형제와의 관계에서 갈등 경험

• 부모의 태도와 정서적 반응에 대한 갈등 경험

• 사회생활에서 부딪치는 갈등 경험

146
2. 생애주기에 따른 장애인 가족의 문제
가 경제적 부담

 직접적 비용은 의료, 보육, 교육, 사회심리재활, 직업재활,


자립생활지원, 가옥구조 변경 등에 소요되는 비용.

 간접적 비용은 가족구성원들이 장애인을 돌봄으로써 겪는


직업기회 상실, 사회활동 포기 등.

 장애자녀가 성인이 되어도 능력상의 제한과 사회적 차별로


취업기회가 박탈되거나 취업이 되었다 하더라도 비숙련노동으로
인한 낮은 임금수준으로 계속적인 보호비용이 지출됨.

 장애자녀가 성인이 되기 시작하면 부모는 나이듦으로 인해


소득은 감소하고 지출이 확대됨.

 즉 부모가 자신의 노년기를 대비해야 하는 상황임과 동시에


장애자녀를 돌봐야 하므로 경제적 부담은 더욱 증가.

147
나 가족갈등

 장애자녀는 성장과정에서 실패의 경험이 많고 비장애인 또래들과


의 적응에서 어려움이 누적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환경에 처하는
것을 회피하거나 심리적 독립을 이루는데 필요한 동기와 의지가
부족함.

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장애자녀는 가족 외부의 사람들과 교류하


거나 자립생활에 대한 의지가 약하여 가족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높음.

 그러므로 장애자녀를 돌보는 것과 관련된 역할분담의 문제, 직업


생활의 유예, 사회생활의 철회 등이 부부간의 갈등을 증폭시킴.

 비장애형제자매들은 장애형제자매로 인한 자기비하, 수치감,


제대로 보살피지 못할 것이란 죄책감, 장애형제를 대신하여
성공해야 한다는 심리적 부담감, 자신의 결혼문제와 관련하여
장애형제를 공개할 것인지, 부모 사후의 장애형제에 대한
보호부담 등을 경험함.

148
다 발달단계에서 반복되는 긴장

 장애인 가족들은 장애자녀가 발달단계를 통과할 때마다


스트레스를 경험함.

 장애아 출생부터 충격, 부정, 분노, 슬픔, 우울 등의 정서적 긴장 경험.

 장애아의 취학과 졸업 시 늘 입학과 졸업후의 진로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 경험.

라 사회복지서비스의 부족과 전달체계에서 비롯되는 스트레스

 장애아동을 위한 조기교육, 방과후 프로그램, 재가복지서비스, 주간보호,


단기보호서비스, 그룹홈, 보육서비스, 재정지원, 법률서비스, 교통수단 등
의 서비스 부족은 가족의 적응과 장애아동의 성장을 어렵게 함.

 또한 부적절한 전달체계는 지역사회 내 재활기관의 서비스들이


중복되거나 분절적인 형태로 제공.

 서비스를 계획하고 전달하는 전 과정에서 장애인 가족의 참여가 효과적임


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부모의 참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도 많음
(예, 시간과 경비의 문제, 계획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 부족,
만성적 무기력과 절망, 포기 등).

149
마 장애자녀의 미래에 대한 불안과 보호부담

 장애인의 수명 연장으로 인해 부모나 비장애형제자매의 사망 이후


장애자녀의 평생계획을 마련해야 하는 부담

바 사회적 고립

 장애인가족이라는 낙인과 편견, 고정관념 등으로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음.

 이러한 사회적 고립은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과정에서 투자하는


시간과 노력 때문에 심화되는 경향.

 특히, 가족의 욕구 충족, 직업생활 유예, 여가 기회 부족,


대인관계 소홀 등으로 인해 우울 등 부정적 정서가 유발되며
사회적 지지망이 축소됨.

 사회적 지지망의 축소는 다양한 사회적 지지로부터 소외되어


필요한 자원과의 연계를 더욱 어렵게 함.

150
3. 장애인 생애주기에 따른 부모의 역할 (정무성 외, 2005)
가 영유아기 장애아동을 위한 부모의 역할

1) 올바른 모델로서의 역할

• 올바른 정신자세와 일관성 있는 언행으로 좋은 모델이 되도록


노력해야 함.

• 수치심, 죄책감, 불안감 등 부정적 태도는 자녀의 정서에


나쁜 영향.

→ 장애자녀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수용.

2) 자신감 향상을 위한 촉매자로서의 역할

• 부모가 도와주어야 할 일과 자녀 스스로 해야 하는 일을 분별해야 함.

• 과잉보호보다는 자녀가 스스로 하는 일에 칭찬과 격려


→ 자녀의 자신감 향상.

• 자녀의 생활연령에 맞는 범위 내에서 자녀에게 모험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함.

3) 기능적 기술교육실천가로서의 역할

• 자녀가 미래에 필요로 할 기능들을 미리 탐색하여


알맞은 기능을 교육.

151
4) 교육 가능성 실현가로서의 역할

• 자녀의 잠재적 가능성을 믿고 그 가능성을 실현하도록 힘써야 함.

• ‘가르치면 배울 수 있다’는 확신을 갖는 것이 중요.

• 즉각적인 성취에 대한 기대를 버리고 작은 변화에도 만족하는


자세를 유지.

5) 부모조직 구성원 및 정치적 주창자로서의 역할

• 부모조직은 서로의 문제와 욕구를 이해하고 불안과 좌절을


해소하도록 돕는 비공식적인 부모집단임.

• 이들은 서비스와 자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조직

예) 미국에서 1933년 시작된 장애아 부모조직은

- 5명의 정신지체아가 공립학교 입학을 거절당함 → 이에 항의하고자


정신지체아 어머니들이 부모조직을 만들어 특수학급을 후원.

- 그 이후에도 정신지체아들을 위한 지역사회서비스의 부족,


수용시설의 열악한 환경조건, 전문인들의 무관심이 계속되자
정신지체부모협회(NARC)를 창립.

- 이 조직의 성장과 영향은 다른 장애아 부모협회의 모범이 되었음.

152
나 학령기 장애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부모의 역할

1) 교사와의 협력자로서의 역할

• 부모와 교사의 일치된 교수방법으로 아동이 가정과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들을 다른 환경에 일반화시키도록 함.

• 부모의 능동적인 관심과 참여는 아동의 자아상을 높이고


가정과 학교에서의 안정감이 증진됨

• 이를 위해 부모와 교사가 자기통찰, 자아수용을 통해


장애아동을 돕는 동반자로서 서로를 수용해야 함.

2) 가정교사로서의 역할

• 부모는 자녀에게 일상생활기술, 사회성기술, 이동성,


학업 전 기술, 문화, 관습 등을 가르칠 수 있음.

3) 강사로서의 역할

• 부모들도 그들의 직업, 부업, 취미, 여행, 관심사들로 간단한


수업이 가능함(예, 뜨개질, 자수, 응급치료법, 인형 만들기,
빵 굽기, 꽃꽂이, 제도술 등).

• 수업을 통해 자신의 일의 종류, 선택 이유, 훈련 정도, 일에 대한


선호, 보수, 근로시간 등에 대해 이야기해 주거나 학생들이 관심
갖는 일을 중심으로 수업을 할 수 있음.

153
다 성인기 장애인을 위한 부모의 역할

 성인기의 부모들이 갖는 주요 관심사는 성인자녀의 주거지,


사회화 기회, 진로선택, 직업 프로그램 등.

 이 시기에 가장 중요한 부모의 역할은

• 성인장애인 서비스 개발자로서의 역할


• 성인자녀 자립생활 감독자로서의 역할

<표> 장애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가족의 관심사


생애주기의단계 부모의 관심사 형제자매의 관심사
•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 • 형제자매들의 욕구에 대해 부모의
• 형제나 친지에게 알리는 것 시간과 에너지 할애가 줄어드는 것
• 서비스를 찾아 다니는 것 • 관심이 줄어드는 것에 대한
질투의 가정
영유아기 • 장애가 있다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0~6세) 의미를 발견하는 것 • 장애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두려움
• 의사결정을 좌우하는 개인적인
관점을 분명히 하는 것
• 낙인의 문제에 대처하는 것
• 가족기능 수행을 위해 • 여가를 위한 가족자원이 제한되는 것
일상적 생활을 조정하는 것 • 친구나 선생님에게 장애형제자매를
• 교육 관련 문제에 적응하는 것 알리는 것
아동기 • 일반학급 통합과 특수학급 분리에 • 동생이 장애를 가진 형(오빠)이나
(7~12세) 따른 문제를 분명히 하는 것 누나(언니)를 앞지를 가능성
• 개별화 교육회의에 참여하는 것 • 장애형제자매의 통합에 따라
• 지역자원을 찾고 활용하는 것 같은 학교에 다니게 되는 문제
• 장애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의 욕구
(1/2)

154
생애주기의단계 부모의 관심사 형제자매의 관심사
• 성적인 문제의 등장에 대한 이해 • 장애의 영향이 직업선택에 미치는
• 또래들의 거부와 배제 가능성에 영향
대해 대처하는 것 • 낙인의 가능성에 대해 대처하기
• 직업생활에 대해 계획하는 것 • 비장애형제자매 프로그램에 참여
청소년기
• 여가생활에 대해 계획하는 것 • 장애형제자매 지지집단에
(13~18세)
• 사춘기의 신체적, 정서적 변화에 참여하는 것
대처
• 졸업 이후의 생활에 대해
계획하는 것

• 후견인의 필요성에 대한 준비 • 재정적 지원에 대해 책임을 질


• 가족 밖에서 사회화의 기회를 가능성에 대한 문제
갖도록 하는 것 • 장애의 유전 여부
성인기 • 취업이나 직업훈련프로그램을 • 결혼으로 인한 새로운 가족을
(19세 이후) 시작하는 것 장애형제자매에게 소개하는 것
• 장애형제자매의 옹호인으로서의
역할을 분명히 하는 것
• 후견인 문제의 가능성
(2/2)

차시 예고
장애인복지서비스와 장애인

155
장애인복지론
6주차. 장애인복지서비스와 장애인
1교시. 장애인복지서비스의 특징

1. 장애인복지서비스의 특수성과 보편성


가 장애인복지와 사회복지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 사회복지의 목적은 개인의 복지

 따라서, 개인에게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사회복지정책과


사회복지서비스로 구성됨.

 이러한 사회복지의 특성으로는 사회적 목적을 위한 사회적 책임성,


공식적인 조직에 기초한 활동, 인간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통합적 활동, 이윤추구를 배제한다는 점 등이 있음.

156
 장애인복지의 궁극적인 지향점도 일반적인 사회복지의 이념과 유사함.

 장애인복지와 사회복지의 목적과 방법은 유사하나 대상이 갖는


특성으로 인해 장애인복지는 고유의 성격을 갖게 됨.

 장애인복지의 이념은 완전한 사회참여를 통한 사회통합.

 사회복지를 위한 사회보장제도에 사회보험, 공공부조, 복지서비스로


분류하는데 이 때 장애인복지는 복지서비스에 포함.

 그러나 장애인복지는 특성상 사회복지의 전 분야를 망라함.

 이는 장애가 갖는 생애주기적 특성과 함께 장애라는 특성의


다양성에서 기인.

 즉 선천적 장애인인 경우, 아동, 청장년,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에 걸친 필요(욕구)로 인해 각 시기에 맞는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

 또한, 장애의 특성이 다르다는 점은 다양한 대책의 필요성을 의미.

예) 시각, 청각장애인에게는 감각기능이나 의사소통에 관한


사회적 대책이 필요

사회보험에 있어서는 보험급여가 제공

장애로 인한 빈곤문제는 공공부조정책의 주요 사안

157
 이처럼 유사한 특성을 범주화할 수 있는 다른 대상 영역과 달리,
장애인 분야는 다양한 특성으로 인해 접근방법 또한 매우 복잡함
(권선진, 2005).

 따라서 장애인복지는 넓게는 사회복지라는 틀 속에서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장애인이라는 특정인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독특한 특성을 가질 수 있는데 장애인복지의 특성은
장애문제의 복잡성, 복합성, 역동성, 권리성, 책임성 등으로
정리해 볼 수 있음.

나 장애인복지서비스의 특수성

1) 장애인 문제의 복잡성

• 장애인은 손상부위와 손상정도에 따라 장애의 유형과


그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도 매우 다양하게 나타남.

• 먼저, 손상 부위에 따라 신체 외부기능 장애(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언어), 신체 내부기관 장애(신장, 심장, 호흡기, 간, 장루
요루, 뇌전증), 정신적 장애(지적, 자폐성, 정신) 등으로 분류.

• 다시 손상 정도에 따라 6등급으로 분류.

158
• 재활서비스 측면에 따라 재분류 되기도 하는 등 장애유형과
장애정도에 따라 파생되는 문제도 다양.

• 예를 들면, 취학, 취업, 결혼 등의 문제에 직면.

• 또한 이러한 장애문제는 사회 전체가 가지고 있는


잘못된 장애인관, 사회문화적 환경과도 깊은 관련이 있음.

• 이렇듯 한 사람의 장애인에게 나타나는 문제는


매우 중층화된 복잡한 구조를 지니고 있음.

2) 장애인복지의 복합성

• 장애문제가 다양하고 복잡한 만큼 해결방법도 다양하고


종합적으로 강구되어야 함.

• 즉, 장애는 의료적, 교육적, 직업적, 사회적, 환경적 차원과도


관련되어 있음.

• 그러므로 장애인의 복지는 결코 어느 특정 분야의 전문성만


가지고는 해결하기 어려움.

• 장애예방, 진단, 치료, 재활과 관련한 의학적 차원부터 교육,


취업, 결혼 등의 해결책을 모색해야 함.

159
• 따라서 장애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의학,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행정학, 법학, 사회복지학 등 여러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과
팀 접근을 해야 함.

• 그렇게 했을 때 ‘복지’라는 측면과 ‘재활’이라는 목적이 동시에


통합적으로 달성될 수 있음.

3) 장애인복지의 역동성

• 선진국에서 장애인복지가 처음 실시될 때는 소수의 정책수립자나


전문가를 중심으로 실시되었음.

• 그러나 점차 장애인 당사자들의 의식이 높아지고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등 후천적 장애 요인의 증가 로 인해 장애인복지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확대됨

• 이는 장애인복지가 시대나 상황에 따라 역동적으로 움직이고


있음을 의미함.

• 따라서 장애인복지를 위한 모든 정책, 제도, 방법, 기술 등은


장애인의 욕구와 사회적 변화에 따라 수시로 유연성 있게
역동적으로 변화, 적용되어야 함.(남상만 외, 2003)

160
4) 장애인복지의 권리성

• 장애인 당사자들의 장애운동이 장애인복지의 질적 향상을


이끌어 내는 데 큰 역할을 담당함.

• 장애인 당사자들의 직접적인 장애운동을 통해 장애인복지의


패러다임(재활 → 자립생활/ 인권 패러다임 등)이 바뀜.

• 이에 따라 장애인 당사자들의 권리의식도 높아짐.

• 높아진 권리의식을 통해 장애인복지 정책결정과 서비스 제공 등


에서 장애인의 참여가 확대됨.

5) 장애인복지의 책임성

• 장애인복지는 한 인간의 재활문제를 다루는 공공적 성격을 띤


복지이기 때문에 반드시 책임성이 뒤따름.

• 그 책임의 한계는 다음과 같음.

① 장애인 개인을 대상으로 한 책임성이다.


장애인의 재활문제는 한 인간의 삶과 연계된 문제이기 때문에
거기에는 책임이 따라야 함.

② 후원자에 대한 책임이다.
최근 장애인복지는 국가에서뿐만 아니라 민간, 특히 장애인
복지기관에서 수행되는 경우가 많음. 이러한 기관은 반드시
후원자에 대한 책임성을 입증할 수 있어야만 운영이 가능.

161
③ 사회적 책임성이다.
장애인복지는 개인이 아닌 공적, 사회적 목적에 의해 규정되는
활동이라는 점에서 책임성을 입증할 수 있어야 함(권선진, 2005).

다 장애인복지서비스의 보편성

1) 장애발생률 증가

• 최근 교통사고, 산업재해 등의 원인으로 장애발생이 증가.

• 고령화에 따른 노령장애인 급격히 증가.

• 현대사회의 장애는 후천적으로 장애를 입게 되는 비율이 더 높기


때문에 모든 사람의 생애주기의 연속선상에 존재하고 있음.

• 이는 누구나 중도에 장애를 입을 수 있는 ‘잠재적 장애인’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의미.

• 이러한 이유로 장애인 문제는 장애인만의 특수하고도 협소한


문제를 넘어섬.

162
• 반면, 현재 장애인이라 하더라도 의학적, 사회심리적 재활치료에
따라 회복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구분이
모호해짐(cf, 2001년 WHO에서 만든 ICF 참조).

• 그러므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은 서로를 보는 시각을 개방하여


상호간 영향을 주는 관계임을 인식해야 함.

• 따라서 장애인복지는 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한 복지가 아닌,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한 복지임을 인식해야 함.

2) 국가와 사회의 책임 강조

• 도시화, 핵가족화로 인한 가족 및 지역연대 기능 감소.

• 또 장애는 장애발생의 원인부터 치료, 재활에 이르기까지


장애인 본인이나 가족에게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를 내포하고 있음.

• 따라서 사회 연대책임의 기초 위에서 국가와 사회의 책임이 강조됨.

163
차시 예고
장애유형별 장애인복지서비스

164
장애인복지론
6주차. 장애인복지서비스와 장애인
2교시. 장애유형별 장애인복지서비스

1. 장애유형별 장애인복지서비스
가 장애인복지시설 유형별 분류

165
나 장애인복지관

1) 정의

• 장애인복지관은 지역사회 가정 내에서 생활하고 있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의 사정과 평가(진단판정), 사회심리, 직업재활,
교육재활, 의료재활, 재가복지서비스 등 장애인의 지역사회생활
에 필요한 종합적인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장애인에 대한 사회
적 인식개선사업을 수행하며, 장애인 복지증진 및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기관(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2015)).

2) 기능

가) 장애인의 사회적응과 복귀를 위한 재활서비스센터로서의 기능

나) 장애예방과 대중 계몽을 위한 사회교육센터로서의 기능

다) 지역사회내의 전반적인 서비스의 조정과 관련된


사례관리센터로서의 기능

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종합센터로서의 기능

마) 재활환경의 조성과 자원동원을 위한 지역사회조직과


자원동원센터 및 사회운동센터로서의 기능

166
3) 세부적 기능(9가지)

가) 상담·사례관리,
나) 기능강화 지원,
다) 장애인 가족지원,
라) 역량강화 및 권익보호,
마) 직업지원,
바) 지역사회 네트워크,
사) 평생교육지원,
아) 사회서비스 지원,
자) 운영지원 및 기획·홍보의 기능

다 장애인복지관(전국 247개소) 서비스 현황 2021.12.31. 기준

(1/7)

167
(2/7)

(3/7)

168
(4/7)

(5/7)

169
(6/7)

(7/7)
출처: 2021년 장애인복지시설사업안내

170
라 장애유형별 장애인복지관 서비스 이용현황

(1/2)

출처: 2019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편람 (2/2)

171
마 장애인복지관 서비스 분석

1) 장애인복지관 서비스 이용현황 요약

•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관은 2021년 기준 전국에 247개


(출처: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 단종복지관(예, 지적, 시각, 청각, 뇌성마비장애인복지관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 종합복지관.

• 현재 장애인종합복지관의 주된 이용대상은 대부분 지적, 자폐성,


지체, 뇌병변 장애인.

• 안면장애인이나 내부기관 장애인의 이용률은 현저히 떨어짐.

2) 장애유형별로 장애인복지관 서비스 이용이 차이 나는 이유

• 1981년 심신장애인복지법 제정 당시 법정 장애유형은 5종


(지체, 시각, 청각, 언어, 정신박약)

• 1989년 장애인복지법 제정 당시 법정 장애유형은 5종


(지체, 시각, 청각, 언어, 정신지체)

• 법정 장애유형에 따른 장애인복지관 설립
→ 종합복지관(지체, 정신지체 대상), 단종복지관(시각, 청각언어 대상)

• 2000년과 2003년 장애범주 확대로 15종


(신체 내부기관 장애 대거 포함)

172
• 그러나, 내부기관 장애는 후천성 장애인 경우가 많고
대부분 질병에서 장애로 고착되는 경우임.

• 즉, 내부기관 장애는 장애로 고착되기 전까지 병원을 이용.

• 내부기관 장애인은 대부분 고령이 되어 장애진단을 받음.

• 복지관은 내부기관 장애인의 수요가 없다 보니,


프로그램을 만들지 않음.

• 내부장애인이 장애 진단을 받은 후 복지관을 찾아와도


이용할만한 프로그램이 없음.

• 이러한 패턴의 지속으로 인해 장애인복지관은 실질적으로


종합복지관이라고 할 수는 없음.

바 장애유형별 지원 서비스
장애인 당사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장애유형 비고
(가족, 지역주민 대상 서비스 제외)
• 심리평가, 심리치료, 사회인지재활
심리치료
치료, 찾아가는 심리안정지원서비스

지체, 정신건강증진 • 정신건강평가 및 상담 뇌성마비


뇌병변 의료재활 •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치과진료 복지관
• 직업훈련사업, 직업적응훈련
직업재활
• 토탈공예체험교실, 일자리 지원사업
• 생활체육, 레저스포츠, 휘트니스, 스포츠
스포츠 및 여가활동
문화공연관람, 가족캠프, 야외나들이

• 심리평가, 작업평가, 의료평가, 기초재활 실로암


시각 능력평가, 현장 및 상황평가 시각 장애인
고용지원 • 직업지도, 취업준비, 지원고용, 취업알선, 복지관
취업 후 적응지원, 근로지원인 지원,
직무지원인 지원
(1/4)

173
장애인 당사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장애유형 비고
(가족, 지역주민 대상 서비스 제외)
• 청력검사, 보호자상담,
• 개별언어치료, 그룹언어치료,
• 현장방문 언어훈련, 놀이를 통한
말소리 듣기활동
기능강화
• 통합지원교육
(누리과정에 맞춘 영역별 활동과 리듬
청각, 감 향상을 위한 오르프(음악) 활동) 삼성 소리샘
언어 • 인지학습 복지관

• 직업상담, 직업진단 및 직업재활계획


수립
직업지원 • 취업알선, 취업교육 및 사후관리
• 대학생 멘토링(정서 교류 및 문화체험)
• 청년전환기교육, 진로탐색
후원 • 후원
안면장애인
안면 캠페인 • 화상피해 사진전개최
협회
(불조심엽서보내기운동) • 화재예방 홍보물 배부
(2/4)

장애인 당사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장애유형 비고
(가족, 지역주민 대상 서비스 제외)
신장장애인협회,
신장, 심장,
심장장애인협회,
호흡기, 간, 직업재활, 의료비지원
호흡기장애인협회,
장루요루
장루장애인협회
상담사업 • 상담
뇌전증 복지사업 • 의료비지원, 생활용품지원 뇌전증협회
재활사업 • 사회적응(캠프 등), 자조모임
교육지원 • 개별인지교육, 정보화개별수업
• 개별언어, 개별음악, 개별작업, 개별물리
치료지원 • 그룹작업치료
• 통합그룹치료
서울시립
지적, 사회적응 • 중고등사회기술, 캠프, 계절학교(여름, 겨울) 발달장애인
자폐성 • 취미여가(컴퓨터, 나노블럭, 수공예, 난타,
문화여가 복지관
댄스, DIY, 제과제빵)
• 직업평가, 현장평가
직업지원 • 직업기초과정, 직업적응과정, 재취업과정,
직업전환과정, 직업체험, 취업알선, 재택고용
(3/4)

174
장애인 당사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장애유형 비고
(가족, 지역주민 대상 서비스 제외)
• 기능 회복, 주간시간 활용
재활프로그램
• 치료비 지원
알콜회복자 지원 • 회복자 상담, 단주모임
• 영유아 가족 정신건강 점검,
영유아 가족점검 서울중구
영유아 가족 정신건강 상담
정신 정신건강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지원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상담 복지센터
• 정신건강검진 및 상담,
성인정신건강 증진
정신건강교육

• 자살예방교육, 자살고위험군
자살예방
집중관리 상담
(4/4)

차시 예고
장애인복지실천

175
장애인복지론
7주차. 장애인복지실천
1교시. 개인차원의 장애인복지 실천방법과 기술

1. 개인과 환경에 대한 사정
가 사정의 개념

 장애인의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상황과 특성 등을 파악하는 것

 사정은 클라이언트의 생활이나 문제상황을 파악

 클라이언트와 그 가족을 전체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

 수집된 정보를 종합, 해석하는 총체적이고 체계적인 과정

 사정은 사회복지사 1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각 영역의 전문가들이 함께 실시

 그 결과, 장애인에게 적합한 서비스 계획을 설정하고


서비스를 실시하도록 결정하는 것

176
나 사정의 내용

 의학적, 발달적, 교육적 상태 사정

 심리적, 사회적, 직업적 능력과 강점, 약점 파악

 프로그램의 배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정보제공

2. 개인차원의 장애인복지실천
가 접수

1) 기관에 등록하는 단계

2) 사례관리가 필요한 클라이언트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사례관리자는 적절한 사례발견
전략을 선택해야 함.

177
3) 사례발견 전략에는 아웃리치, 의뢰, 정보제공, 클라이언트의
자발적인 기관방문이 있음.

• 아웃리치는 서비스가 필요함에도 원조받을 방법을 모르는


클라이언트에게 가장 필요한 전략

• 아웃리치 시,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의 사생활과 자기결정의


권리에 민감해야 하며, 그들에게 서비스를 강요해서는 안 됨.

• 사례관리자는 유용한 서비스에 관한 정보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클라이언트의 동기를 고양.

• 의뢰는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자원, 전문가에게


클라이언트를 직접 연결시켜 주는 방법.

• 의뢰는 클라이언트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확인,


서비스 참여 가능여부, 서비스 연결까지 포함.

• 의뢰 시,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에게 의뢰의 필요성을 알려


주고 어떤 자원이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가장 적합한가를 결정.

• 그러기 위해서는 사례관리자는 지역사회 내 다양한 자원정보를


알고 있어야 하며, 기관의 정책과 절차 및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에
관해서도 알고 있어야 함.

• 의뢰에 대한 선택권이 클라이언트에게 있다는 자기결정권을


존중하며, 가장 적절하고 유익한 서비스를 추천.

178
나 초기면접

 초기면접은 서비스제공의 적합성을 결정하는 것.

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문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

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기준에


적합한 사람인가를 확인.

 서비스 대상으로 적합한 경우,


계약을 통해 서비스 제공을 공식화함.

다 계약

 클라이언트가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례관리자와 함께 서비스 제공에 동의하는 것.

 사례관리자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신뢰감 형성을 기본으로 함.

 상호 간의 역할을 명료화.

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기대치를 파악하고 협상.

179
라 사정

1) 접수과정에서 사례관리 서비스대상으로 결정된 클라이언트들의 복합적인


욕구와 현존하는 문제, 현재의 기능, 생활상태, 그들의 장점과 잠재능력,
공식·비공식 지원체계의 그들에 대한 지원능력 등에 관하여 전반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집중적이고도 체계적인 과정.

2) 목적은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의 형태가 무엇인지,


충족되지 못한 욕구는 무엇인지를 검토하는 것.

3) 사정은 서비스 계획을 위한 자료, 정보를 체계화하는 과정.

4) 클라이언트의 참여를 바탕으로 하며 클라이언트의 특성에 따라


개별화되어야 함.

5) 구체적 내용으로는,

가) 클라이언트 욕구 및 문제 사정

•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와 함께 그들의 현재 상황에서


다양하고 복합적인 욕구를 확인.

나) 욕구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능력 사정

•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욕구충족과 문제해결의


동기와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 스스로의 힘으로 해결할 능력과
의사결정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

180
다) 클라이언트 지원체계의 능력 사정

•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의 욕구 충족을 위한


공식적·비공식적 지원체계의 능력을 사정.

라) 지원체계 활용의 장애물 사정

• 지원체계와의 관계를 방해하거나 형성되지 못하도록 막는


요인이 무엇인지 사정.

마 개입계획

1) 클라이언트에 대한 장·단기 목표를 설정

2) 목표의 우선순위를 결정

3) 목표달성을 위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 대한 개별적인 서비스 계획을 구체화.

cf) 사정과 계획의 차이

• 사정은 해결되어야 할 문제와 서비스목적을 확인하는데 초점


• 계획은 이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의
실제적 선택에 초점.

181
4) 목표는 사정과정에서 확인된 욕구를 바탕으로 설정.

• 목표는 대개 클라이언트 생활환경의 개선, 개인의 능력향상,


지원체계 개발과 강화 등.

• 목표는 명료하고, 구체적, 실현가능, 측정 가능하게 기술되어야 함.

5) 목표가 설정되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어떠한 서비스가 언제,


어떤 방식으로, 얼마 동안, 어느 정도 제공되어야 하는가에 관한
사항들을 문서화.

• 다양한 전문가들로 구성된 팀을 활용하여 이루어짐.

• 사례관리자와 클라이언트가 적극적으로 관여해야 함.

바 서비스 제공(실행)

1) 서비스제공은 서비스계획을 완전하게 수행하는 단계.

2) 클라이언트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연결,


개입을 통해 서비스 제공.

3) 이 과정에서의 장애를 극복하며


적절한 서비스를 배열·정리하는 과정.

182
4) 서비스 실행 시 발생하는 장애를 극복해야 함.

가) 장애물에는 클라이언트의 동기 부족, 기관 내부의 장애,


기관 외부의 장애가 있음.

나) 클라이언트의 동기 부족은 사례관리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가


클라이언트와의 신뢰를 바탕으로 적절한 자극, 검사, 설명,
설득, 해석, 촉진 등을 바탕으로 동기를 고양시켜야 함.

다) 기관 내부의 장애물은 자격기준, 서비스 이용료 등이 될 수


있으며 특히,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한 서비스가 없을 경우
기관 외부에 있는 자원을 동원해야 함.

라) 기관 외부의 장애 극복을 위해서는

• 기관 외부의 서비스제공자들과 관계를 잘 정립하고,


• 현재 연결의 경직성을 개선하거나,
• 클라이언트 권리에 대해 옹호적 주장을 함으로써
• 클라이언트가 불공정한 처우를 받지 않도록 함.

183
5)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 공식적, 비공식적 지원체계,
서비스제공자 및 사례관리기관과 함께 수행.

6)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될 서비스 정보를


클라이언트와 비공식 지원체계에 제시.

7) 이를 통해 서비스 진행과정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을 분담.

8) 서비스제공자에게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례관리자 자신의 업무를


소개, 서비스제공자를 지지, 서비스 전달을 점검.

9) 서비스제공자들간, 클라이언트와 서비스제공자 간의 갈등을 중재.

10) 클라이언트를 위해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

11) 필요에 따라서는 서비스제공자에게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비스 진행 과정의 보고서를 요청.

184
사 조정, 점검

1) 서비스의 조정은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적절히


배열·정리하여 서비스의 효과성과 연속성을 보장하는 것.

• 이때, 서비스제공과 관련된 기록은 서비스 조정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됨.

• 서비스 중복, 갈등, 기관 상호 간의 협정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적절히 조정.

2) 서비스 점검은 서비스의 적시성·적절성·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례관리자가 클라이언트, 가족, 다른 서비스제공자와 규칙적인
만남을 유지하며 서비스 전달과 실행을 확인하는 과정.

• 효과적인 점검을 위해서는 사례관리자가 서비스 제공자 및 기관


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함.

• 사례관리에서 성공적인 점검은 기록과 주기적인 관리가 좌우.

185
아 재사정

1) Ct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적합성, 개입계획 변경의 필요성,


변화방식 등을 결정하는 과정.

• 최초의 계획과정에 참여했던 모든 사람이 관여해야.


• 빈도는 Ct의 욕구가 변화된 정도에 좌우됨(대략 6개월~1년).

cf) 재사정 vs 평가

Ct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계획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재사정 서비스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평가 종결 포함+서비스계획이 Ct의 삶에 변화를 가져왔는지 판단

2) 재사정이 필요한 경우

• 새로운 사례관리자에게 기존의 사례를 전달할 때

• 클라이언트와 가족에게 예상치 못한 새로운 위기가 발생했을 때

• 클라이언트의 상황이 예상치 못하게 개선되었을 때

186
자 평가

1) Ct에게 제공된 서비스, Ct의 변화상황, 서비스계획, 서비스활동,


서비스체계의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과정

2) Ct에게 서비스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사례관리과정을 종결.

3) 평가는 사례관리의 효과성·효율성의 분석을 통해 피드백을


제공하고 서비스계획과 프로그램 및 서비스체계의 수정 등에
중요한 수단이 됨.

4) 서비스 평가도구로서 클라이언트에 대한 직접적인 면접,


전화면접, 사례회의, 전문가의 기록에 대한 검토,
시설과 기관의 이용빈도 등을 활용.

차 종결

1) 종결은 서비스의 제공을 중단하는 과정

2) 종결에 대한 결정

• 사례관리자와 클라이언트 양자 간에 이루어짐

• 종결을 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가 종결에 대해


미리 준비되어 있어야 함.

• 서비스의 종결은 클라이언트의 과업달성 여부, 그동안의 변화,


진전 상황(클라이언트가 스스로의 문제에 대처하게 됐음을
확인)을 확인하고 지지함.

187
3) 종결의 사유

• Ct 스스로 종결하고자 하는 경우(거부 포함)

• 사례관리 목표가 달성된 경우(Ct의 욕구 충족 포함)

• 시설 입소, 사망, 타 지역으로 이주한 경우

• Ct가 기관의 신뢰성과 책임성을 위협할 정도로 비협조적인 경우 등.

카 사후관리

1) 종결 후 Ct가 생활에 잘 적응하고 있는지 모니터링 하는 것.

2) 사후관리는 달성된 목표 유지 여부, Ct에게 지원이 더 필요한지,


지역자원을 잘 활용하고 있는지, 의뢰가 적절했는지 등 파악.

3) 사후관리는 사례관리 효과가 지속되도록 돕는 역할

4) Ct로 하여금 종결로 인한 불안감을 해소하도록 함

5) 문제 재발 시, 신속하게 기관이 개입하도록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함.

6) 기간은 3, 6개월, 1년 단위

7) 방법으로는 전화, 편지, 직접 방문 등을 통해


Ct의 변화 추이를 감안하여 재개입 여부 결정.

188
차시 예고
집단과 지역사회차원의
장애인복지 실천방법과 기술

189
장애인복지론
7주차. 장애인복지실천
2교시. 집단과 지역사회차원의 장애인복지 실천방법과 기술

1. 집단차원의 장애인복지실천
가 개념

 비슷한 문제 또는 비슷한 목표를 갖고 있는 개인들을 집단으로 묶어

 이를 대상으로 집단 내의 역동성을 활용하여

 집단구성원들의 개별목표와 집단 공동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것


(사회적 기능의 회복, 성장 촉진)

 집단을 대상으로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 타인과의 관계 및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적인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려는 것이며,

• 사람은 사람을 필요로 한다는 본능적인 사실을 깨닫게 해주기 위함.

190
나 집단실천의 2가지 실천모델

1) 사회적 목표 모델

• 집단활동을 통해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참여의식 및 역할 인식,


책임의식을 고취하여

• 개인적인 성숙과 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개발하는 데에 중점.

2) 치료 모델

• 집단구성원 간의 상호작용과정이나 집단에서의 역동성을 이용해

• 집단성원이 갖고 있는 문제들이 해결되거나 경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대상들은 대부분 정서적 문제, 행동상의 문제,


대인관계상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사람들.

예) 우울증 환자, 알코올중독, 약물중독, 성폭력 피해자,


다양한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사람들 등.

191
• 이들은 비슷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다른 참가자들을 보면서
자신의 문제를 바르게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여 해결하는 데에 도움을 제공하
는 기회를 얻기도 함.

•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은 자긍심 고조 또는


자신의 문제해결에 도움 받게 됨.

다 집단의 장점 (Yalom, 1985) (홍봉수외, 2007)

• 치료방법에 대해 신뢰, 치료효과를 신뢰


• 구성원의 도움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을 때
1) 희망의 고취
• 다른 구성원의 기능이 향상되는 것을 보았을 때
• 자신도 좋아질 것이라는 희망을 가짐
• 자신의 문제는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고
2) 보편성
안도감을 경험
• 치료자가 문제해결에 대한 직접적 지침을 제공할 때
3) 정보의 나눔
치료적 경험을 함.
• 구성원들은 비슷한 문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서로에게
정서적 지지, 안정, 제안과 통찰을 제공.
4) 이타심
• 자신감이 없는 이들에게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는 경험
은 그 자신의 자존감을 높여줌.
• 대인관계 상황에서 필수적인 사회적 기술을 배움
5) 사회화 기술의 발달
• 역할 훈련을 통해 적응력을 배우게 됨.
• 비슷한 상황에서 다르게 행동하는 사람들을 관찰하며
6) 모방행동
보다 발전된 방법을 학습.
(1/2)

192
• 집단구성원들이 자신의 감정과 생각들을 공유함으로써
7) 감정 정화
억압된 자신의 감정과 생각들을 자유롭게 발산.

• 집단구성원들이 가족들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집단지


8) 일차적 가족집단의
도자와 상호작용을 하게 되어 해결되지 않은 가족갈등에
교정적 반복
대해 탐색하고 도전할 수 있도록 격려와 지지를 받게 됨.

• 치료 과정에서 구성원들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받을 수


9) 실존적 요인 있는 도움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됨.
• 자기 인생에 대한 책임은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알게 됨.

• 집단구성원이 서로를 수용하고 지지하며,


10) 집단응집력
소속감을 갖게 됨.

• 자신의 대인관계에 대해 돌아보게 되고 대인관계 형성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
11) 대인관계 학습
• 집단의 안전하고 지지적인 분위기에서 대인관계 형성을
위한 새로운 방식을 시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짐.
(2/2)

라 집단 발달단계 및 집단지도 실천과정


집단 발달 단계 사회복지사의 집단지도 실천과정
- 구체적으로 달성 가능
- 집단의 목표 설정
- 프로그램과 구성원들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
- 연령, 가치체계, 공통문제와
- 집단구성원 선정 관심사, 성별, 자아강도와
지적인 차이 등을 고려하여 선정
- 동질적이면서 이질적이어야
- 개방집단/ 폐쇄집단
집단지도의 - 집단의 크기는 5~12명
대상을 파악하고
1) 집단의 형성
개입을 위해 - 집단의 구조 설계 - 시간제한 집단/ 종료일자가
준비하는 단계 정해지지 않은 지속적 집단
- 총 모임의 횟수는 20회 정도
- 모임의 빈도는 일주일에 1회
- 1회의 모임시간은 1~2시간
- 상호간의 기대, 의무, 책임을
- 계약
명백히 하는 것이 필요
- 집단 활동에 대한
동기와 능력 고취
(1/4)

193
집단 발달 단계 사회복지사의 집단지도 실천과정
- 개별성원들에게서 반복적으로
- 개별성원에 대한 사정 나타나는 행동과 그 행동과
집단과정 동안 계속 관련되어 있는 인식에 초점
2) 사정단계
이루어져야 함
- 집단행동양식, 하위집단,
- 전체집단에 대한 사정
규범, 가치 등
- 계획적, 체계적, 시간제한적인
① 집단의 구조화
개입을 하는 것

- 구성원들의 강점에 대한 믿음을


보여주고,
- 장애물을 인식하도록 하며
- 응집력, 신뢰감 증가 ② 구성원의 참여와
3) 개입단계 권한부여 - 구성원들의 상호원조에 대해
- 목표달성에 전념 칭찬
- 새로운 활동과 행동을 집단내외
에서 시도해 보도록 격려.

③ 저항적인 구성원 - 신념체계를 변화시키거나


독려하기 - 외부환경을 활용
(2/4)

집단 발달 단계 사회복지사의 집단지도 실천과정

- 달성한 목표에 대한 과정과


결과 평가
- 집단의 목적 달성 - 해결되지 않은 쟁점들에 관해
① 성공적인 종결
- 계약된 시간이 되었을 때 논의
- 종결에 대한 집단구성원들의
정서적 반응을 다룸

- 목표가 달성되지 못한 이유와 대안을 탐색


② 불만족상태
4) 종결단계 - 구성원의 부정적인 반응을 다룸
에서의 종결
-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다룸

- 집단에 대한 매력을
잃었을 때
- 자신의 목표 달성에 실패 - 중도탈락 이유를 설명
③ 중도탈락
했다고 생각할 때 - 그들의 감정을 다루어줌
- 다른 성원과 갈등이
있을 때

(3/4)

194
집단 발달 단계 사회복지사의 집단지도 실천과정

- 이 집단에서 목표 달성이
어려울 때
- 의뢰되는 구성원과
- 타구성원과의 갈등이
④ 타 기관 의뢰 다른 구성원들 에게
지나칠 경우
그 이유를 충분히 설명.
4) 종결단계 - 타기관의 서비스가 더
적절하다고 판단될 때

- 사회복지사에게 의존적이었던 구성원은 충격이 클 것


⑤ 사회복지사의 떠남 - 어떤 구성원은 자신이 잘못하여 사회복지사가 떠나게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함.
(4/4)

2. 지역사회차원의 장애인복지실천
가 개념

1) 지역사회 차원의 장애인복지실천을 지역사회중심재활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이라고 함.

2) CBR은 장애인의 재활과 사회통합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가동, 활용하기 위해 채택된 접근방법.

3) CBR은 1977년에 WHO에서 자원이 부족한 저개발국의


장애인 재활에 적합한 모델로 소개.

195
4) CBR은 지역주민의 참여를 통해 이루어짐.

5) 장애인의 재활은 장애인의 생활기점인 가정과 지역사회를 중심으


로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장애인
본인과 가족, 이웃, 지역주민들이 서로 협력해야 함을 강조.

6) 즉, CBR은 재활전문가의 개입 10%+일반 전문가의 개입 20%+


장애인 본인과 가족, 지역주민의 도움 70%(오혜경, 1999).

나 장점

1) 지역주민에게 장애인 및 재활에 대한 이해와 책임의식을 고취시키고


자조·자립의 의지를 강화.

2) 재활을 위해 장애인 자신, 가족, 지역주민을 훈련하여 재활요원화.

3)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효과적.

4) 사장된 자원을 자원화하고 유휴자원을 총동원하여 실질적 서비스


능력과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국가의 경제적 자원의 효율성을 제고.

5) 간단하고 비전문적 방법으로 해결이 가능한 70%의 재활수요를


가장 경제적으로 해결.

196
다 기본원칙

1) 재활의 주체는 장애인 자신과 가족이다.

2) 지역주민에게 그 지역사회 내의 장애예방 및 이미 발생된


장애인의 재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자립과 재활의 책임의식을 갖도록 한다.

3) 지역사회 내의 가능한 인적·물적 자원을 최대한 동원한다.

4) 기존의 재활서비스 전달체계에 통합되어 수행되는 것이다.

5) 지역사회의 경제적·사회적 수준에 적합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할


수 있는 재활기술과 방법을 활용토록 권장함으로써 재활전문가의
역할을 분담하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6) 보건, 사회복지, 교육의 재활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및 통합으로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재활을 발전시킨다.

7) 지역사회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는 2차, 3차 기관으로 의뢰할


수 있는 후송 의료체계가 필요하다.

197
라 관련기관

1) 보건소

2) 장애인복지시설

가) 거주시설

• 장애유형별 거주시설
• 중증장애인 거주시설
• 장애영유아 거주시설
• 장애인 단기거주시설
•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나) 지역사회재활시설

• 장애인복지관
• 장애인주간보호시설
• 장애인체육시설
• 장애인수련시설
• 장애인생활이동지원센터
• 한국수어통역센터
• 점자도서관
• 점자도서 및 녹음서 출판시설
• 장애인재활치료시설

198
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라) 장애인의료재활시설
마) 장애인생산품 판매시설

3) 특수학교

마 운영과정 (정무성 외, 2005)

1) 장애에 대한 인식형성단계

• 장애는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으며, 간단한 훈련과 교육으로


장애인들이 사회에 통합될 수 있음을 인식시켜야 함

• 지역사회 지도자, 교사, 지역위원회, 장애인 당사자 및 가족,


서비스 제공자, 종교지도자, 정치인 등이 지역신문, 팜플렛,
캠페인 등을 통해 인식개선 활동.

199
2) 동기부여 단계

•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을 착수 하기로 결정하는 단계임.

• 프로그램 시작 전, 지역주민에게 무슨 일이 진행되는지


충분히 알려야 하며 동기부여 해야 함.

3) 지역사회 자원동원단계

• 물적자원(지역자원) 및 인적자원(자원봉사자 등)을 개발해야 함.

• 필요 시 인적자원에 대한 훈련비용과 실비보상 방안(자치단체의


지원, 모금 등)을 마련해야 함.

4) 지역사회조직화 단계

• 지역위원회를 연계 또는 지역사회개발위원회 등을 구성.

5) 지역사회중심재활 프로그램 실행단계

• 프로그램의 대상이 될 장애인을 선정.

• CBR 관리자는 서비스제공자 및 재활요원들과


정기적 접촉을 통해 문제해결을 도와야 함.

•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에 대한 기록을 통해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지도.

200
6) 후송체계 형성단계

• CBR 관리자들과 재활요원들은 시군구 단위의 지역 내에서 병원,


복지기관, 행정기관, 교육기관, 노동기관 사이에 상호 장애인을
의뢰하고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관계를 유지, 발전시켜야 함.

7) 프로그램 평가단계

• 사업의 적정성, 효과성, 효율성, 지속성, 영향 등에 대한 평가는


매우 중요.

• 자체적으로 평가를 수행하거나 외부의 전문기관에 의한 평가가


가능.

차시 예고
중간고사

20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