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

1 장 .

장애와 특수교육
주요 질문

1. 장애를 바라보는 관점 4 가지 ( 또는 2 가지 ) 는 무엇인가 ?


2. ‘ 장애인≠특수교육대상자’임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
3.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장애인 등록 절차는 어떠한가 ?
4. 장애인에 대한 차별행위는 무엇이며 , 올바른 태도와 표현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
5. 특수교육의 개념은 무엇이고 , 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 절차와
현황은 어떠한가 ?
도입 ( 사례 연구 )
다음 사례에 관하여 조사하고 , 찬 / 반 토론해 보자 .
[ 채널 A] “ 무릎 굻은 학부모의 호소 ....9 만 명 움직였다”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
d=449&aid=0000137504&sid1=001
)
[ 한국일보 ] “ 장애인 학부모 무릎 호소 끝에 ... 서울서 특수학교 17 년
만에 문 연다”
(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001&oid
=469&aid=0000286940
1. 장애의 개념과 관점
1) 장애를 바라보는 4 가지 (2 가지 ) 시선

4 가지 시선 2 가지 시선

(1) 윤리적 모델
(1) 개별적 모델
(2) 의학 모델
(‘ 기능제약모델’ )
(3) 재활 모델
(2) 사회적 모델
(4) 인권 모델
(‘ 소수집단모델’ )
1. 장애의 개념과 관점
2) 장애를 지칭하는 다양한 용어와 의미 차이
용어 정의 예
장애 ( 손상 ) 신체나 내장의 특정 부위가 상실되거나
다리가 없는 경우
impairment 그 기능이 감소된 상태
손 상 (impairment) 으 로 인 하 여 특 정 다 리 가 없 어 서 다 른
장애 ( 무능력 ) 과제를 수행할 때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사람처럼 걸어서 이동하지
disability 수행하는 방법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못하는 경우
상태 ( 예 ) 휠체어 , 목발
손상 (impairment) 이나 무능력 (disability) 다 리 가 없 어 서 의 족 을
장애 ( 불이익 )
으 로 인 하 여 환 경 과 의 상 호 작 용 에 서 착용하고 또래와 함께 축구
handicap
문제나 불이익을 경험하게 된 상태 시합을 하는 경우
1. 장애의 개념과 관점
3) 세계보건기구 (WHO) 의 장애 및 건강 개념 모델
- 건강 : (1) 신체기능 , (2) 활동 , (3) 참여가 기능하는지 세 가지 측면에서 이해
- 세 영역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과 개인의 요인을 함께 고려함
2. 장애인의 정의와 유형 , 현황과 등록 절차
1) 장애인의 정의와 유형 (* 「장애인복지법」 )
신체적 · 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
- 신체적 장애 : 주요 외부 신체 기능의 장애 , 내부기관의 장애 등을 말함
- 정신적 장애 : 발달장애 또는 정신 질환으로 발생하는 장애를 말함

분류 세부

외부 신체기능 지체 , 뇌병변 , 시각 , 청각 , 언어 , 안면장애


신체적 장애
내부 기관 신장 , 심장 , 간 , 호흡기 , 장루・요루 , 뇌전증장애

정신적 장애 - 지적 , 정신 , 자폐성장애
2. 장애인의 정의와 유형 , 현황과 등록 절차
2) 장애인의 현황과 등록 절차
- 장애인 등록 현황 ( 보건복지부 , 2017.12 월 말 기준 )
: 장애추정 인구 267 만 명 , 장애 출현율 5.4%, 인구 1 만 명 중 539 명

- 장애인 등록 절차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참고 ☞ http://www.mohw.go.kr)


: 근거 규정 → 「장애인복지법」 제 32 조 ( 장애인 등록 ) 및 제 32 조의
2( 재외동포 및 외국인의 장애인 등록 ), 같은 법 시행규칙 제 3 조부터 제
18 조
3. 장애인 학대 및 차별금지의 이해
1) 장애인 학대 및 차별 행위
-장애인 학대 ( 「장애인복지법」 제 2 조 )
: 장애인에 대하여 신체적 · 정신적 · 정서적 · 언어적 · 성적 폭력이나 가혹행위 ,
경제적 착취 , 유기 또는 방임을 하는 것

- 차별행위 , 정당한 편의 , ‘ 차별행위’로 보지 않는 경우


: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 약칭 ‘장애인차별금지법’ )
: 제 4 조 ① ,②,③ 항 참고 ☞
※ 교육 영역에서의 차별금지 사항과 정당한 편의 제공 의무 사항
: 제 13 조 ( 차별금지 ), 제 14 조 ( 정당한 편의제공 의무 ) 참고 ☞
3. 장애인 학대 및 차별금지의 이해
2) 장애인과 관련한 올바른 표현 등
(1) 장애우 ? 정상인 ?
구분 바른 표현 (○) 그른 표현 (×) 차별적 발언과 욕설 (×)

장애를 가진 사람 장애인 장애우 , 장애자 , 정신박약 등


병신 , 등신 , 애자 , 불구자 등
장애를 가지지 않은 사람 비장애인 정상인 , 일반인 , 보통사람 등

(2) ’ 핸디캡 (handicap, 불이익 , 불리 )’ 의 유래와 의미


: ‘ 모자 안에 손을 넣는다 (hand in cap)’ → ‘Cap in Hand’
(3) 장특법 ?, 장애를 앓다 ?, 장애를 극복하다 ?, 발달장애 ( 인 )?
4. 특수교육대상자의 개념 , 선정 , 주요 현황
1) 특수교육대상자의 개념과 유형
(1) 특수교육대상자의 개념과 유형
: 「특수교육법」 제 15 조에 따라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사람으로 선정된 사람
(* 비교 ) 「장애인복지법」 상의 ‘장애인’

(2) 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 기준
: 「특수교육법 시행령」 제 10 조 관련 [ 별표 ] 참고 ☞ < 표 1-5>

(3) 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 절차
: 「특수교육법」 제 17 조 등 참고 ☞ [ 그림 1-2]
4. 특수교육대상자의 개념 , 선정 , 주요 현황
2) 특수교육 관련 주요 현황 (2018.4.1. 기준 )

< 출처 > 교육부 (2018). 2018 특수교육 통계 .


4. 특수교육대상자의 개념 , 선정 , 주요 현황
2) 특수교육 관련 주요 현황 (2018.4.1. 기준 )

< 출처 > 교육부 (2018). 2018 특수교육 통계 .


5. 특수교육의 개념과 서비스 전달체계
1) 특수교육의 개념
(1) 「특수교육법」
: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및
제 2 호에 따른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 제공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교육
(*)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인적ㆍ물적 자원을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상담지원ㆍ가족지원ㆍ치료지원ㆍ보조인력지원ㆍ보조공학기기지원ㆍ학습보조기기지원ㆍ통학지원
및 정보접근지원 등을 말함
(2) 특수교육을 특징짓는 3 가지 핵심요소
-① 특별한 교육적 요구 (SEN: Special Education Needs),
-② 개별화교육 계획 ( 또는 프로그램 ) (IEP: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or Program),
-③ 특별한 교수방법 ( 교육과정 수정 또는 교수 적합화 ) 과 관련서비스 (Related Services)
5. 특수교육의 개념과 서비스 전달체계
2) 특수교육 서비스의 전달체계
< 관련 개념 >
1단계 일반학급 (최소한의 보조 : 의료/상담 지원)
정상화 - 정상화
일반교육 일반학급 (특수교사 협력/지원) - 최소제한환경 (LRE)
2단계 정도
시간제 통합 (특수학급 + 일반학급) - 배치 ( 법 제 17 조 )
3단계
외래 프로그램
4단계 전일제 특수학급 + 사회적 통합 (학교체제에
통합교육 의한 배치)
5단계 전일제 특수학급
6단계 제한의 특수학교
정도
입원 프로그램
7단계 분리교육 병원/시설에서의 교육(*기숙제 특수학교) (의료/복지시설
에의 배치)
교육 서비스 부재 (가정/병원)
(의료, 복지, 보호 및 관리)

[ 그림 ] 특수교육의 연계적 서비스 체계


5. 특수교육의 개념과 서비스 전달체계
2) 특수교육 서비스의 전달체계

< 출처 > 교육부 (2018). 2018 특수교육 통계 .


< 관련 사이트 >

미국지적장애협회 . http://aaidd.org/
법제처 홈페이지 http://www.moleg.go.kr/main.html
세계보건기구 (WHO). http://www.who.int/
세계보건기구 (WHO). ICD-11 소개 영상
http://www.who.int/health-topics/international-classification-of-diseases
함께걸음 (2018a). ICF: 건강이 포함하는 모든 개념을 다루다 .
http://www.cowalk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186
함께걸음 (2018b). 질병과 신체장애가 아닌 삶의 참여 , 구체적 기능으로 이해하기 .
http://www.cowalk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185
함께걸음 (2018.5.2.). 유니버설한 언어 디자인과 장애학 .
http://www.cowalk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105
ICF eLearning Tool https://www.icf-elearning.com/
오마이뉴스 (2014.10.7.) ' 다 함께 1 등 ' 운동회 감동 사진 주인공 누나 " 가족들 엉엉 울었다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4121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