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5단원]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 1절 | 사회화

<<사회화>>

1. 의미: 한 사회의 가치, 문화, 규범을 내면화 (생물학적 인간 > 사회적 인간)

2. 수단: 언어적 상호작용, 보상과 처벌, 모방과 동일시

3. 종류

초기사회화 (_________) 기초적 사회화


재사회화 (성인기 이후) _________________에 ________
Ex.
예기사회화 변화 이전에 변화에 __________
Ex.
탈사회화 기존의 학습 내용을 _________ 것
Ex.
반사회화 ______________을 학습

4. 사회화 기관
사회화 기관 _________ 사회화 담당
Ex.
사회화 기관 사회화 내용의 강화, 세련, 추가교육 담당
Ex.
사회화 기관 주목적이 ________로, 체계적인 사회 담당
Ex.
사회화 기관 주목적이 사회화는 아니지만 부수적 목적으로 사회화를 담당
Ex.
1차적 사회화 기관은 존재할 수 (있다/없다)

[5단원]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 2절 | 지위와 역할, 개인과 사회의 관계

1. ________ : 한 개인이 집다 내 차지하는 위치

지위 - (선천적/후천적)이며 노력(없이/을 통해) 획득됨


- (현대/전통)사회에서 중시
Ex.
지위 - (선천적/후천적)이며 노력(없이/을 통해) 획득됨
- (현대/전통)사회에서 중시
Ex.

2. 역할 : 개인의 지위에 대해 _______되는 행동양식

3. ____________ : 개인의 구체적 수행방식

- ______: 역할 기대 충족 Ex.

- _______: 역할 기대 미충족 Ex.

*** 역할에 대한 보상 (O/X) ***


4. ____________: 개인에게 요구되는 서로 다른 역할들이 충돌해 나타나는 심리적 갈등

- (내적 갈등 / 외적 갈등) – 1인 내부의 고민

- 지위와 역할이 모두 명확해야 함

2개 이상의 지위에 따른 각각의 역할 사이에서 고민


Ex.
1개의 지위에 따른 여러 역할 사이에서 고민
Ex.
ㄱ. 교사로서 꿈을 키우던 갑은 연예인이 되고 싶은 마음에 부모님께 진로 문제에 대해 논의하다 말다툼을
했다. (역할긴장/역할모순/역할갈등 아님)

ㄴ. 아내의 요청으로 설거지를 하던 을은 이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아버지가 ‘그만두어라’라는 요청을 듣고


차마 이를 거역할 수 없어 고민에 빠졌다. (역할긴장/역할모순/역할갈등 아님)

ㄷ. 오늘 점심에 짜장면을 먹을지 짬뽕을 먹을지 고민이 된다. (역할긴장/역할모순/역할갈등 아님)

ㄹ. 병은 공부를 하던 중 잠시 넷플릭스를 볼지 말지 고민에 빠졌다. (역할긴장/역할모순/역할갈등 아님)

ㅁ. 올해 처음 교사가 된 정은 자유롭고 민주적 학급분위기를 조성할지, 질서 있고 정숙한 학급분위기를 조


성할지 고민에 빠졌다. (역할긴장/역할모순/역할갈등 아님)

ㅂ. 연기 지망생인 갑은 연기를 함에 있어 대본을 더 열심히 숙지해야 할지, 생동감 있는 감정 연기를 위해


다양한 경험을 해보아야 할지에 대해 고민에 빠졌다. (역할긴장/역할모순/역할갈등 아님)

5. 개인과 사회의 관계

사회는 개인 외부에 독자적 실체로 존재한다


- 사회는 구속력을 지닌 존재
사회는 독자적 실체가 없으며, 이름만 존재할 뿐이다
- 사회는 모두 개인으로 환원 가능

[6단원] 사회 집단과 사회 조직

제1절 | 사회 집단

- 조건: (1) ___________ (2) _____________ (3) ______________

cf. 콘서트 관람객, 축구 경기 관중: ___________, 수험생, 주부: ___________

- 사회집단의 분류

i. 섬너

소속 (O/X), 소속감 (O/X) – 구성원 간 ________________________을 느낌


__________________________에 기여
소속 (O/X), 소속감 (O/X) - 구성원 간 ________________________을 느낌
__________________________에 기여
* 구분 기준은 (불변/가변)적이며 (고정/유동)적이다

** ________________와 ________________이 일치해야 함


ii. 쿨리

- (직접/간접) 접촉: 대면 접촉의 비중이 (높다/낮다)


- 집단은 주로 (소규모/대규모)
- (부분적/전인격적) 관계
- (수단적/목적적) 만남 > 과업 지향성 (O/X)
- (공식적/비공식적) 제재, (관습적/법률적) 제재
Ex.
- 친밀감, 유대감, 연대의식이 강함. (O/X)
- 형식적, 이해타산적, 업무적 만남을 가짐 (O/X)
>>> Ex.
- (직접/간접) 접촉: 대면 접촉의 비중이 (높다/낮다)
- 집단은 주로 (소규모/대규모)
- (부분적/전인격적) 관계
- (수단적/목적적) 만남 > 과업 지향성 (O/X)
- (공식적/비공식적) 제재, (관습적/법률적) 제재
Ex.
- 친밀감, 유대감, 연대의식이 강함. (O/X)
- 형식적, 이해타산적, 업무적 만남을 가짐 (O/X)
>>> Ex.
iii. 퇴니스

- 본질의지에 의해 결합됨
- (선천적/후천적), (인위적/본능적), (자연발생적/선택적) 의지
- 전인격적 관계 (O/X)
- (목적적/수단적) 만남
- 가입과 탈퇴 (가능/불가능)
- (비공식적/공식적) 제재
>>> Ex.
- 선택의지에 의해 결합됨
- (선천적/후천적), (인위적/본능적), (자연발생적/선택적) 의지
- 전인격적 관계 (O/X)
- (목적적/수단적) 만남
- 가입과 탈퇴 (가능/불가능)
: 제약 존재:
: 제약 없음:
- (비공식적/공식적) 제재
>>> Ex.
* 모든 1차집단은 공동사회이다 (O/X) ** 모든 공동사회는 1차집단이다 (O/X)

*** 모든 이익사회는 2차집단이다 (O/X)

iv. ________ 집단

: 개인이 자신의 가치관을 형성하는 기준으로 삼거나 행동의 근거로 삼는 집단 / 선망하는 집단

- 준거집단 = 소속집단: ______이 높음 - 준거집단 =/= 소속집단: __________이 높음

* 모든 내집단은 준거집단이다 (O/X)


제2절 | 사회조직

- 공식조직

조건 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조건 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조건 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Ex.

- 비공식조직

조건 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조건 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조건 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Ex.

순기능: 공식조직 구성원의 사기를 증진시키고, 조직 내 친밀감을 높여 공식조직의 효율성을 높임

역기능: 사적인 인간관계를 지나치게 우선시할 경우 공식조직의 효율성이 낮아질 수 있음

- 자발적 결사체

조건 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조건 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조건 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조건 4)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조건 5)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자발적 결사체의 유형: 설립목적에 따라

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가 목적 Ex.

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가 목적 Ex.

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가 목적 Ex.

[ 공식조직 / 자발적 결사체 ]

공식조직이면서 자발적 결사체

공식조직이지만 자발적 결사체 아님

공식조직은 아니지만 자발적 결사체

[사회집단/공식,비공식조직/자.결.]
- 함정선지

회사는 사익추구의 이익집단이다. (O/X)

모든 비공식조직은 친목단체이다 (O/X)

모든 친목단체는 비공식조직이다 (O/X)

모든 이익사회는 이익집단이다 (O/X)

모든 이익집단은 이익사회이다 (O/X)

모든 비공식조직은 이익사회이다 (O/X)

모든 자발적 결사체는 2차집단이다 (O/X)

노동조합은 사익추구의 이익집단이다 (O/X)

제3절 | 공식조직의 운영원리

1. 관료제

: 대규모 공식조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___________형 운영체계

: 산업혁명 이후 (소/다)품종 (소/대)량 생산체제와 함께 등장

[특징]

1] (수평적/수직적) 위계서열 존재 – (상명하달/하의상달)식 의사결정, (상향식/하향식)

: 직급은 ____개 존재하며, 중간관리자는 (많다/거의 없다)

2] 수평적으로, 업무의 세분화가 이루어져 있음

: 부서 간 경계가 (명확/불명확) > 책임 소재가 (명확/불명확)

: 전문화된, 숙련된 노동 선호

3] 표준화된 절차 존재 > 재량권 (많음/적음) > 개성, 창의성 발휘할 수 (있음/없음)

4] ______에 따라 승진 - ____서열을 중시. (연봉제/호봉제)

* 관료제 조직 내에서 지위획득의 공평한 기회는 제공되지 않는다. (O/X)

[장점]

- 산업사회에서 효율적 조직

- 안정적, 지속적으로 조직을 운영할 수 있음 (경성형/연성형) 조직 > 조직운영의 예측 가능성이 (높다/낮다)

[단점]

- _____________현상: 복잡한 절차중시로 인한 비효율

- ____________(목적과 절차가 뒤바뀌는 현상), ______________(절차와 업무를 지나치게 중시해 인간성 상실)

+ 피터의 원리(무능한 상사), 파킨스 법칙(조직의 비대화), 과두제 현상(중앙집권적, 비민주적 운영)
2. 탈관료제

: 관료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조직 운영 방식

: 정보화 시대 도래 이후 (소/다)품종 (소/대)량생산 체제와 함께 등장

- 사회 변화 속도가 빨라져 __________이 중시되기 시작하면서 (경성형/연성형)조직 등장

- 젊은 층의 개성과 창의성을 중시하기 시작함.

[특징]

1] (수평적/수직적) 위계서열 존재 – (상명하달/하의상달)식 의사결정, (상향식/하향식)

: 직급은 ____개 존재하며, 중간관리자는 (많다/거의 없다)

2] 업무의 (분화/통합), 협업 (증대/축소)

- 부서 간 경계 (명확/모호) > 책임소재 (명확/불명확) > 권한의 (집중/분산)

3] 재량권 (많음/적음) > 개성, 창의성 발휘할 수 (있음/없음)

4] ______에 따라 승진 - (연봉제/호봉제)

* 탈관료제 조직 내에서는 관료제와 다르게, 지위획득의 공평한 기회가 제공된다. (O/X)

Cf. 형태: 팀제 (프로젝트를 위한 한시적 조직), 네트워크형 조직(연결망으로 이어짐) 아메바형 조직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