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2025 EBS 수능특강 영어

27강
E d ite d b y N ER N TER
27 글의 전개 구조 한눈에 보기

27강 G 27강 2
이민자 고유의 문화적 정체성 유지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
언어에 존재하는 보편성
necessity of awareness of the maintenance of immigrants’
universal features present in languages
unique cultural identity

도입 주류 문화를 순응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한 갈등↑ 도입 언어의 보편성

다문화주의자들의 제안: 부분 동화 모델 필요 - 모든 언어에는 명사, 동사, 수식어, 이름, 대명사


전개
vs. 주류 문화를 순응해야 한다는 압력 가 있음
특징
- 어순 차이는 있어도, 문장은 항상 사용됨
- 거의 동일한 개념 목록을 가짐 → 번역 가능
(19, 20세기) 이민자들의 다양성 수용 → 나라의
사례
중대한 변화

유색 인종들은 주류 문화에 수용되기 위해 여전히


난제
투쟁중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이 그들의 고유한 문화적


결론
정체성을 유지할 권리가 있음을 인식해야 함

27강 1 27강 3

언어에 따른 공간 개념 인식의 다양성 심오하고 모호한 작가와 비평가 사이에서의 상호작용


variability in perception of spatial concepts across languages interactions between unclear authors and critics

비평가들의 주목을 얻기 위해 작품 양식을 능숙하


도입 공간 개념이 보편적이라는 일부 가정 재검토 도입
게 다루는 명인들

불명확한 작가들 - 비평가들이 자신의 작품을 해


전개 언어 차이에 따른 공간에 대한 다른 인지적 성향
석할 동기 부여

부연
멕시코의 Tenejapa Tzeltal족 - 언어에 상대적 준 비평가들 - 작가 연구와 작품 해석으로 자신의 명
예시
거틀이 없음 성 확립 및 주요 문헌 목록에 그 작가가 포함되도
록 지지

결론 작가와 비평가들의 상호작용

너른터 1 NERNTER
NERNTER
27강 2025학년도 수능특강 영어
이민자 고유의 문화적 정체성 유지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
G necessity of awareness of the maintenance of immigrants' unique cultural identity

01 The need [to assimilate values and lifestyle of the host culture] has become a growing conflict.
S ↳ The need를 수식하는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 주어가 need 이므로 단수동사 has

주류 문화의 가치와 생활 방식을 받아들여야 할 필요성 때문에 갈등이 증가하고 있다.


당위성을 나타내는 suggest의 that절이므로 생략가능 ↰★ 어법예상 ★ 어휘예상

02 Multiculturalists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a model of partial assimilation


↳ [ ]: suggest의 목적어역할을 하는 명사절 ↳ (반) complete, total, entire, whole

{in which immigrants retain some of their customs, beliefs, and language}].
↳ 완전한 절이 이어지므로 in which↳ (유) keep, hold, maintain (반) abandon, discard, let go

다문화주의자들은 이민자들이 자기들의 관습, 신념, 언어 중 일부를 유지하게 되는 부분 동화 모델이 있어야만 한다고 제안한다.


03 There is pressure [to conform rather than to maintain their cultural identities],
↳ pressure를 수식하는 to부정사구-형용사 ★ 어법예상 maintaining (x)
↱ 문화적 정체성 유지 vs. 주류 문화에 순응해야 한다는 압박 ↱ migrate to~: ~로 이주하다

however, and these conflicts are greatly determined by the community to which one migrates.
↳ 주어 conflicts가 결정되어지는 수동관계 ↳ one migrates(자/타V)가 완전한 절이므로 to which

그러나 자신들의 문화적 정제성을 유지하기보다는 순응해야만 한다는 압력이 있고, 이러한 갈등들은 이민자가 이주해 가는 사회에 의해 대게 결정된다.

04 These experiences are not new; many Europeans experienced exclusion and poverty
V

during the first two waves of immigration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이러한 경험들은 새롭지는 않은데, 19세기와 20세기에 처음 두 차례 이민이 급증했을 때 많은 유럽인이 배척과 빈곤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05 Eventually, these immigrants transformed this country with significant changes


↳ transform A with B: A를 B로 변화시키다 (유) change, convert, turn, alter A with B

[that included enlightenment and acceptance of diversity].


↳ 주격관계대명사 (that ∅ included~)

결국 이 이민자들은 계몽과 다양성의 수용을 포함한 중대한 변화로 이 나라를 변화시켰다.


↱ struggle for ~을 위해 애쓰다

06 People of color, however, continue to struggle for acceptance.


S V ↳ struggling도 가능 (continue는 목적어로 동명사, to부정사 둘 다 가능)

하지만 유색 인종들은 받아들여지기 위해 계속 투쟁한다.

07 Once again, the challenge is to recognize [that other cultures think and act differently]
is의 보어 to 부정사의 명사적용법 ↲ ↳ [ ]: recognize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①
핵심 ↱ the right을 수식하는 to 부정사구-형용사적 용법
문장
and [that they have the right {to do so}].
↳ [ ]: recognize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②

한번 더 말하자면, 도전 과제는 다른 문화들은 (우리와)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한다고, 그리고 그들은 그렇게 할 권리를 지니고 있다고 인정하는 것이다.

08 Perhaps, [in the not too distant future], immigrants will no longer be strangers [among us].

아마도, 그리 머지않은 미래에, 이민자들은 우리 사이에서 더이상 이방인이 아닐 것이다

① 이민자 고유의 정체성을 유지할 권리에 대한 공동체의 인식이 필요하다.


② 이민자의 적응을 돕기 위해 그들의 요구를 반영한 정책 수립이 중요하다.
요지 ③ 이민자는 미래 사회의 긍정적 변화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④ 다문화 사회의 안정을 위해서는 국제적 차원의 지속적인 협력이 요구된다
⑤ 문화적 동화는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점진적으로 이루어진다.

Words & Phrases


01 assimilate 받아들이다 02 host culture 주류 문화 03 conflict 갈등
04 multiculturalist 다문화주의자 05 partial 부분의, 부분적인 06 assimilation 동화
07 immigrant 이민자 08 retain 유지하다 09 conform 순응하다
10 migrate 이주하다 11 exclusion 배척, 배제 12 transform 변모시키다
13 significant 중대한 14 enlightenment 계몽 15 recognize 인정하다

너른터 2 NERNTER
NERNTER
27강 2025학년도 수능특강 영어
언어에 따른 공간 개념 인식의 다양성
01 variability in perception of spatial concepts across languages

↱ = 관계부사 when

01 Some assumptions [that notions of space (that is, a three-dimensional area {in which events and objects occur
S  동격  +완전한 절 (유) namely, that is to say, in other words ⤷전치사+관계대명사+완전한 절
핵심
문장
and have relative direction and position}) are universal] — are being reexamined.
(유) orientation 복수V V 진행형 수동태 (be+being+과거분사) (유) reconsidered ★ 빈칸예상

공간(즉, 사건과 사물이 발생하고 상대적 방향과 위치를 갖는 3차원 영역)에 대한 개념이 보편적이라는 몇몇 가정들은 재검토 되어지고 있다.

★ 서술형,빈칸예상

02 Stephen Levinson showed that “systems of spatial reckoning and description can [in fact] be quite divergent
⤷명사절 접속사 that+완전한 절 ⤷(유) reasoning ⤷(유) depiction (유) indeed (유) different
핵심
문장
across cultures, linguistic differences correlating with distinct cognitive tendencies.”
⤷독립분사구문 (= and linguistic differences correlate with~)↳ (유) discrete, separate

Stephen Levinson은 ‘공간을 추정하고 설명하는 체계들은 실제로 문화마다 꽤 다를 수 있고, 언어적 차이점들은 뚜렷이 다른 인지적 성향들과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Tip] 독립분사구문
종속절의 주어와 주절의 주어가 일치하지 않을 때, 종속절의 주어를 남겨놓은 분사구문을 독립분사구문이라고 한다.
e.g., As it rained a lot, we couldn’t get out. → It raining a lot, we couldn’t get out.

03 More specifically, languages vary in their use of spatial concepts and, [in some instances],
핵심 S V1 삽입
문장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언어들은 공간 개념의 사용에 있어 다르고, 어떤 경우에는

determine the cognitive categories [relating to space concepts]; also, the speakers of a number of languages
V2  the cognitive categories를 수식하는 현재분사구 (유) many, a variety of, various

do not use spatial terms [corresponding to the bodily coordinates of left-right and front-back].
 spatial terms를 수식하는 현재분사구

공간 개념과 관련된 인지 범주를 결정하기도 하며, 또한 많은 언어들의 사용자들은 전후좌우의 신체 좌표에 해당하는 공간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04 One example comes from the Tenejapa Tzeltal of Mexico:


(유) derives from, originates from, stems from

(이에 대한) 한 가지 예가 멕시코의 Tenejapa Tzeltal족에게서 나오는데,


Their language [uses no relative frame of reference] and therefore [has no terms for spatial reference
= The Tenejapa Tzeltal’s (유) relative reference system (유) so, hence, thus, consequently

{that would correspond to left, right, front, and back}].


⤷no terms for spatial reference를 수식하는 관계절

그들의 언어는 어떤 상대적 준거틀도 사용하지 않으므로 ‘왼쪽’, ‘오른쪽’, ‘앞’, 그리고 ‘뒤’에 해당할 공간 준거와 관련된 어떤 용어도 없다.

05 Although terms exist [for left hand and right hand],


(유) Though, Even though ⤷terms를 수식하는 전치사구
┏───── 병렬구조 ──────┓

they do not extend to other parts of the body or to areas [external to it].
= terms ★ 서술형, 빈칸예상 areas를 수식하는 형용사구⤶ = the body

‘왼손’과 ‘오른손’에 대한 용어들 존재하지만, 그것들은 신체의 다른 부분이나 그것(신체)의 외부 영역으로 까지 확장되지는 않는다.
* reckoning: 추정, 계산 ** divergent: 다른, 갈라지는 *** coordinate: 좌표

① impact of culture on business communication (문화가 비즈니스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② universal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시간과 공간 개념에 대한 보편적인 인식)
주제 ③ cultural differences in nonverbal signals related to space (공간과 관련된 비언어적 신호의 문화적 차이)
④ variability in perception of spatial concepts across languages (언어에 따른 공간 개념 인식의 다양성)
⑤ nature of online communication beyond the limits of language (언어의 한계를 넘어서는 온라인 의사소통의 본질)

Words & Phrases


01 assumption 가정 02 three-dimensional 3차원의 03 relative 상대적인
04 direction 방향 05 universal 보편적인 06 reexamine 재검토하다
07 description 설명 08 correlate with ∼과 연관되다 09 distinct 뚜렷이 다른
10 cognitive 인지적인, 인지의 11 tendency 성향 12 specifically 구체적으로
13 vary 각기 다르다 14 concept 개념 15 determine 결정하다
16 category 범주 17 term 용어 18 correspond to ~에 해당하다
19 reference 준거, 기준, 참조 20 extend 확장하다 21 external 외부의

너른터 3 NERNTER
NERNTER
27강 2025학년도 수능특강 영어
언어에 존재하는 보편성
02 universality that exists in language

↱ 유사관계대명사(주격)

01 Languages are far more similar than had previously been thought,
⤷비교급 강조 부사(= much, even, still, a lot)
핵심
문장
언어들은 이전에 생각되던 것보다 훨씬 더 비슷하며, ↱ (유) cognitive faculties ↱ { }: to부정사구-부사(목적)

and that universality suggests [that the human brain is designed {to understand the world in certain ways},
↳ 지시형용사 ★ 빈칸예상 ⤷[ ]: suggests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 ⤷★ 어법예상 (should) be designed (X)

그 보편성은 인류의 뇌가 특정한 방식으로 세상을 이해하도록 설계되어져 있다는 것을 보여 주며,


which may also correspond to the structure of reality].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 + 불완전한 절 that(X)

이는 아마도 현실의 구조와도 부합할 것이다.

02 Thus, all languages have nouns and verbs, modifiers (adverbs and adjectives), and names and pronouns.
(유) Therefore, Hence, As a result, Consequently

따라서 모든 언어들에는 명사와 동사, 수식어(부사와 형용사), 이름과 대명사가 존재한다.

03 Languages may differ [as to the sequence of words in a sentence] (e.g., verb in the middle or at the end),
V (유) regarding, concerning, when it comes to

언어들은 문장 속 단어들의 순서에 있어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예를 들어, 동사가 중간에 오는지 아니면 끝에 오는지처럼),

but sentences are always used.


★ 빈칸예상 ⤷수동태 (be + 과거분사)

문장들은 항상 사용되어진다.

04 Therefore, individuals belonging to a Particular community may not follow the language habits
무관
문장
of that community.
따라서 특정 공동체에 속한 개인은 그 공동체의 언어 습관을 따르지 않을 수도 있다.

↱ <as 원급 as ...>: ...만큼 ~한(하게)

04 Even the sequence of words does not vary as widely as it could:


(유) differ, diversify ↲ wise(X) could (vary)

심지어 단어들의 순서도 가능한 것 만큼 크게 다르지는 않은데,

Steven Pinker says [that there are 128 possible orderings of the main parts of a sentence,
⤷[ ]: says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 ↳ (유) sequence variations for sentence components

Steven Pinker는 문장 주성분의 순서는 128가지가 가능하지만,


but most languages use one of only two of those possibilities].
★ 빈칸,서술형예상

대부분 언어들은 그러한 가능성의 단 두 가지 중 하나만을 사용한다고 말한다.

05 Crucially, most languages seem to have an almost identical list of concepts,


(유) appear (유) the same, similar ↳ (유) similar conceptual frameworks

결정적으로, 대부분 언어들은 거의 동일한 개념들의 목록을 가지고 있는 것 처럼 보이고,

and as a result nearly all words and sentences can be translated effectively from one language into another.
⤷조동사 수동태 (조동사 + be + 과거분사)

그 결과로 거의 모든 단어드로가 문장들은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효과적으로 번역되어 질 수 있다.


*modifier: 수식어

Words & Phrases


01 previously 이전에 02 correspond to ~과 부합하다, ~과 일치하다 03 adverb 부사
04 adjective 형용사 05 pronoun 대명사 06 as to ∼에서, ∼에 관해
07 sequence 순서 08 particular 특정한 09 vary 다르다, 다양하다
10 ordering 순서 11 crucially 결정적으로 12 identical 동일한
13 concept 개념 14 translate 번역하다 15 effectively 효과적으로

너른터 4 NERNTER
NERNTER
27강 2025학년도 수능특강 영어
심오하고 모호한 작가와 비평가 사이에서의 상호작용
03 interactions between unclear authors and critics

01 Some performers manipulate the style of their product to shift the incentives of critics [to pay attention].
★ 어휘예상 ↳ (유) deal with, treat, address ⤷부사적 용법의 to-V ⤷형용사적 용법의 to-V

몇몇 명인들은 비평가들이 주목하고자 하는 동기를 바꾸기 위해 자신들의 작품 양식을 능숙하게 다룬다.

02 Richard Posner cites Shakespeare, Nietzsche, Wittgenstein, and Kafka as figures


V cite A as B:A를 B로 예를 들다, 언급하다  ~로(서)
↱ [ ]: figures를 수식하는 관계절 ↱ (유) ambiguous
[who owe part of their reputation to the puzzling and perhaps even contradictory nature of their writings].
⤷ owe A to B: A의 원인을 B로 돌리다(= ascribe, attribute)

Richard Posner는 Shakespeare, Nietzsche, Wittgenstein과 Kafka에 대하여 모호하고, 어쩌면 심지어는 모순되는 그들 글의 본질 덕분에 명성의 일정
부분을 얻은 인물들이라고 예를 든다.

★ 어휘예상

03 Unclear authors, [at least if they have substance and depth], receive more attention from critics
(유) Obscure S = unclear authors V1 (반) give, confer, pay

and require more textual interpretation.


V2

불명확한 작가들은, 만약 그들이 최소한 실체와 깊이가 있는 경우, 비평가들로부터 더 많은 주목을 받고 더 많은 텍스트 해석을 요구한다.

04 Individual critics can establish their own reputations [{by studying such a writer}
(유) found, build ⤷<by + v-ing>: v-ing함으로써

and {by promoting one interpretation of that writer’s work over another}].
<by studying ~>와 병렬구조 = another interpretation

개별 비평가들은 그러한 작가를 연구함으로써, 그 작가의 작품에 대한 한 가지 해석을 다른 해석보다 더 승격시킴으로써 자신의 명성을 확립할 수 있다.

05 These same critics will support the inclusion of the writer in the canon,
★ 어휘예상 (유) involvement (반) exclusion

바로 이들 비평가들은 그 작가를 주요 문헌 목록에 포함하는 것을 지지할 것이다

[to promote the importance of their own criticism].


⤷to부정사구-부사(목적)

자기들이 한 비평의 중요성을 증진하기 위해

06 In effect, deep and ambiguous writers are offering critics implicit invitations
(유) complex and vague ★ 함축의미, 어휘예상 ↳ (유) unspoken offers

[to serve as coauthors of a broader piece of work].


⤷형용사적 용법의 to-V 빈칸출제됨

사실, 심오하고도 모호한 작가들은 비평가들에게 더 폭이 넓은 작품의 공동 저자의 역할을 해 달라고 암묵적인 초청을 보내는 것이다.

↱ by ~ing: ~함으로써
07 Critics respond [by examining these works more closely and spreading their fame more widely].
(유) react └───────── 병렬구조 ─────────┛(유) broadcasting their recognition, extending their renown

비평가들은 이러한 작품들을 더욱 면밀히 검토하고 자신들의 명성을 더욱 널리 폄으로써 (그러한 초청에 대해) 응답한다.
* canon: 주요 문헌 목록 ** ambiguous: 모호한

① ignore readers for a better textual analysis (더 나은 텍스트의 분석을 위해 독자를 무시해 달라고)
② serve as coauthors of a broader piece of work (더 폭넓은 작품의 공동 저자의 역할을 해 달라고)
빈칸 ③ exclude paradoxical points from their arguments (그들의 주장으로부터 역설적인 요점을 제외해 달라고)
④ compare their writing styles with those of classical writers (자신들의 글쓰기 양식을 고전적인 작가와 비교해 달라고)
⑤ cooperate in a criticism of how writers copy each other’s styles (작가들이 서로의 양식을 베끼는 방식에 대한 비판에 협조해 달라고)

Words & Phrases


01 manipulate 능숙하게 다루다, 조작하다 02 cite 언급하다 03 figure 인물
04 reputation 명성 05 contradictory 모순되는 06 substance 실체, 본질, 요지
07 interpretation 해석 08 inclusion 포함시킴 09 implicit 암묵적인

너른터 5 NERNTE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