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제재 정리 Ⅳ. 다양한 분야의 글 읽기 2.

사회·문화 분야의 글 읽기

근대 감옥의 원리와 사회_미셸 푸코

▪ 핵심 정리

갈래 논설문

성격 설명적, 묘사적, 분석적

제재 일망 감시 감옥의 원리와 권력 구조

주제 일망 감시 감옥의 원리와 권력의 작동 방식은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다.

① 권력의 작동 원리라는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 대상인 감옥과 관련 지어 설


명하여 독자의 이해를 도움.
특징 ② 지하 감옥과 일망 감시 감옥을 비교·대조하며 일망 감시 감옥의 특징을 설
명함.
③ 이론과 관련된 세부 사항을 체계적으로 설명함.

▪ 작품의 구성

처음 일망 감시 감옥의 구조와 원리

중간 일망 감시 감옥의 감시 효과 - 소통 차단, 질서 유지, 권력의 내면화

끝 일망 감시 감옥 구조의 보편성과 그 장점

▪ 지하 감옥과 일망 감시 감옥의 비교

지하 감옥 일망 감시 감옥

공통점 죄수를 감금하는 기능

Ÿ 역광선의 효과를 이용하여 감시


Ÿ 빛을 차단하여 수감자의 모습이 인이 수감자의 모습을 파악할
차이점 보이지 않음. 수 있음.
Ÿ 죄인을 숨겨 둠. Ÿ 죄인을 노출시켜 감시인이 수감
자를 항상 감시할 수 있음.

- 1 -
▪ 일망 감시 감옥의 감시 효과 ① 소통 차단, 질서 유지

가시성 비가시성

중앙의 탑과 마주본 방 배치 양쪽 벽에 의해 분리된 독방

수감자가 동료들과 접촉하는 것이


감시자가 언제나 수감자를 볼 수 있음.
차단됨.

• 군중이 소멸하고 개개인이 분리되면서 집단의 질서가 유지됨.


• 감시자는 개개인을 쉽게 통제할 수 있고, 수감자는 고립되고 격리됨.

▪ 일망 감시 감옥의 감시 효과 ② 권력의 내면화

권력의 자동화 권력의 비개성화

권력의 근원은 개인이 아닌 사회 구조에


감시 작용이 중단되더라도 그 효과가
있으므로, 누구나 목적에 관계없이
계속됨.
언제나 권력을 행사할 수 있음.

수감자의 불안감을 증가시키고, 수감자가 권력 구조에 길들여져 스스로 예속화됨.

▪ 일망 감시 감옥의 기능의 보편적 적용

권력 관계 감시 대상의 수효
권력의 자동화, 권력의
→ 내면화, → 증가, 감시 주체의 →
비개성화 효율성 증가
자발적 예속 수효 감소

물리적 수단을 쓰지 않고도, 사회적 구조를 통해 개인에게 직접 완전한 권력을 행사할 수


있음.

정해진 공간에서 일정한 수의 인간을 감시하는 모든 시설에 적용할 수 있음.

- 2 -

You might also like